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096Y1 -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096Y1
KR200488096Y1 KR2020180003918U KR20180003918U KR200488096Y1 KR 200488096 Y1 KR200488096 Y1 KR 200488096Y1 KR 2020180003918 U KR2020180003918 U KR 2020180003918U KR 20180003918 U KR20180003918 U KR 20180003918U KR 200488096 Y1 KR200488096 Y1 KR 200488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solution
housing
chemical
deliver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수
Original Assignee
유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수 filed Critical 유진수
Priority to KR2020180003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0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6Hand-operated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2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the rotating deflecting element being a ventilator or a fa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는, 외관 케이싱부; 상기 외관 케이싱부 내에 배치되며, 소정의 약액 살포기로부터의 약액이 전달되는 약액 전달용 하우징;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약액 살포기에서 전달되어 분무되는 약액을 가이드하는 약액 가이드 덕트; 상기 약액 가이드 덕트 내에 배치되며, 전달되는 약액을 분무하는 분무 노즐; 및 상기 외관 케이싱부의 후단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Spraying device for a spreader}
본 고안은,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적인 전동식 약액 살포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되 약액 살포기에서 살포되는 약액의 분사 또는 확산 거리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약액 살포효율을 높이는 한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가에서는 병충해를 방지하고 작물의 생장을 촉진하기 위한 비료와, 잡초가 자라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초제를 작물에 살포한다.
그리고 축사에서는 소나 돼지 등의 우리에 주기적으로 소독약이 살포된다. 최근에는 구제역이나 돼지콜레라 같은 질병에 의한 폐해를 줄이기 위해 축사 주변의 소독을 강화하는 추세에 있다.
물론 농가나 축사 외에도 어폐류를 양식하는 바다나 강의 양식장에서도 해당 어폐류의 소독 및 생장, 그리고 폐사를 방지하기 위한 약품을 살포한다.
이와 같은 비료, 제초제, 소독약, 약품 등의 약액을 살포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형태의 약액 살포기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약액 살포기(10)는 약액을 담기 위한 약통(11)과, 약통(11)의 상부에 작업자가 한 손으로도 휴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손잡이(12)가 마련된 본체(12)와, 약통(11)에 저장된 약액이 살포대상물로 뿌려지도록 하기 위한 노즐이 마련되는 분사구(14)와, 약통(11)의 약액을 노즐까지 안내하는 호스(15)를 보호하고 그 끝단에 분사구(14)가 부착되는 연결구(16)와, 호스(15)를 따라 흘러내린 약액이 노즐에서 배출되는 단계에서 약액에 원심력을 가해 미립화 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판(17)을 구비한다.
회전판(17)은 소형모터(18)에 의해서 강제 회전된다. 이를 위해 연결구(16)의 끝단에 약액이 분사되도록 장착되는 분사구(14)의 케이스 내측에 소형모터(18)가 수용되고, 소형모터(1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은 전동분무기의 전원 또는 별도의 건전지 팩으로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약액 살포기(10)의 약통(11)에 액체상태의 약액을 저장시킨 후, 작업자가 스위치를 작동시켜 전동분무기의 펌프의 작동 또는 수동식 분무기의 펌핑으로 발생한 수압에 의해 약액이 노즐을 통해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약액 살포기(10) 또는 도 1과 다른 형태의 약액 살포기를 이용해서 약액을 환경에 맞게 살포하는 것이 통상적인데, 이러한 약액 살포기(10)의 경우에는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약액의 분사 또는 확산 거리가 다소 짧아서 약액 살포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편의성 또한 감소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8-003332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07422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16543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29361호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적인 전동식 약액 살포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되 약액 살포기에서 살포되는 약액의 분사 또는 확산 거리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약액 살포효율을 높이는 한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외관 케이싱부; 상기 외관 케이싱부 내에 배치되며, 소정의 약액 살포기로부터의 약액이 전달되는 약액 전달용 하우징;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약액 살포기에서 전달되어 분무되는 약액을 가이드하는 약액 가이드 덕트; 상기 약액 가이드 덕트 내에 배치되며, 전달되는 약액을 분무하는 분무 노즐; 및 상기 외관 케이싱부의 후단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로 전달되는 약액을 상기 약액 가이드 덕트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에서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과 연결되며,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외관 케이싱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동작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단부는 상기 외관 케이싱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약액 살포기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외관 케이싱부를 경유해서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약액 살포기로부터의 약액을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로 전달하는 약액 전달라인; 및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상기 분무 노즐을 연결시키는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한 외관 케이싱부; 상기 외관 케이싱부 내에 배치되되 소정의 약액 살포기로부터의 약액이 전달되며, 전단부 외벽에 제1 나사부가 형성되는 약액 전달용 하우징;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의 제1 나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약액 살포기에서 전달되어 분무되는 약액을 