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919A -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정보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격납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정보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격납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919A
KR20010013919A KR1019997011941A KR19997011941A KR20010013919A KR 20010013919 A KR20010013919 A KR 20010013919A KR 1019997011941 A KR1019997011941 A KR 1019997011941A KR 19997011941 A KR19997011941 A KR 19997011941A KR 20010013919 A KR20010013919 A KR 20010013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character string
spelling
operating system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6029B1 (ko
Inventor
쿠와리세이지
Original Assignee
타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테이시 요시오
Publication of KR2001001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2Orthographic correction, e.g. spell checking or vowe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42Data-driven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3Processing of non-Latin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된 외국어의 스펠링·체크, 스펠링 수정, 또는 언어 변환을 행한다. 키보드(1)로부터 입력된 문자열은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4)을 통하여, 외국어 입력 시스템·프로그램(개재 프로그램)(5)에 공급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프로그램(5)은 공급된 문자열의 스펠링·체크, 스펠링 수정 또는 언어 변환 처리를 행하여 그 결과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6)에 공급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정보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기록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tored therein}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하, 간단히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약기한다)에는, 목적으로 하는 기능에 따라서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예를 들면, 문장을 작성하기 위한 워드 프로세싱·프로그램, 그림 또는 문자를 그리기 위한 묘화 프로그램(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자는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이하, 간단히 「오퍼레이팅·시스템」이라고 약기한다)을 통하여, 이들 애플리케이션에 명령을 주고, 소정의 처리를 실행시켜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오퍼레이팅·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표시 장치 등의 하드웨어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관리 등을 행한다.
여러가지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예를 들면 영어 워드 프로세싱·프로그램은 스펠링·체크, 스펠링 수정, 경우에 따라서는 일본어로부터 영어로의 언어 변환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문자열은 먼저 오퍼레이팅·시스템에 의해서 접수되고, 오퍼레이팅·시스템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으로 공급된다. 애플리케이션은 입력된 영단어의 스펠링·체크, 필요하다면 스펠링 수정을 행한 후에, 소정의 언어처리, 편집처리 등을 실행한다.
다른 한편, 묘화 툴 등의 문자를 이미지(도형)로서 취급하는 애플리케이션에는, 스펠링·체크와 같은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사용자가 스펠링·체크, 스펠링 수정, 언어 변환 등의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러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것을 실현할 수 없다.
그래서, 스펠링·체크, 스펠링 수정, 언어 변환 등의 기능을 애플리케이션마다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각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의 용량이 커질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그램이 중복하게 되어, 시스템 전체로서 낭비가 많아진다.
본 발명은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스펠링·체크, 그 밖의 정보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및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애플리케이션 및 외국어 입력 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외국어 입력 시스템의 기동시에 있어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을 유효화 또는 무효화하는 오퍼레이팅·시스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의 유효화 키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외국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후보 문자열의 리스트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후보 문자열의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스펠링·체크용 사전(9)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외국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는 제 2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 및 도 17은 제 2 실시예의 외국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8 내지 도 20은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외국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1은 제 3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2는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 및 도 24는 제 3 실시예의 외국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5는 등록 다이얼로그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 내지 도 28은 제 3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외국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9는 제 4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0은 제 4 실시예의 외국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1은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2는 영어 후보 리스트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제 4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외국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4는 제 5 실시예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스펠링·체크 기능이 없더라도, 스펠링·체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 스펠링·체크의 결과, 스펠링이 오류라고 판정되었을 때, 정확한 스펠링의 문자열의 후보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서, 언어 변환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는, FD, CD-R0M, 컴퓨터내의 반도체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가 포함된다. 인터넷, 디지털 위성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된 프로그램을 반도체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양태도 있다.
제 1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이 개재 프로그램은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펠링·체크 판정 처리와, 스펠링·체크 판정 처리에 있어서,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는 사전 판정 처리와, 사전 판정 처리에 있어서,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적어도 1개의 정확한 스펠링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공급 판정 처리를 컴퓨터내에서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펠링·체크 판정 처리, 사전 판정 처리 및 공급 판정 처리를 각각 실현하는 프로그램·루틴이 소위 소프트웨어·스위치(예를 들면, 플래그의 상태에 따라서 하나의 루틴으로부터 다른 루틴에 처리를 진행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서 처리를 진행시키거나, 또는 진행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로 서로 커트 가능하게 연결되는 양태인 것을 포함한다. 복수의 처리를 각각 실현하는 프로그램·루틴이 소프트웨어·스위치에 의해 연결되고, 또는 커트하는 양태(커트되어 있는 프로그램·루틴이 동작하지 않는 것도 포함한다)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모든 발명에 적합하다.
제 1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처리 방법은,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정확한 스펠링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제 1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에 의하면,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하는지의 여부가 먼저 판정된다. 스펠링·체크를 행한다고 판정되면,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가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된다.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되면, 정확한 스펠링의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렇게 하여, 개재 프로그램의 공급자 또는 사용자가 스펠링·체크실행을 설정하는 것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스펠링·체크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실질적으로 스펠링·체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재 프로그램 공급자 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에 따라서, 정확한 스펠링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 처리로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이 개재 프로그램에는,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펠링·체크 판정 처리와, 스펠링·체크 판정 처리에 있어서,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는 사전 판정 처리와, 사전 판정 처리에 있어서,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정확한 스펠링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 공급 처리를 컴퓨터내에서 실현하는 것이다.
제 2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처리 방법은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고,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 것이다.
제 2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에 의하면,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하는지의 여부가 먼저 판정된다. 스펠링·체크를 행한다고 판정되면,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가,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된다. 상기 문자열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되면, 정확한 스펠링의 후보 문자열이,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개재 프로그램의 공급자 또는 사용자가 스펠링·체크실행을 설정하는 것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스펠링·체크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실질적인 스펠링·체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펠링·체크의 결과, 입력된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정확한 스펠링의 문자열이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다.
제 3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이 개재 프로그램은,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는 사전 판정 처리와, 사전 판정 처리에 있어서,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적어도 1개의 정확한 스펠링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공급 판정 처리를 컴퓨터내에서 실현하는 것이다.
제 3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처리 방법은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고,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제 3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에 의하면,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가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된다.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정확한 스펠링의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렇게 하여,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스펠링·체크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입력된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개재 프로그램의 공급자 또는 사용자가 정확한 스펠링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해야 할 것을 설정하고 있는 것에 따라서, 정확한 스펠링 후보 문자열의 공급 처리로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이 개재 프로그램은,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는 사전 판정 처리와, 사전 판정 처리에 있어서,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정확한 스펠링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 공급 처리를 컴퓨터내에서 실현하는 것이다.
제 4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처리 방법은,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고,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후보 문자열을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 것이다.
제 4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에 의하면,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가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된다. 만약,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으면, 정확한 스펠링의 문자열이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스펠링·체크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입력 문자열의 스펠링·체크가 가능해진다. 또한, 스펠링·체크의 결과, 스펠링이 오류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서, 정확한 스펠링의 문자열의 후보가 제시된다.
정확한 스펠링의 후보 문자열의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으로의 공급에 있어서, 1 또는 복수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해도 되고, 1 또는 복수의 후보 문자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확인 또는 선택시켜, 확인 또는 선택된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해도 된다.
