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766Y1 - 휴대용 연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연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766Y1
KR200469766Y1 KR2020110003652U KR20110003652U KR200469766Y1 KR 200469766 Y1 KR200469766 Y1 KR 200469766Y1 KR 2020110003652 U KR2020110003652 U KR 2020110003652U KR 20110003652 U KR20110003652 U KR 20110003652U KR 200469766 Y1 KR200469766 Y1 KR 200469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ort
way valve
air
medicin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649U (ko
Inventor
오상근
Original Assignee
오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근 filed Critical 오상근
Priority to KR2020110003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76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7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7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25Nozzles having elongated outlets, e.g. slots, for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81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공기의 분사력에 의하여 약제를 분사하여 연무 작업을 수행하는 휴대용 연무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본체, 한 쌍의 노즐들, 삼방향 밸브, 공기제어밸브, 공기압축기와 약제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고,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연장관을 갖는다. 노즐들은 연장관의 내측 전방에 압축공기의 분사력에 의하여 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삼방향 밸브는 연장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입력포트, 제1 출력포트, 제2 출력포트, 제1 출력포트와 제2 출력포트를 여닫을 수 있는 밸브체를 갖는다. 공기제어밸브는 삼방향 밸브의 제1 출력포트와 연결되어 있고, 입력포트, 노즐들과 연결되어 있는 출력포트, 출력포트를 여닫을 수 있는 밸브체를 갖는다. 공기압축기는 압축공기를 발생하여 삼방향 밸브의 입력포트에 공급한다. 약제통은 노즐들에 약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약제공급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약제공급관은 삼방향 밸브의 제2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연무 및 교반 작업의 작동모드를 삼방향 밸브와 공기제어밸브의 조작에 의하여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과 사용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삼방향 밸브와 공기제어밸브에 의하여 배관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해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연무기{PORTABLE FOG MACHINE}
본 고안은 휴대용 연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의 분사력에 의하여 약제를 분사하여 연무 작업을 수행하는 휴대용 연무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연무기는 작업자가 직접 들거나 메고 다니면서 경작지, 축사, 공장, 빌딩, 주택 등의 방제 및 방역을 위한 장치로 사용 범위가 매우 넓다. 휴대용 연무기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며, 분무기(Atomizer)로 부르고도 있다. 휴대용 연무기는 작동 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동력식으로 구분되고 있다. 수동식 연무기는 소규모의 연무 작업에 사용되고 있다. 동력식 연무기는 연무 및 연막 작업의 효율 및 방제 효과 등이 우수하여 농축산용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동력식 연무기는 공기압력과 가스 폭발력에 의하여 약제를 분무하는 두 가지 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공기압력에 의하여 약제를 분사하는 동력식 연무기는 상온 연무기(Non-heating fog machine)라 부르고도 있으며, 공기압축기(Compressor) 또는 송풍기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의 분사력에 의하여 약제를 분무한다. 가스 폭발력에 의하여 약제를 분사하는 동력식 연무기는 가열식 또는 제트 엔진식(Jet engine type) 연무기라 부르고도 있으며, 기화기(Carburetor)의 가스폭발력에 의하여 약제를 분무한다. 가열식 연무기는 압축공기와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로 가솔린을 혼합한 혼합가스를 기화기에서 폭발시키기 때문에 연료비의 부담이 있고, 유지보수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온 연무기는 본체, 연장관, 공기압축기, 노즐(Nozzle), 약제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장관은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본체에 장착되어 있다. 노즐은 연장관의 선단에 장착되어 약제를 분사한다. 