KR20010023727A - 나사 자동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나사 자동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727A
KR20010023727A KR1020007002381A KR20007002381A KR20010023727A KR 20010023727 A KR20010023727 A KR 20010023727A KR 1020007002381 A KR1020007002381 A KR 1020007002381A KR 20007002381 A KR20007002381 A KR 20007002381A KR 20010023727 A KR20010023727 A KR 20010023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rotor
pressing
end side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니무라가주아키
Original Assignee
타니무라 가주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니무라 가주아키 filed Critical 타니무라 가주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23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72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 F16B31/04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for maintaining a tensile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못등의 박아넣기 어려운 금속제등의 장착 부재에 장착된 볼트등을 자동적으로 결합하는 나사 자동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나사 자동 결합장치는 케이싱(2)와 케이싱(2)내에 회전할 수 있거나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자(4), 회전자(4)와 케이싱(2)에 접속되는 가압 부재(5), 케이싱(2) 전체를 덮는 피복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싱(2)의 하단에는 부착편(71)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자(4)는 내주에 피결합 부재(n)와 회전이 불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계합부(41)가 있고, 외주에는 케이싱(2)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맞물리는 회전 정지용 맞물림부(42)가 있다. 케이싱(2)에 걸려있는 회전자(4)를 피결합 부재(n)에 맞물리게 하여 케이싱(2)을 상하로 눌러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케이싱(2)과 회전자(4)가 걸려진 바깥쪽으로 케이싱(2)가 회전하고, 부착편(71)이 피결합 부재(n)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설치된 와셔 부재(8)의 부착편 수용부(82)에 끼워넣어, 케이싱(2)을 와셔 부재(8)에 고정할 수 있고, 피결합 부재(n)를 결합한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로 회전자(4)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사 자동 결합장치{AUTOMATIC SCREW FASTENER}
볼트나 너트등의 피결합 부재는, 건축에 관계되는 각종 물품이나 철도의 침목으로 레일을 고정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오고있다. 예를 들어 철도의 침목과 레일은 도14에 표시되는 것과 같이, 침목(100)위로부터 레일(101)에 넘겨진 판상부(102)를 보유하는 누름 스프링(103)을, 볼트(n)을 침목(100)에 결합시켜 눌러서, 침목(100)과 레일(101)을 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레일(101)에 진동이 반복되어 작용되면, 예를 들어, 누름 스프링(103)의 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자연적으로 느슨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목조건축에 있어서는 건축용 주걱 볼트를 사용하여 기둥과 들보를 접합 고정시키고 있지만, 너트의 결합을 어느정도 완전한 것으로하여도, 또, 너트에 회전 정지의 기능을 보유하는 것을 사용했다고 해도, 건축중에 목재의 건조가 진행되어, 기둥과 대들보가 수축되어 가면, 너트, 기둥, 대들보사이의 간격이 생기게 되고, 너트와 기둥을 압축시켜 완전히 결합시키는 그 기능을 완수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건축용 주걱 볼트 자동 결합장치를 발명하였다.
이 장치는 제15도에 표시된 대로, 원통형상의 회전자(a)와 회전자(a)를 회전가능하게 하고, 축방향으로 상하로 미끄러질수 있도록 수용하는 통형상의 케이스(b)와, 상기 회전자(a)의 외주에 두루 감아 회전자(a)에 접하게 하여 회전력을 부여하는 소용돌이 형상인 용수철(c) 등을 갖추고 있고, 또 회전자(a)의 내주측에 주걱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n)를 수용하여 걸어맞추는 계합부(a1)를 구비하고, 회전자(a)의 상단측의 외주로, 지름 바깥 방향으로 튀어나오게 설치한 돌기(a2)를 구비하며, 한편 케이싱(b)의 하단측으로 바늘 등의 박아넣는 고정 수단(b1)을 구비함과 아울러, 케이싱(b)의 상단측의 내주로 상기 돌기(a2)를 회전이 불가능하게 수용하는 오목부(b2)를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회전자(a)의 계합부(a1)에 너트(n)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박아넣는 고정 수단(b1)에 의해서 케이싱(b)을 너트(n)로 장착된 장착부재로서의 기둥이나 들보에 고정함으로써, 회전자(a)가 케이싱(b)의 상단측으로 미끄러지며, 이 때 돌기(a2)가 오목부(b2)로부터 돌출되어, 용수철(c)에 가압하는 회전자(a)가 결합된 너트(n)에 회전력을 부여하고, 항상 그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너트(n)를 항상 가압한 상태로 유지시켜 둠으로써, 목재가 건조되고, 너트(n)와 기둥과의 간격이 벌어지면, 이 용수철(c)의 탄력에 의하여 너트(n)가 자동적으로 회전되고, 너트(n)와 기둥(h1)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이런 것에 있어서는, 케이싱(b)의 선단측에 설치된 바늘 등의 박아넣는 고정 수단(b1)으로 목재에 박아 넣어 케이싱(b)을 고정할 수 있지만, 상기한 제1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철도의 레일(101)에 있어서의 금속제의 누름 스프링(103)을 볼트(n)로 눌러서 부착하는 경우에는, 볼트(n)의 주변부에 금속제의 누름 스프링(103)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늘 등의 박아넣는 고정수단으로는 케이싱( b)를 박아넣어서 고정시킬 수 없다. 따라서, 제15도에 도시한 건축용 주걱 볼트 자동 결합장치에서는,금속제 등으로 된 장착부재(100, 103)에 장착시킨 볼트나 너트 등에는 적용시키기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못 등으로 박아넣기 어려운 금속제등으로 된 장착부재에 장착시킨 볼트 등에서도, 자동적으로 결합시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나사 자동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못 등으로 박아넣기 곤란한 금속제 등으로 된 장착부재의 부착작업을 쉽게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는 나사 자동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의 레일을 고정된 레일 고정용 볼트로 쉽게 장착하여, 레일 고정용 볼트를 자동적으로 결합시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의 레일 고정용 볼트에 사용하는 나사 자동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3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볼트나 너트에 부착된 나사 자동 결합장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나사 자동 결합장치가 빠져서 일부러 볼트나 너트가 느슨해진 경우에 이를 재빠르게 발견할 수 있는 나사 자동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4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착부재에 장착된 볼트나 너트등의 피결합 부재를 자동적으로 조여서 부착하는 자동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나사 자동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2도(1)은 회전자의 평면도, 제2도(2)는 회전자의 정면도, 제2도(3)은 회전자의 저면도이다.
