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759B1 - 농약 방제기 - Google Patents

농약 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759B1
KR100986759B1 KR1020090101162A KR20090101162A KR100986759B1 KR 100986759 B1 KR100986759 B1 KR 100986759B1 KR 1020090101162 A KR1020090101162 A KR 1020090101162A KR 20090101162 A KR20090101162 A KR 20090101162A KR 100986759 B1 KR100986759 B1 KR 100986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injection nozzle
pipe
compressor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Priority to KR102009010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35Pressure sprayers mounted on a frame and guided by hand; Spray ba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으로서 이동이 용이하며 원거리까지 방제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약제에 대한 피해가 없는 소형 농약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액상의 약제가 투입되는 약제통(11); 분사관(15)을 통해 공기압이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팬(17); 상기 공기압의 유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약제공급관(23)을 통해 상기 약제통(11)과 연결되는 분사노즐(19); 상기 약제통(11)에 담긴 약제를 상기 분사노즐(19)에 공급하기 위한 펌핑수단; 일단이 상기 분사관(15)에 연결되어 연장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토출공(27)이 타공되는 연장관(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제, 살포, 농약, 약제, 비닐하우스, 컴프레서, 이동식, 분무, 연무

Description

농약 방제기{Discharger For Agricultural Chemicals}
본 발명은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으로서 이동이 용이하며 원거리까지 방제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약제에 대한 피해가 없는 소형 농약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의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한 약제의 사용은 일반적인 경작법에 있어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비닐하우스의 덕택에 사계절 내내 소비자에게 각종의 채소과 과일을 제공할 수 있게 된 지 오래다.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농약제를 살포하기 위해서 농약살포기 내지 방제기(이하, '방제기'로 함)가 널리 사용되는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약제통을 배낭처럼 짊어지고 수동펌프를 이용하여 방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점차 기계화됨에 따라 무인 방제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무인 방제기의 규모 또한 다양하며, 트럭 또는 트레일러에 연결하거나 탑재시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출원 제 10-1999-0049191호(종래기술1)는 트레일러식 방제기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국내특허출원 제10-2007-0066211호(종래기술2)는 휴대가 가능한 형태의 방제기가 제안되고 있다.
종래기술1과 같은 형태는 방제의 영역이 제한적이라는 것이 문제이다. 따라서 차량 또는 경운기 등에 연결하여 이동해가며 사용하여야 한다. 이 경우 실외의 넓은 경작지 또는 골프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사용하기에는 적당하지만 비닐하우스 등 밀폐되고 협소한 장소에서는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기술2의 형태는 소형으로 작업자가 휴대함으로써 약제를 정확하게 살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호흡기를 통해 약제를 흡입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거나 육체노동의 강도는 여전하다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 비닐하우스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하며, 작업자가 직접 휴대하지 않아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으며 자동으로 작동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액상의 약제가 투입되는 약제통; 분사관을 통해 공기압이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부; 상기 공기압의 유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약제공급관을 통해 상기 약제통과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약제통에 담긴 약제를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펌핑수단; 일단이 상기 분사관에 연결되어 연장되며 연장방 향을 따라 복수개의 토출공이 타공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장관은 튜브 형태의 가요성 합성수지 필름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펌핑수단은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컴프레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레서와 약제통 사이에는 삼방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삼방밸브에서 분기관이 연장되고 상기 분기관의 단부에 에어건(air gun)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컴프레서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는 선택적으로 에어건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분사노즐은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컴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는 상기 약제통으로 공급됨으로써 약제통의 약제를 혼합하는 동시에 분사노즐을 세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분사노즐을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상기 컴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상기 약제통으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약제통의 약제를 혼합하는 동시에 분사노즐을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 방제작업이 일정시간 지속된 후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자동적으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약제의 혼합 및 분사노즐의 세척을 실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공은 1개로서 상기 분사관의 관로의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장관을 상기 분사관의 외부에 끼운 상태에서 클립수단으로 조임으로써 상기 연장관을 상기 분사관에 고정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클립수단을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연장관의 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분사관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단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컴프레서는 케이스 형태로 제공되는 방제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방제기의 분사관에 연결되는 연장관의 길이를 비닐하우스 등의 길이에 유사하게끔 길게 연장시키게 되면 그의 연장길이를 따라 마련되는 분출공을 통해 무화된 약제가 분출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일정시간 기동후에 약제통의 약제를 혼합하고 분사노즐을 세정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방제기능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휴대하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노동력을 절감하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게 하는 방제기가 제공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 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약 방제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외부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다. 도 4는 외부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5는 연장관이 설치된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한 연장관의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외관을 설명한다.
