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423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423A
KR20010021423A KR1020000049624A KR20000049624A KR20010021423A KR 20010021423 A KR20010021423 A KR 20010021423A KR 1020000049624 A KR1020000049624 A KR 1020000049624A KR 20000049624 A KR20000049624 A KR 20000049624A KR 20010021423 A KR20010021423 A KR 20010021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lower layer
titanium oxide
upper layer
surfac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218B1 (ko
Inventor
스에카네마코토
미즈타니사토시
도미타가츠시
다가미에츠코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0686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2142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21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표면재에 있어서, 표면의 은폐성을 높이기 위해 산화 티탄을 함유시키면, 섬유의 신장율이 높아지고, 표면재의 부피가 쉽게 커지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리용 패드 등에 이용되는 표면재(1)로서, 상층(2)과 하층(3)의 2층 구조의 통기성 본드 부직포를 사용한다. 이 부직포는 하층(3)을 구성하는 섬유가 상층(2)을 구성하는 섬유보다 산화 티탄을 많이 함유하고 있거나 또는 하층(3)을 구성하는 섬유가 산화 티탄을 함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층(2)은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하층(3)은 부피가 커서 쿠션성이 풍부해진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N 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생리용 패드, 팬티 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소변 수거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수체에 흡수된 배설물을 은폐하는 성능이 높고, 표면이 매끄러우면서 부피가 큰 표면재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설물을 흡수시키기 위한 생리용 패드, 팬티 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소변 수거 패드 등의 흡수성 부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흡수성 물품은 피부에 닿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끼워지는 흡수층으로 구성된다. 이 표면 시트는 액체 투과성이기 때문에, 표면 시트를 투과하여 흡수층으로 흡수된 배설물(경혈 등)의 색을 표면 시트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에 관한 것으로, 한번 흡수한 것을 표면 시트를 통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3-30764호에는 이산화 티탄을 함유한 열가소성 섬유로 형성된 위생재용 페이싱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섬유에 산화 티탄을 함유시킴으로써, 부직포의 백색도를 높여 은폐성을 높게 하고 있다. 이 부직포는 1층 구조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5-25764호에는 2층 구조의 표면재를 포함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표면재의 각 층에는 산화 티탄이 함유되어 있고, 더욱 은폐성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산화 티탄을 섬유에 함유시킨 것은 드래프트를 높이면 섬유가 끊어져 버리기 때문에 낮은 드래프트의 방사(紡絲)를 행하게 된다. 그 결과, 산화 티탄을 함유한 섬유는 일반적으로 수지의 배향성이 낮아지고, 섬유의 건조 신장율이 높아지며, 또한, 인장력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산화 티탄을 함유한 섬유로 형성한 섬유 웨브는 강도가 낮아지고, 섬유 웨브의 부피가 쉽게 커지지 않게 한다. 또한, 부피가 커지는 성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리웨트(한번 흡수한 체액이 다시 표면으로 스며나오는 현상)가 생기기 쉬워진다.
따라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3-30764호에 기재된 1층 구조의 부직포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5-25764호에 기재되어 있는 각 층에 산화 티탄이 함유된 2층 구조의 부직포를 생리용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재로서 사용한 것에서는, 상기 과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은폐성이 높으면서 부피가 큰 표면재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웨트가 쉽게 생기지 않는 표면재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표면재를 이용한 생리용 패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면재
2 : 상층
3 : 하층
4 : 생리용 패드
10 : 이면 시트
11 : 흡수체
13 : 주변부
상기 종래의 과제 및 목적은 액체 수용측에 액체 투과성 표면재가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는 피부에 대면하는 상층과, 상층의 밑에 위치하는 하층을 갖는 부직포로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가 산화 티탄을 함유하며,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보다 상기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 쪽이 JIS L 1013에 의해 측정되는 신장율이 낮으면서 인장 강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표면재에서는, 상층에 산화 티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백색도가 높고, 투과한 배설물을 효과적으로 은폐할 수 있다. 또한, 하층은 신장율이 비교적 낮으면서 인장 강도가 높은 섬유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층에 있어서 부피가 크거나 쿠션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층의 존재에 의해 시각적으로 장착자에게 쉽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또한, 하층의 존재에 의해 장착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하층의 존재에 의해 리웨트를 방지하기 쉬우므로, 더욱 장착감이 좋아진다. 또, 이 표면재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워진다.