제3도(1)은 케이싱 본체의 정면도이고, 제3도(2)는 케이싱 본체의 저면도, 제3도(3)은 Ⅲ-Ⅲ의 단면도이다.
제4도(1)은 밑판의 평면도, 제4도(2)는 밑판의 측면도이다.
제5도(1)은 피복부재의 정면도, 제5도(2)는 제5도(1)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제6도(1)은 제1 실시예의 나사 자동 결합장치에 사용하는 와셔 부재의 정면도이고, 제6도(2)는 그 평면도이다.
제7도(1)은 케이싱에 고정시킨 회전자를, 레일 고정용 볼트와 걸어서 맞춘 상태의 평면도, 제7도(2)는 제7도(1)의 Ⅶ-Ⅶ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다.
제8도(1)은 레일용 고정 볼트와 결합시킨 회전자와 케이싱이 서로 맞물려지지 않아, 케이싱의 부착편이 와셔 부재의 수용부내로 깊이 들어간 상태의 평면도이고, 제8도(2)는 제8도(1)의 Ⅷ-Ⅷ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제9도(1)은 와셔 부재에 고정된 케이싱에 피복 부재를 씌운 상태의 평면도이고, 제9도(2)는 제9도(1)의 Ⅸ-Ⅸ선 단면도이다.
제10도는 제2실시예의 나사 자동 결합장치의 사시도이다.
제11도(1)은 제1실시예의 나사 자동 결합장치에 사용하는 와셔 부재의 정면도이고, 제11도(2)는 그 평면도이다.
제12도(1)은 제2실시예에 관한 나사 자동 결합장치를 레일 고정용 볼트에 부착할때 상방측에서 본 설명도, 제12도(2)는 제2실시예에 관한 본체부를 레일 고정용 볼트에 부착할 때의 정면에서 본 일부를 단면으로 한 설명도이다.
제13도(1)은 제2실시예에 관한 나사 자동 결합장치를 레일 고정용 볼트에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제13도(2)는 제2실시예에 관한 나사 자동 결합장치를 레일 고정용 볼트에 부착한 상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제14도는 레일 고정용 볼트로 밀어 스프링을 눌러서 레일을 고정시킨 상태의 설명도이다.
제15도는 종래의 건축용 주걱 볼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보유하는 나사 자동 결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원의 제1 발명은, 볼트나 너트 등의 피결합 부재(n)를 결합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5, 110)로 이루어진다.
가압 부재(5, 110)의 일단측은 피결합 부재(n)와 회전 불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피결합 부재(n)가 가압 부재(5, 110)의 가압력에 의하여 결합 방향으로 힘을 가해지도록 한다.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과 피결합 부재(n)의 장착된 장착 부재(8, 800)를 회전 불가능하도록 부착하는 부착 수단(71, 112, 82, 802)으로 이루어지는데, 또 이 부착 수단(71, 112, 82, 802)은,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으로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을 가동함과 동시에, 그 가동시에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과 장착 부재(8, 800) 등을 부착하는 것이다.
본원 제2의 발명은, 본원 제1 발명에 관한 부착수단이,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과 장착 부재(8, 800)의 한쪽으로 설치된 부착편 (71, 112)와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과 장착 부재(8, 800)의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부착편 수용부(82, 80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부착편(71, 112)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하여 부착편(71, 112)이 부착편 수용부(82, 802)측으로 상대적으로 가동되는 것과 아울러, 그 가동시에 부착편(71, 112)이 수용된다.
본원 제3의 발명은, 본원 제1 또는 제2 발명에 관한 장착 부재는 피결합 부재(n)를 조여서 부착시키는 결합 대상물과 와셔 부재(8, 80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와셔 부재(8, 800)는 결합 대상물과 피결합 부재(n) 사이에 배치되어서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을 부착하는 것이다.
