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834A - 페인트 및 코팅 제거제 - Google Patents

페인트 및 코팅 제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834A
KR20010012834A KR1019997010799A KR19997010799A KR20010012834A KR 20010012834 A KR20010012834 A KR 20010012834A KR 1019997010799 A KR1019997010799 A KR 1019997010799A KR 19997010799 A KR19997010799 A KR 19997010799A KR 20010012834 A KR20010012834 A KR 20010012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arbonate
hydrogen peroxide
weight percent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드 티. 마르쿠스
로버트 이. 밸드윈
Original Assignee
헌츠만 페트로케미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츠만 페트로케미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헌츠만 페트로케미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1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83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11D7/5004Organic solvents
    • C11D7/5022Organic solvent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9/00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93Esters;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7Liqui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3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4Aldehydes; Ketones; Acetals or k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 제거제로서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같은 알킬렌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벤질알콜과 같은 알콜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킬렌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일정 시간 동안 페인트가 발포 및 기포가 일어나기에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페인트 처리된 표면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페인트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알킬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알콜, 필요에 따라선 글리콜 에테르를 함유하는 페인트 제거제로서 유용한 조성물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알킬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일정 시간 동안 페인트가 발포 및 기포가 일어나기에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페인트 처리된 표면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페인트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인트 및 코팅 제거제{Paint and coating remover}
페인트 제거 조성물은 보통 비행기의 동체에서 페인트를 제거하게 되는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다. 통상의 페인트 제거제 조성물은 염화메틸렌, 페놀 또는 부식제를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재료들은 사용할 때 고질적인 문제가 있다. 염화메틸렌을 기초로 한 조성물은 페인트 제거제로서 상당히 효과적이지만, 독성이 심각한 휘발성이 높은 재료이다. 마찬가지로, 페놀도 독성이 매우 강하다. 또한, 부식제는 알루미늄을 끄을리고 침식하게 된다. 종래 페인트 제거용 조성물의 이러한 결함과 단점 때문에 새로운 페인트 제거용 조성물에 대한 강한 요구가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페인트 및 코팅 제거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알킬렌 카보네이트 또는 디알킬 카보네이트 또는 둘 모두, 과산화수소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알킬렌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로 이루어진 페인트 제거제로서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알킬렌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일정시간 동안 페인트가 발포 또는 기포를 일으키기에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페인트가 도포된 표면에 적용하여서 되는 페인트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a) 알킬렌 카보네이트, 디알킬 카보네이트 또는 둘 다, (b) 과산화수소 및 (c)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일정시간 동안 페인트가 발포 또는 기포를 일으키기에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페인트가 도포된 표면에 적용하여서 되는 페인트의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디알킬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로 이루어진 페인트 제거제로서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알콜, 글리콜 에테르, 알킬렌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디알킬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일정 시간 동안 페인트의 발포 또는 기포를 일으키는데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페인트가 도포된 표면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페인트의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처리 대상 표면은 각종 밀봉제, 즉 폴리술파이드, 폴리우레탄, 락카, 에폭시 등으로 밀봉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가구,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군용차 등의 페인트와 코팅을 제거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여러가지 중요한 특성을 갖고 있다. 즉, 저독성, 높은 페인트 및 코팅 제거 효율, 중성 pH(또는 약산성 또는 약알칼리성 pH)을 나타낸다. 또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경우에,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무독성을 보이는 프로필렌 글리콜로의 화학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과산화수소는 시간이 지나면서 물로 분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조성물은 특히, 페이트 및 코팅을 제거하는데 보통 사용하는 염소화 탄화수소 등과 비교해서 환경 친화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 시간 동안에 발포 및 기포를 일으키므로 예를 들어, 염소화 탄화수소의 증발을 유도하게 통상적으로 젤로 적용되어지는 것과는 반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액체 형태로 적용할 수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를 알킬렌 카보네이트와 최소한 50% 수성 용액 형태, 혼화할 수 있는 용액 형태로 적용하면 추가로 유리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혼화성 용액이라 함은 단일상 용액을 의미한다. 최종 조성물은 놀라웁게도 우수한 페인트 제거 특성을 보이게 되는데 이것은 물이 제한된 양으로 존재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공용매, 활성제, 부식 억제제 등과 배합되거나 페인트를 제거하는데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불연성, 저휘발성이며, 발암성분이 없는 이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킬렌 카보네이트 또는 디알킬 카보네이트 또는 둘 다, 과산화수소 및 물을 함유하고 있다.