약제통은 본체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공기압축기는 본체에 탑재되거나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기압축기, 노즐과 약제통은 파이프라인(Pipeline)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공기제어밸브가 공기압축기와 노즐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약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약제제어밸브가 노즐과 약제통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약제의 교반과 노즐의 청소를 위한 교반제어밸브가 공기압축기와 약제통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온 연무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연무기는 공기제어밸브, 약제제어밸브와 교반제어밸브의 세 개 밸브들을 구비하므로, 배관 구조 및 조립이 복잡해져 생산성이 낮고, 생산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연무기의 작동모드에 따라 세 개의 밸브들을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여 사용편의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밸브들을 잘못 조작하여 오동작이 흔히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연무 및 교반 작업의 작동모드를 두 개의 밸브들로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과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연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밸브들에 의하여 배관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해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연무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고,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연장관을 갖는 본체와; 연장관의 내측 전방에 압축공기의 분사력에 의하여 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노즐들과; 연장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입력포트, 제1 출력포트, 제2 출력포트, 제1 출력포트와 제2 출력포트를 여닫을 수 있는 밸브체를 갖는 삼방향 밸브와; 삼방향 밸브의 제1 출력포트와 연결되어 있고, 입력포트, 한 쌍의 노즐들과 연결되어 있는 출력포트, 출력포트를 여닫을 수 있는 밸브체를 갖는 공기제어밸브와; 압축공기를 발생하여 삼방향 밸브의 입력포트에 공급하는 공기압축기와; 한 쌍의 노즐들에 약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약제공급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약제공급관은 삼방향 밸브의 제2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약제통을 포함한다. 공기압축기는 삼방향 밸브의 입력포트와 제1 공기공급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삼방향 밸브의 제1 출력포트는 공기제어밸브의 입력포트와 제2 공기공급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제어밸브의 출력포트는 제3 공기공급관에 의하여 한 쌍의 노즐들에 연결되어 있고, 삼방향 밸브의 제2 출력포트는 약제공급관과 제4 공기공급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는 연무 및 교반 작업의 작동모드를 삼방향 밸브와 공기제어밸브의 조작에 의하여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과 사용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삼방향 밸브와 공기제어밸브에 의하여 배관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해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에서 연무 작업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계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에서 약제의 교반 및 청소 작업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계통도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의 상부에 작업자가 간편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손잡이(12)가 장착되어 있다. 연장관(20)이 본체(10)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는 연장관(20)의 내측 선단에 압축공기의 분사력에 의하여 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분사기구(30)를 구비한다. 분사기구(30)는 한 쌍의 노즐(32, 34)들로 구성되어 있다. 노즐(32, 34)들은 압축공기의 분사력에 의하여 약제를 분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노즐구멍(32a, 34a)을 갖는다. 노즐(32, 34)들은 연장관(20)의 내측 선단에 장착되어 작업자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노즐(32, 34)들을 통하여 분사되는 약제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는 연장관(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삼방향 밸브(40)를 구비한다. 삼방향 밸브(40)는 입력포트(42), 제1 출력포트(44), 제2 출력포트(46)와 밸브체(48)를 갖는다. 밸브체(48)는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핸들(50)과 연결되어 있다. 밸브체(48)는 핸들(50)의 조작에 의하여 제1 출력포트(44)와 제2 출력포트(46)를 여닫는다.
공기제어밸브(60)가 삼방향 밸브(40)의 제1 출력포트(44)와 연결되어 있다. 공기제어밸브(60)는 입력포트(62), 노즐(32, 34)들과 연결되어 있는 출력포트(64)와 밸브체(66)를 갖는다. 밸브체(66)는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68)와 연결되어 있다. 밸브체(66)는 손잡이(68)의 조작에 의하여 출력포트(64)를 여닫는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는 압축공기를 발생하여 삼방향 밸브(40)의 입력포트(42)에 공급하는 공기압축기(70)를 구비한다. 공기압축기(70)는 본체(10)와 분리되어 있으며, 복수의 바퀴(72)들에 의하여 이동이 자유롭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기압축기(70)는 파워케이블(Power cable: 74)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는다. 파워케이블(74)은 휴대용 연무기의 사용 범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릴(Reel: 76)에 감겨져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는 약제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약제통(80)을 구비한다. 약제통(80)은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본체(10)와 분리되어 있으며, 노즐(32, 34)들에 약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노즐(32, 34)들과 약제공급관(9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무 작업용 약제는 물과 살충제를 적정하게 혼합하여 만든다. 약제공급관(90)은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로 구성되어 있다.