상기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에는 산화 티탄이 함유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산화 티탄의 함유량(중량%)이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산화 티탄의 함유량(중량%)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JIS L 1013에 의해 측정되는 신장율이 50∼80%이고, JIS L 1013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2∼5 g/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에는 산화 티탄이 0.5∼10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에는 산화 티탄이 0∼1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열가소성이면서 코어-시스 구조를 가지며, 코어부에 산화 티탄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상층과 하층을 갖는 표면재는 통기성 본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층의 평량이 7∼45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층의 평량이 5∼20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상기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1∼5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2∼6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재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표면재를 이용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표면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자의 피부측에 대어지는 상층(2)과 그 밑의 하층(3)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표면재(1)는 상층(2)과 하층(3)이 다른 섬유층으로 형성된 일체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이 표면재(1)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생리용 패드(4)가 구성된다.
표면재(1)의 상층(2)을 구성하는 섬유에는 산화 티탄(예컨대, 이산화 티탄: TiO2)이 함유되고, 그 함유량은 0.5∼10 중량%이다.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백색도가 그만큼 높아지지 않고, 흡수후의 체액에 대하여 필요로 되는 은폐성을 쉽게 얻을 수 없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제조시에 방사가 곤란하다. 또한, 상층(2)을 구성하는 섬유가 산화 티탄을 함유하고 있는 결과, 이 섬유는 건조시의 신장율이 높고, 따라서 표면재(1)는 표면의 평활성이 높으며, 부드러워진다.
한편, 하층(3)이 상층(2)에 비하여 부피가 크면서 쿠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층(3)을 구성하는 섬유는 상기 상층(2)을 구성하는 섬유에 비하여 JIS L 1013에 따른 건조시의 신장율이 낮고, 또 JIS L 1013에 따른 인장 강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장율은 5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섬유가 딱딱해져서 감촉이 저하된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부피가 커지고 강도를 얻기 어렵다. 더욱이, 상기 인장 강도가 2∼5 g/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부피가 커지는 성질이 뒤떨어지고, 상기 상한보다 크면, 딱딱해져서 감촉이 저하된다. 이 부피가 큰 하층(3)의 존재에 의해 리웨트를 방지할 수 있다.
하층(3)을 형성하는 섬유로서, 이러한 신장율이나 강도를 갖는 섬유를 얻기 위해서는 예컨대 산화 티탄 등의 이물을 함유하지 않은 섬유로 형성할 수 있다. 통상, 산화 티탄 등의 이물을 함유한 섬유를 방사할 때에, 드래프트를 높게 하면 실이 끊어져 버리기 때문에, 드래프트를 낮추어 방사하게 된다. 그 결과, 섬유는 수지의 배향성이 낮아지고, 신장율이 비교적 높아지며, 또한, 인장 강도도 저하된다. 한편, 산화 티탄과 같은 이물이 혼입되어 있지 않은 섬유, 또는 산화 티탄 등의 함유량이 적은 섬유는 방사 공정에서의 드래프트를 높여도 실이 끊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드래프트를 높여 수지의 배향성이 높은 섬유를 방사할 수 있게 되고, 신장율이 낮으며, 인장 강도가 높은 섬유를 얻을 수 있다.
단, 표면재(1)의 은폐성을 높이기 위해 하층(3)을 형성하는 섬유에도 산화 티탄을 소량, 바람직하게는 0.1∼1 중량% 함유시킬 수도 있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섬유 방사시의 드래프트를 낮게 하지 않을 수 없게 되고, 섬유의 신장율이 높으며, 인장 강도가 낮아지고, 하층(3)에 있어서 필요로 되는 부피가 커지는 성질 및 쿠션성을 얻기가 곤란해진다.
또, 상층(2)을 구성하는 섬유의 건조시의 JIS L 1013에 따른 신장율은 6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딱딱해지게 되어 감촉이 저하된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제조시에 카드기에 쉽게 걸리지 않는다. 또, 건조시에 있어서의 신장율의 측정 조건은 잡는 간격이 20 mm, 인장 스피드가 20 mm/min이다. 또한, 상층(2)을 구성하는 섬유의 건조시에 있어서의 JIS L 1013에 따른 인장 강도는 1∼4 g/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제조시에 카드기에 쉽게 걸리지 않는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딱딱해져 버리기 때문에 감촉이 저하된다.
