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405A - 코팅제, 그의 제조 방법, 및 특히 플라스틱을 코팅하기위한 코팅 래커 또는 투명 래커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코팅제, 그의 제조 방법, 및 특히 플라스틱을 코팅하기위한 코팅 래커 또는 투명 래커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405A
KR20010013405A KR19997011406A KR19997011406A KR20010013405A KR 20010013405 A KR20010013405 A KR 20010013405A KR 19997011406 A KR19997011406 A KR 19997011406A KR 19997011406 A KR19997011406 A KR 19997011406A KR 20010013405 A KR20010013405 A KR 20010013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coating composition
light stabilizer
aci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406A
Other languages
German (de)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호르스트 힌츠-브뤼닝
패트릭 반엔데
Original Assignee
베른하르트 클루트
바스프 코팅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옌스 피셔
한드룽스베볼매크티그테르 프로쿠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314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1340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베른하르트 클루트, 바스프 코팅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옌스 피셔, 한드룽스베볼매크티그테르 프로쿠리스트 filed Critical 베른하르트 클루트
Publication of KR2001001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40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63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62 with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80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1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A); b) 1종 이상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B); c) 유리 또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1종 이상의 디-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C); d) UV 흡수제 기재의 1종 이상의 광 안정화제(L1); e) 입체 장애 아민 기재의 1종 이상의 광 안정화제(L2); 및 f) 1종 이상의 유기 용매(D)를 포함하는 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코팅제는 1) 폴리에스테르(A)가 80-200 mg KOH/g의 히드록실가 및 10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갖고; 2)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B)가 80-200 mg KOH/g의 히드록실가 및 20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가지며; 3) 입체 장애 아민 기재의 광 안정화제(L2)가 아미노 에테르에 의해 기능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팅제, 그의 제조 방법, 및 특히 플라스틱을 코팅하기 위한 코팅 래커 또는 투명 래커로서의 용도 {Coating Agent,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as Coating Lacquer or Transparent Lacquer, in particular for Coating Plastics}
본 발명은
a) 1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
b) 1종 이상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
c) 유리 또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1종 이상의 디-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C),
d) UV 흡수제 기재의 1종 이상의 광 안정화제(L1),
e) 입체 장애 아민 기재의 1종 이상의 광 안정화제(L2), 및
f) 1종 이상의 유기 용매 (D)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특히 플라스틱을 코팅하기 위한 탑코트(topcoat) 또는 클리어코트(clearcoat)로서의 코팅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현업계에서, 플라스틱을 기재로 하는, 금속 성분과 함께 사용되며, 코팅을 필요로 하는 성형 구성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 부분에서부터 그 범위가 증가하고 있는, 예를 들면, 범퍼 라이닝, 스포일러, 실, 휠-아치 라이닝 및 측면 장식 또는 보호용 스트립과 같이 플라스틱 부품으로 제조되는 자동차 구성품에 적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성형 구성품에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분획에 기준하여 5 중량%를 초과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함량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블렌드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UV 복사 및 습기와 같은 옥외폭로의 영향에 민감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노출되었을때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황변, 물러짐 또는 크래킹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클리어코트 또는 탑코트를 갖는 자동차 외부 구성품으로서 그들을 사용한 결과로서 옥외폭로 효과에 노출되는 플라스틱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UV 복사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피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기 위하여, 광 안정화제를 상기 목적에 사용되는 코팅 재료에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한 광 안정화제의 제조 필요 조건은 다양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첨가제는 코팅 재료의 기계적 및 화학적 특성에 부작용을 주어서는 안된다. 또한, 이러한 첨가제는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UV 복사에 안정하며, 또한 색이 밝아야 하고, 음영에 안정하고, 혼합이 용이하고, 코팅 재료의 다른 성분과 상용가능해야 한다. 실제로, 코팅 재료에 있어서 다수의 상이한 광 안정화제 및 그의 용도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벤조페논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트리아진, 아크릴레이트, 살리실레이트, 옥사졸린, 유기 니켈 화합물, 페로센 유도체, 입체 장애 아민 유도체 등이 개별적으로 또는 배합되어 광 안정화제로 사용된다.
다수의 광 안정화제 및 클리어코트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채색된 열가소성플라스틱, 특히 큰 표면적의 자동차 외부 구성품으로 사용되는 것에 있어서의 코팅에는 여전히 큰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 언급한 내후 안정성에 추가하여, 사용된 코팅 재료는 실제로 플라스틱 기재에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고, 양호한 화학적 내성 및 실온에서 양호한 강도를 갖고, -20 내지 -30℃의 저온에서도 유연한 파열 거동을 동시에 나타내는 가수분해-내성 시스템(즉, 습기에 노출된 후에도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냄)이 요구된다. 또한, 플라스틱의 코팅 분야에 있어서, 사용된 코팅 조성물이 저온에서 경화될 수 있고(일반적으로 100℃ 미만), 이러한 저온에서 경화가 될지라도 필름이 목적하는 특성을 갖는 추가의 필요조건이 존재한다.
DE-A-43 26 670은 가교결합제로서 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요구되는 경우 추가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및(또는) 중축합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폴리우레탄 코팅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또한 자동차의 재마무리 분야 및 플라스틱 코팅을 위한 클리어코트로서의 그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광 안정화제로서, 클리어코트는 UV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진과 입체 장애 아민 기재의 광 안정화제(Tinuvin292, Ciba Geigy,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 기재의 광 안정화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EP-B-455 211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거나 그를 포함하는 애벌칠하지 않은 플라스틱 기재의 직접 코팅을 위한 유효한 기재코트를 개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기 유효한 기재코트는 물리적으로 건조 결합제 뿐만 아니라 셀룰로오스 아세토부티레이트 및 0.5 내지 15 중량%의 1종 이상의 염소화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한다. 그러나, 클리어코트 및 탑코트는 EP-B-455 211에 기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생성된 코팅의 양호한 내후 안정성과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이 조합되고, 양호한 화학적 내성 및 실온에서 양호한 강도를 갖고, -20 내지 -30℃의 저온에서도 유연한 파열 거동을 나타내는 가수분해-내성 시스템(즉, 습기에 노출된 후에도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냄)이 되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놀랍게도,
1) 폴리에스테르 (A)가 80 내지 200 mg KOH/g의 OH가 및 10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가지고,
2)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가 80 내지 200 mg KOH/g의 OH가 및 20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가지고,
3) 입체 장애 아민 기재의 광 안정화제 (L2)가 아미노 에테르 기능화되는, 앞에서 나타낸 형태의 코팅 조성물에 의해 이러한 목적이 성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특히 플라스틱을 코팅하기 위한 탑코트 또는 클리어코트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특정 결합제 배합물 및 특정 광 안정화제 배합물의 동시 사용에 의해서, 착색된 플라스틱용 보호 코팅으로서 적절한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고, 그러한 코팅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부여되는 모든 필요조건에 부합되게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놀라운 것이고 예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생성된 코팅은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양호한 접착력과 결부하여 양호한 내후 안정성으로 뛰어나다. 또한, 양호한 화학적 내성 및 실온에서 양호한 강도 및 -20 내지 -30℃의 저온에서의 유연한 파열 거동을 나타내는 가수분해-내성 시스템(즉, 습기 노출후 양호한 접착력)이 된다.
하기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의 개별 성분은 모두 최초로 밝히는 것이다.
a) 80 내지 200 mg KOH/g,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80 mg KOH/g의 OH가를 갖고, 10 mg KOH/g 미만, 바람직하게는 5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갖는 1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A), 및
b) 80 내지 200 mg KOH/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mg KOH/g의 OH가를 갖고, 20 mg KOH/g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갖는 1종 이상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의 혼합물을 결합제로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이 본 발명에 필수적이다.