상기의 사전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자열(단어, 구 등)을 수용한 범용적인 사전이라도 좋고, 특정한 분야(기술분야, 과학분야, 사회분야 등)의 용어를 수록한 사전이라도 좋다. 필요하다면,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특유의 문자열도 사전에 기술해 놓아도 된다. 이 경우에, 사전에 기술되는 문자열은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 대응되고,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따라서, 그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된 문자열이 스펠링·체크에 있어서 참조된다. 이러한 특수한 용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등록할 수 있도록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이 개재 프로그램은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을, 제 1 언어로부터 제 2 언어로 변환하는 변환처리와, 변환처리에서 제 2 언어로 변환된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 공급 처리를 컴퓨터내에서 실현하는 것이다.
제 5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처리 방법은,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 문자열을, 제 1 언어로부터 제 2 언어로 변환하고, 제 2 언어로 변환된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 것이다.
제 5 관점에서 규정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에 의하면,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는 문자열이, 제 1 언어로부터 제 2 언어로 변환되고, 변환된 문자열이,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서, 언어 변환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입력 문자열이 제 1 언어로부터 제 2 언어로 변환될 때, 제 1 언어의 문자열의 변화형태(동사 활용형, 명사가 단수인지 복수인지 등)가 해석된다. 제 2 언어는, 이 해석에 의해 얻어진 변화형태에 대응하도록 변형된다.
본 발명은 부가로, 상술한 스펠링·체크 기능(필요에 따라서, 정확한 후보 문자열의 공급기능도 포함한다) 및 언어 변환 기능의 양쪽을 가지는 개재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개재 프로그램과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또는, 이것에 부가하여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또는 시스템)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혼재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컴퓨터 본체(CPU, 각종 메모리, 디스크·드라이브 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소프트웨어로서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4)(이하, 간단히 「오퍼레이팅·시스템」이라고 약기한다)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61, 62,…, 6n)(이하, 간단히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약기한다)과, 외국어 입력 시스템·프로그램(5)(이하, 간단히 「외국어 입력 시스템」이라고 약기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오퍼레이팅·시스템(4)과 애플리케이션(61 내지 6n)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오퍼레이팅·시스템(4)은 키보드(1), 마우스(2), 표시 장치(3) 등의 제어, 애플리케이션(61 내지 6n), 외국어 입력 시스템(5) 등의 관리, 그 밖의 제어를 행한다.
이들 오퍼레이팅·시스템(4), 외국어 입력 시스템(5) 및 애플리케이션(61 내지 6n)은 일반적으로는 컴퓨터(퍼서널·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의 하드·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으로부터 컴퓨터의 내부 메모리(반도체 메모리 등)에 전송되고, 거기에 기억된다. 오퍼레이팅·시스템(4), 외국어 입력 시스템(5) 및 애플리케이션(61 내지 6n)은 일반적으로는 CD-R0M, FD 등의 가반형 기록 매체에 격납되어 있고, 이들의 CD-R0M, FD 등으로부터 하드·디스크 등에 인스톨될 것이다. 오퍼레이팅·시스템(4)은 미리 컴퓨터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오퍼레이팅·시스템(4), 외국어 입력 시스템(5) 및 애플리케이션(61 내지 6n)은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전송되어, 컴퓨터내에 로드되는 경우도 있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유효화되어 있을 때,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61 내지 6n)(애플리케이션을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하, 간단히 애플리케이션(6)이라고 기술한다)에 공급되어야 할 데이터(또는 데이터열(문자열을 포함한다)이하 동일함)를,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받아들이고, 이들 데이터에 스펠링·체크, 필요하다면 스펠링 수정, 또는 언어 변환 등을 실시하고, 애플리케이션(6)에 공급한다. 무효화되어 있을 때에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받아들인 데이터를, 그대로 애플리케이션(6)에 공급한다. 즉,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오퍼레이팅·시스템(4)과 애플리케이션(61 내지 6n)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예를 들면, 영어, 독어, 불어와 같은 외국어의 언어 입력 시스템이다. 오퍼레이팅·시스템(4)이 기동되었을 때, 또는 애플리케이션(6)이 기동되었을 때,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이것과 동시에 기동된다.
애플리케이션(61 내지 6n)의 예로서는, 스펠링·체크, 스펠링 수정, 언어 변환 등의 기능을 가지는 워드프로세싱·프로그램(부호(61)로 나타낸다), 이들 기능을 가지지 않는 묘화 프로그램(부호(62)로 나타낸다) 등을 들 수 있다.
도 2는 애플리케이션(6)과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구성의 일 예를 블록에 의해서 표현한 것이다. 이들 블록에는, 후술하는 프로그램을 표현하고 있는 것도 있으면, 하드웨어를 표현하고 있는 것도 있고, 또한 프로그램과 하드웨어와의 결합에 의해서 달성되는 기능을 나타내고 있는 것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한 예로서 애플리케이션(62)이 나타나 있다. 애플리케이션(62)은 예를 들면 묘화 툴 등과 같이, 문자를 이미지로서 취급하는 프로그램이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작용을, 보다 알기 쉽게 떠올리기 위해서,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팅·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과의 사이의 데이터, 명령의 주고받기에 대하여 간단히 언급해 둔다.
애플리케이션의 중에는, 복수의 윈도우가 동시에, 서로 독립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이 있다(여기서는 윈도우를 하나의 오브젝트로서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윈도우는 데이터 및 그 데이터에 관해서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ORD(상표) 등은 이 예이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키보드(1)로부터 입력된 문자열은,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중의 액티브한 윈도우에 공급된다. 특히 단정하지 않는 한, 「오퍼레이팅·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과의 사이의 데이터 및 명령의 수수(授受)」란,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1 또는 복수의 윈도우와, 오퍼레이팅·시스템과의 사이의 데이터 및 명령의 수수」를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의 1 또는 복수의 윈도우의 각각에 대해서는 윈도우 ID가 설정된다. 따라서 윈도우 ID를 사용하여 오퍼레이팅·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및 명령의 수수가 행해진다.
애플리케이션(62)은, 유효화되었을 때, 윈도우 ID를 오퍼레이팅·시스템(4)에 통지하고, 그 윈도우 ID 앞으로, 입력된 문자열의 전송을 요구한다. 「윈도우 ID 앞」이란, 「윈도우 ID에서 나타나는 윈도우 앞」을 의미한다. 따라서 키보드(1)로부터 문자(문자열을 포함한다. 이하 동일함)가 입력되면, 오퍼레이팅·시스템(4)은, 그것을 애플리케이션(62)의 입력 처리부(10)에 공급한다. 입력 처리부(10)은,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입력 문자를 받아들이고, 문자 이미지 변환부(11)에 공급한다. 문자 이미지 변환부(11)는, 입력 문자를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미지 처리부(12)에 공급한다. 이미지 처리부(12)는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버퍼(13)에 격납한다. 이미지·버퍼(13)에 격납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에 의해서 나타나는 이미지가,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통하여 표시 장치(3)에 표시된다.
이미지·버퍼(13)는 실제로는, 오퍼레이팅·시스템(4) 및 애플리케이션(62)이 동작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RAM에 의해서 실현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미지·버퍼(13)도 애플리케이션(62)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구성과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키보드(1)로부터 입력된 문자는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통하여,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스펠링·체크 처리부(7)에 공급된다.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공급된 입력 문자를 표시 버퍼(8A)에 순차 격납한다.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체크용 사전(9)을 참조하여, 표시 버퍼(8A)에 격납된 문자열(단어)에 대하여 스펠링·체크를 행한다.
