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174A - 기록/재생장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및 기록/재생방법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및 기록/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174A
KR20010015174A KR1020000038198A KR20000038198A KR20010015174A KR 20010015174 A KR20010015174 A KR 20010015174A KR 1020000038198 A KR1020000038198 A KR 1020000038198A KR 20000038198 A KR20000038198 A KR 20000038198A KR 20010015174 A KR20010015174 A KR 20010015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data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4985B1 (ko
Inventor
노로마사히코
쿠마가이아츠히로
사카마미츠노리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1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11B23/0316Constructional details, e.g. sh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2Auxiliary features
    • G11B23/0305Semiconductor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7Containers with interchangeabl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ource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기록매체의 배출 및 재장착에 의한 리셋을 하지 않고 절전모드에서 탈출을 행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및 기록/재생방법을 제안한다.
이 FD드라이브장치(20)는,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FD형 카드 어댑터(1)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와,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FD형 카드어댑터(1)의 수광소자(8)에 소정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발광소자(30)를 갖췄으므로, FD형 카드 어댑터(1)를 배출 및 재장착에 의해 리셋하지 않고, 제어데이터의 통신에 의해 FD형 카드 어댑터(1)를 절전모드에서 복귀시켜서 임의의 제어상태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및 기록/재생방법{Record reproducing apparatus, record medium adaptor and record re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록매체로 바꿔서, 다른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는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기록/재생장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및 기록/재생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종래, 외형 형태가 도 10에 나타내는 플로피디스크(100)나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 테이프와 같이 형성되고, 기존의 기록/재생장치에 장착 또는 배출이 가능하며, 도 11에 나타내는 FD형 카드 어댑터(111)와 같이, 내부에 기록/재생장치의 기록/재생수단과 데이터 변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의 기입/독출장치(114)와, 반도체 메모리 혹은 메모리 카드(119)와, 메모리와 인터페이스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수수를 컨트롤하는 프로세서(115)와, 전원으로서 전지(117)(배터리) 혹은 도시하지 않은 발전유닛 또는 양자를 갖는 데이터 기록매체(미국특허 제 5, 159, 182호)가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록매체에서는, 기록매체내의 전지(117)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기록/재생장치가 기록매체에 대하여 수분간 조작을 하지 않으면 기록매체의 프로세서(115)가 절전모드에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일단 절전모드에 들어가면, 기록매체의 메인스위치(113)를 리셋하지 않는 한, 이 절전모드를 탈출할 수 없었다. 이 경우, 기록매체를 기록/재생장치에서 배출하여 재장착함으로써, 리셋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상술한 기록매체의 구성상, 충분한 용량의 전지(117)를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전력의 소비를 억제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기록/재생장치의 용도에 따라서는 절전모드로부터의 탈출을 위해, 빈번한 기록매체의 빼고 넣기를 행하는 것은 내구성상 문제가 있는 동시에 사용상 번거롭고, 더구나 일단 장착을 리셋하면 재사용을 위해 시간이 걸린다는 불편이 있었다.
구체적인 기록매체로서의 FD형 카드 어댑터의 구조 및 메인스위치의 ON·OFF의 방식을 이하에 나타낸다. 도 10은 플로피디스크(FD)(100)를 나타내고, 도 11은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FDD)용의 FD형 카드 어댑터(111)이다. 도 10에 있어서, 플로피디스크(FD)(100)를 FDD에 장착하면 FDD의 개폐레버(102)가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좌편 및 하편으로 이동함으로써, 셔터(101)가 탄성적으로 도시와 같이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또, 플로피디스크(FD)(100)를 FDD에서 배출하면 FDD의 개폐레버(102)가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편 및 우편으로 이동함으로써, 셔터(101)가 탄성적으로 차폐위치로 이동된다.
또, 도 11에 있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FD형 카드 어댑터(111)를 FDD에 장착되면, 상술한 FDD의 개폐레버(102)가 마찬가지로 좌편 및 하편으로 이동함으로써, 셔터창(120)이 탄성적으로 도시와 같이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액츄에이터(112)가 실선에서 점선의 위치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동함으로써, 스위치(113)의 접점이 개방(ON)된다. 또, FD형 카드 어댑터(111)를 FDD에서 배출하면 상술한 FDD의 개방레버(102)가 마찬가지로 상편 및 우편으로 이동함으로써, 셔터창(120)이 탄성적으로 차폐위치로 이동되어 액츄에이터(112)가 점선에서 실선의 위치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함으로써 스위치(113)의 접점이 차단(OFF)된다. 이와 같이, FD형 카드 어댑터(111)가 FDD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은, FDD의 개폐레버(102)가 액츄에이터(112)를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탄성적으로 밀어붙이기 때문에, FD형 카드 어댑터(111)를 FDD에서 배출하여 재장착하지 않으면 스위치(113)를 ON·OFF하여 프로세서(115)에 대하여 리셋을 행할 수 없게 된다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록매체의 배출 및 재장착에 의해 리셋을 절전모드로부터의 탈출을 행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및 기록/재생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수단과, 기록매체로 바꿔서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는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에 의해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기록매체 어댑터와의 사이에서 기록/재생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을 갖추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는,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기록매체로 바꿔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다른 기록매체와,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는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수단과, 검출수단에 의해 기록/재생장치에 장착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기록/재생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처리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과를 갖춘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기록/재생방법은,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재생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에,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검출단계에 의해 기록/재생장치에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기록/재생장치와이 사이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단계와, 기록매체로 바꿔서 다른 기록매체로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 또는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된데이터를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단계와를 갖춘 것이다.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및 기록/재생방법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을 한다.
우선, 기록/재생장치는 검출수단에 의해 기록매체의 존재확인을 행한다. 기록매체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는 대기한다. 또, 기록매체가 장착되었을 때는 기록매체의 종류를 확인한다. 기록/재생장치는 시험재생을 행하고, 스위치에 의한 검출이나, 사용허가 기록매체의 데이터의 독입이 되었는지 아닌지 및 기록매체 어댑터장치의 데이터의 독입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종류를 인식한다.
기록매체가 기록매체 어댑터장치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기록매체 어댑터장치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의 모드로 전환한다. 기록/재생장치는 기록/재생수단을 특정의 위치에 고정한다. 또한, 고정위치는 기록매체 어댑터장치의 기입/독출을 행하는 데이터 처리수단과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위치이다.