가이드하는 약액 가이드 덕트;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로 전달되는 약액을 상기 약액 가이드 덕트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에서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과 연결되며,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 일단부는 상기 외관 케이싱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약액 살포기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외관 케이싱부를 경유해서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약액 살포기로부터의 약액을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로 전달하는 약액 전달라인; 상기 약액 전달라인에 결합되며,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상기 약액 살포기를 클램핑하는 클램프; 상기 약액 가이드 덕트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약액 전달라인에서 전달되는 약액을 분무하는 다수의 분무홀이 전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분무 노즐;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의 제1 나사부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상기 분무 노즐이 양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상기 분무 노즐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상기 분무 노즐을 연결시키는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 상기 분무 노즐과 상기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 사이에 연결되는 더미 연결부; 상기 외관 케이싱부의 후단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벽에 다수의 관통부가 형성되는 마감 캡; 상기 외관 케이싱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동작 스위치; 및 상기 동작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이 온/오프(on/off)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외관 케이싱부는, 다수의 직선형 관통 슬릿이 형성되는 관형 몸체부; 상기 관형 몸체부의 전단부에 계단 형상으로 마련되는 계단부; 상기 계단부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을 지지하되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이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하는 하우징 노출 지지부; 상기 관형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마감 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나사부; 일단부는 상기 제2 나사부에 이웃된 상기 관형 몸체부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계단부에 연통되되 내벽에 파형 손가락홈부가 형성되며, 외벽에 상기 동작 스위치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 및 상기 관형 몸체부의 전단부 외벽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은,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의 내벽에 배치되는 모듈 원형 바디; 상기 모듈 원형 바디 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내부 덧살; 상기 다수의 내부 덧살과 연결되되 상기 모듈 원형 바디의 중앙 영역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더미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돌출 결합부; 및 상기 모듈 원형 바디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1 돌출 결합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결합되는 제2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은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는 영역이 이웃된 영역보다 관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분무 노즐의 외벽에는 다수의 미끄러짐 방지용 돌출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통상적인 전동식 약액 살포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되 약액 살포기에서 살포되는 약액의 분사 또는 확산 거리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약액 살포효율을 높이는 한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약액 살포기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의 이미지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약액 살포기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부분 반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송풍팬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송풍팬 영역의 이미지이다.
도 8은 도 5의 분무 노즐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분무 노즐 영역의 이미지이다.
도 10은 분무 노즐 영역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의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의 이미지,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약액 살포기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부분 반단면도, 도 6은 도 5의 송풍팬 영역의 확대도, 도 7은 도 6에서 송풍팬 영역의 이미지, 도 8은 도 5의 분무 노즐 영역의 확대도, 도 9는 도 8에서 분무 노즐 영역의 이미지, 도 10은 분무 노즐 영역 정단면도, 그리고 도 11은 도 2의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100)는 통상적인 전동식 약액 살포기(10)에 연결되어 사용되되 약액 살포기(10)에서 살포되는 약액의 분사 또는 확산 거리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약액 살포효율을 높이는 한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100)는 외관 케이싱부(110),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 약액 가이드 덕트(130), 그리고 마감 캡(170)을 포함하며, 이들에 송풍팬(141), 모터(142), 약액 전달라인(151), 분무 노즐(160) 및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135)이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외관 케이싱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100)의 외관을 이룬다. 외관 케이싱부(110)내에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을 비롯해서 여러 구성들이 탑재되어야 하기 때문에 외관 케이싱부(110)는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외관 케이싱부(110)는 관형 몸체부(111), 계단부(113), 하우징 노출 지지부(114), 제2 나사부(115),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116), 그리고 방향 표시용 돌기(117)를 포함할 수 있다.
