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615A - 디페닐에틸렌 화합물의 신규한 헤테로고리 유사체 - Google Patents

디페닐에틸렌 화합물의 신규한 헤테로고리 유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615A
KR20010021615A KR1020007000173A KR20007000173A KR20010021615A KR 20010021615 A KR20010021615 A KR 20010021615A KR 1020007000173 A KR1020007000173 A KR 1020007000173A KR 20007000173 A KR20007000173 A KR 20007000173A KR 20010021615 A KR20010021615 A KR 20010021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independently
compound
formula
hal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5919B1 (ko
Inventor
네오기파르타
나그비쉬와지트
메디첼라사리야나라이아나
데이데벤드라나쓰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칼릭스 테라퓨틱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074,925 external-priority patent/US6245814B1/en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칼릭스 테라퓨틱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2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34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티아졸리딘디온 또는 옥사졸리딘디온 성분을 포함하는 신규한 디페닐에틸렌 화합물이 제공되며, 그것은 타입 II 당뇨병의 동물모델에서 혈당 수준, 혈청 인슐린, 트리글리세리드 및 유리지방산 수준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다. 렙틴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진 상기한 티아졸리딘 화합물과 대조적으로 본 화합물은 렙틴 수준을 증가시키고 간 독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Description

디페닐에틸렌 화합물의 신규한 헤테로고리 유사체{NOVEL HETEROCYCLIC ANALOGS OF DIPHENYLETHYLENE COMPOUNDS}
타입 I 및 타입 II 당뇨병의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지만, 둘다 유전 및 환경이 요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인슐린 의존성 타입 I 및 비인슐린 타입 II가 알려져 있는 유형이다. 타입 I은 자가면역질환으로서 그 원인이 되는 자가 항원이 여전히 알려져 않다. 타입 I의 환자는 생존을 위해 인슐린을 정맥투여 받아야 한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인 형태인 타입 II 당뇨병은 체내에서 충분한 양의 인슐린을 만들어 내지 못하거나 또는 생산된 인슐린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데서 결과되는 대사 장애이다. 인슐린 분비 및 인슐린 저항성이 주요한 결함인 것으로 생각되나 그 기전에 수반되는 정확한 유전적 요인을 알려지지 않고 있다. 당뇨병을 가진 환자들은 통상 1개 이상의 다음과 같은 결함을 가진다:
췌장의 인슐린의 생산저하;
간의 글루코오스 과다분비;
골격근의 독자적의 글루코오스 업테이크;
글루코오스 수송의 결함, 인슐린 수용체의 감감작(減感作) ; 및
다당류의 대사적 분해의 결함.
인슐린의 정맥투여외에, 약 4가지 종류의 경구 혈당강하제가 사용되고 있다.
종류 승인된 약물 작용기전 제한
설포닐유레아 4(제 1 세대)및 2(제 2세대) 췌장에 작용하여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킴 저항성의 증가
비구아나이드 메트포민 간의 글루코오스 분비감소; 인슐린 감수성의 향상 간독성, 락트산 산증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제 아카르보스 소화과정의 방해; 글루코오스 흡수의 감소 식후 수준에서만 유효
티아졸리딘-디온 트로글리타존 인슐린 저항의 감소 인슐린과 함께 사용; 심장 및 간질환을 가진 사람에게 사용할 수 없음.
상기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현재 당뇨병의 치료에 유용한 작용제 각각은 몇가지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당뇨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작용제, 특히 경구투여가능한 수용성 작용제의 동정 및 개발에 대한 계속적인 관심이 있어 왔다.
본 출원은 디페닐에틸렌 화합물을 티아졸리딘 또는 옥사졸리딘 중간체와 화학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생성된 신규한 항당뇨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화합물은 타입 II 당뇨병의 동물모델에서 혈당, 혈청 인슐린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놀랍게도, 이들 화합물은 렙틴(leptin) 수준을 증가시키고 조금의 간독성도 없다.
도 1A 및 1B는 15일간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을 투여한 db/db(자발적 당뇨) 수컷 래트의 혈당 수준과 체중의 그래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A 및 2B는 15일간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을 투여한 ob/ob(유전적 비만 및 자발적 당뇨) 수컷 래트의 혈당 수준과 체중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3A 및 3B는 20-25일간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을 투여한 db/db 마우스 및 ob/ob 마우스에서의 혈당 수준과 체중의 그래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본 화합물의 약용량을 복용한 후, 72시간에 걸친 db/db 수컷 마우스에서의 혈당 수준의 그래프이다.
