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669A - 압전기의 변압기 장치용 하우징 - Google Patents

압전기의 변압기 장치용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669A
KR20010015669A KR1020007003409A KR20007003409A KR20010015669A KR 20010015669 A KR20010015669 A KR 20010015669A KR 1020007003409 A KR1020007003409 A KR 1020007003409A KR 20007003409 A KR20007003409 A KR 20007003409A KR 20010015669 A KR20010015669 A KR 20010015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ezoelectric transformer
piezoelectric
protrusion
piezoelectr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5348B1 (ko
Inventor
이시카와가츠유키
후지무라다케시
도야마마사아키
우에사와가츠미
Original Assignee
기무라 미치오
다이헤이요시멘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무라 미치오, 다이헤이요시멘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무라 미치오
Publication of KR20010015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4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장착 터미널(4a,5a,6)이 하우징(1)의 단부면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 터미널들은 회로 기판상에 하우징(1)을 장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압전 장치의 외측 및, 출력 전극이 케이스내에 하우징되게 하는 리이드 전극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압전 장치는 장착 터미널(4a,5a) 및, 돌출부(2,3)와 일체로 형성된 리이드 전극(4,5)을 사용함으로써 하우징(1)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압전기의 변압기 장치용 하우징{Housing for piezoelectric transformer device}
최근에, 액정 표시 패널은 운반이 손쉬운 노트북 개인 컴퓨터에서 표시 장치로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한 액정 표시 패널은 패널을 배면에서 조명하기 위해서 배면광의 역할을 하는 냉음극 형광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냉음극 형광 램프를 점등하기 위하여, 약 1kV 또는 그 이상의 고전압이 필요하다. 광의 입사를 유지하기 위해서 약 수백 볼트의 전압이 가해져야만 한다.
그러한 노트북 개인 컴퓨터 및, 유사한 제품에 있어서, 그들의 특성에 기인하여 배면광을 위한 소형 인버터에 대한 필요성이 지대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압전 변압기가 인버터 구성 요소로서 사용된다.
그러한 압전 변압기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8-52553 호에 제안된 다층 구조를 가진 압전 변압기 (이하 압전기로서 지칭하기로 함)는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다음에 간단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이전에 제안된 다층 구조를 가지는 압전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압전기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압전기의 평면도이다.
압전기(106)는 도 1,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외부 형상을 가진다. 압전기의 우측 및, 좌측 절반 영역은 이후에 제 1 및, 제 2 영역으로서 각각 지칭될 것이다.
주 (입력) 전극으로서의 외부 전극(101,102)은 제 1 영역의 상부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출력) 전극으로서의 외부 전극(103)은 제 2 영역의 좌측 단부 부분상에 형성되어 있다. 리이드 와이어(105)들은 납땜 부분(104)으로써 외부 전극(101,102,103)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영역의 내부 구조는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도 3 의 압전기의 선 I-I 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압전기의 선 II-II 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에서, 복수개의 내부 전극(101a,102a)은 교번하여 적재되며, 이러한 내부 전극들 사이의 공간은 압전 요소(106)로써 충전된다. 도 4 및, 도 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에서, 복수개의 내부 전극(101a)들은 컬럼상의 도전체(108a)(이후에는 레벨 상호간 연결 도전체로서 지칭됨)를 통해서 서로에게 연결되며, 복수개의 내부 전극(102a)들은 레벨 상호간의 연결 도전체(108b)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원형의 구멍 (이후에는 구멍이라고 지칭됨)들이 내부 전극(101a,102a)안에 형성됨으로써, 내부 전극들(101a,102a)은 레벨 상호간 연결 도전체(108a,108b)를 통해서 서로에 연결되지 아니한다.
레벨 상호간 연결 도전체(108a)는 제 1 영역의 상부 표면을 향해서 연장되며 외부 전극(101)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레벨 상호간 연결 도전체(108b)는 제 1 영역의 상부 표면을 향해 연장되어 외부 전극(102)에 연결된다.
상기의 다층 구조를 가진 압전기는 다음과 같이 구동된다. 우선, 고전압이 외부 전극(101,102) 사이에 가해져서 제 1 영역을 수직 방향(두께 방향)으로 분극화시킨다. 다음에 소정의 전압이 외부 전극(101 또는 102)과 외부 전극(103) 사이에 가해져서 제 2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분극화시킨다.
