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902A - 구조에 고정된 받침대에 글라스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에 고정된 받침대에 글라스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902A
KR20010013902A KR1019997011924A KR19997011924A KR20010013902A KR 20010013902 A KR20010013902 A KR 20010013902A KR 1019997011924 A KR1019997011924 A KR 1019997011924A KR 19997011924 A KR19997011924 A KR 19997011924A KR 20010013902 A KR20010013902 A KR 20010013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device
attachment
glass panel
clamping elemen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버트 엘머
Original Assignee
긴첼 로타르
도르마 게엠베하 앤드 콤파니 케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T0095498A external-priority patent/AT408005B/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15193A external-priority patent/DE19915193C1/de
Application filed by 긴첼 로타르, 도르마 게엠베하 앤드 콤파니 케이쥐 filed Critical 긴첼 로타르
Publication of KR2001001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90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36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volving holes or indentations in the p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1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to the ground or to build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8Double glass encapsulation, e.g. photovoltaic cells arranged between front and rear glass she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6Electric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two or more PV modules, e.g. electrical module-to-modul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30/0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030/10Special components
    • F24S2030/17Spherical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에 고정된 받침대에 볼타전기를 가지는 글라스 패널(2, 101, 202, 314)을 위한 부착장치(1, 107, 201, 301)에 관한 것이다.
글라스 패널(2, 191, 202, 314)은 두 클램핑요소(4, 5)사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영구탄성 스프링 수단(7)이 클램핑요소(5)에 대해 연결벨(10)의 비교동작을 허용하는 연결벨(10) 및 내부 클램핑 요소(5)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연결벨이 내부클램핑요소(5)에서 조절가능한 초기 응력을 지지한다는 사실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부착장치(1, 107, 201, 301)를 통과하는 전류전도를 달성할뿐만 아니라 글라스 패널(2)과 구조에 고정된 받침대사이에서 다수의 분절연결(12, 13)을 실행하는데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에 고정된 받침대에 글라스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FIXING A GLASS PANEL TO A SUPPORT AT THE SIDE OF A BUILDING}
DE 195 19 527 A는 분절연결된 지지물을 공개하고 있다. 여기서 거더(girder)는 구조 내부의 클램핑요소에서 지지되는 구조에 고정되는 받침대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물은 거더의 축방향에서 클램핑 요소의 지지챔버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거더의 가요성 지지헤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헤드는 부가적인 측면가동부로 각각 그의 지지헤드인 거더가 풍압의 영향하에서 글라스 패널의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단층지는 것을 견디는 지지챔버에서 지지된다.
상기 지지헤드의 탄력적 성질은 지지챔버 내의 장치가 글라스 패널에서 거더에서의 복원력을 각각 영구적으로 가압하는 디스크 스프링 또는 영구탄성물질과 또한 글라스 패널에 대해 직각으로 거더를 배치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글라스 패널으로 도입되는 장력을 유발한다.
또한 글라스 패널의 보어구멍과 구조에 고정된 받침대에서의 연결지점사이의 중요 허용오차는 보상될 수 없다.
DE 44 00 979 A1은 역시 분절연결된 지지대를 공개하고 있으며, 여기서 구조내의 클램핑 요소(위치하는 베어링)는 받침대를 향하여 경사져서 덮힌 표면에서 보완 구형 커롯 표면을 가지는 보상부분을 의지하는 볼형상의 표면을 가진다.
상기 클램핑요소는 클램핑요소를 연결하는 클램프 나사와 선형 및 보상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클램핑요소로 연결하는 고정나사의 수용을 위해 보어구멍을 통하여 설치된다.
상술한 공지의 장치는 글라스 패널의 보어구멍과 부구조(받침대)사이에 허용오차가 생기는 것을 보상할 수 있고, 한번 조립이 끝나면 상기 받침대에서 글라스 패널을 위한 탄성 지지대가 설치되지 않는다.
DE 44 45 724 A1은 동일한 장치를 공지하고 있는데, 여기서 구조내의 클램핑요소는 구조내의 클램핑 요소는 받침대를 향하여 경사져서 덮힌 표면에서 볼형상의 표면을 가진다. 보유부분의 회전베어링은 보완표면에 인접하여 있고 결합너트로 측면 가동부에 고정된다. 조립이 한번 끝나면, 글라스 패널의 가동부를 보유부분에 연결할 수 없다.
또한 현수장치에서 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요소는 EP 0 784 129 A1에 공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현수장치의 플레이트는 평평한 표면이 상기 플레이트에 간접적으로 인접한 두 평면볼록렌즈 사이에 고정되며, 렌즈중 하나는 구조내의 클램핑요소에서 볼록렌트와 인접하고 다른 하나는 고정볼트를 수용하는 너트와 간접적으로 인접하게 된다.
공개공보 De 296 178 70 U1은 광전지 태양패널과 통합된 전면요소를 포함하고 지붕을 이는데 적절한 태양전면패널을 공개하고 있다. 각각의 전면패널은 공통선에 연결가능한 접촉지점이 형성된다.
EP 0 417 303 A1은 지붕에 장착가능한 설치물을 다루고 있는데, 이것은 특히 지붕마루를 잇기위해 지붕에 도입된 열응력 또는 지붕의 허용치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커런트 드레인(current drain)은 상기 출원의 주제가 아니며 이것은 당연히 태양전지로 대개 작동하여 지붕을 통과하는 라인으로 달성된다.
예를들어 광전지 파워공급을 위한 실리슘 패널과 연결하여 고감도 글라스 패널을 부착할 때, 상술한 부착장치는 요건에 맞지 않는다.
이미 낮은 풍압에서 열전개로 인한 각각 비교적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이 일어나게 됨에 따라 실리슘 요소를 파괴하게되고 글라스 패널의 적절한 목적을 달성될 수 없게된다.
본 발명은 사이에 글라스 패널을 고정하는 외부 및 내부 클램핑요소와 내부 클램핑요소에 부착하는 장치를 위한 지지물을 가지는 구조에 고정된 받침대에서 전류를 전도하는 와이어를 가지는 하나이상의 단일면 볼타전지를 제공하는 글라스 패널을 위한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부착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받침대에 대해 경사진 글라스 패널의 도 1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변형된 외부 클램핑요소를 가지는 도 1에 따른 단면도.
도 4내지 도 13은 연결벨, 나사를 조절하는 연결벨의 나사벨에 대한 인접한 렌즈, 결합볼트를 수용하는 너트 및 결합너트의 각각 사시 및 단면에 대한 상세도.
도 14내지 도 22는 부착장치의 응력없는 적용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전류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부착장치의 측면도.
도 15는 부착하여 맞춰진 외부고정디스크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18은 커버의 측면도.
