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017A - 제어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017A
KR20010015017A KR1020000032642A KR20000032642A KR20010015017A KR 20010015017 A KR20010015017 A KR 20010015017A KR 1020000032642 A KR1020000032642 A KR 1020000032642A KR 20000032642 A KR20000032642 A KR 20000032642A KR 20010015017 A KR20010015017 A KR 20010015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data
target
reservation
rese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5711B1 (ko
Inventor
이노우에히라꾸
오하시시노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1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8Bus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 및 제어 디바이스와 이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된 다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구비한 셋업 장치에 사용된 2가지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코맨드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바이스들은 정해진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2가지 모드들 중 하나는 타겟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하게 하며, 다른 하나는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는 것을 방해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버스 리셋에 이어서 코맨드가 수락될 수 있기 전에 경과되어야 하는 대기 시간을 2가지 모드들 사이에서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가지 모드는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허용하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상호 통신을 방해한다.

Description

제어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CONTROLLER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제어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 및 제어 디바이스와 이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된 다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구비한 셋업 장치에 사용된 2가지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코맨드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바이스들은 정해진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2가지 모드들 중 하나는 타겟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하게 하며, 다른 하나는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는 것을 방해한다. 특히,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버스 리셋에 이어서 코맨드가 수락될 수 있기 전에 경과되어야 하는 대기 시간을 2가지 모드들 사이에서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가지 모드는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허용하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상호 통신을 방해한다.
오늘날, IEEE(국제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 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로서 이득형 와이드스프레드 억셉턴스(gained widespread acceptance)를 갖는다. 데이터 전송면에서는 특히 SCSI가 보다 빠르고, IEEE 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정해진 사이즈의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송수신되므로써 등시성 통신을 허용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와 같이, IEEE 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실시간으로 AV 데이터와 같은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유리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IEEE 1394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 표준에 따르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전자 장비와 다양한 디지털 AV(음성 영상) 디바이스를 상호 연결시키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한 AV 시스템은 소위,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가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는 경우에, 개인용 컴퓨터를 적절히 조작하므로써, 기록된 소스를 편집할 때와 마찬가지로 기록 및 재생시에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IEEE 1394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 표준에 따르면, 원격 제어를 실행하는 디바이스는 소위 제어기라고 하고, 원격 제어하에 있는 디바이스는 타겟이라 한다.
원격 제어가 상기 예에서와 같이, IEEE 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 AV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하나의 타겟이 다수의 제어기들에 의해 원격 제어되거나, 타겟의 로컬 키(예를 들면, 타겟으로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부착된 조작 키)가 여전히 유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은 제어기와 타겟 사이에서 처리시에 상충이 일어날 수 있거나 그들 사이에 결과적 불일치가 생기게 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미 그러한 불규칙성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해결책은 제어기가 원격 제어하에서 타겟 디바이스를 예약하게 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예약 코맨드를 정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PCT 출원 번호 PCT/JP99/06411).
예시적으로, 제어기에 의해 타겟으로 보내진 예약 코맨드가 수락되면, 타겟은 예약 모드를 입력한다. 예약 모드에서, 타겟은 예약 코맨드를 전송한 제어기와는 다른 소정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코맨드를 거절한다 (즉, 통신 거절). 제어기와 타겟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처리시의 상충 또는 그들 사이의 가능한 결과적 불일치는 제어기와는 다른 소정의 디바이스에 의해 타겟을 조작하려는 의도를 방해하므로써 회피된다.
그러나, 실제로, 예약 모드를 설정하는 AV 시스템은 몇몇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어가 데이터를 레코더에 복사하거나 더빙하는 동작을 할 때, 플레이어와 레코더 간에 저작권에 관한 복사 제어 정보 또는 유사한 데이터를 통신시킬 필요가 있다. 플레이어와 레코더 중 적어도 하나가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되면, 플레이어와 레코더 간에 복사 제어 정보 등의 통신이 필요없게 되어, 개인 전용 데이터(appropriate data)의 복사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예약 모드의 설정은 타겟이 소정의 목적으로 다른 디바이스와의 동작을 실행할 필요가 있을 때, 타겟 디바이스와 타겟을 예약하는 제어기와는 다른 소정의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하에서 만들어졌으며, 제어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 및 제어기로서 동작하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 모드에서 타겟으로서 선택된 디바이스가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기와는 다른 또 다른 디바이스와 필요한 정보를 통신하게 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실행하고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정해진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에 연결된 다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이 제어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들 중 소정의 한 타겟 디바이스가 다른 제어 디바이스 또는 다른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예약 코맨드를 발생하는 제1 코맨드 발생 수단,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가 적어도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특정 코맨드를 수락하도록 허용되게 타겟 디바이스들 중 소정의 한 타겟 디바이스를 예약하기 위해 제2 예약 코맨드를 발생하는 제2 코맨드 발생 수단, 및 제1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제1 예약 코맨드 및 제2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제2 예약 코맨드를 타겟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 시스템은 제어 디바이스, 정해진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 및 제어 디바이스에 데이터 버스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되, 제어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들 중 소정의 한 타겟 디바이스가 다른 제어 디바이스 또는 다른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예약 코맨드를 발생하는 제1 코맨드 발생 수단,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가 적어도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특정 코맨드를 수락하도록 허용되게 타겟 디바이스들 중 소정의 한 타겟 디바이스를 예약하기 위해 제2 예약 코맨드를 발생하는 제2 코맨드 발생 수단, 정해진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를 리셋팅시키기 위한 버스 리셋 코맨드를 발생하는 제3 코맨드 발생 수단, 및 제1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제1 예약 코맨드, 제2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제2 예약 코맨드, 및 제3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버스 리셋 코맨드를 타겟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하며, 타겟 디바이스들 각각은 제1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제1 예약 코맨드, 제2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제2 예약 코맨드 및 제3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버스 리셋 코맨드를 전송 수단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예약 코맨드가 제1 예약 코맨드 또는 제2 예약 코맨드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및 수신된 예약 코맨드가 판정 수단에 의해 제1 예약 코맨드인 것으로 판정되면, 버스 리셋에 이어서 제1의 정해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예약 코맨드를 유효화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제어 수단은 또한, 수신된 예약 코맨드가 판정 수단에 의해 제2 예약 코맨드인 것으로 판정되면, 버스 리셋에 이어서 제1의 정해진 시간보다 짧은 제2의 정해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예약 코맨드를 유효화시킨다.
도 1은 IEEE 1394 버스에 의해 접속된 디바이스들의 블록도.
도 2는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재생 장치의 블록도.
도 4는 개인용 컴퓨터의 블록도.
도 5는 IEEE 1394 포맷의 층 적층 모델의 구조도.
도 6은 IEEE 1394 버스 케이블의 구조도.
도 7의 (a)는 IEEE 1394 버스를 통해 전송된 DATA 신호의 타이밍도.
도 7의 (b)는 IEEE 1394 버스를 통해 전송된 STROBE 신호의 타이밍도.
도 7의 (c)는 IEEE 1394 버스를 통해 전송된 CLOCK 신호의 타이밍도.
도 8은 IEEE 1394 버스에 의해 접속된 디바이스들의 개략도.
도 9의 (a)는 버스 리셋의 생성시에 어떻게 버스 리셋 통보가 전송되는 지를 설명하는 추이도.
도 9의 (b)는 버스 리셋후에 디바이스들 간에 부모-자식(들) 관계가 어떻게 정의되는 지를 도시하는 추이도.
도 9의 (c)는 디바이스들의 Node_IDs가 어떻게 결정되는 지를 도시하는 추이도.
도 10은 IEEE 1394 포맷의 사이클 구조의 개략도.
도 11의 (a)는 비동기성 통신에 관한 기본 트랜잭션 룰을 도시하는 추이도.
도 11의 (b)는 전송된 트랜잭션 요청의 내용을 열거한 테이블.
도 12의 (a)는 IEEE 1394 버스에 대한 버스 어드레스 레지스터 내의 데이터 구조의 개략도.
도 12의 (b)는 IEEE 1394 버스를 식별하기 위한 버스 ID의 데이터 구조의 개략도.
도 12의 (c)는 IEEE 1394 버스 배치에 접속된 디바이스들에 할당된 Node_ID의 데이터 구조의 개략도.
도 12의 (d)는 IEEE 1394 버스에 대한 레지스터 스페이스 데이터 구조의 개략도.
도 12의 (e)는 IEEE 1394 버스에 대한 레지스터 어드레스 데이터 구조의 개략도.
도 13은 CIP 구조의 개략도.
도 14는 플러그에 의해 결정된 전형적인 접속 관계의 개략도.
도 15의 (a)는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 oPCR[n] 내의 데이터 구조의 개략도.
도 15의 (b)는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 iPCR[n] 내의 데이터 구조의 개략도.
도 16은 메시지가 코맨드/응답 레지스터에 기입될 때 실제의 프로세스 추이도.
도 17은 비동기성 패킷 내의 데이터 구조의 개략도.
도 18은 c타입/응답 테이블.
도 19의 (a)는 서브유닛_타입 데이터 구조의 테이블.
도 19의 (b)는 서브유닛_타입이 VCR일 때 사용된 연산 코드 내의 코맨드들의 테이블.
도 20은 비동기성 플러그 구조의 해석도.
도 21의 (a)는 플러그 어드레스 스페이스의 위치와 관련된 데이터 구조도.
도 21의 (b)는 플러그 어드레스 스페이스의 위치와 관련된 노드 오프셋 데이터 구조도.
도 21의 (c)는 플러그 어드레스 스페이스의 위치와 관련된 플러그 데이터 구조도.
도 22의 (a)는 플러그 어드레스 내의 데이터 구조도.
도 22의 (b)는 플러그 어드레스 내의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도.
도 22의 (c)는 어드레스 오프셋 테이블.
도 23의 (a)는 생산자측의 플러그 어드레스 내의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도.
도 23의 (b)는 소비자측의 플러그 어드레스 내의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도.
도 24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코맨드 트랜잭션의 추이도.
도 25는 정상 예약 제어 코맨드 내의 데이터 구조도.
도 26은 정상 예약 상태 코맨드 내의 데이터 구조도.
도 27은 제어 디바이스와 이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 -이들 디바이스들은 IEEE 1394 버스 배치에 의해 상호접속됨 -의 블록도.
도 28은 정상 예약 코맨드를 사용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의 버스 리셋에 이어 경과되는 대기 주기의 타이밍도.
도 29는 벤더 의존 예약 코맨드 내의 데이터 구조도.
도 30은 MD 레코더/플레이어를 예약하기 위한 벤더 의존 예약 코맨드 내의 데이터 구조도.
도 31은 벤더 의존 예약 코맨드를 사용하여 제어기에 의해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의 버스 리셋에 이어 경과되는 대기 시간의 타이밍도.
도 32는 타겟 디바이스가 수신된 예약 코맨드에 응답하여 그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들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MD 레코더/플레이어
11 : 시스템 제어기(CPU)
12 : 메모리 제어기
25 : IEEE 1394 인터페이스
108 : 신호 처리 회로
100 : CD 플레이어
200 : 개인용 컴퓨터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다음 순서대로 설명된다:
1. 시스템 구성
1-1. 전체 구성
1-2. MD 레코더/플레이어
1-3. CD 플레이어
1-4. 개인용 컴퓨터
2. IEEE 1394에 따른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
2-1. 개요
2-2. 적층 모델
2-3. 신호 전송 형태
2-4. 디바이스들 간의 버스 접속
2-5. 패킷
2-6. 트랜잭션 룰
2-7. 어드레싱
2-8. CIP (공통 등시성 패킷)
2-9. 접속 관리
2-10. FCP 하의 코맨드 및 응답
2-11. AV/C 코맨드 패킷
2-12. 플러그
2-13. 비동기식 접속 전송 절차
2-14. 예약 코맨드
2-15. 본 발명의 배경
2-16. 벤더 의존 예약 코맨드
2-17. 예약 모드의 타겟에 의한 처리
1. 시스템 구성
1-1. 전체 구성
도 1은 그 구성 요소들이 IEEE 1394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 배치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독창적인 AV 시스템의 전형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의 AV 시스템은 개인용 컴퓨터(200), CD 플레이어(100), 및 IEEE 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호환가능한 케이블(601)에 의해 접속된 MD 레코더/플레이어(1)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속은 개인용 컴퓨터(200), CD 플레이어(100) 및 MD 레코더/플레이어(1)가 IEEE 1394 버스(116)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만든다.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미니-디스크(MD; 등록 상표)로서 알려진 광자기 디스크로/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디바이스이다. 예로서,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IEEE 1394 버스(116)를 통해 CD 플레이어(100)로부터 송신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MD에 기록한다.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MD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 검색된 데이터를 스피커로부터의 청각적 출력을 위해 버스(116)를 통해 예시적으로 개인용 컴퓨터(200)에 송신한다.
CD 플레이어(100)는 콤팩트 디스크(CD)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장비이다. CD로부터 검색된 오디오 데이터는 IEEE 1394 버스(116)를 통해 출력된다.
개인용 컴퓨터(200)는 CD 플레이어(100) 또는 MD 레코더/플레이어(1)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IEEE 1394 버스(116)를 통해 수신하고, 이 수신된 데이터를 청각적 출력으로 만들거나, 음악 순차 변경, 분할 및 접속과 같은 편집 처리를 하게 한다. 개인용 컴퓨터(200)는 또한 CD 플레이어(100) 또는 MD 레코더/플레이어(1)가 기록 및 재생 동작시에 제어된다는 조건하에서 원격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기능들은 개인용 컴퓨터(200) 내에 적절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므로써 구현된다.
1-2. MD 레코더/플레이어
도 2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AV 시스템 내에 포함된 기록 및 재생 장치(MD 플레이어/레코더)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오디오 데이터가 상부에 저장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미니-디스크; 90)는 스핀들 모터(2)에 의해 회전된다. 기록 또는 재생시에, 광 헤드(3)는 레이저 빔을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방출한다.
기록을 위해, 광 헤드(3)는 디스크의 기록 트랙을 큐리 온도까지 가열시키기 위해 높은 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제공한다. 재생을 위해서, 광 헤드(3)는 자기 커어 효과를 통해 디스크로부터 나오는 반사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레벨의 레이저를 출력한다.
광 헤드(3)는 반사광을 포착하기 위한 검출기 뿐만 아니라, 레이저 다이오드, 편광 빔 스플리터 및 오브젝트 렌즈로 구성된 광학 시스템을 갖는다. 오브젝트 렌즈(3a)는 디스크 표면 위에 방사상으로 재배치되고 이들 간을 이동하는 방식으로 양축 메카니즘(4)에 의해 유지된다.
자기 헤드(6a)는 디스크(90) 맞은 편에 광 헤드(3)에 대칭하여 배치된다. 동작시에, 자기 헤드(6a)는 공급된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자계를 광자기 디스크(90)에 인가한다.