이 스펠링·체크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표시 버퍼(8A)에 격납된 문자열(단어)과 같은 문자열(단어)이 스펠링·체크용 사전(9)에 정확한 단어의 스펠링으로서 존재하면, 그 격납된 문자열의 스펠링은 정확하다고 판정된다. 표시 버퍼(8A)의 문자열과 같은 문자열이 스펠링·체크용 사전(9)에 존재하지 않으면, 표시 버퍼(8A)의 문자열의 스펠링은 오류라고 판정된다.
스펠링·체크용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단어라도, 그 단어의 변화형태(예를 들면 현재분사, 과거분사, 복수형)와 표시 버퍼(8A)의 문자열이 일치하면, 정확한 스펠링이라고 판단된다.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동사나 명사에 대해서는 그 원형 또는 단수형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단어에 대해서는 그 변화형태가 테이블의 형으로 기억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스펠링·체크용 사전(9)의 기억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스펠링·체크 처리부(7)에 있어서 정확하다고 판단된 스펠링의 문자열은 표시 버퍼(8A)로부터 애플리케이션(62)의 입력 처리부(10)에 공급된다.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체크의 결과, 표시 버퍼(8A)의 문자열의 스펠링이 오류인 경우, 스펠링·체크용 사전(9)으로부터 수정 후보 문자열(단어)을 검색하고, 검색된 1 또는 복수의 수정 후보를 후보 버퍼(8B)에 격납한다. 격납된 수정후보는,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통하여 디스플레이(3)에 표시된다. 키보드(1) 또는 마우스(2)의 조작을 통하여 수정후보 중에서 원하는 수정후보가 사용자에게 의해서 선택되면, 선택된 수정후보는, 확정 문자열로서 애플리케이션(62)의 입력 처리부(10)에 공급된다. 후보 버퍼(8B)는, 표시 버퍼(8A)와 겸용해도 된다. 표시 버퍼(8A)와 후보 버퍼(8B)도, 실제로는 RAM에 의해서 실현되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일부로서 기술하고 있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오퍼레이팅·시스템(4)에 의해서 유효화 또는 무효 화된다. 이 때의 스펠링·체크 처리부(7)와 오퍼레이팅·시스템(4)의 동작을, 도 및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도 3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 후에, 후술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이 시퀀스를 반복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팅·시스템(4) 또는 애플리케이션(62)이 기동되었을 때에 함께 기동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기동되면, 그 일부인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오퍼레이팅·시스템(4)에 표시 버퍼(8A) 및 후보 버퍼(8B)의 확보를 요구한다(스텝 S1). 계속해서,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되는 입력 문자를, 외국어 입력 시스템(5)에 전송하는 것의 요구」가, 외국어 입력 시스템(5)으로부터 오퍼레이팅·시스템(4)에 보내진다(스텝 S2).
외국어 입력 시스템(5)으로부터 오퍼레이팅·시스템(4)에 주어지는 상기의 요구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오퍼레이팅·시스템(4)에, 애플리케이션(62)의 윈도우 ID의 통지를 요구한다. 오퍼레이팅·시스템(4)은 이 요구에 대응하여, 애플리케이션(62)의 윈도우 ID를 외국어 입력 시스템(5)에 통지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오퍼레이팅·시스템(4)에, 요구 명령(RQ1)을 출력한다. 이 요구 명령(RQ1)은 「윈도우 ID에서 지정되는 윈도우에 공급하는 입력 문자를 외국어 입력 시스템(5)에도 전송하도록 요구하는 요구 명령」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62)은 유효화되었을 때, 그 윈도우 ID를 오퍼레이팅·시스템(4)에 통지하고, 그 윈도우 ID 앞으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해주도록, 오퍼레이팅·시스템(4)에 이미 요구하고 있다. 오퍼레이팅·시스템(4)은 이 요구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62)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입력 문자는,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62)과,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양쪽으로 전송되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은 부가로, 오퍼레이팅·시스템(4)에 대하여, 요구 명령(RQ2)을 출력한다. 이 요구 명령(RQ2)은 「애플리케이션(62)이 오퍼레이팅·시스템(4)에 설정하고 있는, 윈도우 ID에서 나타나는 윈도우에 대한 문자의 전송 요구 명령의 취소를 요구하는(애플리케이션(62)으로의 입력 문자의 전송 중지를 요구한다) 요구 명령이다(스텝 S2).
오퍼레이팅·시스템(4)이, 요구 명령(RQ2)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62)으로부터의 전송 요구 명령의 설정을 취소하면, 그 이후는, 입력 문자는 애플리케이션(62)으로는 전송되지 않고, 전부, 외국어 입력 시스템(5)으로 전송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오퍼레이팅·시스템(4)은 키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3). 키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있으면, 그 입력이 외국어 입력 시스템 유효화 키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4). 외국어 입력 시스템의 유효화란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받아들인 입력 문자열에 대해서 스펠링·체크를 행하고, 스펠링·체크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정보(스펠링이 옳으면 그 정확한 스펠링의 문자열,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으면 수정후보의 문자열 등)를, 애플리케이션(62)에 전송하는 동작을 행하는 상태로 외국어 입력 시스템을 설정하는 것」이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지 않는 상태(무효화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받아들인 입력 문자열은, 그대로 애플리케이션(62)에 전송된다.
스텝(S4)에 있어서, 키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외국어 입력 시스템 유효화 키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그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5). 키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외국어 입력 시스템 유효화 키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유효화 플래그의 상태가 판정된다(스텝 S6).
도 5는 표시 장치(3)의 화면 예를 도시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윈도우(19)는, 애플리케이션(62)의 작업내용을 도시하는 윈도우이다. 오퍼레이팅·시스템(4)은, 예를 들면, Windows95(상표)에 의해서 실현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유효화 키로서, 태스크 바(20)에 버튼(21)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 버튼(21)을 마우스(2)로 클릭함으로써,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유효/무효가 바뀌어진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 키를 키보드(1)의 어느 하나의 키에 할당해 두어도 된다.
오퍼레이팅·시스템(4)은 유효화 플래그의 상태에 의해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가 끝났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아직 유효화되어 있지 않으면,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고(유효화 플래그가 온으로 된다)(스텝 S7), 유효화가 끝나면,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무효화된다(유효화 플래그가 오프로 된다)(스텝 S8).
정보 처리 장치의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동작을 도 6 및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입력을 대기하고 있다 (스텝 S21). 이 입력 대기란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입력(문자 입력, 다른 키 입력등)이 있다는 메시지를 대기하여, 메시지가 있으면,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의 입력 문자, 입력 키·코드, 그 밖의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입력이 있으면,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유효화 플래그의 상태에 의해 판정한다(스텝 S22).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취득한 입력 문자를 그대로 애플리케이션(62)의 입력 처리부(10)에 공급한다(스텝 S23). 이것에 의해, 애플리케이션(62)의 처리가 실행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처리는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입력 문자가 공급된 애플리케이션(62)에서는 도 8에 도시되는 처리가 실행된다. 즉, 입력 처리부(10)는 입력된 문자를 문자 이미지 변환부(11)에 준다. 문자 이미지 변환부(11)는 입력 문자를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한다(스텝 S41). 이미지 처리부(12)는 변환된 이미지·데이터를 이미지·버퍼(13)에 격납한다(스텝 S42). 더욱 이미지 처리부(12)는 이미지·버퍼(13)에 격납되어 있는 이미지·데이터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이미지를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통하여 표시 장치(3)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키 보드(1)로부터 입력된 문자는 표시 장치(3)에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스텝 S22에 있어서,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실행 키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24). 스펠링·체크 실행 키 입력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입력 문자를 표시 버퍼(8A)에 격납한다(스텝 S25). 더욱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입력 문자를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통하여 표시 장치(3)에 표시시킨다(스텝 S26). 예를 들면, 영어의 C, O, M, P, U, T, E, R의 문자가 순차로 키 보드(1)로부터 입력된다고 하면, 표시 장치(3)에는 「C0MPUTER」라고 표시된다.
