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337A - 제동등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제동등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337A
KR20010011337A KR1019990030646A KR19990030646A KR20010011337A KR 20010011337 A KR20010011337 A KR 20010011337A KR 1019990030646 A KR1019990030646 A KR 1019990030646A KR 19990030646 A KR19990030646 A KR 19990030646A KR 20010011337 A KR20010011337 A KR 20010011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switch
terminal
fixed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7168B1 (ko
Inventor
김심수
Original Assignee
이철환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환,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이철환
Priority to KR1019990030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168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되는 제동등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치 내부에 패킹 부재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스위치 접점 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제동등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측 브래킷에 나사 방식으로 고정되는 마운팅 볼트와; 상기 마운팅 볼트에 삽입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마운팅 볼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가 압입된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내측에서 상기 커넥터 단자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고정 단자와; 상기 푸시 로드 하측에 위치되어 푸시 로드를 따라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단자에 접촉 이격되는 접촉 단자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 단자와 푸시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푸시 로드와 접촉 단자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하우징과 스위치 바디 사이에 밀착되어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동등 스위치 장치{The stop lamp switch}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되는 제동등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치 내부에 패킹 부재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스위치 접점 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제동등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구비되는 제동등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뒤차에 제동을 알리는 램프이며,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에 따라 점등된다.
이와 같은 제동등은 제동등 스위치 장치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등 스위치(10)는 브레이크 페달(1)의 작동 범위내에 위치되어 브레이크 페달(1)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제동등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 단면도로서, 브레이크 페달(B) 주위에 설치된 브래킷(5)에 너트(11)로 고정되는 마운팅 볼트(12)와, 상기 마운팅 볼트(12)에 관통 삽입되어 브레이크 페달(B)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13)와, 상기 마운팅 볼트(12)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위치 하우징(14)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14)의 하부에 결합되고 제동등과 연결된 외부 회로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바디(15)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 바디(15)에 지지되어 상기 푸시 로드(1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로드 스프링(16)과, 상기 스위치 바디(15)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고정 단자(17)와, 상기 스위치 바디(15)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푸시 로드(13)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 단자(17)에 접촉 이격되면서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접촉 단자(18)와, 상기 접촉 단자(18)를 상기 고정 단자(17)측으로 밀어주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단자 스프링(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동등 스위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비제동시에는 푸시 로드(13)가 브레이크 페달(B)에 눌려 있는 상태이므로 접촉 단자(18)가 고정 단자(17)로부터 이격되어 스위치는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하지만, 브레이크 페달(B)을 밟게 되면 푸시 로드(13)가 로드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접촉 단자(18)도 단자 스프링(19)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단자(17)에 접촉되면서 스위치를 온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동등 스위치 장치는 푸시 로드(13)가 관통된 마운팅 볼트(12)의 홀을 통해 스위치 하우징(14)과 바디(15)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 등에 의해 스위치 접점 구조가 불안정하여 스위치 작동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은 마운팅 볼트(12)가 변형되는 경우에 푸시 로드(13)의 직선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제동시에 스위치가 온 작동되지 않는 등 스위치 작동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은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전선(20)을 통해 외부의 커넥터(21)와 연결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의 증가되어 스위치 구조가 복잡해지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패킹 부재를 통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푸시 로드를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스위치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제동등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바디부에 바로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형성함으로써 제품 구조를 간단히 함과 아울러 조립 공정이 용이해지도록 한 제동등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동등 스위치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측 브래킷에 나사 방식으로 고정되는 마운팅 볼트와; 상기 마운팅 볼트에 삽입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마운팅 볼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가 압입된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내측에서 상기 커넥터 단자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고정 단자와; 상기 푸시 로드 하측에 위치되어 푸시 로드를 따라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단자에 접촉 이격되는 접촉 단자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 단자와 푸시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푸시 로드와 접촉 단자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하우징과 스위치 바디 사이에 밀착되어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동등 스위치 장치의 장착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제동등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제동등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등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A-A선 방향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 방향의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마운팅 볼트 51 : 너트
55 : 스위치 하우징 60 : 스위치 바디
62 : 받침판 63 : 커넥터부
64 : 커넥터 단자 65 : 푸시 로드
70 : 고정 단자 71 : 단자 스프링
75 : 접촉 단자 80 : 리턴 스프링