도 5A, 5B, 5C 및 5D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로 치료한 db/db 마우스의 혈청중 트리글리세리드 수준, 유리 지방산 수준, Glyc-Hb 수준 및 렙틴 수준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A, 6B, 6C 및 6D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로 치료한 ob/ob 마우스의 혈청 인슐린수준, 혈청중 트리글리세리드 수준, 유리 지방산 수준 및 Glyc-Hb 수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로 처리한 지 21일 후, 마우스에서의 간 효소 시험을 나타낸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트로글리타존에 대한 3T3-L1 세포에서의 글루코오스 업테이크 시험을 나타낸다.
발명의 개요
화학식 1의 항당뇨 화합물이 제공된다:
n, m, q 그리고 r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p와 s는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며; a, b 그리고 c는 존재하거나 또는 부재할 수 있는 이중결합이며;
R, R' 그리고 R''는 독립적으로 H,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 -CO2H, -CO2R''', -NH2, -NHR''', -NR2''', -OH, -OR''', 할로, 치환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치환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이고, 여기서 R'''은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이며;
A, A' 그리고 A''는 독립적으로 H, C1-C20아실아미노, C1-C20아실옥시, C1-C20알카노일, C1-C20알콕시카르보닐, C1-C20알콕시, 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로카르복실아미노, 카르복실, 시아노, 할로, 히드록시이며;
B, B' 그리고 B''는 독립적으로 H, C1-C20아실아미노, C1-C20아실옥시, C1-C20알카노일, C1-C20알케노일, C1-C20알콕시카르보닐, C1-C20알콕시, 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카르복실아미노, 아로일, 아랄카노일, 카르복실, 시아노, 할로, 히드록시이며;
X, X'는 독립적으로 -NH, -NR''', O 또는 S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당뇨병 치료를 위해 제공되며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내에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제공되는 당뇨병 치료 방법은 당뇨병 상태로 고통받는 피검자에게 화학식 1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화합물을 경구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르는 디페닐에틸렌 화합물은 다양한 충전재 및 결합제를 가지는 정제 또는 캅셀 형태중 동결건조 파우더와 같이 약학적 조성물중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과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조성물중 화합물의 유효량은 당기술에서 선택될 수 있고,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당수준이 증가된 것으로 특징되는 당뇨, 즉 타입 I 및 II 당뇨병 둘다를 포함하는 당뇨병과 같은 고혈당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비만, 콜레스테롤의 증가, 신장 관련질환 등의 다른 고혈당 관련 질환에도 유용하다.
"치료"는 고혈당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혈당 수준을 적어도 감소시키기 위해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화합물은 혈당 수준, 유리 지방산 수준, 콜레스테롤 수준 등을 허용되는 범위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된다. 여기서 허용되는 범위란 환자의 정상적인 범위의 혈당수준의 + 또는 -10% , 통상 + 또는 -5%를 의미한다. 사람 뿐만 아니라 가축류, 야생 또는 희귀 동물, 애완 동물 등의 다양한 환자가 혈당 수준을 낮추기 위해 이 화합물로 치료될 수 있다. 본 화합물은 정맥, 피내, 근육내, 피하, 경구 등을 포함하는 편리한 투여기술을 사용하여 고혈당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숙주에 송달되는 약용량은 필수적으로 화합물이 송달되는 경로에 좌우될 것이나, 일반적으로 약 5-500mg/kg 사람체중 또는 전형적으로 약 50 내지 200mg/kg 사람체중의 범위가 된다.
특히 관심있는 것은, 고혈당 질환을 앓는 사람에게 환자의 혈당 수준을 사람의 정상 혈당 범위가 되게 적어도 감소시키기 위해 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타입 I 및 타입 II를 포함하는 당뇨와 같은 사람의 고혈당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대표적인 화합물은 반응식 IA, IB, II 및 III에서 하기 개시된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1a에 있어서, 알데히드 (II)와 산(III)은 아세트 안히드라이드와 트리에틸아민에서 축합되어 불포화산(IV)을 형성한다. 산의 에스테르화 후에, 페놀 히드록시기는 p-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를 갖는 에테르(VI)로 된다. 그 후 알데히드(VI)는 티아졸리딘디온과 축합되며 두개의 비-고리형 이중결합은 수소와 환원되어 목적하는 화합물(VIII)을 형성한다.
반응식 1a에서의 단계는 반응식 1b에서 일반화된다. 일반적인 화합물 IIIB, IVB, VIB, VIIB 그리고 VIIIB는 반응식 1a에서 각각 화합물 III, IV, VI, VII 그리고 VIII에 상응한다.
반응식 2에, Z=-H, -A'' 또는 -OB''인 화합물의 일반적인 합성이 나타나있다. 알데히드 또는 케톤(IX)은 헤테로고리 디온과 축합하여 2고리형 화합물(X)을 형성하며, 그것은 선택적으로 수소화하여 생성물(XI)을 형성한다.