본원 제4의 발명은, 통형상인 케이싱(2)과 케이싱(2)내로 축방향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거나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회전자(4)와 가압 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가압 부재(5)의 일단측은 회전자(4)에 접속되며, 가압 부재(5)의 타단측은 케이싱(2)에 접속됨으로써, 가압 부재(5)의 가압력에 의하여 케이싱(2)과 회전자(4)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자(4)는 하단측에 결합부(41)를 구비함으로써, 볼트나 너트등의 피결합 부재(n)와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케이싱(2)과 회전자(4)는, 탈착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수단(32, 42)을 구비하고 있어서, 회전자(4)가 케이싱(2)내에서 회전력이 부여된 가압상태에서 유지되는 것과 아울러, 회전자(4)가 케이싱(2)에 대하여 상방측으로 이동조작됨에 따라서 케이싱(2)과 회전자(4)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케이싱(2)과 피결합 부재(n)의 장착된 장착 부재(8)를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 수단(71, 82)이 구비되는데, 또 이 부착 수단(71, 82)은 케이싱(2)에 작용하는 가압 부재(5)의 가압력에 의해서 케이싱(2)을 회전시키는 것과 아울러, 그 케이싱(2)의 회전시에 케이싱(2)과 장착 부재(8)를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고, 이 부착으로 피결합 부재(n)와 걸려있는 회전자(4)가 피결합 부재(n)를 결합 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상으로 구성된 본원 제1 내지 제3의 발명에 있어서는,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으로 작용하는 피결합 부재(n)의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의 가압력에 의해서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 및 장착 부재(8, 800)를 부착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 해서, 못을 박아넣기 어려운 부재에 대해서도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을 고정할 수 있고, 피결합 부재(n)의 결합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유지시켜 둘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못 등을 박아넣지 않아도 코일 스프링(1)의 탄성력에 의해서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 및 장착 부재(8, 800)를 자연스럽게 밀착시킬 수 있고, 부착 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원 제4 발명에 있어서는, 피결합 부재(n)에 회전자(4)를 결합시켜서 케이싱(2)과 회전자의 맞물림을 해제하면 좋고, 이것으로 케이싱에 작용하는 피가압 부재(5)의 가압력에 의해서 케이싱(2)을 회전시킬 수 있고, 그 회전시에 케이싱(2)과 장착 부재(8)를 자연스럽게 회전 불가능하도록 부착할 수 있고, 부착 조작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이하로, 도면에 근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나사 자동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의 나사 자동 결합장치(1)는 원통 형상인 케이싱(2)과 케이싱(2)내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 회전자(4)와 가압 부재(5) 및 피복 부재(6)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싱(2)는 통형상인 케이싱 본체(3)와 케이싱 본체(3)에 부착된 원판 형상인 밑판(7)으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싱 본체(3)는 제3도 (1), (2),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단에 지름 안쪽 방향으로 길게 튀어나온 상부 장출부(張出部)가 구비되어 있다.
또, 이 상부 장출부(31)의 내주면에는 대략 정이십사각형 형상인 회전 정지용 맞물림구멍(32)이 있다. 케이싱 본체(3)의 내주부에는, 스프링 맞물림 수용부(33)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스프링 맞물림 수용부(33)는 후술하는 가압 부재(5)로서 코일 스프링(5)의 하단측을 걸어서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케이싱 본체(3)의 내주의 일부를 지름 밖의 방향으로 튀어나오게 설치한 스프링 수용부(33a)와 스프링 수용부(33a)의 일단부에서 케이싱 본체(3)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난 스프링 걸침편(33b)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밑판(7)은 제4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외주 형상이 케이싱 본체(3)의 외주 형상에 맞춰져 있다. 또, 그 외주에는 지름 밖의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4개의 부착편(71-71)이 구비되어 있고, 이 밑판(7)은 케이싱 본체(3)의 하단에 부착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케이싱 본체(3)의 하단으로 설치된 고정용편(34-34)을, 이 밑판(7)의 외주에 설치된 끼움구멍(72-72)으로 끼워넣게 하여 밑판(7)을 케이싱 본체(3)의 하면에 따르게 하고, 그 끼움 구멍(72-72)에서 밑판(7)의 하방으로 돌출한 케이싱 본체(3)의 고정용편(34-34)을 지름 안쪽으로 구부림으로써 케이싱 본체(3)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싱 본체(3)에 고정된 밑판(7)은 케이싱(2)의 하면을 구성하며, 밑판(7)의 내주가 회전자(4)를 끼워서 통과시키는 끼움통과 구멍(73)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자(4)는 제2도 (1), (2) 및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하방측으로 하면에서 상방측으로 뚫어진 계합 구멍(41)을 보유한다. 이 계합구멍(41)은 너트나 볼트 등의 피결합 부재를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맞물리게 하여, 육각의 너트나 볼트에 대응하도록 육각 구멍 형상으로 두면 충분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각 부분을 형성하여 육각의 볼트나 너트에 보다 쉽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회전자(4)의 상단 외주에는, 케이싱(2)의 회전 정지용 맞물림구멍(32)과 걸리는 대략 정이십사각형의 형상인 회전 정지용 맞물림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자(4)의 외주의 하방측에는 스프링 감김부(44)와 스프링 감김부(44)의 하방측으로 형성된 끼움통과부(揷通部)(43), 스프링 감김부(44)와 끼움통과부(43) 사이에 형성된 정지부(45)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감김부(44)는 코일 스프링(4)을 감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회전 정지용 맞물림부(42)보다 지름이 작게 되어있다. 끼움통과부(43)는 케이싱(2) 밑판(7)의 끼움통과구멍(73)과 대략 지름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케이싱(2)안에서 케이싱(2)의 하방측으로 끼워서 통과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정지부(45)는 그 지름이 이 케이싱(2)의 회전 정지용 맞물림구멍(32)의 지름보다 작으며, 또한 케이싱(2)의 끼움통과구멍(73)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2)내로 들어가게 되어 있는 회전자(4)의 끼움통과구멍(73)을 케이싱(2)의 끼움통과구멍(73)으로 끼워서 통과시킨 상태에서, 이 정지부(45)가 밑판(7)의 끼움통과구멍 (73)의 둘레부에 접한 상태에서 정지하도록 되어있다. 또, 이 정지부(45)가 밑판 (7)의 끼움통과구멍(73)의 둘레부에 접한 상태에서는, 제7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회전자의 회전 정지용 맞물림부(42)가 케이싱(2)의 회전 정지용 맞물림구멍(32)으로 깊이 들어가서 걸려있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8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싱(2)의 하방으로 돌출된 끼움통과부(43)가 상방측으로 눌려져서 케이싱(2)내를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회전자(4)의 하단이 케이싱(2)의 밑판(7)의 하면과 나란히 배치되면, 회전자(4)의 회전 정지용 맞물림부(42)가 케이싱(2)의 회전 정지용 맞물림구멍(32)에서 상방측으로 빠져서 양자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회전자(4)가 케이싱(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회전자(4)의 회전 정지용 맞물림부(42)에서 감김부(44)에 걸쳐진 부분에는, 코일 스프링(5)의 상단을 걸리게 하기 위한 회전자측 맞물림홈(46)이 외주에서 지름 안쪽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만들어져 있다.
