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966A - 겔상 조성물 - Google Patents

겔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966A
KR20010013966A KR1019997011992A KR19997011992A KR20010013966A KR 20010013966 A KR20010013966 A KR 20010013966A KR 1019997011992 A KR1019997011992 A KR 1019997011992A KR 19997011992 A KR19997011992 A KR 19997011992A KR 20010013966 A KR20010013966 A KR 2001001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composition
amount
texture
carrier
pec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구치시게루
요네즈도모노리
이즈미히토미
히시카와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호리카와 다케오
오쿠라 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리카와 다케오, 오쿠라 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리카와 다케오
Publication of KR2001001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9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흡착담체에 겔화 성분을 첨가하여 겔상화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그 조성물에 있어, 흡착담체의 식감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또한 복용량도 감소하며, 환자가 복용하기에 쉽게 되었다.

Description

겔상 조성물{Gelled composition}
종래, 흡착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는 일반적으로 1회 복용량이 많고, 복용시 물 등에 현탁하고 나서 경구투여하는 것이 많았다. 이 경우, 흡착담체의 사용시, 물 등에 현탁해야만 하는 번잡함에다가, 복용 중에 입 안에서 흡착담체의 식감(食感)을 강하게 느끼거나 또는 복용 후에 입 안에 흡착담체가 남아 이물감을 느끼는 것, 게다가 다른 약제의 용량에 비해 대량이기 때문에, 환자의 복약 순응도(compliance)가 극히 낮아 치료에 유효량의 약물을 복용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였다. 또한 복용시 이물감 때문에, 메스꺼움, 구역질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었다. 이 때문에, 약제의 높은 유용성이 임상적으로 실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되는 치료효과를 충분히 올릴 수 없다는 것이 의료상의 문제가 되어 왔다.
본 발명은 흡착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복용 겔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의약품, 식품 등의 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은 흡착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복용이 용이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흡착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를 물 등에 현탁하여 복용하는 종래 제제의 경우, 주로 흡착담체의 식감이 강하고 복용량이 많은 것이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대폭 저하시킨다는 것에 착안하였다. 이 경우, 단순히 흡착담체의 용매량을 감소시키면 흡착담체의 식감이 크게 악화되어, 도리어 복약 순응도가 저하하는(전혀 복약 순응도가 개선되지 않음) 것이 큰 문제이었다.
본 발명자 등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있어서, 이 식감의 악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흡착담체와 물 등과의 식감 차이가 큰 것이라고 생각하여, 흡착담체의 식감을 느끼기 어려운 조성물의 제형에 관해서 예의 연구를 하였다. 이 결과, 본 발명자 등은 흡착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겔화 성분을 첨가하여 겔상 조성물로서 조제함으로써 복용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킴과 동시에, 복용했을 때 흡착담체의 식감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 등은 조제한 겔상 조성물이 의약제제나 건강식품 등의 식품에도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착담체의 식감을 저하시킨 조성물, 및 그 의약제제 및 식품으로서의 이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1) 흡착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복용 겔상 조성물,
(2) (1)에서, 흡착담체가 이온교환수지인 내복용 겔상 조성물,
(3) (2)에서, 흡착담체가 콜레스티라민(cholestyramine), 폴리스티렌 술폰산칼슘 또는 폴리스티렌 술폰산나트륨인 내복용 겔상 조성물,
(4) (1)에서, 겔화제로서 펙틴을 함유하는 내복용 겔상 조성물,
(5) (1)에서, 겔화제로서 펙틴 및 한천을 함유하는 내복용 겔상 조성물,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복용 겔상 조성물로 된 의약제제,