광 헤드(3) 전체와 자기 헤드(6a)는 슬레드 메카니즘(sled mechanism; 5)에 의해 디스크 위에 방사상으로 이동된다.
재생시에, 광 헤드(3)에 의해 디스크(90)로부터 검색된 정보는 RF 증폭기(7)에 제공된다. 차례대로, RF 증폭기(7)는 공급된 정보를 처리하고, 이로부터 재생 RF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 및 그루브 정보 GFM, 즉 광자기 디스크(90) 상의 정해진 주파수에서의 주파수 변조를 통해 워블링 그루브(wobbling grooves) 내에 기록된 절대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그렇게 추출된 재생 RF 신호는 EFM/ACIRC 인코더/디코더(8)로 보내진다. 트랙킹 에러 신호 TE 및 포커스 에러 신호 FE는 서보 회로(9)에 공급된다. 그루브 정보 GFM는 어드레스 디코더(10)에 전송된다.
서보 회로(9)는 트랙킹 에러 신호 TE 및 포커스 에러 신호 FE의 수신함에 따라 그리고 스핀들 모터(2)로부터의 검출된 회전 속도 정보 뿐만 아니라 시스템 제어기(11)(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의 트랙 점프 코맨드 및 액세스 코맨드에 따라 다양한 서보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그렇게 발생된 서보 구동 신호는 포커싱 및 트랙킹 제어를 위해 양축 메카니즘(4) 및 슬레드 메카니즘(5)을 제어하는데, 그리고 일정한 선속도(CLV)로 스핀들 모터(2)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어드레스 디코더(10)는 공급된 그루브 정보 GFM을 디코드하여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한다. 어드레스 정보는 다양한 동작에 대한 제어를 위해 시스템 제어기(11)로 보내진다.
재생 RF 신호는 EFM/ACIRC 인코더/디코더(8)에 의해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복조 및 CIRC(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ing)와 같은 디코딩 처리된다. 처리 중에, 어드레스 및 서브-코드 데이터가 추출되어 시스템 제어기(11)에 보내진다.
EFM/ACIRC 인코더/디코더(8)에 의해 EFM 복조 및 CIRC와 같은 디코딩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기(12)의 제어하에 버퍼 메모리(13)에 임시 기입된다. 광 헤드(3)에 의한 디스크(90)로부터의 데이터 검색, 및 광 헤드(3)로부터 버퍼 메모리(13)로의 재생 데이터 전송은 1.41 Mbit/sec. 속도로, 통상적으로는 간헐적으로 실행된다.
버퍼 메모리(13)에 기입된 데이터는 0.3 Mbit/sec. 속도로 오디오 데이터 압축/해제 인코더/디코더(14)로의 전송을 위해 적절한 시기에 검색된다. 인코더/디코더(14)는 압축된 포맷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시키고, 다른 관련된 재생 신호를 처리하여, 16 비트로 양자화되고 44.1 KHz로 샘플링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발생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D/A 컨버터(15)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신호는 라인 출력 터미널(17)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Aout로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되기 전에 레벨 및 임피던스 조절을 위해 출력 처리 유닛(16)으로 보내진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또한 헤드폰 출력 HPout로서 헤드폰 출력 터미널(27)로 보내진 다음, 접속가능한 헤드폰으로 보내진다.
오디오 데이터 압축/해제 인코더/디코더(14)에 의해 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Dout로서 디지털 출력 터미널(21)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의 출력을 위해 디지털 인터페이스(22)로 보내진다. 예시적으로, 신호는 광 케이블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될 수 있다.
광자기 디스크(90)에 기입하기 위해 라인 입력 터미널(18)에 공급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Ain은 A/D 컨버터(19)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먼저 변환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데이터 압축 인코딩을 위해 오디오 데이터 압축/해제 인코더/디코더(14)에 공급된다.
디지털 오디오 신호 Din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디지털 입력 터미널(20)을 통해 공급되면, 디지털 인터페이스(22)는 공급된 데이터로부터 제어 코드를 추출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압축 인코딩을 위해 오디오 데이터 압축/해제 인코더/디코더(14)로 보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이크로폰 입력 터미널은 입력 신호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폰 입력을 수용하도록 분명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압축/해제 인코더/디코더(14)에 의해 기록 데이터 내에 압축된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버퍼 메모리(13)에 임시적으로 점증적 방식으로 기입된다. 데이터는 정해진 데이터 사이즈의 증분만큼씩 버퍼 메모리(13)로부터 검색된 다음, CIRC 인코딩 및 EFM과 같은 인코딩 처리를 위해 EFM/ACIRC 인코더/디코더(8)로 보내진다. EFM/ACIRC 인코더/디코더(8)에 의한 인코딩 동작 후에, 데이터는 자기 헤드 구동 회로(6)에 보내진다.
자기 헤드 구동 회로(6)는 인코딩된 기록 데이터에 따른 자기 헤드 구동 신호를 자기 헤드(6a)에 공급한다. 특히, 자기 헤드 구동 회로(6)는 자기 헤드(6a)로 하여금 N 또는 S 자계를 광자기 디스크(90)에 인가하게 한다. 이 때, 시스템 제어기(11)는 광 헤드(3)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기록-레벨 레이저 빔을 출력하게 한다.
연산 유닛(23)은 사용자가 조작할 키 또는 다이얼로 이루어진 제어를 갖는다. 제어는 재생, 기록, 일시 정지, 중지, 빨리 감기(FF), 되감기(REW) 및 자동 뮤직 서치(AMS)와 같은 기록 및 재생 동작; 정상 재생, 프로그램 재생 및 셔플 재생(shuffle playback)과 같은 재생 모드-관련 동작; 디스플레이 유닛(24)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전환하도록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모드-관련 동작; 및 트랙 분할, 트랙 결합, 트랙 소거, 트랙 명칭 입력 및 디스크 명칭 입력과 같은 프로그램 편집 동작을 커버한다.
이들 동작 키 또는 다이얼로부터의 동작 정보는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시스템 제어기(11)로 보내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적외선 복사를 사용하는 원격 제어기(32)에 의해 전송된 코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30)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30)은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코맨드 코드를 시스템 제어기(11)에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기(11)는 또한 수신 유닛(30)으로부터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4)은 시스템 제어기(11)에 의해 디스플레이 동작이 제어된다. 시스템 제어기(11)는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유닛(24) 내부의 디스플레이 구동기에 전송한다. 데이터가 주어지면, 디스플레이 구동기는 숫자, 문자 및 심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 동작시에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24)에 따라 구동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4)은 트랙 번호, 기록/재생 시간 및 편집 상태 뿐만 아니라,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해 현재 로드된 디스크의 동작 모드 상태를 나타낸다.
디스크(90)는 메인 데이터로서 공급된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관리될 트랙 명칭 및 앨범 타이틀과 같은 문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문자 정보와 같은 저장시의 문자는 디스플레이 유닛(24)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크로부터 검색된 문자 정보 또한 디스플레이된다.
이 실시예에서, 디스크(90)는 뮤직 및 다른 데이터 구성 프로그램과 관계없이 데이터 파일로서 보조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다.
보조 데이터로서의 데이터 파일은 문자 및 정지 화상과 같은 정보로 이루어진다. 이들 문자 및 정지 화상은 디스플레이 유닛(24)에 의해 출력 및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유닛(24) 상에 보조 데이터로 이루어진 정지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자인된 JPEG 디코더(26)를 포함한다.
특히, 보조 데이터로서 데이터 파일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은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기준에 따르는 압축 파일 포맷으로 기록된다. JPEG 디코더(26)는 디스크(90)으로부터 검색되고 버퍼 메모리(13)에 축적 기입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을 예시적으로 메모리 제어기(12)를 통해 수용한다. 수신된 파일은 디스플레이 유닛(24)에 출력되기 전에 JPEG 기준에 따라서 해제된다. 이는 디스플레이 유닛(24)으로 하여금 보조 데이터로 구성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보조 데이터로 구성된 정지 화상 정보 또는 문자 정보의 출력을 위해, 스크린 상에 상당히 높은 정도의 디스플레이 자유도를 제공하는 비교적 큰 사이즈의 CRT 디스플레이 또는 풀-도트 디스플레이(full-dot display)를 설치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그 경우, 보조 데이터는 다른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외부 제공 모니터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보조 데이터 파일은 사용자에 의해 디스크(90) 상에 기록될 수 있다. 그러한 데이터 파일 입력을 위해, 이미지 스캐너, 개인용 컴퓨터 및/또는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그 다음, 보조 데이터로 구성된 정보는 이들 외부 부가 디바이스로부터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IEEE 1394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25)로서 채택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음 설명에서, 인터페이스(25)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는 상호 교환적으로 인용된다. IEEE 1394 인터페이스(25)는 IEEE 1394 버스(116)를 통해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시스템 제어기(11)는 내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ROM(28)은 이러한 기록 및 재생 장치가 다양한 동작을 구현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작업 RAM(29)은 시스템 제어기(11)가 다양한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수용한다.
디스크(90)에 대해 데이터를 기입 또는 재생하는 것은 디스크(90)로부터 관리 정보, P-TOC(pre-mastered TOC(table of contents)) 및 U-TOC((user TOC)를 검색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관리 정보가 주어지면, 시스템 제어기(11)는 데이터를 기록 또는 검색하는 디스크(90) 상의 그들 영역의 어드레스를 확인한다. 관리 정보는 버퍼 메모리(13) 내에 보유된다.
디스크(90)가 로드되면, 시스템 제어기(11)는 해당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 상의 가장 안쪽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므로써 관리 정보를 검색한다. 검색된 정보는 디스크(90) 상의 프로그램을 기록, 재생 또는 편집하는 것에 결과적으로 관련될 수 있는 버퍼 메모리(13) 내에 제공된다.
U-TOC는 프로그램 데이터 기록 및 다양한 편집 처리를 유지하기 위해 갱신된다. 데이터가 기록 또는 편집될 때마다 시스템 제어기(11)는 버퍼 메모리(13) 내의 U-TOC 정보를 갱신한다. 갱신 동작은 디스크(90) 상의 U-TOC 영역의 갱신에 의해 적절히 시간이 맞춰져서 병렬화된다.
디스크(90)는 프로그램과는 별도로 보조 데이터 파일을 포함한다. AUX-TOC는 이들 보조 데이터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디스크(90) 상에 형성된다.
U-TOC를 검색함에 따라, 시스템 제어기(11)는 또한 AUX-TOC를 독출하여, 이를 버퍼 메모리(13) 내에 배치한다. 보조 데이터의 관리 상태는 버퍼 메모리(13) 내의 AUX-TOC를 탐색하므로써 나중에 조회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11)는 필요에 따라 그리고 적절히 시간이 맞춰져서 또는 AUX-TOC의 검색과 동시에 보조 데이터 파일을 판독한다. 검색된 파일은 버퍼 메모리(13) 내에 배치된다. 보조 데이터 파일은 AUX-TOC에 따라 적절히 시간에 맞춰 출력된 다음, IEEE 1394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 상에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24) 상에 문자 및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셋업시에, IEEE 1394 인터페이스(25)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MD 레코더/플레이어가 IEEE 1394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크(90)에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가 예시적으로 44.1 KHz의 주파수로 샘플링되고 16 비트로 양자화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라면,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압축을 위해 시스템 제어기(11)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압축/해제 인코더/디코더(14)로 보내진다.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가 MD 레코더/플레이어의 압축 포맷에 따라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로 판명되면, 데이터는 시스템 제어기(11)를 통해 메모리 제어기(12)로 보내진다.
1-3. CD 플레이어
CD 플레이어(100)의 구조가 도 3을 참조하여 도시된다. CD 플레이어(100)는 일정 선속도(CLV)로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 또는 CD)(91)의 회전을 유지하기 위해 스핀들 모터(102)를 사용한다.
광 헤드(103)는 도시되지 않은 반도체 레이저 디바이스 및 수광 유닛 외에, 오브젝트 렌즈(103a) 및 양축 메카니즘(104)을 포함한다. 수광 유닛은 반도체 레이저 복사에 의해 광 디스크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포착한다.
양축 메카니즘(104)은 오브젝트 렌즈(103a)를 구동시켜 광 디스크(91) 쪽으로 및 이로부터 떨어지게 이동시키는 포커싱 코일, 및 오브젝트 렌즈(103a)를 구동시켜 광 디스크(91)를 가로질러 방사상 이동시키는 트랙킹 코일에 의해 구성된다.
광 헤드(103) 자체는 전체적으로 슬레드 메카니즘(105)에 의해 광 헤드(91)를 가로질러 방사 방향으로 이동된다.
광 헤드(103) 내부의 수광 유닛에 의해 포착된 반사광 정보는 매트릭스 계산이 수반되는 전류-전압 변환을 위해 RF 증폭기(106)에 공급된다. 차례대로, RF 증폭기(106)는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랙킹 에러 신호 TE 및 RF 신호를 생성한다.
재생 신호인 RF 신호는 디스크(91) 상에의 레이저 빔 복사로부터 생기는 광량 정보로서 추출된다.
RF 증폭기(106)에 의해 발생된 포커스 에러 신호 FE 및 트랙킹 에러 신호 TE는 위상 보상 및 이득 조절을 위해 서보 회로(107)에 제공된다. 그 후, 신호는 구동 증폭기(도시안됨)를 통해 양축 메카니즘(104) 내의 포커싱 코일 및 트랙킹 코일로 보내진다.
트랙킹 에러 신호 TE가 주어지면, 서보 회로(107)는 그에 따라 저역 통과 필터(LPF)를 통해 슬레드 에러 신호를 발생한다. 슬레드 에러 신호는 슬레드 구동 증폭기(도시안됨)를 통해 슬레드 메카니즘(105)로 보내진다.
RF 증폭기(106)에 의해 생성된 RF 신호는 이원화, EFM 복조 및 CIRC 에러 교정을 위해 신호 처리 회로(108)에 보내지며, 이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재생 데이터로서 추출된다.
2원화 형태로 EFM 신호가 주어지면, 신호 처리 회로(108)는 그에 따라서 디스크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핀들 에러 신호를 발생한다. 스핀들 에러 신호는 스핀들 모터(102)에 공급된다.
2원화 EFM 신호의 수신에 따라, 신호 처리 회로(108)는 또한 재생 클럭을 발생시키도록 PLL(위상 동기 루프)를 실행시킨다.
서보 회로(107) 및 신호 처리 회로(108)의 동작은 시스템 제어기(111)에 의해 제어된다.
신호 처리 회로(108)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예시적으로 시스템 제어기(111)를 통해 IEEE 1394 인터페이스(110)로 보내져, IEEE 1394 디지털 인터페이스 포맷에 따르는 데이터로 변환된다. 변환된 데이터는 IEEE 1394 버스(116)을 통해 전송된다.