가압 부재(5)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강철선을 감아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 감김 탄성을 보유하는 코일 스프링(5)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의 상단에는, 상부의 맞물림부(51)가 갖추어져 있다. 이 상부 맞물림부(51)는 회전자(4)의 회전자측 맞물림홈(46)으로 걸리게 하기 위한 것이고, 제7도 (1), 제8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지름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을 뿐아니라, 회전자(4)의 회전자측 맞물림홈(46)의 홈폭보다 진폭이 큰 파도형상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성형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의 하단에는 하부 맞물림부(52)가 있는데, 하부의 맞물림부(52)는 케이싱(2)의 스프링 맞물림 수용부(33)에 걸리게 하기 위한 것이고, 지름 밖의 방향으로 반복되어서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5)의 상부 맞물림부(51)가 회전자(4)의 회전자측 계지홈(46)으로 눌려져서 걸리게 되는 것과 아울러, 하부의 맞물림부(52)가 케이싱(2)의 스프링 맞물림 수용부(33)의 스프링 걸침편(33b)에 걸쳐져서 걸리게 됨으로써, 회전자(4)와 케이싱(2)가 코일 스프링(5) 사이에 끼워져서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싱(2)에 대하여 회전자(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 스프링(5)이 감겨 죄어져서 탄성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회전자(4)를 시계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이 코일 스프링(5)을 감아서 죄어 회전자(4)가 가압된 상태에서, 회전자(4)의 회전 정지용 맞물림부(42)와 케이싱(2)의 회전 정지용 맞물림구멍(32)를 걸어지게 함으로써, 회전자(4)를 가압한 상태에서 유지할 수가 있다(제7도에 도시). 또, 회전자(4)를 가압한 상태에서, 감아서 결합시킬 경우에, 지름이 작아진 코일 스프링(5)이 본래의 지름으로 복원되려는 가압력이 작용하므로, 회전자(4)측 맞물림홈(46)으로 들어간 상부 맞물림부(51)가 회전자측 맞물림홈(46)내를 미끌어져서 지름 외측으로 빠지려고 하는 난점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맞물림부(51)를 회전자(4)의 회전자측 맞물림홈(46)의 홈폭보다 진폭이 큰 파도 형상으로 형성하여 회전자측 맞물림홈(46)으로 눌려져 있기 때문에, 상부 맞물림부(51)가 회전자측 맞물림홈(46)에서 빠지게 될 우려가 없고, 확실하게 코일 스프링(5)의 탄성력을 유지할 수가 있다.
피복 부재(6)는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제5도 (1),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내주의 형상이 케이싱(2)의 외주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있을 뿐아니라, 하단으로 케이싱(2)의 부착편(71-71)을 끼워 넣기 위한 부착편 끼움구멍(61-61)이 갖추어져 있으며, 내부로 케이싱(2)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르는 전체를 다 끼워넣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피복 부재(6)의 하단의 내주에는, 벗어나는 정지용 돌기(62)가 구비되어 있다. 이 벗어나는 정지용 돌기(62)는 케이싱(2)을 씌운 피복 부재(6)를 케이싱(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하여 두기 위한 것이고, 하단의 내주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지름 안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피복 부재(6)의 상면의 내측에는 광반사 부재(63)가 있으며, 피복 부재(6)의 상면을 통해서 들어온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로, 이상으로 구성된 나사 자동 결합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철도의 레일을 고정하고 있는 레일 고정용 볼트(n)로 사용하는 경우를 열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 고정용 볼트(n)을 장착할 때에는 미리 레일 고정용 볼트(n)의 머리부(n1)의 하방측으로 와셔 부재(8)를 조립하여 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와셔 부재(8)는 제6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중앙에는 볼트(n)의 나사부를 끼워서 통과하는 나사부 끼움통과구멍(81)을 구비하고 있다. 또, 나사부 끼움통과 구멍(81)의 외주에는 4개의 부착편 수용부(82-82)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들 부착편 수용부(82-82)는 케이싱(2)의 부착편(71-71)을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각각은 케이싱(2)의 부착편(71-7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와셔 본체부(81)의 일부를 사각형 형상으로 상방측에 잘라서 들어냄으로써, 내부로 부착편(71-71)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부착편 수용부(82-82)에 있어서의 나사부 끼움통과구멍(81)측의 측면 및 그 측면과 인접하는 한쪽의 측면으로 개구부(82a-82a)가 형성되며, 와셔 부재(8)위로 케이싱(2)을 부착편(71-71)의 부착편 수용부(82, 82) 사이에 배치시키도록 얹어놓아 케이싱(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케이싱(2)의 부착편(71-71) 각각이 각 개구부(82a-82a)에서 내부로 깊숙히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와셔 부재(8)의 좌우폭을 누름 스프링(103)의 폭과 동일한 정도의 것으로 하고, 와셔 부재(8)의 좌우 양측 각각에서 하방으로 연이어 설치한 연설편(83, 83)(제6도에서 점선으로 도시)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연설편(83, 83)을 설치하여 둠으로써, 그 사이로 누름 스프링(103)을 끼워넣을 수 있고, 와셔 부재(8)를 누름 스프링(103)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누름 스프링(103)과 레일 고정용 볼트(n)의 머리부(n1) 사이로 와셔 부재(8)를 끼워넣어서 레일 고정용 볼트(n)를 침목(100)에 결합시켜 조립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의 피결합 부재로서의 레일 고정용 볼트(n)를 장착하는 장착 부재는 레일 고정용 볼트(n)를 결합하는 결합 대상물을 이루는 침목(100) 및 누름 스프링(103)과 와셔 부재(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립된 레일 고정용 볼트(n)에 본 실시예의 나사 자동 결합장치(1)를 사용할 때는, 제7도 (1),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싱(2)에 걸린 가압 상태의 회전자(4)의 맞물림구멍(41)을, 레일 고정용 볼트(n)의 머리부(n1)와 끼워맞춤으로써 회전자(4)의 하단면을 와셔 부재(8)의 상면과 접하게 한다. 그런 다음, 케이싱(2)의 상면을 손이나 해머등으로 두드려서 하방으로 떨어뜨리게 한다. 