반응식 3에, 삼고리형 생성물(XV)와 (XVI)의 일반적인 합성이 나타나있다. 알데히드 또는 케톤(XII)은 (XIII)과 축합하여 2고리형 화합물(XIV)을 형성한다. 화합물(XIV)는 헤테로고리 디온과 축합하여 삼고리형 생성물(XV)을 형성하며, 그것은 선택적으로 (XVI)로 수소화될 수 있다.
화학식 1에서,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sec-부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등과 같은 기를 의미한다.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은 에테닐, 프로페닐, n-부테닐, 이소부테닐과 같고, 1,3-부타디엔 등과 같은 여러개의 불포화 지점을 갖는 기를 포함하는 불포화기를 의미한다. 할로기는 플루오로, 브로모, 요오도를 포함한다. 치환된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치환된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은 알킬 또는 알케닐기가 할로, 히드록시, 카르복실, 시아노, 아미노, 알콕시 등과 같은 기로 치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C1-C20아실아미노 또는 아실옥시기는 아실기(RCO)에 결합된 산소 또는 아미노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은 수소,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일 수 있다. 알케닐기는 -C=C-이며, 여기서 R은 수소,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일 수 있다. 알콕시카르보닐은 ROCO-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은 수소,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일 수 있다. C1-C20알킬 카르복실 아미노기는 RCON(R)-를 의미하며 여기서 R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일 수 있다. 카르복실은 HOC2-기이고, 알카노일은 RCO-기이며 여기서 R은 선형 또는 분지된 탄소사슬이다. 아로일기는 Ar-CO-이며 여기서 Ar은 페닐, 나프틸, 치환 페닐 등과 같은 방향족기이다. 아랄카노일은 Ar-R-CO-기이고 여기서 Ar은 페닐, 나프틸, 치환 페닐 등과 같은 방향족기이며 R은 선형 분지된 알킬사슬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 5-(4-(4-(1-카르보메톡시)-2-(3,5-디메톡시페닐)-에틸)-페녹시)-벤질)-2,4-티아졸리딘디온(VIII)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db 수컷 마우스에 단일 경구 복용량(50mg/kg 체중)으로 15일간 투여하였다. 혈당 수준의 실질적인 감소가 발견되었다. 활성 성분없이 비히클로 처리한 콘트롤에 비하여 치료군에서 조금의 체중 증가도 없었다, 도 IB.
ob/ob 마우스에 본 화합물을 단일 경구 복용량(50mg/kg 체중)으로 경구투여하였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당 수준에서 62%의 감소가 있었고,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db 마우스와 유사하게, 콘트롤군과 치료군사이에 어떤 현저한 체중의 증가가 없었다. 이것은 체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티아졸리딘계 화합물에 의한 당뇨병 동물의 치료에 반대되는 것이다. Okuno et al., J. Clin. Invest., 101, 1354-1361(1998) 및 Yoshioka et al., Metabolism, 42, 75-80(1993) 참조. 두 모델에서 15일 후 치료를 중단함으로써, 도 3A 및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루코오스 수준의 증가가 나타났다. 약물효과의 시간적 경과는 도 4에 나타낸다. db/db 마우스에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단일 복용량의 경구투여는 24시간 이상 유효하였다.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또한 측정하였다. 트리글리세리드, 즉 지방산과 글리세롤의 에스테르는 혈장에서 자유롭게 순환하지 않고 단백질에 결합하여 지단백질로 불리는 거대분자 착체로서 수송된다. 트리글리세리드는 McGowen 등, 1983에 기재된 효소적 방법에 의해, db/db 및 ob/ob 마우스에서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변형을 가해 측정하였다. 본 화합물로 15일동안 치료한 후, db/db 마우스에서는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에서 24%의 감소(도 5A), ob/ob 마우스에서는 10일동안 치료한 후 콘트롤과 비교하여 트리글리세리드에서 65%의 감소(도 6B)를 나타냈다.
유리 지방산(FFA, free fatty acid)은 아실 CoA 합성효소(Wako Chemicals USA)의 존재하에 보조효소 A(coenzyme A)를 사용하여 효소적으로 측정하였다. 본 화합물로 처리한 db/db 및 ob/ob 마우스에서는 콘트롤 동물에 비해 유리지방산 수준이 현저하게 더 낮았다. db/db 마우스에서는 FFA 수준에서의 34%의 감소(도 5B)가 본 화합물로 처리한 지 15일 후 나타났다. ob/ob 마우스에서는, 치료한지 10일 후, 콘트롤에 비하여 FFA에서의 33%의 감소를 나타냈다(도 6C).
