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038B1 -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 - Google Patents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038B1
KR102005038B1 KR1020180060653A KR20180060653A KR102005038B1 KR 102005038 B1 KR102005038 B1 KR 102005038B1 KR 1020180060653 A KR1020180060653 A KR 1020180060653A KR 20180060653 A KR20180060653 A KR 20180060653A KR 102005038 B1 KR102005038 B1 KR 102005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at
switch
circuit board
housing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0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1/00Contacts
    • H01H2201/022Material
    • H01H2201/032Conductive polymer; Rub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는, 스위치 소자가 실장되는 회로기판(PWB, printed wiring board), 회로기판의 상부면을 덮는 고무매트(rubber mat), 회로기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하우징 및 회로기판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스위치로서, 상기 고무매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추가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스위치 내부로 이물질 또는 액체가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에 형성된 드레인 홀을 통해 유이된 이물질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스위치 내부에 내장된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Switch Having Structure For Waterproof and Anti Vibration}
본 발명은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기판 상에 스위치 소자가 실장되는 스위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내부로 액체 내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부에는 차 실내의 환기 및 외부 환경과의 차폐를 위한 윈도우가 설치된다. 윈도우 개폐를 위해서는 도어부 내측에 마련된 스위치 노브로 모터를 구동시키는 파워 윈도우 시스템이 채택되며, 윈도우 스위치가 배치되는 도어 트림에는 사이드 미러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도 함께 배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러한 스위치의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2) 상에 스위치 소자(13)가 실장되고, 스위치 소자(13)를 누름 동작에 의해 가압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 노브(11)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10)는, 회로기판(12) 상에 스위치 소자(13)를 실장하고 있고, 회로기판(12)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다.
하우징(14)은 일반적으로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져 조립된 구조를 포함하고, 스위치 노브(11)는 하우징(14)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14)을 구성하는 구성품의 조립부분 또는 스위치 노브(11)의 슬라이딩 구동 틈새를 통해 스위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로기판을 덮는 구조의 고무패드를 적용하기도 하나, 한정된 내부 공간 구조로 인해,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케이스 설계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고무패드의 경우 단순히 회로기판을 덮어 실링 효과를 구현할 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며, 진동 흡수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재차 추가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고무패드 및 진동 흡수 구조를 각각 따로 제작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생산공정이 길어지고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러버매트(rubber mat)가 단순히 회로기판(PWB)을 감싸는 구조로서, 케이스(case)와 커버(cover) 사이의 실링(sealing)을 구현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 나아가 종래 기술에 따른 러버매트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침투하는 액체 내지 이물질로부터 회로기판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위치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06-0032064 (2006년 04월 14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기판 상에 스위치 소자가 실장되는 스위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스위치 내부로 이물질 또는 액체가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스위치 내부에 내장된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위치는, 스위치 소자가 실장되는 회로기판(PWB, printed wiring board), 회로기판의 상부면을 덮는 고무매트(rubber mat), 회로기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하우징 및 회로기판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스위치로서, 상기 고무매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추가 실링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PWB)의 상부면에는 발광부재가 더 실장되고, 상기 고무매트는, 회로기판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발광부재와 스위치 소자를 덮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무매트는, 스위치 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러버돔(rubber dome)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러버돔은,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수용하여 하방으로 위치변경되고, 평면상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된 누름접촉부; 상기 고무매트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누름접촉부의 외주면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구조의 지지부; 및 상기 누름접촉부의 하부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누름접촉부의 하방 이동에 의해 스위치 소자를 가압하여 스위칭 동작을 구현하는 누름돌기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접촉부와 지지부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밀폐된 구조의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외주면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결속홈이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고무매트의 내주면에는 제 1 결속홈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1 결속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무매트의 외주면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결속홈이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추가 실링부의 내주면에는 제 2 결속홈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2 결속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가 실링부의 양단부에는, 회로기판의 양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제 3 결속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추가 실링부의 상부면에는 제 3 결속홈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3 결속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부에는 제 4 결속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추가 실링부의 하부면에는 제 4 결속홈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4 결속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 시키는 드레인 홀(drain 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에 따르면, 고무매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추가 실링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스위치 내부로 이물질 또는 액체가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에 형성된 드레인 홀을 통해 유이된 이물질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스위치 내부에 내장된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고무매트 및 추가 실링부를 구비함으로써, 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스위치 소자 및 발광부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누름접촉부, 지지부 및 누름돌기부를 포함하는 