과산화수소와 물은 백분율이 다른 수성 과산화수소 용액과 같이 상업적으로 쉽게 얻을 수 있다. 보통 과산화수소 약 1 내지 80%의 농도인 수성 용액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업상의 용액은 대부분 과산화수소 30중량% 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에는 50% 수성 과산화수소 용액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농도가 높은 과산화수소는 강한 산화제이므로 취급하는데 주위를 기울여야 한다. 농축된 과산화수소를 카보네이트와 혼합한 후에는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감소하게 되어 최종 조성물의 위험성은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어, 혼합된 조성물에서의 총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약 30% 미만이 되므로 상기 조성물을 취급하는데 특별한 경계를 취할 필요는 없다. 농도가 약 30% 내지 50%의 농도를 가지는 수성 과산화수소 용액은 약 50%의 농도가 페인트 박리성과 카보네이트와의 혼화성에 대해 우수한 조화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수성 용액에서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최종 조성물의 혼화성을 위해서 공용매, 계면활성제 등과 함께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로서, 전체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의 양은 최소한 4중량%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전체 조성물에서의 과산화수소의 양은 최소한 10중량%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과산화수소의 양은 전체 조성물의 최소한 15중량%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최소한 35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킬렌 카보네이트는 2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알킬렌 카보네이트의 대표적인 예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디알킬 카보네이트는 3 내지 2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디알킬 카보네이트는 식 R-CO3-R', 여기서, R과 R'는 같거나 다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각각 독립적으로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일 수 있다. 한 구현예로서, 디알킬 카보네이터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농축 용액은 약 8 내지 15%의 과산화수소 이외의 나머지가 물과 디알킬 카보네이트 또는 디알킬 카보네이트와 알킬렌 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알콜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알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벤질 알콜이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벤질알콜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콜을 0 내지 90중량% 함유한다, 어떤 형태의 코팅을 제거하기 위하여 알콜을 첨가하면 탄산수소 탈산수의 효능이 개선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 내지 90중량%의 알킬렌 카보네이트, 약 0.1 내지 20중량%의 과산화수소 및 약 0.1 내지 30중량%의 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알콜을 포함하며, 이 조성물은 약 10 내지 90중량%의 알킬렌 카보네이트, 약 10 내지 90중량%의 알콜, 약 0.1 내지 20중량%의 과산화수소 및 약 0.1 내지 30중량%의 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 내지 90중량%의 디알킬 카보네이트, 약 0.1 내지 20중량%의 과산화수소, 약 0.1 내지 30중량%의 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어떤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10 내지 90중량%의 디알킬렌 카보네이트, 약 0 내지 90중량%의 알콜, 약 0 내지 90중량%의 글리콜 에테르, 약 0 내지 90중량%의 알킬렌 카보네이트, 약 0.1 내지 20중량%의 과산화수소 및 약 0.1 내지 30중량%의 물을 함유한다.
상기에 기재한 조성물에 추가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포름산 또는 옥살산과 같은 활성제, 증점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PM),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DPM) 또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DPNB)와 같은 글리콜 에테르, 계면활성제, 산 또는 염기, 안정화제, 부식 억제제 및 페인트 제거제에 보통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표적인 증점제로는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에틸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및 기타 알킬 또는 히드록시 알킬 셀룰로스; 콜로이드 실리카를 포함하는 실리카; 벤토나이트 및 몬모릴로나이트 전분과 같은 점토; 콜로이드 알루미나를 포함하는 알루미나;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한천; 설탕 유도체;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구아 검; 크산검;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메틸 비닐 에테르/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 등이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어떤 히드록시 알킬 셀룰로스 에테르와 어떤 실험용 폴리머가 화학변화에 특히 효과적이고, 내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셀룰로스 에테르로는 다우 케미칼사에서 제조한 MethocalM4MPRG 및 다우의 실험용 폴리머 SCS 41067.06 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증점제를 사용할 경우, 증점제의 양은 주어지는 응용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증점제 수위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택하는 증점제의 양은 약 1 내지 4중량% 정도이다.
다음의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표적인 부식 억제제로는 에톡실화된 부텐디올, 석유 술포네이트, 프로파질 알콜과 티오우레아와의 배합물 등이 있다. 이것을 사용한다면, 부식 억제제의 사용량은 보통 전체 조성물의 10중량% 까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과산화물의 분해를 일으킬 수 있는 금속 이온과의 착화합물을 위해서 킬레이트제를 추가할 수 있다. 킬레이트제를 사용할 경우, 전체 조성물의 약 10% 까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킬레이트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 및 그의 금속염,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 폴리포스페이트, 디케톤,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및 포스폰산 등이 있다.