도 19는 부착볼트의 축방향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6과 유사한 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패널의 평면도.
도 23내지 도 46은 부착장치를 통하여 전류 전도와이어의 통로를 위한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필수요소를 사용함에 있어서 응력없는 부착장치를 적용하는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부착장치의 수직단면 사시도.
도 24는 도 23을 90도로 돌려가진 단면도.
도 25는 도 23에 따른 수직단면도.
도 26은 절연체의 확대평면도.
도 27은 도 26에서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28은 절연체의 사시도.
도 29는 전류드레인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
도 30은 접촉피스의 확대 평면도.
도 31은 접촉피스의 측면도.
도 32는 접촉피스의 사시도.
도 33은 도 26에 따른 절연체의 평면도.
도 34는 도 33에서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35는 연결된 수축배관을 가지는 절연체의 사시도.
도 36은 연결된 수축배관을 가지는 절연체의 수직단면사시도.
도 37 내지 도 53은 부착장치를 통하여 전류 전도와이어의 통로를 위한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필수요소를 사용함에 있어서 응력없는 부착장치를 적용하는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7은 부착장치의 수직단면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수직단면도.
도 39는 구조내부의 클램핑요소의 평면도.
도 40은 도 39에서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41은 구조내의 클램핑요소의 사시도.
도 42는 케이지의 평면도.
도 43은 도 42에서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44는 케이지의 사시도.
도 45는 연결된 수축배관을 가지는 케이지의 평면도.
도 46 및 도 47은 케이지 구축유닛을 도시한다.
도 48은 수축배관을 가지는 케이지의 사시도.
도 49는 클램프 나사의 사시도.
도 50 및 도 51은 접촉피스를 도시한다.
도 52는 접촉피스의 사시도.
도 53은 전류통로의 상세도.
* 참조번호
1: 부착장치 2: 글라스 패널
3: 구조에 고정된 지지대 4: 클램핑요소
5: 클램핑요소 6: 봉합 표면
7: 영구탄성스프링수단 8: 보완표면
9: 내부봉합부 10: 연결벨
11: 부착볼트 12: 분절연결
13: 분절연결 14: 봉합표면
15: 암나사 16: 관통보어홀
17: 클램프 나사 18: 연결벨 조절나사
19: 영구탄성쿠션 20: 외부나사
21: 원통형연장부 22: 바닥
23: 플랜지 24: 나사헤드
25: 샤프트 26: 가동부
27: 렌즈 28: 위치면
29: 보완표면 30: 전면부
31: 결합너트 32: 내부포트바닥영역
33: 평평한 표면 34: 렌즈
35: 렌즈 36: 너트
37: 샤프트 38: 보어구멍
39: 포트바닥 40: 가동부
41: 보어구멍 42: 가동부
43: 너트 44: 역너트
45: 평평한 표면 46: 렌즈
47: 렌즈 48: 보완위치면
49: 이격슬리브 50: 암나사
51: 포켓보어구멍 52: 렌치영역
53: 돌출부 101: 글라스 패널
102: 개별 패널 103; 개별 패널
104: 볼타전지 105: 금속 스트랜드
106: 홀형상 구멍 107: 부착장치
108: 고정디스크 109: 고정디스크
110: 볼트 111: 암나사
112; 보어구멍 113: 원통형 연장
114; 원통형 연장 115: 씰
116: 커버캡 117: 개구부
118: 돌출부 119: 타원형구멍
120: 부착볼트 121: 헤드피스
122: 고정표면 123: 개구부
124: 케이블 125: 연결
126: 암나사 127: 육각소켓
201: 부착장치 202: 글라스 패널
203: 연결벨 조절나사 204: 결합너트
205: 부유나사 206: 센터링된 관통보어홀
207: 와이어(외장 가요성케이블) 208: 수축배관
209: 홀형상구멍 210: 절연체
211; 와이어 212: 볼타전지
213: 관통보어홀 214: 구조내의 클램핑요소
215: 클램프 나사 216: 방사상 슬롯 개구부
217: 축상안내채널 218: 접촉피스
219: 클립 220: 레그
221: 원추형 너트 222: 연결벨
301: 부착장치 302: 구조내의 클램핑요소
303: 축상 개구부 304: 볼타전지
305: 수축배관의 와이어 306: 수축배관
307: 절연케이지 308: 구멍
309: 환상 섹션 310: 포크형상 섹션
311: 와이어 312: 그루브
313: 접촉피스 314: 글라스 패널
315: 클램프 나사 316: 절연체
317: 테논형상 연장 318: 쓰레드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 조립하는 동안 큰 허용오차를 감안할 수 있도록 부착장치를 응력없이 적용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풍압 또는 열응력이 글라스 패널로 응력이 도입되지 않고 부착장치에 의해 흡수되도록 부착장치와 글라스 패널사이에 탄력성이 주어져 조립이 달성되도록 상술한 종류의 부착장치를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볼타전지를 포함하는 글라스 패널이 설치된 유리끼움 구조를 위해 전류가 잘 전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항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따라서, 내부클램핑 요소는 그 글라스 패널에 대향된 봉합표면이 글라스표면과 대향된 후, 내부연결 벨의 봉합부에 있는 보완표면이 다양한 초기장력을 조절가능함에 따라 영구적 탄성스프링수단에 의해 표면을 형성하는 원추형 또는 크라운형 표면을 가진다.
이에따라, 각각 일측 및 타측의 연결하는 벨과 부착볼트 사이의 한 강성 분절연결이 형성되고 전류전도선이 상기 부착장치를 통과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조립이 완성되면 서로를 향한 양 부분의 동작부는 복원력이 글라스 패널로 도입되지 않도록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클램핑요소에서 풍압 및 열응력이 연결벨의 탄성 지지대에 의해 흡수된다.
이것은 클램핑요소와 연결벨사이의 초기장력이 조정가능함에 따라 확실하다. 상기 부착장치를 최소한 둘이상의 분절연결으로 반복하여 분할하는 것은 큰 허용오차를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게 할 뿐만아니라 조립이 완성된 후, 한번 단단하게 조여진 공간분간의 개별이음포인트가 역시 특정한 자기탄성을 가지고 또한, 글라스 패널을 응력없이 달리게 하는 이른바 시스템포인트를 가지게 한다. 이 경우, 상기 부착장치는 전류가 부착장치를 통하여 전도되고 어떤 공간 수집 요소가 필요하지 않는 이중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종속항에 나타나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상기 글라스 패널에 대향된 봉합표면에서 내부 클램핑요소 자체는 기본적으로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원추형 또는 크라운형표면을 가진다. 상기 원추형 또는 크라운형 표면은 비록 상기 클램핑 요소가 평면으로 이루어질지라도 영구 탄성스프링수단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클램핑요소는 내부클램핑요소와 연결벨을 연결하는 나사를 조절하는 연결벨과 클램핑요소를 연결하는 클램프 나사의 수용을 위해 센터링되고 암나사를 가지는 관통보어구멍을 형성한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영구 탄성스프링 수단은 글라스 패널과 연결벨의 보완표면을 향하여 경사진 내부 클램핑요소의 원추형 또는 크라운형 표면사이에 배치된 영구 탄성 쿠션으로 달성된다.