코팅 조성물은 혼합물이
a) 4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 중량%의 성분 (A), 및
b) 60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30 중량%의 성분 (B)로 구성되도록 하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들(성분 (A))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수지들(성분 (B))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치는 각 경우 수지의 고체 함량에 기준한 것이며, 성분 (A) 및 (B)의 중량%의 합은 각 경우에 100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A)의 양과 사용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의 양의 합이 각 경우에 결합제의 고체 함량 및 기본 코팅 재료의 총 중량(가교결합제 성분 (C)를 제외함)을 기준으로 30 내지 7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가 되는 양으로 결합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추가로 사용된다.
상기 언급된 OH가 및 산가를 갖는 모든 폴리에스테르는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에 사용되기에 원칙적으로 적절하다. 폴리에스테르 (A)는 700 내지 15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p1) 요구되는 경우 모노카르복실산과 함께한 디- 및(또는)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그들의 에스테르화가 가능한 유도체,
p2) 디올,
p3) 요구되는 경우 모노올과 함께한 폴리올, 및
p4) 요구되는 경우, 추가의 개질 성분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올 및 모노카르복실산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불포화 지방산이 없는 폴리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p1)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디- 및 폴리카르복실산으로 언급될 수 있는 예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족 디- 및 폴리카르복실산이 있다. 성분 (p1)으로서, 방향족 디- 및 폴리카르복실산, 요구되는 경우 지방족 디- 및 폴리카르복실산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폴리카르복실산의 예로는 테트라클로로- 및 테트라브로모프탈산,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아젤라산, 세바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트리멜리트산, 파이로멜리트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4-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 엔도메틸렌테트라히드로프탈산, 트리시클로데칸디카르복실산, 엔도에틸렌헥사히드로프탈산, 캄포르산, 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같은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할로프탈산등이 있다. 지환족 폴리카르복실산이 그들의 시스 및 트랜스 형태 모두 및 두 형태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폴리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화가 가능한 유도체, 예를 들면, 그들의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코올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히드록시 알코올의 모노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언급한 산의 무수물을 그들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요구되는 경우에, 폴리카르복실산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모노카르복실산의 예로는 벤조산, tert-부틸벤조산, 라우르산, 이소노난산 및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일의 수소화된 지방산이 있고, 이소노난산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A)를 제조하는데 적절한 디올 (p2)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히드록시피발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시클로헥산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메틸펜탄디올 및 에틸부틸프로판디올이 있다. 또한, 직쇄 또는 분지쇄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폴리(옥시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지방족 폴리에테르디올 및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혼합된 폴리에테르디올이 적절하다. 폴리에테르디올은 대개 400 내지 3000의 몰 질량(Mn)을 갖는다.
추가로 사용가능한 디올에는 2-알킬-2-페닐프로판-1,3-디올, 에테르 관능기를 갖는 비스페놀 유도체 등과 같은 방향족 또는 알킬방향족 디올이 있다.
추가로 적절한 디올에는 히드록시카르복실산과 디올의 에스테르가 포함되며, 사용되는 디올은 상기언급된 디올일 수 있다.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예로는 히드록시피발산 또는 디메틸올프로판산이 있다.
성분 (p3)로서 적절한 폴리올의 예로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호모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 1,2,4-부탄트리올, 프로판- 및 헥산트리올, 및 트리스히드록시메틸(에틸)에탄산과 같은 트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이 있다. 3개 이상의 OH기를 갖는 폴리올은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경우 트리올은, 예를 들면, 부탄올, 옥탄올, 라우릴 알코올, 시클로헥산올, tert-부틸시클로헥산올, 에톡시화 및 프로폭시화된 페놀과 같은 1가 알코올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A1)을 제조하기에 성분 (p4)로서 특히 적절한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의 관능기에 반응성인 기를 갖는 것들이다. 개질 성분 (p4)으로서, 디에폭시드 화합물, 또한 모노에폭시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절한 성분 (p4)는, 예를 들면, DE-A-40 24 204의 페이지 4, 4-9줄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A)를 제조하기 위한 성분 (p4)으로서 적절한 것은 폴리에스테르 (A)의 관능기에 반응성인 기 이외에 3급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그 예로는 하나 이상의 3급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나 이상의 3급 아미노기를 갖는 메르캅토 화합물이 있다. 자세한 것은 DE-A-40 24 204, 페이지 4, 10-49줄을 참조한다.
폴리에스테르 (A)는, 예를 들면, DE-A-40 24 204, 페이지 4, 50-65 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공지된 에스테르화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이 경우 반응은 대개 180 내지 280℃의 온도에서,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옥토산 리튬, 산화 디부틸리튬, 디라우르산 디부틸주석, 파라-톨루엔술폰산 등과 같은 적절한 에스테르화 촉매의 존재하에 진행한다.
폴리에스테르 (A)의 제조는 대개 공용제로서 소량의 적절한 용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사용되는 공용제의 예로는 특히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및,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과 같은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가 있다. 그러나, 용매없이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벌크식 반응).
또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기에 원칙적으로 적절한 것은 상기 언급한 OH가 및 산가를 갖는 모든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2500 내지 5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α위치의 탄소 원자에 분지된 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를 공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면, 상품명 Cardura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a) 본질적으로 산기가 없고 공중합이 가능하지만 (a2), (a3), (a4), (a5) 및 (a6)와는 상이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그러한 단량체의 혼합물,
a2) 분자당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갖고 있고, 본질적으로 산기가 없고, (a5)와 상이하며 (a2), (a3), (a4), (a5) 및 (a6)와 공중합이 가능한 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단량체, 또는 그러한 단량체의 혼합물,
a3) 상응하는 산 음이온기로 전환이 가능한 산기를 분자당 하나 이상 갖고 있고, (a1), (a2), (a4), (a5) 및 (a6)과 공중합이 가능한 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단량체, 또는 그의 혼합물,
a4) 요구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비닐방향족 탄화수소,
a5)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과 분자당 5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분지된 모노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1종 이상의 반응 생성물, 또는 반응 생성물 대신 중합 반응 중 또는 후에 분자당 5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분지된 모노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와 반응되는 동일량의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
a6) 요구되는 경우, 본질적으로 산기가 없고, (a1), (a2), (a3), (a4) 및 (a5)와 공중합이 가능하지만, (a1), (a2), (a4) 및 (a5)와는 상이한, 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단량체 또는 그의 혼합물을, 1종 이상의 중합 개시제 및, 적절한 경우 조절제의 존재하에 유기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에서 중합시켜 얻을 수 있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a1), (a2), (a3), (a4), (a5) 및 (a6)의 성질 및 양은 목적하는 OH가, 산가 및 목적하는 분자량을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가 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성분 (a1)으로 본질적으로 산기가 없고 (a2), (a3), (a4), (a5) 및 (a6)과 공중합 가능한 (메트)아크릴산의 임의의 에스테르 또는 그러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헥실, 에틸헥실, 스테아릴 및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 라디칼 중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tert-부틸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지환족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그 예이다.