교류 전압이 압전기의 외부 전극(101,102) 사이에서 분극화된 상태로 인가될때, 제 1 영역내의 압전 요소(106)는 압전 요소에 고유한 압전 재료 상수, 공명 특성 및, 전체적인 압전기의 치수에 따라서 기계적으로 진동한다. 진동은 제 2 영역에서 압전 요소(106)에 의해서 전압으로 변환된다. 결과적으로, 부스트된 높은 교류 전압이 외부 전극(103)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그러한 압전 변압기가 회로 기판상에 장착되려고 할때, 장치는 전체적으로 절연 콘테이너(이하 하우징이라 칭함)내에 하우징되며, 하우징은 다음의 이유로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전 변압기가 작동될때, 압전기 자체는 기계적으로 진동한다. 장치가 회로 기판상에 장착되었을때 이러한 진동이 억제된다면, 압전 변압기의 출력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압전 변압기가 장착되었을때, 압전 변압기의 진동이 억제되도록 장치는 압전기의 진동의 노드(node)에 대응하는 부분에 지지되어야만 한다. 더욱이, 압전 변압기의 제 2 출력이 높은 전압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압전 변압기는 안전을 이유로, 즉, 제 2 출력부와 다른 구성 요소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전기 쇼크를 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연 커버로 덮여져야만 한다.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내에 상기의 압전 장치가 어떻게 하우징되는지의 예가 도 6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6 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이전에 제안된 다층 구조를 가지는 압전 장치가 일반적인 하우징내에 하우징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7)은 상부 개구부를 가지는 박스와 같은 수지 콘테이너이다. 하우징(107)은 압전 장치(106)가 하우징(107)내에 하우징될때 압전 장치(106)와 리이드 와이어(105)의 납땜 부분(104)이 하우징(107)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체적을 가진다. 압전 장치(106)를 하우징(107)내에 고정시키는 돌출부(110)는 압전 장치(106)의 진동의 노드(node)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우징(107)의 내측에 형성된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리이드 와이어(105)는 미리 단부면에 형성된 구멍(구멍은 슬릿일 수도 있다)을 통해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된 상태로 압전 변압기를 하우징(107)내에 하우징시키는 방법은 회로 기판상에 하우징을 장착시킨 상태와 함께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8은 도 6의 하우징의 선 III-III 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 의 하우징의 IV-IV 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 은 압전 변압기가 회로 기판상에 장착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압전 장치(106)가 하우징(107)내에 하우징될때, 돌출부(110)는 처음에 접착제(109)로써 코팅된다.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압전 장치(106)는 압전 장치(106)의 진동의 노드가 돌출부(110)와 일치하도록 하우징(107)내에 하우징된다. 이러한 과정으로써, 압전기는 진동의 노드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하우징(107)안에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은 다음과 같이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다. 돌출부(110)에 적용된 접착제(109)가 경화된 이후에, 하우징(107)은 뒤집어져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12)상에 장착된다. 하우징(107)은 회로 기판(112)에 접착제(111)로 고정된다. 상기 구멍을 통해서 연장되는 각각의 리이드 와이어(105)는 납땜에 의해서 회로 기판(112)에 연결된다.
위에 설명된 것을 제외하고, 압전 장치를 지지하고 이것을 회로 기판상에 장착하는 다른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8-32135 및, 8-264853).
압전 장치가 상기의 일반적인 하우징내에 하우징될때, 압전 장치를 하우징내에 하우징시키는 단계로부터 리이드 와이어를 회로 기판상에 연결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단계가 필요하여 낮은 생산성을 초래한다. 압전 장치의 리이드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이 하우징상에 형성되고, 그리고 하우징이 터미널을 통해서 회로 기판상에 장착될때, 하우징을 장착시키는데 다수의 단계를 필요로 하여 낮은 생산성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8-298213 호는 생산성과 관련하여 상기의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보다 우수한 하우징을 개시한다. 이러한 하우징에 따르면, 회로 기판에 압전 장치를 연결하는 것과 장치를 하우징내에 지지하는 것이 동일한 터미널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며, 그에 의해서 압전 장치를 회로 기판에 연결하는데 있어 리이드 와이어를 사용할 필요성이 배제된다. 이러한 기술에 따르면, 단지 하우징상에 형성된 터미널 부재(재료)의 탄성적인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압전 장치가 하우징내에 지지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 또는 진동이 이러한 하우징에 작용하면, 압전 장치와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파괴되어, 순간적으로 연결이 단절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압전 변압기 장치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로젠(Rosen) 압전 변압기를 회로 기판상에 장착하는 것을 위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이전에 제안된 다층 구조를 가지는 압전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압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압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 의 압전 장치의 선 I-I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압전 장치의 선 II-II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이전에 제안된 다층 구조를 가지는 압전 장치가 일반적인 하우징내에 하우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6 의 하우징의 선 III-III 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6 의 하우징의 선 IV-IV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6 의 하우징이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3 은 도 11 의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4 는 도 11 의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15 는 도 11 의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16 은 도 12 의 선 V-V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2의 선 VI-VI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 은 도 12 의 선 VII-VII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 는 장착 터미널(4a)(5a) 및, 리이드 전극 (4)(5)을 일체로 몰드 형성함으로써 얻어진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 은 장착 터미널(6)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 은 압전 장치가 하우징내에 하우징되기 전에 압전 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 는 압전 장치가 하우징내로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3 은 압전 장치를 하우징하는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24 는 도 23 의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25 는 도 23 의 선 VIII-VIII 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26 은 도 23 의 선 IX-IX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27 은 도 23 의 선 X-X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 는 도 28 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30 은 도 28 의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31 은 도 29 의 선 XI-XI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32 는 도 30 의 선 XII-XII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33 은 압전 장치(106)가 하우징(21)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4 는 본 출원인에 의해서 이전에 제안된 압전 장치 구조의 일부를 개량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전 변압 장치에 대한 하우징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회로 기판상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은 다음의 배치를 가진다.