상기 영구 탄성 쿠션은 영구 탄성쿠션 자체가 글라스패널로 도입된 응력을 흡수할 뿐만아니라 글라스 패널이 완전히 응력없이 달려있게됨에 따라 영구 탄성 쿠션에 대하여 연결벨의 관계치환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나사를 조절하는 상술한 연결벨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연결벨은 받침대를 향하여 경사진 측면에서 원통형 수나사의 연장을 보이며 이사이의 연결벨의 바닥영역에서 연결벨은 연결벨 조절나사헤드의 지지대를 위한 내부로 경사진 플랜지에 일치한다.
따라서, 플랜지와 연결벨 조절나사의 샤프트사이에서 제공되는 가동부로 인해 사실상 나사의 샤프트를 조절하는 연결벨이 연결벨에 대해 진동할 수 있는 연결벨조절나사와 플랜지사이의 디스크의 형태인 렌즈의 정렬을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은 플렌치의 위치면과 렌즈의 보완표면이 원추형 또는 크라운형으로 설계되는 경우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들어 활주하는 단단한 고무로 이루어진 비금속렌즈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함으로써, 사실상 부가적인 분절연결이 연결벨과 내부클램핑요소 사이에서 달성되고 이에따라 글라스 패널이 달성된다.
다른 분절연결은 받침대에 대해 경사진 연결벨 연장의 전면부분이 오목렌즈형으로 만곡된 것을 포함한다. 이에따라 연결벨 연장의 수나사에 끼워지는 포트형상의 결합너트는 연결벨 연장의 전면부분과 결합너트의 포트 바닥사이에 두 볼록렌즈가 위치할수 있고 이들의 평형한 표면이 인접하는 방법으로 연결벨연장의 전면부분에 대향되어 일치하도록 만곡된 내부 포트 바닥영역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결합너트의 포트바닥 영역에 인접해있는 평면볼록렌즈가 전체 부착장치를 축소 또는 연장하기 위해 너트로 가감하여 부착볼트를 조일 수 있게하도록 하는 부착볼트를 수용하는 너트의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분절연결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너트의 샤프트는 결합너트의 포트바닥에서 가동부가 보어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부착볼트는 받침대내의 보어구멍을 가동부가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받침대는 너트와 역너트사이에서 조여짐에 따라받침대와 부착볼트가 직접연결되는 영역에서 상술한 방법으로 분절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이에따라 일측에서는 상기 너트와 역너트사이에 타측에서는 받침대에 렌즈에 대한 보완표면을 가지는 받침대, 너트 및 역너트에 대하여 그 평평한 표면과 인접하는 각각 하나의 평면볼록렌즈가 설치된다.
여기서 다시, 조정가능하고 적용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동안에 문제가 발생한다. 한번 조립이 완성되면 분절연결이 강성을 가지게 된다. 이에따라 이격슬리브가 받침대에 연결하는 상기 분절연결과 연결벨과 결합너트에 의해 이루어진 분절연결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패널을 고정하는 구조의 외부에서 클램핑요소를 실행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 글라스 패널을 실제적으로 응력없이 부착에 영향을 주지않고 이미 공지된 클램핑 디스크 또는 역경사 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전류를 전도하는 하나이상의 볼타전지의 와이어는 부착장치를 통과한다.
글라스 패널이 고정되는 곳 사이에 두 연결 바람직하게는 나사연결 고정 디스크를 포함하는 부착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전류가 고정디스크와 한 고정디스크의 축상 출구사이에 즉시 전도된다.
글라스 패널홀더를 통하여 어떤 문제없이 전류전도를 위한 와이어를 통과하기 위하여 한 실시예에서는, 고정디스크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연장부의 영역에 배치된 분리된 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글라스 패널내부의 와이어는 금속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영역에서 와이어가 산화하는 것을 막기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멍이 왁스 또는 이와 유사한 비전도성 합성물질로 채워지녀 상기 와이어는 이 물질 내에 배치된다. 상기 합성물질은 폴리우레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 청구항 제 1항의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부착장치가 나사를 조절하는 연결벨과 결합너트에의해 고정되고 부착볼트로 연결가능하며 전류의 전도선을 수용하는 가요성튜브의 수용을 위해 센터링된 보어구멍을 통하여 각각 연장되는 부유나사로 가진다.
절연체는 이 경우 글라스 패널내의 홀 형태의 구멍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타전지의 와이어는 외장 가요성 캐이블로 연결된다. 절연체는 구조의 내부에 클램핑 요소를 가지는 글라스 패널을 연결하는 나사를 관통하는 관통 보어구멍을 통하여 두 개가 나타난다. 여기서 둘 이상의 방사상 슬롯 개구부와 여기에 연결된 축안내 채널이 전류이동라인의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방사상 슬롯 개구부에는 볼타전지의 와이어와 접촉하는 레그를 가지는 탄성적 접촉피스가 위치한다.
상기 절연체는 구조내의 클램핑 요소와 원추형 너트사이의 글라스 패널의 홀형상의 구멍내에서 클램프 나사에의해 고정된다.
청구항 제 1항의 구조적 특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내의 클램핑요소는 이를 통과하는 가요성 관의 선을 가지는 볼타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위해 제공되는 절연 케이지의 비틀림방지수용을 위해 축상의 개구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통하여 하기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에서 도 13은 부착장치의 응력없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며 전류전도는 나타내지 않는다.
도 1에 따른 부착장치는 글라스 패널(2)이 고정된 곳 사이에 두 클램핑 요소(4,5)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보여진 공지된 방법으로 설치된 글라스는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다. 실시예에서, 내부클램핑 요소(5)는 돌출부(53)상에 지지하는 영구 탄성쿠션(19)으로 실행되는 영구 탄성스프링수단이 부착된 원추형 봉합 표면(14)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프링수단은 클램핑요소(5)의 적절한 봉합표면(6)을 실제적으로 형성한다.
