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708A - 클램핑장치, 공구 및 공구들을 장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클램핑장치, 공구 및 공구들을 장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708A
KR20010021708A KR1020007000267A KR20007000267A KR20010021708A KR 20010021708 A KR20010021708 A KR 20010021708A KR 1020007000267 A KR1020007000267 A KR 1020007000267A KR 20007000267 A KR20007000267 A KR 20007000267A KR 20010021708 A KR20010021708 A KR 20010021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press
clamping
clamping member
cl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리아누스빌헬무스 반달렌
빌렘아드리안 드보어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피코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피코 비. 브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2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92Treatment of the terminal leads as a separa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쓰내부에서 전자부품용 캐리어(carrier)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부품들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핑장치와 상호작용하는 프레쓰에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구부품들로 부터 조립되고 클램핑장치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공구 및 공구부품들에 관련된다.

Description

클램핑장치, 공구 및 공구들을 장착하는 방법{CLAMPING DEVICE, TOOL AND METHOD OF MOUNTING TOOLS}
리드프레임(lead frame)들의 절삭 및/또는 변형과 같은 리드프레임들의 처리작업이 대부분의 프레쓰장치 내부에서 발생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특정 공구가 프레쓰장치 내부에 장착되어야 한다. 리드프레임들의 처리작업에 대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공구들이 단일 프레쓰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프레쓰가 구성된다. 소요 처리작업 및 처리작업용 제품에 의존하여, 모든 소요공구들이 수용되는 모듈(module)이 상기 프레쓰장치 내부에 구성된다. 따라서 프레쓰는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다. 그러나 교체사양(change-over option)의 유연성(flexibility)이 제한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프레쓰내부에서 전자부품용 캐리어(carrier)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부품들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핑장치와 상호작용하는 프레쓰에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구부품들로 부터 조립되고 클램핑장치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공구 및 공구부품들에 관련된다.
도 1 은 클램핑장치 및 공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세 개의 공구들을 가진 클램핑장치의 조립체를 단면으로 도시한 사시도.
* 부호설명
1 ... 조립체 2 ... 클램핑장치
3 ... 공구 4,5 ... 클램핑부재
6 ... 키이 7 ... 볼트
10 ... 스톱퍼 11 ... 플러그
12 ... 서스펜딩요소 13 ... 공구부분
14 ... 요홈 15 .... 공구부분
17 ... 구속핀 24 ... 리드프레임안내부
26,27 ... 판독유니트 30 ... 조립체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핑장치(clamping device), 프레쓰, 공구 및 프레쓰 내부에 공구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교체사양의 유연성이 커지는 동시에, 프레쓰가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쓰의 서로다른 램부분들 위에서 클램핑부재들을 서로 마주보는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이 제공되는 두 개의 클램핑부재들로 구성되고, 적어도 한 개의 공구부분을 각각의 클램핑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과 서로 향하기 위한 측부들 위에 클램핑부재들이 제공되며 프레쓰 내부에서 전자부품들의 캐리어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두 개의 공구부분들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장치가 제공된다.
상호작용하는 선형안내수단이 클램핑부재에 제공되는 것이 선호된다. 단일공구 또는 공구부분에 요구되는 교체작업 또는 모든 공구들의 교체작업이 상기 클램핑부재들에 의해 가능하다. 한 개 공구 또는 공구부분이 또다른 공구 또는 공구부분에 의해 교체되는 클램핑부재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또한 공구들을 클램핑부재에 고정한 상태에서 클램핑부재들을 프레쓰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선택적 실시예가 이루어진다. 후자에 있어서, 다른 공구들을 클램핑부재들에 고정한 상태에서 신규한 클램핑부재들이 프레쓰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단일공구가 오작동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일공구를 새로운 공구와 개별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에, 서로다른 제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교체작업이 계속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상당히 유리하다. 모든 공구들의 공구수명이 반드시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예방적인 이유에서 특정공구들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클램핑부재에 연결된 공구부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부부재내에 확인수단이 배열되는 것이 선호된다. 또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클램핑부재로 부터 클램핑부재에 연결된 공구부분까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 부재내에 한 개의 전달장치가 배열된다. 클램핑부재들에 정확한 공구들/공구부분들이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확인수단이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 부재내에 배열된다. 따라서 연결작동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장치에 연결되고 확인된 공구들에 프레쓰작동을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클램핑장치로 부터 클램핑장치에 연결된 공구들까지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공구이용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공구에 전달될 수 있다.