다음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과산화수소를 위한 대표적인 안정화제로는 C1-4알킬 아닐린, 방향족 술폰산, 술파민산, 술폰, 술폭시화물, 술폴렌, 술폴란, 아미노 아릴 술폰산, 벤젠 디술폰산, p-톨릴 술폰산, 술퍼닐산,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콜산, 글리세린, 프로피온산, 벤조산, 시스-4-부텐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이러한 안정화제의 양은 사용할 때 매우 폭 넓게 변화를 줄 수 있으며, 보통 전체 조성물의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까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모노카보닐 코코이미다졸린, 고농도 알킬 술페이트 소듐염, 트리데실록시 폴리(알킬렌옥시 에탄올), 에톡실화 또는 프로폭실화 알킬 페놀, 알킬 술폰아미드, 알킬벤젠 술폰산염과 같은 C10-18알카릴 술폰산염, 코코앰파오디프로피온산염(cocoamphaodipropionate), 세틸팔마트 알칸올 아미드, 경화 피마자유, 이소옥틸페닐 폴리에톡시 에탄올, 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염, C8-18알킬 피롤리돈, 코코아미노프로피온산 및 그의 폴리에톡시 아미노염과 같은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면성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조성물이 혼화될 수 있도록 충분히 사용해야 한다. 보통 계면활성제의 양은 전체 조성물의 약 0.1 내지 10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아주 다양한 다른 유기 공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러한 용매 하나 또는 그 이상 없이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의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다른 공용매의 예로는 탄화수소,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글리콜 에테르 에스테르, 에테르, 에스테르, 페놀, 글리콜, 황을 기본으로 하는 용매, 염소화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질산염화된 탄화수소, 아미드 및 케톤 등이 있다. 이러한 공용매는 극성 또는 비극성일 수 있으며, 양성자성 또는 비양성자성, 환형, 분지 또는 직쇄일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상의 탄화수소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헥산, 톨루엔, 크실렌 및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통상의 에테르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디부틸 에테르, 에틸 에테르 및 디페닐 에테르 등이 있다. 통상의 에스테르 용매 및 락톤의 대표적인 예로는 부틸로락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DBE(듀폰사제인 이염기성 에스테르 혼합물)와 같은 물질이 있다. 통상의 페놀의 대표적인 예로는 페놀과 크레졸 및 레조시놀이 있다. 통상의 글리콜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틸렌 글리콜외에 메틸 프로판 디올 등이 있다. 통상의 황을 기본으로 하는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디메틸술폭사이드(DMSO) 및 술폴란 등이 있다. 통상의 염소화 탄화수소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및 디클로로벤젠 등이 있다. 통상의 질산염화 탄화수소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니트로에탄 및 니트로프로판 등이 있다. 통상의 아미드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포름아미드, 디메틸 포름아미드, 아세트아미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이 있다. 통상의 케톤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MEK)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메틸 이소아밀부톤 등이 있다.
디알킬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혼화성 조성물을 형성하지 못할 경우에는, 공용매가 혼화성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물인 조성물을 용해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글리콜 에테르가 공용매로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글리콜 에테르는 물론 다른 목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들의 양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올바로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관심있는 특정 조성물에 따라 매우 유동적일 수 있다. 혼화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글리콜 에테르의 특정 형태 및 사용량은 정규적인 실험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글리콜 에테르의 양은 약 9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50 중량%이다. 또한, 알콜 또는 알킬렌 카보네이트는 본 발명의 혼화성 디알킬 카보네이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공용매로서 상당히 유리하게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페인트 박리 공정을 실시할 수 있는 조건은 유동적이다. 보통 이 공정은 대기 분위기의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높은 온도가 사용될 수 있지만, 온도는 0 내지 125 ℉이다. 페인트 제거 공정은 조성물을 페인트 표면에다 디핑(dipping), 스프레잉(spraying) 또는 브러싱(brushing)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방염처리된 표면에 대해서는 표면에서 페이트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조성물을 2회 이상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인트 제거 조성물이 완전히 적용될 수 있게 시간을 준 후에 래그(rag), 스크래퍼(scraper), 샌드 블라스터(sand blaster) 등을 사용하여 페인트 부스러기를 표면에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 고압수 분무를 채용하여 페인트 부수러기와 잔류하는 페인트 제거 조성물을 제거할 수 있다. 페인트 제거제 조성물이 작용하게 되는데 필요한 시간은 온도, 페인트 형태 및 특히 사용되는 페인트 제거제의 제형과 같은 여러가지 인자로 인해서 달라질 수 있다. 비록 장시간 동안 적용한다고 할지라도 일반적으로 적용 시간은 1분과 1시간 사이이다.
본 발명에서, 증점제를 사용하기 직전에 박리 조성물에 혼합시킬 수 있는 것을 잘 생각해야 한다. 채용된 증점제들이 과산화수소 조성물에서 안정하지 못한 시간을 연장시킨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혼합은 강한 교반 및 회전과 같은 표준 기술로 달성될 수 있다. 특별한 혼합 방법을 증점이 가능한 특정 시스템으로 재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증점제와 다른 첨가제나 성분들의 첨가 순서나 비율도 포함하는 특정한 용매의 조합에 따라 재단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나 여기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만일 다른 언급이 없으면 모든 퍼센트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표에서, “N/A”는 “없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1 :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조성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벤질 알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포름산, 과산화수소 및 물의 값은 중량 퍼센트를 기준으로 하였다. 벤질 알콜은 필요에 따라 공용매를 포함시켰다. 과산화수소는 30% 수용액으로 하였다. 이 조성물을 군대에서 사용하는 페인트 및 코팅을 가지는 표준 알루미늄 판넬(Scientific Material International, Inc. of Miami, Florida에서 얻은 Lot 96046-A2 4"×5", MIL-P-2337 프라이머, MIL-81733 타입 3 폴리술파이드 실란트, MIL-C-83286)에 적용하여 상기 판넬에 방치시켰다. 프로필렌 카보네이트/과산화수소/물 조성물은 놀라웁게도 페인트 및 코팅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었다. 표 1에서, 과산화수소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가 부족한 시료는 본 발명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비교할 목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발포와 거품도 눈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조성물은 저독성, 높은 페인트와 코팅 제거 효능 및 중성 pH(또는 약산성 및 약염기 pH) 등을 포함해서 여러가지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무독성의 프로필렌 글리콜로 화학변화를 일으키고, 과산화수소는 물로 분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조성물은 특히 통상적으로 페인트 및 코팅을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염소화 탄화수소 등과 비교해서 환경 친화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시간에 발포 및 기포를 일으키게 되므로 염소화 탄화수소의 증발을 유도하기 위해서 통상 겔로 적용되는 것과는 반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체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직 표면에 대한 코팅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Klucel H(Hercules, Aqualon Division), 다우사의 MethocellF4MPRG 또는 다우사의 실험용 폴리머 XCS 41067.06과 같은 증점제가 이러한 코팅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필요할 수 있다.