러버돔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스위칭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에 따르면, 누름접촉부와 지지부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밀폐된 구조의 공간을 형성 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내부로 액체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스위치를 보호할 수 있어, 안정적인 스위치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에 따르면, 고무매트의 양단부에 회로기판의 양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절곡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고무매트와 회로기판이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방수 및 방진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결속홈 및 결속돌기를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스위치 내부로 이물질 또는 액체가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스위치 내부에 내장된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매트 및 추가 실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매트 및 추가 실링부가 조립되어 일체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로서 각 부분간의 간격을 과장하여 삽입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매트 및 추가 실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매트 및 추가 실링부가 조립되어 일체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 5의 A부분 확대도로서 각 부분간의 간격을 과장하여 삽입하여 표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5의 A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00)는, 스위치 소자(102)가 실장되는 회로기판(PWB, printed wiring board, 101), 회로기판(101)의 상부면을 덮는 고무매트(rubber mat, 110), 회로기판(101)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하우징(131) 및 회로기판(101)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하우징(13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매트(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는 추가 실링부(12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때, 추가 실링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31)과 하부 하우징(132)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무매트(110) 및 추가 실링부(120)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고무(rubber)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고무매트(110)와 추가 실링부(120)를 고무 재질로 구성할 경우, 방수 및 절연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위치(100)에 따르면,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커버플레이트(11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하여 푸쉬 스위칭 동작을 구현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력 등에 대한 완충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스위치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스위치 내부로 이물질 또는 액체가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하여 푸쉬 스위칭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력 등에 대한 완충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스위치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무매트(110)는, 회로기판(101)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스위치 소자(102)를 덮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회로기판(101)의 상부면에는 발광부재가 더 실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무매트(110)는 발광소자와 스위치 소자(102)를 동시에 덮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발광소자를 덮는 부분은 투명 소재로 구성되어 발광소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기 설정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고무매트(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소자(10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러버돔(rubber dome)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러버돔(140)은 특정 구조의 누름접촉부(141), 지지부(142) 및 누름돌기부(14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누름접촉부(141)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수용하여 하방으로 위치변경되고, 평면상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지지부(142)는, 고무매트(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누름접촉부(141)의 외주면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누름돌기부(143)는, 누름접촉부(141)의 하부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누름접촉부(141)의 하방 이동에 의해 스위치 소자(102)를 가압하여 스위칭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누름접촉부(141)와 지지부(142)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밀폐된 구조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누름접촉부(141), 지지부(142) 및 누름돌기부(143)를 포함하는 러버돔(14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스위칭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접촉부(141)와 지지부(142)를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내부에 밀폐된 구조의 공간을 형성 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내부로 액체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스위치를 보호할 수 있어, 안정적인 스위치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31)의 일측면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 시키는 드레인 홀(drain hole, 133)이 형성되어, 내부에 침투된 이물질을 외부로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드레인 홀(133)의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매트(11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부로 침투한 이물질은 드레인 홀(133)을 통해 손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고무매트(110)는 회로기판(101)과 상부 하우징(131) 사이를 밀폐하고 있고, 추가 실링부(120)는 상부 하우징(131)과 하부 하우징(132) 사이를 밀폐하고 있어, 침투했던 이물질은 회로 기판(101)의 하부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자연스럽게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01)의 외주면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결속홈(151)이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무매트(110)의 내주면에는 제 1 결속홈(151)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1 결속돌기(15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매트(110)의 외주면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결속홈(153)이 둘 이상 형성되고, 추가 실링부(120)의 내주면에는 제 2 결속홈(153)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2 결속돌기(154)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매트(110)의 양단부에는, 회로기판(101)의 양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절곡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무매트(110)와 회로기판(101)이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방수 및 방진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31)의 하단부에는 제 3 결속홈(155)이 형성되어 있고, 추가 실링부(120)의 상부면에는 제 3 결속홈(155)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3 결속돌기(15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132)의 상단부에는 제 4 결속홈(157)이 형성되어 있고, 추가 실링부(120)의 하부면에는 제 4 결속홈(157)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4 결속돌기(15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결속홈(151, 153, 155, 157) 및 결속돌기(152, 154, 156, 158)를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스위치 내부로 이물질 또는 액체가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스위치 내부에 내장된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매트(110)는 회로기판(101)과 상부 하우징(131) 사이를 밀폐하고 있고, 추가 실링부(120)는 상부 하우징(131)과 하부 하우징(132) 사이를 밀폐하고 있어, 이물질이 회로 기판(101)으로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11: 스위치 노브
