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469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469B1
KR890001469B1 KR1019840004922A KR840004922A KR890001469B1 KR 890001469 B1 KR890001469 B1 KR 890001469B1 KR 1019840004922 A KR1019840004922 A KR 1019840004922A KR 840004922 A KR840004922 A KR 840004922A KR 890001469 B1 KR890001469 B1 KR 89000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asing
inner case
contact
lead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630A (ko
Inventor
모도유끼 도미즈
구니오 나가다
Original Assignee
다데이시 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다데이시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데이시 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다데이시 다까오 filed Critical 다데이시 덴끼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1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치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고, 제1도는 분해 사시도.
제1a도는 내부케이스의 철부에 리디드단자를 끼운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외부케이스를 절결한 정면도.
제3도는 중앙부 수직 단면도.
제4도는 중앙부 수평 단면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제2실시예를 표시하고 제5도는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중앙부 수직 단면도.
제7도는 스위칭 회로도.
제8a도, 제8b도, 제8c도는 고정접점과 외부코우드의 접속에 관한 변형예를 표시하는 요부 사시도.
제9도는 온도변화에 대한 동작위치의 정밀도를 개량한 변형예에 관한 스위치의 제3도와 같은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변형예에 관한 변화특성을 표시하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4 : 오목부
4a : 측벽부 8, 9 : 고정접점
10, 15 : 리이드단자 20 : 외부코우드
21 : 심선 22 : 연결부
23 : 홈부 30 : 플런저
35 : 가동접점 36, 37 : 베어링
38 : 복귀수단 40 : 프린트 기판
45 : 외부케이스 47 : 부착구멍
50 : 단자판 51 : 단자
52 : 연결부 53 : 홈부
본 발명은 소형이고 고정밀도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물체의 위치검출용에 사용되는 유접점 스위치로서는 반전기구를 이용한 것 내지는 리이프(leaf)접점을 이용한 것이 제공되어 있지반 이들은 어느 것도 판스프링을 사용한 것이기 때문에 접점의 동작위치의 어긋나기가 크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그때문에 복귀스프링으로 부세된 도전성 구체(球體)가 한쌍의 고정접점에 당접하여 상폐(商閉)접점을 구성하여 플런저를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구체 복귀스프링에 대항하여 각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간시키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서는 구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가일뿐만 아니라 플런저, 구체(가동접점) 및 복귀스프링이 소위 직렬로 나란히 서기 때문에 스위치 자체가 대형화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플런저의 접동경간은 길수록 동작이 안정하고 흔들림에 의한 정밀도에의 악영향이 적어서 바람직하나 이것에서는 접동경간을 길게 잡으면 스위치 자체의 대형화를 피할수가 없고, 고정밀도를 얻기 위한 충분한 접동경간을 잡을수 없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결점에 비추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소형이고 고정밀도이며 또한 안가인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는 봉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케이싱내에 대항 설치한 한쌍의 고정접점과, 케이싱내에 축방향으로 접동자재로 플런저와, 이 플런저를 접동자재로 지지하는 베어링과, 봉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플런저의 중간부에 상기 고정접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한 가동접점과, 플런저의 주위에 권회한 복귀수단과를 구비하고, 자유상태에 있어서 가동접점이 플런저와 같이 복귀하여 한쌍의 고정접점을 닫게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플런저의 중앙부나 주위에 가동접점, 한쌍의 고정접점, 복귀스프링을 설치하여 플런저를 베어링으로 접동자재로 지지하였기 때문에 플런저의 길이방향에 극히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플런저의 접동경간을 비교적 길게 잡을수가 있는 것과, 접점을 봉재로 교차구성으로 한것에 의하여 접점동작의 고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접점을 봉재로 형성한 것에 의하여 안가로 제조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고 개략 내부케이스(1), 고정접점(8), (9), 리이드단자(10), (15), 플런저(30), 가동접점(35), 베어링(36, 37), 복귀스프링(38), 외부케이스(45)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내부케이스(1)는 적의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한것, 리이드단자(10), (15)는 도체성 금속박판으로부터 프레스가공으로 일체로 뚫어낸것, 고정접점(8), (9)은 리이드단자(10), (15)의 돌편(11), (16)에 일단면을 스포트용접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되어 내부케이스(1)에 중심공(2)과 직교방향으로 천설한 관통공(3), (3)에 삽입되어 있다.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고정접점(8), (9)은 중앙부분이 중심공(2)내에서 대향하여 노출하고 있다.