보완표면(8)을 가지는 연결벨(10)의 내부봉합면(9)은 상기 봉합표면(6)과 인접한다. 클램프 나사(17)는 클램핑 요소(5)의 보어구멍(16)(도 4 및 도 5)을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목적으로, 관통보어홀(16)에는 암나사(15)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벨 조절나사(18)는 연결벨(10)의 원통형 연장부(21)의 플렌지상의 헤드(24)렌즈를 나사결합하는 암나사(15)와 결합된다.
탄성렌즈(27)는 플렌지(23)와 나사헤드(24)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점에서 분절연결이 도 2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동작부(26)의 한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렌즈가 플렌지의 위치면(28)에서 경사진다.
상기 목적으로, 렌즈(27)에는 보완표면(29)이 설치된다. 바닥(22)의 영역에서 시작하는 연결벨(10)의 원통형 연장부(21)는 받침대(3)를 향하여 경사진 오목하게 만곡된 전면부분(30)을 가진다.
결합너트(31)의 내부 포트 바닥영역(32)은 두 렌즈(34,35)가 연장부(21)의 전면부분과 결합너트(31)의 포드바닥(39)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반대쪽 만곡부분과 일치하게 되며 렌즈의 평형한 표면(33)이 인접하고 한 풀린 렌즈(34)가 볼록표면을 가진 연장부의 전면부분과 인접한다. 한편, 제 2 렌즈(35)는 부착볼트(11)를 수용하는 너트(36)의 통합부분을 형성하고 그 볼록표면은 포트 바닥(39)상에 경사진다. 상기 너트(36)는 결합너트(31)내의 보어구멍(38)을 통하여 동작부(40)로 연장되는 샤프트(37)가 형성된다.
도 1은 결합너트(31)가 연결벨(10)상에서 일반적으로 양 렌즈(34,35)로 이루어지고 강성을 가질 수 있는 특정한 분절연결을 가지는 연장부(21) 영역의 외부나사(20)에의해 나사결합될 때의 상황을 도시한다.
너트(36)(참조 도 10 및 도 11)는 부착볼트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50)를 가지는 포켓보어홀을 가진다. 이에따라 렌치 영역(52)은 너트(36)의 외부 봉합부에 포함되는 영역이다.
도 1은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이격슬리브(49)가 너트(36)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 자체는 받침대(3)를 고정하는 너트(43)에 기대게 된다.
너트(43)와 역너트(44)사이에는 각각 너트(43)와 역너트(44)의 보완위치면(48)에 인접하는 렌즈(46,47)가 설치된다. 상기 렌즈들(46,47)은 받침대(3)에 직접 인접하는 평평한 표면(45)이다.
상기 렌즈(46,47)의 평형한 표면(45)은 받침대(3)에 바로 인접한다. 부착볼트가 침대의 보어구멍(41)을 통하여 가동부(42)로 연장되기 때문에 여기서 다시 허용오차가 생기는 것을 보상할 수 있는 특정한 분절연결이 달성된다.
도 2는 한편으로는 연결벨(10)에 대하여, 다른한편으로는 결합너트(31)에 대하여 조절나사(18)의 샤프트(25)가 연결벨의 영역에서 일치하도록 각이지고 조절된 분절연결(12,13)과 일치하도록, 글라스 패널(2)이 받침대(3)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을 도시하며, 영구탄성스프링 수단(7)에 대하여 연결벨(10)을 배치하는 것이 보여진다.
상기 영구탄성 스프링수단(7)의 위치는 돌출부(53)가 기울어있기 때문에 클램핑 요소(5)에 대하여 바뀔 수 없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필수요소와 일치하는 도 3에다른 실시예는 도 1과는 반대로 외부클램핑요소(4)가 역하강 나사로 작용한다.
축상 개구부는 슬롯구멍에서 절연케이지의 포크형상 섹션이 비틀림저항위치에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절연케이지의 다른 환상 섹션은 글라스 패널의 홀형상 개구부에서 고정되고 볼타전지의 오이어를 향하여 경사진 그루브를 가진다. 상기 그루브는- 바람직하게는 장착된 스프링에- 가요성 배관의 와이어와 연결되는 접촉피스에 위치한다.
절연케이지는 구조내의 클램핑요소와 글라스패널을 고정하는 클램프 나사 사이에 고정된다. 이에따라 절연링은 클램프 나사와 접촉피스사이에 있는 각각의 볼타전지가 와이어에 설치된다.
가요성배관은 상술한바와 같이 구조내의 클램핑 요소와 부유너트를 통하여 당겨지고, 이에따라 바람직하게는 구조에 고정된 받침대 영역에서 다른 강성 분절연결이 가요성 배관을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글라스 패널(101)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진 빙딩의 전면벽에 유리를 끼우는 골격에 설치되어진다.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어서 글라스 패널(101)은 이들 사이에 다수의 볼타전지를 포함하고 서로 접착된 두 개별 패널(102,103)을 포함한다.
상기 볼타전지(104)는볼타전지(104)로부터 전류가 전도함에 따라 서로 연결된 와이어를 가진다.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는 평평한 금속 스트랜드(105)로 이루어진다.
상기 글라스 패널(101)은 부착장치(107)가 위치한 영역에 다수의 홀형상의 구멍(106)을 수반한다. 상기 부착장치(107)는 글라스 패널을 향하여 경사진 내부 고정디스크(108)와 반대편 외부 고정 디스크(109)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세 갈라진 볼트(110)는 상기 고정디스크들(108,109)을 함께 고정한다.
상기 볼트(110)는 고정디스크(108)에서 암나사(11)로 고정되고 고정디스크(109)에서는 구멍을 통하여 연장된다. 두 고정디스크(108,109)는 볼트(110)가 배치되는 영역내와 글라스 패널(101)의 구멍(106)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연장부(113,114)가 설치된다.
예를들어 고무 또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분리된 와셔(115)는 글라스 패널(101)과 고정디스크(108,109)사이에 삽입된다. 외부 고정디스크(109)는 그 중심부에 개구부(117)를 가진다. 상기 개구부(117)에는 캡(116)을 덮는 볼트 형상의 돌출부(118)의 역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글라스 패널(101)이 설치되는 동안 양 고정디스크(108,109)는 틀구조 또는 이와유사한 것에 부착볼트(120)로 글라스 패널(101)과 함께 고정되고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연결부(125)는 전류가 전도되도록 와이어와 함께 금속 스트랜드(105)와 케이블(124)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125)는 플러그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결부는 용접연결될 수 도 있다.
도 16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부착볼트(120)를 연장함에 따라 타원형홀이 설치되고 구조를 향하여 경사진 내부 고정디스크가 있다.