또다른 선택적 실시예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내의 적어도 한 개의 선을 프레쓰내부의 적어도 한 개의 선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선연결작동이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 부재에 제공된다. 따라서 프레쓰내부의 한 개의 클램핑 부재를 장착한 직후에 적어도 한 개의 선이 연결된다. 신호선들 및 전원선들이 연결된다.
배열된 클램핑 부재의 프레쓰에 의해 확인작업용 확인수단이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 부재에 제공될 때, 또다른 조정작동사양이 이루어진다. 또한 프레쓰의 작동을 장착된 클램핑 부재에 작동으로 적응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 부재내에 기록가능한 메모리가 구성될 때, 전달장치에 의하여 프레쓰로 부터 상기 클램핑 부재의 메모리내부에 결정된 클램핑부재의 이용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가능하다. 따라서 결정된 클램핑부재의 이력이 판독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예 정 작 이 계획될 수 있다. 그결과 오작동 원인의 검색가능성이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램핑장치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프레쓰가 제공되고, 프레쓰에 연결된 클램핑부재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수단이 프레쓰내부에 구성된다. 또한 프레쓰로 부터 프레쓰에 연결된 공구부분까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장치가 프레쓰에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프레쓰에 의하여, 예를 들어 클램핑장치가 부정확하게 장착되었는가를 결정가능하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클램핑장치의 작동이력에 관한 정보가 클램핑장치에 제공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장점이 이미 설명되었다.
또한 명에 따르면, 상기 설명과 같이 클램핑 부재의 연결장치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대응 연결수단이 제공되고, 프레쓰내부에서 전자 품들의 캐리어를 처리하기 위한 공구부분이 제공된다. 판독가능한 확인수단 및/또는 기록가능한 메모리가 공구 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구성된다. 상기 클램핑장치에 상기 공구부분이 연결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간단한 연결수단에 의해 공구부분의 연결작동 및 분리작동이 용이해진다. 분리된 공구부분의 개별적인 재조정, 처리 및 관등이 이루어진다. 상대적으로 제한된 갯수의 공구들에 의하여, 클램핑장치 및 공구들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조 체들이 가능하다. 제한된 갯수의 공구들에 의하여 매우 다양한 세팅(setting)들이 제공된다. 추가로 판독가능한 확인수단 및/또는 기록가능한 메모리에 의해 품질관리가 확실해진다. 상기 설명과 같이 정확한 세팅가능성이 제한되고 결정된 공구의 이력이 추적될 수 있다.
또한 명에 따르면 상기 설명과 같이 상호작용하는 공구부분들로 구성된 공구가 제공된다. 상호작용하는 선형안내부가 공구부분들에 제공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호작용하는 선형안내부에 의해, 공구부분들이 클램핑장치로 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공구부분들이 함께 모여있을 수 있다. 그결과 공구손상이 방지된다. 또다른 공구의 공구부분이 공구부분과 교체될 가능성이 적어지도록, 상호작용하는 공구부분들이 물리적으로 서로 모여 있으므로 유리하다.
또한 발명에 따르면, 단계 (a) 프레쓰내부에서 분리된 램부분들위에 상호작용하는 두 개의 클램핑부재들이 장착되고,
단계 (b) 분리된 클램핑부재들에 상호작용하는 두 개의 공구부분들을 연결하며,
단계 (c) 장착하기 위한 모든 공구들이 장착될 때까지 단계(b)를 반복하는 단계들로 구성되고, 프레쓰 내부에서 전자부품들의 캐리어들을 처리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부분들로 구성된 공구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프레쓰의 램부분들 위에 클램핑부재들을 장착하여,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부재가 프레쓰에 의해 확인되는 것이 선호된다.
또다른 선호되는 방법에 있어서, 클램핑부재들에 공구부분들을 연결하여, 적어도 한 개의 공구부분이 확인된다. 또한 공구 들이 클램핑부재들로 부터 분리되고, 클램핑 재들이 프레쓰로 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연속적인 단계(a,b,c)들을 통해 작동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클램핑 부재들을 공구부분들에 연결시키고 이어서 클램핑부재들을 프레쓰내부에 장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연속적인 단계(b,c,a)들이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경우에 따라, 클램핑 부재들이 프레쓰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공구부분들만이 분리/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 의해 단계(b,c)들이 수행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공구들이 프레쓰내부에 장착가능한 유연성이 다수의 가능성으로 제시된다. 가장 적합한 방법이 상황에 따라 선택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추가로 설명된다.