스펠링·체크 실행 키는 바람직하게는 키 보드(1)의 스페이스·키이다. 사용자는 1개의 단어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문자를 계속하여 입력하여, 그 후 스페이스·키를 누른다. 따라서, 스페이스·키 입력이 있었을 때에는, 1개의 단어를 구성하는 모든 문자의 입력이 종료하고 있다. 이 입력된 단어(문자열)의 스펠링·체크가 가능하게 된다.
입력이 스펠링·체크 실행 키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체크용 사전(9)을 사용하여, 표시 버퍼(8A)에 이미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단어)의 스펠링·체크를 실행한다(스텝 S27). 예를 들면, 영어 단어(문자열)「C0MPUTER」의 스펠링·체크가 행하여진다.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28),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하여(스텝 S29)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애플리케이션(62)으로서는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8에 도시되는 처리가 실행된다.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이 다르다는 것을 경고하는 윈도우를 표시 장치(3)에 표시시킨다(스텝 S30).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스펠링이 틀립니다」라고 말하는 메시지가 표시 장치(3)에 표시된다.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오퍼레이팅·시스템(4))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31).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키 보드(1)상의 키라도 되며, 표시 장치(3)에 표시되는 버튼이라도 된다)로부터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32).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로부터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확정 키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33).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확정 키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1로 되돌아간다.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확정 키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하여(스텝 S34)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애플리케이션(62)에서는 도 8의 처리가 실행된다.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체크용 사전(9)중에서 수정 후보 문자열(이하, 단지「수정 후보」라고 칭함)을 선택하여, 선택된 수정 후보를 후보 버퍼(8B)에 격납한다(스텝 S35). 예를 들면, 정확하게는「C0MPUTER」인 영어의 스펠링이 「C0MPUTAR」로 틀리게 입력된 경우, 수정 후보로서「C0MPUTER」등의 문자열이 스펠링·체크용 사전(9)중에서 선택되어 후보 버퍼(8B)에 격납된다. 수정 후보는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과의 일치도가 소정치 이상으로 되는 스펠링·체크용 사전상의 단어(문자열)(사전에 기억되어 있는 단어라도 되고, 그 단어의 변화 형태를 첨가해도 된다.)이다.
후보 버퍼(8B)에 격납된 수정 후보가 표시 장치(3)에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스트 형으로 표시된다(스텝 S36). 후보 버퍼(8B)를 생략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펠링·체크용 사전(9)으로부터 수정 후보를 판독하여 순차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스펠링·체크용 사전(9)에는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어가 알파벳 순서로 격납되어 있다. 또한, 스펠링·체크용 사전(9)에는 각 단어마다에 적용 가능한 변화(활용) 규칙 등을 나타내는 부호를 부가하여 기록하여 두어도 된다.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37). 사용자는 표시 장치(3)에 표시된 수정 후보중에서 원하는 수정 후보를 선택한다.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있으면, 그것이 수정 후보 확정 키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38).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수정 후보 확정 키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7로 되돌아간다.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수정 후보 확정 키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사용자에 의해서 확정된 수정 후보의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62)으로 공급하여(스텝 S39)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애플리케이션(62)에서 도 8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외국어 입력 시스템(5)에 의해서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되어야 하는 문자열의 스펠링·체크가 행하여진다.
영어의 스펠링·체크의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타언어의 스펠링·체크를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독일어의 스펠링·체크에 있어서는, 정확하게는「Diskont」인 독일어의 스펠링이, 「Discont」로 잘못 입력된 경우, 수정 후보로서「Diskont」등의 문자열이 스펠링·체크용 사전(9)중에서 선택되어 표시 장치(3)에 표시된다.
다음에,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 12로부터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에 있어서, 스펠링·체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스펠링·체크 유효화 키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스펠링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하는지의 여부도 사용자가 수정 후보 공급 유효화 키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것들의 스펠링·체크 유효화 키 및 수정 후보 공급 유효화 키는 키 보드(1)상의 키중 어느 것인가에 할당해도 되며, 표시 장치(3)의 표시 화면에 버튼을 표시하는 것에 의해 실현 할 수도 있다.
도 12∼도 14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처리와 동일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을 피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22), 입력이 스펠링·체크 실행 키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24). 입력이 스펠링·체크 실행 키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입력이 스펠링·체크 유효화 키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72). 스펠링·체크 유효화 키라고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가 온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73).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가 온이라고 판정되면,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가 오프로 되어 (스텝 S74)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가 온이 아니라고(오프이다) 판정되면,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스텝 S75)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스텝 S72에 있어서, 입력이 스펠링·체크 유효화 키 입력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수정 후보 공급 유효화 키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76). 입력이 수정 후보 공급 유효화 키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가 온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77).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가 온이라고 판정된 경우,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를 오프로 한 후(스텝 S78),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가 온이 아니라고(오프이다) 판정된 경우,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를 온으로 하여(스텝 S79),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스텝 S76에 있어서, 입력이 수정 후보 공급 유효화 키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입력 문자를 표시 버퍼(8A)에 격납하여 표시 장치(3)에 표시시킨다(스텝 S25, S26).
한편, 스텝 S24에 있어서, 입력이 스펠링·체크 실행 키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가 온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57).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가 온이 아니라고(오프이다)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한다(스텝 S29).
스텝 S57에 있어서,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가 온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체크용 사전(9)을 사용하여,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실행한다(스텝 S27, S28).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이 틀리다는 것을 경고하는 윈도우를 표시 장치(3)에 표시시킨다(스텝 S30). 이후,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31).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있으면, 그것이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로부터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32).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로부터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상술과 같이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확정 키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33).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체크용 사전(9)중에서 수정 후보를 선택하여, 그것을 후보 버퍼(8B)에 격납하여 표시 장치(3)에 표시하며 (스텝 S35, S36),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37).
사용자는 표시 장치(3)에 표시된 수정 후보중에서 원하는 수정 후보를 선택한다.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있으면, 그것이 수정 후보 확정 키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38).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수정 후보 확정 키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7로 되돌아간다.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수정 후보 확정 키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가 온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70).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가 온이라고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사용자에 의해서 확정된 수정 후보의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한다(스텝 S39).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가 온이 아니라고(오프이다) 판정된 경우, 스텝 S39의 처리는 스킵된다. 이 경우, 수정 후보 및 입력 문자열의 어느 것이나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가 오프인 것을 깨닫는다.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의 온/오프 상태의 판정(스텝 S70)은 반드시 수정 후보 리스트를 작성(표시)한 후가 아니라도 된다. 수정 후보 표시 키를 입력하기 전(스텝 S31과 스텝 S32와의 사이), 수정 후보를 후보 버퍼(8B)에 격납하기 전(스텝 S32와 스텝 S35와의 사이), 또는 그 밖의 개소에서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의 상태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어느 것으로 해도,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가 온이 아닌(오프이다) 경우에는, 적어도 수정 후보는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이것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도 적합하다.