약제공급관(90)의 일단은 약제통(80)에 저장되어 있는 약제의 송출을 위하여 약제통(80)의 바닥에 근접되어 있다. 약제공급관(90)의 일단에 이물질을 여과하여 약제공급관(90)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메시필터(Mesh filter: 92)가 장착되어 있다. 약제공급관(90)의 타단은 티형 관(T piece: 94)에 의하여 분기되어 노즐(32, 34)들의 노즐구멍(32a, 34a)들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압축기(70)는 삼방향 밸브(40)의 입력포트(42)와 제1 공기공급관(1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 공기공급관(100)은 플렉시블 호스로 구성되어 있다. 삼방향 밸브(40)의 제1 출력포트(44)는 공기제어밸브(60)의 입력포트(62)와 제2 공기공급관(10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2 공기공급관(102)은 금속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제어밸브(60)의 출력포트(64)는 제3 공기공급관(104)에 의하여 노즐(32, 34)들에 연결되어 있다. 제3 공기공급관(104)은 제1 티형 관(110)에 의하여 분기되어 노즐(32, 34)들의 노즐구멍(32a, 34a)에 연결되어 있다. 삼방향 밸브(40)의 제2 출력포트(46)는 약제공급관(90)과 제4 공기공급관(10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4 공기공급관(106)은 약제공급관(90)과 제2 티형 관(11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삼방향 밸브(30)의 제2 출력포트(46)는 필요에 따라 제4 공기공급관(106) 대신에 제2 티형 관(11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약제의 연무 작업을 위하여 작업자는 공기제어밸브(60)와 삼방향 밸브(40)의 제1 출력포트(44)를 열어주고, 삼방향 밸브(40)의 제2 출력포트(46)를 닫아준다. 공기압축기(70)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축공기는 제1 공기공급관(100), 입력포트(42), 제1 출력포트(44), 제2 공기공급관(102), 공기제어밸브(60), 제3 공기공급관(104)과 노즐(32, 34)들을 통하여 분사된다.
압축공기가 노즐(32, 34)들을 통하여 분사되면서 노즐(32, 34)들의 노즐구멍(32a, 34a)에 발생되는 분사력이 약제공급관(90)을 통하여 약제를 송출한다. 따라서 압축공기와 약제가 노즐(32, 34)들의 노즐구멍(32a, 34a)을 통하여 연장관(20)의 전방으로 분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약제의 교반 및 노즐(32, 34)들의 청소 작업을 위하여 작업자는 공기제어밸브(60)와 삼방향 밸브(40)의 제1 출력포트(44)를 닫아주고, 제2 출력포트(46)를 열어준다. 공기압축기(70)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축공기는 제1 공기공급관(100), 입력포트(42), 제2 출력포트(46), 제4 공기공급관(106), 약제공급관(90)을 통하여 약제통(80)에 송출된다. 즉, 압축공기의 일부는 제4 공기공급관(106)을 통하여 역류하면서 약제통(80)에 공급된다. 따라서 약제통(80)에 저장되어 있던 약제가 압축공기에 의하여 교반된다. 압축공기의 나머지는 제4 공기공급관(106), 약제공급관(90)과 노즐(32, 34)들의 노즐구멍(32a, 34a)을 통하여 분사되면서 노즐구멍(32a, 34a)을 청소하게 된다.
한편, 약제의 교반 및 청소 작업 중에 작업자가 실수로 공기제어밸브(60)를 열게 되더라도 약제의 교반 및 청소 작업이 지속될 뿐만 아니라, 약제의 분사가 차단되어 작업자를 약제의 노출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공기제어밸브(60)를 닫고, 삼방향 밸브(40)의 제2 출력포트(46)를 닫아주면,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되면서 약제의 분사가 차단된다. 이러한 약제 차단 상태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제2 출력포트(46)를 열게 되더라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제의 교반 및 청소 작업이 실시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연무기는 공기제어밸브(60)와 삼방향 밸브(40)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모드, 즉 약제의 연무 작업 또는 약제의 교반 및 청소 작업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실수로 공기제어밸브(60)와 삼방향 밸브(40)를 작동모드와 달리 조작하는 경우에도 작동모드의 오류를 쉽게 파악하여 바로잡을 수 있다. 특히, 작동모드의 오류 시에도 작업자가 약제에 노출되는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본체 20: 연장관
30: 분사기구 32, 34: 노즐
40: 삼방향 밸브 42: 입력포트
44: 제1 출력포트 46: 제2 출력포트
48: 밸브체 60: 공기제어밸브
62: 입력포트 64: 출력포트
66: 밸브체 70: 공기압축기
80: 약제통 90: 약제공급관
100: 제1 공기공급관 102: 제2 공기공급관
104: 제3 공기공급관 106: 제4 공기공급관

Claims (2)

  1.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고,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연장관을 갖는 본체와;
    상기 연장관의 내측 전방에 압축공기의 분사력에 의하여 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노즐들과;