리이드단자(10), (15)는 미리 외부코우드(20)의 심선(21), (21)이 반원형의 만곡부(12), (17)에 납땜되어 있어서 내부케이스(1)의 외주면에 형성한 오목부(4), (4)에 부착되어 있다.
리이드단자(10), (15) 자체는 구멍(13), (13)을 소돌기(5), (5)에 감압하는 것에 의하여 내부케이스(1)에 임시 고정된다.
상기 오목부(4), (4)는 리이드단자(10), (15)의 형상과 거의 동일 형상으로 내부케이스(1)의 외주면에 이 외주면과 연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리이드단자(10), (15)의 자유상태에 있어서의 폭치수(W1)는 오목부(4)의 주위방향 폭치수(W2)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리이드단자(10), (15)는 내부케이스(1)의 외주면에 연하게 휘어지게한 상태로 오목부(4), (4)에 감합된다.
이때 리이드단자(10), (15)의 양단부는 자신의 스프링력으로 오목부(4), (4)의 측벽구(4a), (4a)에 계합하여 탈락이 방지된다.
측벽부(4a). (4a)는 리이드단자(10), (15)의 스프링력을 받아 멈추게 하는 형상 내지 각도를 가질 필요가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방향과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다.
또 리이드단자(10), (15)는 구멍(13), (13)을 소돌기(5), (5)에 감합하는 것에 의하여도 탈락이 방지되지만 측벽부(4a), (4a), 소돌기에 의한 고정은 조립시에 있어서의 임시 멈춤이고, 리이드단자(10), (15)는 뒤에 수지제의 열수축 튜유브(22)를 덮는 것에 의하여 절연성과 더불어 확실한 고정이 된다. 또 소돌기(5), (5)를 열로 조이는 것도 고려되지만 제조공정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플런저(30)는 내부케이스(1)의 중심공(2)내에 세라믹제의 베어링(36), (37)을 거쳐서 접동자재로 장착되어 거의 중앙부에 천설된 구멍(31)에는 가동접점(35)이 삽통 고정되어 있다. 이 가동접점(35)은 환봉의 접점재를 소정길이 즉, 고정접점(8), (9)의 경간보다도 약간 길게 절단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접점(8), (9)과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고 중심공 내에는 가동접점(35)의 양단부가 이동하게 홈부(6), (6)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상의 복귀스프링(38)은 플런저(30)의 주위에 베어링(37)과 가동접점(35)과의 사이에 와셔(39)를 거쳐서 압축상태로 설치되어 가동접점(35), 플런저(30)를 상시 화살표시(a)방향으로 부세하고 가동접점(35)이 고정접점(8), (9)에 압접하는 접점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내부케이스(1)의 중심공(2)에 베어링(37), 복귀스프링(38), 가동접점(35)을 가지는 플런저(30)를 삽입하고 플런저(30)를 중심공(2)에 압입한 상태로 상기 고정접점(8), (9)을 관통공(3), (3)에 삽입한다.
외부케이스(45)는 금속제의 통상체로부터 되어 외주면에는 일부를 평탄하게 결제(缺除)한 암나사(46)가 각설되고, 상기 내부케이스(1)등은 후단개구로부터 삽입되어 플런저(30)의 선단부가 개구(47)로부터 돌출하도록 수납된다.
그리고 외부케이스(45)의 환상홈(48)과 플런저(30)의 선단부에 형성한 환상홈(32)에는 주름상자상의 신축고무(44)가 감합되어 개구(47)의 밀봉을 행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본 스위치는 상시 복귀스프링(33)의 탄성력으로 가동접점(35)이 고정접점(8), (9)에 당접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플런저(30)가 화살표시(a')방향으로 압압되면 플런저(30)와 같이 가동접점(35)이 보귀스프링(3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화살표시(a')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접점(8), (9)에 개리된다.