(7)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복용 겔상 조성물로 된 식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겔상」이란, 점성이 높은 액상, 반유동, 반고형 또는 고형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겔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흡착담체 및 겔화제를 함유한다. 유효성분인 흡착담체는 비수용성이면 특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음이온 교환수지, 양이온 교환수지, 구형 흡착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흡착담체상의 약제로서는, 음이온 교환수지로서 예컨대 콜레스티라민 등을, 또한 양이온 교환수지로서 예컨대 폴리스티렌 술폰산칼슘, 폴리스티렌 술폰산나트륨 등을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겔화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펙틴, 한천, 아라비아고무(arabic gum), 크산탄검(xanthan gum), 트라간트검(tragacanth gum), 카라야검(karaya gum), 가티검(ghatti gum), 구아검(guar gum), 젤란검(gellan gum), 로커스트콩검(locust bean gum), 알긴산 또는 그 염(예컨대 나트륨염), 카라기난(carrageenan), 젤라틴, 덱스트린, 전분류(옥수수, 쌀, 소맥, 감자, 갈근(pueraria), 타피오카(tapioca), 카르복시메틸 전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히드록시에틸 전분, 화학가교 전분, α-화 전분 등), 셀룰로오스류(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결정 셀룰로오스 등),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마크로골, macrogol), 만난 (mannan)류 등을 단독으로 또는 적절히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흡착담체 특유의 식감을 현저하게 경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펙틴과 한천의 복합겔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겔상 조성물에서 흡착담체의 함유량은 약제의 유효성분량 또는 흡착담체의 팽윤율(흡수율)에 의해 변동하지만, 통상 그 제제 총량에 대해 0.1%∼50.0%(중량%, 이하 동일)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콜레스티라민은 5.0%∼20.0% 정도, 폴리스티렌 술폰산칼슘 또는 폴리스티렌 술폰산나트륨은 10.0%∼30.0% 정도이다. 또한 겔화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통상 0.01%∼10.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펙틴은 0.5%∼2.5% 정도, 한천은 0.1%∼0.5% 정도, 젤라틴은 0.5%∼2.0% 정도이다.
본 발명의 겔상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완충제, 감미제, 교미제, 현탁화제, 코팅제, 착향제·향료(방향제), 착색제, pH 조절제, 점조제, Ca 공여제, 분산제, 방부제(보존제), 용제(용해제) 등을 더 함유하여도 좋다. 안정화제로서는 예컨대 알긴산나트륨, 각종 고무류, 글리세린 등을,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 80 등을, 가용화제로서는 에탄올 등을, 완충제로서는 인산염, 탄산염 등, 감미제로서는 정제백당, 아스파르테임, 과당, 소르비톨, 크실리톨, 포도당, 만니톨, 말토오스, 트레할로오스, 팔라티노오스, 분말환원 맥아당 물엿(millet jelly), 올리고당, 에리쓰리틀, 스테비오시드 (stevioside), 글리실리틴(glycyrrhizin) 등을, 교미제으로서는 멘톨, 식용 과즙, 캬라멜, 글루코노 δ락톤 등을, 현탁화제로서는 알긴산나트륨, 아라비아고무, 젖당 등을, 코팅제로서는 정제 쉘락(shellac),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등을, 착향제·향료(방향제)로서는 과일향, 자두, 민트유(mint oil) 등을, 착색료로서는 오렌지 에센스(orange essence), 식용색소, 캬라멜 등을, pH 조절제로서는 구연산 또는 그 염, 타르타르산 또는 그 염, 숙신산, 젖산, 젖산칼슘, 인산염, 글루코노 δ락톤 등을, 점조제로서는 덱스트린, 크산탄검, 대두 레시틴,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Ca 공여제로서는 젖산칼슘, 인산-수소칼슘, 탄산칼슘, 염화칼슘, 구연산칼슘, 황산칼슘 등을, 분산제로서는 아라비아고무, 전분류, 결정 셀룰로오스, 젖당 등을, 방부제(보존제)로서는, 소르빈산 또는 그 염, 벤조산 또는 그 염, 파라옥시벤조산류 등을, 용제(용해제)로서는 정제수, 에탄올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겔상 조성물의 조제는 물 등에 겔화제를 첨가하고, 예컨대 가온함으로써 겔화제를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어서, 이 용액을 가온하고, 흡착담체를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다. 이어서, 감미제 및 겔화에 필요한 다른 첨가물을 첨가하고, 균질하게 될 때까지 혼합한다. 이후, 적당한 용기(알루미늄 봉(stick) 또는 컵 용기 등)에 필요량을 충전하고(필요에 따라, 무균충전 또는 증류(retort)멸균 등의 처리를 할 수 있음), 겔화시키기 위해 통상 상온 또는 저온하에서 30분∼5시간 정도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조제된 본 발명의 겔상 조성물은 그대로 복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토대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콜레스티라민 함유 겔상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즉, 겔화제로서 펙틴을 상온의 정제수에 용해하고, 약 85℃까지 가온한 후, 흡착담체 및 기타 첨가물을 혼합하였다. 잘 교반하고, 균질화한 후, 소정의 1회 복용량을 용기(알루미늄 봉 또는 컵 용기)에 분배하고, 밀봉한 후, 상온에서 냉각하여 본 발명의 제제를 얻었다. 얻어진 제제는 점성이 있는 반고형상이고, 비교적 신맛이 있었다. 또한 흡착담체 특유의 깔깔함이 경감되고, 복용 후의 이물감도 적었다.
