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212B1 -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 Google Patents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212B1
KR100366212B1 KR1020000060087A KR20000060087A KR100366212B1 KR 100366212 B1 KR100366212 B1 KR 100366212B1 KR 1020000060087 A KR1020000060087 A KR 1020000060087A KR 20000060087 A KR20000060087 A KR 20000060087A KR 100366212 B1 KR100366212 B1 KR 100366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od
push rod
cas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237A (ko
Inventor
박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0006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21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01H2009/04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using a sealing boot, e.g. the casing having separate elastic body surrounding the operating member and hermetically closing the opening for it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변속기의 뒤쪽에 구비되는 후진등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측에서 변속기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진 변속여부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 로드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 작동되는 스위치 수단이 포함된 후진등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부에서 제1 로드와 제2 로드로 분리되고; 상기 제1 로드와 제2 로드 사이에는 양쪽 로드를 완전히 차단하면서 상기 변속기 내측으로부터 오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수단이 설치됨으로써, 밀봉 성능이 향상되어 스위치 작동의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한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The packing apparatus for a back-up lamp switch}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변속기의 뒤쪽에 구비되는 후진등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기용 오일이 스위치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구비되는 후진등은 차가 후진할 때 뒤쪽의 장애물을 확인하고 또 후방에 대해 차가 후진하는 것을 알리는 신호 표지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후진등은 차체의 뒤범퍼 부근에 부착하거나 콤비네이션 램프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를 후진 위치에 넣으면 점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후진등을 온/오프시키는 후진등 스위치의 장착 위치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통상 변속기(1)의 뒷부분에 후진등 스위치(10)가 부착되어 운전자가 후진 변속을 하게 되면 후진등을 점등시키도록 작동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밀봉 구조를 갖는 후진등 스위치가 도시된 내부 단면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의 밀봉 구조를 갖는 후진등 스위치는 변속기 케이스 측에 나사 조립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 나사부(11a)가 형성된 스위치 하우징(11)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11)의 후미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스위치 바디(15)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11)의 내측에서 변속기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진 변속여부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20)와, 상기 스위치 바디(15)에 지지되어 상기 푸시 로드(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2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하우징(11)의 내측에는 상기 푸시 로드(20)에 고정되어푸시 로드(20)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접촉 단자(30)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바디(15)에는 상기 접촉 단자(30)의 이동에 따라 회로가 온/오프되도록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고정 단자(35)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스위치 하우징(11)의 내측에는 상기 푸시 로드(20) 둘레에 변속기 내측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고무재로 형성된 패킹 부재(4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패킹 부재(4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바, 그 중앙부(41)에 홀(41a)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 로드(20)에 끼워져 고정되고, 둘레부(42)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11)의 내면과 스위치 바디(15)의 상단부 사이에 밀착 결합되며, 상기 중앙부(41)와 둘레부(42) 사이에는 상기 푸시 로드(20)의 이동에 따라 자유롭게 절곡되도록 절곡부(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20)는 상기 패킹 부재(4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끝단부가 로드 결합부(21)로 분리되어 핀(20a)과 홈(21a)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다.
한편, 상기한 스위치 바디(15)의 뒷부분에는 내부를 밀봉시킴과 아울러 회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18)가 압입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밀봉 구조를 갖는 후진등 스위치는 푸시 로드(20)와 로드 결합부(21)사이에는 자유롭게 절곡되는 패킹 부재(4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푸시 로드(20)의 직선 운동을 구속하지 않으면서 변속기용 오일이 스위치 하우징(1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밀봉 구조를 갖는 후진등 스위치는 패킹부재(40)가 스위치 하우징(11)의 내측에서 푸시로드(20)와 로드 결합부(21) 사이에 끼워져 변속기 측으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차량의 주행 중 변속기용 오일의 온도가 100 ~ 120℃까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푸시 로드(20)의 핀(20a)이 끼워진 패킹 부재(40)의 홀(41a)을 통해 스위치 내부로 오일이 유입되어 보다 높은 밀봉 구조를 확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위치 하우징의 내측에서 패킹 부재가 푸시 로드의 분리된 부분에 결합되어 양쪽을 완전히 차단하면서 스위치 내부로 오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밀봉 성능이 향상되어 스위치 작동의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하는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자동차에 구비된 후진등 스위치의 장착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후진등 스위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가 도시된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스위치 하우징 55 : 스위치 바디
60 : 푸시 로드 65 : 로드 결합부
68 : 리턴 스프링 70 : 접촉 단자
75 : 고정 단자 80 : 패킹 부재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는,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측에서 변속기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진 변속여부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 로드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 작동되는 스위치 수단이 포함된 후진등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부에서 제1 로드와 제2 로드로 분리되고; 상기 제1 로드와 제2 로드 사이에는 양쪽 로드를 완전히 구획하면서 상기 변속기 내측으로부터 오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구조가 구비된 후진등 스위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가 도시된 주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진등 스위치는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위치 케이스(50)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50)의 내측에서 변속기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진 변속여부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60)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5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 로드(60)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 작동되는 접촉 단자(70) 및 고정단자(75)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50)는 변속기 케이스측에 고정되는 스위치 하우징(51)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51)의 후미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위치 바디(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 바디(55)에는 상기 푸시 로드(6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68)이 설치된다.
상기 접촉 단자(70)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51)의 내측에서 상기 푸시 로드(60)에 고정되어 푸시 로드(60)를 따라 직선 이동되고, 상기 고정 단자(75)는 상기 스위치 바디(55)에 상기 접촉 단자(70)의 이동에 따라 회로가 온/오프되도록 외부 회로(76)와 연결된다.