농약 방제기(이하, '방제기'라 한다) 본체(1)는 높이가 450 ~ 550mm인 소형이며, 케이스(3)의 상면에는 손잡이(5)가 설치됨으로써 이동의 용이성을 갖고 있다. 케이스의 측면에는 공기유입구(7)가 마련된다.
케이스의 후면에는 표시부와 더불어 콘트롤패널(9)이 설치되어 동작상태를 표시하거나 시간설정 등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약제통(11)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요소가 케이스(3) 내부에 설치된다. 약제통(11)은 케이스 후방 일측에 수납함(13)에 수납된다. 이는 약제통(11)의 약제 상태를 시각적으로도 편리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며 약제의 손쉬운 투입 및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약제는 사용목적에 따라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므로 약제통(11)으로의 용이한 접근성은 작업효율을 위해 바람직하다.
직경이 150 ~ 250mm가 되는 원통형태의 분사관(15)이 케이스(3)의 전면으로부터 40 ~ 50mm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 분사관(15)을 통해 무화(霧化)된 약제와 공기압이 동시에 분사 및 토출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내부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송풍부는 분사관(15)을 통해 공기압이 토출되도록 공기압을 형성한다. 송풍부는 대개 모터가 부착된 송풍팬(17)이 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형 시로코팬(sirocco fan)이 사용된다. 송풍팬(17)의 토출구는 분사관(15)과 연결되어 관로를 형성한다.
약제를 송풍팬(17)에 의한 공기압에 혼입시키기 위한 분사노즐(19)이 분사관(15)이 제공하는 관로 상에 설치된다. 분사노즐(19)은 송풍팬(17)의 출구 전방에 고정 설치된다. 분사노즐(19)의 분사공은 1개로서 분사관의 관로의 중심부에 설치된다.
펌핑수단은 약제통(11)에 담긴 약제를 분사노즐(19)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펌핑수단으로서 에어 컴프레서(21, air compressor, 이하 '컴프레서'라 한다)가 사용된다. 컴프레서(21)는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분사노즐(19)로 공급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컴프레서(21)는 케이스(3) 형태로 제공되는 본체(1) 내에 설치되고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방제기 본체(1)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농가측에서 이미 가지고 있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한 컴프레서로부터 에어호스를 통해 공기압만을 제공받는 것이다. 이 경우 본체(1)의 부피, 중량 및 소비자가격을 대폭 낮출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에어호스는 통상의 원터치식 밸브를 이용하여 분사노즐의 일측에 연결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컴프레서의 공기압을 적정하게 조절하여 유입하기 위한 공지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공기압조절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약제통공급관(23)은 일단이 약제통(11) 내부까지 연장되며 타단이 분사노즐(19)로 연결된다. 컴프레서(21)로부터의 압축공기는 분사노즐(19)로부터 압축공기가 빠른 속도로 빠져나가게 되면 약제공급관(23) 내부에 부압(負壓)이 발생함으로써 약제통(11)에 담긴 약제가 분사노즐(19)을 통해 분무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액상의 약제는 무화되어 원거리까지 공급될 수 있는 무게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방제기 본체(1)의 구성에도 있지만 후술되는 연장관(25)의 채용에도 핵심이 있다. 이 연장관(25) 및 그 사용방법은 비단 본 발명의 방제기에만 국한되서 사용될 것은 아니고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다른 형태의 방제기에도 공히 채용될 수 있는 유용한 사항이다. 연장관(25)은 무화된 약제를 공기압에 혼입함에 의해 원거리, 예를 들어 100m까지도 약제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연장관(25)은 일단이 분사관에 연결되어 연장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토출공(27)이 타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연장관(25)은 튜브 형태의 가요성 합성수지 필름(예를 들어 비닐, PP 또는 PE 등)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관(25)이 차지하는 무게는 무시할 정도이며 교체구입도 부담이 없다. 연장관(25)의 끝단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관 자체를 묶거나 끈으로 묶임으로써 막혀있다. 따라서 방제기 본체(1)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압은 연장관(25)을 따라 마련된 토출공(27)을 통해 분출된다. 