이것으로, 회전자(4)가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케이싱(2)만 이 하방으로 내려가며, 제8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싱(2)의 밑판(7)이 와셔 부재(8)의 상면에 접하게 되는 것과 아울러, 이것과 거의 동시에 회전자(4)의 회전 정지용 맞물림부(42)가 케이싱(2)의 회전 정지용 맞물림구멍(32)에서 벗어나서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러한 것으로,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의해서 케이싱(2)과 회전자(4)의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려고 하며, 그로 인해 우선 케이싱(2)이 제8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케이싱(2)의 회전에 의하여, 제8도 (2)에 표시하듯이 케이싱(2)의 부착편(71-71) 각각이 와셔 부재(8)의 부착편 수용부(82, 82)의 개구부(82a, 82a)에서 내부로 자연적으로 깊숙히 들어가며, 케이싱(2)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것으로 케이싱(2)을 와셔 부재(8)에 접속할 수 있고, 게다가 부착편 수용부(82, 82)로 깊숙히 들어간 부착편(71-71) 각각에는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개구부(81a-81a)에서 빠져서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싱(2)을 와셔 부재(8)에 고정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케이싱(2)이 와셔 부재(8)에 고정된 후는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의해서 회전자(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것으로, 레일 고정용 볼트(n)를 시계 방향의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결합한다. 또, 레일 고정용 볼트(n)의 결합에 따라서 와셔 부재(8)도 레일 고정용 볼트(n)의 머리부(n1)에 눌려져서 단단하게 고정된다. 또, 결합후는 레일 고정용 볼트(n)를 결합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레일(101)에 진동이 반복하여 작용되어서 레일 고정용 볼트(n)의 결합 토크(torque)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그것에 맞춰서 코일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서 레일 고정용 볼트(n)를 자동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항상 일정한 결합 토크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 후 케이싱(2)에 피복 부재(6)를 상방측에서 씌운다. 이것으로 제9도 (1), (2)에 도시되어 있듯이, 피복 부재(6)의 부착편 끼움구멍(61-61)에 와셔 부재(8)의 부착편 수용부(82, 82)가 속으로 깊숙히 들어가는 동시에, 피복 부재(6)를 이탈하는 정지용 돌기(62)가 케이싱(2)의 밑판(7)의 하면과 와셔 부재(8)의 상면사이로 깊숙히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피복 부재(6)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상하이동이 불가능해지므로 와셔 부재(8)에 완전히 고정된다. 이상으로 부착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함으로써, 못을 박아넣기 어려운 누름 스프링(103)에 본체부(1)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레일 고정용 볼트(n)와 맞물리게 하여 케이싱(2)과 회전자(4)의 결합을 해제시키면 좋고 이것으로 종래와 같이 못 등을 박아넣지 않아도, 코일 스프링(1)의 탄성력으로 케이싱(2)을 와셔 부재(8)에 고정할 수 있고, 부착 조작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 케이싱(2)에 씌운 피복 부재(6)를 케이싱(2)에서 이탈하게 하지 않으면, 레일 고정용 볼트(n)를 조작할 수 없는 것으로 할 수 있고, 레일 고정용 볼트(n)가 다른 것으로 자연적으로 느슨하게 되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 부재(6)에는 광반사 부재(6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빛이 닿게되면 반사하여 피복 부재(6)의 존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것으로, 예를 들어 기존의 전차에 부착되어 있는 라이트로 피복 부재(6)의 존재를 항상 확인하면서 주행할 수 있고, 또는 기존의 전차에 광반사 부재 확인용의 전용 라이트를 부설하여 그 전용 라이트로 피복 부재(6)의 존재를 항상 확인하면서 주행할 수 있고, 가령 피복 부재(6)가 벗어나서 레일 고정용 볼트(n)가 다른 것에 자연적으로 느슨해져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바로 발견할 수 있다.
또, 레일 고정용 볼트(n)에 사용한 경우, 철분이나 먼지등이 다량으로 씌워지게 되는 단점이 있지만, 피복 부재(6)에 의해서 케이싱(2)내로 깊숙히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수철 등의 기능을 손상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레일 고정용 볼트(n)를 결합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전용된 와셔 부재(8)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런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와셔 부재(8)와 함께 레일 고정용 볼트(n)의 장착 부재로 이루어지는 결합 대상물, 예를 들어 누름 스프링(103)에, 와셔 부재(8)에 설치된 것과 같은 부착편 수용부(82, 82)를 설치한 것을 사용하고, 그것에 케이싱(2)의 부착편(71-71)을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고,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피복 부재(6)를 사용하고 있지만, 피복 부재(6)를 설치하지 않는 형태라도 좋고,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광반사 부재(63)을 설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설치하지 않은 형태인 것이라도 좋다. 또, 광반사 부재(63)를 설치하는 경우, 광반사 부재(63)를 설치하는 위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피복 부재(6)의 상면의 표측, 피복 부재(6)의 측면의 안쪽 또는 외측으로 설치하며, 또는 케이싱(2)의 일부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고,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가압 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강철판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은 용수철이라도 좋지만, 이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이하로는,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나사 자동 결합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나사 자동 결합장치는 가압 수단으로서 용수철(110)과 용수철(110)을 감는 탄성력을 가진 상태로 유지된 유지 부재(120)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은 케이싱(2)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용수철(110)의 내주 단부에는, 피결합 부재(n)을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 수단으로서 결합구멍(111)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결합구멍(111)은, 용수철(110)의 내주측의 단부를 육각형상으로 구부려서 성형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또한 이 결합 수단은 용수철(110)의 단부를 구부려서 성형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전의 실시예와 같은 결합 구멍(41)을 보유하는 회전자(4)에 용수철(110)의 내주 단부를 부착하거나 결합편을 설치하여 피결합 부재로 설치된 홈과 맞물리도록 하는데, 또한 용수철(110)의 내주 단부로 피결합 부재를 미리 부착한 형태인 것이라도 좋다.