도 1 의 분해도를 참고할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프레쓰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클램핑장치(clamping device)(2) 및 공구(3)의 조립체(1)가 제공된다. 클램핑장치(2)는 판모양을 가진 두 개의 클램핑부재(4,5)들로 구성되고 키이(6) 및 볼트(bolt)(7)들에 의해 상기 클램핑부재들이 프레쓰의 램(ram)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핑부재(5)상에 장착된 안내로드(guide rod)(9)들이 왕복 운동가능한 슬리브(sleeve)(8)들이 상측의 클램핑부재(4) 내부에 수용된다. 슬리브(8) 및 안내로드(9)들이 선형안내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수단에 의해 클램핑부재(4,5)들이 서로 연결된다. 하부의 클램핑부재(5)에 스톱퍼(stopper)(10)들이 제공되고, 상기 스톱퍼들에 의해 클램핑부재(4,5)들 사이의 최소상호거리가 결정된다. 프레쓰장치내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소켓(socket)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플러그(plug)(11)들이 클램핑부재(4,5)내부에 위치한다. 프레쓰내부에 클램핑부재(4,5)들이 장착될 때, 클램핑부재(4,5)들 내부에 배열된 전원선들 및 신호전달선들이 플러그(11)들에 의해 프레쓰내부의 선들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고 실제로 클램핑부재(4)의 하부에 위치하는 서스펜딩요소(suspending element)(12)들이 상측의 클램핑부재(4)상에 고정된다. 요홈(14)들이 배열되는 상측의 공구부분(13)들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서스펜딩요소(12)들이 배열된다. 상측의 공구부분(13)이 서스펜딩요소(12)들 내부로 가압된후, 정지부(16)에 대해 놓여질 때까지, 상측의 공구부분(13)을 구속하기 위하여, 클램핑부재(4)내부로 구속핀(17)이 삽입된다. 도웰핀(dowell pin)(18)들이 하부의 클램핑부재(5)위에 구성되고, 상기 도웰핀들 사이에 하부의 공구부분(15)이 삽입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고정스트립(fixing strip)(19)은 클램핑부재(5)로 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하부의 공구부분(15) 내부에서 요홈(21)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변부(20)가 고정스트립(19)에 제공된다. 요홈(21)과 떨어져 위치한 하 의 공구부분(15)의 측부위에 클램핑부재(5)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키이(key)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분리된 상태의 요홈이 배열될 수 있다.
처리작업을 위한 리드프레임(lead frame)들을 운반하기 위해 롤러콘베이어(roller conveyor)(22)들이 제공되고, 예를 들어 파선으로 도시된 직사각형 부분(23)들의 위치에서 4개의 롤러콘베이어들이 클램핑부재(5)상에 장착될 수 있다. 공구(3)가 리드프레임안내 (24)에 제공되고, 리드프레임들이 운 되는 동안 롤러콘베이어(22)들의 운 높이에서 상기 리드프레임 안내 가 위치한다.
선형안내수단(25)을 통해 상측의 공구부분(13)이 하측의 공구부분(15)과 연결된다. 선형안내수단에 의해 공구부분(13,15)들의 서로에 대한 위치설정이 결정된다. 따라서 제한된 간격에 의해 상측의 공구부분(13)이 서스펜딩요소(12)들 내부에 세스펜딩된다. 클램핑장치(2)에 연결된 공구(3)의 확인을 위하여각각의 판독유니트(26,27)들이 클램핑부재(4,5)들에 제공되고, 상기 판독유니트에 의해 공구(3)의 코드(code)가 판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목적을 위해 공구부분(13,15)들 내부에 구성된 EEPROM들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EEPROM은 확인판독작업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전달장치로 이용된다. 따라서 판독유니트(26,27)들을 이용하면, 공구(3)의 이용에 관한 정보가 EEPROM들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장치(2)에 EEPROM(28)들이 제공가능하여, 프레쓰는 클램핑부재(4,5)들을 확인가능하고, 상기 프레쓰는 작업과 관련한 이력데이타를 클램핑장치(2)에 제공할 수 있다.