12: 회로기판
13: 스위치 소자
14: 하우징
100: 스위치
101: 회로기판
102: 스위치 소자
103: 스위치 노브
110: 고무매트
111: 절곡부
120: 추가 실링부
131: 상부 하우징
132: 하부 하우징
133: 드레인 홀(drain hole)
140: 러버돔(rubber dome)
141: 누름접촉부
142: 지지부
143: 누름돌기부
151: 제 1 결속홈
152: 제 1 결속돌기
153: 제 2 결속홈
154: 제 2 결속돌기
155: 제 3 결속홈
156: 제 3 결속돌기
157: 제 4 결속홈
158: 제 4 결속돌기

Claims (10)

  1. 스위치 소자(102)가 실장되는 회로기판(PWB, printed wiring board, 101), 회로기판(101)의 상부면을 덮는 고무매트(rubber mat, 110), 회로기판(101)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하우징(131) 및 회로기판(101)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하우징(132)을 포함하는 스위치(100)로서,
    상기 고무매트(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상부 하우징(131)과 하부 하우징(132)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추가 실링부(120);
    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101)의 외주면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결속홈(151)이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고무매트(110)의 내주면에는 제 1 결속홈(151)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1 결속돌기(1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매트(110)의 외주면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결속홈(153)이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추가 실링부(120)의 내주면에는 제 2 결속홈(153)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2 결속돌기(15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하우징(131)의 하단부에는 제 3 결속홈(1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추가 실링부(120)의 상부면에는 제 3 결속홈(155)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3 결속돌기(1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하우징(132)의 상단부에는 제 4 결속홈(15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추가 실링부(120)의 하부면에는 제 4 결속홈(157)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4 결속돌기(15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하우징(131)의 일측면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 시키는 드레인 홀(drain hole, 1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PWB, 101)의 상부면에는 발광부재가 더 실장되고,
    상기 고무매트(110)는, 회로기판(101)의 평면 형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발광부재와 스위치 소자(102)를 덮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매트(110)는, 스위치 소자(10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러버돔(rubber dome)을 포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돔(140)은,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수용하여 하방으로 위치변경되고, 평면상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된 누름접촉부(141);
    상기 고무매트(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누름접촉부(141)의 외주면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구조의 지지부(142); 및
    상기 누름접촉부(141)의 하부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누름접촉부(141)의 하방 이동에 의해 스위치 소자(102)를 가압하여 스위칭 동작을 구현하는 누름돌기부(1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접촉부(141)와 지지부(142)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밀폐된 구조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매트(110)의 양단부에는, 회로기판(101)의 양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절곡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60653A 2018-05-28 2018-05-28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 KR102005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653A KR102005038B1 (ko) 2018-05-28 2018-05-28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653A KR102005038B1 (ko) 2018-05-28 2018-05-28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038B1 true KR102005038B1 (ko) 2019-07-29

Family

ID=6748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653A KR102005038B1 (ko) 2018-05-28 2018-05-28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0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237A (ko) * 2000-10-12 2002-04-18 이철환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JP2004199954A (ja) * 2002-12-17 2004-07-15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KR20060032064A (ko) 2004-10-11 2006-04-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로터리 스위치 방수구조
KR20090018377A (ko) * 2007-08-17 2009-02-20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키 패드 버튼 구조
JP2016001557A (ja) * 2014-06-12 2016-01-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2段スイッチ装置
KR20170070759A (ko) * 2015-12-14 2017-06-22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온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237A (ko) * 2000-10-12 2002-04-18 이철환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JP2004199954A (ja) * 2002-12-17 2004-07-15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KR20060032064A (ko) 2004-10-11 2006-04-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로터리 스위치 방수구조
KR20090018377A (ko) * 2007-08-17 2009-02-20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키 패드 버튼 구조
JP2016001557A (ja) * 2014-06-12 2016-01-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2段スイッチ装置
KR20170070759A (ko) * 2015-12-14 2017-06-22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온도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460B2 (en) Latch release operating apparatus
JP2002529897A5 (ko)
JP2005302384A (ja) 防水キーボード
JP3220672U (ja) 電子装置及びその当止め構造
JP2014532973A5 (ko)
JP4816150B2 (ja) 送信機
JPWO2012132457A1 (ja) 電子キー
KR102005038B1 (ko) 방수 및 방진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
KR102479856B1 (ko) 방수 전기 스위치 조립체
JP3237837U (ja) 防水仕様のスイッチ組立体
KR102202571B1 (ko) 방수 및 빛 샘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스위치
JP4658765B2 (ja) 防水キーボード
US11087938B2 (en) Switch device
CN210349639U (zh) 防水按键及电子设备
US7232966B2 (en) Steering wheel horn contact unit and assembly
JPH0670292U (ja) 防水ケース構造
GB2266186A (en) A keyboard.
JP5528616B1 (ja) 携帯端末装置
JP2015204730A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0140661B1 (ko) 푸시버튼 스위치
CN115996538A (zh) 蓝牙功能保护结构、印刷电路板组件及传感器
JP3913058B2 (ja) 携帯無線機の構造
JP7430117B2 (ja) 電気装置
KR100255939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단자판 보호커버
WO2020183782A1 (ja) 押釦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