상층(2) 및 하층(3)의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코어-시스 구조를 갖는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층(2)과 하층(3)으로 형성되는 표면재(1)를 열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부직포, 예컨대 통기성 본드 부직포로 할 수 있다. 그 제조 방법은 상층(2) 및 하층(3)이 되는 각 섬유를 카드기로부터 공급하여 2층 구조의 섬유 웨브를 형성하고, 통기성 밴드 드라이어로써 각 층을 열처리하여 섬유간을 결합시킨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코어-시스 구조를 갖는 섬유란 예컨대, 코어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의해 충전된 것으로, 시스가 폴리에틸렌 등의 섬유이다. 이 섬유를 이용하여 통기성 밴드 드라이어로써 처리하여 부직포를 형성할 때, 건조기 135∼140℃, 열 실린더 120∼130℃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어-시스 구조를 갖는 섬유로 상층(2)을 구성하는 경우, 주로 코어부를 구성하는 상기 수지에 산화 티탄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섬유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할 때, 시스부가 융착하여 서로 접합되기 때문에, 융착시에 산화 티탄이 유출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섬유간에 있어서의 접합이 산화 티탄의 존재에 의해 저해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접합에 있어서 고온을 가할 필요는 없고, 제조 공정상의 장점이 있으며, 또한, 얻어지는 부직포의 감촉이 접합 처리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게다가, 산화 티탄은 코어부에 함유되어 있던 쪽이 백색도를 나타내는 부분에 쉽게 편향이 생기지 않는다. 상층(2)을 구성하는 섬유로는 코어부에 산화 티탄이 0.5∼10 중량% 함유되고, 또한, 시스부에는 산화 티탄이 함유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층(3)을 구성하는 섬유도 코어-시스 구조를 갖는 섬유이다. 하층(3)을 구성하는 섬유에 산화 티탄이 함유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충전된 코어부를 구성하는 수지에 산화 티탄이 0∼1% 함유되고, 시스부에는 산화 티탄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층(3)에 있어서 쿠션성을 출현시키기 위해 하층(3)의 평량은 7∼45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액체의 인입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배설액 투과시에 액체가 하층(3)에서 쉽게 유지되고, 흡수층으로의 이행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층(2)의 평량은 5∼20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표면으로서 필요한 부드러움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액체가 투과하기 어렵고, 막힘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더욱 쿠션성을 얻기 위해 하층(3)의 섬유의 섬도는 1∼5 d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배설액 투과시에 액체가 하층(3)에서 유지되기 쉬워지고, 흡수층으로의 이행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상층(2)에서 하층(3)으로의 액체의 이행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층(2) 섬유의 섬도는 2∼6 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배설액이 투과하지 않고, 표면에 수분이 잔존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표면재(1)의 감촉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상층(2)을 구성하는 섬유의 데니어는 하층(3)을 구성하는 섬유의 데니어와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 큰 쪽이 바람직하다. 배설액이 상층(2)에서 하층(3)으로 쉽게 이행된다.
도 2에 도시된 생리용 패드(4)는 상기 2층 구조의 표면재(1)와,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10)와, 표면재와 이면 시트 사이에 끼워지는 흡수체(11)로 구성된다. 생리용 패드(4)의 주변부(13)에서는, 흡수체(11)의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 표면재(1)와 이면 시트(10)가 열 엠보싱 처리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생리용 패드(4)의 사용시에는 경혈이 표면재(1)의 상층(2)과 하층(3)을 순서대로 투과하여 그 밑에 위치하는 흡수체(11)로 흡수된다.
또, 본 발명의 표면재(1)는 상기한 생리용 패드(4) 이외에도 팬티 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소변 수거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표면재(1)로서, 다음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층(2)과 하층(3)을 갖는 부직포를 이하의 제조 방법에 따라 형성하였다.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 및 웨브)
섬도 3 d, 섬유길이 51 mm의 코어(수지가 충전된 코어):시스가 PET:PE인 열융착성 섬유를 사용하였다. 코어를 형성하는 수지 중에 섬유 전체 중량(코어부와 시스부를 합친 중량)에 대하여 2 중량%의 산화 티탄(TiO2)이 함유된 것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상기 열융착성 섬유의 건조시의 신장율은 70%, 인장 강도는 3 g/d였다. 이 섬유를 이용하여 평량 10 g/m2의 상층이 되는 섬유 웨브를 형성하였다.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 및 웨브)
섬도 3 d, 섬유 길이 51 mm의 코어(수지가 충전된 코어):시스가 PET:PE인 열융착성 섬유를 사용하였다. 코어를 형성하는 수지 중에 섬유 중량(코어부와 시스부를 합친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의 산화 티탄(TiO2)을 함유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열융착성 섬유는 건조시의 신장율이 60%, 인장 강도는 3.5 g/d였다. 이 섬유를 이용하여 평량 15 g/m2의 섬유 웨브를 형성하였다.