성 분 배합량(g)
콜레스티라민펙틴소르빈산칼륨젖산칼슘구연산정제백당정제수 5.0000.6000.0300.0300.2002.50021.640
총 량 30.000g
[실시예 2]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하기 방법으로써 조제하였다. 즉, 정제수의 배합량을 2등분하고, 한쪽에 펙틴을 용해하여 약 85℃로 가온하였다. 또 한쪽에서는 젤라틴을 상온의 정제수에서 팽윤시킨 후, 가온용해하고, 먼저 조제해 둔 펙틴용액과 혼합하였다. 이후, 실시예 1에 따라 조제하였다. 단, 분배한 후, 고화시키기 위해 저온(약 4℃)하에서 2시간 이상 방치하고, 냉각하여 본 발명의 제제를 얻었다. 얻어진 제제는 보형성(保刑性)이 좋은 고형상이었다. 식감은 실시예 1보다도 점도가 감소했기 때문에, 입 안에서 달라붙는 느낌이 없고, 삼키기 쉬웠다.
성 분 배합량(g)
콜레스티라민펙틴젤라틴젖산칼슘구연산정제백당정제수 5.0000.3000.3000.0300.1002.50021.770
총 량 30.000g
[실시예 3]
하기 표 3에 기재된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조제하였다. 우선, 상온의 정제수에 펙틴을 용해하였다. 이어서, 한천을 첨가하고, 약 90℃까지 가온한 후, 한천이 완전히 용해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후,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하여 본 발명의 제제를 얻었다. 얻어진 제제는 실시예 2와 같이 보형성이 좋은 고형상이었다. 식감은 적절한 탄력과 부드러운 맛이 있고, 입에서 잘 녹을 뿐 아니라, 복용 후의 흡착담체의 위화감(incongruity)을 거의 느끼지 않고, 복용하기 매우 쉬운 양호한 제제가 얻어졌다.
성 분 배합량(g)
콜레스티라민펙틴한천구연산정제백당정제수 4.0000.3500.1200.1205.00025.410
총 량 35.000g
[실시예 4]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조제하였다. 조제법은 실시예 3과 같이 수행하여 본 발명의 제제를 얻었다. 얻어진 제제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같이 보형성이 좋은 고형상이었다. 식감은 상술한 실시예의 것보다 약간 딱딱하지만, 부드럽고, 삼키기 쉽기 때문에 복용 중에 흡착담체의 식감을 느끼지 않는 양호한 제제가 얻어졌다.
성 분 배합량(g)
폴리스티렌 술폰산칼슘펙틴한천구연산정제백당정제수 5.0000.2500.1200.0863.57115.973
총 량 25.000g
[실시예 5]
하기 표 5에 기재된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조제하였다. 즉, 정제수에 펙틴 및 α-화 전분을 분산, 현탁한 후, 약 85℃까지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흡착담체, 정제백당을 첨가하였다. 이후, 실시예 1에 따랐다. 얻어진 제제는 점성이 높은 액상이며, 식감은 물엿 정도이고, 매우 부드럽기 때문에 흡착담체의 식감을 느끼기 어렵고, 삼키기 쉬운 제제가 얻어졌다.
성 분 배합량(g)
콜레스티라민펙틴α-화 전분구연산정제백당정제수 4.0000.7000.7000.0503.50026.050
총 량 35.000g
[실시예 6]
하기 표 6에 기재된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얻어진 제제는 반유동이고, 실시예 5 정도의 점성은 없고, 비교적 부드러운 식감이었다.