    상기 연장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입력포트, 제1 출력포트, 제2 출력포트, 상기 제1 출력포트와 상기 제2 출력포트를 여닫을 수 있는 밸브체를 갖는 삼방향 밸브와;
    상기 삼방향 밸브의 제1 출력포트와 연결되어 있고, 입력포트, 상기 한 쌍의 노즐들과 연결되어 있는 출력포트, 상기 출력포트를 여닫을 수 있는 밸브체를 갖는 공기제어밸브와;
    상기 압축공기를 발생하여 상기 삼방향 밸브의 입력포트에 공급하는 공기압축기와;
    상기 한 쌍의 노즐들에 상기 약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약제공급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약제공급관은 상기 삼방향 밸브의 제2 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약제통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축기는 상기 삼방향 밸브의 입력포트와 제1 공기공급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삼방향 밸브의 제1 출력포트는 상기 공기제어밸브의 입력포트와 제2 공기공급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제어밸브의 출력포트는 제3 공기공급관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노즐들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삼방향 밸브의 제2 출력포트는 상기 약제공급관과 제4 공기공급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휴대용 연무기.
  2. 삭제
KR2020110003652U 2011-04-28 2011-04-28 휴대용 연무기 KR200469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52U KR200469766Y1 (ko) 2011-04-28 2011-04-28 휴대용 연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52U KR200469766Y1 (ko) 2011-04-28 2011-04-28 휴대용 연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649U KR20120007649U (ko) 2012-11-07
KR200469766Y1 true KR200469766Y1 (ko) 2013-11-07

Family

ID=4751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652U KR200469766Y1 (ko) 2011-04-28 2011-04-28 휴대용 연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7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034B1 (ko) * 2014-02-05 2014-08-22 주식회사 만상 휴대용 연무연막 살충기 및 그 운용방법
CN107455356A (zh) * 2017-09-04 2017-12-12 郑州大学 一种带有可分离药水桶的水利灌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660Y1 (ko) 2002-09-11 2002-12-26 오상근 휴대용 분무기
KR100986759B1 (ko) * 2009-10-23 2010-10-08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농약 방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660Y1 (ko) 2002-09-11 2002-12-26 오상근 휴대용 분무기
KR100986759B1 (ko) * 2009-10-23 2010-10-08 주식회사 현대에너텍 농약 방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649U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3427B2 (en) Chemical injector for spray device
WO2017016143A1 (zh) 一种空气泡沫灭火系统
KR102245357B1 (ko) 스프레이건 용 스마트 형 도료 비산 방지 커버 하우징
KR101890073B1 (ko) 농업용 분무기 및 분무기의 송풍약대
KR100986759B1 (ko) 농약 방제기
KR20150140091A (ko) 광범위 약제 분사기
KR20130114319A (ko) 비료살포를 겸한 휴대용 농축산 방역기
KR200469766Y1 (ko) 휴대용 연무기
KR101322407B1 (ko) 연막기
CN101965824B (zh) 一种喷气式烟雾喷药机
CN201938263U (zh) 一种喷气式烟雾喷药机
CN203482795U (zh) 一种烟雾机供药装置
KR10190243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가열식 무인 자동 방제기
KR200469289Y1 (ko) 이동형 약제 연무장치
JP2003190314A (ja) 二流体消火装置
US20090014558A1 (en) Portable sprayer/mister/fogging system for dispersing media in a uniform and controlled manner
KR101042853B1 (ko) 초미립자 분무기
US10265559B1 (en) Fire-hose nozzle
CN207412580U (zh) 一种喷枪头、喷枪以及灭火装置
KR200357803Y1 (ko) 다기능 방역장치
KR101331070B1 (ko) 형상유지 자바라를 이용한 분사구방향 가변고정형 농축산 방역기의 약제분사총
KR200298660Y1 (ko) 휴대용 분무기
JP3181949U (ja) スプレーガン
CN105557473A (zh) 调压式绿化养护洒水装置
CN104115808A (zh) 一种烟雾机点火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