표 1
벤질알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포름산 과산화수소 발포시간(분) 기포시간(분)
60 40 0 0 0 720* N/A
58.2 38.8 3 0 0 N/A 360*
56.4 37.6 6 0 0 N/A 345*
80 0 6 14 24 64
54 36 0 3 7 32 44
48 32 0 6 14 20 35
40 40 0 6 14 20 28
30 50 0 6 14 25 33
20 60 0 6 14 31 38
80 0 0 6 14 혼화불가, 2개상*
* 표시는 본 발명을 대표하지 못하는 실험을 나타낸 것으로 단지 비교하기 위해서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2 : 에틸렌 카보네이트 조성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벤질 알콜, 에틸렌 카보네이트, 포름산, 과산화수소 및 물의 값은 중량 퍼센트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이, 이 조성물을 군대에서 사용하는 페인트 및 코팅을 가지는 표준 판넬(Scientific Material International, Inc..에서 얻은 Lot 96046-A2 4"×5", MIL-P-2337 프라이머, MIL-81733 타입 3 폴리술파이드 실란트, MIL-C-83286)에 적용하였다. 에틸렌 카보네이트/벤질알콜/과산화수 소/물 조성물은 놀라웁게도 페인트 및 코팅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었다. 표 2에서, 과산화수소 또는 에틸렌 카보네이트가 부족한 시료는 본 발명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비교할 목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저독성, 높은 페인트와 코팅 제거 효능 및 중성 pH(또는 약산성 및 약염기 pH) 등을 포함해서 여러가지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시간에 발포 및 기포를 일으키게 되므로 염소화 탄화수소의 증발을 유도하기 위해서 통상 겔로 적용되는 것과는 반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체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직 표면에 대한 코팅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Klucel H(Hercules, Aqualon Division), 다우사의 MethocellF4MPRG 또는 다우사의 실험용 폴리머 XCS 41067.06과 같은 증점제가 이러한 코팅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필요할 수 있다.
표 2
벤질알콜 에틸렌카보네이트 포름산 과산화수소 발포시간(분) 기포시간(분)
60 40 0 0 0 >150* N/A
58.2 38.2 3 0 0 100* >150*
56.4 37.6 6 0 0 41* >150*
54 36 0 3 7 30 36
45 45 0 3 7 33 40
48 32 0 6 14 20 30
40 40 0 6 14 25 35
42 28 0 9 21 20 32
35 35 0 9 21 20 35
* 표시는 본 발명을 대표하지 못하는 실험을 나타낸 것으로 단지 비교하기 위해서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3 : 디알킬 카보네이트 조성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알킬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DEC)를 함유하는 여러가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표 3에서, 벤질 알콜(BA),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PNB)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DPNB)의 값은 중량 퍼센트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표 3에서 일부 조성물에 대해서는 혼화될 수 있는 칼럼에 †로 표시하였고, 글리콜 에테르를 혼화성 조성물을 형성하는데 필요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이 조성물을 군대에서 사용하는 페인트 및 코팅을 가지는 표준 판넬(Scientific Material International, Inc.. 에서 얻은 Lot 96046-A2 4"×5", MIL-P-2337 프라이머, MIL-81733 타입 3 폴리술파이드 실란트, MIL-C-83286)에 적용하였다. 디알킬 카보네이트 조성물은 놀라웁게도 페인트 및 코팅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었다. 표 3에서, 혼화될 수 없는 조성물의 시료는 본 발명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비교할 목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저독성, 높은 페인트와 코팅 제거 효능 및 중성 pH(또는 약산성 및 약염기 pH) 등을 포함해서 여러가지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시간에 발포 및 기포를 일으키게 되므로 염소화 탄화수소의 증발을 유도하기 위해서 통상 겔로 적용되는 것과는 반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체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직 표면에 대한 코팅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Klucel H(Hercules, Aqualon Division), 다우사의 MethocellF4MPRG 또는 다우사의 실험용 폴리머 XCS 41067.06과 같은 증점제가 이러한 코팅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필요할 수 있다.