IEEE 1394 인터페이스는 CD 플레이어의 IEEE 1394 인터페이스(110)을 통해 그리고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IEEE 1394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예시적으로 디바이스간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CD 플레이어 상의) 터미널(117) 및 (MD 레코더/플레이어(1) 상의) 터미널(21)을 통해 제어 신호를 통신시키기 위한 종래 배치의 필요성을 없앤다.
뿐만 아니라, 신호 처리 회로(108)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분할되어 D/A 컨버터(109)로 보내진다. D/A 컨버터(109)는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데, 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출력 터미널(113)을 통해 MD 레코더(1)의 입력 터미널(17)로 전송된다.
연산 유닛(114)은 사용자가 적어도 CD 플레이어(100)의 다양한 재생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여러 종류의 키(제어)를 갖는다. 키가 조작되면, 연산 유닛(114)은 조작된 키를 나타내는 코맨드 신호를 시스템 제어기(111)에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기(111)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 유닛(115)은 재생 상태(플레이 시간, 재생 트랙, 재생 모드 등)를 나타낸다.
CD 플레이어(100) 내의 시스템 제어기(111)는 CD 플레이어(100)로 하여금 다양한 재생 동작을 실행하게 만드는 다양한 내부 기능 회로에 대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그러한 제어 처리는 연산 유닛(114)로부터 송신된 코맨드를 반영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들을 포함한다.
1-4. 개인용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200)의 내부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200)는 외부 실체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IEEE 1394 인터페이스(209)를 갖는다. IEEE 1394 인터페이스(209)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양방향 통신을 위해 외부 데이터 버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IEEE 1394 버스(116)에 접속된다.
IEEE 1394 인터페이스(209)는 IEEE 1394 버스(116)을 통해 수신된 패킷을 복조하고,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며, 이 추출된 데이터를 내부 데이터 통신과 호환가능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데이터를 내부 버스(210)를 통해 CPU(중앙 처리 장치; 201)로 출력한다.
더욱이, IEEE 1394 인터페이스(209)는 CPU(201)의 제어하에 출력 데이터를 수용하고, 패킷 내에서의 변환과 같은 IEEE 1394 포맷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변조 처리하며, 이 변조된 데이터를 IEEE 1394 버스(116)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CPU(201)는 예시적으로 ROM(판독 전용 메모리; 202) 내에 포함된 프로그램에 따라 많은 처리를 행한다. 이 실시예는 ROM(202) 내에 IEEE 1394 기준을 유지하는 데 있어 데이터 교환을 허용하도록 IEEE 1394 인터페이스(209)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즉, 개인용 컴퓨터(113)는 IEEE 1394 하에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세트를 포함한다.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203)은 CPU(201)로 하여금 다양한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수용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04)는 키보드(205) 및 마우스(206)에 접속된다. 이들 구성 요소로부터의 동작 유도 신호는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CPU(201)로 보내진다. I/O 인터페이스(204)는 또한 저장 매체로서 하드 디스크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07)에 접속된다. I/O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CPU(201)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07) 내의 하드 디스크에 대해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기입 및 판독할 수 있다. 이러한 셋업시에, I/O 인터페이스(204)는 또한 화상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니터(208)에 접속된다.
내부 버스(210)는 예시적으로 PCI(주변 요소 상호접속) 버스 또는 로컬 버스에 의해 구성된다. 그래서, 내부 버스(210)는 내부 기능 회로들을 상호접속시킨다.
상기 MD 레코더/플레이어(1) 및 CD 플레이어(100)에서, 그emf의 I/O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 개인용 컴퓨터(113)의 것과 동일한 기능적 구조를 채택한다.
특히, 도 2의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시스템 제어기(111)로 하여금 I/O 인터페이스(25)를 제어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ROM(28) 내에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 3의 CD 플레이어(100)는 시스템 제어기(111)로 하여금 IEEE 1394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ROM(도시안됨) 내에 포함한다.
IEEE 1394 버스 라인에 의해 구성 요소들이 상호접속되는 이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은 단지 예시적으로만 기술되었을 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른 적절한 구성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2. IEEE 1394에 따른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
2-1. 개요
IEEE 1394에 따라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이 어떻게 발생하는 지에 대해서 기술된다.
IEEE 1394는 직렬 데이터 통신 표준들 중 하나를 구성한다. IEEE 1394 하에서는, 2가지 데아터 통신 방법이 있다: 그 하나는 주기적 통신을 위한 등시성 통신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주기성이 없는 비동기성 통신을 위한 비동기성 통신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등시성 통신 방법은 데이터 전송 및 수신에 사용되는 반면, 비동기성 통신 방법은 다양한 제어 코맨드를 교환하기 위해 채택된다. 싱글 케이블은 데이터 및 코맨드가 2가지 통신 방법에 의해 전송 및 수신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V 시스템은 IEEE 1394 버스 배치를 통해 구성 디바이스들 간에, 사용자 데이터로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MD 레코더/플레이어와 호환가능한 텍스트 파일 및 화상 파일(JPEG 정지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진 보조 데이터의 교환을 허용한다. AV 시스템은 또한 제어기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타겟으로서 선택된 디바이스를 통해 원격 제어를 행하게 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재생 시간에 기초한 오디오 출력을 요구하는 시계열 데이터인데, 이는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는 보조 데이터보다 양적으로 훨씬 크다. 보조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에 비해 양적으로는 적으나, ATRAC 데이터와는 달리, 데이터가 가끔 오디오 데이터 재생과 동기하여 재생되더라도, 실시간 강제에 엄격하게 구속되지는 않는다.
전체적으로, 이 실시예의 IEEE 1394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데이터가 IEEE 1394 버스를 통해 등시성 통신 방법에 의해 전송 및 수신되고, 보조 데이터는 동일한 버스를 통해 비동기성 통신 방법에 의해 교환되는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실시예로 인해, IEEE 1394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를 따로 송신하거나, 시분할에 기초한 등시성 사이클, 즉 후술되는 바와 같은 분명한 동시성 방식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 둘다를 전송할 수 있다.
IEEE 1394 기준에 따라 통신을 실행하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뒤따른다.
2-2. 적층 모델
도 5는 이 실시예에서 구현된 IEEE 1394의 적층 모델을 도시한다. IEEE 1394 포맷에는 2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비동기성 포맷(400)이고, 다른 하나는 등시성 포맷(500)이다. 이들 비동기성 포맷(400)과 등시성 포맷(500)에 공통되는 것은 그 위에 링크 층(302) 있는 소위, 물리적 층(301)으로 불리는 최하위층이다. 물리적 층(301)은 하드웨어에 기초한 신호 전송을 처리한다. 링크 층(302)은 IEEE 1394 버스를 소정의 디바이스에 특정한 내부 버스로 예시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후술될 물리적 층(301), 링크 층(302) 및 트랜잭션 층(401)은 이벤트/제어/구성 라인에 의해 직렬 버스 관리(303)에 링크된다. AV 케이블/접속기(304)는 AV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물리적 접속기 및 케이블을 나타낸다.
비동기성 포맷(400)에 있어서, 트랜잭션 층(401)은 링크 층(302) 상부에 있다. 트랜잭션 층(401)은 IEEE 1394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기본적인 비동기성 트랜잭션으로서, 트랜잭션 층(401)은 기입 트랜잭션, 판독 트랜잭션 및 잠금 트랜잭션을 나타낸다.
트랜잭션 층(401)은 FCP(기능 제어 프로토콜; 402) 위에 있다. FCP(402)는 AV/C 코맨드(AV/C 디지털 인터페이스 코맨드 세트; 403)로서 정의된 제어 코맨드를 사용하여, 다양한 AV 디바이스를 통해 코맨드 제어를 실행한다.
트랜잭션 층(401) 위에는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404)가 있는데, 이는 접속 관리 절차(405)를 사용하여, 플러그(후술될 IEEE 1394 하의 로컬 디바이스 접속)를 설정한다.
등시성 포맷(500)에서, CIP(공통 등시성 패킷) 헤더 포맷(501)은 링크 층(302) 위에 있다. CIP 헤더 포맷(501)의 관리하에, SD(표준 밀도)-DVCR(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레코더) 실시간 전송(502), HD(고밀도)-DVCR 실시간 전송(503), SDL(표준 밀도 길이)-DVCR 실시간 전송(504), MPEG2(이동 화상 코딩 전문가 그룹 2)-TS(트랜스포트 스트림) 실시간 전송(505), 및 오디오와 뮤직 실시간 전송(506)과 같은 전송 프로토콜이 약정된다.
SD-DVCR 실시간 전송(502), HD-DVCR 실시간 전송(503), 및 SDL-DVCR 실시간 전송(504)은 디지털 VTR(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을 어드레스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다.
SD-DVCR 실시간 전송(502)에 의해 처리될 데이터는 SD-DVCR 레코딩 포맷(508)에 따라 얻어진 데이터 순차(SD-DVCR 데이터 순차(507))이다.
HD-DVCR 실시간 전송(503)에 의해 처리될 데이터는 HD-DVCR 레코딩 포맷(510)을 유지하면서 얻어진 데이터 순차(SD-DVCR 데이터 순차(509))이다. SDL-DVCR 실시간 전송(504)에 의해 처리될 데이터는 SDL-DVCR 기록 포맷(512)에 따라서 이득된 데이터 순차(SD-DVCR 데이터 순차(511))이다.
MPEG2-TS 실시간 전송(505)은 위성을 통한 디지털 방송을 위해 예시적으로 튜너를 어드레스시키는 전송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에 의해 처리될 데이터는 DVB(디지털 비디오 방송) 기록 포맷(514) 또는 ATV(아날로그 텔레비전) 기록 포맷(515)에 따라 얻어진 데이터 순차(MPEG2-TS 데이터 순차(513))이다.
오디오 및 뮤직 실시간 전송(506)은 본발명을 구체화한 MD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장비의 전체 범위를 어드레스하는 전송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에 의해 처리될 데이터는 오디오 및 뮤직 기록 포맷(517)에 따라 얻어진 데이터 순차(오디오 및 뮤직 데이터 순차)이다.
2-3. 신호 전송 형태
도 6은 IEEE 1394 버스로서 실제 사용된 케이블의 전형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에서, 접속기(600a 및 600b)들은 케이블(601)을 통해 접속된다. 1 내지 6으로 번호 매겨진 핀들은 접속기(600a 및 600b)들에 부착된 핀 터미널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접속기(600a 및 600b) 상의 핀 터미널들 중에서, 핀 번호 1은 전원(VP)에 해당하고, 핀 번호 2는 접지(VG)에 해당하며, 핀 번호 3은 TPB1에 해당하고, 핀 번호 4는 TPB2에 해당하며, 핀 번호 5는 TPA1에 해당하고, 핀 번호 6은 TPA2에 해당한다.
핀들은 다음과 같이 접속기(600a 및 600b)들 간에 상호접속된다:
핀 번호 1 (VP) 대 핀 번호 1 (VP);
핀 번호 2 (VG) 대 핀 번호 2 (VG);
핀 번호 3 (TPB1) 대 핀 번호 5 (TPA1);
핀 번호 4 (TPB2) 대 핀 번호 6 (TPA2);
핀 번호 5 (TPA1) 대 핀 번호 3 (TPB1); 및
핀 번호 6 (TPA2) 대 핀 번호 4 (TPB2).
상기 핀 접속 쌍들 중, 2개의 트위스트형-라인 쌍
핀 번호 3 (TPB1) 대 핀 번호 5 (TPA1) 및
핀 번호 4 (TPB2) 대 핀 번호 6 (TPA2)는
차등적으로 신호들을 교대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 라인(601a)을 구성한다. 더욱이, 다른 2개의 트위스트형-라인 쌍은
핀 번호 5 (TPA1) 대 핀 번호 3 (TPB1) 및
핀 번호 6 (TPA2) 대 핀 번호 4 (TPB2)는
차등적으로 또한 신호들을 교대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 라인(601b)을 구성한다.
2개의 신호 라인(601a 및 601b)들을 통해 송신된 신호들은 도 7의 (a)에 도시된 데이터 신호(Data) 및 도 7의 (b)에 도시된 스트로브 신호(Strobe)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 라인(601a 및 601b)들 중에서 하나를 사용한다. 이 데이터 신호는 TPB1 및 TPB2를 통해 출력되고, TPA1 및 TPA2에 입력된다.
도 7의 (b)의 스트로브 신호는 데이터 신호 및 이 데이터 신호와 동기된 전송 클럭에 대해 정해진 로직 동작을 수행하므로써 얻어진다. 그 이유로, 스트로브 신호는 실제 전송 클럭의 것보다 더 낮은 주파수를 갖는다. 스트로브 신호는 신호 라인(601a 및 601b)들 중 데이터 신호 전송에 점유되지 않은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신호 라인을 통한 전파에 이어서, 스트로브 신호는 TPA1 및 TPA2를 통해 출력되어 TPB1 및 TPB2에 입력된다.
도 7의 (a)의 데이터 신호와 도 7의 (b)의 스트로브 신호가 IEEE 1394에 따르는 디바이스에 입력된다고 가정하자. 그 경우, 디바이스는 입력된 데이터 신호 및 스트로브 신호에 대해 적절한 로직 동작을 실행하여, 도 7의 (c)에 도시된 전송 클럭(Clock)을 발생한다. 그렇게 발생된 전송 클럭은 필요한 입력 데이터 신호 처리에 사용된다.
그러한 하드웨어에 기초한 데이터 전송 형태를 채택하므로써, IEEE 1394 포맷은 구성 디바이스들 간의 케이블을 통해 고속-사이클 전송 클럭을 전송시킬 필요성을 없앤다. 이는 신호 전송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6-핀 배치가 상기에서 설명되었더라도,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IEEE 1394 포맷은 2개의 트위스트형-라인 쌍, 즉 신호 라인(601a 및 601b)만으로 구성되는 4-핀 배치를 형성하기 위해 전원(VP) 및 접지(VG)를 생략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예시적으로 그러한 4-핀 케이블 배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이전보다는 더 간략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2-4. 디바이스들 간의 버스 접속
도 8은 디바이스들이 IEEE 1394 버스들을 사용하여 전형적으로 어떻게 상호접속되는 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의 셋업은 IEEE 1394 버스를 통한 상호 통신을 위해 접속되는 5개의 디바이스 A 내지 E (노드)를 도시한다.