용수철(110)의 외주 단부에는, 하기 와셔 부재(800)에 걸치게 하기 위한 부착편으로서의 걸침편(112)이 구비되어 있다. 이 걸침편(112)은 용수철(110)의 외주의 단부를 지름 외측으로 반복시킴으로써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재(20)는 끈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며, 감은 탄성을 보유하는 상태의 용수철(110)의 외주의 전체 둘레에 감게되므로서, 용수철(110)이 탄성으로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것으로 용수철(110)을 감은 탄성을 보유하는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또, 본 제2 실시예의 나사 자동 결합장치에 사용하는 와셔 부재(80)는 예를 들어 제 11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다. 상세하게는, 이 와셔 부재(800)는 사각판 형상체로 구성되며, 중앙부에 볼트(n)의 나사부를 끼워서 통과시키는 나사부 끼움통과구멍(801)을 구비하고 있다. 또, 나사부 끼움통과구멍(81)의 좌측쪽에는, 와셔 부재(800)의 일부를 상방측으로 잘라세워서 형성된 돌기 형상의 부착편 수용부(802)가 있다.
본 제2 실시예의 나사 자동 결합장치를,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레일 고정용 볼트(n)에 사용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용수철(110)을 레일 고정용 볼트(n)의 상방측에서, 제12도 (1),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용수철(110)의 계합구멍(111)과 레일 고정용 볼트(n)의 위치를 같게함과 동시에, 용수철(110)의 걸침편(112)과 와셔 부재(800)의 부착편 수용부(802)의 위치를 같게하여, 그 상태에서 용수철(110)을 밀어내린다. 그 때, 손 등으로 용수철(110)을 밀어내려도 좋지만, 제12도(2)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판 형상의 보조공구(K)를 사용하여, 이 보조 공구(K)로 용수철(110)의 상면을 두드리면, 용수철(110)의 전체를 동시에 하방으로 누르게 할 수 있고, 간단하게 밀어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수철(110)을 밀어내릴 때에, 제13도 (1),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용수철(110)의 계합구멍(111)이 레일 고정용 볼트(n)의 머리부(n1)로 깊숙히 들어가는 것과 동시에 용수철(110)의 맞물림편(112)의 굴곡부가 부착편 수용부(802)의 단부로 깊숙히 들어가지만, 용수철(110)의 외주에 감겨진 유지 부재(120)는 와셔 부재(800)의 부착편 수용부(802)의 상단에 부딪쳐서 하방측으로 전진되지 않고, 그로 인해 유지 부재(120)를 남기고 용수철(110)만이 하방으로 내려가며, 유지 부재(120)가 용수철(110)의 상방측으로 빠진다. 이것으로, 용수철(110)의 감은 탄성에 의하여, 용수철(110)의 맞물림편(112)이 와셔 부재(800)의 부착편 수용부(802)에 걸치게 할 수 있을 뿐아니라, 맞물림구멍(111)에 결합된 레일 고정용 볼트(n)를 결합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행함으로써, 못을 박아넣기 곤란한 누름 스프링(103)에 본체부를 고정할 수 있고, 게다가 용수철(110)의 계합구멍(111)을 레일 고정용 볼트(n)로 끼워넣으면 좋고, 이것으로 종래와 같이 못등을 박아넣지 않아도 유지 부재(120)를 이탈시킬수 있을 뿐아니라 용수철(110)의 탄성력에 의해서 와셔 부재(8)로 고정할 수 있고, 부착 조작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이전의 제1 실시예의 본체부(1)와 같이 케이싱이나 회전자(4)를 설치하지 않고 완성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복 부재를 설치하지 않지만, 피복 부재를 설치해도 좋고, 예를 들어 와셔 부재(800)에 피복 부재를 걸어지게 하기 위한 맞물림 수단을 설치하고, 조립된 용수철(110)을 씌운 피복 부재를 와셔 부재(800)에 맞물리도록 해도 좋고, 이것으로써 철분이나 먼지등이 용수철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수철의 기능을 손상시키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레일 고정용 볼트(n)를 결합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피복 부재에 이전의 제1 실시예에서 설치된 것과 같은 광반사 부재를 설치하도록 하면, 피복 부재의 존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된 와셔 부재(800)의 부착편 수용부(802)를 와셔 부재(800)의 일부를 잘라세운 돌기 형상인 것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수철(110)의 걸침편(112)을 걸치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고, 이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유지 부재(120)이 용수철(110)을 와셔 부재(800)에 고정시키는 조작을 행할 경우에, 용수철(110)에서 자연적으로 이탈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용수철(110)의 계합구멍(111)을 레일 고정용 볼트(n)에 용수철(110)의 외주 단부에 설치한 맞물림편을 와셔 부재에 설치된 맞물림홈등에 각각 조립한 다음, 유지 부재(120)를 절단등으로 떼어내도록 해도 좋고, 이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이전의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용의 와셔 부재(800)를 사용하지 않고, 용수철(110)의 걸침편(112)을 걸치게 할 수 있는 걸침수단을 보유하는 누름 스프링(103)을 사용하도록 해도 좋지만 이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이상이 제2 실시예에 관한 설명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나사 자동 결합장치의 용도는 상기와 같은 철도의 레일(101)을 고정하고 있는 레일 고정용 볼트(n)에 사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볼트나 너트에 적용할 수 있고, 철탑에 장착되는 볼트에 상기한 와셔 부재(8, 800)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라이트를 조사하여 광반사 부재(63)에 의해서 나사 자동 결합장치의 존재를 지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다른 것에 있어서, 일부러 볼트가 느슨해진 경우에는 그것을 즉시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철탑에 장착되는 볼트에 와셔 부재(8, 800)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볼트를 결합하는 철탑이 볼트의 결합 대상물을 이루고, 이 철탑과 와셔 부재(8, 800)로 장착 부재를 구성한다. 