수지로 제작되고 일 평면에 형성된 제 1 의 외측 전극을 가지는 압전 변압 장치를 하우징하도록 적합화된 압전 변압 장치 하우징이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하우징의 저부 부분은 그 안에 압전 변압 장치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가지고, 하우징의 상부 부분은 전압을 외측 전극에 적용하는 리이드 전극을 가지며, 리이드 전극은 외부 전극들이 리이드 전극과 접촉하였을때 복원력을 생성하는 탄성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형성되고, 압전 변압 장치가 하우징될때 압전 변압 장치의 진동의 노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하우징의 두 내측면의 부분들은 하우징의 저부 부분측상의 멈춤쇠와 같은 부분을 가진 제 1 돌출부를 가지고, 압전 변압 장치는 리이드 전극, 제 1 돌출부 및, 제 1 돌출부의 멈춤쇠와 같은 부분들을 이용함으로써 하우징내에 지지된다. 이러한 장치는 압전 변압 장치를 하우징의 제 1 측상에 하우징하는 단계를 단순화하며, 하우징이 회로 기판상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압전 변압 장치의 제 1 측은 리이드 전극에 의해서 발생된 복원력으로써 멈춤쇠와 같은 부분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것은 압전 변압 장치의 제 1 측이 하우징내에 신뢰성있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스럽게는, 예를 들면, 압전 변압 장치가 하우징될때 압전 변압 장치의 제 2 측의 진동 노드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우징의 내측 상부 표면의 일부는 제 2 돌출부를 더 가지며, 압전 변압 장치의 제 2 측은 제 1 돌출부, 제 1 돌출부의 멈춤쇠와 같은 부분 및, 제 2 돌출부를 사용함으로써 하우징내에 지지된다. 이것은 압전 변압 장치를 하우징의 제 2 측내에 하우징시키는 단계를 용이하게 하며, 하우징이 회로 기판상에 용이하게 장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바람직스럽게는, 압전 변압 장치가 제 2 돌출부와 접촉할때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제 2 돌출부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압전 변압 장치의 제 2 측은 복원력을 사용함으로써 멈춤쇠와 같은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이것은 압전 변압 장치의 제 2 측이 하우징내에 신뢰성있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전 변압 장치용의 하우징은 다음의 장치를 가진다.
수지로 제작되고 일 평면에 형성된 제 1 의 외측 전극을 가지는 압전 변압 장치를 하우징하도록 적합화된 압전 변압 장치 하우징이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하우징의 저부 부분은 그 안에 압전 변압 장치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하우징의 상부 부분은 전압을 외측 전극에 적용하도록 리이드 전극을 가지고, 상기 리이드 전극은 외측 전극들이 리이드 전극과 접촉하였을때 복원력을 생성하는 탄성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형성되며, 압전 변압 장치가 하우징될때 압전 변압 장치의 진동의 노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하우징의 두 내측 표면의 부분들은 폭 방향에서 압전 변압 장치의 측면 형상에 맞게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고, 압전 변압 장치는 돌출부를 사용함으로써 하우징내에 지지된다. 이것은 압전 변압 장치를 하우징내에 하우징하는 단계를 용이하게 하며, 하우징이 회로 기판상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스럽게는, 하우징은 가요성 수지로 몰드 형성되며, 압전 변압 장치는 압전 변압 장치가 하우징내에 하우징될때 하우징의 두 측면상에 발생된 복원력으로써 돌출부를 통해서 클램핑된다.
상기 장치들중 하나를 가지는 하우징에 있어서, 바람직스럽게는, 하우징을 회로 기판상에 장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착 터미널과 리이드 전극들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압전 변압 장치의 제 2 외측 전극에 연결된 리이드 와이어 및, 하우징을 회로 기판상에 장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착 터미널을 더 구비함으로써, 하우징을 회로 기판상에 용이하게 장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며,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면을 통해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아래에 설명될 각 구현예에서, 압전 장치는 λ 모드로 구동된다. 그러나, 명백하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압전 장치는 λ/2 또는 λ/3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압전 장치는 본 발명의 하우징내에 하우징된다. 그러나, 명백하게, 하우징내에 하우징될 수 있는 압전 장치는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길이 방향에서 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된 내측 전극을 가지는 압전 장치가 하우징내에 하우징될 수 있다.
(제 1 구현예)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는 도 11 내지 도 28 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제 1 구현예에 따른 하우징의 외측 형상이 우선 설명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3 은 도 11 의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4 는 도 11 의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 은 압전 장치가 그 안에 하우징되기 이전에 하우징(1)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현예의 하우징(1)은 저부 부분에 개구부를 가지는 박스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1)은 절연성 수지 및, 복수개의 금속 터미널을 사용하는 하우징 본체로써 주로 구성된다. 압전 장치는 케이스의 저부 표면측으로부터 삽입된다. 따라서 하우징(1)은 그 안에 하우징될 압전 장치의 체적보다 큰 체적을 가진다. 하우징(1)의 우측 및, 좌측 절반 영역은 이후에 제 2 및, 제1 영역으로서 각각 지칭될 것이다.