혈중 글리코헤모글로빈(GHb)의 백분율은 평균 혈당 농도를 반영한다. 이것은 전체 당뇨병 조절의 척도이고 평균 혈당 수준을 모니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헤모글로빈의 당화는 적혈구에서 계속적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반응이 비효소적이고 비가역적이기 때문에, 세포내 글리코헤모글로빈의 농도는 세포가 생존하는 동안 세포에 의해 보여지는 평균 혈당 수준을 반영한다. 시험은 Abraham et al., J. Lab. Clin. Med., 102, 187(198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로네이트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화합물로 처리한 지 15일 후 db/db 마우스에서는 GHb 수준에 있어서 0.7%의 감소(도 5C)가 있고, ob/ob 마우스에서는 치료한 지 14일 후 콘트롤에 비하여 GHb 수준에 있어서의 1.3%의 감소(도 6D)가 있다.
혈중 인슐린 수준은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서 ELISA에 의해 측정하였다. ob/ob 마우스에서 혈청 인슐린에서의 58%의 감소(도 6A)는 본 화합물로 처리한 지 10일 후 나타났고, 따라서 인슐린 감작약으로서 작용하는 능력을 나타내었다.
비만은 당뇨병 및 심장질환과 같은 여러가지 성인 질병의 중요한 위험 인자로서 생각된다. 비만 유전 생성물인 렙틴은 이 유전자에서의 돌연변이에 의해 렙틴이 결핍된 ob/ob 마우스를 조사하여 동정되어졌다(Zhiang et al., Nature, 372, 425(1994)). 렙틴은 지방조직에서 발현되는 약 16kDa의 단백질이고, 이것은 식욕을 억제하고 대사를 자극함으로써 체중 손실을 촉진시킨다. 현재 렙틴은 당뇨 증후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에 따라서 db/db 마우스에서, 렙틴 수준을 표준 프로토콜에 따르는 ELISA에 의해 측정하였다. 본 화합물로 처리한 지 15일 후, 콘트롤군에 비해 혈청 렙틴 수준에서의 23%의 증가(도 5D)가 있다.
간 효소 글루탐산 옥살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AST/GOT) 및 글루탐산 피루브산 트랜스아미나제/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T/GPT)는 시험 화합물로 처리(경구, 50mg/kg)한 지 21일 후 ob/ob 마우스의 혈청에서 시험하였다. 시험은 또한 트로글리타존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들 효소의 수준은 몇가지 종류의 간장애 또는 간괴사의 경우 상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7A에서, 마우스에서의 AST 수준은 비처리된 마우스 또는 트로글리타존으로 처리된 마우스에 비하여 상승되지 않았다. 유사하게, 도 7B는 ALT 수준이 비처리된 마우스 또는 트로글리타존으로 처리된 마우스에 비하여 증가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3T3-L1 분화 지방세포에서의 글루코오스의 업테이크는 트로글리타존 또는 시험 화합물로 처리한 후 측정하였다. 이 시험은 Tafuri, Endocrinology, 137, 4706-4712(1996)의 방법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혈청이 없는 세포를 서로 다른 농도의 시험화합물(또는 트로글리타존)로 48시간동안 처리하고 세척하고 글루코오스가 없는 배양물에서 37℃에서 30분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런 다음,14C-디옥시글루코오스를 가하고 업테이크를 인큐베이션하 30분동안 모니터하였다. 세척한 후, 세포를 용해(0.1% SDS)하고 계산하였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화합물의 지시된 농도에서의 글루코오스 업테이크가 기준 수준에 비하여 3.5 내지 4배 증가한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화합물의 50배의 농도에서 트로글리타존을 사용하였을 때는 업테이크에 있어서 단지 2 내지 2.7배의 증가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시험은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이 체중의 어떤 현저한 증가나 간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혈당 수준, 트리글리세리드 수준, 유리 지방산 수준, 글리코헤모글로빈 및 혈청 인슐린을 낮출 뿐만 아니라 렙틴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Claims (27)

  1.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1)
    (n, m, q 그리고 r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p와 s는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며; a, b 그리고 c는 존재하거나 또는 없을 수도 있는 이중결합이며;
    R, R' 그리고 R''는 독립적으로 H,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 -CO2H, -CO2R''', -NH2, -NHR''', -NR2''', -OH, -OR''', 할로, 치환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치환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이고, 여기서 R'''은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이며;
    A, A' 그리고 A''는 독립적으로 H, C1-C20아실아미노, C1-C20아실옥시, C1-C20알카노일, C1-C20알콕시카르보닐, C1-C20알콕시, 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로카르복실아미노, 카르복실, 시아노, 할로, 히드록시이며;
    B, B' 그리고 B''는 독립적으로 H, C1-C20아실아미노, C1-C20아실옥시, C1-C20알카노일, C1-C20알케노일, C1-C20알콕시카르보닐, C1-C20알콕시, 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카르복실아미노, 아로일, 아랄카노일, 카르복실, 시아노, 할로, 히드록시이며;
    X, X'는 독립적으로 -NH, -NR''', O 또는 S임)