한편, 본 스위치는 외부케이스(45)를 패널등의 부착구멍에 삽통하여 표리면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너트를 암나사(46)에 나착하는 것에 의하여 부착된다.
즉, 본 스위치는 플런저(30)가 압압되면 즉시 고정접점(8), (9)이 개리하고, 동작가지의 움직임(PT)이 0이고, 접점재로서 환봉으로 교차바아접점을 구성한 것에 의하여 접점의 동작정밀도가 극히 높아진다. 또 플런저(30)는 그 전후에서 베어링(36), (37)으로 지지되어 접동경간(L)을 비교적 길게 잡을수 있기 때문에 치수오차등에 기인하는 흔들림의 영향을 극력 폐제할수 있다.
한편, 가동접점(35)은 플런저(30)의 거의 중앙부에, 복귀스프링(38), 고정접점(8), (9)은 플런저(30)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 효율이 좋고, 콤팩트한 스위치를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과 같이 접점(8), (9), (35)를 봉재, 특히 환봉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안가로 제조할 수 있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제2실시예를 표시하고 2선식 무접점출력을 꺼내게 한 것으로서 내부케이스(1), 고정접점(8), (9), 리이드단자(10). (15), 플런저(30), 가동접점(35), 외부케이스(45)등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리이드단자(10), (15)와 외부코우드(20)와의 사이에는 IC화된 스위칭회로가 개재되어 있다. 이 회로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2개의 트랜지스터(Tr1), (Tr2)로 주지의 무접점 스위치를 구성하고 보호용의 제너다이오우드(ZD)와 동작표시용의 발광다이오우드(LED)를 삽입한 것이다.
단자(T1), (T2)간에 전원과 부하를 접속한 경우, 고정접점(8), (9)이 닫히게 형성되어 있을때(본 스위치에 있어서의 상태)트랜지스터(Tr1)<(Tr2)는 오프되고 발광다이오우드(LED)는 소등된 그대로이다.
한편, 고정접점(8). (9)이 개리되면 트랜지스터(Tr1), (Tr2)가 같이 온되어 부하에 전류가 공급되는 동시에 발광다이오우드(LED)가 점등한다.
상기 스위칭회로는 기판(40)에 형성되어 있고, 발광다이오우드(LED)는 광파이버(41)의 일단부와 투명한 열수축성 튜유브(42)로 결합되어 있다. 또 외부케이스(45)의 상면에는 발광다이오우드(LED)의 설치개소에 대응하여 창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다이오우드(LED)의 점등은 광파이버(41)의 선단부와 외부케이스(45)의 창부(49)로부터 확인 할수가 있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고정접점(8), (9)의 유접점신호의 온, 오프에 기인하여 트랜지스터(Tr1), (Tr2)로부터 된 무접점신호를 꺼낼수가 있고 고정접점(8), (9)에 흐르는 전류는 소량임에도 불구하고 단자(Tr1), (Tr2)에는 대량의 전류를 흘릴수가 있다. 환원하면, 대전류의 개폐임에도 접점(8), (9), (35)간에는 소전류밖에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접점열화등이 적고 장기의 반복사용에 견디고 고정밀도의 개폐특성을 유지 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각 심선(21)과 기판(40)과의 접속은 제8a도, 제8b도, 제8c도와 같이 변형하여도 좋다.
즉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프린트기판(40)의 부착공(40a), (40a)에 납땜된 단자(51), (51)에 외부코오드(20)의 일단에 부착한 접속기(60)의 핀(61), (61)이 납땜되어 있다. 단자(51), (51)는 제8a도, 제8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미리 연결부(52)로 일체가 되게 단자판(50)으로서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되어 연결부(52)는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홈부(53), (53)로 접어지게 되어있다. 이 단자판(50)은 우선 프린트기판(40)의 부착공(40a), (40a)에 각 단자(51), (51)를 삽입하여 납땜하고 접속기(60)의 핀(61), (61)을 납땜하고 프린트기판(40)상의 배선부분과 외부코우드와를 접속한 후 연결부(52)를 화살표시(F)방향으로 넘어뜨려서 연결부(52)를 접는다(제8c도 참조).