기록/재생장치는 기록/재생의 요구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기록/재생장치는 직접 입력조작 또는 외부에서 기록 또는 재생의 조작지시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판단한다.
소정 시간내에 기록 또는 재생의 조작지시가 없었을 때는, 절전모드로 이동한다. 기록/재생장치는 기록매체 어댑터장치에 대하여, 전지의 전력의 소비를 저감하는 상태로 시키도록 컨트롤한다.
또, 기록/재생장치는 기록 또는 재생의 조작지시가 있었을 때는, 통신수단에 의해 소정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한다. 외부에서 제어데이터를 통신시키기 위한 컨트롤신호가 공급된다. 그래서, 컨트롤신호에 의거하여 통신을 위한 구동신호를 통신수단에 공급한다. 통신수단은 이 구동신호에 의거하여 통신하고, 제어데이터를 기록매체 어댑터장치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기록매체 어댑터장치의 통신수단은,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액티브상태 제어수단에 공급한다. 그리고, 액티브상태 제어수단은 기록매체 어댑터장치를 절전모드 상태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액티브상태로 제어한다.
기록매체 어댑터장치가 액티브상태로 제어된 후에, 통상 동작이 행해진다. 액티브상태에 있어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입력조작 또는 외부에서 기록 또는 재생의 조작지시에 의거하여 바로 기록매체 어댑터장치의 다른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의 동작이 행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FD형 카드 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FD형 카드 어댑터의 드라이브장치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액티브상태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기록시의 매체판별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액티브상태 제어회로의 회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액티브상태 제어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며, 도 6a는 전지에서 콘덴서에의 충전전압, 도 6b는 전압검출IC 출력, 도 6c는 포토트랜지스터 출력, 도 6d는 NAND회로 출력, 도 6e는 FET스위치 출력, 도 6f는 리셋회로 출력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발광소자측 회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a는 컨트롤 전용신호에 의한 발광, 도 7b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에 의한 발광, 도 7c는 드라이브 선택에 의한 발광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카세트 테이프형 카드 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자기테이프 드라이브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플로피디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FD형 카드 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FD형 카드 어댑터 2. 액츄에이터
3. 스위치 4. 기입/독출장치
5. 프로세서 6. 액티브상태 제어회로
7. 전지 8. 수광소자
9. 메모리카드 10. 셔터창
20. FD 드라이브장치 21. 헤드 유닛
22. 스테핑모터 23. 리드 스크류
24. 캐리지 25. 가이드바
26. 아암 27, 28. 헤드
29. 위치결정 핀 30. 발광소자
31. 드라이브 회로기판 40. 스핀들 유닛
41. 스핀들 하브 42. 스핀들 축
43. 구동핀 51. 콘덴서
52. 포토트랜지스터 53, 56, 73. 저항기
54. 전압검출IC 55. FET스위치
57. 지연회로 58. 오픈 드레인 인버터
59. NAND회로 60. 컨트롤러
61. 전원 제어포트 62. 리셋회로
63. 입력포트 71. 본체측 마이컴
72. 제어포트 74. 발광다이오드
75. 앰프 76. 모터 드라이버
77. 스핀들모터 78. 헤드 앰프
79. 헤드 81. 카세트 테이프형 카드어댑터
82. 기입/독출장치 83. 프로세서
84. 액티브상태 제어회로 85. 수광소자
86. 메모리카드 87. 전지
88. 자기테이프 드라이브장치 89. 발광소자
90. 자기헤드 91, 92. 릴대
93, 95, 96, 97. 롤러 94. 캡스턴
이하, 적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기록/재생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기록매체 어댑터는, 예를 들면 외형 형태가 플로피디스크나 카세트 테이프와 같이 형성되고, 기존의 기록/재생장치에 장착 또는 탈착이 가능하게 되고, 내부에 기록/재생장치의 기록/재생수단과 데이터교환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반도체 메모리 혹은 메모리 카드와, 메모리와 인터페이스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수수를 컨트롤하는 프로세서와, 전원으로서 전지(배터리)를 갖는 데이터 기록매체에 있어서 적용되고, 기록/재생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수단에 의해 제어데이터의 통신이 행해졌을 때,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의 FD형 카드 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FD형 카드 어댑터(1)는, 도 11에 나타내는 FD형 카드 어댑터(111)에 대응하는 것이며, 액츄에이터(113)는 액츄에이터(112)에 대응하고, 스위치(3)는 스위치(113)에 대응하고, 기입/독출장치(4)는 기입/독출장치(114)에 대응하고, 프로세서(5)는 프로세서(115)에 대응하고, 전지(7)는 전지(117)에 대응하고, 메모리 카드(9)는 메모리 카드(119)에 대응한다.
도 1에 나타내는 FD형 카드 어댑터(1)가 도 11에 나타내는 FD형 카드 어댑터(111)와 다른 점은, 기록/재생장치와의 사이에서 제어데이터의 통신이 행해지는 통신수단을 구성하는 수광소자(8)와, 절전모드상태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액티브상태로 제어하는 액티브상태 제어회로(6)와를 설치한 점이다. 기타의 구성은 도 11에 나타내는 FD형 카드 어댑터(111)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의 형태의 FD형 카드 어댑터(1)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한다.
도 11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FD형 카드 어댑터(1)는 전지(7)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소비를 억제하기 위한 기록/재생가 FD형 카드 어댑터(1)에 대하여 수분간 조작을 하지 않으면 프로세서(5)가 절전모드로 들어간다.
이 상태에 있어서, 기록/재생장치가 기록/재생장치로 장착되어 있는 FD형 카드 어댑터(1)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의 조작지시를 행하면, 수광소자(8)에 의해 기록/재생장치와 FD형 카드 어댑터(1)와의 사이에서 제어데이터의 통신이 행해진다. 그러면, FD형 카드 어댑터(1)는 액티브상태 제어회로(6)에 의해 절전모드상태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액티브상태로 제어된다. 액티브상태에 있어서, 기록/재생장치는 바로 기록 또는 재생의 동작을 행한다.
도 2에 본 실시의 형태의 FD형 카드 어댑터의 드라이브장치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다.