제 1 의 장착 터미널로서 두개의 금속 장착 터미널(4a,5a)은 길이 방향에서 하우징(1)의 제 1 영역의 단부면상에 형성된다. 제 2 의 장착 터미널로서의 금속 장착 터미널(6)은 길이 방향에서 제 2 영역의 단부면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 터미널은 하우징(1)을 회로 기판상에 장착하는 역할을 하고, 그리고 압전 장치의 외측 및 출력 전극의 리이드 전극들로서 케이스내에 하우징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됨)
개구부(7)는 하우징(1)의 제 1 영역의 상부 부분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7)내에, 판 스프링 형태의 탄성 금속 리이드 전극(4,5)이 하우징(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출부로서의 돌출부(2)는 압전 장치가 케이스내에 하우징될때 압전 장치의 진동의 노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우징(1)의 제 1 영역의 내측상에 형성된다.
하우징(1)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한 제 2 돌출부로서의 돌출부(3)는 하우징(1)의 제 2 영역 내측 상부 표면상에 형성된다. 돌출부(2)와 유사하게, 이러한 돌출부(3)는 압전 장치의 진동의 노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리이드 와이어가 그것을 통해서 연장되는 슬릿(8)이 제 2 영역의 측표면에 형성된다. 슬릿은 압전 장치의 진동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착 터미널(6)에 압전 장치의 제 2 전극을 연결시키는 리이드 와이어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진다.
하우징(1)의 내부 구조는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15 는 도 11 의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16 은 도 12 의 선 V-V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2 의 선 VI-VI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 은 도 12 의 선 VII-VII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각 돌출부(2)는 도 17 (제 1 영역)과 도 18 (제 2 영역)에 도시된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1)의 저부 부분(하부 측)상의 각 돌출부(2)의 멈춤쇠와 같은 부분은 테이퍼진다. 제 1 및, 제 2 영역에서, 하우징(1)의 두 내측상의 돌출부(2) 사이의 거리(W)는 하우징될 압전 장치의 폭과 같다.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이드 전극(4,5)의 저부 표면으로부터 하우징(1)의 두 측상의 돌출부(2) 직각 부분(X1)을 연결하는 평면으로의 거리(D1)는 압전 장치의 두께보다 작다.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의 저부 표면으로부터 하우징(1)의 두 측상의 돌출부(2) 직각 부분(X1)을 연결하는 평면으로의 거리(D2)는 압전 장치의 두께보다 작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돌출부(3)는 하우징(1)의 것과 같은 재료로 제작된다. 돌출부(3)는 도 18 에 도시된 형상으로 몰드 형성되므로, 도 18 의 하부측으로부터 돌출부(3)의 저부 표면으로 가해진 외력에 대하여 탄성력을 나타낸다.
제 1 영역에 형성된 장착 터미널(4a,5a)과 리이드 전극은 일체로 몰드 형성되며, 이것은 도 19 의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다. 하우징(1)의 몰딩 과정에서, 상기 부재들은 도 15 및, 도 16 에 도시된 상태로 하우징(1)내에 함입된다. 더욱이, 도 19 의 부분(L1)은 압전 장치의 진동 노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 2 영역의 단부면상에 형성된 장착 터미널(6)은 도 20 의 사시도에 도시된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1)을 몰딩하는 과정에서, 장착 터미널(6)은 도 15 및, 도 16 에 도시된 상태로 하우징(1)내에 함입된다. 장착 터미널(6)은 압전 변압기의 제 2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리이드 와이어를 유지하는 돌출부(6a)를 가진다.
압전 장치를 하우징(1)내에 하우징시키는 과정이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압전 장치(106)는 도 21 에 도시된 상태로 하우징(1)내에 하우징되며, 여기에서 리이드 와이어(105)는 제 2 전극(103)에 납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 장치(106)가 하우징(1)의 저부 부분에 대해서 가압된다. 다음에, 압전 장치(106)는 장치(106)가 정지될때까지 케이스의 상부 표면을 향해서 하우징(1)내로 삽입된다. 하우징(1)의 돌출부(2)의 멈춤쇠 같은 부분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테이퍼졌기 때문에, 장치가 하우징(1)의 저부 부분에 대하여 가압될때, 하우징(1)의 측면은 도 2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가 케이스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굽혀진다.
그 안에 하우징된 압전 장치(106)를 가지는 하우징(1)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23 은 그 안에 하우징된 압전 장치를 가지는 하우징(1)의 평면도이다. 도 24 는 도 23 의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25 는 도 23 의 선 VIII-VIII 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6 은 도 23 의 선 IX-IX 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7 은 도 23 의 선 X-X 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내에 하우징된 압전 장치(106)는 장치의 진동 노드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하우징(10)의 돌출부(2)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17 의 거리(D1)은 압전 장치(106)의 삽입시에 도 26 의 거리(D3)로 변화된다. 거리(D1)와 거리(D3) 사이의 관계는 D3 > D1 으로서 한정된다. 거리(D1)과 거리(D3) 사이의 차이는 판 스프링 형태인 리이드 전극(4,5)이 도 26 에서와 같이 상방향으로 편향될때 발생된다. 이러한 편향량은 힘(P)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그러한 힘으로써 리이드 전극(4,5)은 압전 장치(106)를 도 26 에서 하방향으로 밀어낸다. 압전 장치(106)는 돌출부(2)의 단부 부분의 직각 부분(X1)과 힘(P)으로써 접촉하게 되므로, 압전 장치(106)는 하우징(1)의 제 1 영역내에 고정된다.