표 3
DMC DEC PC BA PNB DPNB H2O2 혼화성 발포시간(분) 기포시간(분)
61.5 0 0 0 23.1 0 4.6 10.8 20 30
0 53.3 0 0 0 33.3 4.0 9.3 아니오* N/A N/A
60 0 20 0 0 0 6.0 14.0 20 30
40 0 40 0 0 0 6.0 14.0 30 42
20 0 60 0 0 0 6.0 14.0 55 60
0 40.0 13.3 0 0 33.3 4.0 9.3 아니오* N/A N/A
0 27.6 27.6 0 0 31.0 4.1 9.6 50 60
0 17.4 52.2 0 0 13.0 5.2 12.2 40 45
50.0 0 0 16.7 16.7 0 5.0 11.6 20 30
33.3 0 0 33.3 16.7 0 5.0 11.7 25 30
16.0 0 0 48.0 20.0 0 4.8 11.2 20 40
0 40.0 0 13.3 0 33.3 4.0 9.3 아니오* N/A N/A
0 26.7 0 26.7 0 33.3 4.0 9.3 아니오* N/A N/A
0 13.3 0 40.0 0 33.3 4.0 9.3 35 55
30 0 30 20 0 0 6 14 20 40
20 0 20 40 0 0 6 14 25 40
8.3 0 8.3 50.0 16.7 0 5.0 11.7 30 45
0 20.0 20.0 13.3 0 33.3 4.0 9.3 45 60
0 13.3 13.3 26.7 0 33.3 4.0 9.3 49 60
0 6.7 6.7 40.0 0 33.3 4.0 9.3 49 60
* 표시는 본 발명을 대표하지 못하는 실험을 나타낸 것으로 단지 비교하기 위해서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4 :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조성물의 안정성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물, 과산화수소(H2O2)과 안정화제의 양을 달리한 여러가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 조성물을 용기에 놓고 주기적으로 H2O2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 감시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표 4의 데이타에서, 카보네이트/물/H2O2조성물은 놀라웁게도 안정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과산화수소는 12주 동안에 걸쳐 상당한 정도의 양으로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뜻밖에, 상기 조성물은 H2O가 25% 이상의 많은 양으로 첨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 상임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과산화수소가 없이도 상 분리가 일어났기 때문으로 주목할만한 것이다. 이론에 구속될 필요는 없지만, 과산화수소가 단일 상 용액을 제공하기 위한 커플링제로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표 4의 데이타는 안정화제의 사용이 안정한 조성물을 유지하는데 특별히 중요하지 않다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필요한 경우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과산화물을 15% 이상 가지는 조성물이 안정하다는 것을 지각할 수 있다.
표 4에서 농도 불안정(예, 과산화물의 증가)은 전형적인 실험상의 실수에 귀착될 수 있다.
실시예 5 : 증점제 조성물
성분들을 교반에 의해 혼합하여 여러가지 카보네이트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 조성물에 여러가지 증점제를 포함시켰다. 이러한 조성물을 표 5-A에 나타내었다. 표 5-A에서, "a"는 메틸 셀룰로스(다우 케미칼사의 Methocell™311)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스(아쿠알론사의 Klucel™H 셀룰로스)를 나타낸 것이며, "c"는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루로스(다우 케미칼사의 Methocell™F4MPRG)를 나타낸 것이다.
표 5-A
중량%의 성분
조성물 벤질알콜 PC H2O2 H2O 증점제
5-A 48.0 32.0 6.3 11.7 2.0b
5-B 46.60 31.00 7.00 13.00 2.40b
5-C 45.60 30.40 7.00 13.00 4.00b
5-D 46.32 30.88 7.00 13.00 2.80a
5-E 46.46 30.97 7.09 13.18 2.30a
5-F 46.32 30.88 7.00 13.00 2.80c
5-G 46.46 30.97 7.09 13.18 2.30c
5-H 46.46 30.97 7.09 13.18 2.30b
5-I 46.32 30.88 7.00 13.00 2.80b
5-J 46.6 31.1 7.0 13.0 2.3b
5-K 46.5 31.0 7.0 13.0 2.5b
5-L 46.4 30.9 7.0 13.0 2.7b
5-M 46.3 30.8 7.0 13.0 2.9b
5-N 46.6 31.1 7.0 13.0 2.3c
5-O 46.5 31.0 7.0 13.0 2.5c
5-P 46.4 30.9 7.0 13.0 2.7c
5-Q 46.3 30.8 7.0 13.0 2.9c
5-R 46.7 31.2 7.0 13.0 2.1b
5-S 46.9 31.2 7.0 13.0 1.9b
5-T 47.0 31.3 7.0 13.0 1.7b
5-U 47.1 31.4 7.0 13.0 1.5b
5-A 내지 5-U 조성물 모두는 단일 상이었다. 상기 조성물을 밀폐 용기에 넣고, 점도 안정성과 H2O2안정성 모두를 감시하였다. 이 시험 결과를 표 5-B에 나타내었다. "N/A'는 참여한 것 중에서 수집된 데이타가 없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표 5-B
표 5-B 에서의 데이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필요에 따라 증점제를 함유하는 것이 안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증점제의 효능은 증점제 형태에 따라 매우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한 예(즉, 5-R 내지 5-U)에서 증점 효능을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증점제의 양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는 감소하게 되므로 일부 에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표면에 적용하기에 앞서 즉각적으로 증점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42)

  1. 알킬렌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을 함유하는 페인트 제거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 카보네이트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에틸렌 카보네이트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 카보네이트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알코올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10 내지 90중량%의 알킬렌 카보네이트, 약 0.1 내지 20중량%의 과산화수소 및 약 0.1 내지 30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증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증점제를 추가로 함유하되 이 증점제가 셀룰로스 증점제이고, 상기 조성물의 약 10중량% 이하로 존재하는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에스테르가 존재하지 않는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유기성 공용매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가 약 4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가 약 10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가 약 10%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 카보네이트가 전체 조성물의 약 40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가 전체 조성물의 약 35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포름산이 없는 조성물.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스테르가 존재하지 않는 조성물.