성 분 배합량(g)
콜레스티라민카라기난로커스트콩검정제백당정제수 4.0000.0700.0705.00025.860
총 량 35.000g
[실시예 7]
하기 표 7에 기재된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얻어진 제제는 실시예 6과 같이 반유동이지만, 사용하는 첨가제를 바꿈으로써 실시예 6과는 다른 부드러움을 얻을 수 있었다.
성 분 배합량(g)
콜레스티라민옥수수전분덱스트린정제백당정제수 4.0000.7000.7005.00024.600
총 량 35.000g
[실시예 8]
하기 표 8의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조제하였다. 즉, 정제수의 일부에 한천을 분산시키고, 약 90℃까지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또한 나머지 정제수에 알긴산나트륨 및 다른 첨가제를 용해하여 약 85℃로 가온한 후, 이들을 혼합하고, 그 위에 흡착담체를 첨가하여 얻어진 제제는 보형성이 좋은 고형이고, 구강 내에서 혀를 사용하여 충분히 분쇄시킬 있는 굳기이었다. 또한 이제까지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감미제를 당알코올로 바꿈으로써 저칼로리, 또한 맛에 청량감을 줄 수 있었다.
성 분 배합량(g)
콜레스티라민한천알긴산나트륨인산-수소칼슘구연산구연산나트륨크실리톨소르비톨정제수 4.0000.1400.3500.0350.2030.1371.4003.60025.135
총 량 35.000g
[실시예 9]
하기 표 9의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실시예 8과 같은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보형성이 좋은 고체이었다. 한천과 펙틴의 병용으로, 깔깔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그 위에 카라기난의 첨가로 수분 분리가 적고, 제제적으로도 안정성이 높은 겔상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성 분 배합량(g)
콜레스티라민펙틴한천카라기난소르빈산칼슘구연산구연산나트륨크실리톨소르비톨정제수 4.0000.3500.1200.0500.0350.0400.0451.4003.60025.360
총 량 35.000g
[실시예 10]
하기 표 10의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조제하였다. 즉, 정제수로 젤라틴을 미리 팽윤시킨 것에 펙틴, 기타 첨가제를 가하고, 약 85℃까지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흡착담체를 첨가하고,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이 액을 4℃에서 수 시간 냉각하여 얻어진 제제는 매우 탄력감이 있는 떡 정도의 식감을 얻을 수 있고, 깔깔함도 느껴지지 않는 양호한 제제이었다.
성 분 배합량(g)
콜레스티라민펙틴젤라틴크산탄검구연산크실리톨소르비톨정제수 4.0000.3500.6500.0200.0501.4003.60024.930
총 량 35.000g
[실시예 11]
하기 표 11의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조제하였다. 먼저, 한천을 일정량의 정제수에 현탁하고, 펄펄 끓여 완전하게 용해시켰다. 나머지 정제수에 카라기난 및 로커스트콩검을 분산시키고, 약 70℃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들 용해액을 혼합한 것에 흡착담체, 기타 첨가제를 가하여 균질하게 혼합하고, 오토클레이브 멸균하여 제조하였다. 얻어진 제제는 보형성이 좋은 고체이었고, 깔깔함을 느끼기 어려운 양호한 식감을 가지며, 오토클레이브 멸균에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부여된 제제이었다.
성 분 배합량(g)
콜레스티라민한천카라기난로커스트콩검구연산나트륨크실리톨소르비톨정제수 4.0000.1200.0500.0700.1001.4003.60025.660
총 량 35.000g
[실시예 12]
하기 표 12의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얻어진 제제는 펙틴에 의해 식감이 부드럽고, 분말환원 맥아당 물엿 및 크실리톨의 병용에 의해 칼로리가 억제되고, 상쾌한 단맛이 되었다.