우선, FD 드라이브장치(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FD 드라이브장치(20)는, 기록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수단을 구성하고, 기록/재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드라이브 회로기판(31)과, 드라이브 회로기판(31)상에 배치되어서 FD형 카드 어댑터(1)의 수광소자(8)와의 사이에서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발광소자(30)와, FD 또는 FD형 카드 어댑터(1)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위한 헤드의 구동을 행하는 헤드 유닛(21)과를 가지고 구성된다.
또, 헤드 유닛(21)은 드라이브 회로기판(31)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스테핑모터(22)와, 스테핑모터(2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23)와, 리드·스크류(23)의 회전에 따라서 화살표 방향으로 진퇴 이동되는 캐리지(24)와, 캐리지(24)의 진퇴이동을 지시하는 가이드바(25)와, 캐리지(24)의 상면에 일단이 지시된 아암(arm)(26)과, 캐리지(24)의 하면에 지시된 헤드(27)(사이드 0: 반대 라벨측)와, 아암(26)의 타단에 지시된 헤드(사이트 1)와를 가지고 구성된다.
또, 발광소자(30)는 외란대책된 가시광 혹은 외란방지를 위한 적외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발광소자(30)는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통하여 제어데이터를 공급한다. 또, 발광소자(30)를 발광시키기 위한 컨트롤 신호는 FD 드라이브장치(20)를 컨트롤하고 있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스핀들 유닛(40)은, 드라이브 회로기판(31)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스핀들 모터에 의해 제어된다. 스핀들 유닛(40)은 FD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스핀들 허브(41)와, FD의 채킹을 행하여 회전시키는 스핀들축(42) 및 구동핀(43)과를 가지고 구성된다. 또한, 스핀들 유닛(40)은 FD형 카드 어댑터(1)에 대해서는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FD 드라이브장치(20)의 소정 장착부에 화살표 방향으로 FD형 카드 어댑터(1)가 장착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스위치(3)가 ON되고, 헤드(27, 28)는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FD 드라이브장치(20)의 발광소자(30)와 대향하는 위치에 FD형 카드 어댑터(1)의 수광소자(8)가 위치한다. 또한, FD형 카드 어댑터(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액티브상태 제어회로(6)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발광소자(30)를 발광시키기 위한 컨트롤 신호가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을 거쳐서 발광소자(30)에 공급된다. 발광소자(30)는 발광하여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거쳐서 제어데이터를 FD형 카드 어댑터(1)의 수광소자(8)에 공급한다. 수광소자(8)는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수광하여 공급하고, 제어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술한 도 1에 나타내는 액티브상태 제어회로(6)에 공급한다. 액티브상태 제어회로(6)는 프로세서(5)를 절전모드상태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액티브상태로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액티브상태에 있어서 FD 드라이브장치(20)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작지시에 의거하여 바로 메모리 카드(9)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의 동작이 행해진다.
도 3에 본 실시의 형태의 액티브상태 제어동작의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도 3은 상술한 도 2의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상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이다.
도 3에 있어서, 단계(S1)에서 전원을 ON으로 하면, 단계(S2)로 진행하고, 기록매체의 존재확인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개폐레버(102)가 도 1에 나타내는 액츄에이터(2)를 눌러서 소정 위치에 이동한 것을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상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인식함으로써, FD 드라이브장치(20)가 액츄에이터(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서, 스위치(3)를 ON시켰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S2)에서 기록매체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는 단계(S3)로 진행하여 대기한다. 또, 단계(S2)에서 기록매체가 장착되었을 때는 단계(S4)로 진행하여 기록매체의 종류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험재생을 행하고, HD 스위치에 의한 검출이나 사용허가 기록매체(예를 들면, 2HD(양면 고밀도배 트랙타입))의 데이터의 독입이 되었는지 아닌지 및 FD형 카드 어댑터(1)의 데이터의 독입이 되었는지 아닌지로 판단함으로써,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상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인식한다.
단계(S4)에서 기록매체가 FD형 카드 어댑터(1)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단계(S5)로 진행하여 드라이브 회로기판(31)상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FD형 카드 어댑터(1)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의 모드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상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스핀들모터의 회전을 정지하고, 사이드 0의 헤드에서 트랙 00(최외주측)의 위치에 고정한다. 또한, 헤드의 고정위치는 FD형 카드 어댑터(1)의 기입/독출장치와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위치이다.
단계(S6)에서 기록/재생의 요구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상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도시하지 않은 입력수단 또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기록 또는 재생의 조작지시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6)에서 소정 시간내에 기록 또는 재생의 조작지시가 없었을 때는, 단계(S9)로 진행하여 절전모드로 이행한다. 구체적으로는,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FD형 카드 어댑터(1)의 프로세서(5)에 대하여, 전지(7)의 전력의 소비를 저감하는 상태로 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 후, 단계(S6)로 되돌아 간다.
또, 단계(S6)에서 기록 또는 재생의 조작지시가 있었을 때는, 단계(S7)로 진행하여 발광소자를 점등한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발광소자(30)를 발광시키기 위한 컨트롤신호가 FD 드라이브장치(20)에 공급된다. 그래서,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드라이브 회로기판(31)을 통하여 발광을 위한 구동신호를 발광소자(30)에 공급한다. 발광소자(30)는 이 구동신호에 의거하여 발광하고,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통하여 제어데이터를 FD형 카드 어댑터(1)의 수광소자(8)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수광소자(8)는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술한 도 1에 나타내는 액티브상태 제어회로(6)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액티브상태 제어회로(6)는 프로세서(5)를 절전모드상태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액티브상태로 제어한다.
단계(S8)에서 통상 동작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액티브상태에 있어서, FD 드라이브장치(20)에 있어서의 입력수단 또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기록 또는 재생의 조작지시에 의거하여 바로 메모리 카드(9)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의 동작이 행해진다. 그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단계(S9)로 진행하고, 다시 절전모드로 이행하여 단계(S6)로 되돌아 가서, 전원의 절단까지 단계(S6)∼단계(S9)까지의 처리 및 판단을 반복한다.