성분 (a1)으로, 바람직하게는 550의 수-평균 분자량(Mn)을 갖는 에틸트리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톡시올리고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기타 에톡시화되고(되거나) 프로폭시화된 히드록실이 없는 (메트)아크릴산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성분 (a2)로서, 분자당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갖고 있고, 본질적으로 산기가 없고, (a1), (a2), (a3), (a4), (a5) 및 (a6)와 공중합이 가능하고, (a5)와는 상이한 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단량체 또는 그러한 단량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또다른 α,β-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카르복실산의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가 그 예이다. 이들 에스테르는 산으로 에스테르화되는 알킬렌 글리콜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거나, 산과 알킬렌 옥시드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성분 (a2)로서 히드록시알킬기가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 ε-카프로락톤과 같은 시클릭 에스테르 및 이들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의 반응 생성물, 또는 이러한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 및(또는) ε-카프로락톤-개질된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히드록시 알킬 에스테르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4-히트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에타크릴산, 크로톤산 및 분자당 약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유사한 산과 같은 다른 불포화 산의 상응하는 에스테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a2)로서, 또한 올레핀형으로 불포화된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는 트리메틸올프로판 모노알릴 에테르가 성분 (a2)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될 경우 얻어진다. 트리메틸올프로판 모노알릴 에테르의 분획은 통상적으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량체 (a1) 내지 (a6)의 총중량에 기준하여 2 내지 10 중량%이다. 그러나, 이에 추가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량체의 총 중량에 기준하여 2 내지 10 중량%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모노알릴 에테르를 완성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에 가할 수 있다. 특히 트리메틸올프로판 모노알릴 에테르와 같은 올레핀형으로 불포화된 폴리올은 독점적인 히드록실기 포함 단량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특히 상기언급된 히드록실기 포함 단량체들중 다른 것과 부분적으로 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성분 (a3)로서, 분자당 하나 이상의 산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를 갖고 있고, (a1), (a2), (a4), (a5) 및 (a6)와 공중합이 가능한 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단량체 또는 그러한 단량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a3)로서,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별법으로, 분자내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카르복실산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산의 예로는 에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이 있다. 또한, 성분 (a3)로서 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술폰산 또는 포스폰산, 및(또는) 그의 부분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성분 (a3)로서, 말레산 모노(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에스테르, 석신산 모노(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에스테르 및 프탈산 모노(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성분 (a4)로서, 스티렌, α-알킬스티렌 및 비닐톨루엔과 같은 비닐방향족 탄화수소가 사용된다.
성분 (a5)로서,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과 분자당 5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분지된 모노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와의 반응 생성물이 사용된다. 크게 분지된 모노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는 "Cardura"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된다.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3급 α-탄소 원자를 갖는 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와의 반응을 중합 반응 이전, 중 또는 후에 수행할 수 있다. 성분 (a5)로서,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과 베르사트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와의 반응 생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글리시딜 에스테르는 상품명 "Cardura E10"으로 시판된다.
성분 (a6)로서, 본질적으로 산기가 없고, (a1), (a2), (a3) 및 (a4)와는 상이하고, (a1), (a2), (a3), (a4) 및 (a5)와 공중합이 가능한, 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단량체 또는 그러한 단량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a6)로서, 분자내에 5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분지된 모노카르복실산의 1종 이상의 비닐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분지된 모노카르복실산은 포름산 또는 일산화 탄소 및 물과 올레핀을 액체의 강산성 촉매하에 반응시켜 얻을 수 있고, 올레핀은 미네랄 오일 분획과 같은 파라핀성 탄화수소의 크래킹 생성물일 수 있으며, 분지쇄 및 직쇄의 아크릴산 및(또는) 지환족 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올레핀과 포름산 또는 일산화 탄소 및 물과의 반응은 카르복실기가 4급 탄소 원자에 주로 위치하는 카르복실산의 혼합물을 생성한다. 기타 올레핀성 출발 물질은, 예를 들면, 프로필렌 삼량체, 프로필렌 사량체 및 디이소부틸렌이다. 별법으로, 비닐 에스테르는 통상의 방식으로, 예를 들면, 산을 아세틸렌과 반응시킴으로써 산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α 탄소 원자상에서 분지된, 9 내지 1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된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그들이 즉시 입수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a6)로서, 폴리실록산 거대단량체를 성분 (a6)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열거한 다른 단량체와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폴리실록산 거대단량체는 1000 내지 40000 dalton,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10000의 수-평균 분자량(Mn)을 갖고, 분자당 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이중 결합을 평균적으로 0.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개를 갖는 것들이다. 적절한 예로는 DE-A 38 07 571, 페이지 5-7, DE-A 37 06 095, 칼럼 3-7, EP-B 358 153, 페이지 3-6 및 US-A 4,754,014, 칼럼 5-9에 기술된 폴리실록산 거대단량체가 있다. 또한, 상기언급된 분자량 및 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이중 결합의 농도를 갖는 기타 아크릴옥시실란을 포함하는 비닐 단량체가 적절하고, 그 예로는 히드록시-관능의 실록산을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킨후, 반응 생성물을 메타크릴산 및(또는) (메트)아크릴산의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와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이 있다.
성분 (a6)로서 DE-A 44 21 823에 기재된 폴리실록산 거대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a6)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폴리실록산 거대단량체의 예로는 WO 92/22615, 페이지 12, 18 줄 내지 페이지 18, 10 줄에 나타낸 화합물이 포함된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개질하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실록산 거대단량체 또는 거대단량체들 (a6)의 양은 각 경우에 있어서 공중합체 (B)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량체의 총 중량에 기준하여 5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 중량%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a1) 성분 (a1) 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
(a2) 성분 (a2) 3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중량%,
(a3) 성분 (a3)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
(a4) 성분 (a4)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중량%,
(a5) 성분 (a5) 3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중량%, 및
(a6) 성분 (a6) 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 중량%를 중합시켜 얻을 수 있고, 성분 (a1) 내지 (a6)의 중량 분획의 합은 각 경우에 있어서 10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는 유기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중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 개시제 및 요구되는 경우 조절제의 존재하에 제조된다. 사용되는 유기 용매, 중합 개시제 및 조절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제조에 통상적인 용매, 조절제 및 중합 개시제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매는 가교결합제 성분 (C)와의 반응에 참여할 수 있어서, 반응성 희석제로서 거동할 수 있다.
유용한 용매의 예로는 부틸글리콜, 2-메톡시프로판올, n-부탄올, 메톡시부탄올, n-프로판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트리메틸올부탄올, 에틸 2-히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및 3-메틸-3-메톡시부탄올, 및 또한 프로필렌 글리콜 기재의 유도체가 있고, 그 예로는 에틸 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이소프로폭시프로판올, 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등이 있다.
유용한 중합 개시제의 예는 유리 라디칼을 형성하는 개시제인데, tert-부틸퍼옥시에틸헥사노에이트, 벤조일 퍼옥시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와 같은 것이 있다. 개시제는 단량체의 총중량에 기준하여 2 내지 2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조절제로 언급될 수 있는 예로는 메르캅토에탄올과 같은 메르캅탄, 티오글리콜산 에스테르 및 염소화된 탄화수소 등과 같은 것이 있다. 조절제는 단량체의 총중량에 기준하여 0.1 내지 1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은 8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6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현명하다.
요구되는 경우, 코팅 조성물은 기본 코팅 재료에서 가교결합제 성분을 제외한 중량 및 고체 함량에 기준하여 0 내지 25 중량%의 성분 (a) 및 (B) 이외의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을 포함한 결합제, 예를 들면, 히드록실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기타 폴리에스테르 또는 기타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가교결합제 (C)로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유리 또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디-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즉, 지방족, 지환족, 아르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구조에 부착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임의의 바람직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분자당 2 내지 5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구되는 경우, 순수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기준하여 소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의 유기 용매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가하여 이소시아네이트의 용이한 혼입을 개선할 수 있다.
적절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문헌["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HoubenWeyl, Volume 14/2, 4th edition,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63, 페이지 61-70 및 시에프켄(W. Siefken)의 Liebigs Ann. Chem. 562, 75-136]에 기술된 것이 있다.