무화된 약제는 송풍팬(17)의 공기압에 의해 연장관(25)의 끝까지 부유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초기 작동시 송풍팬(17)에 의해 연장관(25)을 팽창시키는 동안 컴프레서(21)의 작동은 지연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연장관(25)이 완전히 팽창한 상태에서 컴프레서(21)가 작동하여 약제를 분무하도록 함으로써 약제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토출공(27)은 연장관(25)의 압력구배에 따라 적절한 밀도로 분포되게끔 타공될 수 있다. 즉, 방제기 본체(1)에 가까운 지점에는 성기게 타공되고 본체(1)로부터 먼 곳은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타공될 수 있다. 토출공(27)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관(25)의 상방향을 향해 약제를 분출할 수 있도록 상방향을 향해 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토출공(27)은 각기 다른 각도로 4개가 형성되는데 이는 선택적 사항일 것이다. 토출공(27)의 직경 또한 방제기의 용량 등에 의해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사항이며 예를 들어 2 ~ 10mm가 될 수 있다. 연장관이 필름으로서 얇은 경우 토출공(27) 주위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공(27) 주위에 보강테이프(29)를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장관(25)을 비교적 강성을 가지는 비가요성 합성수지, 알루미늄 재질의 직관 또는 주름관으로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비닐하우스의 내측벽에 상부 등에 고정시켜 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필요시 방제기 본체와 설치되어 있는 연장관 사이의 구간만을 비닐 등으로 된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될 것이다.
한편, 연장관(25)을 분사관(15)의 외부에 끼운 상태에서 클립수단(31)으로 조임으로써 연장관(25)을 분사관(15)에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클립수단(31)을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연장관의 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분사관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단턱(33) 또는 그루브(groove)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펌핑수단으로서의 컴프레서(21)와 약제통(11) 사이에는 삼방밸브(35)가 설치되고, 삼방밸브(35)에서 분기관(37)이 분기 연장된다. 그리고 분기관(37)의 단부에는 소제용 에어건(39, air gun)이 설치된다. 이에 의하면 레버(41)를 조작함으로써 컴프레서(21)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에어건(39)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에어건(39)을 이용하여 분사노즐(19) 등 약제에 의해 오염되거나 폐색된 부분을 소제할 수도 있을 것이며, 때로는 방제작업과 관련 없는 다른 용도로 압축공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분사노즐(19)의 분사공은 솔레노이드 스위치(43)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컴프레서(21)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는 분사노즐(19)을 경유하여 약제통(11)으로 공급됨으로써 기포를 발생시켜 약제를 혼합하는 동시에 분사노즐(19)의 내부를 세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혼합 및 세정기능은 콘트롤패널(9)에 설치된 특정버튼을 누름으로써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수동으로 작동시 3회 ~ 5회에 걸쳐 자동적으로 혼합 및 세정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위에 설명된 혼합 및 세정기능을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방제작업을 일정시간(예를 들어 60 ~ 180초) 실시한 후 솔레노이드 스위치(43)를 일정시간 또는 정해진 횟수(예를 들어 3 ~ 5회)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약제의 혼합 및 분사노즐(19)의 세척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혼합 및 세정작동의 주기는 사용자가 콘트롤패널(9)을 이용하여 세팅해놓을 수도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솔레노이드 스위치(43)는 송풍팬(17)의 상판에 고정설치되며 전자기력에 의해 플레이트 형태의 노즐셔터(45)는 상하로 기동하면서 카메라의 셔터처럼 분사노즐(19)의 분사공을 가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컴프레서(21)는 선택적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다만 약제의 무화는 기다란 연장관(25)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무화수단으로서 컴프레서(21)가 사용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컴프레서(21) 대신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약제를 무화시킨 후 송풍팬(17)에 의한 공기압에 혼입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도의 변형실시는 청구범위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기는 일반 전자제품에서 사용되는 유용한 프로그램을 내장할 수 있다. 