성 분 배합량(g)
폴리스티렌 술폰산칼슘펙틴덱스트린젖산칼슘구연산분말환원 맥아당 물엿크실리톨정제수 5.0000.3750.2500.0500.0202.5002.50014.305
총 량 25.000g
[실시예 13]
하기 표 13의 성분 및 배합량을 토대로 실시예 8과 같이 조제하였다. 얻어진 제제는 비교적 탄력이 있지만, 깔깔함이 적은 식감이었고, 단맛을 억제함으로써 매우 먹기 쉬운 제제로 되었다.
성 분 배합량(g)
폴리스티렌 술폰산칼슘한천카라기난로커스트콩검젖산칼슘구연산분말환원 맥아당 물엿아스파르탐정제수 5.0000.0750.0500.0500.0500.0202.5000.01517.240
총 량 25.000g
[실시예 14]
하기 표 14의 성분 및 배합량을 토대로 하여 조제하였다. 실시예 9와 동일한 첨가제를 배합한 실시예이다. 흡착담체만 실시예 9와 다르지만, 유사하게 우수한 식감을 갖는 것이 얻어졌기 때문에, 흡착담체의 종류에 좌우되지 않고, 복약하기 쉬운 제제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성 분 배합량(g)
폴리스티렌 술폰산칼슘펙틴한천카라기난구연산구연산나트륨크실리톨소르비톨정제수 5.0000.2500.0860.0360.0290.0321.0002.57215.995
총 량 25.000g
[실시예 15]
하기 표 15의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조제하였다. 먼저, 한천을 일정량의 정제수에 현탁하고, 펄펄 끓여 완전하게 용해시켰다. 다음, 나머지 정제수에 환원전분 분해물을 가하고, 이것에 젤라틴을 가하여 팽윤시킨 후, 약 70℃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들의 용해액을 혼합한 것에, 흡착담체 등을 가하여 균질하게 혼합하여 조제하였다. 얻어진 제제는 약간 복약량이 많지만, 물양갱 만큼 매우 부드러운 식감이었고, 흡착담체의 깔깔함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양호한 제제였다.
성 분 배합량(g)
콜레스티라민한천젤라틴환원전분 분해물크실리톨소르비톨정제수 4.0000.5001.5001.0005.00010.00078.000
총 량 100.000g
[실시예 16]
하기 표 16의 성분 및 배합량에 의해 실시예 15에 따라 조제하였다. 실시예 15의 복약량을 감소시킨 처방이지만, 식감은 실시예 15와 같이 부드럽고, 흡착담체의 깔깔함이 느껴지지 않으며, 오토클레이브 멸균도 가능한 내열성이 우수한 제제로 되었다.
성 분 배합량(g)
콜레스티라민한천젤라틴환원전분 분해물크실리톨소르비톨정제수 4.0000.2500.7500.5002.5005.00037.000
총 량 50.000g
본 발명에 의해 흡착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겔상 조성물이 제공되었다. 본 발명의 겔상 조성물은 흡착담체의 식감이 낮기 때문에, 복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물 등에 대한 현탁액으로 한 경우보다도 용량이 감소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의약제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환자가 치료 유효량을 복용하는 것도 용이하고, 환자의 높은 복약 순응도가 기대된다. 또한 건강식품 등에 사용한 경우에도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7)

  1. 흡착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내복용 겔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흡착담체가 이온 교환수지인 내복용 겔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흡착담체가 콜레스티라민, 폴리스티렌 술폰산칼슘 또는 폴리스티렌 술폰산나트륨인 내복용 겔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겔화제로서 펙틴을 함유하는 내복용 겔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겔화제로서 펙틴 및 한천을 함유하는 내복용 겔상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복용 겔상 조성물로 된 의약제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복용 겔상 조성물로 된 식품.
KR1019997011992A 1997-06-20 1998-06-19 겔상 조성물 KR200100139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481697 1997-06-20
JP1997-164816 1997-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966A true KR20010013966A (ko) 2001-02-26

Family

ID=1580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992A KR20010013966A (ko) 1997-06-20 1998-06-19 겔상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21257B1 (ko)
EP (1) EP1004310B1 (ko)
KR (1) KR20010013966A (ko)
CN (1) CN1267220A (ko)
AT (1) ATE433756T1 (ko)
AU (1) AU747451B2 (ko)
CA (1) CA2294148A1 (ko)
DE (1) DE69840911D1 (ko)
WO (1) WO19980586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788A (ko) * 2015-02-12 2017-10-25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모토이야쿠 약제 복용 보조용 젤리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6346A1 (en) * 2000-03-06 2002-08-08 Shah Kumarpal A. Immune modulation with polystyrene sulfonate
ES2299280A1 (es) * 2001-03-01 2008-05-16 Industrial Farmaceutica Cantabria, S.A. Geles mixtos hidrofilicos como vehiculos de liberacion controlada o como dispersantes por flotacion y su preparacion y su uso por via oral.