리드프레임들의 처리작업에 기인한 재료잔류물들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클램핑부재(5) 내부에 오목부(29)들이 배열된다.
도 2 를 참고할 때, 조립체내부에 장착된 세 개의 공구(3)들이 클램핑부재(4,5)들의 조립체(30)가 제공된다. 도시된 조립체(30)가 도 1 에 도시된 조립체(1)와 상당히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부호들을 가진다. 가장 중요한 차이를 보면, 세 개의 공구(3)들을 가진 조립형태로서 조립체(30)가 도시된다. 도 1 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대한 차이점을 보면, 도 1 에서와 같은 4개의 롤러콘베이어(22)들 대신에 단지 두 개의 롤러콘베이어(22)들이 조립체(30) 내부에 놓여진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전달장치들이 제공된 판독유니트(26,27)들이 상측의 공구부분(13)들 및 하측의 공구부분(15)들에 놓여진다. 따라서 정보전달이 가능하다.

Claims (18)

  1. 프레쓰의 서로다른 램부분들 위에서 클램핑부재들을 서로 마주보는 위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이 제공되는 두 개의 클램핑부재들로 구성되고, 적어도 한 개의 공구부분을 각각의 클램핑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과 서로 향하기 위한 측부들 위에 클램핑부재들이 제공되며 프레쓰 내부에서 전자부품들의 캐리어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두 개의 공구부분들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호작용하는 선형안내수단이 클램핑부재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클램핑부재에 연결된 공구부분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수단이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수단 내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장치.
  4. 전항들중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부재로부터 클램핑부재에 연결된 공구부분까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장치가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부재 내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장치.
  5. 전항들중 한 항에 있어서, 프레쓰내부의 적어도 한 개의 선에 클램핑부재 내부의 적어도 한 개의 선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선연결부가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부재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장치.
  6. 전항들중 한 항에 있어서, 연결된 클램핑부재의 프레쓰에 의해 확인용 확인수단이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부재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장치.
  7. 전항들중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부재내에 기록가능한 메모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장치.
  8. 프레쓰에 연결된 클램핑부재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수단이 프레쓰내부에 구성되고,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한 항의 클램핑장치가 상호작용하는 프레쓰.
  9. 프레쓰로부터 프레쓰에 연결된 공구부분까지 정보전달을 위한 전달장치가 프레쓰에 구성되고,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한 항의 클램핑장치가 상호작용하는 프레쓰.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한 항에 청구된 클램핑부재의 연결수단과 상호작용하는 대응 연결수단이 제공되고 프레쓰 내부에서 전자부품들의 캐리어들을 처리하기 위한 공구부분.
  11. 제 10 항에 있어서, 공구부분이 판독가능한 확인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부분.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공구부분이 기록가능한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부분.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중 한 항에 청구되고 상호작용하는 두 개의 공구부분들로 구성되는 공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호작용하는 선형 안내부가 공구부분들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청구된 적어도 한 개의 공구를 가지고,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청구된 클램핑장치의 조립체.
  16. 단계 (a) 프레쓰내부에서 분리된 램부분들위에 상호작용하는 두 개의 클램핑부재들이 장착되고,
    단계 (b) 분리된 클램핑부재들에 상호작용하는 두 개의 공구부분들을 연결하며,
    단계 (c) 장착하기 위한 모든 공구들이 장착될 때까지 단계(b)를 반복하는 단계들로 구성되고, 프레쓰 내부에서 전자부품들의 캐리어들을 처리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부분들로 구성된 공구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프레쓰의 램부분들 위에 클램핑부재들을 장착하여,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부재가 프레쓰에 의해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클램핑부재들에 공구부분들을 연결하여, 적어도 한 개의 공구부분이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0267A 1997-07-11 1998-07-09 클램핑장치, 공구 및 공구들을 장착하는 방법 KR200100217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6562A NL1006562C2 (nl) 1997-07-11 1997-07-11 Opspaninrichting, werktuig en werkwijze voor bevestiging van werktuigen.