그중 기본적인 것은 예약기능, 작동시간 설정기능, 약제가 거의 소모되고 있을 경우의 알람기능, 송풍기 또는 컴프레서의 부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되는 경경우의 알람기능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주위의 온도 및 습도를 표시해줄 수 있는 표시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농약 방제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외부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측면구성도이다. 도 4는 외부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5는 연장관이 설치된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한 연장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방제기)본체 9 ; 콘트롤패널
11 ; 약제통 15 ; 분사관
17 ; 송풍팬 19 ; 분사노즐
21 ; 컴프레서 23 ; 약제공급관
25 ; 연장관 27 ; 토출공
31 ; 클립수단 35 ; 삼방밸브
39 ; 에어건(air gun) 43 ; 솔레노이드 스위치
45 ; 노즐셔터

Claims (9)

  1. 삭제
  2. 액상의 약제가 투입되는 약제통(11); 분사관(15)을 통해 공기압이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팬(17); 상기 공기압의 유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약제공급관(23)을 통해 상기 약제통(11)과 연결되는 분사노즐(19); 상기 약제통(11)에 담긴 약제를 상기 분사노즐(19)에 공급하기 위한 펌핑수단; 일단이 상기 분사관(15)에 연결되어 연장되며 끝단이 막혀 있는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토출공(27)이 타공되는 연장관(25)을 포함하며;
    상기 펌핑수단은;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사노즐의 일측에 연결되는 컴프레서(21); 일단은 상기 약제통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노즐의 타측에 연결되는 약제공급관(23)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약제는 무화된 상태로 상기 컴프레서(21)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공기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노즐(19)로부터 분사되어 상기 연장관(23)의 토출공(27)을 통해 분출되며;
    상기 분사노즐(19)의 분사공은 솔레노이드 스위치(43)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상기 컴프레서(21)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는 상기 분사노즐(19)과 약제공급관(23)을 경유하여 상기 약제통(11)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약제통(11) 내부의 약제를 혼합하는 동시에 상기 분사노즐(19)을 세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21)와 약제통(11) 사이에는 삼방밸브(35)가 설치되고, 상기 삼방밸브(35)에서 분기관(37)이 연장되고, 상기 분기관(37)의 단부에 에어건(39, air gun)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컴프레서(21)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는 선택적으로 상기 에어건(39) 또는 상기 분사노즐(19)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43)로 하여금 방제작업이 일정시간 이루어진 후 자동적으로 동작되게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101162A 2009-10-23 2009-10-23 농약 방제기 KR100986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162A KR100986759B1 (ko) 2009-10-23 2009-10-23 농약 방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162A KR100986759B1 (ko) 2009-10-23 2009-10-23 농약 방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759B1 true KR100986759B1 (ko) 2010-10-08

Family