  2. 제 1 항에 있어서, Z가 아래의 화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Z가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Z가 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Z=O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Z가 아래의 화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 2 항에 있어서, X가 황이며, X1은 -NH-이고; A''n, B''O, B'O, Ap, Aq, R 그리고 R''가 모두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 7 항에 있어서, BO가 메톡시이고, s=2이며 그리고 R'가 카르보메톡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제 8 항에 있어서, 5-(4-(4-(1-카르보메톡시-2-(3,5-디메톡시 페닐)에틸)-페녹시)-벤질)-2,4-티아졸리딘디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0.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내의, 화학식 1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을 치료하는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n, m, q 그리고 r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p와 s는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며; a, b 그리고 c는 존재하거나 또는 없을 수도 있는 이중결합이며;
    R, R' 그리고 R''는 독립적으로 H,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 -CO2H, -CO2R''', -NH2, -NHR''', -NR2''', -OH, -OR''', 할로, 치환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치환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이고, 여기서 R'''은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이며;
    A, A' 그리고 A''는 독립적으로 H, C1-C20아실아미노, C1-C20아실옥시, C1-C20알카노일, C1-C20알콕시카르보닐, C1-C20알콕시, 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로카르복실아미노, 카르복실, 시아노, 할로, 히드록시이며;
    B, B' 그리고 B''는 독립적으로 H, C1-C20아실아미노, C1-C20아실옥시, C1-C20알카노일, C1-C20알케노일, C1-C20알콕시카르보닐, C1-C20알콕시, 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카르복실아미노, 아로일, 아랄카노일, 카르복실, 시아노, 할로, 히드록시이며;
    X, X'는 독립적으로 -NH, -NR''', O 또는 S임)
  11. 제 9 항에 있어서, Z가 아래의 화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Z=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9 항에 있어서, Z=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9 항에 있어서, Z=O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9 항에 있어서, Z가 아래의 화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0 항에 있어서, X가 황이며, X1은 -NH-이고, A'', B''O, A'q, B'O, Ap, R 그리고 R''가 모두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R'가 카르보메톡시이고; BO가 메톡시이며 s=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5-(4-(-1-카르보메톡시-2-(3,5 디메톡시 페닐)에틸)-메톡시)-벤질)-2,4-티아졸리딘디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당뇨병 상태로 고통을받는 피검자에게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내의 화학식 1에 따른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화학식 1)
    (n, m, q 그리고 r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p와 s는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며; a, b 그리고 c는 존재하거나 또는 없을 수도 있는 이중결합이며;
    R, R' 그리고 R''는 독립적으로 H,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 -CO2H, -CO2R''', -NH2, -NHR''', -NR2''', -OH, -OR''', 할로, 치환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치환 C2-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이고, 여기서 R'''은 C1-C20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또는 선형 또는 분지된 알케닐이며;
    A, A' 그리고 A''는 독립적으로 H, C1-C20아실아미노, C1-C20아실옥시, C1-C20알카노일, C1-C20알콕시카르보닐, C1-C20알콕시, 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로카르복실아미노, 카르복실, 시아노, 할로, 히드록시이며;
    B, B' 그리고 B''는 독립적으로 H, C1-C20아실아미노, C1-C20아실옥시, C1-C20알카노일, C1-C20알케노일, C1-C20알콕시카르보닐, C1-C20알콕시, C1-C20알킬아미노, C1-C20알킬카르복실아미노, 아로일, 아랄카노일, 카르복실, 시아노, 할로, 히드록시이며;
    X, X'는 독립적으로 -NH, -NR''', O 또는 S임)
  20. 제 18 항에 있어서, Z가 아래의 화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Z=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Z=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Z=O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Z가 아래의 화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19 항에 있어서, R'', A'', B''O, A'q, B'O, Ap그리고 R 이 모두 수소이고, X는 황이며 X1은 N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R'가 카르보메톡시이고 BO가 메톡시이며 s=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5-(4-(4-(1-카르보메톡시-2-(3,5-디메톡시 페닐)에틸)-페녹시)-벤질)-2,4-티아졸리딘디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0173A 1998-05-08 1999-05-07 디페닐에틸렌 화합물의 신규한 헤테로고리 유사체 KR100595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74,925 1998-05-08