적절한 예로는 1,2-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 및 2,4,4-트리메틸-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12-도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ω,ω'-디이소시아네이토디프로필 에테르, 시클로부탄 1,3-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1,3- 및 1,4-디이소시아네이트, 2,2- 및 2,6-디이소시아네이토-1-메틸시클로헥산, 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5- 및 3,5-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8-메틸-1,4-메타노데카히드로나프탈렌, 1,5-, 2,5-, 1,6- 및 2,6-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4,7-메타노헥사히드로인단, 1,5-, 2,5-, 1,6- 및 2,6-비스(이소시아네이토)-4,7-메타노헥사히드로인단, 디시클로헥실 2,4'- 및 4,4'-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 2,6-헥사히드로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퍼히드로 2,4'- 및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ω,ω'-디이소시아네이토-1,4-디에틸벤젠, 1,3- 및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이소시아네이토비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토-3,3'-디클로로비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토-3,3'-디메톡시비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토-3,3'-디메틸비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토-3,3'-디페닐비페닐, 2,4'- 및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나프틸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예를 들어, 2,4- 및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N,N'-(4,4'-디메틸-3,3'-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우렛디온, m-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4,4'-트리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 에테르, 4,4',4"-트리이소시아네이토트리페닐메탄과 같은 트리이소시아네이트가 있다. 이소시안우레이트기 및(또는) 뷰렛기 및(또는) 알로파네이트기 및(또는) 우레탄기 및(또는) 우레아기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상기 언급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기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군중 일부를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글리세롤과 같은 폴리올과 반응시켜서 얻는다.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특히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량체화 및 삼량체화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3-비스(2-이소시아네이토프로피-2-일)벤젠(TMXDI) 또는 이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이소시아네이트가 특히 매우 바람직하다. 적절한 촉매를 사용하여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촉매접촉 올리고머화에 의해 얻어진, 우렛디온 및(또는) 이소시안우레이트기 및(또는) 알로파네이트기를 포함하고,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C)는 상기언급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임의의 바람직한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C)는 유리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코팅 조성물은 2-성분 코팅 재료로서 제조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되는 총 용매의 일부가 가교결합제 성분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충분히 낮은 탈차단 온도를 갖는 차단제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 기재의 1-성분 코팅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차단제는 숙련자들에게 잘 공지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더이상 언급할 필요가 없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C)는 결합제의 OH기 및 적절한 경우 광 안정화제의 OH기대 가교결합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비가 1.2:1 내지 0.7:1 이도록 하는 양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요구되는 경우 또한 추가의 가교결합제, 특히 에테르 및(또는) 에스테르를 형성하면서 결합제의 히드록실기 및 적절한 경우 광 안정화제의 히드록실기와 가교결합하는 트리아진 기재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에테르를 형성하면서 결합제의 히드록실기와 반응하는 가교결합제의 경우, 관련 화합물은 아미노 수지이다. 아미노 수지는 숙련자들에게 잘 공지되어 있으며 많은 회사에서 시판하고 있다. 그들은 알데히드, 특히 포름알데히드, 및, 예를 들어 우레아, 멜라민, 구아나민 및 벤조구아나민의 축합 생성물이다. 아미노 수지는 알코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올기를 포함하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알코올로 에테르화된 형태로 존재한다. 특히 저급 알코올, 특히 메탄올 또는 부탄올로 에스테르화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가 사용된다. 추가의 가교결합제로서 저급 알코올, 특히 메탄올 및(또는) 에탄올 및(또는) 부탄올로 에테르화되고 평균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당 0.1 내지 0.25개의 수소 원자가 질소 원자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는 멜라민-포름 알데히드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결합제의 히드록실기와 반응하여 에스테르기를 형성하는 트리아진-기재의 가교결합제의 경우, 관련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트리스(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트리아진등 또는 특히, 예를 들어 EP-A-604 922에 기술된 바와 같은 에스테르 교환 가교결합제이다.
이러한 추가의 가교결합제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중량에 기준하여 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코팅 조성물이 열적으로 민감한 기질을 코팅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추가의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저온에서 또한 경화될 수 있는 추가의 가교결합제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 조성물은
d) UV 흡수제 기재의 하나 이상의 광 안정화제 (L1), 및
e) 아미노 에테르 관능화된 입체 장애 아민 기재의 하나 이상의 광 안정화제 (L2)의 배합물을 광 안정화제로서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에 필수적이다.
광 안정화제 (L1) 및 (L2)는 바람직하게는 코팅 조성물이 0.7*0.0185*10-3mol 내지 3.5*0.0185*10-3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0185*10-3mol 내지 2.8*0.0185*10-3mol의 광 안정화제 또는 안정화제들 (L1)의 UV-흡수기 및 2.0*0.0185*10-3mol 내지 6.0*0.0185*10-3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185*10-3mol 내지 5.0*0.0185*10-3mol의 광 안정화제 또는 안정화제들 (L2)의 입체 장애 아미노기를 포함하도록 하는 양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몰량은 기본 코팅 재료의 고체 1 g에 기준하는, 즉 용매 및 가교결합제를 제외한 양이다.
UV 흡수제 기재의 광 안정화제 (L1)로서, 벤조트리아졸 형 및(또는) 트리아진 형의 광 안정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광 안정화제 (L1)은 하기 상품명하에 시판되는 제품이다.
Tinuvin384(Ciba Geigy)는 평균 분자량이 451.6인 이소옥틸 3-(3-(2H-벤조트리아졸-2-일)-5-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기재의 광 안정화제이다.
Tinuvin1130(Ciba Geigy)은 평균 분자량이 6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과 메틸 3-[3-(2H-벤조트리아졸-2-일)-5-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기재의 광 안정화제이다.
CYAGARDUV-1164L(Dyno Cytec)은 평균 분자량이 510이고, 크실렌중 농도 65%의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이소옥틸페닐)-1,3,5-트리아진 기재의 광 안정화제이다.
벤조트리아졸 및(또는) 트리아진 기재의 고정가능한 광 안정화제, 즉 분자당 가교결합제에 대해 반응성인 하나 이상의 기, 특히 하나 이상의 지방족 OH기를 포함하는 광 안정화제를 광 안정화제 (L1)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L1)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이러한 고정가능한 광 안정화제의 예는 하기 상품명하에 시판중인 제품들이다.
Tinuvin400(Ciba Geigy)은 평균 분자량이 654이고 1-메톡시-2-프로판올 중 농도가 85%인 2-[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과 2-[4-((2-히드록시-3-트리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5-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의 혼합물 기재의 광 안정화제이다.
CGL 1545(Ciba Geigy)는 평균 분자량이 583인 2-[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기재의 광 안정화제이다.
CYAGARDUV-3801(Dyno Cytec)은 평균 분자량이 498인 트리아진 기재의 고정가능한 광 안정화제이다.
CYAGARDUV-3925(Dyno Cytec)는 평균 분자량이 541인 트리아진 기재의 고정가능한 광 안정화제이다.
적절한 광 안정화제 (L2)는 아미노 관능기가 에테르 치환된(본 명세서에서는 "아미노 에테르 기능화된"으로 축약하여 언급함) 모든 입체 장애 아민 기재의 모든 광 안정화제 (HALS)이다. 따라서, 특히 적절한 광 안정화제 (L2)는, 예를 들면, 아미노 에테르 기능화된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유도체와 같은 아미노 에테르 기능화되고 치환된 피페리딘 유도체이다.
아미노 에테르 기능화때문에, 광 안정화제 (L2)는 단지 약염기성을 갖는다. 따라서, 광 안정화제 (L2)로서 사용되는 입체 장애 아민 기재의 광 안정화제는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pKb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저장 및 사용 조건, 특히 코팅된 기재의 사용 조건(특히 습기에 노출된 상태) 모두에서 가수분해될 수 없는 입체 장애 아민이 광 안정화제 (L2)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L2)로서 적절한 제품의 예로는 하기 상품명하에 시판중인 것들이다.
평균 분자량이 737이고, pKb가 9.6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 기재의 광 안정화제인 Tinuvin123(Ciba Geigy)과 상품명 Sanol(Sankyo)하에 얻을 수 있는 상응하는 광 안정화제이다.