US20060172007A1 (en) * 2001-05-01 2006-08-03 Nawaz Ahma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vaginal pH
US20030064103A1 (en) * 2001-05-01 2003-04-03 Lin Shun 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vulvovaginitis and vaginosis
US20030017207A1 (en) * 2001-05-01 2003-01-23 Lin Shun 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vulvovaginitis and vaginosis
US20030070584A1 (en) * 2001-05-15 2003-04-17 Cynthia Gulian Dip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cellulose ethers
US20030072731A1 (en) * 2001-05-15 2003-04-17 Cynthia Gulian Dip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tarch or dextrin
AU4061702A (en) * 2001-05-15 2003-04-03 Mcneil-Ppc, Inc. Dip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tarch or dextrin
US8309118B2 (en) * 2001-09-28 2012-11-13 Mcneil-Ppc, Inc. Film forming compositions containing sucralose
US20060105008A1 (en) * 2002-03-28 2006-05-18 Nawaz Ahma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vaginal pH
WO2004009100A1 (en) * 2002-07-22 2004-01-29 Genzyme Corporation Poly (potassium and sodium styrene sulfonate), its manufacture and its uses
US7429619B2 (en) * 2002-08-02 2008-09-30 Mcneil Consumer Healthcare Polyacrylic film forming compositions
US7611480B2 (en) * 2003-04-24 2009-11-03 Levy Mark M Gastrointestinal bioreactor
WO2005007074A2 (en) * 2003-07-21 2005-01-27 Bio-Dar Ltd. Gellan gum based oral controlled release dosage forms- a novel platform technology for gastric retention
JP4694145B2 (ja) * 2004-05-17 2011-06-08 株式会社 メドレックス 経口腸溶性製剤
JP5061897B2 (ja) * 2005-06-06 2012-10-31 味の素株式会社 カプセル皮膜用組成物
MX2008006233A (es) * 2005-11-14 2008-10-03 Valorisation Rech Ltd Partner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comprenden aglutinantes polimericos con enlaces covalentes no hidrlizables y su uso en el tratamiento de la enfermedad celiaca.
EP2001442A4 (en) * 2006-04-06 2013-10-23 Taro Pharmaceuticals North America Inc NOVEL EXPERIMENTAL FORMULATIONS WITH HYDROCOLLOIDAL POLYMERS
US20080058428A1 (en) * 2006-09-01 2008-03-06 Lyn Hughes Method and composition for eliminating odors in ion exchange resins
US9023381B2 (en) * 2007-01-26 2015-05-05 Michelle Chow Enhanced medicinal delivery system processes and products thereby especially useful for children
US20090155363A1 (en) * 2007-12-14 2009-06-18 Todd Maibach Methods for oral administration of active drugs
US20090208619A1 (en) * 2008-02-16 2009-08-20 Thaiyalbagam Somasundaram Selective removal of ions from aqueous liquids
US20120022169A1 (en) * 2009-04-03 2012-01-26 Nisshin Kasei Co., Ltd. Hard capsule
EP2827839B1 (en) 2012-03-20 2019-02-27 Particle Dynamics International, LLC Gelling agent-based dosage form
ES2441468B1 (es) 2012-08-03 2014-11-13 Laboratorios Rubió, S.A. Composición farmacéutica sólida de resina de intercambio catiónico.