상기 부착볼트(120)는 클램핑 방법으로 고정디스크를 보유하고 상기 고정디스크(108)의 고정면(122)에 기대있는 헤드피스가 형성되어 있다. 유각소켓(127)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은 부착볼트(120)가 나사결합함으로써 헤드피스(121)내에 형성된다. 부착볼트(120)에 대해 상기 고정디스크(108)는 타원형홀의 길이 이상으로 배치가능함에따라 조립허용오차를 보상한다.
부착볼트(120)는 볼타전지(104)로부터 전류를 전도하는 와이어와 함께 형성되고 와이어에 연결부를 구멍내부에서 연결하는 케이블을 연장함에따라 축상으로 연속되는 개구부(123)를 가지고 중공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0에 따른 실시예에서, 부착볼트(120)암나사(126)로 고정디스크(108)에서 나사결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착볼트(120)는 후방단부에서 육각소켓을 나사키에 연결하도록 하는 육각소켓(127)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나타나 있다.
연결부(125) 영역에서 전류를 전도하는 케이블(124)과 금속 스트랜드로 이루어진 와이어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멍(106)은 예를들어 왁스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물질과 같은 저 전도성물질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류를 전도하는 와이어는 즉시 고정디스크들(108,109)사이에서 부착고정부(107)로 들어가고 축상으로 내부고정디스크(108)와 부착볼트(120)를 통하여 나간다. 이같은 이유로, 광학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연결이 발생하지 않고 또는 상기 커넥터는 손상에대해 보호된다.
도 23 내지 도 36에따른 실시예에서, 글라스 패널(202)을 클램핑하는 부착장치201)에는 센터링된 관통 보어구멍(206)이 형성된 연결벨 조절나사(203)가 나타나있다. 도 1에 서술된 바와 마찬가지로 연결벨 조절나사는 연결벨(222)을 가지는 구조내부에서 클램핑요소(214)를 고정한다.
센터링된 관통보어구멍(206)은 상부부분(참조. 도 25)에서 절연체(210)에 연결된 예를들어 수축배관(208)또는 절연튜브에 의해 관통된다.
수축배관(208)을 통과하는 와이어(207)는 절연체가지 유도되고 상기 지점에서는 접촉피스(218)에서 볼타전지(212)의 와이어(211)에 클립(219)을 통하여 연결된다.
절연체(210)는 절연체내에서 구조내부의 클램핑요소(214)내로 관통 보어구멍을 통하여 연장되는 클램프 나사(215)에의해 고정되는 글라스 패널(202)내의 홀형상 구멍(209)내에 배치되고 클램핑 요소(214)와 원추형 너트(221)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절연체 자체는 방사상 슬롯 개구부(216)와 축상 안내 채널(217)을 가지고 이에따라 접촉피스(218)는 피스의 레그(220)가 접촉하고 따라서 볼타전지(212)의 와이어(211)가 접촉하는 방사상 슬롯 개구부(216)내에 배치된다.
도 37 내지 도 53에 따른 실시예에서, 글라스 패널(314)을 클램핑하는 부착장치(301)는 클램프 나사(315)가 중심에서 쓰레드(318)에 의해 연결되는 축상 개구부(303)로 실행되는 구조내의 클램핑 요소(302)를 가진다.
상기 축상개구부는 슬롯형상의 형태를 가지며, 글라스 패널(314)의 구멍(308)내의 외부에 클램핑요소(302)를 너머 돌출하는 환상의 섹션(309)을 가지고 위치하는 절연케이지(307)의 포크형상 섹션(310)을 비틀림없이 수용하도록 한다.
상기 절연케이지는 수축배관(306)의 와이어(305)와 볼타전지(304)의 와이어(311)사이에 전기접촉을 이루는 환상의 접촉피스(313)가 위치되는-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 적재되는- 그루브 내의 볼타전지(304)의 와이어(311)를 향하여 경사진 그루브(312)를 가진다.
절연링(316)은 클램프 나사(315)와 접촉피스(313)사이에 볼타전지(304)의 와이어(311)가 있도록 하고, 절연케이지(307)의 테논형상 연장부(317)를 통하여 수축배관이 절연케이지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술한 부착장치는 동작을 자유롭게하고 힘을 중화하기 때문에 글라스 패널을 탄성적으로 유지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장치는 구조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권고된 기술수준에서 상기 경우에서처럼 강제로 붕괴되는 유리물질의 강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별도의 배관작업을 요하지 않고 발생된 힘을 최적으로 전도시킬 수 있다.
내부인지 외부인지, 볼타전지를 가지는지 않는지에 따라 정밀하게 현수된 글라스 패널에 적용하기 위해, 상기 부착장치는 응력방지 조립에 적절하고 역시 응력없는 영구작동에도 적합하다.

Claims (46)

  1. 사이에서 글라스 패널을 고정하는 한 외측 및 내측 클램핑요소와 내측클램핑요소에서 부착장치의 지지대를 가지는 구조에 고정된 받침대에서 전류를 전도하는 하나이상의 단일변 종전기셀을 포함하는 글라스 패널을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글라스 패널(2,101,202,314)과 대향된 봉합표면(6)상의 내측 클램핑요소(5)가, 연결벨(10)과 부착볼트(11)사이 및 부착볼트(11)와 받침대(3)사이에서 각각 한 강성 분절연결(12,13)이 달성되고 전류를 전도하는 와이어가 상기 부착장치(1,107,201,301)를 통과하는 방법으로 적용가능한 초기 응력을 조절가능한 연결벨(10) 내부 봉합부(9)의 봉합표면(8)에 대해 영구 탄성 스프링 수단(7)에 의해 형성된 원추형 또는 크라운형 표면(봉합표면 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클램핑요소(5)가 글라스패널(2)에 대향된 봉합표면(14)에서 원추형 또는 크라운형 표면(봉합표면 1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내부클램핑요소(5)가 센터링된 관통 보어구멍(16)과 클램핑 요소(4,5)를 연결하는 클램프 나사(17)의 수용을 위한 암나사와 내부클램핑요소(5)를 가지는 연결벨을 결합하는 연결벨조절나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영구탄성쿠션(19)이 글라스 패널(2)과 대향된 내부클램핑 요소(5)의 원추형 또는 크라운형 표면과 연결벨(10)의 보완표면(8)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벨(10)이 받침대(3)를 향하여 경사진 그의 측면에서 연장부 및 연결벨(10)의 바닥(22) 영역의 연결벨사이에 외부나사(20)를 가진 원통형 연장부(21)를 가지고 연결벨 조절나사(18)의 나사헤드(24)를 지지하는 내부로 경사진 플렌지(23)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동작부(2)가 연결벨 조절나사의 플렌지(23)와 샤프트(25)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디스크(렌즈)(7)가 플렌지(23)와 연결벨조절나사의 나사헤드(24)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8. 제 5항 내지 제 7항에 있어서, 플렌지(23)의 위치면(28)과 상기 디스크(렌즈)(27)의 보완표면(28)이 원추형 또는 크라운형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연결벨(10)의 연장부(21)의 전면(30)이 받침대(3)와 만곡된 오목렌즈형상을 향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너트의 내부포트바닥영역(32)에서 연결벨의 연장부(21)의 외부나사(20)와 결합하는 포트형상의 결합너트(31)가 연결벨(10)의 연장부(21)의 전면(30)에대해 대향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연결벨의 연장부의 전면(30)과 결합너트(31)의 포트바닥영역(32)사이에 평평한 표면들(33)과 인접한 두 평면볼록렌즈(34,3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결합너트(31)의 포트바닥영역(32)에 인접한 평면볼록 렌즈(35)가 부착볼트(11)를 수용하는 너트(36)의 한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너트(36)의 샤프트(37)가 결합너트(31)의 포트바닥(39)에서 보어구멍(38)을 통하여 동작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볼트(11)가 받침대(3)에서 보어구멍(41)을 통하여 동작부(42)로 연장되고 상기 받침대(3)는 너트(43)와 역너트(44)사이에 위치하며, 이에따라 한편에서는 너트(43)와 역너트(44)사이에 다른 한편에서는 각 경우 받침대(3)가 상기 받침대에 대해 평평한 표면과 인접하는 평면볼록렌즈(46)가 설치되며, 상기 너트(43) 및 역너트(44)는 상기 렌즈(46,47)에 대하여 보완위치면(48)을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격슬리브(49)가 부착볼트(11)를 수용하는 너트(36)와 받침대(3)를 보유하는 너트(43)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외부 클램핑 요소(4)가 클램핑 디스크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클램핑 요소(4)가 역하강 나사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볼타전지의 전류전도 와이어가 부착장치(107,201,301)를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판 볼타전지(104) 또는 다수의 박판 볼타전지들이 두 개별 글라스 펴널(101)의 패널들(102,103)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20. 