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314Y1 - 조립식 원목문 - Google Patents

조립식 원목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314Y1
KR200238314Y1 KR2020010011206U KR20010011206U KR200238314Y1 KR 200238314 Y1 KR200238314 Y1 KR 200238314Y1 KR 2020010011206 U KR2020010011206 U KR 2020010011206U KR 20010011206 U KR20010011206 U KR 20010011206U KR 200238314 Y1 KR200238314 Y1 KR 200238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coupled
coupling
fastening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용
Original Assignee
김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용 filed Critical 김현용
Priority to KR2020010011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314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원목문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 양측에 각각의 수납홈(111)이 형성된 가로목(110)과, 상기 가로목(110)에 형성된 수납홈(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121)이 관통되어 형성된 세로목(120)과, 상기 가로목(110)의 수납홈(111)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앵커부재(130)와, 상기 앵커부재(13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결합부(142)가 몸체(141)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41)의 타측부에는 체결부(143)가 형성된 결합부재(140)와, 상기 결합부재(140)의 몸체(141)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143)에 결합되어 세로목(120)에 가로목(110)이 견고히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143)로 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 가로목(110)과 세로목(120)이 분리되도록 하는 조임체(150)로 구성하여, 가로목(110)의 수납홈(111)에 삽입된 앵커부재(130)에 결합부재(140)의 몸체(141) 일측부에 형성된 결합부(142)를 결합시켜, 상기 앵커부재(130)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140)의 몸체(141)에 세로목(120)에 형성된 관통공(121)을 삽입시킨 후 조임체(150)를 체결부(143)에 체결 및 분해하는 것에 의해 가로목(110)과 세로목(120)이 결합 및 분리됨으로서, 상기 가로목(110)과 세로목(120)을 수회 분해 조립시에도 가로목(110)과 세로목(120)의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원목문{ASSEMBLED MATERIAL WOOD DOOR}
본 고안은 조립식 원목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가로목과 세로목을 수회 분해하여 조립시에도 가로목과 세로목의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조립식 원목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립식 원목문은 한쌍의 세로목을 가로목의 좌우 양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조립식 원목문은 가로목과 세로목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후에는 상기 가로목과 세로목을 분해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서, 운반 및 보관시 부피가 큰 상태로 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또한, 상기 가로목과 세로목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어 교체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가로목과 세로목을 서로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한 관계로 문짝 자체를 교환해야 함으로서 불필요하게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가로목과 세로목이 일측면이 접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에 의해서만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나무재질인 가로목과 세로목에 수축등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가로목과 세로목의 접착부위가 뒤틀리거나 벌어지게 되고, 상기 가로목과 세로목의변형이 심한 경우에는 가로목이 세로목으로 부터 이탈되는등 원목문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 가로목과 세로목의 결합부위의 결합강도를 향상시켜 기후변화에 따른 간극발생 및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위해, 상기 가로목과 세로목을 결합부재를 이용해 결합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세로목에 형성된 관통공를 관통하며 삽입된 결합부재의 체결부가 가로목에 형성된 수납홈에 삽입되면서 체결되는 것에 의해 가로목과 세로목이 결합되게 됨으로서, 상기 가로목과 세로목이 결합된 원목문의 일부위가 손상되거나 파손되어 수리를 수행한 후 세로목에 형성된 수납홈에 결합부재의 체결부를 재 체결시, 상기 수납홈의 내경이 확개되어 헐거운 상태로 결합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좌우 양측에 각각의 수납홈이 형성된 가로목과, 상기 가로목에 형성된 수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세로목과, 상기 가로목의 수납홈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앵커부재와, 상기 앵커부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몸체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타측부에는 체결부가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몸체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에 결합되어 세로목에 가로목이 견고히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로 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 가로목과 세로목이 분리되도록 하는 조임체로 구성하여, 가로목의 수납홈에 삽입된 앵커부재)에 결합부재의 몸체 일측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결합시켜, 상기 앵커부재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몸체에 세로목에 형성된 관통공을 삽입시킨 후 조임체를 체결부에 체결 및 분해하는 것에 의해 가로목과 세로목(120)이 결합 및 분리됨으로서, 상기 가로목과 세로목을 수회 분해 조립시에도 가로목과 세로목의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조립식 원목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원목문의 조립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원목문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인 원목문의 조립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조임체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임체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조임체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조임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원목문 110 : 가로목
111 : 수납홈 120 : 세로목
121 : 관통공 130 : 앵커부재
131 : 슬릿 140 : 결합부재
141 : 몸체 142 : 결합부
143 : 체결부 150 : 조임체
151 : 결합돌기 152 : 체결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립식 원목문은 도 1과 2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각각의 수납홈(111)이 형성된 가로목(110)과,
상기 가로목(110)에 형성된 수납홈(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121)이 관통되어 형성된 세로목(120)과,
상기 가로목(110)의 수납홈(111)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앵커부재(130)와,
상기 앵커부재(13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결합부(142)가 몸체(141)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41)의 타측부에는 체결부(143)가 형성된 결합부재(140)와,
상기 결합부재(140)의 몸체(141)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143)에 결합되어 세로목(120)에 가로목(110)이 견고히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143)로 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 가로목(110)과 세로목(120)이 분리되도록 하는 조임체(150)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조임체(150)는 도 3과 도 4 및 도 5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체결부(143)에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홈(152)이 일측부에 내삽지게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에어건과 같은 작업공구가 결합되는 결합돌기(15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조임체(150)를 도 7에 도시하고, 작업공구가 결합되는 결합홈(153)을 일측부에 내삽지게 형성하고 타측부에는 결합부재(140)의 체결부(143)에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홈(152)을 내삽지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앵커부재(130)에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개의 슬릿(131)이 절결되어, 결합부재(140)의 몸체(141) 일측부에 형성된 결합부(142)를 결합시, 직경이 확장되면서 벌어져 수납홈(111)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착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임체(150)의 결합돌기(151)는 도 4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각렌치 및 육각렌치등과 같은 작업공구가 결합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해 육각 및 사각형으로 형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조임체(150)에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결합홈(153)을 내삽지게 형성하여,렌치등과 같은 작업공구가 결합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원목문(100)을 조립시, 가로목(110)에 형성된 수납홈(111)에 앵커부재(130)를 인입시키고, 상기 앵커부재(130)에는 슬릿(131)이 벌어지면서 수납홈(111)에 밀착되도록 결합부재(140)의 몸체(141) 일측부에 형성된 결합부(142)를 결합시키며, 상기 결합부(142)가 앵커부재(130)에 결합된 몸체(141)에는 세로목(120)에 형성된 관통공(121)을 삽입시킨다.
상기 세로목(120)의 관통공(121)에 결합부재(140)의 몸체(141)를 삽입시킨 후 에는, 상기 몸체(141)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143)가 조임체(150)의 체결홈(152)에 체결되도록 에어건 및 렌치등과 같은 작업공구를 결합돌기(151)에 결합시켜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로목(110)이 세로목(120)방향으로 당겨지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이 이루어진 원목문(100)의 가로목(110)과 세로목(120)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어 교체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결합부재(140)의 몸체(141)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143)로 부터 조임체(150)의 체결홈(152)이 분리되도록 작업공구를 결합돌기(151)에 결합시켜 일측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가로목(110)이 결합부재(140)와 분리됨으로서, 상기 가로목(110)과 세로목(120)이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가로목(110)의 수납홈(111)에 삽입된 앵커부재(130)에 결합부재(140)의 몸체(141) 일측부에 형성된 결합부(142)를 결합시켜, 상기 앵커부재(130)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140)의몸체(141)에 세로목(120)에 형성된 관통공(121)을 삽입시킨 후 조임체(150)를 체결부(143)에 체결 및 분해하는 것에 의해 가로목(110)과 세로목(120)이 결합 및 분리됨으로서, 상기 가로목(110)과 세로목(120)을 수회 분해 조립시에도 가로목(110)과 세로목(120)의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좌우 양측에 각각의 수납홈(111)이 형성된 가로목(110)과,
    상기 가로목(110)에 형성된 수납홈(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121)이 관통되어 형성된 세로목(120)과,
    상기 가로목(110)의 수납홈(111)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앵커부재(130)와,
    상기 앵커부재(13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결합부(142)가 몸체(141)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41)의 타측부에는 체결부(143)가 형성된 결합부재(140)와,
    상기 결합부재(140)의 몸체(141)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143)에 결합되어 세로목(120)에 가로목(110)이 견고히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143)로 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 가로목(110)과 세로목(120)이 분리되도록 하는 조임체(1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목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체(150)는 일측부에 체결부(143)에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홈(152)이 내삽지게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에어건과 같은 작업공구가 결합되는 결합돌기(15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목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체(150)는 일측부에 작업공구가 결합되는 결합홈(153)이 내삽지게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결합부재(140)의 체결부(143)에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홈(152)이 내삽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목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130)에는 수개의 슬릿(131)이 절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목문.
KR2020010011206U 2001-04-19 2001-04-19 조립식 원목문 KR200238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206U KR200238314Y1 (ko) 2001-04-19 2001-04-19 조립식 원목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206U KR200238314Y1 (ko) 2001-04-19 2001-04-19 조립식 원목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314Y1 true KR200238314Y1 (ko) 2001-10-11