(제 2 실시예)
도 15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시스템(62)과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구성의 일례를 블록도에 의해서 표현한 것이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키 보드(1)로부터 입력된 문자열은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62)의 입력 처리부(10)에 공급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문자열은 애플리케이션(62)의 입력 처리부(10)로부터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스펠링·체크 처리부(7)에 공급된다. 입력 처리부(10)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에 있어서의 스펠링·체크 결과를 대기하는 것으로 된다. 스펠링·체크 처리부(7)에 있어서 스펠링·체크가 행하여진 후, 스펠링·체크를 받은 입력 문자열 또는 수정된 후보 문자열이 애플리케이션(62)의 입력 처리부(10)에 공급된다. 입력 문자열의 공급 경로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제 1 실시예(도 2)와 동일하다.
도 15에 도시되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의 동작을 도 16 및 도 1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에 있어서, 제 1 실시예(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처리와 동일의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중복한 설명을 피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2).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애플리케이션(62)의 입력 처리부(10)에 대하여, 요구 명령(RQ3)을 출력한다(스텝 S92). 이 요구 명령(RQ3)은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공급된 입력 문자(또는 문자열)를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스펠링·체크부(7)에 전송하도록 요구하는 요구 명령」이다. 요구 명령(RQ3)에 응답하며, 입력 처리부(10)는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공급된 입력 문자(문자열)를 스펠링·체그 처리부(7)에 공급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으로부터 일단 요구 명령(RQ3)이 있으면, 그 이후에는 애플리케이션(62)은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취득한 입력 문자를 항상 외국어 입력 시스템(5)에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스펠링·체크 실행 키(예를 들면 스페이스·키)의 입력이 있으면(스텝 S24),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체크용 사전(9)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62)의 입력 처리부(10)로부터 공급된 문자열에 대하여 스펠링·체크를 실시한다(스텝 S27).
스펠링·체크 실행 키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입력 문자는 그대로 표시 장치(3)에 표시된다(스텝 S25, S26).
스펠링·체크 처리부(7)에 의한 스펠링·체크의 결과, 입력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다고 판정되면, 입력 문자열은 그대로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된다(스텝 S28, S29). 입력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이 틀리다는 것을 경고하는 윈도를 표시 장치(3)에 표시하며(스텝 S30),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의 입력 또는 확정 키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31, S32, S33).
확정 키의 입력이 있으면,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된 입력 문자열이 그대로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된다(스텝 S34). 수정 후보 표시 키의 입력이 있으면 수정 후보 리스트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며, 수정 후보 확정 키의 입력을 대기하여 확정된 수정 후보 문자열이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된다(스텝 S35∼S39).
도 18로부터 도 20은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의 흐름도가다. 이 변형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도 12로부터 도 14)와 동일하도록, 외국어 입력 시스템(5)에 있어서, 스펠링·체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스펠링·체크 유효화 키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스펠링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수정 후보 공급 유효화 키를 사용하고 설정할 수 있다.
도 18로부터 도 20에 도시되는 처리는 도 12로부터 도 14(제 1 실시예의 변형예) 및 도 16으로부터 도 17에 도시되는 처리와 중복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여기서는 간단하게 상술하는 것으로 그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는 상태로 문자 입력이 있으면,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애플리케이션(62)의 입력 처리부(10)에 입력 문자(문자열)의 전송을 요구한다(스텝 S92).
스펠링·체크 실행 키의 입력이 있으면, 계속해서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의 상태가 판정된다(스텝 S24, S57).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가 온인 경우에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스펠링·체크 처리부(7)에 의해서, 입력 문자열의 스펠링·체크가 행하여진다(스텝 S27).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가 오프인 경우에는, 입력 문자열이 그대로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된다(스텝 S57, S29).
입력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펠링 오류를 나타내는 경고가 표시 장치(3)에 표시되어(스텝 S30),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 또는 확정 키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31∼S33).
확정 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문자열이 그대로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된다(스텝 S34).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의 입력이 있으면, 수정 후보가 표시 장치(3)에 리스트 형으로 표시된다.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수정 후보 확정 키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35∼S38). 사용자가 수정 후보 확정 키를 입력하면,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인 상태가 판정된다(스텝 S70).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가 온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확정된 수정 후보 문자열이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된다(스텝 S39).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가 온이 아니라고(오프이다)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2로 되돌아간다.
(제 3 실시예)
도 21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시스템(62)과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구성의 일례를 블록도에 의해서 표현한 것이다. 제 1 실시예(도 2)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에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이 추가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도 22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에 격납(등록)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은 기본적으로는 스펠링·체크용 사전(9)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단어(등록어)(고유명사, 약어, 기호등을 포함한다)로서, 사용자가 스펠링·체크를 필요로 하는 것(예를 들면, 자주 사용하는, 스펠링을 잘못하기 쉬운, 잘못된 스펠링이라고 오류 동작을 발생하게 할 우려가 있는 등의 이유로)이 등록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영어를 받아 들이는 것인 경우에는, 이 사전(14)에 등록되는 단어도 구체적으로는 영어 표현(로마자 표현을 포함한다)으로 된다.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에는 사용자명에 대응하며, 애플리케이션명에 대응하고, 또는 사용자명과 애플리케이션명의 조합에 대응하며, 또는 사용자명에도 애플리케이션명에도 대응하지 않고서, 단어가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WordNavi는 사용자명 yamada와 애플리케이션명 MS-Word에 관련되어 있다. 등록어 satou는 사용자명 satou에 관련되어 있다. 등록어 extranet는 애플리케이션명 MS-Word에 관련되어 있다. 등록어 0C.는 사용자명에도 애플리케이션명에도 관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은 사전 작성용의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툴)을 사용하여 작성되든지, 또는 사전의 영역을 메모리(반도체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에 확보해 두어, 후술하는 순서(도 24 스텝 S179, S181∼S183)로 단어를 등록하는 것에 의해 작성된다. 이 정보 처리 장치란 별도의 시스템으로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을 작성해 두어, 정보 처리 장치에 전송해도 된다.
도 21에 도시되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의 동작을 도 23 및 도 2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21∼스텝 S26, 스텝 S29∼스텝 S33, 스텝 S35∼스텝 S39의 처리는 제 1 실시예(도 6 및 도 7)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오퍼레이팅·시스템(4)은 오퍼레이팅·시스템(4)의 기동시에 입력되는 사용자명을 보유해 둔다. 또한, 오퍼레이팅·시스템(4)은 애플리케이션(62)이 기동되었을 때에,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명을 보유해 놓는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오퍼레이팅·시스템(4)이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명 및 애플리케이션명을 취득한다(스텝 S161).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펠링·체크 실행 키의 입력이 있으면(스텝 S22, S24),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을 사용하여,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입력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다음과 같이하여 실행한다(스텝 S168).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입력 문자열이 스텝 S161에서 취득한 사용자명과 일치하는 사용자명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단어, 스텝 S161에서 취득한 애플리케이션명과 일치하는 애플리케이션명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단어와 비교되어, 이들이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일치하면 입력 문자열의 스펠링은 정확하다고 판정된다. 일치하는 것이 없으면, 입력 문자열이 사전(14)에 있어서 사용자명 및 애플리케이션명의 어느 것에도 대응하지 않은 형으로 등록되어 있는 단어와 비교되며, 일치하면 입력 문자열의 스펠링은 정확하다고 판단된다. 상기에 있어서, 어느 쪽의 비교에 있어서도 일치하지 않으면 스펠링은 정확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스텝 S161에서 취득한 사용자명 및 애플리케이션명의 어느 것이나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을 사용한 스펠링·체크는 행하여지지 않는다(스텝 S169에서 스펠링은 정확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입력 문자열이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을 사용한 스펠링·체크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의 스펠링이 옳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한다(스텝 S169, S29).