관형 몸체부(111)는 외관 케이싱부(110)에서 가장 큰 골격을 이룬다. 관형 몸체부(111)에는 다수의 직선형 관통 슬릿(112)이 형성된다. 모터(142)의 동작 시 발생되는 열기가 직선형 관통 슬릿(112)들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계단부(113)는 관형 몸체부(111)의 전단부에 계단 형상으로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외장의 미를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위치별로 사이즈가 다른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를 잘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 노출 지지부(114)는 계단부(113)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을 지지하되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이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하는 부분이다. 하우징 노출 지지부(114)로 인해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재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나사부(115)는 관형 몸체부(111)의 일측에 형성되되 마감 캡(17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소를 이룬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마감 캡(170)에도 제2 나사부(115)와 대응되게 나사부가 형성된다.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116)는 일단부는 제2 나사부(115)에 이웃된 관형 몸체부(111)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계단부(113)에 연통되는 부분으로서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116)의 내벽에는 파지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파형 손가락홈부(116a)가 형성된다.
그리고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116)의 외벽에는 동작 스위치(175)가 결합된다.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116)를 파지한 상태에서 동작 스위치(175)를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116)의 내부는 빈 공간을 이루는데, 이러한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116)의 내부에는 약액 전달라인(151)과 모터(142)에 연결되는 전선(143)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길이가 긴 약액 전달라인(151)과 전선(143)이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116)의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라서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방향 표시용 돌기(117)는 관형 몸체부(111)의 전단부 외벽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방향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방향 표시용 돌기(117)는 장식적인 역할도 겸한다.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은 외관 케이싱부(110) 내에 배치되되 소정의 약액 살포기(10)로부터의 약액이 전달되는 일종의 파이프(pipe)이다.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의 전단부 외벽에는 제1 나사부(121)가 형성된다.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의 제1 나사부(121)에 역시, 파이프(pipe) 형태의 약액 가이드 덕트(1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은 송풍팬(141)이 배치되는 영역이 이웃된 영역보다 관경이 크게 형성된다.
약액 가이드 덕트(130)는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의 제1 나사부(1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로서, 약액 살포기(10)에서 전달되어 분무되는 약액이 송풍 공기를 타고 확산 혹은 가압될 때, 이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마감 캡(170)은 외관 케이싱부(110)의 후단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벽에 다수의 관통부(171)가 형성된다. 관통부(171)를 통해서도 모터(142)의 열기가 방출될 수 있다.
한편, 송풍팬(141)은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 내에 배치되며,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 내로 전달되는 약액을 약액 가이드 덕트(130)로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모터(142)는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 내에서 송풍팬(141)의 일측에 배치되어 송풍팬(141)과 연결되며, 송풍팬(141)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터(142)는 후술한 컨트롤러(180)의 컨트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약액 전달라인(151)은 그 일단부가 외관 케이싱부(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약액 살포기(10)의 파이프(미도시)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외관 케이싱부(110)의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116)의 내부를 경유해서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 내에 배치되는 라인(line)으로서, 약액 살포기(10)로부터의 약액을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 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약액 전달라인(151)에는 클램프(152)가 결합된다. 클램프(152)는 약액 전달라인(151)과 약액 살포기(10)의 파이프(미도시)를 클램핑한다.
분무 노즐(160)는 약액 가이드 덕트(130) 내에 배치되며, 약액 전달라인(151)에서 전달되는 약액을 분무하는 역할을 한다. 약액의 분무를 위해 분무 노즐(160)의 전면에 다수의 분무홀(161)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분무 노즐(160)의 외벽에는 다수의 미끄러짐 방지용 돌출패턴부(162)가 형성된다. 따라서 분무 노즐(160)의 분해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135)은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의 제1 나사부(121) 영역에 배치되되 약액 전달라인(151)과 분무 노즐(160)이 양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약액 전달라인(151)과 분무 노즐(160)을 지지하는 한편 약액 전달라인(151)과 분무 노즐(160)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무 노즐(160)이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135)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분무 노즐(160)과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135) 사이에 더미 연결부(164)가 매개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135)은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의 내벽에 배치되는 모듈 원형 바디(166)와, 모듈 원형 바디(166) 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내부 덧살(167)과, 다수의 내부 덧살(167)과 연결되되 모듈 원형 바디(166)의 중앙 영역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더미 연결부(164)와 결합되는 제1 돌출 결합부(168)와, 모듈 원형 바디(166)의 중앙 영역에서 제1 돌출 결합부(168)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되 약액 전달라인(151)과 결합되는 제2 돌출 결합부(169)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100)의 동작과 컨트롤을 위하여 동작 스위치(175)와, 컨트롤러(180)가 마련된다.