IEEE 1394 인터페이스는 도 8의 디바이스 A, B 및 C와 같은 장치들이 IEEE 1394 버스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는 데이지-체인 접속(daisy-chain connection)으로서 알려진 것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또한, 디바이스 A가 디바이스 B, D 및 E와 병렬로 접속되는 도 8의 셋업에서와 같이, 장치가 다중 장치들과 병렬로 접속되는 소위, 브랜치 접속(branch connection)을 허용한다.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브랜치 접속과 데이지-체인 접속 둘다를 통해 구성된 디바이스(노드)들을 63개까지 가질 수 있다. 하나만을 사용하는 경우, 데이지-체인 접속은 16개까지의 디바이스(16 pop)들로 된 구성을 허용한다. SCSI(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터미네이터(terminators)는 IEEE 1394 인터페이스에 필요하지 않다.
IEEE 1394 인터페이스는 그러한 데이지-체인 접속 및 브랜치 접속에 의해 접속된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하게 한다. 도 8의 셋업시에, 디바이스 A, B, C , D 및 E는 서로 통신하게 된다.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IEEE 1394 버스에 의해 접속되는 시스템에서(이후, 시스템은 또한 IEEE 1394 시스템이라 함), 구성 디바이스들 각각은 실제로 노드-ID로 지정된다. 노드-ID 지정의 프로세스는 도 9의 (a), (b) 및 (c)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접속 셋업이 도 9의 (a)에서 도시된 IEEE 1394 시스템에서, 버스 리셋은 케이블이 접속 또는 단절되는 경우, 시스템의 구성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경우, 또는 임의의 프로세스가 PHY(물리적 층 프로토콜) 하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발생된다. 그 경우, 버스 리셋 통보는 IEEE 1394 버스를 통해 모든 디바이스 A, B, C, D 및 E에 보내진다.
버스 리셋 통보는 도 9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디바이스들 간의 패런트-차일드 관계(parent-child relations)를 정의하는 통신(소위, 차일드-통보)을 트리거한다. 즉, 구성 디바이스들의 트리 구조는 IEEE 1394 시스템 내에서 구축된다. 트리 구조가 설정되면, 트리의 루트를 구성하는 트리가 정의된다. 루트는 터미널들이 모드 "칠드런(children)"(Ch)로서 정의되는 디바이스이다. 도 9의 (b)의 셋업에서, 디바이스 B는 루트로서 정의된다. 즉, 루트로서의 디바이스 B에 접속된 디바이스의 터미널은 "패런트(parent)"(P)로서 정의된다.
트리 구조 및 그의 루트가 상술한 바와 같이 IEEE 1394 시스템 내에서 정의되면, 각각의 디바이스는 자체의 노드-ID의 선언으로서 셀프-ID 패킷을 출력한다. 루트는 접속된 디바이스에 하나의 노드-ID를 그 후에 다른 하나를 허여하는데, 이에 의해 IEEE 1394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노드-ID)가 결정된다.
2-5. 패킷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1394 포맷은 반복된 등시성 사이클(명목상의 사이클)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달성한다. 각각의 등시성 사이클은 100 MHz의 주파수 대역 상에서 125 μsec 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약정된다. 또한, 등시성 사이클은 125 μsec와는 다른 지속 주기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전송을 위해, 데이터는 각각의 등시성 사이클 내에서 패킷 내에 들어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등시성 사이클은 사이클의 시작을 나타내는 사이클 시작 패킷부터 시작된다. 사이클 시작 패킷을 생성하고자 할 때는 IEEE 1394 시스템 내의 사이클 마스터로서 정의된 디바이스에 의해 지정된다. 사이클 시작 패킷 생성의 상세는 후에 설명되지 않는다.
각각의 사이클 시작 패킷에 이어서 등시성 패킷이 우선적으로 뒤따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시성 패킷은 채널 각각에 대응하여, 시분할적으로(등시성 서브액션 형태로) 전송된다. 등시성 서브액션에서, 패킷은 등시성 갭으로 불리우는 간격만큼 떨어져 설정된다(각각은 예시적으로 0.05 μsec 동안 지속됨).
상술한 바와 같이, IEEE 1394 시스템은 등시성 데이터가 다중-채널에 기초한 단일 전송 라인을 통해 송수신되게 한다.
이 실시예의 MD 레코더/플레이어와 호환가능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이후, ATRAC 데이터로 불림)가 등시성 방법에 의해 전송된다고 가정하자. 그 경우, ATRAC 데이터가 1.4 Mbps의 단일-속도 전송율이 되면, 시계열 연속성(즉, 실시간 특성)은 125 μsec 등시성 사이클 당 20 남짓의 메가바이트로 등시성 패킷 내의 데이터를 전송하므로써 보장된다.
예를 들면, ATRAC 데이터의 전송 전에, 디바이스는 IEEE 1394 시스템 내의 IRM(등시성 리소스 메니저)를 요청하여, ATRAC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긴 등시성 패킷 사이즈를 승인한다. 응답시에, IRM은 현재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모니터하므로써 패킷 사이즈에 대한 허용을 승인 또는 보류한다. 허용이 승인되면, 해당 ATRAC 데이터는 특정 채널을 통해 등시성 패킷 내에 전송된다. 이러한 절차(이후 상세히 설명되지 않음)는 IEEE 1394 인터페이스에 대한 대역 예약(band reservation)이라 한다.
등시성 사이클 대역에 걸쳐 등시성 서브액션에 사용되지 않은 주파수 범위는 비동기성 서브액션, 즉 패킷의 비동기성 전송에 사용된다.
도 10은 2개의 비동기성 패킷 A 및 B가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다. 비동기성 패킷 각각에는 이들 패킷들 사이에 삽입된 확인 갭(0.05 μsec 길이)으로 불리는 간격으로 ACK(확인) 신호가 뒤따른다. ACK 신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드웨어에 기초한 수신측(즉, 타겟)에 의해 출력되어, 소정의 비동기성 데이터가 비동기성 트랜잭션 중에 수신되었음을 전송측(즉, 제어기)에 알린다.
약 10 μsec의 서브액션 갭으로 불리는 간격은 비동기성 패킷과 ACK 신호로 이루어진 각각의 데이터 전송 유닛 전후에 배치된다.
등시성 패킷 내에 ATRAC 데이터를 전송하고 비동기성 패킷 내에 ATRAC 데이터를 수반하는 보조 데이터 파일을 송신하기 위한 배치가 만들어지는 경우에, 분명히 동시적으로 ATRAC 데이터와 보조 데이터 파일 둘다를 전송할 수 있다.
2-6. 트랜잭션 룰
도 11의 (a)는 비동기성 통신에 대한 기본적인 트랜잭션 룰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이행도이다. 트랜잭션 룰은 FCP에 따라 약정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퀘스터(전송측)는 먼저 단계 S11에서 요청을 리스폰더(수신측)에 보낸다. 요청의 수신시에(단계 S12), 리스폰더는 리퀘스터에 확인을 다시 보낸다(단계 S13). 확인을 수신하면, 리퀘스터는 요청이 리스폰더에 의해 수신되었는 지를 확인한다(단계 S14).
차례대로, 리스폰더는 리퀘스터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트랜잭션 응답을 송신한다(단계 S15). 응답의 수신시에(단계 S16), 리퀘스터는 리스폰더에 확인을 돌려 보낸다(단계 S17). 확인을 수신하면, 리스폰더는 응답이 리퀘스터에 의해 수신되었는 지를 입증한다.
도 11의 (a)에서 전송된 요청 트랜잭션은 3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도 11의 (b)의 테이블의 좌측부에 리스트된 기입 요청, 판독 요청 및 잠금 요청이다.
기입 요청은 데이터 기입 동작을 지정하는 코맨드이다. 판독 요청은 데이터 판독 동작을 특정하는 코맨드이다. 후에 상세히 논의되지는 않았지만, 잠금 요청(lock requests)은 교환, 비교 및 마스크 동작(swap, compare and mask operations)들에 대한 코맨드이다.
기입 요청은 또한 3가지 유형으로 비동기성 패킷(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AV/C 코맨드 패킷) 내의 코맨드(연산자)의 데이터 사이즈에 의해 그룹화된다. 한가지 기입 요청 유형은 비동기성 패킷 내의 헤더 사이즈 단독에 따라 코맨드를 송신하기 위한 기입 요청(데이터 쿼드렛)이다. 다른 2가지 기입 요청 유형은 기입 요청(데이터 블록: 데이터 길이 = 4 바이트)과 기입 요청(데이터 블록: 데이터 길이 ≠ 4 바이트)이다. 나중 2개의 기입 요청 각각은 비동기성 패킷의 헤더에 코맨드 전송을 위한 데이터 블록을 보충한다. 서로 다른 2가지 기입 요청 유형을 만드는 것은 데이터 블록 내에 배치된 연산자의 데이터 사이즈가 한가지 요청 유형에 대한 4 바이트와 다른 요청 유형에 대한 4 바이트와는 다른 얼마간의 바이트이기 때문이다.
기입 요청과 같이, 판독 요청은 또한 3가지 유형으로 비동기성 패킷 내의 연산자의 데이터 사이즈에 의해 그룹화된다: 3가지 유형은 판독 요청(데이터 쿼드렛), 판독 요청(데이터 블록: 데이터 길이 = 4 바이트)과 판독 요청(데이터 블록: 데이터 길이 ≠ 4 바이트)이다.
응답 트랜잭션은 도 11의 (b)의 테이블 우측부에 리스트되어 있다. 기입 응답 또는 무응답은 3가지 기입 요청 유형들 중 소정의 유형에 대응하여 정의된다.
판독 응답(데이터 쿼드렛)은 판독 요청(데이터 쿼드렛)에 따라 정의되고, 판독 응답(데이터 블록)은 판독 요청(데이터 블록: 데이터 길이 = 4 바이트) 또는 판독 요청(데이터 블록: 데이터 길이 ≠ 4 바이트)에 따라 정의된다.
잠금 응답은 잠금 요청에 따라 정의된다.
2-7. 어드레싱
도 12의 (a) 내지 (e)는 IEEE 1394 버스의 어드레싱 구조를 도시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64-비트 버스 어드레스 레지스터(어드레스 공간)는 IEEE 1394 포맷으로 제공된다.
레지스터의 상위 10-비트 영역은 IEEE 1394 버스를 식별하기 위한 버스 ID를 지정한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영역은 버스 번호 0 내지 1,022에 대한 버스 ID를 1,023까지 설정하게 한다. 버스 번호 1,023은 로컬 버스로서 정의된다.
도 12의 (a)의 버스 어드레스에 따른 6-비트 영역은 버스 ID에 의해 식별된 IEEE 1394 버스에 접속된 Node_ID를 지정한다.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de_ID는 번호 0 내지 62로 매겨진 63개까지의 Node_ID에 의한 식별을 허용한다.
상기 버스 ID 및 Node_ID를 포함하는 16-비트 영역은 후술될 AV/C 코맨드 패킷의 헤더 내의 종착지 ID에 해당한다. IEEE 1394 시스템에서, 특정 버스에 접속된 각각의 디바이스는 버스 ID 및 Node_ID에 의해 식별된다.
도 12의 (a)의 Node_ID에 따른 20-비트 영역은 레지스터 공간을 구성한다. 레지스터 공간에는 28-비트 레지스터 어드레스가 뒤따른다.
레지스터 공간은 도 12의 (d)에 도시된 레지스터를 나타내는 값 [F FF FFh]을 포함한다. 이 레지스터의 내용은 도 1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레지스터 어드레스는 도 12의 (e)에 도시된 레지스터의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요약하면, 어드레싱 작업은 다음과 같다: 등시성 사이클 시간 및 자유 채널에 관한 정보는 예시적으로 도 12의 (e)의 레지스터 내의 어드레스 512 [0 00 02 00h]로부터 시작하는 직렬 버스-의존형 레지스터를 참조하므로써 얻어진다.
어드레스 1,024 [0 00 04 00h]로부터 시작하는 구성 ROM의 내용에 대한 참조는 노드 형태와 이 노드 형태에 특정한 노드-유일 ID의 인식을 허용한다.
2-8. CIP
도 13은 CIP(공통 등시성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된 등시성 패킷의 데이터 구조이다. IEEE 1394-호환가능 통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ATRAC 데이터(이 실시예의 MD 레코더/플레이어에 의해 기록 및 재생될 한 유형의 오디오 데이터)는 등시성 방법에 의해 송수신된다. 즉, 실시간 특성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데이터량은 등시성 사이클 내에서 하나씩 전송되는 등시성 패킷에 의해 전달된다.
CIP의 제1의 32 비트(쿼드렛을 구성)는 1394 패킷 헤더를 구성한다. 이러한 패킷 헤더에서, 상위 16-비트 영역은 태그(tag)를 지정하는 2-비트 영역이 뒤따르는 Data_length를 나타낸다. 태그에는 채널을 지정하는 6-비트 영역이 뒤따른다. 채널 영역에는 4-비트 "sy" 코드가 차례대로 뒤따르는 "tcode"를 지정하는 4-비트가 뒤따른다. 1394 패킷 헤더를 따르는 쿼드렛 영역은 header_CRC를 포함한다.
header_CRC를 따르는 2-쿼드렛 영역은 CIP 헤더를 구성한다. CIP 헤더의 상위 쿼드렛에서, 최상위 2 비트는 각각 "0"으로 채워진다. "0" 비트 이후의 6-비트 영역은 SID(전송 노드 번호)를 나타내고, 이어서 8-비트 영역은 DBS(데이터 블록 사이즈, 즉 패킷 형성용 데이터의 증분)를 지정한다. DBS 영역에는 NF(2 비트)와 QPC(3 비트) 영역이 뒤따른다. FN 영역은 패킷 형성용 세그먼트의 수를 의미하고, QPC 영역은 세그멘테이션을 위해 추가된 쿼드렛의 수를 나타낸다.
QPC 영역에는 소스 패킷 내의 헤더의 플래그를 나타내는 SPH(1 비트) 영역이 뒤따른다. DBC 영역은 드롭된 패킷을 검출하기 위한 카운터의 값을 포함한다.
CIP 헤더의 하위 쿼드렛 내의 상위 2개의 비트는 "0"으로 채워진다. "0" 비트에는 FMT(6 비트)과 FDF(24 비트) 영역이 뒤따른다. FMT 영역은 그 값이 CIP 내에 배치된 데이터 유형(즉, 데이터 포맷)의 식별을 허용하는 신호 포맷을 나타낸다. 특히, MPEG 스트림 데이터, 오디오 스트림 데이터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V) 스트림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 유형들은 FMT 영역에 의해 tlrqufehld tn 있다. FMT 영역 내에 주어진 데이터 포맷은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CIP 헤더 포맷(501)의 관리하에서의 SD-DVCR 실시간 전송(502), HD-DVCR 실시간 전송(503), SDL-DVCR 실시간 전송(504), MPEG2-TS 실시간 전송(505) 또는 오디오 및 뮤직 실시간 전송(506)과 같은 전송 프로토콜에 해당한다.