또, 단계(S4)에서 기록매체가 사용허가 매체(2HD)일 때는 단계(S10)로 진행하고, 사용허가 매체(2HD)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의 모드로 전환하고, 그리고 단계(S11)에서 통상 조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스핀들모터의 회전을 개시하고, 헤드를 데이터가 기록 또는 재생되는 트랙의 위치로 이동하여 기록 또는 재생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 단계(S4)에서 기록매체가 사용불허가 매체(2DD(양면배 밀도배 트랙타입)외)일 때는 단계(S12)로 진행하고, 사용불허가 매체(2DD외)에 대한 모드로 전환하고, 그리고 단계(S13)에서 에러 메시지를 내보낸다. 구체적으로는,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 또는 발음부에 있어서 기록매체가 사용불허가 매체(2DD외)인 취지의 에러 메시지를 표시 또는 발음한다.
도 4에 본 실시의 형태의 매체식별동작의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도 4는 상술한 도 3의 플로차트의 단계(S4)의 매체의 종류확인의 단계에 대응하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도 2의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이다. 도 3의 플로차트의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를 괄호로 나타낸다.
단계(S20)(S4)에서 기록매체의 종류확인의 판별을 개시하면, 단계(S21)에서 매체 스위치는 2HD인지 2DD외인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2HD의 기록매체로 설치되어 있는 소정의 구멍을, 예를 들면 투과형의 HD스위치에 의해 검출하면 기록매체는 2HD라고 판별하고, 구멍을 검출하지 않으면 2DD외라고 판별한다.
단계(S21)에서 매체스위치가 기록매체는 2DD외라고 판별하였을 때는 단계(S22)(S13)로 진행하고, 에러 메시지를 내보낸다. 또, 단계(S21)에서 매체스위치가 기록매체가 2HD라고 판별하였을 때는 단계(S23)로 진행하고, 디스크 모터를 ON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상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스핀들모터의 회전을 개시한다.
단계(S24)에서 매체정보의 독입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헤드를 기록트랙에 이동시켜서 디스크상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소정량만큼 시험재생한다. 단계(S24)에서 매체정보의 독입이 되었을 때는 단계(S25)(S10)로 진행하고, 기록매체는 2HD인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단계(S26)로 진행하고, 2HD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기록매체가 2HD인 것을 인식하고 2HD 기록/재생모드로 이행한다.
단계(S24)에서 매체정보의 독입이 되지 않았을 때는 단계(S27)로 진행하고, 디스크 모터를 OFF로 하고, 다시 단계(S28)로 진행하고, 카드 어댑터용으로 전송속도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스핀들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또한 FD 드라이브장치(20)의 헤드와 FD형 카드 어댑터(1)의 기입/독출장치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정합하도록 데이터 전송속도를 전환한다.
또한, 상술한 단계(S21)의 매체 스위치의 판별, 단계(S23)의 디스크 모터 ON, 단계(S24)의 매체정보의 독입, 단계(S27)의 디스크 모터 OFF, 또는 단계(S28)의 카드 어댑터용 전송속도 전환의 각 단계의 어느 것에 있어서, 단계(S35)의 발광소자의 점등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발광소자(30)를 발광시키기 위한 컨트롤신호가 FD 드라이브장치(20)에 공급된다.
그래서,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단계(S21∼S28)의 각 단계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드라이브 회로기판(31)을 거쳐서 발광을 위한 드라이브신호를 발광소자(30)에 공급한다. 발광소자(30)는 이 드라이브신호에 의거해서 발광하고,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거쳐서 제어데이터를 FD형 카드 어댑터(1)의 수광소자(8)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수광소자(8)는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술한 도 1에 나타내는 액티브상태 제어회로(6)는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액티브상태 제어회로(6)는, 프로세서(5)를 절전모드상태에서 미리 데이터의 시험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액티브상태로 제어한다.
단계(S29)로 진행하여 FD형 카드 어댑터(1)에 대한 매체정보의 독입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S29)에서 매체정보의 독입이 되지 않을 때는, 단계(S30)(S12)에 진행하고, 다른 포맷의 디스크라고 판단하고 다시 단계(S31)(S13)로 진행하여 에러 메시지를 내보낸다.
또, 단계(S29)에서 매체정보의 독입이 되었을 때는 단계(S32)로 진행하고, 기록매체는 FD형 카드 어댑터라고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사이드 0의 헤드를 트랙 00(최외주측)의 위치에 고정하여, FD형 카드 어댑터(1)의 기입/독출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FD형 카드 어댑터(1)의 메모리 카드(9)에서 데이터를 시험재생한다.
단계(S33)에서 발광소자를 소등하고, 다시 단계(S34)(S5)로 진행하여 카드 어댑터의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발광소자(30)의 발광을 정지시키기 위한 컨트롤신호가 공급된다. 그래서,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드라이브 회로기판(31)을 거쳐서 발광정지를 위해 발광소자(30)로의 드라이브신호의 공급을 정지한다. 발광소자(30)는 이 드라이브신호의 정지에 의거하여 발광을 정지하고, 또한 FD형 카드 어댑터(1)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의 모드로 전환한다.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의 액티브상태 제어회로의 회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1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우선, 액티브상태 제어회로의 접속형태를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FD형 카드 어댑터(1) 내의 전지(7)의 마이너스측은 접지에 접속되고, 플라스측은 스위치(3)의 일단과 접속되고, 스위치(3)의 타단은 콘덴서(51)의 일단과 접속되고, 콘덴서(51)의 타단은 접지에 접속된다.
또, 콘덴서(51)의 일단은 포토트랜지스터(52)(수광소자(8))의 컬렉터와 접속되고, 포토트랜지스터(52)(수광소자(8))의 에미터는 저항기(53)의 일단과 접속되고, 저항기(53)의 타단은 접지에 접속된다. 또, 콘덴서(51)의 일단은 전압검출IC(54)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전압검출IC(54)의 출력단자는 지연회로(57)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지연회로(57)의 출력단자는 오픈드레인 인버터(58)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또, 전압검출IC(54)의 출력단자는 오픈드레인 게이트인 NOND회로(59)의 한편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포토트랜지스터(52)(소광소자(8))의 에미터는 NOND회로(59)의 다른 편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또, 콘덴서(51)의 일단은 FET스위치(55)의 드레인(D)에 접속되고, FET스위치(55)의 소스(S)는 컨트롤러(60)의 리셋회로(62)에 접속된다.