ID=4313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162A KR100986759B1 (ko) 2009-10-23 2009-10-23 농약 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75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89Y1 (ko) * 2011-05-26 2013-10-14 이근복 이동형 약제 연무장치
KR200469766Y1 (ko) * 2011-04-28 2013-11-07 오상근 휴대용 연무기
KR101339505B1 (ko) * 2011-09-05 2013-12-10 이정은 약제 분무장치
KR101460991B1 (ko) * 2014-07-22 2014-11-21 (주)선영시스텍 다목적 무인 방제용 차량
KR101547833B1 (ko) * 2013-05-06 2015-08-27 이광복 약액분무기
KR20160029384A (ko) 2014-09-05 2016-03-15 엘앤에스(주) 약액살포장치
CN110235881A (zh) * 2019-06-28 2019-09-17 盐城市欣欣现代农业有限公司 一种农业生产用农药喷雾机
KR102025386B1 (ko) 2019-05-28 2019-09-25 김정희 스마트 무인 방제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168A (ja) * 1994-03-23 1995-10-09 Kaaz Corp 可搬型ホース巻取機
KR0130148B1 (ko) * 1995-05-17 1998-04-02 김남훈 농약 방제기
KR20010013919A (ko) * 1997-06-17 2001-02-26 타테이시 요시오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정보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격납한 기록 매체
KR100479462B1 (ko) 2002-04-30 2005-04-11 주식회사 에코카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168A (ja) * 1994-03-23 1995-10-09 Kaaz Corp 可搬型ホース巻取機
KR0130148B1 (ko) * 1995-05-17 1998-04-02 김남훈 농약 방제기
KR20010013919A (ko) * 1997-06-17 2001-02-26 타테이시 요시오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정보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격납한 기록 매체
KR100479462B1 (ko) 2002-04-30 2005-04-11 주식회사 에코카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66Y1 (ko) * 2011-04-28 2013-11-07 오상근 휴대용 연무기
KR200469289Y1 (ko) * 2011-05-26 2013-10-14 이근복 이동형 약제 연무장치
KR101339505B1 (ko) * 2011-09-05 2013-12-10 이정은 약제 분무장치
KR101547833B1 (ko) * 2013-05-06 2015-08-27 이광복 약액분무기
KR101460991B1 (ko) * 2014-07-22 2014-11-21 (주)선영시스텍 다목적 무인 방제용 차량
KR20160029384A (ko) 2014-09-05 2016-03-15 엘앤에스(주) 약액살포장치
KR102025386B1 (ko) 2019-05-28 2019-09-25 김정희 스마트 무인 방제기
CN110235881A (zh) * 2019-06-28 2019-09-17 盐城市欣欣现代农业有限公司 一种农业生产用农药喷雾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759B1 (ko) 농약 방제기
US11779006B2 (en) Spraying assembly, and sprayer equipped with at least one such assembly
US10799838B1 (en) Multifunctional misting system
KR101650501B1 (ko) 분사방향 가변형 콤팩트 구조의 약액 자동 분사장치
KR101617943B1 (ko) 광범위 약제 분사기
US5299737A (en) Spraying device with intermittent flushing system
JP2018504107A (ja) 非加熱式無人煙霧機
KR20160097491A (ko)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JP4785984B1 (ja) 薬液散布用の噴射器
KR101462622B1 (ko) 안개식 약제 살포장치
US20060249537A1 (en) Dog poop destroyer
US10799839B1 (en) Multifunctional misting system
JP2013090592A (ja) 送風式薬剤散布機
KR101984300B1 (ko) 약액분무장치
KR20090090706A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트랙터용 비료살포장치
KR101333419B1 (ko) 방제기의 약액 가열방지 및 동결방지장치
KR101618456B1 (ko) 이동형 연무 방제 장치
KR200469289Y1 (ko) 이동형 약제 연무장치
KR100927792B1 (ko) 약제 분무장치
KR200469766Y1 (ko) 휴대용 연무기
KR200488096Y1 (ko)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JPH0425980Y2 (ko)
KR101870513B1 (ko) 소형 탈취장치
JP5184414B2 (ja) 有害生物防除剤散布用ノズルおよび有害生物防除剤散布装置
US6969010B1 (en) Landscape and agricultural sprayer foam marking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