제 1항 내지 제 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장치(107)가 바람직하게는 나사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들 사이에 글라스 패널(101)이 고정되는 두 고정디스크(108,109)를 포함가고 이에따라 전류전도 와이어가 즉시 고정디스크(108,109)사이에 들어가고 고정디스크(108)중 하나에서 축상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21. 제 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고정디스크(108,109)가 글라스 패널(101)의 구멍(106)으로 늘려지는 원통형 연장부(113,11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22. 제 1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디스크(108,109)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연장부(113,114)의 영역에 배치되는 갈라진 볼트(110)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23.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류전도와이어가 고정디스크(108,109)의 영역에서 연결부(12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글라스 패널(101) 내의 볼타전지(104)로부터 전류를 전도하는 와이어가 연결부(125)에 의해 각각 표준와어이인 케이블(124), 둥근와이어 에 연결되는 평평한 금속 스트랜드(1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25. 제 23항 또는 제 24항에 있어서, 연결부(125)가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26. 제 1항 내지 제 25항에 있어서, 하나의 고정디스크(108)가 볼타전지(104)로부터 전류를 전도하는 와이어의 캐이블(124)을 통과함으로써 및 중공실린더로 작용하는 부착볼트(120)에 의해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부착볼트(120)가 클램핑 방법으로 고정디스크(108)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부착볼트(120)가 고정디스크(108)의 타원형 홀(119)을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29. 제 1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고정디스크(109)가 캡(116)으로 덮인 축상 개구부(11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개구부(117)가 캡(116)의 볼트형상 돌출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31. 제 1항 내지 제 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멍(106)이 절연합성물질, 왁스 또는 이와유사한 것으로 채워지고 와이어가 상기 물질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이 합성물질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33. 제 1항 내지 제 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볼트(120)가 육각소켓(127)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34. 제 1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너트(204)에 의해 고정되고 부착볼트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벨 조절나사(203) 및 부유나사(205)가 전류를 전도하는 외장 가요성 케이블(207)을 가진 가요성 배관(수축 배관 208)의 수용을 위해 센터링된 관통보어구멍(20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35. 제 1항 내지 제 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체(210)가 글라스 패널(202)의 홀형상 구멍(209)내에 배치되고 볼타전지(212)의 와이어(211)가 상기 절연체(210)내의 외장 가요성 케이블(20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36. 제 1항 내지 제 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체(210)가 구조내의 클램핑요소(214)를 가지는 글라스 패널(202)을 고정하는 클램프 나사(215)의 관통을 위해 두 관통보어구멍(21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37. 제 1항 내지 제 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체(210)가 둘 이상의 방사상 슬롯 개구부(216)를 가지고 축상 안내채널(217)이 전기적 와이어(207,211)의 수용을 위해 각각의 방사상 슬롯 개구부(21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38. 제 1항내지 제 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가요성 전류 컬렉터(접촉피스 218)가 상기 방사상 슬롯 개구부(216)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39. 제 1항 내지 제 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10)가 상기 구조내의 클램핑 요소(214)와 글라스 패널(202)을 고정하는 원추형 너트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40. 제 1항 내지 제 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내의 클램핑요소(302)가 상기구조내의 클램핑 요소(302)를 토??여 연장되는 가요성 배관(수축배관 306)의 와이어(305)를 가지는 볼타전지(304)의 전기적연결을 형성하기위해 제공되는 절연케이지의 비틀림없는 수용을 위해 축상 개구부(30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41. 제 1항 내지 제 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케이지(307)가 글라스 패널(314)의 홀형상구멍(308)내에 보유된 환상의 섹션(309)과 구조내의 클램핑요소(302)내에 보유된 포크형상 섹션(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42. 제 1항 내지 제 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타전지(304)의 와이어를 향하여 열리는 그루브(312)가 절연케이지(307)의 환상의 섹션(309)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43. 제 1항 내지 제 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피스(313)가 볼타전지(304)의 와이어와 인접하고 가요성 배관(수축배관 306)의 와이어(305)와 연결되는 그루브(312)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44. 제 42항 내지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피스(313)가 볼타전치(304)의 와이어에 하중이 걸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45. 제 1항 내지 제 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패널(314)이 상기 구조 외부의 클램프 나사(315)와 상기 구조내부의 클램핑 요소(302)사이에 고정되고 절연링(316)이 클램프 나사(315)와 접촉피스(313)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46. 제 1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배관(수축배관 306)이 절연케이지(307)의 포크형상섹션(310)의 테논형상 연장부(31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장치.