FDF 영역은 이 영역에 의해 분류된 데이터 포맷의 상세한 카테고리를 지정하는 포맷-의존형 필드이다. 예시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는 선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MIDI 데이터와 같이 좀 더 상세하게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ATRAC 데이터는 FMT 영역 내의 오디오 스트림 데이터의 카테고리 하에 있는 데이터로서 먼저 표시된다. 정해진 값이 FMT 영역에 설정되면, 오디오 스트림 데이터는 또한 ATRAC 데이터인 것으로 도시된다.
FMT 영역이 MPEG 데이터를 나타내면, FDF 영역은 TSF(시간 시프트 플래그)로 불리는 동기화 제어 정보를 보유한다. FMT 영역이 DVCR(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데이터를 나타내면, FDF 영역은 도 13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이 FDF 영역은 초당 필드 수를 지정하는 상위 50/60 영역(1 비트)을 포함하고, 이어서 STYPE 영역(5 비트)은 비디오 포맷이 SD 또는 HD인지를 나타낸다. STYPE 영역에는 프레임 동기화에 시간 스탬프를 제공하는 SYT 영역이 뒤따른다.
CIP 헤더에 이어서, FMT 및 FDF 영역에 의해 표시된 데이터가 "n" 데이터 블록의 순차 내에 저장된다. 데이터가 FMT 및 FDF 영역에 의해 ATRAC 데이터인 것으로 도시되면, 데이터 블록은 ATRAC 데이터를 포함한다. 데이터 블록은 data_CRC 영역에서 종료된다.
2-9. 접속 관리
IEEE 1394 포맷에서, "플러그"로 불리는 로직 접속은 IEEE 1394 버스에 의해 접속된 디바이스들 간의 접속 관계를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도 14는 플러그에 의해 정의된 접속 관계의 전형적인 셋업을 도시한다. 이 셋업은 모두 IEEE 1394 버스를 통해 접속된 VTR1, VTR2, 세트-탑 박스(STB; 디지털 위성 방송 튜너), 모니터 및 디지털 정지 카메라를 갖는 시스템을 구성한다.
플러그-기재(plug-based) IEEE 1394 접속은 다음과 같이 2가지 형태, 즉 포인트-투-포인트 접속(point-to-point connection)과 방송 접속(broadcast connection)이 있다.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은 전송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간의 관계를 특정한다. 데이터 전송은 특정 채널을 통해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디바이스로 발생한다.
반면에, 방송 접속은 사용될 채널과 수신 디바이스를 특정할 것을 전송 디바이스에 요구하지 않고도 데이터 전송을 허용한다. 수신 디바이스는 전송 디바이스를 식별하지 않고도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내용에 의해 정해진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도 14의 셋업은 2개의 포인트-투-포인트 접속 상태를 도시한다: 하나는 채널 번호 1을 통해 STB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VTR1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와, 다른 하나는 채널 번호 2를 통해 디지털 정지 카메라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VTR2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
또한, 디지털 정지 카메라가 방송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송 접속 상태가 도 14에 도시된다. 방송 데이터는 정해진 응답 프로세스를 차례대로 수행하는 모니터에 의해 수신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접속은 구성 디바이스 각각의 어드레스 공간 내에 포함된 PCR(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에 의해 설정된다.
도 15의 (a)는 출력용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oPCR[n])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15의 (b)는 입력용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iPCR[n])의 구조를 도시한다. 레지스터 (oPCR[n] 및 iPCR[n])들은 각각 32 비트 사이즈를 갖는다.
도 15의 (a)의 레지스터 oPCR에서, 예시적으로 최상위 비트(온-라인)에 설정된 "1"은 방송 접속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고; "0"은 채널 번호가 MSB에 관련된 11번째 비트로부터 시작하는 6-비트 채널 번호 영역 내에 설정되는 채널을 통해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에 의해 데이터가 전송됨을 나타낸다.
도 15의 (b)의 레지스터 iPCR에서, 예시적으로, 최상위 비트(온-라인)에 설정된 "1"은 방송 접속에 의한 데이터 수신을 나타내고; "0"은 채널 번호가 MSB에 관련된 11번째 비트로부터 시작하는 6-비트 채널 번호 영역 내에 설정되는 채널을 통해 포인트-투-포인트 접속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됨을 나타낸다.
2-10. FCP 하의 코맨드 및 응답
이 실시예의 IEEE 1394 포맷에서, 보조 데이터(MD 레코더/플레이어에 의해 기록 및 재생되고 JPEG에 기초한 화상 파일 및 텍스트 파일)는 비동기식으로 송수신된다.
이 실시예에서, 비동기식 방법에 의한 보조 데이터의 전송은 도 5에 도시된 FCP(402) 하에서 조정된다. 다음에서는 FCP에 의해 통제된 전송에 대한 트랜잭션이 설명된다.
비동기식 방법에 대해 규정된 기입 트랜잭션(도 11의 (b) 참조)은 FCP 하에서 사용된다. 보조 데이터는 FCP를 계속 유지하는 비동기 전송에 대한 기입 트랜잭션을 사용하므로써 이 실시예에 의해 전송된다.
FCP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각각은 코맨드/응답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기입 트랜잭션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시지를 코맨드/응답 레지스터에 기입하므로써 구현된다.
도 16은 단계(S21)에서 제어기가 트랜잭션 요청을 발생하고 코맨드 전송을 위한 타겟에 기입 요청 패킷을 송신하는 프로세스 이행도를 도시한다. 단계(S22)에서, 타겟은 기입 요청 패킷을 수신하고, 데이터를 코맨드/응답 레지스터에 기입한다. 타겟은 단계(S23)에서 확인을 제어기에 돌려 보내고, 단계(S24)에서 제어기는 확인을 수신한다. 지금까지의 단계들은 코맨드 전송 프로세스를 구성한다.
코맨드에 응답하는 프로세스에서, 타겟은 기입 요청 패킷을 전송한다(단계 S25). 기입 요청 패킷의 수신시에, 제어기는 데이터를 코맨드/응답 레지스터에 기입한다(단계 S26). 기입 요청 패킷이 수신되면, 제어기는 또한 타겟에 확인을 전송한다(단계 S27). 확인의 수신은 타겟으로 하여금, 기입 요청 패킷이 제어기에 의해 수신되었는 지를 확인하게 한다(단계 S28).
즉, FCP에 따른 데이터 전송(트랜잭션)은 2가지 프로세스에 기초한다: 하나는 제어기로부터 타겟으로의 코맨드 전송 프로세스이고, 다른 하나는 타겟으로부터 제어기로의 응답 전송 프로세스이다.
2-11. AV/C 코맨드 패킷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FCP는 다양한 AV 디바이스들이 AV/C 코맨드를 사용하여 비동기식 방법에 의해 통신하게 한다.
3 종류의 트랜잭션, 즉 기입, 판독 및 잠금은 도 11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비동기식 통신에 대해 규정된다. 실제로, 기입 요청/응답 패킷, 판독 요청/응답 패킷 및 잠금 요청/응답 패킷은 상이한 트랜잭션을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FCP에 대해서, 기입 트랜잭션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도 17은 기입 요청 패킷(비동기성 패킷(데이터 블록에 대한 기입 요청))의 포맷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AV/C 코맨드 패킷으로서 기입 요청 패킷을 사용한다.
기입 요청 패킷 내의 상위 5개의 쿼드렛(즉, 제1 내지 제5 쿼드렛)은 패킷 헤더를 구성한다. 패킷 헤더의 제1 쿼드렛 내의 상위 16-비트 영역은 destination_ID, 즉 데이터 전송 종착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노드의 ID를 나타낸다. 종착지 ID 영역에는 패킷 번호를 나타내는 6-비트 "t1" (처리 레벨) 영역이 뒤따른다. 6-비트 영역에는 해당 패킷이 초기에 전송된 패킷인지 또는 재전송된 패킷인지를 나타내는 2-비트 "rt"(재시도 코드) 영역이 뒤따른다. "rt" 영역에는 코맨드 코드를 지정하는 4-비트 "tcode" (트랜잭션 코드) 영역이 뒤따른다. "tcode" 영역에는 패킷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4-비트 "pri" (우선순위) 영역이 뒤따른다.
패킷 헤더의 제2 쿼드렛 내의 상위 16-비트 영역은 source_ID, 즉 데이터 전송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노드의 ID를 나타낸다.
전체 48 비트를 점유하는 제2 쿼드렛 및 전체 제3 쿼드렛 내의 하위 16-비트 영역은 2개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destination_offset을 지정한다: 하나는 코맨드 레지스터(FCP_COMMAND 레지스터)용의 어드레스이고, 다른 하나는 응답 레지스터(FCP_RESPONSR 레지스터)용의 어드레스이다.
destination_ID 및 destination_offset은 IEEE 1394 포맷으로 약정된 64-비트 어드레스 공간에 해당한다.
제4 쿼드렛 내의 상위 16-비트 영역은 data_length를 포함한다. 이 영역은 후술될 데이터필드(도 17에서 굵은 선으로 둘러싸인 것으로 도시됨)의 데이터 사이즈를 지정한다. data_length 영역에는 tcode가 확장될 때 사용된 extended_tcode가 뒤따른다.
제5 쿼드렛을 구성하는 32-비트 영역은 header_CRC를 나타낸다. 이 영역은 패킷 헤더를 검사하기 위해 CRC-계산된 값을 포함한다.
데이터 블록은 패킷 헤더에 이은 6번째 쿼드렛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배열된다. 데이터필드는 데이터 블록의 시작점에서 형성된다.
제6 쿼드렛을 선도하는 데이터필드를 형성하는 상위 4 바이트는 CTS(코맨드 및 트랜잭션 세트)를 나타낸다. CTS 영역은 해당 기입 요청 패킷에 대한 코맨드 세트의 ID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0"의 CTS 값은 AV/C 코맨드로서의 데이터필드의 내용을 정의한다. 즉, 기입 요청 패킷은 AV/C 코맨드 패킷으로서 식별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CTS 영역은 FCP가 AV/C 코맨드를 사용하도록 "0"으로 채워진다.
CTS에 뒤따르는 4-비트 영역은 "ctype" (코맨드 형태, 즉 코맨드 기능 분류)에 또는 코맨드에 대응하는 프로세스의 결과(즉, 응답)를 나타내는 내부에 기입된 응답을 포함한다.
도 18은 상술한 코맨드 형태(ctype) 및 응답의 정의를 리스팅한다. 값 [0000] 내지 [0111]은 "ctype" (코맨드)로서의 용도로 정의된다. 특히, 값 [0000]은 CONTROL로서 정의되고, [0001]은 STATUS로서, [0010]은 INQUIRY로서, 그리고 [0011]은 NOTIFY로서 정의된다. 값 [0100] 내지 [0111]은 현재 미확정(예약) 상태이다.
CONTROL은 외부에서 기능을 제어하는데 사용된 코맨드이고; STATUS는 외부로부터의 상태를 문의하기 위한 코맨드이며; INQUIRY는 제어 코맨드에 대한 지원 여부를 외부적으로 문의하는데 사용된 코맨드이고; NOTIFY는 외부 엔터티가 상태 변경을 통보받았는지를 요청하는데 사용된 코맨드이다.
값 [1000] 내지 [1111]은 응답으로서의 용도로 정의된다. 특히, 값 [1000]은 NOT IMPLEMENTED로서; [1001]은 ACCEPTED로서; [1010]은 RFJECTED로서; [1011]은 IN TRANSITION으로서; [1100]은 IMPLEMENTED/STABLE로서; [1101]은 CHANGED로서; [1110]은 reserved로서; 그리고 [1111]은 INTERIM으로서 정의된다.
상기 응답은 코맨드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4개의 응답, 즉 NOT IMPLEMENTED, ACCEPTED, RFJECTED 및 INTERIM들 중 하나는 리스폰더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도 17에서, ctype/response 영역에는 subunit_type을 포함하는 5-비트 영역이 뒤따른다. 서브유닛 형태는 코맨드 전송의 종착지로서 또는 응답 전송의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서브유닛(디바이스)을 지정한다. IEEE 1394 포맷에서, 각각의 디바이스는 유닛으로서 칭해지고, 유닛 내의 기능적 유닛은 서브유닛으로서 칭해진다. 예시적으로, 유닛으로서의 전형적인 VTR은 2개의 서브유닛들을 포함한다: 이들은 지상 및 위성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와, 비디오 카셋 레코더/플레이어이다.
서브유닛 형태는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정의된다. 특히, 값 [00000]은 모니터로서 정의되는 반면, [00001] 내지 [00010]은 예약된다. 값 [00011]은 디스크 레코더/플레이어로서 정의되고; [00100]은 VCR로서; [00101]은 튜너로서; [00111]은 카메라로서 정의되고, 그리고 [01000] 내지 [11110]은 예약된다. 값 [11111]은 서브유닛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정의된다.
도 17에서, 서브유닛 형태 영역에 뒤따르는 3-비트 영역은 동일한 형태의 서브유닛들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 서브유닛을 식별하기 위한 "id" (Node_ID)를 포함한다.
"id" (Node_ID) 영역에 뒤따르는 8-비트 영역은 차례대로 연산자가 뒤따르는 opcode를 포함한다. opcode는 연산 코드를 나타낸다. 연산자는 opcode에 필요한 정보(파라미터)를 포함한다. opcode들은 해당 서브유닛에특정한 opcode 리스트 테이블 내의 서브유닛 각각에 대해 정의된다. 예시적으로, 서브유닛이 VCR이면, PLAY(재생) 및 RECORD(기록)과 같은 다양한 코맨드들이 서브유닛에 대해 정의된다. 연산자는 opcode 마다 정의된다.
도 17의 제6 쿼드렛을 구성하는 32-비트 영역은 위임의 데이터필드이다. 필요하다면, 연산자들은 이 데이터필드 이후에 추가될 수 있다(추가 연산자로서 도시됨).
데이터필드에는 data_CRC 영역이 뒤따른다. 패딩(padding)은 필요한 경우 data_CRC 영역 이전에 배치될 수 있다.
2-12. 플러그
IEEE 1394 포맷의 플러그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가 다음에 설명된다. 도 15의 (a) 및 (b)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플러그는 IEEE 1394 포맷에 따른 디바이스들 간의 로직 접속을 나타낸다.
비동기성 통신에서 유효한 코맨드(요청)와 같은 데이터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로 송신된다. 생산자는 전송기로서의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이고, 소비자는 IEEE 1394 인터페이스에 따라 수신기로서의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소비자는 생산자에 의해 기입된 데이터를 수반하는, 도 20에서 음영으로 도시된 세그먼트 버퍼를 포함한다.
IEEE 1394 시스템에서, 생산자 및 소비자로서 특정 디바이스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 정보는 접속 관리 정보로 칭함)는 도 20에서 편복선으로 표시된 정해진 플러그 어드레스 위치에 보유된다. 세그먼트 버퍼는 플러그 어드레스 뒤에 위치한다.