(표면재가 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상기 섬유를 카드기로부터 공급하여 하층의 섬유 웨브상에 상층의 섬유 웨브가 겹쳐진 2층의 웨브를 형성하고, 통기성 밴드 드라이어로써, 건조기 135∼140℃, 열 실린더 120∼130℃에서 처리를 행하여 표면재가 되는 통기성 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표면재(부직포)는 전체의 평량이 25 g/m2, 전체의 두께가 0.7 mm 척 간격 100 mm, 자재폭 25 mm, 인장 스피드 100 mm/min에서의 JIS L 1096에 따른 인장 강도가 MD300 g/inch(5% 신장시) 1800 g/inch(최대 신장시)이며, CD15 g/inch (5% 신장시) 270 g/inch(최대 신장시)였다. 또한, JIS L 1018의 캔티레버법으로 측정한 강연도(剛軟度)는 MD90 mm, CD45 mm였다. 이 표면재는 부피가 크고, 또한, 은폐성도 높았다. 또한, 액체 투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리웨트 방지에 있어서도 우수하였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재에서는, 상층에 산화 티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백색도가 높고, 투과한 배설물을 효과적으로 은폐할 수 있다. 또한, 하층은 신장율이 비교적 낮은 섬유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층에 있어서 부피가 큰 것이나 쿠션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층의 존재에 의해 시각적으로 장착자에게 쉽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또한, 하층의 존재에 의해 장착감을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표면재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워진다. 또, 하층의 존재에 의해 리웨트를 방지하기 쉬우므로, 더욱 장착감이 좋아지고 있다.
또한, 각 층을 구성하는 데니어 등을 조절함으로써, 액체 이행성이 높은 표면재로 할 수 있다.

Claims (7)

  1. 액체 수용측에 액체 투과성 표면재가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는 피부에 대면하는 상층과, 상층의 밑에 위치하는 하층을 갖는 부직포로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가 산화 티탄을 함유하며,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보다 상기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 쪽이 JIS L 1013에 의해 측정되는 신장율이 낮으면서 인장 강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에는 산화 티탄이 함유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산화 티탄의 함유량(중량%)이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산화 티탄의 함유량(중량%)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JIS L 1013에 의해 측정되는 신장율이 50∼80%이고, JIS L 1013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가 2∼5 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에는 산화 티탄이 0.5∼10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을 구성하는 섬유에는 산화 티탄이 0∼1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열가소성이면서 코어-시스 구조를 가지며, 코어부에 산화 티탄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과 하층을 갖는 표면재는 통기성 본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00049624A 1999-08-27 2000-08-25 흡수성 물품 KR100696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41055 1999-08-27
JP24105599A JP3748014B2 (ja) 1999-08-27 1999-08-27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423A true KR20010021423A (ko) 2001-03-15
KR100696218B1 KR100696218B1 (ko) 2007-03-21

Family

ID=1706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624A KR100696218B1 (ko) 1999-08-27 2000-08-25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365795B1 (ko)
EP (1) EP1078621B2 (ko)
JP (1) JP3748014B2 (ko)
KR (1) KR100696218B1 (ko)
CN (1) CN1136826C (ko)
AU (1) AU769246B2 (ko)
BR (1) BR0003807A (ko)
CA (1) CA2316618C (ko)
DE (1) DE60022138T3 (ko)
ID (1) ID29317A (ko)
MY (1) MY126614A (ko)
SG (1) SG87161A1 (ko)
TW (1) TW49230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0415B2 (ja) 2005-01-20 2010-10-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1842513B1 (en) * 2006-04-07 2014-09-1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nonwoven lateral zones
JP5280629B2 (ja) * 2006-12-27 2013-09-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30238B2 (ja) * 2008-03-31 2013-07-1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2165949A (ja) * 2011-02-16 2012-09-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吸収性物品
US9949880B2 (en) 2013-11-27 2018-04-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mbedded lateral topsheets
JP6397210B2 (ja) * 2014-04-18 2018-09-26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表面シート、及びこれを含む吸収性物品
CN106460241B (zh) * 2014-04-18 2020-03-17 大和纺控股株式会社 吸收性物品用复合短纤维、其制造方法、吸收性物品用热粘接无纺布、吸收性物品用表面片材和吸收性物品