또, 본원 발명의 나사 자동 결합장치, 볼트나 너트를 장착하는 장착 부재가 못 등의 박아 넣기 어려운예를 들어 금속이나 콘크리트로 되어 있는 경우라도, 장착 부재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쉽게 부착시킬 수 있고, 특히 그와 같은 못등의 박아넣기 어려운 장착 부재에 장착된 볼트나 너트의 경우에 바람직하지만, 목재등에 장착된 볼트나 너트에도 사용할 수 있고 이것은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이상 본원 제1 내지 제3의 발명은, 못의 박아넣기 어려운 부재에 대해서도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을 고정할 수 있고, 피결합 부재(n)의 결합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로 유지시켜 둘 수도 있다. 종래와 같이 못등으로 박아넣지 않아도, 코일 스프링(1)의 탄성력으로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과 장착 부재(8, 800)등을 자연적으로 부착할 수 있고, 부착 조작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본원 제4의 발명은 피결합 부재(n)에 회전자(4)를 결합시켜서 케이싱(2)과 회전자(4)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면 좋고, 이것으로 케이싱(2)에 작용하는 피가압 부재(5)의 가압력에 의해서 케이싱(2)을 회전시킬 수 있고, 그 회전시에 케이싱(2)과 장착 부재(8)을 자연적으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고, 부착조작을 간단히 할 수 있다.

Claims (4)

  1. 볼트나 너트 등의 피결합 부재(n)를 결합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5, 110)가 구비되고,
    가압 부재(5, 110)의 일단측이 피결합 부재(n)와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피결합 부재(n)가 가압 부재(5, 110)의 가압력에 의해서 결합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이루어지며,
    피결합 부재(n)가 장착된 장착 부재(8, 800)에,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을 회전이 불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수단(71, 112, 82, 802)이 구비되고, 이 부착 수단(71, 112, 82, 802)은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서 가압 부재(5,110)의 타단측을 가동시킴과 동시에, 그 가동시에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과 장착 부재(8, 800)를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자동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이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과 장착 부재(8, 800)의 한쪽으로 설치된 부착편(71, 112)과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과 장착 부재(8, 800)의 다른 쪽으로 설치된 부착편 수용부(82, 802)를 구비하고,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서 부착편(71, 112)이 부착편 수용부(82, 802)측에 상대적으로 가동함과 동시에, 그 가동시에 부착편(71, 112)이 부착편 수용부(82, 802)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자동 결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가 피결합 부재(n)를 결합하는 결합 대상물과 와셔 부재(8, 800)를 구비하고, 상기 와셔 부재(8, 800)가 결합 대상물과 피결합 부재(n)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 부재(5, 110)의 타단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자동 결합장치.
  4. 원통형상인 케이싱(2), 케이싱(2)내에 축방향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자(4), 및 가압 부재(5)등을 구비하고,
    가압 부재(5)의 일단측이 회전자(4)에 접속되며, 가압 부재(5)의 타단측이 케이싱(2)에 접속됨으로써, 가압 부재(5)의 가압력에 의해 케이싱(2)과 회전자(4)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이루어지며,
    회전자(4)가 하단측으로 계합부(41)를 구비함으로써, 볼트나 너트 등의 피결합 부재(n)와 회전이 불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고,
    케이싱(2)과 회전자(4)가 착탈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수단(32, 42)을 구비함으로써, 회전자(4)가 케이싱(2)내에 회전력을 부여한 가압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회전자(4)가 케이싱(2)에 대하여 상방측으로 이동조작됨에 따라 케이싱(2)과 회전자(4)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피결합 부재(n)의 장착된 장착 부재(8)에 케이싱(2)을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 수단(71), (82)이 구비되며, 이 부착 수단(71), (82)이 케이싱(2)에 작용하는 가압 부재(5)의 가압력에 의해서 케이싱(2)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그 케이싱(2)의 회전시에 케이싱(2)과 장착 부재(8)를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고, 이 부착으로 피결합 부재(n)에 맞물린 회전자(4)가 피결합 부재(n)의 결합 방향으로 힘을 받아 맞물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나사 결합장치.