  17. 약 10중량% 이상의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약 10 내지 90중량%의 벤질 알콜, 약 0.1 내지 20중량%의 과산화수소, 약 0.1 내지 30중량%의 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18. 알킬렌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일정시간 동안 페인트가 발포 또는 기포를 일으키기에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페인트가 도포된 표면에 적용하여서 되는 페인트 제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알콜을 함유하여서 되는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 카보네이트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방법.
  21. 디알킬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을 함유하는 페인트 제거제 조성물.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알킬 카보네이트가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23. 제 21항에 있어서, 혼화성 용액 형태인 조성물.
  24. 제 21항에 있어서, 글리콜 에테르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10 내지 90중량%의 디알킬 카보네이트, 약 0.1 내지 20중량%의 과산화수소 및 약 0.1 내지 30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26. 약 10 내지 90중량%의 디메틸 카보네이트 또는 디에틸 카보네이트, 약 0 내지 90중량%의 벤질 알콜, 0 내지 90중량%의 글리콜 에테르, 약 0 내지 90중량%의 알킬렌 카보네이트, 약 0.1 내지 20중량%의 과산화수소 및 약 0.1 내지 30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페인트 제거제 혼화성 조성물.
  27. 디알킬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일정 시간 동안 페인트가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는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페인트가 도포된 표면에 적용하여서 되는 페인트 제거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알킬 카보네이트가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혼화성 용액 형태로 하여서 되는 방법.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추가로 글리콜 에테르를 함유하여서 되는 방법.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10 내지 90중량%의 디알킬 카보네이트, 약 0.1 내지 20중량%의 과산화수소 및 약 0.1 내지 30중량%의 물을 함유하여서 되는 방법.
  32.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10 내지 90중량%의 디메틸 카보네이트 또는 디에틸 카보네이트, 약 0 내지 90중량%의 벤질 알콜, 0 내지 90중량%의 글리콜 에테르, 약 0.1 내지 20중량%의 과산화수소 및 약 0.1 내지 30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혼화성 조성물인 방법.
  33. 프로필렌 카보네이트과 수성 과산화수소의 혼화성 혼합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액에서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약 10 내지 50중량%인 페인트 제거제 조성물.
  34. 제 33항에 있어서, 에스테르가 존재하지 않는 조성물.
  35.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와 수성 과산화수소 용액의 혼화성 혼합물로 이루어진 페인트 제거제 조성물.
  36. (a)알킬렌 카보네이트, 디알킬 카보네이트 또는 둘 다 그리고 (b) 수성 과산화수소 용액을 조성물이 형성되게 합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페이트 제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37. 알킬렌 카보네이트, 과산화수소 및 물로 이루어진 혼화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혼화성 조성물에 증점제를 첨가하고, 얻어진 조성물을 혼합하여 증점된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증점된 조성물을 코팅 처리된 표면에 일정 시간 동안 표면에서 최소한 코팅 부위가 분리되는데 효과적인 조건하에서 적용하여서 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표면으로부터의 코팅 제거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페인트인 방법.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 카보네이트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방법.
  40.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된 조성물이 약 10 내지 90중량%의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약 0.1 내지 20중량%의 과산화수소, 약 0.1 내지 30중량%의 물로 이루어진 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페인트인 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알루미늄인 방법.
KR1019997010799A 1997-05-23 1998-05-22 페인트 및 코팅 제거제 KR200100128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52997P 1997-05-23 1997-05-23
US60/047,529 1997-05-23
US4845097P 1997-06-03 1997-06-03
US60/048,450 1997-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834A true KR20010012834A (ko) 2001-02-26

Family

ID=26725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799A KR20010012834A (ko) 1997-05-23 1998-05-22 페인트 및 코팅 제거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040284A (ko)
EP (1) EP0983324B1 (ko)
JP (1) JP3938943B2 (ko)
KR (1) KR20010012834A (ko)
AT (1) ATE275174T1 (ko)
AU (1) AU738869B2 (ko)
CA (1) CA2290536C (ko)
DE (1) DE69825989T2 (ko)
ES (1) ES2227834T3 (ko)
NO (1) NO995716D0 (ko)
WO (1) WO199805301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879A (ko) 2014-02-17 2015-08-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잉크 제거용 조성물
KR101703640B1 (ko) * 2015-10-19 2017-02-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성중합체를 이용한 선택적 흡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5060A (ko) * 2018-08-29 2020-03-10 (주)화인켐 키토산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KR102212220B1 (ko) * 2020-08-28 2021-02-03 구자선 도료 점성제거제 및 이를 이용한 도료점성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061B1 (en) * 1997-05-23 2001-01-02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Paint and coating remover
US6159915A (en) * 1999-06-18 2000-12-12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Paint and coating remover
US6479445B1 (en) * 1997-05-23 2002-11-12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Paint stripping compositions
US6239090B1 (en) * 1997-05-23 2001-05-29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Thickened paint and coating remover