ES2471340B1 (es) 2012-12-21 2015-08-17 Laboratorios Rubió, S.A. Composición farmacéutica oral para fármacos de elevada posología
WO2020106607A1 (en) * 2018-11-19 2020-05-28 Hilo Nutritio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 chewable or gummy nutritional sup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4272A (en) * 1972-09-01 1976-08-10 Merck & Co., Inc. Palatable cholestyramine coacervate compositions
FR2382432A1 (fr) * 1977-02-17 1978-09-29 Trenker Ady Resinates d'amines, en particulier de diethylpropion,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US4747881A (en) * 1985-02-05 1988-05-31 Warner-Lambert Company Ingestible aggregate and delivery system prepared therefrom
US4882153A (en) * 1985-12-20 1989-11-21 Warner Lambert Co. Confectionery delivery system for antitussives
IL85632A (en) * 1987-03-10 1991-08-16 Ciba Geigy Ag Hypocholesterolaemic gel formulation contain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non-digestible anion exchange resin
US4837255A (en) * 1987-03-10 1989-06-06 Ciba-Geigy Corporation Palatable hypocholesterolaemic gel formulation contain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non-digestible anion exchange resin
US4950689A (en) * 1987-03-31 1990-08-21 Yang Robert K Pectin delivery system
US4857331A (en) 1988-03-31 1989-08-15 Warner-Lambert Company Sugarless pectin delivery system
JPH0262831A (ja) * 1988-08-26 1990-03-02 Fuji Kapuseru Kk ソフトゲル
US5026555A (en) * 1988-10-28 1991-06-25 Warner-Lambert Co. Method for preparing an anion exchange resin delivery system
US5102664A (en) * 1989-07-19 1992-04-07 Day Charles E Good-tasting gritty drug formulations
DE69419281T2 (de) * 1993-04-28 2000-03-23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Geschmacksmaskierte feste Zuberei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5578217A (en) * 1994-11-30 1996-11-26 Alliedsignal Inc. Use a solvent impregnated crosslinked matrix for metal recovery
JP3098401B2 (ja) * 1995-07-12 2000-10-16 株式会社エルティーティー研究所 経鼻投与用製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788A (ko) * 2015-02-12 2017-10-25 가부시키가이샤 모리모토이야쿠 약제 복용 보조용 젤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04310B1 (en) 2009-06-17
AU747451B2 (en) 2002-05-16
DE69840911D1 (de) 2009-07-30
US6521257B1 (en) 2003-02-18
ATE433756T1 (de) 2009-07-15
EP1004310A4 (en) 2005-01-19
CN1267220A (zh) 2000-09-20
AU8036398A (en) 1999-01-04
CA2294148A1 (en) 1998-12-30
WO1998058654A1 (fr) 1998-12-30
EP1004310A1 (en) 200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3966A (ko) 겔상 조성물
EP0873749B1 (en) Jellied medicinal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KR0161969B1 (ko)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인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위한 약제학적 수성 현탁액 조성물
JPH0213350A (ja) シユガーレスペクチンデリバリーシステム
ES2198073T3 (es) Preparacion de gel que contiene poliestireno-sulfonatos.
JP4264105B2 (ja) イソソルビド含有ゼリー製剤
JP2004099558A (ja) 医薬用ゼリー組成物
JP2006052169A (ja) ゾル状又はゲル状の服薬補助食品
KR101144460B1 (ko) 젤리 형태의 한방 의약조성물
JP5611672B2 (ja) 経口ゼリー剤
JP2000281562A (ja) ゲル状組成物
JP2003192573A (ja) 経口ゲル製剤
JP4845353B2 (ja) 陰イオン交換樹脂を含む医薬組成物
EP1674088A1 (en) Jelly preparation containing biguanide medicine
JP4634589B2 (ja) 食品又は医薬品易服用化剤
JP5491943B2 (ja) ビタミンb1類含有経口ゼリー剤
WO2023042900A1 (ja) スクラルファート含有ゼリー状医薬組成物
JP2004099559A (ja) 医薬用ゼリー組成物
JPH05163151A (ja) ラクツロース含有ゼリー製剤
JP2005179311A (ja) ゼリー状睡眠薬製剤
JP2003183162A (ja) シメチジン経口製剤
US9023381B2 (en) Enhanced medicinal delivery system processes and products thereby especially useful for children
CA314565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imatinib.
JP2001181212A (ja) 耐熱性ゲル状経口組成物
JP2016199496A (ja) ラクツロース含有医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