스텝 S169에 있어서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다음에 스펠링·체크용 사전(9)을 사용하여,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실행한다(스텝 S170).
스펠링·체크용 사전(9)을 사용한 스펠링·체크에 있어서 스펠링이 정확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하여(스텝 S171, S29) 스텝 S161로 되돌아간다.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펠링이 틀리다는 것을 경고하는 윈도가 표시 장치(3)에 표시된다(스텝 S171, S30).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 및 스펠링·체크용 사전(9)을 사용한 스펠링·체크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입력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되면,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오퍼레이팅·시스템(4))로부터의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 또는 확정 키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32, S33).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 및 확정 키의 어느 것도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31로 되돌아간다.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확정키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33),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도 25에 도시되는 등록 다이얼로그를 표시 장치(3)에 표시시킨다(스텝 S177).
입력 문자열의 스펠링이 스펠링·체크 처리부(7)에 의해서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되며, 또한 확정 키가 입력되었다는 것은 스펠링·체크용 사전(9)과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의 어느 것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문자열(단어)에 대해서 확정하는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된다.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그 단어를 스펠링용 사용자 사전(14)에 등록시키는 처리로 옮긴다.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178).
도 25에 도시되는 등록 다이얼로그에는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에 등록할지, 하지 않을지를 지시하는 버튼(16, 17), 등록한다고 하면 사용자명과 대응시켜 등록할지, 애플리케이션명과 대응시켜 등록할지, 또는 사용자명 및 애플리케이션명의 양쪽에 대응시켜 등록할지를 선택하는 버튼(Cl, C2)이 표시되어 있다.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등록한다」 버튼(16)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79). 「등록한다」 버튼(16)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등록하지 않는다」 버튼(17)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80). 「등록하지 않는다」 버튼(17)의 입력도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78로 되돌아간다.
「등록하지 않는다」 버튼(17)의 입력으로 판정된 경우,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한다(스텝 S34). 애플리케이션(62)으로 도 8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79에 있어서, 「등록한다」 버튼(16)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을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에 등록한다(스텝 S181).
이 때, 「현재의 사용자로 등록」의 체크·박스(C1)가 체크되어 있는(체크·박스(C1)로부터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그 단어에 대응하여, 스텝 S161로 취득한 사용자명도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에 등록한다(스텝 S182). 또한, 「현재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등록」의 체크·박스(C2)가 체크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그 단어에 대응하여 스텝 S161에서 취득한 애플리케이션명도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에 등록한다(스텝 S183). 체크 박스(C1 및 C2)가 체크되어 있지 않을 때는 사용자명 및 애플리케이션명은 등록되지 않고 단어만이 등록된다.
단어의 등록을 마친 후, 표시 버퍼(8A)에 격납되어 있는 문자열이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된다(스텝 S34).
스텝 S32에 있어서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펠링·체크 처리부(7)는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 및 스펠링·체크용 사전(9)중에서 수정 후보를 선택하여, 선택된 수정 후보를 후보 버퍼(8B)에 격납한다(스텝 S35).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을 사용한 수정 후보의 검색에 있어서, 사용자명 및 애플리케이션명의 대조도 행하여지는 것은 스펠링·체크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예를 들면, 정확하게는「extranet」인 스펠링이, 「extranot」로 틀리게 입력되어 있는 경우, 수정 후보로서「extranet」등의 문자열이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도 22)중에서 선택되어 후보 버퍼(8B)에 격납된다.
후보 버퍼(8B)에 격납된 수정 후보가 표시 장치(3)에 리스트 형으로 표시된다(스텝 S36). 후보 버퍼(8B)를 통하지 않고서,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으로부터 수정 후보를 판독하여, 순차 표시 장치(3)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수정 후보 확정키의 입력을 대기하여, 확정된 수정 후보가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된다(스텝 S37∼S39).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도 12∼도 14),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도 18∼도 20)와 같도록, 외국어 입력 시스템(5)에 있어서, 스펠링·체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유효화 키)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스펠링의 후보 문자열을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하는지의 여부도 사용자가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유효화 키)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변형예의 흐름도가 도 26으로부터 도 28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도 12∼도 14) 및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도 18∼도 20)와 같은 처리, 및 제 3 실시예(제23도, 도 24)와 같은 처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피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펠링·체크 실행 키가 입력되어(스텝 S22, S24),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가 온이면(스텝 S57), 입력 문자열에 대해서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를 사용한 스펠링·체크(스텝 S168), 더욱 스펠링·체크용 사전을 사용한 스펠링·체크(스텝 S170)가 행하여진다.
스펠링·체크 유효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오프되어 있다), 입력 문자열이 그대로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된다(스텝 S29).
스펠링·체크용 사전(9)을 사용한 스펠링·체크에 있어서, 입력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되어(스텝 S171), 경고 표시(스텝 S30)후, 스펠링 수정 후보 표시 키의 입력이 있으면(스텝 S32), 스펠링·체크용 사전(9) 및 스펠링·체크용 사용자 사전(14)을 참조하여 수정 후보 리스트가 표시 장치(3)에 표시된다(스텝 S35, S36). 수정 후보 확정 키의 입력이 있으며, 또한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38, S70), 선택된 확정 수정 후보가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된다(스텝 S39). 수정 후보 공급 유효 플래그가 온되어 있지 않는(오프되어 있다) 경우에는, 수정 후보 및 입력 문자열은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되지 않는다.
제 3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도, 제 2 실시예(도 15)의 정보 처리 장치와 같이, 입력 문자열을 오퍼레이팅·시스템(4)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62)에 공급하여, 애플리케이션(62)으로부터 유효화되어 있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29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시스템(63)과 외국어 입력 시스템(5A)의 구성의 일례를 블록도에 의해서 표현한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의 일례로서 애플리케이션(63)이 나타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63)은 예를 들면 영어 워드 프로세싱·프로그램과 같이, 영문 입력 전용의 프로그램이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A)이 존재하지 않다고 가정한 경우에는, 키 보드(1)로부터 입력된 문자열은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63)의 입력 처리부(40)에 공급된다. 입력 처리부(40)는 공급된 문자열을 텍스트 편집부(41)에 공급한다. 텍스트 편집부(41)는 공급된 문자열을 텍스트·버퍼(42)에 기억시킨다. 텍스트·버퍼(42)에 격납되어 있는 텍스트·데이터에 의해서 나타나는 텍스트가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통하여 표시 장치(3)에 표시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A)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도 2)에 도시되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과 비교하면, 스펠링·체크 처리부(7) 대신에 언어 변환 처리부(30)가, 스펠링·체크용 사전 대신에 일영 변환 사전(32)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일영 변환 사전(32)은 일본어의 단어, 구 등과 이것에 대응하는 영어의 단어, 구 등을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이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A)도 오퍼레이팅·시스템(4)에 의해서 유효화 또는 무효 화된다. 유효화 또는 무효화의 처리는 제 1 실시예(도 3, 도 4)와 동일하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A)이 유효화되어 있는 경우, 키 보드(1)로부터 입력된 입력 문자열은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통하여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언어 변환 처리부(30)에 공급된다.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공급된 입력 문자열을 표시 버퍼(31A)에 순차 격납한다. 표시 버퍼(31A)에 격납된 문자열의 언어 변환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일본어로 입력된 단어, 구가, 영어의 단어, 구로 변환된다.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입력된 일본어의 단어, 구에 대응하는 영어의 단어, 성구, 관용구등(복수라도 된다. 이하, 변환 후보라고 한다.)을 일영 변환 사전(32)에 있어서 검색하여, 발견하기 시작한 변환 후보를 후보 버퍼(31B)에 격납한다. 후보 버퍼(31B)에 격납된 변환 후보는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통하여 표시 장치(3)에 표시된다. 키 보드(1) 또는 마우스(2)를 통해서 변환 후보중에서 원하는 변환 후보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면,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선택된 변환후보를 확정 문자열로서 애플리케이션(63)의 입력 처리부(40)에 공급한다. 애플리케이션(63)의 동작은 상술한 대로이다. 후보 버퍼(31B)는 표시 버퍼(31A)와 겸용해도 된다.