편향량에 의해 발생된 힘(P)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서 리이드 전극(4,5)의 형상과 재료로부터 얻어진다.
P [Kg] = bh2σ/6L
여기에서 b [mm] 는 각 리이드 전극의 폭이며, h [mm] 는 각 리이드 전극의 두께이고, σ [kg/mm2] 은 굽힘 응력이며, 그리고 L [mm] 는 지점으로부터의 각 리이드 전극의 길이이다.
본 출원인은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의 적용시에 연결 분리를 야기함이 없이 압전 장치(106)를 하우징(1)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데 필요하였던 힘(P)의 크기를 검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약 10 [g] 의 무게인 압전 장치(106)를 하우징(1)내에 고정하는데는 약 4 [kg]의 힘이 필요하였다는 점이 밝혀졌다. 리이드 전극(4,5)과 돌출부(3)에 의해서 발생된 이러한 힘은 압전 장치(106)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압전 장치(106)를 하우징(1)내에 하우징시키는 반면에, 도 2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의 저부 표면 부분은 압전 장치(106)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며, 그리고 돌출부(3)는 도 27 에서 상방향으로 편향된다. 이러한 이유로, 압전 장치(106)를 하방향으로 밀어내는 힘(P')은 돌출부(3)의 저부 표면 부분에 작용한다. 압전 장치(106)가 돌출부(2)의 단부 부분의 직각 부분(X2)과 접촉하게 되므로, 압전 장치(106)는 하우징(1)의 제 2 영역내에 고정될 수 있다.
압전 장치(106)가 하우징(1)내에 하우징되는 반면에, 리이드 전극(4,5)은 압전 변압기의 제 1 전극으로서 외측 전극(101,102)과 접촉한다. 따라서, 입력 전압이 장착 터미널(4a,5a)에 가해질때, 전압이 압전 장치(106)의 제 1 전극에 가해질 수 있다.
압전 장치(106)의 외측 전극(103)에 납땜된 리이드 와이어(105)는 도 14 에서 슬릿(8)을 통해서 하우징(1)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장착 터미널(6)에 연결된다. 이러한 리이드 와이어(105)는 장착 터미널(6)에 납땜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돌출부는 납땜을 용이하게 하도록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터미널(6)상에 형성된다.
도 23 내지 도 25 에 도시된 상태의 하우징(1)은 장착 터미널(4a,5a 및, 6)을 회로 기판상에 형성된 패턴에 납땜시킴으로써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다.
도 11 과 도 12 에 설명된 개구부(7)의 형성은 하우징(1)용의 몰드 디자인 단계의 수와 제조 비용을 줄이도록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명백하게, 개구부(7)는 압전 장치(106)가 하우징(1)내에 하우징되는 동안 압전 장치(106)의 외측 전극과 리이드 전극 사이의 연결 상태의 검사를 용이하게 하도록, 그리고 필요한 바로서, 압전 변압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개구부(7)를 통한 납땜이나 또는 도전성 접착제로써 압전 장치(106)의 외측 전극과 리이드 전극 사이의 용이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개구부(7)가 하우징(1)내에 형성되었을때, 개구부(7)의 일부 또는 전부는 압전 장치(106)가 하우징(1)내에 하우징되고 그것의 저장 상태가 점검된 이후에 안전을 고려하여 절연 시이트로 덮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 제 1 구현예의 효과 >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현예에 따른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에 따르면, 압전 장치(106)는 그것을 단지 케이스의 저부 부분 측으로부터 케이스 내로 밀어넣음으로써 하우징(1)내에 용이하게 하우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1) 제 1 영역에 있어서, 압전 장치(106)는 하우징(1)의 저부 부분상에 돌출부(2)의 멈춤쇠와 같은 부분과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 탄성 리이드 전극(4,5)의 편향시에 발생되는 힘(P)으로써 그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것은 그 어떤 접착제를 사용함이 없이 하우징(1)내에 압전 장치(106)를 고정될 수 있게 한다.
(2) 제 2 영역에서, 압전 장치(106)는 하우징(1)의 저부 부분상에서 돌출부(2)의 멈춤쇠와 같은 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하우징(1)용의 재료와 같은 재료로 제작된 돌출부(3)의 편향시에 발생된 힘(P')으로써 그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것은 그 어떤 접착제를 사용함이 없이 압전 장치(106)가 하우징(1)내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3) 리이드 전극(4)(5)과 장착 전극(4a)(5a)은 탄성의 금속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리이드 전극은 압전 장치(106)의 외측 전극(101,102)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압전 장치(106)의 제 1 리이드 와이어를 납땜하는 단계를 생략하게 된다.