입체 장애 아민 기재의 고정가능한, 아미노 에테르 기능화된 광 안정화제, 즉 분자당 가교결합제에 반응성인 하나 이상의 기, 특히 하나 이상의 지방족 OH기를 포함하는 광 안정화제를 광 안정화제 (L2)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분자당 가교결합제에 반응성인 하나 이상의 기, 특히 하나 이상의 지방족 OH기를 포함하는, 아미노 에테르 기능화된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유도체와 같이 아미노 에테르 기능화되고, 치환된 피페리딘 유도체를 광 안정화제 (L2)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L2)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고정가능한 광 안정화제의 예로는 상응하는 시판 제품들이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코팅 재료를 제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유기 용매를, 바람직하게는 코팅 조성물의 중량에 기준하여 0 내지 69 중량%의 양으로 성분 (D)로서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대개 대다수의 용매가 용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로 결합제의 사용을 통해 코팅 조성물에 도입된다. 그러나, 코팅 조성물의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숙련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추가의 용매가 코팅 조성물에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각 경우 기본 코팅 재료의 고체 함량에 기준하고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고체 함량에 기준하여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 중량%의 1종 이상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예로는 셀룰로오스 니트레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토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토프로피오네이트 및 그의 혼합물 등이 있다. 물론, 상이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셀룰로오스 아세토부티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예를 들면, 항산화제 및 유리-라디칼 제거제와 같은 안정화제, 균전 보조제, 유동 첨가제 등과 같은 각각의 배합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추가의 첨가제를 기본 코팅 재료의 전체 중량에 기준하여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특히 탑코트 및 특히 매우 바람직하게는 클리어코트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어떠한 안료도 포함하지 않거나 단지 투명한 안료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있다해도 단지 투명한 충전제만을 포함할 뿐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혼합 및, 적절한 경우 각 성분을 분산시켜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생성한 코팅은 특히 습기에 노출된 후에도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력이 양호하고, 동시에 양호한 저온 충격 강도와 결부되어 내후성 및 화학적 내성이 양호한 것이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갖는 코팅을 생성하는 코팅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특히 큰 표면적의 자동차 외부 구성품에 사용되는 채색된 열가소성 또는 중합체 블렌드를 코팅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예를 들면,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와 같은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의 코팅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법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물론 기타 코팅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금속, 목재 또는 종이와 같은 기타 기재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스프레이, 나이프코팅, 딥핑 또는 브러싱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의 도움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면, 예를 들어 ABS, AMMA, ASA, CA, CAB, EP, UF, CF, MF, MPF, PF, PAN, PA, PE, HDPE, LDPE, LLDPE, UHMWPE, PET, PMMA, PP, PS, SB, PU, PVC, RF, SAN, PBT, PPE, POM, PU-RIM, SMC, BMC, PP-EPDM 및 UP(DIN 7728P1에 따른 약어)와 같은 애벌칠되거나 되지 않은 기타 플라스틱을 코팅할 수 있다. 물론 코팅되는 플라스틱은 또한 중합체 블렌드, 개질된 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된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조, 특히 자동차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코팅에 사용될 수 있다.
기능화되지 않고(않거나) 비극성의 기재 표면의 경우에, 이러한 표면은 플라즈마 또는 불꽃 처리와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코팅 이전에 예비 처리되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든 부는 달리 설명하지 않는 경우 중량 단위이다.
1. 아크릴레이트 수지 용액의 제조
4ℓ의 단량체 공급부, 개시제 공급부, 교반기 및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강철 용기에 382.5 부의 CarduraE 10(베르사트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217.5 부의 ShellsolA를 채우고 이 초기 충전물을 142℃로 가열하였다. 147.2 부의 크실렌 중 47.0 부의 디-tert-부틸 퍼옥시드의 용액을 4.75 시간 후에 종료되는 속도로 가하였다. 15분의 유예시간 후, 250.7 부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56.2 부의 스티렌, 276.9 부의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12.2 부의 아크릴산 및 6.6 부의 메르캅토에탄올의 혼합물을 4 시간 후에 종료되는 속도로 가하였다. 개시제의 첨가가 종료된 후, 142℃에서 180분 동안 중합을 계속하였다. 그 후에, 혼합물을 100℃ 미만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338.2 부의 크실렌, 93.1 부의 ShellsolA, 344.8 부의 부틸 아세테이트 및 79.6 부의 부틸글리콜 아세테이트로 희석시켰다. 7 mg KOH/g의 산가 및 137 mg KOH/g의 OH가를 갖고 54%의 비휘발물질 함량(130℃ 공기 순환식 오븐에서 60분간 처리)을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용액을 얻었다.
2.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의 제조
중축합 반응에 적절한 강철 용기에서, 946.8 부의 1,6-헥산디올, 299.1 부의 트리메틸올프로판, 150.3 부의 프탈산 무수물, 833.8 부의 이소프탈산 무수물, 270.1 부의 아디프산 및 87.5 부의 시클로헥산을 계량하고 240℃ 미만의 생성물 온도에서 혼합물이 2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가질때까지 가열하였다. 시클로헥산 공용제를 증류시켜 제거한 후, 혼합물을 100℃ 미만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558.6 부의 부틸 아세테이트로 희석시켰다. 170 mg KOH/g의 OH가를 갖고 80%의 비휘발물질 함량(130℃ 공기 순환식 오븐에서 60분간 처리)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을 얻었다.
3. 실시예 1-3 및 비교예 C1-C4의 코팅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3 및 비교예 C1-C4의 클리어코트를 표1에 나타낸 추가 성분을 상기 기술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용액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에 첨가하고 실험실용 교반기로 교반함으로써 표1에 나타낸 성분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기본 코팅 재료를 도포시키기 전에 부틸 아세테이트 중 삼량체화 된 헥사메틸렌 디이오시아네이트(DesmodurN, Bayer AG) 기재의 시판중인 이소시아네이트의 75% 농도 용액과 실험실용 교반기로 교반하며 혼합하였다. 첨가된 이소시아네이트 용액의 양은 결합제 및, 적절한 경우 광 안정화제의 OH기에 대한 NCO기의 비율이 1:1.18인 것으로 선택되었다.
4. 채색된 중합체 블렌드 및 시험 시트의 제조
코팅될 플라스틱 시트는 통상의 안정화제 및, 적절한 경우 안료 및, 그 다음으로 사출성형이라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원료로부터 압출을 통한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된다.
5. 클리어코트의 도포
상기 서술된 시판중인 플라스틱 시트(노란색의 PC/PBT 블렌드. XENOY XD 1573-46020, General Electric Plastics B.V., 및 내후 안정성의 시험을 위한 회색의 PC/PBT 블렌드, XENOY CL 101, General Electric Plastics B.V.)를 코팅시키기 전에 이소프로판올을 적신 천으로 닦았다. 이소시아네이트 첨가후 2 시간 내에, 상기-서술한 클리어코트를 공기로 분무시키는 압축 공기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32 ±2 μm 코트 두께의 건조 필름을 얻었다. 액상 필름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플래시드 오프(flashed off)시킨후, 90℃로 45분 동안 공기 순환식 오븐에서 경화시켰다. 시험 시트를 23℃ 및 50%의 상대 습도에서 8일 동안 저장하였다. 접착력은 크로스햇치(crosshatch)/접착 테이프 절취 시험, 증기 분사 시험(100 bar, 80℃, 분사/표면 각도 90°, 10 cm) 및 수동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된다. 증기 분사 시험의 경우, 코팅 필름을 통해 기재 아래로 칼을 사용하여 십자가 형태로 자르고, 증기를 교차점상에 직접적으로 분사한다. 이후 접착력을 평가한다. 수동 박리 시험의 경우, 칼을 사용하여 코팅 필름을 자르고, 코팅 필름을 기질로부터 벗기거나 긁어낸다.