동작 스위치(175)는 외관 케이싱부(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스위치이다. 특히, 동작 스위치(175)가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116)의 외측에 마련되기 때문에 작동상의 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동작 스위치(175)의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142)의 동작이 온/오프(on/off)되게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동작 스위치(175)의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142)의 동작이 온/오프(on/off)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과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은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동작 스위치(175)의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142)의 동작이 온/오프(on/off)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소정의 약액 살포기(10)의 파이프를 약액 전달라인(151)에 연결하고 클램프(152)로 클램핑한 상태에서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100)를 파지한 작업자가 동작 스위치(175)를 누른다.
그러면 모터(142)의 동작이 온(on)되면서 송풍팬(141)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약액 살포기(10) 측의 약액은 약액 전달라인(151) 및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을 거쳐 분무 노즐(160)의 분무홀(161)을 통해 약액 가이드 덕트(130) 내로 분무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와 함께 송풍팬(141)이 회전되면 송풍팬(141)으로부터의 강한 바람이 약액 가이드 덕트(130) 내로 분무되는 약액에 가압해서 좀 더 멀리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살포되는 약액의 분사 또는 확산 거리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약액 살포효율을 높이는 한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상적인 전동식 약액 살포기(10)에 연결되어 사용되되 약액 살포기(10)에서 살포되는 약액의 분사 또는 확산 거리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약액 살포효율을 높이는 한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200) 역시, 외관 케이싱부(110), 약액 전달용 하우징(120), 약액 가이드 덕트(230), 그리고 마감 캡(17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약액 가이드 덕트(230)의 단부에는 약액 분무용 확장부(231)가 형성된다. 약액 분무용 확장부(231)로 인해 약액이 확장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통상적인 전동식 약액 살포기(10)에 연결되어 사용되되 약액 살포기(10)에서 살포되는 약액의 분사 또는 확산 거리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약액 살포효율을 높이는 한편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약액 살포기 100 :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110 : 외관 케이싱부 111 : 관형 몸체부
112 : 직선형 관통 슬릿 113 : 계단부
114 : 하우징 노출 지지부 115 : 제2 나사부
116 :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 116a : 파형 손가락홈부
117 : 방향 표시용 돌기 120 : 약액 전달용 하우징
121 : 제1 나사부 130 : 약액 가이드 덕트
141 : 송풍팬 142 : 모터
143 : 전선 151 : 약액 전달라인
152 : 클램프 160 : 분무 노즐
161 : 분무홀 162 : 미끄러짐 방지용 돌출패턴부
164 : 더미 연결부 165 :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
166 : 모듈 원형 바디 167 : 내부 덧살
168 : 제1 돌출 결합부 169 : 제2 돌출 결합부
170 : 마감 캡 171 : 관통부
175 : 동작 스위치 180 : 컨트롤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한 외관 케이싱부;
    상기 외관 케이싱부 내에 배치되되 소정의 약액 살포기로부터의 약액이 전달되며, 전단부 외벽에 제1 나사부가 형성되는 약액 전달용 하우징;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의 제1 나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약액 살포기에서 전달되어 분무되는 약액을 가이드하는 약액 가이드 덕트;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로 전달되는 약액을 상기 약액 가이드 덕트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에서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과 연결되며,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
    일단부는 상기 외관 케이싱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약액 살포기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외관 케이싱부를 경유해서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약액 살포기로부터의 약액을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 내로 전달하는 약액 전달라인;
    상기 약액 전달라인에 결합되며,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상기 약액 살포기를 클램핑하는 클램프;
    상기 약액 가이드 덕트 내에 배치되며, 상기 약액 전달라인에서 전달되는 약액을 분무하는 다수의 분무홀이 전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분무 노즐;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의 제1 나사부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상기 분무 노즐이 양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상기 분무 노즐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상기 분무 노즐을 연결시키는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
    상기 분무 노즐과 상기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 사이에 연결되는 더미 연결부;
    상기 외관 케이싱부의 후단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벽에 다수의 관통부가 형성되는 마감 캡;
    상기 외관 케이싱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동작 스위치; 및
    상기 동작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이 온/오프(on/off)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외관 케이싱부는,
    다수의 직선형 관통 슬릿이 형성되는 관형 몸체부;
    상기 관형 몸체부의 전단부에 계단 형상으로 마련되는 계단부;