특히, 상기 스위치 하우징(51)의 내측에는 변속기 내측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고무재로 형성된 패킹 부재(80)가 설치되고, 상기 패킹 부재(80)는 상기 푸시 로드(60)에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푸시 로드(60)는 상기 패킹 부재(8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그 끝단부가 로드 결합부(65)로 분리되어 홈과 핀 방식으로 상호 끼워져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푸시 로드(60)에 홈부(60a)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 결합부(65)에 상기 홈부(60a)에 끼워지는 핀부(65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 부재(80)는 그 중앙부(81)가 상기 푸시 로드(60)와 로드 결합부(65)의 홈부(60a)와 핀부(65a)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둘레부(82)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51)의 내면과 스위치 바디(55)의 상단부 사이에 밀착 결합되며, 상기 중앙부(81)와 둘레부(82) 사이에는 상기 푸시 로드(60)의 이동에 따라 자유롭게 절곡되도록 절곡부(8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킹 부재(80)의 중앙부(81)는 상기 푸시 로드(60)의 홈부(60a)에 삽입되도록 돌출됨과 아울러 내부는 상기 핀부(65a)가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스위치 바디(55)의 뒷부분에는 내부의 밀봉과 회로의 고정을 위해 에폭시 수지(58)가 압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구조가 구비된 후진등 스위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후진기어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는 푸시 로드(60)가 변속기 내부의구성 요소에 의해 스위치 하우징(5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푸시 로드(60)는 리턴 스프링(68)을 압축하면서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이므로 접촉 단자(70)는 고정 단자(75)에서 이탈되어 절연재로 된 스위치 바디(55)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후진등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므로 후진등은 점등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후진 변속을 하게 되면 푸시 로드(60)가 리턴 스프링(68)의 탄성력에 의해 변속기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므로 접촉 단자(70)가 스위치 바디(55)의 내면에서 미끄러지면서 고정 단자(75)에 접촉된다. 따라서, 후진등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어 후진등은 점등된다.
여기서 상기 푸시 로드(60)와 로드 결합부(65)사이에는 양측을 완전히 차단하는 패킹 부재(8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푸시 로드(60)의 직선 운동을 구속하지 않으면서 변속기용 오일이 스위치 하우징(5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같이 패킹 부재(80)의 중앙부(81)에 홀이 형성되지 않은 조건에서 상기 푸시 로드(60)와 로드 결합부(65)의 홈부(60a)와 핀부(65a) 사이에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보다 확실한 밀봉 구조를 갖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이 설치된 패킹 부재(80)에 의해 변속기용 오일이 스위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접촉 단자(70)와 고정 단자(75)의 접점 구조가 확실하게 보장되어 스위치 작동의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는 패킹 부재가 푸시 로드의 분리된 부분에 결합되어 양쪽을 완전히 차단하면서 스위치 내부로 오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 성능이 향상되어 스위치 작동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측에서 변속기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진 변속여부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 로드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 작동되는 스위치 수단이 포함된 후진등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부에서 제1 로드와 제2 로드로 분리되고;
    상기 제1 로드와 제2 로드 사이에는 양쪽 로드를 완전히 차단하면서 상기 변속기 내측으로부터 오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후미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위치 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 수단은 그 중앙부가 상기 제1 로드와 제2 로드 사이에 끼워지고, 둘레부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내면과 스위치 바디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부와 둘레부 사이에는 상기 푸시 로드의 이동에 따라 자유롭게 절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패킹 수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로드와 제2 로드가 분리되어 핀과 홈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고;
    상기 패킹 수단의 중앙부는 상기 푸시 로드의 홈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됨과 아울러 내부는 상기 핀이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KR1020000060087A 2000-10-12 2000-10-12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KR100366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087A KR100366212B1 (ko) 2000-10-12 2000-10-12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087A KR100366212B1 (ko) 2000-10-12 2000-10-12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237A KR20020029237A (ko) 2002-04-18
KR100366212B1 true KR100366212B1 (ko) 2002-12-31

Family

ID=1969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087A KR100366212B1 (ko) 2000-10-12 2000-10-12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22B1 (ko) * 2005-07-06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후진등 스위치
CN104044501B (zh) * 2014-06-27 2016-03-3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倒车灯开关和具有其的汽车
KR102005038B1 (ko) * 2018-05-28 2019-07-29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237A (ko) 200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503B1 (ko) 세경 배관 접속용 커넥터
JP2001283990A (ja) ノイズ除去部材及び導電性線材とノイズ除去部材との取付構造
KR100366212B1 (ko)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KR100317167B1 (ko) 후진등 스위치 장치
US5394081A (en) Rotary pulse generator
US6011225A (en) Construction of a lever switch for a vehicle
US3104831A (en) Integral light housing and socket
KR102255443B1 (ko) 커넥터에 삽입되는 오링 삽입용 지그
KR100317168B1 (ko) 제동등 스위치 장치
KR100369083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랙바용 서포트 요크의 간격 측정구조
JPH1114642A (ja) 回転値発信器のための挿入体
KR100319214B1 (ko) 스위치
KR200294177Y1 (ko) 자동차용 푸쉬 스위치의 샤프트 서브 앗세이
KR100759735B1 (ko) 페달 스위치
KR100376430B1 (ko)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KR890001469B1 (ko) 스위치
KR970035842A (ko) 접점배열이 단순화된 개선된 자동 변속기 기어 포지션 스위치
KR20010088191A (ko) 차량용 전자제어유닛 어셈블리
JP2005116446A (ja) ペダルスイッチにおける夾雑物の付着防止構造
KR0135720Y1 (ko) 스타트모터
JPH10302569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162153Y1 (ko) 수동 변속기용 릴리스 포크 조립 구조
KR0123773Y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하우징 어셈블리
KR100217249B1 (ko)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의 반력장치
KR19990029765U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유니버설조인트 연결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