이러한 초기 접착력은 모든 경우에서 만족스러웠다. 이후에 표2에 나타낸 추가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C1-C4의 클리어코트의 조성물
실시예 1 2 3 C1 C2 C3 C4
PES1) 29.280 29.280 37.052 29.280 29.280 49.000 49.000
PAC2) 23.652 23.652 15.880 23.652 23.652 - -
CAB3) - - 0.900 - - 1.800 1.800
Sil.14) 0.010 0.010 - 0.010 0.010 - -
Sil.25) 0.100 0.100 - 0.100 0.100 - -
Sil.36) - - 0.100 - - 0.100 0.100
Benz.7) - - - 1.000 - 0.700 -
Triaz.28) 1.292 1.292 - - 1.292 - 1.292
Triaz.39) - - 1.166 - - - -
HALS-R10) - - - 1.000 - 0.500 -
HALS-OR11) - 1.356 - - - - -
HALS-OR12) - - 1.516 - - - -
HALS-Ac13) - - - - 1.792 - -
HALS-OR14) 1.636 - - - - - 1.636
BA15) 24.833 24.132 28.936 23.904 24.132 27.950 28.879
BGA16) 1.314 1.314 0.882 1.314 1.314 - -
So17) 19.740 19.740 16.422 19.740 19.740 19.950 19.950
Bu18) - - 0.020 - - 0.020 0.020
Total19) 101.857 100.876 102.874 100.000 101.312 100.020 102.677
SC20) 55.970 55.690 56.614 55.042 56.126 52.100 53.828
n(OH)21) 0.138 0.138 0.137 0.138 0.138 0.124 0.124
n122) 2.000 2.000 2.000 2.985 2.000 2.090 2.000
n223) 4.000 4.000 4.000 4.444 4.000 2.222 4.000
NCO24) 38.370 37.840 37.315 36.640 37.840 32.837 34.566
n325) 0.171 0.168 0.166 0.163 0.168 0.146 0.154
OH/NCO26) 0.850 0.850 0.852 0.850 0.850 0.850 0.850
코팅에 대한 시험 결과
실시예 1 2 3 C1 C2 C3 C4
화학적 내성
16 h RT NaOH (1%) 0 0 0 0 0 0 0
1 h RT H2SO4(10%) 0 0 0 0 0 0 0
10 분 RT 가솔린 1 1 0 1 1 0 0
16 h RT 기계 오일 1 1 0 1 1 1 1
1 h RT 브레이크액 3 3 3 3 3 3 3
24 h RT 타르 1 1 3 1 1 8 8
16 h 40℃ 나무 수지 3 3 4 3 3 4 4
습기 내성 2 2-3 1 5 5 0 0
저온 충격성
-20℃ d d d d d d d
거동 50 50 85 50 50 85 85
에너지 흡수(Nm)
-30℃
거동 d/b d/b d/b d/b d/b d/b d/b
에너지 흡수(Nm) 60 60 85 60 60 70 70
노란색 시스템의 UV 내성
2000 h
외양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3000 h
외양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크래킹 크래킹
박리 시험 2 2 2 5 1 1 1
회색 시스템의 UV 내성
광택(20°)
1000 h 84 76 - 89 81 81 82
2000 h 76 78 - 88 70 83 76
2500 h 76 49 - 73 - 47 71
3000 h 76 49 - 68 - 23 60
크래킹
2500 h 초과 3000 h 미만 양호 크래킹 - 크래킹 - 크래킹 크래킹
표1의 기호 풀이
1): 용매 분획이 없는 고체 수지로 나타낸 섹션 2에 기술된 폴리에스테르
2): 용매 분획이 없는 고체 수지로 나타낸 섹션 1에 기술된 아크릴레이트 수지
3): 4% 미만의 아세틸기 함량 및 49%의 부티릴기 함량을 갖는 상용 셀룰로오스 아세토부티레이트 100%
4): 상용 실리콘 첨가제 Siliconoel AR 200(Wacker Chemie)
5): 상용 실리콘 첨가제 BaysilonOL 17(Bayer AG)
6): 상용 실리콘 첨가제 BaysilonOL 44(Bayer AG)
7): 평균 분자량이 600을 초과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과 메틸 3-[3-(2H-벤조트리아졸-2-일)-5-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의 기재의 시판 광 안정화제인 Tinuvin1130(Ciba Geigy)
8): 평균 분자량이 654이고 1-메톡시-2-프로판올 중 농도가 85%인 2-[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과 2-[4-((2-히드록시-3-트리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5-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의 혼합물 기재의 시판 광 안정화제인 Tinuvin400(Ciba Geigy)
9): 평균 분자량이 583인 2-[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기재의 광 안정화제인 CGL 1545(Ciba Geigy)
10): 평균 분자량이 508이고 pKb가 5.5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 기재의 시판 광 안정화제인 Tinuvin292(Ciba Geigy)
11): 평균 분자량이 737.2이고, pKb가 9.6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 기재의 시판 광 안정화제인 Tinuvin123(Ciba Geigy)
12): 아미노 에테르 기능화된 히드록실을 포함하는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유도체 기재의 광 안정화제
13): 평균 분자량이 448.7이고 물중 pH가 6.4인 N-아크릴화된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유도체 기재의 시판 광 안정화제인 SANDUVOR 3058(Clariant France SA)
14): 아미노 에테르 기능화된 히드록실을 포함하는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유도체 기재의 광 안정화제
15): 부틸 아세테이트
16): 부틸글리콜 아세테이트
17): 크실렌과 고급 알킬방향족의 혼합물
18): 부탄올
19): 모든 성분의 총 중량 분획
20):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외한 혼합물의 고체 함량
21): OH기의 몰로 나타낸 결합제 및 광 안정화제의 OH기의 양
22): 활성기의 밀리몰로 나타낸 UVA 광 안정화제의 양
23): 활성기의 밀리몰로 나타낸 HALS의 양
24):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기재의 뷰렛기를 포함한 부틸 아세테이트 중 75% 농도의 시판 이소시아네이트의 중량부로 나타낸 양
25): NCO기의 몰로 나타낸 이소시아네이트의 양
26): 이소시아네이트의 NCO기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적절한 경우 광 안정화제의 OH기의 당량비.
표2에 관련된 설명
화학적 내성
상기 시험 매체를 코팅된 표면상에 상기 온도로 상기 시간동안 방치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시각적 평가는 시험 매체에 의해 유도된 코팅에 대한 표시/얼룩으로 이루어진다. 0 = 변화, 5 = 손상된 코팅 필름, 타르: 최대 변색 = 10 등급.
습기 내성
시험된 코팅을 70℃로 100%의 상대 습도에서 21일 동안 저장하였다. 접착력은 주위 기후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재생시킨 후 수동 박리 시험으로 조사되었다. 0 = 박리 없음, 5 = 광범위한 층간 박리
저온 충격 강도
열적으로 조건화된 시험편을 볼트를 사용하여 코팅된 면으로부터 천공하였다. 흡수된 에너지를 측정하고 파열 패턴을 유연함(d) 또는 부서지기 쉬움(b)의 측면으로 특징지었다. 보고된 값은 각 경우에서 5회 측정으로부터 평균한 값이다.
UV 옥외폭로
시험편을 XENOTEST 1200 장치(Heraeus, 각각 4500 W의 3개의 공기 냉각식 고압 크세논 램프, 내부 및 외부 쿼츠 여과기, 3개의 UV 특수 유리제의 1/3 접시, 동시성의 17분 건조 단계 및 완전히 탈이온화시킨 물을 사용하는 3분 간의 분무)에서 옥외폭로시켰다. 복사의 세기는 300-400 nm에서 70 W/m2이고, 블랙 표준 온도는 대략 38℃였다. 주위 습도는 건조 단계중 60%를 초과하고 샤워 단계에서는 95%를 초과하였다. 평가된 매개변수는 광택도 및 크래킹을 포함하는 클리어코트의 외양이다(sat = 양호. cr. = 크래킹). 클리어코트는 노란색의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Xenoy XD 1573, General Electric Plastics B.V., Netherland) 및 회색의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Xenoy CL 101, General Electric Plastics B.V., Netherland)상에서 조사되었다.