US5962699A (en) * 1998-07-23 1999-10-05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decolorizing organic carbonates
US6187108B1 (en) * 1999-02-25 2001-02-13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Alkylene carbonate-based cleaners
US6673157B1 (en) * 2000-02-24 2004-01-06 Gaylord Chemical Corporation Methods for stripping paint with DMSO containing compositions
JP2001329190A (ja) * 2000-05-24 2001-11-27 Masao Umemoto 塗料はく離剤及びはく離装置
FR2809411B1 (fr) * 2000-05-26 2002-07-05 Atofina Composition decapante, utilisable notamment dans le domaine du batiment et du yachting
AU2001273598A1 (en) 2000-06-29 2002-01-14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Carbonate-based photoresist stripping compositions
US6420327B1 (en) 2000-08-09 2002-07-16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Carbonate-based coating removers
US6517626B2 (en) 2000-08-14 2003-02-11 Gage Products Company Universal paint solvent
US6596677B1 (en) 2000-09-25 2003-07-22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Propylene carbonate based cleaning compositions
US6548464B1 (en) * 2000-11-28 2003-04-15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Paint stripper for aircraft and other multicoat systems
US6608012B2 (en) 2001-04-26 2003-08-19 Huntsman Petrochemical Corporation Process and formulations to remove paint and primer coatings from thermoplastic polyolefin substrates
US7001948B2 (en) * 2001-05-16 2006-02-21 American Polymer Corporation Polyurea coating compositions
US20040050406A1 (en) * 2002-07-17 2004-03-18 Akshey Sehgal Compositions and method for removing photoresist and/or resist residue at pressures ranging from ambient to supercritical
US20040011386A1 (en) * 2002-07-17 2004-01-22 Scp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moving photoresist and/or resist residue using supercritical fluids
US7176174B2 (en) * 2003-03-06 2007-02-13 The Lubrizol Corporation Water-in-oil emulsion
US7485608B2 (en) * 2004-03-15 2009-02-03 Daniel Perlman pH-buffered alkylene carbonate nail polish and paint remover
KR20050120914A (ko) * 2004-06-21 2005-12-26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레지스트 제거용 조성물
US8603258B2 (en) * 2004-09-14 2013-12-10 Church & Dwight Co., Inc. Paint and ink remover two-phase system
US7309684B2 (en) * 2005-05-12 2007-12-18 The Lubrizol Corporation Oil-in-water emulsified remover comprising an ethoxylated alcohol surfactant
US7304021B2 (en) * 2005-11-17 2007-12-04 Dynacraft Industries, Inc Color changing paint and varnish remover
US8383565B2 (en) * 2005-11-17 2013-02-26 Sunnyside Corporation Color changing paint and varnish remover
FR2912151B1 (fr) * 2007-02-05 2009-05-08 Arkema France Formulation de dimethylsulfoxyde en melange avec un additif permettant d'abaisser le point de cristallisation de ce dernier, et applications de ce melange
CA2654120A1 (en) * 2008-02-13 2009-08-13 Lubrication Technologies, Inc. Aqueous cleaning composition
TWI480104B (zh) * 2008-04-24 2015-04-11 Graco Minnesota Inc 快速固定性材料噴灑設備之清潔方法
TW201012796A (en) * 2008-09-02 2010-04-01 Solvay Fluor Gmbh Method for removal of contaminants
ES2400155B1 (es) 2011-08-11 2014-02-13 Universidad De Granada Composiciones decapantes, composiciones precursoras de las mismas, su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in situ", y su uso para decapar, de pinturas, barnices y lacas
JP6000028B2 (ja) * 2012-09-07 2016-09-28 甘糟化学産業株式会社 金属用洗浄剤
US8961680B2 (en) 2013-03-08 2015-02-24 Tbf Environmental Technology Inc. Solvent formulations
CN104804515B (zh) * 2015-04-23 2017-12-29 广东工业大学 一种环保无毒脱漆剂及其制备方法
EP3541744A4 (en) 2016-11-21 2020-07-08 Diversey, Inc. INNOVATIVE PEROXIDE STABILIZERS
SG11201907982TA (en) * 2017-03-28 2019-09-27 Neos Co Ltd Coating film stripp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stripping coating film
CN112585223B (zh) * 2018-08-30 2022-12-06 株式会社尼欧斯 涂膜去除剂组合物及用于去除涂膜的方法
CN114276873B (zh) * 2021-12-24 2023-08-29 江苏视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树脂镜片模具清洗剂的制备方法
CN114214125B (zh) * 2021-12-24 2023-07-28 江苏视科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树脂镜片模具清洗剂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5385A (en) * 1965-06-18 1967-11-28 Pennsalt Chemical Corp Process for removing organic coatings
US3954648A (en) * 1969-12-22 1976-05-04 Pennwalt Corporation Coatings removal composition containing an alkali metal hydroxide, an oxygenated organic solvent, and an amine
DE2141060C3 (de) * 1971-08-17 1980-06-19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osungen, die Copolymerisate aus 10 bis 99 Gew.-% N-Vinylpyrrolidon und 1 bis 90 Gew.-% Acrylsäuremethylester und/oder Acrylnitril enthalten
JPS5133229B2 (ko) * 1973-09-13 1976-09-18
DE3335489A1 (de) * 1983-09-30 1985-04-18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Haerter fuer alkalimetallsilikatloesungen fuer die bodenverfestigung