(4) 하우징(1)은, 압전 장치(106)를 하우징하는 하우징(1)이 장착 터미널(4a,5a 및, 6), 즉 세 부분을 회로 기판상의 회로 패턴에 연결함으로써 회로 기판상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접착제로써 회로 기판상에 하우징(1)을 접합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5) 하우징(1)의 상부 부분내 개구부(7)의 형성은, 압전 장치(106)가 하우징(1)내에 하우징된 동안에, 압전 장치(106)의 외측 전극과 리이드 전극 사이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점검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개구부(7)로써, 리이드 전극은 필요에 따라서 도전성 접착제 또는 납땜등에 의해 압전 장치(106)의 외측 전극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구현예]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는 도 28 내지 도 33 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우징(21)의 외측 형상이 우선 설명될 것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 는 도 28 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 에 도시된 하우징(21)에서, 리이드 전극(24,25), 장착 터미널(24a,25a) 및, 장착 터미널(26)은 각각 위에서 설명된 제 1 구현예의 리이드 전극(4,5), 장착 터미널(4a,5a) 및, 장착 터미널(6)의 것과 같은 구조 및, 기능을 가지며, 따라서 그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이러한 구현예에 따른 하우징(21)의 구조적인 특성은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30 은 도 28 의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31 은 도 29 의 선 XI-XI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32 는 도 30 의 선 XII-XII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30 내지 도 3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현예에서, 저부 부분 측상의 하우징(21)의 폭은 상부 측상의 하우징(21)의 폭보다 작다.
더욱이, 이러한 구현예에서, 제 1 돌출부로서의 돌출부는 압전 장치(106)를 하우징(21)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1 영역(도 31)과 제 2 영역(도 32)내에 사용된다.
제 1 구현예에서와 같이, 돌출부(22)는 하우징(21)의 저부 부분상에 형성된 멈춤쇠와 같은 부분을 가지고, 멈춤쇠와 같은 부분들은 직각 부분(X1, X2)를 가지며, 상기 직각 부분과 압전 장치(106)는 접촉하게 된다. 멈춤쇠 같은 부분들도 테이퍼진다.
하우징(21)의 상부 표면상의 돌출부(22)는 압전 장치(106)가 접촉하게 되는 직각 부분(Y1,Y2)을 가진다. 따라서 하우징(21)은 제 1 구현예의 돌출부(3)를 가지지 아니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하우징(21)의 이러한 구조로써, 압전 장치(106)가 하우징(21)내에 삽입된 이후에, 압전 장치(106)는 도 30 내지 도 32 에 도시된 형상으로 하우징(21)을 복원시키려고 하는 복원력(Pr)을 사용함으로써 고정된다. 이러한 구현예와는 달리, 제 1 구현예는 리이드 전극의 편향시에 발생된 힘(P)과, 수지 돌출부의 편향시에 발생된 힘(P')을 사용한다.
도 33 은 도 29 에서 선 XI-XI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며, 압전 장치(106)가 하우징(21)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압전 장치(106)가 하우징(21)내에 삽입되었을때, 도 31 및, 도 32 에 도시된 저부측상의 하우징(21)의 폭(W2)은 도 3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W2')으로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하우징(21)의 저부 부분의 형상은 케이스의 상부 표면 부분의 형상(직사각형)과 거의 같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21) 자체는 도 30 내지 도 32 에 도시된 형상으로 몰드 형성되므로, 길이 방향에서의 하우징(21)의 측면은 케이스의 외측으로 편향된다. 돌출부(22)는 측 표면 부분을 최초 형상으로 복원시키려고 하는 복원력(Pr)으로써 도 33 의 화살표 방향에서 압전 장치(106)를 클램프할 수 있다. 이것은 압전 장치(106)의 진동의 노드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압전 장치(106)가 돌출부(22) 및, 직각 부분(X1,X2,Y1,Y2)과 함께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도 개구부(27)가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개구부(27)는 제 1 구현예에서 설명된 이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 제 2 구현예의 효과 >
(1) 하우징(21)의 전체 측 표면 부분을 최초 형상으로 복원시키려는 복원력(Pr)은 압전 장치(106)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므로, 장치는 제 1 구현예에서보다 큰 힘으로 고정될 수 있다.
(2) 복원력(Pr)은 압전 장치(106)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므로, 제 1 구현에에서의 돌출부(3)의 형성은 생략될 수 있다. 이것은 하우징(1)용의 몰드를 설계하는 단계와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3) 복원력(Pr)은 압전 장치(106)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므로, 제 1 구현예에서 리이드 전극(4,5)보다 작은 탄성을 가지는 부재들이 리이드 전극(24,25)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압전 변압기를 구성하는 부재의 단위 비용을 감소시킨다.
돌출부(22)는 테이퍼지기 때문에, 압전 장치(106)는 하우징(21)내에 용이하게 하우징될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21)은 세개의 장착 터미널로써 회로 기판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개구부(27)를 형성함으로써 획득되는 효과에 더하여, 제 1 구현예의 효과들과 같다.
< 구현예의 수정>
각 구현예에 있어서, 도 21 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압전 장치는 하우징되는 압전 장치의 예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외측 전극(103)이 압전 장치(106)의 단부 부분상에 형성되고 리이드 와이어(105)가 외측 전극(103)에 연결되는 구조는, 압전 장치 자체의 진동이 가능한한 많이 억제되지 않아야 하는 관점에서 그리고 대량 생산의 제조 단계 수가 최소화되어야만 하는 관점에서 최적의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해서 이전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9-148232 호에 개시된 압전 장치의 구조에 기초한, 도 34 의 구조를 가진 압전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제 9-148232 호는 본 출원이 출원되었을때 공중의 심사에 공개되지 않았던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더욱이, 본 출원인은 우선권의 주장으로서 본 출원을 포함하여 국제 출원 번호 PCT/JP97/02383 (그리고 대만 특허 출원 제 86109729 호)를 제출하였다.