KR1020007002381A 1998-07-06 1998-07-06 나사 자동 결합장치 KR200100237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3070 WO2000001509A1 (fr) 1998-07-06 1998-07-06 Vis d'assemblage automat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727A true KR20010023727A (ko) 2001-03-26

Family

ID=1420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381A KR20010023727A (ko) 1998-07-06 1998-07-06 나사 자동 결합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57813B1 (ko)
EP (1) EP1020251B1 (ko)
JP (1) JP3730866B2 (ko)
KR (1) KR20010023727A (ko)
CN (1) CN1128691C (ko)
CA (1) CA2302613A1 (ko)
DE (1) DE69835759T2 (ko)
WO (1) WO20000015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4654B2 (en) * 1996-11-04 2002-12-17 Thomas M. Espinosa Tie down building, system tie down, and method
JP4588972B2 (ja) 2000-08-16 2010-12-01 有限会社カシライシ 締付装置
ES2300581T3 (es) 2002-06-10 2008-06-16 Acument Intellectual Properties, Llc. Tuerca con aleta de tope formada en una sola pieza.
US7316533B2 (en) * 2002-12-02 2008-01-08 Kashiraishi Inc. Fastener for exerting tightening torque to fastening member screwed into mounting base
US7682100B2 (en) * 2004-10-22 2010-03-23 Nectar, Inc. Self-tightening fastening system
US7168343B2 (en) * 2005-03-09 2007-01-30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Limited access building connection
US7708509B1 (en) * 2009-05-08 2010-05-04 Bennett Bruce A Locking retainer for threaded fasteners
CN102107323B (zh) * 2010-12-29 2011-12-21 天津商科数控设备有限公司 电阻焊熔核质量控制方法
US20130136557A1 (en) * 2011-11-30 2013-05-30 Yuan Yu Wang Bolt assembly
US8881478B2 (en) 2012-06-22 2014-11-11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Ratcheting take-up device
US9394706B2 (en) 2013-10-08 2016-07-19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Concrete anchor
US9163655B2 (en) 2014-01-14 2015-10-20 Kaoru Taneichi Thrust nut
CN105033899B (zh) * 2015-07-23 2016-11-30 浙江斯菱汽车轴承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轮毂轴承全自动保持架装球机
DK3276167T3 (da) * 2016-07-27 2019-06-24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Boltforbindelse til et tårn af en vindmølle
JP7292127B2 (ja) * 2019-06-25 2023-06-16 株式会社青山製作所 締結具
CN110181263B (zh) * 2019-07-02 2024-01-02 重庆市灵龙自动化设备有限公司 具有定位功能的螺丝机传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424A (en) * 1897-05-11 Nut-lock
DE490519C (de) * 1930-01-29 Stefan Mikuda Schraubenmuttersicherung
US292301A (en) * 1884-01-22 John w
US1483317A (en) * 1922-06-30 1924-02-12 John H Brookman Connecting-rod bolt
US1631878A (en) * 1924-04-26 1927-06-07 Miller Otto Automatic take-up bolt
US1627401A (en) * 1925-10-19 1927-05-03 Gustav C Monckmeier Wear-compensating bolt
US1829940A (en) * 1926-09-13 1931-11-03 Gustav C Monckmeier Wear compensating bolt
US1749341A (en) * 1927-02-07 1930-03-04 Dick H Groenewold Adjusting bolt
JPS5080668U (ko) * 1973-12-03 1975-07-11
JPS6035912U (ja) * 1983-08-19 1985-03-12 石毛 民雄 ボルト
JPS60157508A (ja) * 1984-01-26 1985-08-17 高橋 宏通 バネ付きナット
JPH045524Y2 (ko) * 1986-11-25 1992-02-17
US4801231A (en) * 1987-04-10 1989-01-31 Aec-Able Engineering Company, Inc. Self-driven nut and joinders incorporating it
US4812096A (en) * 1987-12-11 1989-03-14 Peterson Peter O Self-tightening nut
DE4121524C2 (de) * 1991-06-28 1994-07-14 Deutsche Aerospace Airbus Schraubenverbindung
JP2508453Y2 (ja) * 1992-06-03 1996-08-21 株式会社谷村設計 建築用羽子板ボルト自動締付装置
JPH0642034U (ja) * 1992-11-25 1994-06-03 日本電気精器株式会社 自動ねじ締め機
JPH08215952A (ja) * 1995-02-15 1996-08-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ボルト締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5759D1 (de) 2006-10-12
DE69835759T2 (de) 2007-04-12
CN1269741A (zh) 2000-10-11
US6257813B1 (en) 2001-07-10
EP1020251A1 (en) 2000-07-19
EP1020251A4 (en) 2004-05-26
EP1020251B1 (en) 2006-08-30
CN1128691C (zh) 2003-11-26
WO2000001509A1 (fr) 2000-01-13
CA2302613A1 (en) 2000-01-13
JP3730866B2 (ja) 200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3727A (ko) 나사 자동 결합장치
EP0922867B1 (en) Locking washer and lock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649661A (en) Equipment for nailing machine
US6167663B1 (en) Adjustable Frame
US6007284A (en) Nut and connector
US6467990B1 (en) Arrangement for securing a component
US6308476B1 (en) Adjustable frame
WO2012026407A1 (ja) ナット保持部材及びボルト接合方法
CA2231211C (en) Anchoring biscuit device for joining two adjacent boards
CA2316173A1 (en) A device for interlocking two parts
EP0416182B1 (en) Driving mechanism for anchor
US6899502B2 (en) Self-filling fastener and method of making
US4422813A (en) Wall expansion device with anchoring socket
HU181398B (en) Drive tightening key
JP2010196355A (ja) 木造住宅用部材
JPS6326566Y2 (ko)
JP3327837B2 (ja) ネジ自動締付装置
JPH0324888Y2 (ko)
JP3092679U (ja) 木材用パイプクランプ
JP2003106322A (ja) 座金付きナット・ボルトとカプラ−
JP277872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アンカーボルトの埋込み方法
JPH0369419B2 (ko)
JP2000234609A (ja) 建築用締め付けボルト
KR200238314Y1 (ko) 조립식 원목문
JPH04177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