제 4 실시예(도 29)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동작을 도 30의 플로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키보드(1)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251). 입력이 있으면,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하게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유효화 플래그 상태에 의해 판정한다(스텝 S252).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키보드(1)로부터의 입력 문자열을 그대로 애플리케이션(63)에 공급한다(스텝 S253). 예를 들면, 영어가 입력된 경우에는, 영어의 입력 문자열이 그대로 애플리케이션(63)에 공급된다. 단, 사용자가 영어 입력을 행할 경우에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을 무효화해 두어도 된다.
입력 문자열이 애플리케이션(63)에 공급되면, 도 31을 참조하여, 텍스트 편집부(41)는 입력 문자열을 텍스트·버퍼(42)에 편집한다(예를 들면, 문자 추가 등)(스텝 S271). 텍스트 편집부(41)는 텍스트 버퍼(42)에 격납되어 있는 텍스트·데이터에 의해 나타나는 텍스트를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개재시켜 표시 장치(3)에 표시시킨다(스텝 S272).
스텝 S252에 있어서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이 유효하게 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사용자의 키 입력이 일본어 영어 변환 실행 키의 입력(키보드(1)의 특정 키로부터의 입력, 또는 표시 장치(3)에 표시된 특정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254). 일본어 영어 변환 실행 키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입력 문자를 표시 버퍼(31A)에 격납한다(스텝 S255).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표시 버퍼(31A)에 격납되어 있는 입력 문자를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개재시켜 표시 장치(3)에 표시시켜, 스텝 S251로 돌아간다.
일본어 영어 변환 실행 키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입력된 문자열(일본어)에 대응하는 변환 후보(영어 후보)를 일영 변환 사전(32)을 사용하여 검색한다(스텝 S257). 예를 들면, 일본어 문자열 「하자」가 입력되어, 일본어 영어 변환 실행 키가 입력되면, 「하자」에 대응하는 영어가 검색된다. 검색 결과, 대응하는 영어 후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258). 대응하는 영어 후보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대응하는 후보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윈도우를 표시 장치(3)에 표시한다(스텝 S259). 예를 들면, 「해당하는 후보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 장치(3)에 표시된다. 이 후, 스텝 S251로 돌아간다.
검색 결과, 대응하는 영어 후보가 존재했다고 판정된 경우,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검색된 영어 후보를 후보 버퍼(31B)에 격납한다(스텝 S260). 후보 버퍼(31B)에 격납된 영어 후보는 표시 장치(3)에 예를 들면,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도 32의 예에서는, 일본어 문자열 「하자」에 대응하는 영어 후보로서, specification, use, try 등의 단어가 표시되어 있다.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키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262).
사용자는 키보드(1) 또는 마우스(2)를 조작하여, 원하는 영어 후보를 선택한다. 키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영어 후보 선택 키의 입력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263). 키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영어 후보 선택 키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62로 돌아간다. 키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이 영어 후보 선택 키의 입력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선택된 영어 후보가 확정 문자열로서, 애플리케이션(63)에 공급된다(스텝 S264). 애플리케이션(63)에 있어서 도 31에 도시하는 상술한 처리가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애플리케이션(63)에 공급되어야 할 일본어 문자열을 영어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다. 일본어에서 영어로의 변환 예를 설명했지만, 영어에서 일본어, 일본어에서 영어 이외의 언어, 영어에서 일본어 이외의 언어, 일본어 및 영어 이외의 언어에서 일본어 및 영어 이외의 언어로의 변환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문장이나 절의 언어 변환도 구문 해석 등의 처리를 가함으로서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33을 참조하여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언어의 활용형까지 포함하여 변환하는 것이다. 도 33에 있어서 스텝 S251 내지 스텝 S256, 스텝 S258 내지 스텝 S259, 스텝 S261 내지 스텝 S264의 처리는 도 30에 도시하는 처리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일본어 영어 변환 실행 키의 입력이 있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254),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입력된 문자열(일본어)을 형태소 해석하여, 그 활용형을 조사한다(스텝 S287).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부가로 입력된 문자열(일본어)의 기본형을 생성하고, 그에 대응하는 영어 후보를 일영 변환 사전(32)을 사용하여 검색한다(스텝 S288).
검색 결과, 대응하는 영어 후보가 존재했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258). 대응하는 영어 후보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대응하는 후보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윈도우를 표시 장치(3)에 표시한다(스텝 S259).
일본어 변환 사전(32)을 사용한 검색 결과, 대응하는 영어 후보가 존재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258),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검색된 영어 후보를 일본어의 활용형에 대응하도록 활용시켜, 그 결과를 후보 버퍼(31B)에 격납한다(스텝 S291). 후보 버퍼(31B)에 격납되어 있는 영어 후보는 표시 장치(3)에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다(스텝 S261).
언어 변환 처리부(30)는 키보드(1) 또는 마우스(2)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262). 사용자가 키보드(1) 또는 마우스(2)를 조작하여, 원하는 영어 후보를 선택하면(스텝 S263), 선택된 영어 후보가 확정 문자열로서, 애플리케이션(63)에 공급된다(스텝 S264).
(제 5 실시예)
도 34는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63)과 외국어 입력 시스템(5A)의 기능적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키보드(1)로부터 입력된 문자열은 제 2 실시예(도 15)와 마찬가지로, 외국어 입력 시스템(5A)이 유효화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오퍼레이팅·시스템(4)을 개재시켜, 애플리케이션(63)의 입력 처리부(40)에 공급된다. 외국어 입력 시스템(5A)이 유효 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입력 문자열은 애플리케이션(63)의 입력 처리부(40)로부터더욱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의 언어 변환 처리부(30)에 공급된다. 도 2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4에 도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제 2 실시예(도 15)의 정보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언어 변환 처리부(30)가 입력 처리부(40)에 입력 문자열의 전송을 요구한다. 즉, 요구 명령(RQ3)이 외국어 입력 시스템(5A)에서 애플리케이션(63)에 출력된다. 이 요구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63)의 입력 처리부(40)로부터 외국어 입력 시스템(5A)의 언어 변환 처리부(30)에 입력 문자열이 공급된다. 도 34에 도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도 30 및 도 33의 플로 챠트에 의해 도시되는 처리와 동일하게 하여, 언어 변환이 행해진다.