또, 오픈드레인 인버터(58)의 출력단자는 FET스위치(55)의 게이트(G)와 접속되고, NOND회로(59)의 출력단자는 FET스위치(55)의 게이트(G)와 접속되고, 또한 FET스위치(55)의 게이트(G)는 컨트롤러(60)의 오픈드레인 게이트인 전원제어포트(61)와 접속된다. 또, FET스위치(55)의 드레인(D)과 게이트(D)와의 사이에는 저항기(56)의 일단 및 타단이 접속된다. 또, 포토트랜지스터(52)(수광소자(8))의 에미터는 컨트롤러(60)의 입력포트(63)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티브상태 제어회로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은 액티브상태 제어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우선, 초기 통전의 동작을 설명한다.
T1에 있어서, FD형 카드 어댑터(1)가 FD 드라이브장치(20)에 장착되면, 스위치(3)가 도통하여 전지(7)에서 전력의 공급이 시작되고, 전지(7)에서 공급되는 전압은 스위치(3)를 거쳐서 콘덴서(51)에 공급되고, 도 6a의 V1에 충전전압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우레벨(L)에서 서서히 콘덴서(51)에 충전된다.
그리고, T2에 있어서, V1의 충전전압이 시스템의 최저동작 전압(VMIN)을 초과하면 도 6b에 나타내는 전압검출IC(54)의 출력전압(V2)이 로우레벨(L)에서 하이레벨(H)로 변화한다.
이 도 6b에 나타내는 전압검출IC(54)의 출력전압(V2)의 변화에서 일정 시간의 컨트롤러(6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지연회로(57)와 오픈드레인 인버터(58)에 의해 FET스위치(55)의 게이트(G)가 로우레벨(L)로 되므로, FET스위치(55)의 드레인(D)과 소스(S)가 도통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T2에 있어서, 도 6e에 나타내는 FET스위치출력(V6)은 하이레벨(H)이 된다. 이것에 의해 T2에 있어서, 도 6f에 나타내는 리셋회로출력(V6)은 리셋동작을 하는 미소시간만 하이레벨(H)이 된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60)는 프로세서(5)를 액티브상태로 한다.
지연회로(57)의 지연시간은, 컨트롤러(60)가 자신의 초기화 처리를 행하고, 전원제어포트(61)를 로우레벨(L)로 변화시키는데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전원제어포트(61)가 로우레벨(L)로 고정되게 되면, 오픈드레인 인버터(58)에서 FET스위치(55)의 게이트(G)로의 로우레벨(L)의 출력동작이 종료하여도 컨트롤러(60)에의 전력공급은 계속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드라이브판별의 동작을 설명한다.
컨트롤러(60)는, 자신으로의 전원공급을 확보한 후, T2의 후에 도 6c에 나타내는 포토트랜지스터 출력(V3)이 하이레벨(H)이 되는 것을 입력포트(63)에 의해 독해한다. T20의 후 T3까지의 사이에서와 같이, 포토트랜지스터(52)가 제어광(L)을 검출하고 있으면, FD형 카드 어댑터(1)의 프로세서(5)는 자신이 고속 데이터전송을 할 수 있는 특정의 FD 드라이브장치(20)에 삽입되어 있다고 인식한다. 또한, T2∼T3까지의 사이에서 T2에서 상호 인식개시하여 T3에서 종료하도록, FD드라이브장치(20)와 FD형 카드 어댑터(1)와의 상호인식이 행해진다.
또, T3∼T4의 사이와 같이, 포토트랜지스터(52)가 제어광(L)을 검출하고 있지 않으면, FD형 카드 어댑터(1)의 프로세서(5)는 자신이 통상의 드라이브에 삽입되어 있다고 인식한다.
포토트랜지스터(52)가 제어광(L)을 검출하고 있으면, T2∼T3에 있어서 오픈드레인 NAND회로(59)로부터의 도 6d에 나타내는 NAND회로 출력(V4)이 로우레벨(L)로 됨으로써, FET스위치(55)의 게이트(G)가 로우레벨(L)로 되므로, FET스위치(55)의 드레인(D)과 소스(S)가 도통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컨트롤러(60)에의 전압공급이 계속된다.
다음에, 전원의 차단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FET스위치(55)의 게이트(G)를 컨트롤하고 있는, 오픈드레인 인버터(58), 오픈드레인 NAND회로(59) 및 오픈드레인 게이트의 전원제어포트(61)의 3개의 오픈드레인에 의한 와이야드오어(OR)가 모두 구동을 중지하면, 우선 오픈드레인 인버터(58)는 스위치(3)가 닫은 후 잠간 후에 구동을 중지한다. 또, 오픈드레인 게이트의 전원제어포트(61)는 컨트롤러(60)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전원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을 때에 구동을 중지한다.
그리고, 오픈드레인 NAND회로(59)는 특정의 FD 드라이브장치(20)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발광소자(30) 및 이 FD형 카드 어댑터(1)의 포토트랜지스터(52)(수광소자(8))를 거쳐서, 프로세서(5)에의 액세스를 종료하여 제어광(L)을 소등하였을 때에, T3에 있어서 도 6c에 나타내는 포토트랜지스터 출력(V3)이 로우레벨(L)이 되어서, 도 6d에 나타내는 NAND회로 출력(V4)가 하이레벨(H)이 됨으로써, 구동을 중지한다.
이것에 의해, T3에 있어서 도 6e에 나타내는 FET스위치 출력(V5)은 로우레벨(L)이 되므로, 컨트롤러(60)에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다.
또, 고속 전송할 수 있는 특정의 FD 드라이브장치에 대한 동작은 이하와 같이 된다.
이하, T4∼T5에 있어서의 제어광(L)에 의한 전원 재투입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위치(3)가 닫힌 채로의 상태에서, FET스위치(55)의 드레인(D)과 소스(S)가 차단상태에서, 이 FD형 카드 어댑터(1)의 프로세서(5)에의 액세스가 필요하게 되면, T4에 있어서 FD 드라이브장치(20)는 발광소자에서 제어광(L)을 발광한다. 그러면, 포토트랜지스터(52)(수광소자(8))가 ON으로 하여, 도 6c에 나타내는 포토트랜지스터 출력(V3)이 하이레벨(H)이 된다.