KR1019997011924A 1998-06-04 1999-05-28 구조에 고정된 받침대에 글라스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KR20010013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095498A AT408005B (de) 1998-06-04 1998-06-04 Glasscheibe mit einem befestigungsbeschlag
ATA954/98 1998-06-04
DE19915193A DE19915193C1 (de) 1999-04-06 1999-04-06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Glasplatte an einer gebäudeseitigen Halterung
DE19915193.8 1999-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902A true KR20010013902A (ko) 2001-02-26

Family

ID=2559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924A KR20010013902A (ko) 1998-06-04 1999-05-28 구조에 고정된 받침대에 글라스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6254397B1 (ko)
EP (1) EP1025329B1 (ko)
JP (1) JP2002517642A (ko)
KR (1) KR20010013902A (ko)
CN (1) CN1133790C (ko)
AP (1) AP9901701A0 (ko)
AT (1) ATE261050T1 (ko)
AU (1) AU740962B2 (ko)
BG (1) BG63093B1 (ko)
BR (1) BR9906482A (ko)
CA (1) CA2297742A1 (ko)
DE (1) DE59908736D1 (ko)
EA (1) EA001121B1 (ko)
HK (1) HK1029613A1 (ko)
HU (1) HU222895B1 (ko)
IL (1) IL132870A (ko)
IS (1) IS5287A (ko)
NO (1) NO20000543L (ko)
NZ (1) NZ501403A (ko)
SK (1) SK1342000A3 (ko)
TR (1) TR199903153T1 (ko)
WO (1) WO19990631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81B1 (ko) * 2006-08-08 2008-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캠볼트 유닛
KR20160007593A (ko) * 2013-06-14 2016-01-2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삼중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5193C1 (de) * 1999-04-06 2000-11-16 Dorma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Glasplatte an einer gebäudeseitigen Halterung
DE19938250C2 (de) * 1999-08-12 2003-06-18 Vetrotech Saint Gobain Int Ag Befestigung zum Haltern einer Verbundscheibe
DE19938571A1 (de) * 1999-08-17 2001-02-22 Dorma Gmbh & Co Kg Klemmbeschlag für die Befestigung von Glasscheiben
DE19939172C2 (de) * 1999-08-20 2003-08-28 Dorma Gmbh & Co Kg Punktförmige Halterung
DE19945196C2 (de) * 1999-09-21 2001-09-20 Dorma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Glasscheibe
DE19945197C1 (de) * 1999-09-21 2001-07-05 Dorma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Glasscheibe
CA2353591C (en) 1999-10-04 2007-12-04 Lothar Ginzel Fixing device for panels
EP1091076B1 (de) 1999-10-04 2005-11-30 Alfons Oberhofer Punkthalterung für Platten
DE19958622C1 (de) 1999-12-06 2001-08-23 Dorma Gmbh & Co Kg Klemmbeschlag für eine Glasplatte
WO2001063082A1 (de) * 2000-02-25 2001-08-30 Dorma Gmbh + Co. Kg Verbindungsbrücke zur verbindung von glaswandsegmenten, die mit solarpaneelen ausgestattet sind
EP1278929A1 (de) * 2000-04-26 2003-01-29 DORMA GmbH + Co. KG Klemmbeschlag für die befestigung von glasscheiben
DE10049304C1 (de) * 2000-10-04 2002-05-23 Dorma Gmbh & Co Kg Verbindungsbrücke zur Verbindung von Solarmodulen mit einer Unterkonstruktion oder einer Wand
DE10050614C1 (de) * 2000-10-12 2002-02-07 Dorma Gmbh & Co Kg Solarmodul
DE10052529A1 (de) * 2000-10-23 2002-05-16 Dorma Gmbh & Co Kg Solarmodul
DE10062697B4 (de) * 2000-12-15 2006-06-08 Rbs Genius Gmbh Verfahren zum Aufstellen von Solarenergiemodulen auf nicht stabilisiertem Untergrund und Solarenergieanlage
DE10122370C2 (de) * 2001-05-09 2003-06-12 Sws Glasbaubeschlaege Gmbh Punkthalter
US6672018B2 (en) * 2001-10-12 2004-01-06 Jefferson Shingleton Solar module mounting method and clip
JP4429016B2 (ja) * 2001-11-16 2010-03-10 ファースト ソー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起電アレイ
US6617507B2 (en) 2001-11-16 2003-09-09 First Solar, Llc Photovoltaic array
FR2849889B1 (fr) * 2003-01-15 2005-02-18 Saint Gobain Systeme permettant un assemblage entre au moins une feuille de verre et un autre objet, feuille de verre equipee d'un tel systeme et application d'une telle feuille
US6959517B2 (en) * 2003-05-09 2005-11-01 First Solar, Llc Photovoltaic panel mounting bracket
DE10334227B3 (de) * 2003-07-28 2005-02-24 SWS Gesellschaft für Glasbaubeschläge mbH Punkthalter
JP2007515574A (ja) * 2003-09-16 2007-06-14 レノヴィジオン・インジェニエールゲゼルシャフト・フュア・フェンスター・ウント・ファサーデ・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正面用の支持フレームワーク
DE102005050884A1 (de) * 2005-10-21 2007-04-26 Systaic Deutschland Gmbh Photovoltaikmodul,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System mit mehreren Photovoltaikmodulen
EP2056358B1 (de) * 2005-10-21 2012-03-28 Ubbink B.V. Photovoltaikmodul mit einem Halterahmen aus Kunstoff
US20080005983A1 (en) * 2006-07-10 2008-01-10 Epco Architecture Hardware (Taiwan) Corp. Glass curtain fixing device
US20080010921A1 (en) * 2006-07-12 2008-01-17 Epco Architecture Hardware (Taiwan) Corp. Glass curtain supporting device
DE102007012234A1 (de) * 2007-03-12 2008-09-18 Webasto Ag Elektrisches Verbindungselement
NL2001200C2 (nl) * 2008-01-18 2009-07-21 Walraven Holding Bv J Van Bevestiging voor zonnepanelen.