시험 결과의 요약
결합제로서 단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3 및 4의 클리어코트는 습기에 노출후에도 우수한 접착력 및 높은 저온 충격 강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비교예 3 및 4의 이러한 클리어코트는 필름으로 확산되는 화학종에 불충분한 내성을 나타낸다(예를 들면, 타르 성분). 또한 이러한 필름은 충분한 내후 안정성이 부족하고, 상응하는 광 안정화제도 이러한 현상을 충분한 수준으로 개선할 수 없다.
결합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용액을 포함하는 클리어코트(실시예 1-3, 비교 실시예 C1 및 C2)는 화학적 내성, 특히, 예를 들면, 타르와 같은 중요한 물질에 대한 내성을 현저하게 개선한다. 그러나, 놀랍게도 습기 노출후에 그들의 접착 용량은 현저하게 낮아지고, 실시예 1-3과 비교 실시예 C1 및 C2 및(또한) C3 및 C4의 비교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된 HALS-기재의 광 안정화제의 염기도에 좌우된다. 단지 비염기성 아민 관능기를 갖는 HALS 등급 또는 염기성 아민 관능기에 가수분해될 수 없는 HALS 등급의 사용만이 목적하는 습기 내성을 보장한다.
또한, 놀랍게도 OH기를 갖는 HALS 형의 광 안정화제를 사용하는 실시예 1의 클리어코트는 실시예 2의 클리어코트보다 현저하게 더욱 개선된 UV 내성을 나타내고, 중합체상에 HALS 형의 광 안정화제의 고정으로 인해 유리 라디칼과의 분자간 반응에 필요한 이동성이 감소될지라도, HALS 형의 광 안정화제는 혼합될 수 없다(OH기가 없음).

Claims (15)

  1. a) 1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A),
    b) 1종 이상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
    c) 유리 또는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1종 이상의 디-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C),
    d) UV 흡수제 기재의 1종 이상의 광 안정화제 (L1),
    e) 입체 장애 아민 기재의 1종 이상의 광 안정화제 (L2), 및
    f) 1종 이상의 유기 용매 (D)를 포함하고,
    1) 폴리에스테르 (A)는 80 내지 200 mg KOH/g의 OH가 및 10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갖고,
    2)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는 80 내지 200 mg KOH/g의 OH가 및 20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가지며,
    3) 입체 장애 아민 기재의 광 안정화제(L2)가 아미노에테르에 의해 기능화되는 것인 폴리우레탄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는 100 내지 150 mg KOH/g의 OH가 및(또는) 10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갖고(갖거나) 폴리에스테르 (A)는 130 내지 180 mg KOH/g의 OH가 및(또는) 5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갖는 것인 코팅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는 공축합된 형태로 방향족 디- 및(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을 단독으로 또는 모노카르복실산과 배합하여 포함하고(하거나),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B)는 공중합된 형태로 α탄소 원자에서 분지된 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 포함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디-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테르 및(또는) 에스테르를 형성하면서 결합제의 히드록실기와 가교결합하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트리아진-기재의 성분을 기재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성분 (A)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성분 (B)를
    a) 4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 중량%의 성분 (A) 및
    b) 60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30 중량%의 성분 (B)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상기 수치는 각 경우 수지의 고체 함량에 기준한 것이며, 성분 (A) 및 (B)의 중량%의 합은 각 경우 100 중량%가 됨)으로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정화제 (L2)는 아미노 에테르 기능화되고, 치환된 피페리딘 유도체를 포함하고(하거나)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pkb를 갖는 광 안정화제 (L2)인 코팅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정화제 (L1) 및(또는) (L2)가 분자당 가교결합제, 반응성인 하나 이상의 기, 특히 하나 이상의 OH기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정화제 (L1)가 벤조트리아졸 형 및(또는) 트리아진 형인 코팅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7*0.0185*10-3mol 내지 3.5*0.0185*10-3mol, 바람직하게는 1.4*0.0185*10-3mol 내지 2.8*0.0185*10-3mol의 광 안정화제 또는 안정화제들 (L1)의 UV-흡수기 및 2.0*0.0185*10-3mol 내지 6.0*0.0185*10-3mol, 바람직하게는 3.0*0.0185*10-3mol 내지 5.0*0.0185*10-3mol의 광 안정화제 또는 안정화제들 (L2)의 입체 장애 아미노기를 포함(몰량은 코팅 재료의 고체 1 g에 기준함)하는 코팅 조성물.
  11. 개별 성분을 혼합하고 요구되는 경우 분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코팅 조성물의 탑코트 또는 클리어코트로서의 용도.
  13. 제12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을 코팅하기 위한 용도.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채색된 열가소성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블렌드를 코팅하기 위한 용도.
  15. 습기 노출 후에도 플라스틱에 양호한 접착력을 갖고, 동시에 내후 안정성 및 양호한 저온 충격 강도를 갖는 코팅을 생성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코팅 조성물의 용도.
KR19997011406A 1997-06-05 1998-06-02 코팅제, 그의 제조 방법, 및 특히 플라스틱을 코팅하기위한 코팅 래커 또는 투명 래커로서의 용도 KR20010013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3504.2 1997-06-05
DE19723504A DE19723504C1 (de) 1997-06-05 1997-06-05 Beschichtungsmitte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als Decklack oder Klarlack, insbesondere zur Beschichtung von Kunststoffen
PCT/EP1998/003285 WO1998055526A1 (de) 1997-06-05 1998-06-02 Beschichtungsmitte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als decklack oder klarlack, insbesondere zur beschichtung von kunststoff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405A true KR20010013405A (ko) 2001-02-26

Family

ID=783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7011406A KR20010013405A (ko) 1997-06-05 1998-06-02 코팅제, 그의 제조 방법, 및 특히 플라스틱을 코팅하기위한 코팅 래커 또는 투명 래커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297314B1 (ko)
EP (1) EP0986595B1 (ko)
JP (1) JP2002502458A (ko)
KR (1) KR20010013405A (ko)
AT (1) ATE216407T1 (ko)
BR (1) BR9810085A (ko)
CA (1) CA2289510A1 (ko)
DE (2) DE19723504C1 (ko)
ES (1) ES2175725T3 (ko)
WO (1) WO19980555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888B1 (ko) * 2016-11-30 2018-06-08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고신율/고경도 하드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6971A1 (de) * 1998-10-12 2000-04-20 Basf Coatings Ag Beschichtungsmitte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als Decklack oder Klarlack, insbesondere zur Beschichtung von Kunststoffen
WO2000026309A1 (de) * 1998-10-31 2000-05-11 Basf Coatings Ag Beschichtungsmittel mit macromer-einheit für die herstellung mehrschichtiger überzüge
JP2000327733A (ja) * 1999-05-17 2000-11-28 Kuraray Co Ltd 複合樹脂エマルジヨン
DE19938759A1 (de) * 1999-08-16 2001-02-22 Basf Coatings Ag Beschichtungsstoff und seine Verwendung zur Herstellung hochkratzfester mehrschichtiger Klarlackierungen
DE60122560T2 (de) * 2000-10-03 2007-09-20 Anderson Development Company, Adrian Verfahren zur entgasung eines acrylharze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ulverbeschichtungszusammensetzung, sowie zu einer pulverbeschichtung verarbeitbare zusammensetzung
US7585924B2 (en) * 2002-07-11 2009-09-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essurized high temperature polymerization process and polymerization system used therein
DE10335491A1 (de) * 2003-08-02 2005-02-24 Basf Coatings Ag Thermisch härtender, transparenter Beschichtungsstoff,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DE10354652A1 (de) * 2003-11-22 2005-07-07 Clariant Gmbh Verfahren zur Veresterung von Alkoholen mit olefinisch ungesättigten Carbonsäuren
US7960031B2 (en) * 2004-06-30 2011-06-14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ated sheet, method of formation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JP4634131B2 (ja) * 2004-12-16 2011-02-16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アミノ樹脂水分散体組成物及び熱硬化性水性塗料組成物