    상기 계단부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을 지지하되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이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하는 하우징 노출 지지부;
    상기 관형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마감 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나사부;
    일단부는 상기 제2 나사부에 이웃된 상기 관형 몸체부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계단부에 연통되되 내벽에 파형 손가락홈부가 형성되며, 외벽에 상기 동작 스위치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라인 배치겸용 손잡이부; 및
    상기 관형 몸체부의 전단부 외벽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라인과 노즐 연결모듈은,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의 내벽에 배치되는 모듈 원형 바디;
    상기 모듈 원형 바디 내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내부 덧살;
    상기 다수의 내부 덧살과 연결되되 상기 모듈 원형 바디의 중앙 영역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더미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돌출 결합부; 및
    상기 모듈 원형 바디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1 돌출 결합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약액 전달라인과 결합되는 제2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액 전달용 하우징은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는 영역이 이웃된 영역보다 관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분무 노즐의 외벽에는 다수의 미끄러짐 방지용 돌출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KR2020180003918U 2018-08-23 2018-08-23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KR200488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18U KR200488096Y1 (ko) 2018-08-23 2018-08-23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18U KR200488096Y1 (ko) 2018-08-23 2018-08-23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096Y1 true KR200488096Y1 (ko) 2018-12-12

Family

ID=6466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918U KR200488096Y1 (ko) 2018-08-23 2018-08-23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0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686B1 (ko) 2019-01-18 2019-10-02 이희동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327U (ko) 1996-12-07 1998-09-05 김영귀 댐퍼를 장착한 리어 현가장치
KR0165438B1 (ko) 1995-09-14 1999-03-20 김광호 Rgb 디지탈 이미지 런렝스 압축방법
KR20010029361A (ko) 1999-09-30 2001-04-06 신영주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200246643Y1 (ko) * 2001-06-11 2001-10-17 강신재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KR20110111861A (ko) * 2010-04-06 2011-10-12 홍기술 약액 분사장치
KR20120056541A (ko) * 2010-11-25 2012-06-04 오상복 휴대용 분무기
KR20140074221A (ko) 2012-12-07 2014-06-1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성 적층 필름과 편광판의 제조 방법, 편광성 적층 필름 및 편광판 세트
KR20160123761A (ko) * 2015-04-17 2016-10-26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KR20180031115A (ko) * 2016-09-19 2018-03-28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438B1 (ko) 1995-09-14 1999-03-20 김광호 Rgb 디지탈 이미지 런렝스 압축방법
KR19980033327U (ko) 1996-12-07 1998-09-05 김영귀 댐퍼를 장착한 리어 현가장치
KR20010029361A (ko) 1999-09-30 2001-04-06 신영주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200246643Y1 (ko) * 2001-06-11 2001-10-17 강신재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KR20110111861A (ko) * 2010-04-06 2011-10-12 홍기술 약액 분사장치
KR20120056541A (ko) * 2010-11-25 2012-06-04 오상복 휴대용 분무기
KR20140074221A (ko) 2012-12-07 2014-06-1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성 적층 필름과 편광판의 제조 방법, 편광성 적층 필름 및 편광판 세트
KR20160123761A (ko) * 2015-04-17 2016-10-26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KR20180031115A (ko) * 2016-09-19 2018-03-28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686B1 (ko) 2019-01-18 2019-10-02 이희동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501B1 (ko) 분사방향 가변형 콤팩트 구조의 약액 자동 분사장치
JP2018504107A (ja) 非加熱式無人煙霧機
KR200488096Y1 (ko)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KR100986759B1 (ko) 농약 방제기
KR101998686B1 (ko)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CN108617619B (zh) 桌面型药液喷雾装置
JP2009060839A (ja) 薬剤、肥料、空気もしくは水の散布方法
KR10190243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가열식 무인 자동 방제기
KR101385233B1 (ko) 간이 ss분무기
CN212877094U (zh) 一种圈舍空气净化装置和圈舍系统
KR20100134158A (ko) 히터를 이용한 연무장치
KR102003613B1 (ko) 방제용 약대
CN209463183U (zh) 一种农业机械用打药装置
KR200466935Y1 (ko) 연막소독기용 분배기
CN112850864A (zh) 一种水产养殖用病害防治药剂喷洒装置
CN215840597U (zh) 一种牲畜喷雾消毒装置
CN219537261U (zh) 一种森林病虫害防治药剂喷洒装置
CN106606793A (zh) 一种自动臭氧灭菌装置
CN214155935U (zh) 一种农业农田用除虫装置
CN219108566U (zh) 玉米病虫害药液喷洒装置
CN216164709U (zh) 一种农药施肥喷洒系统
CN203723315U (zh) 一种轮式手扶喷药机
CN217336378U (zh) 一种玉米种子病害防治装置
CN220140620U (zh) 小麦病虫害防治用喷雾器
CN210934590U (zh) 一种兽医用药液雾化喷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