도 34 는 본 출원인에 의해서 이전에 제안된 압전 장치 구조의 부분에 대한 수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4 를 참조하면, 압전 장치(206)의 좌측의 내측 영역은 위에서 설명한 압전 장치(106)의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그물과 같은 제 2 출력 전극은 압전 장치(206)의 우측 단부 부분에 근접한 내측 영역내에 형성되며, 출력 전극용의 리이드 전극으로서 출력 전극(203)은 압전 장치(206)의 진동의 노드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장치의 제 2 측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도 3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전극(203) 및, 그물과 같은 제 2 출력 전극은 장치의 표면상에 형성된 리이드 전극을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두개의 내측 전극 그룹에 각각 연결된 주 입력 전극(201,202), 외측 전극(203) 및, 외측 전극(203)을 그물과 같은 제 2 출력 전극에 연결하는 리이드 전극들만이 압전 장치(206)의 같은 상부 표면상에 노출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압전 장치(206)가 위에서 설명한 각 구현예의 하우징내에 하우징되는 경우를 고려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압전 장치(206)가 그 안에 고정되는 하우징은 위에서 설명된 하우징(1 또는 21)의 구조에 기초하는 다음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전극(201,202)에 연결되는 하우징의 제 1 영역은 하우징(1 또는 21)의 제 1 영역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명백히, 제 2 측상에서 외측 전극(203)에 연결되는 하우징의 제 2 영역은, 장착 터미널과 리이드 전극을 하우징(1 또는 21)의 제 2 영역의 구조와 맞게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획득되는 하나의 부재를 가질 수 있다 (도 19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은 압전 장치(206)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압전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압전 장치의 제 2 측상의 리이드 와이어가 생략될 수 있다. 이것은 대량 생산을 위한 단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압전 변압기로서의 장치의 적절한 작동이 보장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상기에 설명된 각 구현예에 따라서, 압전 변압 장치에 대한 하우징 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하우징이 제공되고 그리고 회로 기판상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것은 압전 변압기의 대량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많은 다양한 구현예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청구 범위에 한정된 것을 제외하고 특정한 구현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은 압전 변압 장치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수지로 제작되고 하나의 평면에 형성된 제 1 외측 전극(101,102)을 가진 압전 변압 장치(106)를 하우징하도록 적합화된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저부 부분은 압전 변압 장치가 그 안에 삽입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 부분은 상기 외측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리이드 전극(4,5)을 가지며, 상기 리이드 전극은 상기 외측 전극이 상기 리이드 전극과 접촉할때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압전 변압 장치가 하우징될때 상기 압전 변압 장치의 진동의 노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두 내측 표면의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저부 부분측상에 멈춤쇠와 같은 부분(X1,X2)을 가진 제 1 돌출부(2)를 가지며;
    상기 압전 변압 장치는 상기 리이드 전극,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의 상기 멈춤쇠와 같은 부분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변압 장치의 제 1 측은 상기 리이드 전극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으로써 상기 멈춤쇠와 같은 부분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변압 장치가 하우징될때 상기 압전 변압 장치의 제 2 측의 진동의 노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 표면의 일부는 제 2 돌출부(3)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압전 변압 장치의 제 2 측은 상기 제 1 돌출부, 상기 제 1 돌출부의 멈춤쇠와 같은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변압 장치가 상기 제 2 의 돌출부와 접촉할때 상기 제 2 돌출부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압전 변압 장치의 제 2 측은 복원력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멈춤쇠와 같은 부분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5. 제 1 항 및,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와 같은 부분들은 상기 압전 변압 장치를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6. 수지로 제작되고 하나의 평면에 형성된 제 1 외측 전극(101,102)을 가지는 압전 변압 장치(106)를 하우징하도록 적합화된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의 저부 부분은 그 안에 상기 압전 변압 장치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 부분은 상기 외측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리이드 전극(24,25)을 가지고, 상기 리이드 전극은 상기 외측 전극이 상기 리이드 전극과 접촉할때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압전 변압 장치가 하우징될때 상기 압전 변압 장치의 진동의 노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상기 하우징의 두 내측 표면의 부분들은 상기 압전 변압 장치의 측 표면의 형상과 폭 방향으로 맞도록 형성된 돌출부(22, X1, X2, Y1, Y2)를 가지고,
    상기 압전 변압 장치는 상기 돌출부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부측상에 위치한 상기 돌출부의 부분은 상기 압전 변압 장치를 상기 하우징내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가요성 수지로써 몰드 형성되고, 상기 압전 변압 장치는 상기 압전 변압 장치가 상기 하우징내에 하우징될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두 측 표면상에 발생된 복원력으로써 상기 돌출부를 통해서 클램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9. 제 1 항 및,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회로 기판상에 장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착 터미널(4a,5a,24a,25a)과 상기 리이드 전극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10. 제 1 항 및,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드 전극의 일 단부 부분은 상기 압전 변압 장치의 제 1 측의 진동 노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외측 전극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11. 제 1 항 및,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변압 장치의 제 2 외측 전극(103)에 연결된 리이드 와이어(105) 및, 상기 하우징을 회로 기판상에 장착시키는데 사용된 장착 터미널(6,2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터미널은 리이드 와이어를 유지하기 위한 돌출부(6a,26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13. 제 1 항 및,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7,27)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리이드 전극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개구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절연 시이트로 덮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변압 장치용 하우징.