90 : 패킹 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등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C"방향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동등 스위치 장치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측 브래킷에 나사 방식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가운데 홀이 형성된 마운팅 볼트(50) 및 너트(51)와, 사각 캡(Cap) 모양으로 상기 마운팅 볼트(50)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위치 하우징(55)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55)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동시에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64)가 압입되어 있는 스위치 바디(60)와, 상기 마운팅 볼트(50)의 홀에 관통 삽입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6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바디(60)의 내측에서 상기 커넥터 단자(64)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고정 단자(70)와, 상기 푸시 로드(65) 하측에 위치되어 푸시 로드(65)를 따라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 단자(70)에 접촉 이격되는 접촉 단자(75)와, 상기 스위치 바디(60)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 단자(75)와 푸시 로드(6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80)과, 상기 푸시 로드(65)와 접촉 단자(75)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둘레부분이 상기 스위치 하우징(55)과 스위치 바디(60) 사이에 밀착되어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부재(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접촉 단자(75)는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부측에 핀 모양으로 돌출된 삽입부(75a)가 형성되어 상기 푸시 로드(65)에 형성된 홀(66)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상기 고정 단자(70)에 접촉되는 동시에 스위치 바디(60)의 내측에 걸리도록 플랜지부(75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단자(70)는 상기 접촉 단자(75)의 하부에 위치되어 단자 스프링(71)에 지지되며, 상기 스위치 바디(60)에 압입된 커넥터 단자(64)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 바디(60)는 외측면에 돌출부(61)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하우징(55)의 홈(56)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받침판(62)이 부착 고정되며, 측면으로는 커넥터 단자(64)가 노출되는 커넥터부(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62)의 상면에는 상기한 단자 스프링(71)과 리턴 스프링(80)이 위치되도록 시트형 돌출부(62a)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패킹 부재(90)는 고무재로 제작되며, 중앙부(91)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 로드(65)와 접촉 단자(75)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둘레부(92)는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위치 하우징(55)의 내면과 스위치 바디(60)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부(91)와 둘레부(92) 사이에는 상기 푸시 로드(65)의 이동에 따라 자유롭게 절곡되도록 절곡부(9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등 스위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레이크 페달(B)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는 푸시 로드(65)가 리턴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마운팅 볼트(50)의 외측으로 전진한 상태이므로 접촉 단자(75)와 고정 단자(70)는 서로 이격되어 스위치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후진등은 점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B)을 밟게 되면 푸시 로드(65)가 브레이크 페달(B)에 밀려 리턴 스프링(80)을 압축하면서 스위치 하우징(55)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고, 동시에 접촉 단자(75)도 고정 단자(70)와 접촉되면서 제동등 스위치는 온작동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 하우징(55)과 푸시 로드(65) 및 접촉 단자(75) 사이에는 패킹 부재(9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푸시 로드(65) 및 접촉 단자(75)의 직선 운동을 구속하지 않으면서 이물질의 침투는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제동등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내부에 패킹 부재가 구비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푸시 로드와 접촉 단자가 분리되어 구성됨으로써 스위치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동등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바디부에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커넥터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품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 공정도 용이해지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브레이크 페달측 브래킷에 나사 방식으로 고정되는 마운팅 볼트와; 상기 마운팅 볼트에 삽입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마운팅 볼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가 압입된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내측에서 상기 커넥터 단자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고정 단자와; 상기 푸시 로드 하측에 위치되어 푸시 로드를 따라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단자에 접촉 이격되는 접촉 단자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 단자와 푸시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푸시 로드와 접촉 단자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하우징과 스위치 바디 사이에 밀착되어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등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는 상부가 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푸시 로드의 끝단부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상기 고정 단자에 접촉되는 동시에 스위치 바디의 내측에 걸리도록 플랜지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등 스위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수단은 중앙부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 로드와 접촉 단자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둘레부는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내면과 스위치 바디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부와 둘레부 사이에는 상기 푸시 로드의 이동에 따라 자유롭게 절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등 스위치 장치.
KR1019990030646A 1999-07-27 1999-07-27 제동등 스위치 장치 KR100317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646A KR100317168B1 (ko) 1999-07-27 1999-07-27 제동등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646A KR100317168B1 (ko) 1999-07-27 1999-07-27 제동등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337A true KR20010011337A (ko) 2001-02-15
KR100317168B1 KR100317168B1 (ko) 2001-12-22

Family

ID=1960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646A KR100317168B1 (ko) 1999-07-27 1999-07-27 제동등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1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9296A (zh) * 2017-08-22 2018-01-05 宁波融毅机电有限公司 一种制动踏板总成
CN110053547A (zh) * 2019-04-09 2019-07-26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用电磁感应式制动灯开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35B1 (ko) 2005-12-29 2007-09-20 주식회사 신창전기 페달 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9296A (zh) * 2017-08-22 2018-01-05 宁波融毅机电有限公司 一种制动踏板总成
CN110053547A (zh) * 2019-04-09 2019-07-26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用电磁感应式制动灯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7168B1 (ko) 200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406B1 (ko) 차량의 브레이크등 작동장치
KR100317168B1 (ko) 제동등 스위치 장치
US3204069A (en) Door switch assembly
US3104831A (en) Integral light housing and socket
CN211828569U (zh) 开关组件及汽车
US5201853A (en) Switching connector assembly
US3156416A (en) Lamp housing
KR100317167B1 (ko) 후진등 스위치 장치
JP3617066B2 (ja) 筐体のスイッチ付照明装置
KR100376430B1 (ko)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US20230282430A1 (en)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KR100319214B1 (ko) 스위치
US6218634B1 (en) Switch with integrated flasher relay
KR100986403B1 (ko) 파킹 브레이크 스위칭 장치
KR200147736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스위치
JPH0715110Y2 (ja) 無口金電球用ソケット
KR100192204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스위치
JPS6142258Y2 (ko)
JPH0247585Y2 (ko)
JP2004335283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用スイッチ
JPS6028013Y2 (ja) 照光式装置
KR20020029237A (ko)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KR960007250Y1 (ko) 콘센트 표시등
JPH0421226Y2 (ko)
JPH044786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