US09/074,925 US6245814B1 (en) 1998-05-08 1998-05-08 Diphenylethylene compounds
US9/074,925 1998-05-08
US09/287,237 US6331633B1 (en) 1998-05-08 1999-04-06 Heterocyclic analogs of diphenylethylene compounds
US09/287,237 1999-04-06
US9/287,237 1999-04-06
PCT/US1999/009982 WO1999058127A1 (en) 1998-05-08 1999-05-07 Novel heterocyclic analogs of diphenylethylene comp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615A true KR20010021615A (ko) 2001-03-15
KR100595919B1 KR100595919B1 (ko) 2006-07-03

Family

ID=2675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173A KR100595919B1 (ko) 1998-05-08 1999-05-07 디페닐에틸렌 화합물의 신규한 헤테로고리 유사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331633B1 (ko)
EP (1) EP1007039B1 (ko)
JP (1) JP4577985B2 (ko)
KR (1) KR100595919B1 (ko)
CN (1) CN1151139C (ko)
AT (1) ATE260906T1 (ko)
AU (1) AU751235C (ko)
CA (1) CA2295599C (ko)
DE (1) DE69915223T2 (ko)
DK (1) DK1007039T3 (ko)
ES (1) ES2216513T3 (ko)
HK (1) HK1028348A1 (ko)
PT (1) PT1007039E (ko)
WO (1) WO19990581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875B1 (ko) * 2006-06-23 2011-02-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밀폐형 방청유 도포장치
WO2022045836A1 (ko) * 2020-08-28 2022-03-03 (주)셀로스바이오텍 신규 티오히단토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5552B2 (en) * 1998-05-08 2006-09-12 Theracos, Inc. Heterocyclic analogs of diphenylethylene compounds
US7407978B2 (en) * 1999-04-06 2008-08-05 Theracos, Inc. Heterocyclic analogs of diphenylethylene compounds
AU7349100A (en) 1999-08-31 2001-03-26 Maxia Pharmaceuticals, Inc. Benzylidene-thiazolidinediones and analogu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US20080108825A1 (en) * 1999-11-08 2008-05-08 Theracos, Inc. Compounds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diabetes and related disorders
US7323496B2 (en) * 1999-11-08 2008-01-29 Theracos, Inc. Compounds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diabetes and related disorders
EP1741445B1 (en) 2000-01-21 2013-08-14 Novartis AG Combinations comprising dipeptidylpeptidase-IV inhibitors and antidiabetic agents
US20080103302A1 (en) * 2000-02-04 2008-05-01 Theracos, Inc. Compounds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diabetes and related disorders
MXPA03008117A (es) 2001-03-07 2004-11-12 Incyte San Diego Inc Derivados heterociclicos para el tratamiento del cancer y otras enfermedades proliferativas.
WO2002072543A2 (en) 2001-03-08 2002-09-19 Maxia Pharmaceuticals, Inc. Rxr activating molecules
JP4425628B2 (ja) 2001-07-23 2010-03-03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コンシューマー・カンパニ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細胞保護化合物、薬学的処方物および美容用処方物、ならびに方法
KR100468429B1 (ko) * 2001-09-07 2005-01-27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이 있는 소나무 추출물 및 그추출방법
EP1456187A4 (en) 2001-11-15 2005-02-09 Incyte San Diego Inc N-SUBSTITUTED HETEROCYCLES FOR THE TREATMENT OF HYPERCHOLESTERINEMIA, DYSLIPIDEMIA AND OTHER METABOLIC DISORDER, CANCER AND OTHER DISEASES
US7102000B2 (en) 2002-03-08 2006-09-05 Incyte San Diego Inc. Heterocyclic 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other diseases
US7196108B2 (en) 2002-03-08 2007-03-27 Incyte San Diego Inc. Bicyclic heterocycle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other diseases
US7977049B2 (en) 2002-08-09 2011-07-12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xtending the life span and increasing the stress resistance of cells and organisms
US7041693B2 (en) 2002-10-04 2006-05-0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ydantoin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or TNF-α converting enzyme (TACE)