US4508634A (en) * 1983-11-15 1985-04-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queous skin cleaner composition comprising propylene carbonate
US4594111A (en) * 1984-10-04 1986-06-10 Coonan Edmund C Liquid phase cleaner-solvent
US4680133A (en) * 1986-03-26 1987-07-14 Environmental Management Associates, Inc. Stripp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amide and a carbonate and use thereof
US5179224A (en) * 1986-04-11 1993-01-12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Preparation process of cinnamate ester
US4927556A (en) * 1987-06-04 1990-05-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queous based composition containing dibasic ester and thickening agent for removing coatings
US5098594A (en) * 1988-05-20 1992-03-24 The Boeing Company Carbonate/diester based solvent
US5006279A (en) * 1988-08-24 1991-04-09 Grobbel William J Water-based coating removers
US4956115A (en) * 1989-05-23 1990-09-11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Water borne solvent strippers
US5098591A (en) * 1989-06-30 1992-03-24 Stevens Sciences Corp. Paint stripper and varnish remover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oclay rheological additives, methods for making thes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moving paint and other polymeric coatings from flexible and inflexible surfaces
US5085795A (en) * 1991-02-21 1992-02-04 Isp Investments Inc. Water-based compositions for removing stains from fabrics
US5106525A (en) * 1991-04-12 1992-04-21 Arco Chemical Technology, L.P. Paint stripper compositions containing gamma-butyrolactone
EP0558376B1 (fr) * 1992-02-26 1997-10-08 Rhone-Poulenc Chimie Procédé de monohydroxylation de composés phénoliques
US5215675A (en) * 1992-03-16 1993-06-01 Isp Investments Inc. Aqueous stripping composition containing peroxide and water soluble ester
FR2689505B1 (fr) * 1992-04-03 1995-06-09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hydroxylation de composes phenoliques.
DE69417773T2 (de) * 1993-01-08 1999-11-11 Rhone Poulenc Chim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Fuchsons
US5334331A (en) * 1993-01-12 1994-08-02 Isp Investments Inc. Method of activating N-methyl-2-pyrrolidone (NMP) varnish and paint remover solvents for removal of organic coatings
US5425893A (en) * 1993-04-14 1995-06-20 Stevens; Edwin Photoreactive paint stripping compositions and methods
US5456853A (en) * 1993-04-23 1995-10-10 Rust-Oleum Corporation Paint stripping composition based on tetrahydrofurfuryl alcohol and oxygenated aliphatic solvents
US5830836A (en) * 1995-10-27 1998-11-03 Eldorado Chemical Co.,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ating removal
GB9602593D0 (en) * 1996-02-08 1996-04-10 Dasic International Limited Paint remover
US5721204A (en) * 1996-02-29 1998-02-24 Gage Products Company Paint stripping composition
US5698507A (en) * 1996-09-10 1997-12-16 Colgate-Palmolive Co. Nonaqueous gelled automatic dishwashing composition
US5728666A (en) * 1996-12-19 1998-03-17 Napier International Technologies, Inc. Water-based alcohol hydroxycarboxylic peroxide compositions and their prepar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879A (ko) 2014-02-17 2015-08-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잉크 제거용 조성물
KR101703640B1 (ko) * 2015-10-19 2017-02-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성중합체를 이용한 선택적 흡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5060A (ko) * 2018-08-29 2020-03-10 (주)화인켐 키토산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페인트 점성 제거용 조성물
KR102212220B1 (ko) * 2020-08-28 2021-02-03 구자선 도료 점성제거제 및 이를 이용한 도료점성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594098A (en) 1998-12-11
EP0983324A1 (en) 2000-03-08
EP0983324B1 (en) 2004-09-01
NO995716L (no) 1999-11-22
US6162776A (en) 2000-12-19
ES2227834T3 (es) 2005-04-01
JP2002502450A (ja) 2002-01-22
DE69825989D1 (de) 2004-10-07
NO995716D0 (no) 1999-11-22
AU738869B2 (en) 2001-09-27
US6040284A (en) 2000-03-21
JP3938943B2 (ja) 2007-06-27
DE69825989T2 (de) 2005-09-29
CA2290536A1 (en) 1998-11-26
CA2290536C (en) 2008-07-22
WO1998053016A1 (en) 1998-11-26
ATE275174T1 (de) 200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2834A (ko) 페인트 및 코팅 제거제
US6169061B1 (en) Paint and coating remover
EP1313815B1 (en) Paint stripping compositions
US6159915A (en) Paint and coating remover
US5215675A (en) Aqueous stripping composition containing peroxide and water soluble ester
US6239090B1 (en) Thickened paint and coating remover
US5454985A (en) Paint stripping composition
WO2002088264A1 (en) Process and formulations to remove paint and primer coatings from thermoplastic polyolefin substrates
US6420327B1 (en) Carbonate-based coating removers
US6548464B1 (en) Paint stripper for aircraft and other multicoat systems
CA2654120A1 (en) Aqueous cleaning composition
WO2003062325A2 (en) Coating remover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