DE102006006100A1 (de) * 2006-02-10 2007-08-16 Basf Coatings Ag Wässrige Mehrkomponentensystem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WO2007108314A1 (ja) * 2006-03-17 2007-09-27 Kimoto Co., Ltd. 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用バインダー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
CN103819960A (zh) * 2007-01-15 2014-05-28 西巴控股有限公司 用2-羟基苯基三嗪稳定的着色透明涂层uv
CN102292397B (zh) 2009-01-19 2014-12-10 巴斯夫欧洲公司 有机黑色颜料及其制备
DE102009006130B4 (de) * 2009-01-26 2011-09-15 Daimler Ag Verbundbauteil mit Deckschicht
DE102010018110A1 (de) * 2010-04-24 2011-10-27 Bema Invest Gmbh Mehrschichtmaterial in Verbundbauweise
JP5826079B2 (ja) * 2012-03-16 2015-12-02 日本ペイント・オートモーティブコーティングス株式会社 漆黒複層塗膜及びその形成方法
US8691915B2 (en) 2012-04-23 2014-04-0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polymers and polymer blends having improved refractive indices
TWI619740B (zh) * 2012-08-16 2018-04-01 迪愛生股份有限公司 纖維素酯樹脂組成物、纖維素酯光學膜及偏光板用保護膜
US9783671B2 (en) 2013-01-31 2017-10-10 Fachhochschule Münster Cross-linked plastic material with an intrinsic antimicrobial effect based on unsaturated polyesters
EP2951243B1 (de) 2013-01-31 2017-03-08 Fachhochschule Münster Vernetzter kunststoffwerkstoff mit intrinsisch antimikrobieller wirkung auf basis von vinylestern und vinylesterurethanen
DE102015100925A1 (de) 2014-11-12 2016-05-12 Hib Trim Part Solution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ierteils mit Echtkarbonoptik
DE102022117286A1 (de) 2022-07-12 2024-01-18 Hib Trim Part Solution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ierteils mit Naturfaseroptik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9604A1 (de) 1980-03-15 1982-09-23 Herberts Gmbh, 5600 Wuppertal Lichttranpsparente kunststoffplat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lack hierfuer und dessen verwendung
US4754014A (en) 1986-01-06 1988-06-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siloxane graft copolymers, flexible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and branched polysiloxane macromers for preparing same
FR2603590B1 (fr) 1986-02-25 1991-05-24 Kansai Paint Co Ltd Procede de preparation d'une resine contenant un polysiloxane
JPS63221123A (ja) 1987-03-09 1988-09-14 Kansai Paint Co Ltd 低温硬化性樹脂組成物
JP2668083B2 (ja) 1988-09-05 1997-10-27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自動車用塗料組成物
US5145893A (en) 1989-03-21 1992-09-08 Ciba-Geigy Corporation Non-migrating 1-hydrocarbyloxy hindered amine derivatives as polymer stabilizers
DE4014212C2 (de) 1990-05-03 1994-10-06 Herberts Gmbh Effektbasislack zur Beschichtung von Polypropylensubstraten
DE4024204A1 (de) 1990-07-31 1992-02-06 Basf Lacke & Farben Ueberzugsmittel auf der basis hydroxylgruppen enthaltender polykondensations- und polyadditionsprodukte sowie deren verwendung
FR2677657B1 (fr) 1991-06-13 2001-09-14 Valeo Vision Composition de revetement pour proteger des glaces en matiere plastique, pour des dispositifs d'eclairage et de signalisation de vehicules procede de realisation.
DE4119857A1 (de) 1991-06-17 1992-12-24 Basf Lacke & Farben Ueberzugsmittel auf der basis von carboxylgruppenhaltigen polymeren und epoxidharzen
US5574103A (en) 1992-12-29 1996-11-12 Cytec Technology Corp. Aminoresin based coatings containing 1,3,5-triazine tris-carbamate co-crosslinkers
CA2116167C (en) 1993-03-15 2007-05-15 Myron W. Shaffer One-component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oxime- or lactam-blocked polyisocyanates which have improved resistance to yellowing
DE4326670A1 (de) * 1993-08-09 1995-02-16 Herbert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äßrigen Überzugsmitteln, die Überzugsmittel und deren Verwendung
DE4421823A1 (de) 1994-06-22 1996-01-04 Basf Lacke & Farben Aus mindestens 3 Komponenten bestehendes Beschichtungsmitte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seine Verwend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888B1 (ko) * 2016-11-30 2018-06-08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고신율/고경도 하드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75725T3 (es) 2002-11-16
EP0986595B1 (de) 2002-04-17
EP0986595A1 (de) 2000-03-22
JP2002502458A (ja) 2002-01-22
DE59803862D1 (de) 2002-05-23
ATE216407T1 (de) 2002-05-15
DE19723504C1 (de) 1998-10-15
BR9810085A (pt) 2000-08-08
WO1998055526A1 (de) 1998-12-10
CA2289510A1 (en) 1998-12-10
US6297314B1 (en) 2001-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7314B1 (en) Coating agent,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as coating lacquer or transparent lacquer, in particular for coating plastics
US6512044B1 (en) Coating agent, method for producing said coating agent and use of the same as a coating lacquer or a clear lacquer, especially for coating plastics
US5182174A (en) Flexible etch-resistant finishes with siloxane cross-linking
US6887937B1 (en) Coating composition based on a hydroxy group-containing film forming polymer, a polyisocyanate compound, and a diol
US6620868B1 (en) Coating agent,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the same as an effect clear lacquer, especially for coating synthetic materials
US20110135832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finish coatings
KR20000068009A (ko) 분지된 히드록실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개질된 폴리아크릴레이트수지를 기재로 하는 코팅제 및 그의 용도
EP0983323B1 (en) Coating composition based on a hydroxy group-containing film forming polymer, a polyisocyanate compound, and a diol
Fiori et al. Effect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n the performance of two-component water-reducible acrylic polyurethane coatings using tertiary polyisocyanate crosslinkers
AU710473B2 (en) Coating composition based on a hydroxyl-containing polyacrylate resin and its use in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a multilayer coating
US6107403A (en)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hydroxyl groups, and its use in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atings
US20050123781A1 (en) One-component flexible etch resistant clearcoat
DE19845740A9 (de) Beschichtungsmitte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als Effekt-Klarlack, insbesondere zur Beschichtung von Kunststoffen
US20030181590A1 (en) Non-aqueous coating material which is thermally hardenable or hardenable in a thermal manner and by means of actinic radiat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KR19990008255A (ko) 내스크래치성 코팅 조성물
US5916938A (en) Polyacrylate resin solutions having improved color number, and their use in coating compositions
CA2348187C (en) Low gloss crosslinkable coating compositions
EP1211267B1 (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xy-functional (meth)acrylic copolymers
CA2487916A1 (en) One-component flexible etch resistant clearcoat
US20130035420A1 (en) Resin For Use In A Coating Composition
CN117402541A (zh) 双组分清漆组合物及其制备和用途
DE19845741A1 (de) Verkaufs- und/oder Kühltheke mit einer vertikal verschwenkbaren Frontschei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