소비자가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는 세그먼트 버퍼 어드레스의 범위(따라서, 이 범위는 기록가능한 데이터량을 나타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비자측 상에서 관리된 한계치 카운트 레지스터에 의해 규정된다.
도 21의 (a), (b) 및 (c)는 비동기성 통신을 위한 플러그 어드레스 공간의 구조를 나타낸다. 64-비트 플러그 어드레스 공간은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많이 216 (64K) 노드들로 나뉘어지는데, 이는 플러그가 도 21의 (b)에 도시된 노드 각각의 어드레스 공간 내에 발견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플러그 각각은 도 21의 (c)에서 음영으로 도시된 세그먼트 버퍼와, 편복선으로 표시된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레지스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송측(생산자)과 수신측(소비자) 간의 데이터 교환에 필요한 정보(즉, 전송된 데이터 사이즈 및 수신가능한 데이터 사이즈)를 포함한다. 세그먼트 버퍼는 생산자로부터 소비자로 송신된 데이터를 기입하는 영역이다. 예시적으로, 최소 세그먼트 버퍼 사이즈는 64 바이트인 것으로 약정된다.
도 22의 (a)는 그 내용이 도 21의 (c)에서의 것과 동일한 전형적인 플러그 어드레스를 도시한다.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어드레스는 세그먼트 버퍼가 뒤따르는 레지스터에 의해 선도된다.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터의 내부 구조는 각각의 사이즈가 32 비트인 한계치 카운트 레지스터 [1] 내지 [14]가 뒤따르는 32-비트 생산자 카운트 레지스터에 의해 선도된다. 즉, 하나의 생산자 카운트 레지스터와 14개의 한계치 카운트 레지스터들이 레지스터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미사용 영역은 한계치 카운트 레지스터[14] 뒤에 온다.
도 22의 (a) 및 (b)에 도시된 플러그 구조는 도 22의 (c)에 도시된 오프셋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다. 오프셋 어드레스 0은 소비자 포트(생산자 카운트 레지스터)를 특정하는 반면, 오프셋 어드레스 4, 8, 12 내지 56 및 60은 생산자 포트 [1] 내지 [14]를 지정한다. 오프셋 어드레스 64는 세그먼트 버퍼를 지정한다.
도 23의 (a) 및 (b)는 생산자 및 소비자 둘다의 플러그 구조를 도시한다. 실제 그러한 플러그 구조에 있어서, 비동기성 통신은 후술하는 데이터 교환 절차에 따라, 생산자 카운트 레지스터, 한계치 카운트 레지스터 및 세그먼트 버퍼에 데이터를 기입하므로써 구현된다. 기입 동작은 상술한 기입 트랜잭션의 카테고리 하에 있다.
생산자는 소비자의 생산자 카운트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특히, 생산자는 생산자측 상의 데이터 전송에 관한 정보를 생산자에 특정한 어드레스의 생산자 카운트 레지스터에 먼저 기입한다. 그 다음, 생산자 카운트 레지스터의 내용은 소비자측 상의 생산자 카운트 레지스터에 기입된다.
생산자 카운트 레지스터는 소비자의 세그먼트 버퍼에 생산자에 의한 단일 기입 동작시에 기입될 데이터의 사이즈를 포함한다. 즉, 데이터를 생산자 카운트 레지스터에 기입하는 생산자는 소비자 세그먼트 버퍼에 기입될 데이터의 사이즈를 보고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응답시에, 소비자는 생산자의 한계치 카운트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특히, 소비자는 생산자에 대응하여 지정되는 한계치 카운트 레지스터 1 내지 14(레지스터 [n])들 중 하나에 세그먼트 버퍼의 사이즈를 먼저 기입한다. 그 다음, 한계치 카운트 레지스터 [n]의 내용은 생산자의 한계치 카운트 레지스터 [n]에 기입된다.
한계치 카운트 레지스터 [n]에 기입된 데이터에 따라, 생산자는 자체 세그먼트 버퍼에 예시적으로 단일 기입 동작시에 기입될 데이터의 사이즈를 결정한다. 세그먼트 버퍼의 내용은 차례대로 소비자의 세그먼트 버퍼에 기입된다. 소비자 세그먼트 버퍼로의 기입 동작은 비동기성 통신의 데이터 전송을 구성한다.
2-13. 비동기식 접속 전송 절차
도 24의 프로세스 이행도를 참조하여, 도 23의 (a) 및 (b)의 플러그간 (즉, 생산자-소비자) 구조가 설정된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비동기식 접속에 의한 송수신에 대한 기본적인 절차가 다음에 설명된다.
도 24에 도시된 전송 및 수신 절차는 비동기식 통신에 대한 FCP에 의해 약정된 환경에서 AV/C 코맨드(기입 요청 패킷)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이 실시예에 의해 처리된 보조 데이터는 IEEE 1394 시스템 내의 절차를 사용하여 송수신된다. 도 23의 (a) 및 (b)에 도시된 처리가 비동기식 접속에 의해 통신 동작만을 나타냄을 주지해야 하며, 보조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어드레싱하는 통신 프로세스는 후술된다.
실제 비동기식 접속 셋업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은 코맨드 전송에 이어서 송신 및 수신된다. 도 24의 셋업은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확인 교환의 설명을 생략한다.
IEEE 1394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플러그간(즉,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접속 관계는 상술한 생산자-소비자 관계외에도, 제어기-타겟 관계를 포함한다. IEEE 1394 시스템에서, 생산자-소비자 관계 내에 설정된 디바이스들은 제어기-타겟 관계 내에 배열된 디바이스들과 일치할 수도 또는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생산자로서 지정된 디바이스외에도 제어기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약정된 디바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 생산자-소비자 관계가 제어기-타겟 관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24의 전송 절차에서의 단계(S101)에서, 생산자는 접속 요청을 소비자에게 전송한다. 접속 요청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접속을 요청하기 위해 생산자에 의해 소비자에게 송신된 코맨드이다. 코맨드는 생산자의 레지스터 어드레스를 소비자에게 알린다.
접속 요청은 단계(S102)에서 소비자에 의해 수신되고, 이에 따라 소비자는 생산자측의 레지스터의 어드레스를 인식한다. 단계(S103)에서, 소비자는 응답시에 접속 허락을 생산자에게 전송한다. 단계(S104)에서 생산자가 접속 허락을 수신하면, 접속은 후속 데이터 전송 및 그에 따른 수신을 위해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셋업된 접속에 의해, 단계(S105)에서 소비자는 한계치 카운트 레지스터(이후, 한계치 카운트로 간략화) 기입 요청을 생산자에게 전송한다. 단계(S106)에서 한계치 카운트 기입 요청을 수신한 후, 단계(S107)에서 생산자는 한계치 카운트 기입 허락을 소비자에게 전송한다. 단계(S108)에서, 소비자는 한계치 카운트 기입 허락을 수신한다. 기입 허락이 뒤따르는 한계치 카운트 기입 요청의 송신은 세그먼트 버퍼에 나중에 기입될 데이터의 사이즈(즉, 세그먼트 버퍼 사이즈)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이다.
단계(S109)에서, 생산자는 세그먼트 버퍼 기입 요청을 소비자에게 전송한다. 세그먼트 버퍼 기입 요청은 단계(S110)에서 소비자에 의해 수신된다. 응답시에, 소비자는 단계(S111)에서 세그먼트 버퍼 기입 허락을 생산자에게 전송한다. 생산자는 단계(S112)에서 세그먼트 버퍼 기입 허락을 수신한다.
단계(S109 내지 S112)들의 실행은 생산자의 세그먼트 버퍼로부터 소비자의 세그먼트 버퍼로 데이터를 기입하는 단일 프로세스를 달성한다.
단계(S109 내지 S112)에서, 데이터는 도 10에 도시된 단일 비동기성 패킷의 전송에 의해 기입된다. 비동기성 패킷 내에 전송된 데이터 사이즈가 한계치 카운트 레지스터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 사이즈보다 작은 경우, 그리고 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이 단일 비동기성 패킷을 사용하여 완료되지 않은 경우, 단계(S109 내지 S112)들은 세그먼트 버퍼 용량이 꽉 찰 때까지 반복된다.
세그먼트 버퍼에 대한 기입 동작이 단계(S109 내지 S112)에서 완료되면, 단계(S113)는 실행되어, 생산자가 생산자 카운트 레지스터(이후, 생산자 카운트로 간략화) 기입 요청을 소비자에게 전송한다. 소비자는 단계(S114)에서 생산자 카운트 기입 요청을 수신하고, 생산자 카운트 레지스터에 대한 기입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S115)에서, 소비자는 생산자에게 생산자 카운트 기입 허락을 전송한다. 생산자는 단계(S116)에서 생산자 카운트 기입 허락을 수신한다.
상기 프로세스는 생산자로부터 소비자 세그먼트 버퍼로 단계(S109 내지 S112)에서 전송된 데이터 사이즈를 소비자에게 통보한다.
단계(S117)에서, 프로세스는 단계(S113 내지 S116)들로 이루어진 생산자 카운트 기입 프로세스에 이어서 한계치 카운트 기입 동작을 수행하도록 초기화된다. 특히, 단계(S117 내지 S1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계치 카운트 기입 요청은 소비자로부터 생산자에게 전송된다. 응답시에, 생산자는 소비자에게 한계치 카운트 기입 허락을 전송한다.
상기 단계(S109 내지 S120)들은 비동기식 접속에 의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절차들의 단일 세트를 구성한다. 전송될 데이터의 사이즈가 세그먼트 버퍼 사이즈보다 크고, 데이터의 전송이 일련의 단계(S109 내지 S120)에서 완료되지 않은 경우, 단계(S109 내지 S120)들은 데이터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단계(S121)에서 생산자는 단절 요청을 소비자에게 전송한다. 소비자는 단계(S122)에서 단절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S123)에서 단절 허락을 전송한다. 생산자는 단계(S124)에서 단절 허락을 수신하는데, 이는 비동기식 접속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달성한다.
2-14. 예약 코맨드
예약 코맨드는 상기 IEEE 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 조건에 따른 AV/C 코맨드의 인터페이스로서 정의된다.
제어기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가 타겟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에 예약 코맨드를 전송하는 경우와 타겟이 예약 코맨드를 수신하는 경우에, 타겟은 예약 모드로 가입하는데, 여기서 예약 코맨드를 송신한 제어기로부터의 코맨드(요청)만이 수신되고 소정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코맨드는 거절된다.
그렇게 설정된 예약 모드로 인해, 예약 코맨드를 발생하는 제어기만이 타겟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 상에서 원격 제어를 실행한다. 다른 제어기는 타겟에 대한 원격 제어를 실행할 수 없다.
타겟으로서 기능하는 디바이스의 예약은 단일 타겟과 다수의 제어기 간의 처리에서 가능한 충돌을 방지하여, 타겟 상에서 동시에 원격 제어를 실행하도록 시도한다. 상술한 이러한 특징은 PCT 출원번호 PCT/JP99/06411호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었다.
도 25는 예약 제어 코맨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제어기는 예약 제어 코맨드를 타겟에 전송하여, 타겟에 예약 요청을 행한다.
도 25에 도시된 예약 제어 코맨드는 도 17에 도시된 기입 요청 패킷(AV/C 코맨드 패킷)의 데이터필드 내의 opcode 다음에 배치된다.
값 "01h" ("h"는 16진수 표기)는 8-비트 opcode 영역에 설정된다. 이 값은 예약 코맨드를 식별한다.
값 "01h"에 뒤따르는 연산자 [0](1 바이트)은 예약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값을 포함한다. 우선순위 값이 클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예약되는 타겟은 우선순위 값을 포함한다. 소정의 다른 제어기가 이어서 예약 요청을 송신하면(즉, 예약 코맨드를 전송하면), 타겟은 현재 보유된 우선순위 값을 새롭게 전송된 예약 코맨드 내의 우선순위 값과 비교하여, 예약 요청을 수신할 것인지 또는 거절할 것인지를 검사한다. 예약되지 않은 타겟은 우선순위 값이 0이다.
연산자 [1] 내지 [12] 내의 1-바이트 영역 각각은 ASCII 코드로 된 텍스트 정보를 12 바이트까지 수용할 수 있는 텍스트 영역을 구성한다. 연산자 [1] 내지 [12]의 영역 내에 텍스트를 저장할 필요가 없으면, 이들은 FFh로 채워진다.
도 26은 다른 예약 코맨드로서 예약 상태 코맨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예약 상태 코맨드는 예약된 (미예약도 마찬가지) 디바이스 내에 현재 설정된 우선순위를 검사하는데 사용된다. 2개의 제어기 A 및 B가 존재하고, 타겟이 우선순위 5로 제어기에 의해 예약된다고 가정하자. 그 경우, 제어기 B가 우선순위 1로 예약 제어 코맨드를 사용하여 동일한 타겟을 예약하려고 하면, 이 예약 요청은 거절된다.
예약 요청 거절은 제어기 B가 타겟을 예약할 시에, 예약 제어 코맨드를 송신하기 전에, 예약 상태 코맨드를 초기에 전송하므로써 회피된다. 예약 상태 코맨드는 타겟으로 하여금 현재 우선순위를 제어기 B에 보고하게 한다.
도 26에 도시된 예약 상태 코맨드는 도 17의 기입 요청 패킷(AV/C 코맨드 패킷)의 데이터필드 내에서 opcode 다음에 배치된다.
이 경우, 값 "01h" ("h"는 16진수 표기)는 8-비트 opcode 영역에 설정된다. 이 값은 예약 코맨드를 식별한다.
그러나, 예약 상태 코맨드가 우선순위를 특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우선순위 값을 수용하기 위해 영역이 제공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연산자 [0] 내지 [12]의 영역은 FFh로 채워진다.
2-5. 본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예약 코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의된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예약 코맨드를 규정하는 룰은 특정 불편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27은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컴퓨터(200), CD 플레이어(100) 및 MD 레코더/플레이어(1) 간의 IEEE 1394 버스 셋업 내에서의 관계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 셋업에서, 개인용 컴퓨터(200)는 제어기로서의 역할을 하는 반면, CD 플레이어(100) 및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타겟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200)는 CD 플레이어(100)와 MD 레코더/플레이어(1) 둘다를 예약한 것으로 여겨진다.
IEEE 1394 시스템의 일부로서의 개인용 컴퓨터(200)의 원격 제어하에서, CD 플레이어(100)에 의해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는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기록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더빙(dubbing)으로 알려져 있다.
디지털 오디오 디바이스들 간의 더빙 중에, 소위 복사 관리라는 것은 보통 저작권을 보호하도록 실행되는데, 그 이유는 포함된 디지털 신호가 기록된 사운드의 음질을 변조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AKE로 불리우는 복사 관리 정보(인증 및 키 교환)는 인증을 위해 재생 디바이스와 기록 디바이스 간의 상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된다.