JP6129124B2 (ja) * 2014-06-27 2017-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6562A (en) 1980-09-20 1982-04-05 Uni Charm Corp Nonwoven fabric and production thereof
US4778460A (en) 1985-10-07 1988-10-18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fabric
US4668566A (en) 1985-10-07 1987-05-26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fabric made with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US4801494A (en) 1987-04-10 1989-01-3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pad cover with fluid masking properties
US4883707A (en) 1988-04-21 1989-11-28 James River Corporation High loft nonwoven fabric
US5009651A (en) 1988-09-06 1991-04-23 Kao Corporation Surface material for sanitary articles and its preparing method
JP2635139B2 (ja) 1988-12-28 1997-07-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H0330764A (ja) 1989-06-28 1991-02-08 Kuraray Co Ltd 衛生材用フエーシング不織布
JPH0360764A (ja) 1989-07-27 1991-03-15 Mita Ind Co Ltd ドラムチャッキング装置の気体供給機構
US5273596A (en) 1990-03-21 1993-12-28 Fiberweb North America, Inc. Nonwoven fabric for diaper top shee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525764A (ja) 1991-02-04 1993-02-02 Lion Corp 水解性不織布
US5192606A (en) 1991-09-11 1993-03-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liner which exhibits improved softness and dryness, and provides for rapid uptake of liquid
JP3380568B2 (ja) 1991-12-27 2003-02-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A2097630A1 (en) 1992-12-29 1994-06-30 Ann Louise Mccormack Stretch-pillowed, bulked laminate
CA2136675C (en) * 1993-12-17 2005-0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quid permeable, quilted film laminates
JP3065883B2 (ja) * 1994-04-15 2000-07-17 花王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
CA2148392A1 (en) * 1994-06-06 1995-12-07 Ann Louise Mccormack Stretch-thinned film and nonwoven laminate
US5585052A (en) 1994-08-10 1996-12-17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benzazole staple fiber
JP3463768B2 (ja) 1994-08-12 2003-11-05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ベンザゾール繊維の製造方法
DK0859883T3 (da) 1995-10-11 2000-02-07 Jacob Holm Ind France Sas Nonwoven-kompositmaterialer og fremgangsmåder til fremstilling heraf
US6025535A (en) * 1996-10-28 2000-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s exhibiting improved masking properties
CA2298600A1 (en) * 1997-07-29 1999-02-11 Rahul Dharmadhikary Soft nonwoven fabric made by melt extrusion
JP3522594B2 (ja) * 1999-07-08 2004-04-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16618C (en) 2007-02-27
JP3748014B2 (ja) 2006-02-22
EP1078621A3 (en) 2001-09-05
CN1298690A (zh) 2001-06-13
BR0003807A (pt) 2001-04-03
MY126614A (en) 2006-10-31
SG87161A1 (en) 2002-03-19
JP2001061891A (ja) 2001-03-13
US6365795B1 (en) 2002-04-02
TW492309U (en) 2002-06-21
ID29317A (id) 2001-08-16
DE60022138D1 (de) 2005-09-29
AU769246B2 (en) 2004-01-22
EP1078621B1 (en) 2005-08-24
CA2316618A1 (en) 2001-02-27
EP1078621B2 (en) 2011-11-30
AU5364100A (en) 2001-03-01
KR100696218B1 (ko) 2007-03-21
CN1136826C (zh) 2004-02-04
EP1078621A2 (en) 2001-02-28
DE60022138T2 (de) 2006-06-29
DE60022138T3 (de)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0855C (en) Absorbent article
US6649807B2 (en) Absorbent article
KR100536763B1 (ko) 체액처리용흡수성물품
US6761955B2 (en) Absorbent article
JP2004105349A (ja) 吸収性複合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KR100696218B1 (ko) 흡수성 물품
JP7271150B2 (ja) 吸収性物品
KR100584691B1 (ko) 1회용체액흡수성착용물품
JPS62170565A (ja) 吸収性物品の表面材およびその製法
JP2003290281A (ja) 吸収性物品
JP2005312601A (ja) 吸収性物品
JPH11113954A (ja) 吸収性物品の表面素材または濾過材及びその製造方法
AU782499B2 (en) Absorbent article
JP2001157694A (ja) 吸収性物品
MXPA99007227A (en) Liquid-pervious cover layer for a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