US6794401B2 (en) * 2003-01-17 2004-09-21 Bexel Pharmaceuticals, Inc. Amino acid phenoxy ethers
US7781464B2 (en) * 2003-01-17 2010-08-24 Bexel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diphenyl ethers
US7521465B2 (en) * 2003-01-17 2009-04-21 Bexel Pharmaceuticals, Inc. Diphenyl ether derivatives
US20060084135A1 (en) 2003-07-01 2006-04-20 Howitz Konrad T Compositions for manipulating the lifespan and stress response of cells and organisms
US7087576B2 (en) * 2003-10-07 2006-08-08 Bexel Pharmaceuticals, Inc. Dipeptide phenyl ethers
US8017634B2 (en) 2003-12-29 2011-09-13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ompositions for treating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disorders
EP1708689A2 (en) 2003-12-29 2006-10-11 The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omposition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disorders
JP2008528510A (ja) * 2005-01-20 2008-07-31 サートリ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紅潮および/または薬物誘発性体重増加を処置するためのサーチュイン活性化化合物の使用
WO2006126074A2 (en) * 2005-05-26 2006-11-30 Orchid Research Laboratories Limited Heterocyclic derivatives
WO2006138418A2 (en) 2005-06-14 2006-12-28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Improvement of cognitive performance with sirtuin activators
WO2007042878A1 (en) * 2005-10-07 2007-04-19 Orchid Research Laboratories Limited Novel heterocyclic analogs of biphenyl ethers
CN112209896B (zh) * 2019-07-10 2023-05-16 苏州泽璟生物制药股份有限公司 噻唑烷二酮衍生物以及包含其的药物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3009A (en) 1968-10-10 1972-08-08 Du Pont {60 , {62 -bis(trifluoromethyl) stilbenes
US3609183A (en) 1969-01-08 1971-09-28 Parke Davis & Co {60 -{8 {11 -(dimethylaminoalkyl)phenyl{9 -4-methoxy-{60 {40 -nitrostilbene compounds
US4312855A (en) 1970-11-16 1982-01-26 Colgate-Palmoliv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aminopolyureylene resin
US4326055A (en) 1977-12-22 1982-04-20 Hoffmann-La Roche Inc. Stilbene derivatives
JPS6045632B2 (ja) 1978-03-09 1985-10-11 三菱化学株式会社 ω−アミノアルコキシスチルベン類及びその酸付加塩
US4284637A (en) 1978-03-09 1981-08-18 Mitsubishi Chemical Ind., Limited Pharmaceutically active 2-(4-aminobutoxy)stilbenes
DE2832213A1 (de) 1978-07-21 1980-01-31 Bayer Ag Stilben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insektizide
JPS5629548A (en) 1979-08-16 1981-03-24 Mitsubishi Chem Ind Ltd Omega-aminoalkoxystilbenes and their acid addition salts
FR2562539B1 (fr) 1984-04-06 1987-04-17 Chauvin Blache Lab Nouveaux derives de l'acide vinyl-4 benzo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en therapeutique et comme ligands
US4716905A (en) 1985-09-25 1988-01-05 Fluorochrome, Inc. Method of retrograde fluorescent labeling of neurons
CA1338645C (en) 1987-01-06 1996-10-15 George R. Pettit Isolation, structural elucidation and synthesis of novel antineoplastic substances denominated "combretastatins"
GB8716650D0 (en) 1987-07-15 1987-08-19 Ici Plc Use of olefinic compounds
US5250562A (en) 1988-02-24 1993-10-05 Hoffmann-La Roche Inc. Stilbene derivatives
CA1340955C (en) 1988-02-24 2000-04-11 Michael Klaus Stilbene derivatives
US5061717A (en) * 1988-03-08 1991-10-29 Pfizer Inc. Thiazolidinedione hypoglycemic agents
DE3926148A1 (de) 1989-08-08 1991-02-28 Basf Ag Diarylacetylen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5189056A (en) 1989-12-19 1993-02-23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Protection of moist stratified squamous epithelia against damage from noxious luminal agents
US5162337A (en) 1990-10-05 1992-11-10 Merck & Co., Inc. Animal growth promotion
DK0498095T3 (da) 1991-02-05 1995-06-19 Merrell Dow Pharma Sulfoniske stilbenderivater til behandling af virussygdomme
CH683151A5 (de) 1991-04-24 1994-01-31 Ciba Geigy Ag Antikonzeption bei weiblichen Primaten ohne Beeinflussung des menstruellen Zyklus.