DE102008010712B4 (de) * 2008-02-21 2012-03-08 Solon Se Photovoltaikmodul mit Windsogsicherungen für Flachdächer
US20090230265A1 (en) 2008-03-17 2009-09-17 Michael Newman Mounting System for Photovoltaic Panels
US8628049B2 (en) * 2008-06-20 2014-01-14 3Form, Inc. Low-profile fastener assemblies, panel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DE202008009391U1 (de) * 2008-07-12 2009-11-26 SWS Gesellschaft für Glasbaubeschläge mbH Punkthalter
DE102008051717A1 (de) * 2008-10-18 2010-04-22 Kl Megla Gmbh Vorrichtung zur Stromerzeugung
WO2010058011A2 (en) * 2008-11-24 2010-05-27 Oerlikon Solar Ip Ag, Trübbach Photovoltaic module and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same
US8732940B2 (en) * 2009-03-12 2014-05-27 Clean Ener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photovoltaic panels
JP4465406B1 (ja) * 2009-04-16 2010-05-19 株式会社屋根技術研究所 連結部材
US8962973B2 (en) 2009-12-17 2015-02-24 Tel Solar Ag Mounting interface for a photovoltaic module
AU2011312055A1 (en) * 2010-10-05 2013-04-04 Dynoraxx, Inc. Mount for pitched roof and method of use
WO2012097779A1 (de) * 2010-12-30 2012-07-26 Gartner Steel And Glass Gmbh Haltevorrichtung für flächenelemente
KR200469295Y1 (ko) * 2011-09-27 2013-10-02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태양광 지붕패널 접합부 구조
CN103557211B (zh) * 2013-10-30 2015-10-14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外召盒的安装结构
US10562274B1 (en) * 2016-02-22 2020-02-18 Apple Inc. Glass fastening and sealing systems
USD957925S1 (en) * 2018-11-20 2022-07-19 Jose Orlando Matus, Jr. Glass fastener
RU188235U1 (ru) * 2019-01-31 2019-04-03 Ашот Беджанович Оганесян Стеклодержатель
CN110965717B (zh) * 2019-11-13 2021-06-01 上海昊沣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圆盘石材干挂饰面
CN111634381B (zh) * 2020-05-29 2021-12-17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标准化分舱的多功能圆筒形浮体及其舱室标准结构
CN112031220B (zh) * 2020-08-13 2021-08-20 安徽方舟建筑安装有限公司 一种便于组装的玻璃幕墙及方法
CN112709364B (zh) * 2020-12-28 2022-06-10 深圳市冠泰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玻璃幕墙安装连接件
CN114592620A (zh) * 2022-03-25 2022-06-07 深圳粤源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风铃幕墙拉索的固定构件及风铃幕墙
CN117578254B (zh) * 2024-01-19 2024-03-29 四川电器集团中低压智能配电有限公司 一种智能箱式大电流环保气体绝缘开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054B2 (ja) 1989-03-30 1996-03-29 株式会社平井技研 屋根装置
DE3927653A1 (de) * 1989-08-22 1991-03-14 Danz Robert Halterung fuer eine biegemomentfreie lagerung von wand- oder deckenplatten
FR2713258B1 (fr) * 1993-11-30 1996-02-09 Saint Gobain Vitrage Liaison mécanique entre un élément vitré et une structure porteuse.
DE4400979C2 (de) * 1994-01-14 1997-07-24 Gartner & Co J Halterung zur Lagerung einer Platte
DE4445724C2 (de) * 1994-12-21 1997-08-07 Gartner & Co J Befestigungsanordnung von Platten
DE19519526A1 (de) * 1995-05-27 1996-11-28 Seele Gmbh Halterung für Platten
DE19519527C2 (de) * 1995-05-27 1999-11-18 Seele Gmbh Halterung für Platten
DE19528489C2 (de) * 1995-08-03 2000-03-30 Arnold Gmbh Glasscheibenhalter, insbesondere für Vordächer
GB9600773D0 (en) * 1996-01-15 1996-03-20 Pilkington Glass Ltd Suspended sheet assemblies
DE29617870U1 (de) * 1996-10-16 1998-01-22 Titze Michael Dipl Ing Fh Solar-Fassadenel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81B1 (ko) * 2006-08-08 2008-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캠볼트 유닛
KR20160007593A (ko) * 2013-06-14 2016-01-2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삼중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G63093B1 (bg) 2001-03-30
AP9901701A0 (en) 2000-11-28
TR199903153T1 (xx) 2000-07-21
CA2297742A1 (en) 1999-12-09
NO20000543D0 (no) 2000-02-02
HK1029613A1 (en) 2001-04-06
HU222895B1 (hu) 2003-12-29
AU4502699A (en) 1999-12-20
NZ501403A (en) 2001-06-29
SK1342000A3 (en) 2000-12-11
WO1999063193A1 (de) 1999-12-09
CN1133790C (zh) 2004-01-07
EA001121B1 (ru) 2000-10-30
DE59908736D1 (de) 2004-04-08
IS5287A (is) 1999-12-06
BR9906482A (pt) 2000-09-26
EA200000095A1 (ru) 2000-06-26
AU740962B2 (en) 2001-11-15
NO20000543L (no) 2000-02-02
ATE261050T1 (de) 2004-03-15
CN1266469A (zh) 2000-09-13
HUP0003247A2 (hu) 2001-02-28
IL132870A (en) 2003-02-12
EP1025329B1 (de) 2004-03-03
EP1025329A1 (de) 2000-08-09
JP2002517642A (ja) 2002-06-18
IL132870A0 (en) 2001-03-19
BG103939A (en) 2000-05-31
US6254397B1 (en) 2001-07-03
HUP0003247A3 (en) 200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3902A (ko) 구조에 고정된 받침대에 글라스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US10686401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nd covering a clamping device for solar panel modules
CA2332784A1 (en) Device for fixing a glass panel to a support at the side of a building
KR20160067137A (ko) 장착 브라켓 조립체 및 방법
CA2347729A1 (en) Point fitting for insulating glass panes
US5648749A (en) Cartridge fuse mounting structure
US8672702B2 (en) Electrical conductor arrangement as a component of a photovoltaic array
CN209487732U (zh) 一种防水型电缆
JP4150558B2 (ja) 配電架空線路に遠隔設置するための絶縁分岐コネクタ
KR102047511B1 (ko) 볼트 프리 컷 아웃 스위치
CN219678019U (zh) 一种电线电缆支撑装置
MXPA00000972A (en) Device for fixing a glass panel to a support at the side of a building
CN217782623U (zh) 一种防冷桥单元、光伏屋面用支座及光伏屋面
CN212063410U (zh) T型引流装配式耐张线夹
CN216467561U (zh) 导线防水结构及警示灯
CN116111499A (zh) 一种16t通用型多功能卡具
CN218767399U (zh) 一种热熔型光纤连接器
CN215816446U (zh) 一种便于安装的穿透夹
CN215989317U (zh) 一种引脚固定工装及固定组件
CZ9904485A3 (cs) Připevňovací zařízení pro připevnění skleněné tabule v ukotvení, připevněném ke konstrukci
KR0135245Y1 (ko) 가공지선 설치용 지지대
CN213685476U (zh) 一种稳固连接阀门的电动执行器
CN214041807U (zh) 一种光纤接头保护套
CN214225541U (zh) 一种新型多功能光纤夹具
CN111555693B (zh) 一种厂房屋顶的太阳能发电板紧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