NL1006562 1997-07-11
PCT/NL1998/000397 WO1999003318A1 (en) 1997-07-11 1998-07-09 Clamping device, tool and method of mounting too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708A true KR20010021708A (ko) 2001-03-15

Family

ID=1976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267A KR20010021708A (ko) 1997-07-11 1998-07-09 클램핑장치, 공구 및 공구들을 장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532783B2 (ko)
EP (1) EP0995348B1 (ko)
JP (1) JP2001509435A (ko)
KR (1) KR20010021708A (ko)
DE (1) DE69809553T2 (ko)
HK (1) HK1028320A1 (ko)
MY (1) MY133178A (ko)
NL (1) NL1006562C2 (ko)
TW (1) TW404861B (ko)
WO (1) WO1999003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31437B (en) * 2003-07-18 2005-04-21 Hon Hai Prec Ind Co Lt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ling cutting tools
CN110227767A (zh) * 2019-06-27 2019-09-13 乐清市小林模具科技有限公司 接线鼻自动成型模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6947A (en) * 1953-12-29 1958-03-18 A V Roe Canada Ltd Presses
US3269168A (en) * 1965-03-05 1966-08-30 Lamson & Sessions Co Die apparatus
US3848494A (en) * 1972-12-07 1974-11-19 Dayton Progress Corp Press adapter system for standardizing die use
US4550588A (en) * 1982-12-09 1985-11-05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Press machine
US4602497A (en) * 1984-01-27 1986-07-29 Wallis Bernard J Die clamping arrangement
US4698894A (en) * 1984-07-02 1987-10-13 Hubbell-Bell Inc. Quick change die retention apparatus
US4598574A (en) * 1985-05-22 1986-07-08 Prince Corporation Die clamping device
FR2630939B1 (fr) * 1988-05-09 1991-04-05 Lefils Michel Module d'outil travaillant a la bande, adapte a travailler a l'etat unitaire ou en ensemble multimodulaire
US5012664A (en) * 1988-12-12 1991-05-07 Micron Technology, Inc. Progressive form die
JPH0399730A (ja) * 1989-09-14 1991-04-24 Komatsu Ltd プレス金型のデータ登録装置
JP2976658B2 (ja) * 1991-12-03 1999-11-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部品のプレス装置
GB2262057B (en) * 1991-12-03 1995-05-10 Murata Manufacturing Co A press machine and a method of transferring a plurality of miniature components
US5301720A (en) * 1992-05-26 1994-04-12 Kras Asia Ltd. Method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s and apparatus for use in connection with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32783B2 (en) 2003-03-18
NL1006562C2 (nl) 1999-01-12
EP0995348A1 (en) 2000-04-26
DE69809553D1 (de) 2003-01-02
TW404861B (en) 2000-09-11
EP0995348B1 (en) 2002-11-20
JP2001509435A (ja) 2001-07-24
MY133178A (en) 2007-10-31
US20020062874A1 (en) 2002-05-30
DE69809553T2 (de) 2003-10-02
WO1999003318A1 (en) 1999-01-21
HK1028320A1 (en) 200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1991A (en) Coding method and system for assembly line pallets
US6830476B2 (en) Electric power and communications signal distribution unit, particularly for heads of combination weighers
CN207801130U (zh) 数据线组装设备
US5182850A (en) Parts assembling device
CN1333495C (zh) 卡连接结构及其使用的卡连接器
CN109713544B (zh) 装配系统
KR20010021708A (ko) 클램핑장치, 공구 및 공구들을 장착하는 방법
US8434679B2 (en) Machine for personalising smart cards at high rate
KR101843322B1 (ko) 반도체 테스트용 소켓의 컨택핀 조립장치
KR20020089358A (ko) 전자부품 처리장치 및 방법
US6203380B1 (en) Coding arrangement
CN214602390U (zh) 一种用于线圈结构的自动化焊接组装系统
TW358248B (en) Rack for plug-in electric modules
JP2001076835A (ja) 圧接コネクタ用端子実装機
US6694084B1 (en) Optical cable excess handling unit and optical cable wiring method
KR200312687Y1 (ko) 그레이팅압접지그
JPS58222828A (ja) 金型識別方法
EP1003246A3 (de) Modulares Steckverbindersystem
CN212217717U (zh) 滤波器自动组装机
CN215321490U (zh) 一种成像耗材检测用的芯片装置及电子成像设备
CN216037213U (zh) 治具管理装置
WO2021201393A1 (ko) 픽커 마운트 장착상태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5358016A (en) Apparatus for making cable harnesses
CN210092009U (zh) 磁系统与断路器壳体装配设备
US6196878B1 (en) Arrangement for coded and uncoded plug-in modules and device for connecting external lines using the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