이것에 의해, 오픈드레인 NAND회로(59)의 도 6d에 나타내는 NAND회로 출력(V4)이 로우레벨(L)이 됨으로써, FET스위치(55)의 드레인(D)과 소스(S)가 도통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도 6e에 나타내는 FET스위치(55)의 출력(V5)은 하이레벨(H)이 된다. 이것에 의해, T4에 있어서 도 6f에 나타내는 리셋회로 출력(V6)은 리셋동작을 하는 미소시간만 하이레벨(H)이 된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60)에의 전력공급이 재개된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60)는 프로세서(5)를 액티브상태로 한다.
컨트롤러(60)는, 자신으로의 전원공급을 확보한 후, 포토트랜지스터(52)(수광소자(8))의 도 6c에 나타내는 포토트랜지스터 출력(V3)의 레벨을 입력포트(63)에 의해 독해한다. 컨트롤러(60)는 입력포트(63)의 레벨에서 제어광(L)의 입력을 검지하는 것으로, 이후 T5까지의 재생(리드(R)) 또는 기록(라이트(W))에 의한 FD 드라이브장치(20)와의 데이터전송을 고속 전송할 수 있는 특정의 FD 드라이브장치(20)의 전송레이트에서 행하도록 한다.
최후에, T6에 있어서 FD형 카드 어댑터(1)가 FD 드라이브장치(20)에서 배출되면, 스위치(3)가 차단되어 전지(7)에서 전력의 공급이 중지되고, 도 6a에 나타내는 충전전압(V1), 도 6b에 나타내는 전압검출IC(54)의 출력전압(V2), 도 6d에 나타내는 NAND회로 출력(V4)이 각각 로우레벨(L)로 된다.
도 7에 본 실시의 형태의 발광소자측의 회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FD 드라이브장치(20)에 있어서의 회로이다.
도 7a는 컨트롤러 전용신호에 의한 발광을 나타낸다. 도 7a에 있어서, 본체측 마이컴(71)의 제어포트(72)는 저항기(73)의 일단에 접속되고, 저항기(73)의 타단은 발광다이오드(74)의 캐소드에 접속되고, 발광다이오드(74)의 애노드는 구동전원(E)에 접속된다. 본체측 마이컴(71)은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체측 마이컴(71)의 제어포트(72)를 발광전용 신호에 의해 로우레벨(L)로 제어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74)를 발광시켜서 제어광(L)을 발광한다.
도 7b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에 의한 발광을 나타낸다. 도 7b에 있어서, 단자(IN)에는 액티브로(*)의 모터 ON신호가 공급되어 있고, 단자(IN)에는 앰프(75)의 입력측이 접속되고, 앰프(75)의 출력측은 저항기(73)의 일단에 접속되고, 저항기(73)의 타단은 발광다이오드(74)의 캐소드에 접속되고, 발광다이오드(74)의 애노드는 구동전원(E)에 접속된다. 또, 앰프(75)의 출력측은 모터 드라이버(76)의 입력측과 접속되고, 모터 드라이버(76)의 출력측은 스핀들모터(77)와 접속된다. 모터 ON신호는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공급되는 신호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모터 ON신호에 의해 로우레벨(L)로 제어함으로써, 앰프(75), 모터 드라이버(76)를 통하여 스핀들모터(77)를 회전구동하면, 항상 발광다이오드(74)를 발광시켜서 제어광(L)을 발광한다.
도 7c는 드라이브 선택에 의한 발광을 나타낸다. 도 7c에 있어서, 단자(IN)에는 액티브로(*)의 드라이브 선택신호가 공급되어 있고, 단자(IN)에는 앰프(75)의 입력측이 접속되고, 앰프(75)의 출력측은 저항기(73)의 일단에 접속되고, 저항기(73)의 타단은 발광다이오드(74)의 캐소드에 접속되고, 발광다이오드(74)의 애노드는 구동전원(E)에 접속된다. 또, 앰프(75)의 출력측은 헤드앰프(78)의 입력측과 접속되고, 헤드앰프(78)의 출력측은 헤드(79)와 접속된다.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드라이브 선택신호는 FD 드라이브장치(20)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공급되는 신호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드라이브 선택신호에 의해 로우레벨(L)로 제어함으로써, 앰프(75), 헤드앰프(78)를 거쳐서 헤드를 자기화하면, 동시에 발광다이오드(74)를 발광시켜서 제어광(L)을 발광한다.
이상, FD형 카드 어댑터(1)에 대해서 설명한 바, 본 실시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의 카세트 테이프형 카드 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카세트 테이프형 카드 어댑터(81)는, 도 1에 나타내는 FD형 카드 어댑터(1)에 대응하는 것이고, 기입/독출장치(82)는 기입/독출 디바이스(4)에 대응하고, 프로세서(83)는 프로세서(5)에 대응하고, 액티브상태 제어회로(84)는 액티브상태 제어회로(6)에 대응하고, 전지(86)는 전지(7)에 대응하고, 메모리카드(85)는 메모리카드(9)에 대응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카세트 테이프형 카드 어댑터(8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FD형 카드 어댑터(1)가 FD드라이브장치(20)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3) 및 액츄에이터에 상당하는 것이 배치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FD형 카드 어댑터(1)와 동일하다. 특징점은, 기록/재생장치와의 사이에서 제어데이터의 통신이 행해지는 통신수단을 구성하는 수광소자(85)와, 절전모드상태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액티브상태로 제어하는 액티브상태 제어회로(84)를 설치한 점이다.
도 9는, 본 실시의 형태의 자기테이프 드라이브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상술한 도 8의 카세트 테이프형 카드 어댑터(81)가 장착되어서, 기록/재생의 동작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이다.