예를 들면,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CD로부터 현재 재생된 데이터의 인증(AKE)을 요청하는 AKE 챌린지 코맨드(challenge command)를 CD 플레이어(100)에 송신한다. AKE 챌린지 코맨드를 수신하면, CD 플레이어(100)는 MD 레코더/플레이어(1)와 함께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인증이 설정되면, 적절한 더빙 동작이 2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개시된다.
예약 모드가 상술한 CD 플레이어(100)와 MD 레코더/플레이어(1) 둘다에 대해 설정되면, 2개의 디바이스들은 개인용 컴퓨터(200)와는 다른 소정의 디바이스로부터 어떠한 코맨드도 수신하지 않는다. 이는 AKE 코맨드가 CD 플레이어(100)로부터 MD 레코더/플레이어(1)로 또는 이와 반대로 전송되는 경우, 코맨드는 거절되고 인증도 없음을 의미한다.
IEEE 1394 시스템에서, 버스에 접속된 모든 디바이스들의 속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에 특정한 속성을 식별하는 정보는 서브유닛 식별자 디스크립터(이후, 적절한 경우에 SID로 간략화)로서 정의된다. 정보는 IEEE 1394 인터페이스와 호환가능한 각각의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다.
어느 한 때, IEEE 1394 시스템 내의 IEEE 1394 버스에 부착된 디바이스는 버스 상의 몇몇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SID 정보의 습득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관계에서 CD 플레이어(100)가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SID를 얻는 것과 CD 플레이어(100)가 실제로 SID 코맨드(이후, SIDC)를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전송하여 나중의 SID의 습득을 요청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 경우,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코맨드를 거절하는데, 그 이유는 개인용 컴퓨터(200)에 의해 예약되기 때문이다. SID는 예약 모드 내에 배치된 디바이스로부터 얻어질 수 없다.
그러한 상황은또한, CD 플레이어(100) 또는 MD 레코더/플레이어(1)가 예약 모드 내에 배치될 때 발생할 수도 있다.
예약 모드는 또한 도 28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다른 룰을 따르게 한다. 이제, 타겟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가 제어기 A에 의해 예약되고, 버스 리셋은 그 셋업 내에서 발생한다. 그 경우, 예약 모드는 소거되기 전까지는 유효하다.버스 리셋의 발생에 이어 10초 동안에, 타겟은 제어기 A에 의해 예약될 수 있는데, 이 제어기 A는 버스가 리셋될 때까지 예약된다. 즉, 타겟은 10초의 대기 주기 동안에 제어기 A에 의해 발생된 예약 코맨드만을 수용하고, 버스 리셋 이전에 타겟을 예약하지 않은 제어기 B에 의해 송신된 예약 코맨드를 거절한다.
버스 리셋 후의 10초 주기 동안에, 제어기 A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용 PLAY 코맨드가 뒤따르는 예약 코맨드를 전송하면, 타겟은 코맨드를 수용하고 다른 예약 모드를 설정하며, 재생 동작을 동시에 개시한다. 버스 리셋 발생 후에 10초가 경과할 때까지, 제어기 B에 의해 타겟에 송신된 예약 코맨드는 타겟에 의해 거절된다.
제어기 A가 버스 리셋 이후의 10초 대기 주기 내에 타겟을 예약하지 못하면, 제어기 B에 의해 전송된 예약 코맨드가 10초 주기가 종료된 후에 타겟에 의해 수용된다. 제어기 B는 이제 타겟을 예약할 수 있다. 제어기 B가 그 후 PLAY 코맨드를 타겟에 송신하면, 타겟은 이 코맨드에 응답하고 재생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약 코맨드에 적용가능한 룰 하에서, 버스 리셋 이전에 타겟을 예약하지 못한 제어기 B는 10초 주기가 버스 리셋 이후에 경과할 때까지 타겟을 예약할 수 없다. 버스 리셋 이후의 원격 제어를 위해 타겟을 예약하기 위해 제어기 B로 변경한 사용자는 10초의 대기 주기가 경과할 때까지 대기해야 한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사용자는 시스템의 가용도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지연된 주기로서 10초 대기를 인지할 수도 있다.
상기의 개략된 불편은 후술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의해 회피된다.
2-16. 벤더 의존형 예약 코맨드
본 발명의 실행시에, 벤더 의존형 예약 코맨드는 도 25 및 26을 참조하여 기술된 예약 코맨드(예약 제어 코멘드 및 예약 상태 코맨드) 이외에 정의될 수도 있다.
다음 설명에서, 도 25 및 26과 관련하여 설명된 예약 코맨드는 벤더 의존형 예약 코맨드와는 구분되는 정상 예약 코맨드로서 인용된다. 벤더 의존형 예약 코맨드는 적절한 경우에 이후 VD 예약 코맨드로 약칭된다.
VD 예약 코맨드는 IEEE 1394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API에 따른 벤더 의존형 코맨드의 설명을 사용하여 벤더에 의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도 29는 벤더 의존형 코맨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이 구조는 또한 도 17에 도시된 기입 요청 패킷(AV/C 코맨드 패킷)의 데이터필드 내의 opcode 이후에 배치된다.
값 "00h"는 8-비트 opcode 영역에 설정된다. 이 값은 벤더 의존형 코맨드를 식별한다.
연산자 [0] 내지 [2]로 이루어진 3-바이트 영역은 각각의 벤더에 유일한 회사 ID를 수반한다.
연산자 [0] 내지 [2]로 이루어진 3-바이트 영역에 뒤 이은 연산자 [3] 내지 [n]은 해당 벤더 의존형 코맨드의 내용을 지정하는 벤더 의존형 데이터를 보유한다. 벤더 의존형 데이터의 특정 내용은 코맨드가 VD 예약 코맨드임을 나타낸다.
도 30은 타겟으로서 역할을 하는 MD 레코더/플레이어를 예약하기 위한 VD 예약 코맨드의 전형적인 내용을 도시한다.
opcode 영역은 벤더 의존형 코맨드를 식별하는 값 "00h"을 보유한다. 연산자 [0] 내지 [2]로 이루어진 회사 ID 영역은 특정 벤더(즉, 제조업자)를 식별하기 위해 각각 연산자 [0] 내지 [2]에 대응하는 값 '08h', "00h" 및 "46h"을 포함한다. 연산자 [3] 내지 [6]으로 이루어진 4-바이트 영역은 각각 연산자 [3] 내지 [6]에 대응하는 값 "F0h", "03h", "01h" 및 "02h"을 갖는다. 이들은 회사 ID에 의해 식별된 벤더의 일부에 대한 동작적인 방편에 대해 규정된 값이다.
연산자 [7]과 후속 연산자들의 영역은 예시적으로 도 25에 도시된 예약 제어 코맨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보유한다.
연산자 [7]은 MD 레코더/플레이어를 예약하기 위한 VD 예약 코맨드임을 나타내는 "01h"를 보유한다. 연산자 [7]에 이은 연산자 [8]은 우선순위를 저장한다. 연산자 [9] 내지 [20]은 텍스트를 포함한다.
2-17. 예약 모드의 타겟에 의한 처리
제어기로부터 VD 예약 코맨드를 수용하면, 타겟은 VD 예약 모드로 들어간다. VD 예약 모드에서, 타겟은 원칙적으로는 타겟을 예약하는 제어기와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코맨드를 거절한다. 그러나, 상술된 본 발명의 셋업에서, 타겟은 SIDC(도 27) 뿐만 아니라 AKE(도 27 참조)로 불리는 복사 제어 정보의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코맨드를 적어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27을 다시 참조하면, 제어기로서의 역할을 하는 개인용 컴퓨터(200)는 타겟으로서 역할을 하는 CD 플레이어(100)과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VD 예약 코맨드를 보내, 이들 2개의 디바이스, 즉 CD 플레이어(100)와 MD 레코더/플레이어(1)를 VD 예약 모드로 되게 한다.
가정할 경우, 개인용 컴퓨터(200)는 CD 플레이어(100)로부터 MD 레코더/플레이어(1)로의 더빙 동작을 수행하도록 원격 제어를 실행한다. 이 시점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CD 플레이어(100)와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AKE 인증을 위해 그들 간에 AKE 코맨드를 교환한다. AKE 코맨드가 VD 예약 모드에 있을 때 예약된 디바이스에 의해 수용되기 때문에, AKE를 포함하는 인증 프로세스는 CD 플레이어(100)와 MD 레코더/플레이어(1) 사이에서 실행된다. 프로세스의 결과가 정상이면, 더빙 동작은 처리되게 된다.
CD 플레이어(100)와 MD 레코더/플레이어(1)가 둘다 VD 예약 모드로 설정되면, CD 플레이어(100)는 예시적으로 SIDC를 MD 레코더/플레이어(1)에 전송하여,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SID를 획득한다. SIDC를 수용하면,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SID를 CD 플레이어(100)에 다시 돌려 보낸다. 이는 CD 플레이어(100)가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SID를 얻게 한다.
예시적으로 MD 레코더/플레이어(1)가 VD 예약 모드에 있으면, MD 레코더/플레이어(1)는 다른 제어기로부터의 AKE 코맨드 또는 SIDC(기록된 데이터 편집 코맨드 뿐만 아니라 기록 및 재생에 관련된 동작 코맨드와 같은)와는 다른 코맨드를 거절한다. 따라서, 정상 예약 코맨드에서와 같이, 원격 제어를 실행하는 다중 제어기들과 타겟 간의 처리에서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요약하면, 타겟이 제어기에 의해 예약되어 소정의 다른 제어기로부터의 코맨드를 원칙적으로 거절할 때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IEEE 1394 시스템에 의해 요구된 동작에 영향을 끼치는 정보가 차단되지 않도록, 타겟으로 하여금 AKE-관련 코맨드와 같은 특정 코맨드를 수용하게 한다. 이는 IEEE 1394 시스템의 가용도를 향상시킨다.
VD 예약 코맨드에 있는 디바이스는 도 31에 도시된 절차를 통해 버스 리셋 이후의 예약 코맨드(정상 예약 코맨드 또는 VD 예약 코맨드)를 수용한다.
도 31의 셋업에서, 제어기 A는 타겟을 VD 예약 모드로 하고 버스 리셋은 제때 주어진 시점에 발생된다고 가정하자.
실제 VD 예약 모드에 있어서, 도 28과 관련하여 상술된 타겟의 대기 주기는 2초 동안 설정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제어기 A가 제어기 B로 대체되어 버스 리셋 이후 타겟을 예약하면, 버스 리셋 2초 후 제어기 B에 의해 전송된 예약 코맨드는 타겟에 의해 수용된다.
즉,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 B는 재생을 개시하기 위해 PLAY 코맨드가 뒤따르는 예약 코맨드를 먼저 송신한다. 이 동작은 버스 리셋 이후 2초 정도 경과 후 실행된다.
상기 AKE 코맨드 또는 SIDC의 수용시에 타겟측이 해야 할 작업들이 도 3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32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예시적으로, MD 레코더/플레이어(1)가 타겟 역할을 할 때 MD 레코더/플레이어(1)의 시스템 제어기(11)에 의해 실행된다.
도 32의 프로세스에서, 제어기는 단계(S201)에서 수용될 코맨드를 대기한다. 코맨드가 수용되면, 단계(S201)에 도달한다.
단계(S202)에서, 예약 모드(정상 예약 모드 또는 VD 예약 모드)가 현재 유효한 지를 알기 위해 검사된다. 예약 모드가 단계(S202)에서 설정된 것으로 밝혀지면, 단계(S203)에 도달한다. 예약 모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지 않으면, 단계(S206)에 도달한다.
단계(S203)에서, 수용된 코맨드의 내용은 코맨드가 현재 MD 레코더/플레이어(1)를 예약하고 있는 제어기로부터 전송되었는 지를 알기 위해 검사된다. 코맨드가 관련 제어기로부터 송신된 것으로 밝혀지면, 단계(S204)에 도달한다. 코맨드가 현재 MD 레코더/플레이어(1)를 예약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디바이스(제어기)로부터 송신된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206)에 도달한다.
단계(S204)에서, 현재 설정된 예약 모드가 정상 예약 모드인지 또는 VD 예약 모드인지가 검사된다. 정상 예약 모드가 유효하다면, 단계(S207)가 선택되고; VD 예약 모드가 선택된다면, 단계(S205)에 도달한다.
단계(S205)에서, 단계(S201)에서 수용된 코맨드가 AKE 코맨드와 SIDC 중 어느 것인지가 검사된다. 수용된 코맨드가 AKE 코맨드 또는 SIDC인 것으로 밝혀지면, 단계(S206)에 도달한다. 코맨드가 AKE 코맨드 또는 SIDC와는 다른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207)에 도달한다.
단계(S206)에서, 단계(S201)에서 수용된 코맨드를 거절하기 위한 통보가 발행된다. 그 다음, 이 루틴은 종료된다.
단계(S202 내지 S206)들의 동작은 예약 모드가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수용된 코맨드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구성한다. 단계(S203 내지 S206)들의 동작은 코맨드가 현재 타겟을 예약중인 제어기로부터 송신되는 것이기 때문에 예약 모드가 설정되고 있더라도 코맨드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구성한다.
단계(S204 내지 S207)들의 동작은, 정상 예약 모드가 유효한 상태에서, 코맨드가 현재 타겟을 예약중인 제어기와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기 때문에, 수신된 코맨드를 거절하는 프로세스이다.
단계(S205 내지 S207)들의 동작은, VD 예약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타겟을 예약하는 제어기와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AKE 코맨드 또는 SIDC와는 다른 코맨드를 거절하는 프로세스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VD 예약 모드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코맨드는 AKE 코맨드 또는 SIDC만으로 국한되지 않고, 실제 용도의 배치와 관련하여 다른 코맨드가 보충될 수도 있다. VD 예약 모드가 유효한 상태에서, 버스 리셋 이후의 대기 주기는 2초에 국한되지 않고; 지속 시간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여러 형태의 VD 예약 코맨드들은 각각의 VD 예약 코맨드에 대해 수락된 상이한 코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IEEE 1394 기준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기준, 표준 및 제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2종류의 예약 코맨드가 정의된다: 하나는 정상 예약 코맨드(제1 예약 코맨드)이고, 다른 하나는 VD 예약 코맨드(제2 예약 코맨드)이다. 제어기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는 이들 예약 코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한다. 타겟으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는 정상 예약 코맨드를 수신할 때 정상 예약 모드로 들어가고, VD 예약 코맨드를 수신할 때는 VD 예약 모드를 설정한다. VD 예약 모드가 유효하면, 정상 예약 모드의 제어기와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경우 거절되도록 규정된 정보 내에 포함된 특정 코맨드가 수락된다.