US5171753A (en) 1991-05-15 1992-12-15 A. H. Robins Company, Incorporated Derivatives of 2-amino-1-phenylethanol having antiulcer activity
DE69233391D1 (de) 1991-11-07 2004-09-02 Nanotronics Inc Hybridisierung von mit Chromophoren und Fluorophoren konjugierten Polynukleotiden zur Erzeugung eines Donor-Donor Energietransfersystems
US5246936A (en) 1991-12-20 1993-09-21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pesticides and stilbene compounds for enhanced pesticidal activity
NO302471B1 (no) * 1991-12-26 1998-03-09 Sankyo Co Tiazolidinforbindelser og farmasöytisk preparat
US5314693A (en) 1992-02-07 1994-05-24 Kioritz Corporation Pest control chemicals against pine wood nematodes
US5430062A (en) 1992-05-21 1995-07-04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Stilbene derivatives as anticancer agents
US5589506A (en) 1993-03-10 1996-12-31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Stilbene derivative and stilbene analog derivative, and use thereof
TW325458B (en) 1993-09-08 1998-01-21 Ajinomoto Kk Stilbe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for anti-cancer
US5731353A (en) 1993-09-08 1998-03-24 Ajinomoto Co., Inc. Stilbe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IT1264988B1 (it) 1993-12-14 1996-10-17 Sigma Prod Chim Composizioni cosmetiche e dermatologiche per la protezione da radiazioni uv contenenti derivati dallo stilbene
TW308598B (ko) 1994-01-14 1997-06-21 Hoffmann La Roche
US5559151A (en) 1994-11-30 1996-09-24 Allergan Method for reducing intraocular pressure in the mammalian eye by administration of chloride channel blockers
TW334418B (en) 1995-03-07 1998-06-21 Ajinomoto Kk Stilbe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A2174582A1 (en) 1995-05-05 1996-11-06 Alexander Chucholowski Sulphuric acid esters of amino-sugars
US5716928A (en) 1995-06-07 1998-02-10 Avmax, Inc. Use of essential oils to increase bioavailability of oral pharmaceutical compounds
US5770620A (en) 1995-06-19 1998-06-23 Ontogen Corporation Aryl acrylic acid derivatives useful as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inhibitors
US5733909A (en) 1996-02-01 1998-03-31 Merck Frosst Canada, Inc. Diphenyl stilbenes as prodrugs to COX-2 inhibitors
US5827898A (en) 1996-10-07 1998-10-27 Shaman Pharmaceuticals, Inc. Use of bisphenolic compounds to treat type II diabet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875B1 (ko) * 2006-06-23 2011-02-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밀폐형 방청유 도포장치
WO2022045836A1 (ko) * 2020-08-28 2022-03-03 (주)셀로스바이오텍 신규 티오히단토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20230093398A (ko) * 2020-08-28 2023-06-27 (주)셀로스바이오텍 신규 티오히단토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007039E (pt) 2004-07-30
CA2295599A1 (en) 1999-11-18
AU751235C (en) 2004-06-24
ES2216513T3 (es) 2004-10-16
JP2002514598A (ja) 2002-05-21
EP1007039A1 (en) 2000-06-14
HK1028348A1 (en) 2001-02-16
DE69915223D1 (de) 2004-04-08
JP4577985B2 (ja) 2010-11-10
WO1999058127A1 (en) 1999-11-18
DE69915223T2 (de) 2005-01-27
ATE260906T1 (de) 2004-03-15
EP1007039B1 (en) 2004-03-03
CN1151139C (zh) 2004-05-26
AU751235B2 (en) 2002-08-08
DK1007039T3 (da) 2004-07-12
CA2295599C (en) 2009-01-20
AU3974199A (en) 1999-11-29
CN1273528A (zh) 2000-11-15
US6331633B1 (en) 2001-12-18
KR100595919B1 (ko) 2006-07-03
EP1007039A4 (en) 200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919B1 (ko) 디페닐에틸렌 화합물의 신규한 헤테로고리 유사체
Ezhumalai et al. Antihyperglycemic effect of carvacrol in combination with rosiglitazone in high-fat diet-induced type 2 diabetic C57BL/6J mice
Burant et al. Troglitazone action is independent of adipose tissue.
KR101962209B1 (ko) 간 질환 치료를 위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의 용도
KR101934328B1 (ko) 아모디아퀸 및 항당뇨 약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12092136A (ja) 哺乳動物の血糖値低下のための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エフェクターの使用
KR20080106455A (ko) 대사장애의 조합치료
JP2002516318A (ja)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の新規エフェクター
CZ20032927A3 (cs) Léčení cukrovky typu 2 inhibitory z dipeptidylpeptidázy IV
TW200918049A (en) Compounds useful as medicaments
KR20110107287A (ko)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6525093B1 (en) Compounds to treat diabetes and associated conditions
US6448450B1 (en) 1-(3,5-dimethoxyphenyl)-2-(4-hydroxyphenyl)-ethylene for diabetes treatment
KR101391905B1 (ko) 물질대사 장애의 치료용 화합물
JP2001199888A (ja) 糖尿病治療剤
CN101638395A (zh) 二苯基乙烯化合物的杂环类似物及其应用
KR102699076B1 (ko) 3-(4-(벤질옥시)페닐)헥스-4-이노익산 유도체의 신규 용도
WO1996003148A1 (fr) Procede et medicament destines au traitement des diabetes
BERNARD HULIN 1 New Hypoglycaemic Agents
JP2006273786A (ja) グループbソヤサポニン類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組成物の経口摂取による糖尿病治療・予防方法
Rajkumar et al. Journal of Drug Discovery and Therapeutics 1 (7) 2013, 53-62
Tripathi et al. As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and Research
AU2006202684A1 (en) Novel effectors of dipeptidyl peptidase I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5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