도 9에 있어서, 자기테이프 드라이브장치(88)는, 카세트 테이프형 카드 어댑터(81) 또는 카세트 테이프가 장착되는 릴대(91, 92)와, 카세트 테이프의 자기테이프를 소정경로에서 주행시키는 롤러(93), 캡스턴(94), 롤러(95, 96, 97)와, 카세트 테이프형 카드 어댑터(81) 또는 카세트 테이프에 대해서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자기헤드(90)와, 카세트 테이프형 카드 어댑터(81)의 수광소자(85)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소정의 제어광(L)을 발광하는 발광소자(89)를 가지고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기테이프 드라이브장치(88)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에서 발광소자(89)를 발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자기테이프 드라이브장치(88)에 공급된다. 그리고, 자기테이프 드라이브장치(88)의 드라이브 회로기판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각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드라이브 회로기판을 거쳐서 발광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광소자(89)에 공급한다. 발광소자(89)는 이 구동신호에 의거하여 발광하고,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거쳐거 제어데이터를 카세트 테이프형 카드 어댑터(81)의 수광소자(85)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수광소자(85)는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술한 도 8에 도시한 액티브상태 제어회로(84)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액티브상태 제어회로(84)는, 프로세서(83)를 절전모드상태에서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동작이 가능한 액티브상태로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기록/재생장치에 가시광 혹은 적외광의 발광소자를 설치하고, 기록매체 어댑터에는 수광소자를 설치하고, 또 발광소자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기적으로 액티브한 상태로 제어하는 액티브상태 제어회로를 설치함으로써,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를 빼고 끼우는 것을 함으로써 리셋을 행하지 않고, 단시간에 절전모드로부터의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 기록매체를 빼고 끼우지 않으므로, 장착기구의 내구성에도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FD 드라이브장치(20) 및 자기테이프 드라이브장치(88)는 기록/재생수단을 구성하고, 메모리카드(9 및 86)는 다른 기록매체를 구성하고, 스위치(3)는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FD형 카드 어댑터(1) 및 카세트테이프형 카드 어댑터(81)는 기록매체 어댑터를 구성하고, 발광소자(30 및 89) 및 수광소자(8 및 85)는 통신수단을 구성한다. 또, 기입/독출장치(4 및 82), 프로세서(5 및 83)는 데이터 처리수단을 구성하고, 액티브상태 제어회로(6 및 84)는 액티브상태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상술한 본 실시의 형태의 기록/재생장치는,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수단으로서의 FD 드라이브장치(20)와, 기록매체로 바꿔서, 다른 기록매체로서의 메모리카드(9)에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 또는 다른 기록매체로 기록된 데이터를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기록매체 어댑터로서의 FD형 카드 어댑터(1)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의 스위치(3)와, 검출수단에 의해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기록매체 어댑터와의 사이에서 기록/재생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으로서의 발광소자(30)를 갖췄으므로,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 어댑터를 배출 및 재장착에 의해 리셋하지 않고, 기록매체 어댑터로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에 의해 기록매체 어댑터를 임의의 제어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통신수단으로서의 발광소자(30)는 기록/재생수단으로서의 FD 드라이브장치(20)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제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하는 제어부로서의 드라이브 회로기판(31)에 설치되므로, 통신수단을 위해 다른 기판구성을 증설하지 않고, 기존의 기판을 사용하여 구성을 대형화하지 않고 통신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통신수단으로서의 발광소자(30)는, 기록/재생수단으로서의 FD 드라이브장치(20)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의 어느 것에 대응하여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므로,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동작의 어느 것의 신호가 발생하면 동시에 통신수단에 의한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기록매체 어댑터를 임의의 제어상태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데이터(L)는 기록매체 어댑터로서의 FD형 카드 어댑터(1)에 대하여 기록/재생수단으로서의 FD 드라이브장치(20)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므로,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 어댑터를 빼고 끼우기를 함으로써 리셋을 행하지 않고, 기록매체 어댑터를 단시간에 절전모드에서 액티브상태로 할 수 있고, 또 기록매체 어댑터를 빼고 끼우지 않으므로, 장착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는,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재생수단으로서의 FD 드라이브장치(20)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의 스위치(3)와, 기록매체로 바꿔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다른 기록매체로서의 메모리카드(9)와,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 또는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수단으로서의 기입/독출장치(4), 프로세서(5)와, 검출수단에 의해 기록/재생장치에 장착된 것이 검출될 때, 기록/재생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처리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으로서의 수광소자(8)를 갖췄으므로,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 어댑터를 배출 및 재장착에 의해 리셋하지 않고, 기록/재생장치로부터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에 의해 기록매체 어댑터를 임의의 제어상태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통신수단으로서의 수광소자(8)에 의해 제어데이터(L)의 통신이 행해졌을 때, 데이터 처리수단으로서의 기입/독출장치(4), 프로세서(5)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액티브상태 제어수단으로서의 액티브상태 제어회로(6)를 설치하였으므로,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 어댑터를 빼고 끼우기를 함으로써 리셋을 행하지 않고, 기록매체 어댑터를 단시간에 절전모드에서 액티브상태로 할 수 있고, 또 기록매체 어댑터를 빼고 끼우지 않으므로, 장착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기록/재생방법은,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한 기록/재생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에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검출단계에 의해 기록/재생장치에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기록/재생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소정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단계와, 기록매체로 바꿔서,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 또는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처리 단계를 갖췄으므로,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 어댑터를 배출 및 재장착에 의해 리셋하지 않고, 기록/재생장치로부터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에 의해 단시간의 처리로 기록매체 어댑터를 임의의 제어상태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기록/재생방법은, 상술에 있어서, 통신단계에 의해 제어데이터의 통신이 행해졌을 때, 데이터 처리단계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액티브상태 제어단계를 설치하였으므로,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 어댑터를 빼고 끼우기를 함으로써 리셋을 행하지 않고, 기록매체 어댑터를 단시간의 처리로 절전모드에서 액티브상태로 할 수 있고, 또 기록매체 어댑터를 빼고 끼우지 않으므로, 장착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기록매체는, FD형 카드 어댑터, 카세트 테이프형 카드 어댑터인 예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카드 어댑터, 예를 들면 미니디스크(MD), 상변화 기록형의 디지털 버서타일 디스크(DVD), 고쳐쓰기형의 CD-ROM 등의 광디스크형의 카드 어댑터라도 좋다.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해서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로 바꿔서 다른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는 상기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재생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기록매체 어댑터와의 사이에서,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을 갖췄으므로,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 어댑터를 배출 및 재장착에 의해 리셋하지 않고, 기록매체 어댑터에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에 의해 기록매체 어댑터를 임의의 제어상태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제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하는 제어부에 설치되므로, 통신수단을 위해 다른 기판구성을 증설하지 않고, 기존의 기판을 이용하여 구성을 대형화 하지 않고 통신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의 어느 것에 대응하여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므로,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의 어느 것의 신호가 발생하면 동시에 통신수단에 의한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기록매체 어댑터를 임의의 제어상태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기록매체 어댑터에 대해서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므로,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 어댑터를 빼고 끼우기를 함으로써 리셋을 행하지 않고, 기록매체 어댑터를 단시간에 절전모드에서 액티브상태로 할 수 있고, 또 기록매체 어댑터를 빼고 끼우지 않으므로, 장착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는,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해서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기록매체로 