이렇게, 외국어 입력 시스템(5)을 오퍼레이팅·시스템(4)과, 애플리케이션(6)과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서, 문자를 이미지로서 취급하는 애플리케이션(62)에 있어서도, 스펠링·체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 영어 입력밖에 할 수 없는 애플리케이션(63)에 있어서도, 일본어 영어 변환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서는 스펠링·체크 기능을 갖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제 1 내지 제 3 실시예)과 언어 변환 기능(제 4, 제 5 실시예)을 갖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이 각각 별개로 나타나고 있지만, 스펠링·체크 기능과 언어 변환 기능의 양쪽 기능을 갖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도 실현할 수 있다. 스펠링·체크 기능과 언어 변환 기능 양쪽을 갖는 외국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각의 기능에 대해서 유효화 플래그가 준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을 유효화, 또는 무효화로 하는 조작이 행해질 것이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버튼(21)이 2개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이들 버튼은 각각 스펠링·체크 기능이 유효화 버튼, 언어 변환 기능이 유효화 버튼으로서 사용된다. 이들 2개의 기능이 유효화/무효화는 대응하는 버튼을 클릭함으로서 전환된다. 스펠링·체크 기능 및 언어 변환 기능이 유효화 키(1)를, 키보드(1) 중 어느 한 키에 각각 할당해 두어도 된다.

Claims (20)

  1.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독해 가능한 기록 매체로, 이 개재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후보 문자열을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2.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독해 가능한 기록 매체로, 이 개재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후보 문자열을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3.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독해 가능한 기록 매체로, 이 개재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후보 문자열을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4.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독해 가능한 기록 매체로, 이 개재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후보 문자열을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확정된 후보 문자열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공급하도록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프로그램은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에,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으로의 상기 문자열 공급의 중지를 요구」를 하도록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프로그램은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에,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상기 개재 프로그램으로의 전송을 요구」하도록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프로그램은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 문자열의, 상기 개재 프로그램으로의 전송을 요구」하도록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프로그램은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스펠링의 오류를 경고하도록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프로그램은 사용자 및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한편에 대응하여 문자열이 등록되어 있는 장소를 갖는 상기 사전을 참조하여, 사용자 및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한편에 따라서 문자열의 스펠링을 판정하며,
    등록 요청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된 문자열을 사용자 및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한편에 대응하여 상기 사전에 등록하도록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프로그램은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상기 문자열을 제 1 언어에서 제 2 언어로 변환하도록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프로그램은 상기 문자열을 제 1 언어에서 제 2 언어로 변환할 때에, 제 1 언어 문자열의 변화 형태를 해석하고,
    해석에 의해 얻어진 변화 형태에 대응하도록 제 2 언어를 변화시키도록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개재 프로그램과,
    입력된 상기 문자열을 상기개재 프로그램에 공급하는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14.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후보 문자열을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15.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체크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후보 문자열을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후보 문자열을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사전을 참조하여 판정하며,
    상기 문자열의 스펠링이 정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적어도 1개의 후보 문자열을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 정보 처리 방법.
  18.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이 개재 프로그램은,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을 제 1 언어에서 제 2 언어로 변환하며,
    제 2 언어로 변환된 문자열을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도록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인 기록 매체.
  19.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동작하는 개재 프로그램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된, 또는 공급되어야 할 문자열을 제 1 언어에서 제 2 언어로 변환하며,
    제 2 언어로 변환된 문자열을 상기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공급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제 18 항에 기재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개재 프로그램과,
    입력된 상기 문자열을 상기 개재 프로그램에 공급하는 오퍼레이팅·시스템·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KR10-1999-7011941A 1997-06-17 1998-06-17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정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기록 매체 KR100376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959397 1997-06-17
JP97-159593 1997-06-17
JP98-155563 1998-06-04
JP15556398 1998-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919A true KR20010013919A (ko) 2001-02-26
KR100376029B1 KR100376029B1 (ko) 2003-03-15

Family

ID=2648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941A KR100376029B1 (ko) 1997-06-17 1998-06-17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정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376029B1 (ko)
CN (1) CN100390784C (ko)
AU (1) AU8033198A (ko)
HK (1) HK1030467A1 (ko)
WO (1) WO199805832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697B1 (ko) * 2001-06-13 2007-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용 소프트웨어의 언어표시방법 및언어표시시스템과, 언어표시방법과 언어표시시스템이저장된 기록매체
KR100986759B1 (ko) * 2009-10-23 2010-10-08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농약 방제기
WO2021138047A1 (en) * 2019-12-31 2021-07-08 Byei Accident Llc Reviewing message-based communications via a keyboard appl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7204B1 (en) * 2000-04-24 2006-09-12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aided writing system and method with cross-language writing wizard
JP5629543B2 (ja) * 2010-10-07 2014-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列変換装置、文字列変換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2298577A (zh) * 2011-09-21 2011-12-28 深圳市万兴软件有限公司 一种文本编辑的拼写检测方法及其装置
CN106326205B (zh) * 2015-06-19 2019-05-31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拼写检查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968A (ja) * 1984-12-29 1986-07-17 Canon Inc 電子機器
JP2732563B2 (ja) * 1986-05-20 1998-03-30 株式会社東芝 機械翻訳方法及び装置
JPS6358543A (ja) * 1986-08-29 1988-03-14 Hitachi Ltd 電子計算機の日本語処理方法
JPH0476762A (ja) * 1990-07-18 1992-03-11 Brother Ind Ltd スペルチェック機能付き文書処理装置
JPH08153099A (ja) * 1994-11-25 1996-06-11 Ee I Sofuto Kk 仮名漢字変換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697B1 (ko) * 2001-06-13 2007-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용 소프트웨어의 언어표시방법 및언어표시시스템과, 언어표시방법과 언어표시시스템이저장된 기록매체
KR100986759B1 (ko) * 2009-10-23 2010-10-08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농약 방제기
WO2021138047A1 (en) * 2019-12-31 2021-07-08 Byei Accident Llc Reviewing message-based communications via a keyboard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30467A1 (en) 2001-05-04
WO1998058329A1 (fr) 1998-12-23
CN100390784C (zh) 2008-05-28
CN1264478A (zh) 2000-08-23
KR100376029B1 (ko) 2003-03-15
AU8033198A (en) 199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3911B2 (ja) 機械翻訳システム、機械翻訳方法及び機械翻訳プログラム
CN105787001A (zh) 跨语言信息检索
KR20010013919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정보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격납한 기록 매체
JP2017015874A (ja) 文章読解支援装置、並びに、注釈データ作成装置、注釈データ作成方法及び注釈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US10007648B2 (en) Manual creation for a program product
JP3657338B2 (ja) 翻訳装置
EP0720105B1 (en) System and method to review the processing of data according to user entered corrections
KR101582155B1 (ko) 문자 수정이 용이한 문자 입력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WO2006016477A1 (ja) 翻訳システム、翻訳サーバ、翻訳サーバの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翻訳装置
JP2017151768A (ja) 翻訳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4350566B2 (ja) 機械翻訳システム
JP2002117024A (ja) 文章入力方法
JP2737160B2 (ja) 文章処理装置
JP2806352B2 (ja) 機械翻訳用辞書メンテナンス装置
JP2006012188A (ja) 文書処理方法及び装置
JPH11328179A (ja) 辞書管理方法及び辞書管理システム
De la Cova et al. Translation Problems in App Localisation: The Case of Google Home
JPH04158477A (ja) 機械翻訳装置
JP3147947B2 (ja) 機械翻訳装置
Herbig Multi-modal post-editing of machine translation
JP3294966B2 (ja) 機械翻訳装置
JP2006268621A (ja) 機械翻訳プログラム、機械翻訳装置
JPS6320569A (ja) 機械翻訳装置
Ye et al. Using Bilingual Segments to Improve Interactive Machine Translation
KR20120050804A (ko) 외국어 지문 편집 시스템 및 외국어 지문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