KR1020007003409A 1997-09-29 1998-06-29 압전기의 변압기 장치용 하우징 KR100345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64616A JPH11103101A (ja) 1997-09-29 1997-09-29 圧電トランス素子の収納ケース
JP9-264616 1997-09-29
PCT/JP1998/002906 WO1999017384A1 (en) 1997-09-29 1998-06-29 Housing for piezoelectric transform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669A true KR20010015669A (ko) 2001-02-26
KR100345348B1 KR100345348B1 (ko) 2002-07-26

Family

ID=1740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409A KR100345348B1 (ko) 1997-09-29 1998-06-29 압전기의 변압기 장치용 하우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262518B1 (ko)
EP (1) EP1027739B1 (ko)
JP (1) JPH11103101A (ko)
KR (1) KR100345348B1 (ko)
CN (1) CN1271466A (ko)
AT (1) ATE234511T1 (ko)
DE (1) DE69812142T2 (ko)
HK (1) HK1030099A1 (ko)
TW (1) TW376591B (ko)
WO (1) WO19990173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556B1 (ko) * 2002-04-11 200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8176A1 (de) * 1999-06-19 2001-01-04 Bosch Gmbh Robert Piezoaktor
BRPI0408269B1 (pt) * 2003-03-10 2017-06-27 Diebold, Incorporated Apparatus for separating a note from a batch of notes on an automatic bank machine and method
US7139218B2 (en) * 2003-08-13 2006-11-21 Intelliserv, Inc. Distributed downhole drilling network
TWI453961B (zh) * 2011-11-07 2014-09-21 Nat Univ Chung Hsing 雙邊固定式懸臂樑壓電變壓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2194A (en) 1970-07-08 1972-05-09 Juichi Moriki High-voltage piezoelectric transformer housed with diodes
JPS4885906A (ko) 1971-12-27 1973-11-14
EP0730312B1 (en) * 1995-02-28 2003-07-30 Nec Corporation Packaged piezoelectric transformer unit
JP3516183B2 (ja) * 1995-07-18 2004-04-05 Necトーキン株式会社 ケース付き圧電トランス
US5998909A (en) * 1996-05-15 1999-12-07 Tokin Corporation Piezoelectric transformer
JP2885188B2 (ja) * 1996-06-19 1999-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
DE69724437T2 (de) * 1996-07-12 2004-07-15 Taiheiyo Cement Corp. Piezoelektrische transformatoranordnung
JP3080153B2 (ja) * 1997-08-15 2000-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556B1 (ko) * 2002-04-11 200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트랜스 장치, 압전트랜스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7739B1 (en) 2003-03-12
US6262518B1 (en) 2001-07-17
JPH11103101A (ja) 1999-04-13
DE69812142T2 (de) 2004-02-05
EP1027739A1 (en) 2000-08-16
CN1271466A (zh) 2000-10-25
WO1999017384A1 (en) 1999-04-08
DE69812142D1 (de) 2003-04-17
KR100345348B1 (ko) 2002-07-26
TW376591B (en) 1999-12-11
ATE234511T1 (de) 2003-03-15
HK1030099A1 (en) 200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2446B1 (en) Piezoelectric oscillator component, structure for supporting piezoelectric oscillator and method of mounting piezoelectric oscillator
KR100345348B1 (ko) 압전기의 변압기 장치용 하우징
KR100258750B1 (ko) 압전트랜스포머
JP3079970B2 (ja) 圧電トランス
KR100323366B1 (ko) 압전변환기
US6833653B2 (en) Piezoelectric transformer device and housing for piezoelectric transform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m
JP5318337B2 (ja) 圧電トランス及びその実装方法
JP4592861B2 (ja) 圧電トランス
JPH0973960A (ja) コネクタ
JPH11121827A (ja) 圧電トランス電源の実装構造
JPH11112267A (ja) 圧電振動子の実装構造および圧電振動子の実装方法
KR200211572Y1 (ko) 압전트랜스용 리드프레임
JP2000306710A (ja) 電子部品
JPH05182727A (ja) 電磁開閉機器用の端子台
JPH11284245A (ja) 圧電トランスの実装構造
JPH08102561A (ja) 圧電トランス
JP2002171005A (ja) 圧電トランス
JP2000307375A (ja) 圧電部品
JPH11103100A (ja) 圧電トランス
JP2002171007A (ja) 圧電トランス
JP2007150131A (ja) 圧電トランス
JPH07111433A (ja) 圧電部品の実装構造
JPH06334234A (ja) 圧電トランス
KR20000040782A (ko) 압전트랜스의 기판 결합장치
JP2002094137A (ja) 圧電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