바꿔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다른 기록매체와, 상기 다른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 또는 상기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재생장치에 장착된 것이 검지되었을 때, 상기 기록/재생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을 갖췄으므로,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 어댑터를 배출 및 재장착에 의해 리셋하지 않고, 기록/재생장치로부터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에 의해 기록매체 어댑터를 임의의 제어상태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데이터의 통신이 행해졌을 때,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액티브상태 제어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 어댑터를 빼고 끼우기를 함으로써 리셋을 행하지 않고, 기록매체 어댑터를 단시간에 절전모드에서 액티브상태로 할 수 있고, 또 기록매체 어댑터를 빼고 끼우지 않으므로, 장착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기록/재생방법은, 소정의 기록매체로대한 기록/재생수단에 의한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에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단계에 의해 상기 기록/재생장치에 상기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기록/재생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단계와, 상기 기록매체로 바꿔서 다른 기록매체에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는 상기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단계를 갖췄으므로,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 어댑터를 배출 및 재장착에 의해 리셋하지 않고, 기록/재생장치로부터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에 의해 단시간의 처리로 기록매체 어댑터를 임의의 제어상태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기록/재생방법은, 상술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계에 의해 상기 제어데이터의 통신이 행해졌을 때, 상기 데이터 처리단계에 의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한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액티브상태 제어단계를 설치하였으므로,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매체 어댑터를 빼고 끼우기를 함으로써 리셋을 행하지 않고, 기록매체 어댑터를 단시간의 처리로 절전모드에서 액티브상태로 할 수 있고, 또 기록매체 어댑터를 빼고 끼우지 않으므로, 장착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7)

  1.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와 다른 타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기록/재생수단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기록매체 어댑터와의 사이에서, 상기 기록/재생수단의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데이터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장치는, 상기 기록/재생수단의 동작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갖추고,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기록/재생수단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기록매체 어댑터를,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한 기록/재생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제어데이터를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거쳐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 어댑터는, 내부에 전원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플로피디스크이며, 상기 다른 기록매체는 메모리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카세트 테이프이며, 상기 다른 기록매체는 메모리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9.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와 다른, 타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해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재생장치에 장착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기록/재생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의 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데이터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갖추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데이터의 통신이 행해졌을 때, 상기 기록매체 어댑터를,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의한 기록/재생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제어데이터를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거쳐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내부에 전원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플로피디스크이며, 상기 다른 기록매체는 메모리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카세트 테이프이며, 상기 다른 기록매체는 메모리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15. 소정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에,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기록/재생장치에, 상기 기록매체 어댑터가 장착된 것을 검출되었을 때, 상기 기록/재생장치와 상기 기록매체 어댑터와의 사이에서, 기록/재생동작에 관련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데이터의 제어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단계와,
    상기 기록매체와 다른, 타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단계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의 통신이 행해졌을 때, 상기 기록매체 어댑터를 기록/재생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를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거쳐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방법.
KR1020000038198A 1999-07-07 2000-07-05 기록/재생장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및 기록/재생방법 KR100654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93286 1999-07-07
JP11193286A JP2001023286A (ja) 1999-07-07 1999-07-07 記録再生装置、記録媒体アダプタ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174A true KR20010015174A (ko) 2001-02-26
KR100654985B1 KR100654985B1 (ko) 2006-12-08

Family

ID=1630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198A KR100654985B1 (ko) 1999-07-07 2000-07-05 기록/재생장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및 기록/재생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34562B1 (ko)
JP (1) JP2001023286A (ko)
KR (1) KR100654985B1 (ko)
TW (1) TW4804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1540B2 (en) * 2002-07-30 2006-04-04 Canon Kabushiki Kaisha Storage medium mounting/dismounting mechanis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700943B2 (ja) * 2004-09-06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7258278B2 (en) * 2005-06-01 2007-08-21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module read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3454A1 (de) 1988-12-12 1990-06-13 Raymund H Eisele In edv-einrichtungen einsteckbares element
TW389894B (en) * 1997-06-19 2000-05-11 Optrom Kk Device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storage medium having electronic circuit and the electronic circuit,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23286A (ja) 2001-01-26
TW480446B (en) 2002-03-21
US6634562B1 (en) 2003-10-21
KR100654985B1 (ko) 200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14380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50226104A1 (en) Information record/replay apparatus and method
JPS6363979B2 (ko)
US20060256686A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KR100654985B1 (ko) 기록/재생장치, 기록매체 어댑터장치 및 기록/재생방법
KR20010032639A (ko) 안전 회로를 구비한 데이터 변환 장치
JP3525572B2 (ja) 媒体自動交換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US7531983B2 (en) Method of controlling startup current of motor and disk drive using the method
US6421312B1 (en) Detection scheme for compact disk or digital video disk media proper installation
KR100333774B1 (ko) Cpu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데이터 변환 장치
JPS5856179B2 (ja) ポ−タブル・バブル・メモリ装置
JP2000149388A (ja) 記録再生装置
KR100205287B1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언래칭 감지장치 및 방법
KR940011090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제어 방법
JP3093808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7157292A (ja) 情報処理装置
JP2001210001A (ja) 再生システム及び光ストレージ装置
JPH05325488A (ja) ディジタルテープカセット及び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装置
JPH11110886A (ja) ディスク装置
JP2002288964A (ja) 複合型情報記録再生装置
KR20030046837A (ko) 광 디스크 장치에서의 레이저 광원 제어 방법
JPH0745045A (ja) カセット装置
JPH11195098A (ja) カートリッジ型記憶媒体およびその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1084718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1084734A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