Family

ID=7309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206U KR200238314Y1 (ko) 2001-04-19 2001-04-19 조립식 원목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3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886A (ko) * 2017-07-05 2019-01-15 정영호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방법 및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886A (ko) * 2017-07-05 2019-01-15 정영호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방법 및 결합구조
KR101991693B1 (ko) * 2017-07-05 2019-06-21 정영호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방법 및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114B1 (ko) 분해 가능한 조립식 원목문
EP0847500B1 (en) Corner joint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wo board-like members
US20080193209A1 (en) Fastener For Connecting Components and Assembling Embodying Same
US20140341649A1 (en) Nut and a method of use of the nut in a fastener system for crane mats
JP2007054344A (ja) フレーム部材と接合具とそれらを用いた構造体
US20060280550A1 (en) Profile connecting system
US5383753A (en) Rivet fastener
US20070160418A1 (en) Quick assembly bolt jacket
KR100897721B1 (ko) 패널용 앵커볼트 및 그 설치방법
KR200238314Y1 (ko) 조립식 원목문
US5653074A (en) Doorframe
KR200382746Y1 (ko) 가구용 직결볼트
KR100358949B1 (ko) 조립용 가구 연결구
US20040013494A1 (en) Fastener having solid driving structure
US20220056938A1 (en) Dowel fasteners
KR102604880B1 (ko) 가구 패널 연결용 미니픽스
CN112236566B (zh) 接合件、接合构造以及接合方法
JP2007022027A (ja) 木質部材の連結構造
KR200393500Y1 (ko) 창틀용 결합부재
KR200271410Y1 (ko) 볼트
KR200194671Y1 (ko) 조립식 원목문
KR200195682Y1 (ko) 조립식 원목문
JP4242757B2 (ja) 木製トラス骨組部材
KR200281716Y1 (ko) Abs수지형 로봇 블럭
KR200274932Y1 (ko) 가구용 조립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