상기 특징은 종래에 경험된 불편, 즉 시스템 내에 요구된 특정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현재 타겟을 예약하고 있는 제어기와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코맨드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할 수 없는 것을 해결한다. 이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가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약 코맨드를 수락하는 타겟이 VD 예약 모드로 들어가는 경우와 VD 예약 모드에서 버스 리셋이 발생하는 경우, 버스 리셋 이전에 타겟을 예약한 제어기와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예약 코맨드를 수락하고 처리하기 전에 경과하도록 시간을 감소시켜 설정할 수 있는데, 상기 감소된 시간은 정상 예약 코맨드를 수신 및 처리하기 전에 경과하도록 설정된 시간보다는 짧다.
상기 특징은 버스 리셋 이후에 타겟을 예약하기 위해 상이한 제어기로의 변경 후에, 사용자가 원격 제어가 실행될 수 있기 전에 경과해야 할 대기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는 또한 디지털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가용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본 분야의 숙련자들이라면, 본 발명을 제어하는 프로세스가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었더라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및 의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정해진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에 접속된 다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제어기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다른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예약 코맨드를 발생하기 위한 제1 코맨드 발생 수단;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예약하되, 이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가 적어도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특정 코맨드를 수락하도록 예약하기 위한 제2 예약 코맨드를 발생하기 위한 제2 코맨드 발생 수단; 및
    상기 제1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예약 코맨드와 상기 제2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2 예약 코맨드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특정 코맨드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간에 인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특정 코맨드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속성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통신 포맷은 IEEE 1394 기준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제1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예약 코맨드 또는 상기 제2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2 예약 코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동작되는 동작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 디바이스.
  6.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 디바이스;
    정해진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 및
    상기 데이터 버스를 통해 상기 제어기 디바이스에 접속된 다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제어기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다른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예약 코맨드를 발생하기 위한 제1 코맨드 발생 수단;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예약하되, 이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가 적어도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특정 코맨드를 수락하도록 예약하기 위한 제2 예약 코맨드를 발생하기 위한 제2 코맨드 발생 수단;
    상기 정해진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버스를 리셋팅시키기 위한 버스 리셋 코맨드를 발생하기 위한 제3 코맨드 발생 수단; 및
    상기 제1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예약 코맨드, 상기 제2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2 예약 코맨드, 및 상기 제3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버스 리셋 코맨드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예약 코맨드, 상기 제2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2 예약 코맨드, 및 상기 제3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버스 리셋 코맨드를 상기 전송 수단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예약 코맨드가 상기 제1 예약 코맨드인지 또는 상기 제2 예약 코맨드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및
    상기 수신된 예약 코맨드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예약 코맨드인 것으로 판정되면, 버스 리셋 이후 제1 정해진 시간의 경과시에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예약 코맨드를 유효화시키고, 또한 상기 수신된 예약 코맨드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예약 코맨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버스 리셋 이후 상기 제1 정해진 시간보다 짧은 제2 정해진 시간의 경과시에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예약 코맨드를 유효화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특정 코맨드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간에 인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특정 코맨드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속성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통신 포맷은 IEEE 1394 기준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제1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예약 코맨드 또는 상기 제2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2 예약 코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동작되는 동작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 디바이스;
    정해진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 및
    상기 데이터 버스를 통해 상기 제어기 디바이스에 접속된 다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제어기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다른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예약 코맨드를 발생하기 위한 제1 코맨드 발생 수단;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예약하되, 이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가 적어도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특정 코맨드를 수락하도록 예약하기 위한 제2 예약 코맨드를 발생하기 위한 제2 코맨드 발생 수단; 및
    상기 제1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예약 코맨드 및 상기 제2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2 예약 코맨드를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타겟 디바이스는 상기 전송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예약 코맨드에 따라 상기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특정 코맨드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특정 코맨드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간에 인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특정 코맨드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속성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통신 포맷은 IEEE 1394 기준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제1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1 예약 코맨드 또는 상기 제2 코맨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2 예약 코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동작되는 동작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6. 정해진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에 접속된 다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제어기 디바이스가 제어하게 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제어기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다른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예약 코맨드, 또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예약하되, 이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가 적어도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특정 코맨드를 수락하도록 예약하기 위한 제2 예약 코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예약 코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어기 디바이스, 정해진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 및 상기 데이터 버스를 통해 상기 제어기 디바이스에 접속된 다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제어기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다른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예약 코맨드, 또는 상기 타겟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예약하되, 이 예약된 타겟 디바이스가 적어도 다른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특정 코맨드를 수락하도록 예약하기 위한 제2 예약 코맨드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예약 코맨드가 상기 제1 예약 코맨드인지 또는 상기 제2 예약 코맨드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정해진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버스의 리셋을 지정하기 위한 버스 리셋 코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예약 코맨드가 상기 제1 예약 코맨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버스 리셋 코맨드의 수신 이후 제1 정해진 시간의 경과시에 상기 수신된 예약 코맨드를 유효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예약 코맨드가 상기 제2 예약 코맨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버스 리셋 코맨드의 수신 이후 상기 제1 정해진 시간보다 짧은 제2 정해진 시간의 경과시에 상기 수신된 예약 코맨드를 유효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000032642A 1999-06-14 2000-06-14 제어기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0775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732899A JP4147689B2 (ja) 1999-06-14 1999-06-14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1999-167328 1999-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017A true KR20010015017A (ko) 2001-02-26
KR100775711B1 KR100775711B1 (ko) 2007-11-09

Family

ID=1584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642A KR100775711B1 (ko) 1999-06-14 2000-06-14 제어기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910086B1 (ko)
EP (1) EP1061707A3 (ko)
JP (1) JP4147689B2 (ko)
KR (1) KR100775711B1 (ko)
CN (1) CN117844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6031A (ja) * 1998-11-17 2000-06-06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1243676A (ja) * 2000-02-29 2001-09-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媒体
JP3603875B2 (ja) * 2001-04-25 2004-12-2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KR20040000473A (ko) * 2001-05-29 2004-01-03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3개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를 구비한 무선 링크들을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관리 방법
JP3890927B2 (ja) * 2001-07-23 2007-03-07 ヤマハ株式会社 他ノードを管理する通信装置及び他ノードに管理される通信装置
JP3739087B2 (ja) 2002-03-15 2006-01-25 株式会社東芝 Av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av機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666285A (zh) * 2002-06-28 2005-09-0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带有遥控设备的重放系统
US7417973B1 (en) * 2002-12-31 2008-08-26 Apple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suring node participation in a network bus
JP2005158182A (ja) 2003-11-27 2005-06-16 Funai Electric Co Ltd 情報記録システム
US20050273657A1 (en) * 2004-04-01 2005-12-08 Hiroshi Ichiki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FR2889899B1 (fr) * 2005-08-17 2007-09-28 Alcatel Sa Dispositif de controle de mise en oeuvre de fonction(s) au sein d'un equipement de service d'un coeur de reseau de communication internet
US20070282467A1 (en) * 2006-05-30 2007-12-06 Loud Technologies Inc. Removable digital audio recording interface device
US7908610B2 (en) * 2007-07-31 2011-03-15 Microsoft Corporation Multi-threaded business programming library
WO2010095087A1 (en) * 2009-02-19 2010-08-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control network
WO2013001738A1 (ja) * 2011-06-30 2013-01-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モコンコマンド設定装置およびリモコンコマンド設定方法
DE102012101881B4 (de) * 2012-03-06 2013-11-21 Softing Ag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Topologie eines seriellen asynchronen Datenbusses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51492A1 (de) 1981-11-21 1983-07-07 Gorenje Körting Electronic GmbH & Co, 8217 Grassau Audio-video-heimanlage
JPS60160491A (ja) 1984-01-31 1985-08-22 Toshiba Corp Icカードとicカード発行装置
US4652874A (en) 1984-12-24 1987-03-24 Motorola, Inc.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 local network controller
US4723120A (en) 1986-01-14 1988-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multipoint communication networks utilizing point-to point hardware and interfaces
US4903016A (en) 1987-07-07 1990-02-20 Ricoh Company, Ltd. Communication control unit
US5007051A (en) 1987-09-30 1991-04-09 Hewlett-Packard Company Link layer protocol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JP2751270B2 (ja) 1988-11-29 1998-05-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Avtcシステム
US5400246A (en) 1989-05-09 1995-03-21 Ansan Industries, Ltd. Peripheral data acquisition, monitor, and adaptive control system via personal computer
US5539390A (en) 1990-07-19 1996-07-23 Sony Corporation Method for setting addresses for series-connectd apparatuses
DE69130875T2 (de) 1990-07-19 1999-06-10 Sony Corp Verfahren zur Aufstellung von Adressen für elektronische Geräte
JPH0497468A (ja) 1990-08-16 1992-03-30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
US5850573A (en) 1990-08-16 1998-12-15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method for peripheral device in host computer connectable to a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s
FR2671884A1 (fr) 1991-01-17 1992-07-24 Moulinex Sa Procede d'attribution d'adresses dans un reseau domotique.
JP3128141B2 (ja) 1991-03-19 2001-01-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
JP3063253B2 (ja) 1991-07-06 2000-07-12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またはビデオ機器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875108A (en) 1991-12-23 1999-02-23 Hoffberg; Steven M. Ergonomic man-machine interface incorporatin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CA2091851A1 (en) 1992-03-25 1993-09-26 Michael J. Sherman Link layered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GB2265755B (en) * 1992-03-31 1995-11-08 Matsushita Electronics Corp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its fabrication method
JP3144049B2 (ja) 1992-04-24 2001-03-07 ソニー株式会社 Av機器の編集制御方法
US5467295A (en) * 1992-04-30 1995-11-14 Intel Corporation Bus arbitration with master unit controlling bus and locking a slave unit that can relinquish bus for other masters while maintaining lock on slave unit
US5404544A (en) 1992-06-05 1995-04-04 Advanced Micro Devices System for periodically transmitting signal to/from sleeping node identifying its existence to a network and awakening the sleeping node responding to received instruction
GB2268816B (en) 1992-07-14 1996-01-17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Controlling equipment
GB2273376B (en) * 1992-12-11 1997-03-12 Sony Corp Data processing
US5394556A (en) * 1992-12-21 1995-02-28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nique address assignment, node self-identification and topology mapping for a directed acyclic graph
US5475835A (en) 1993-03-02 1995-12-12 Research Design & Marketing Inc. Audio-visual inventory and play-back control system
DE69432199T2 (de) 1993-05-24 2004-01-08 Sun Microsystems, Inc., Mountain View Graphische Benutzerschnittstelle mit Verfahren zur Schnittstellebildung mit fernsteuernden Einrichtungen
CN100545828C (zh) 1993-07-30 2009-09-30 佳能株式会社 控制连接到网络的网络设备的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JP4235263B2 (ja) * 1993-07-30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
US5400248A (en) * 1993-09-15 1995-03-21 John D. Chisholm Computer network based conditional voting system
JPH07134628A (ja) 1993-11-10 1995-05-23 Hitachi Ltd 省電力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H0845255A (ja) 1994-08-03 1996-02-16 Sony Corp オーディオビデオシステムの制御方法
WO1996007971A1 (en) 1994-09-09 1996-03-14 Medialink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n interface
US5657221A (en) 1994-09-16 1997-08-12 Medialink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on-computer system devices by manipulating a graphical representation
JP3617105B2 (ja) 1995-02-16 2005-02-0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動作モード制御方法
JP3617115B2 (ja) 1995-03-31 2005-02-02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5687334A (en) 1995-05-08 1997-11-11 Apple Computer, Inc.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input and output devices of a computer
WO1997014249A1 (fr) 1995-10-09 1997-04-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etteur de donnees,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recepteur de donnees, processeur d'informations et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KR100296366B1 (ko) * 1996-02-02 2001-09-07 크리트먼 어윈 엠 디지탈녹화모드또는아날로그녹화모드중어느하나로비디오녹화장치를작동시키는방법
US5787259A (en) 1996-03-29 1998-07-28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interconnects of a PC with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US5793366A (en) 1996-11-12 1998-08-11 Sony Corporation Graphical display of an animated data stream between devices on a bus
EP0860823A4 (en) 1996-07-15 2001-05-02 Toshiba Kk DEVICE WITH DIGITAL INTERFACE, NETWORK SYSTEM WITH THIS DEVICE AND COPY PROTECTION PROCEDURE
US5847771A (en) 1996-08-14 1998-12-08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Digital entertainment terminal providing multiple digital pictures
WO1998017033A1 (en) * 1996-10-16 1998-04-2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Device interoperability
JPH10145753A (ja) 1996-11-15 1998-05-29 Sony Corp 受信装置および方法
US5963450A (en) 1996-12-20 1999-10-05 Square D Company Operator interface uni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devices having dissimilar data structures
US6446149B1 (en) * 1998-03-03 2002-09-03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Self-modifying synchronization memory address space and protocol for communication between multiple busmasters of a computer system
DK1084576T3 (da) * 1998-05-07 2005-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emgangsmåde og apparat for universelt tilgængelige kommando- og kontrolinformationer i et netværk
US6199136B1 (en) * 1998-09-02 2001-03-06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w data-rate network to be represented on and controllable by high data-rate 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
US6259707B1 (en) * 1998-10-30 2001-07-10 Sony Corporation Synchronizing a data driven interaction controller and a non-data driven interaction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47689B2 (ja) 2008-09-10
EP1061707A2 (en) 2000-12-20
CN1178444C (zh) 2004-12-01
CN1280435A (zh) 2001-01-17
US20050165981A1 (en) 2005-07-28
KR100775711B1 (ko) 2007-11-09
US20050165982A1 (en) 2005-07-28
US6910086B1 (en) 2005-06-21
US7133948B2 (en) 2006-11-07
US7130945B2 (en) 2006-10-31
JP2000358032A (ja) 2000-12-26
EP1061707A3 (en)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0945B2 (en) Controlling method for transmitting reserve commands from a controller to target devices
US6789208B2 (en) System for synchronized power supply control ove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by determining whether any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conforms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synchronously switching on or off each device that satisfies the predetermined condition
US67723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power state of a controlling device according to an indication of the power state of a source output device
EP1014364B1 (en) Reception method over a chain of interconnected AV apparatus
KR100882522B1 (ko) 전자기기 시스템, 제어기기 및 제어방법
KR101088102B1 (ko) 전자기기와 인증 사용정보 갱신방법
EP1061708A2 (en) An external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an external device control method
EP1061692A2 (en) Controll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JP4055313B2 (ja) 再生装置、及び情報伝送方法
JP2005045612A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0357386A (ja) 編集装置及び操作装置
JP2002033751A (ja) 電子機器、電子機器管理方法
JP2000209617A (ja) 通信動作検査方法及び通信動作検査装置
JP2001236772A (ja) 電子機器システム、電子機器
JP2001024654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並びに提供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