연결부(52)는 홈부(53), (53)의 부분에서 접어진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는 단자(51), (51)는 연결부(52)에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큰 부품으로서 취급할 수가 있고 단자(51), (51)자체는 대칭의 상이한 형이지만 실수함이 없이 한번의 작업으로 부착공(40a), (40a)에 삽입할 수가 있다. 또 단자(51), (51)가 개별로 설치되면 접속기(60)의 핀(61), (61)의 납땜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제9도, 제10도에 다시 다른 변형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변형예는 상기 실시예에 표시한 형의 스위치에 있어서 온도변화에 대하여도 동작위치의 어긋나기가 극히 적은 환언하면 온도계수가 0에 동등한 고정밀도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관한 스위치에서는 플런저가 압압되면 즉시로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으로부터 개리하기 때문에 동작할때까지의 움직임(PT)이 0이고, 확실하게 접점동작의 고정밀도를 실현하지만 반드시 온도변화에 대하여 접점의 동작위치가 일정하다는 것까지는 고려되어 있지 않는 것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내부케이스(1)는 PBT(폴리브틸렌레프타레이트)로 성형한것, 리이드단자(10), (15)는 도전성 금속판막으로부터 프레스 가공으로 일체로 뚫은 것, 고정접점(8), (9)은 베릴륨 동합금으로부터 된 환봉의 접점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한 것이다. 플런저(30)는 알루미나의 세라믹으로부터 된다. 내부케이스(1)의 중심공(2)내의 베어링(36), (37)은 세라믹제이다.
가동접점(35)은 환봉의 접점재를 소정길이 즉, 고정접점(8), (9)의 경간보다도 약간 길게(제9도 참조)구성되어 있다. 외부케이스(45)는 스텐레스를 거의 통상체로 한 것으로서, 전부 양측에 돌설된 한쌍의 돌편(70), (70)에는 이 스위치 패널등에 나사멈춤하기 위한 부착공(71)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스위치에 있어서의 온도변화에 대한 동작위치의 어긋나기에 대하여 고찰한다. 온도변화에 기인하는 부재의 신축이 부착공(71)을 기준으로하여 그 중심으로부터 플런저(30)의 선단까지의 거리(L)에 영향을 끼친다.
예컨대, 외부케이스(45), 플런저(30)의 신장은 화살표시 a방향으로 작용하고 내부케이스(1), 고정접점(8), (9)의 신장은 화살표시 a' 방향에 작용한다.
실질적으로 외부케이스(45)는 부착공(71)으로부터 내부케이스(1)의 선단까지의 거리(L1)에 그 온도계수(A)를 승한것, 플런저(30)는 그의 선단으로부터 접촉점까지의 거리(L3)에 그의 온도계수(B)를 승한것, 내부케이스(1)는 그의 선단으로부터 고정접점(8), (9)까지의 거리(L2)에 그의 온도계수(C)를 승한것, 고정접점(8), (9)는 그의 경(d)에 그의 온도계수(D)를 승한것이 각각 영향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동작위치의 변화량
Figure kpo00002
이 0이 되게 하기 위하여 각 부재의 재질이나 치수를
Figure kpo00003
= (L1.A+L3.B-L2.C-d.D)
Figure kpo00004
≒0
인 식을 만족하게 선택하고 있다. 또
Figure kpo00005
t는 온도변화를 표시한다.
제10도는 변형에에 관한 스위치에 있어서의 동작점의 온도에 대한 변화특성을 표시하고 횡축은 플런저 선단으로부터 접촉점까지의 거리(L3)를 표시하고 종축은 플런저 선단의 변위량을 표시한다.

Claims (6)

  1. 봉재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케이싱(1)내에 대향 설치한 한쌍의 고정접점(8). (9)과 케이싱(1)내에 축방향으로 접동자재로 장착한 플런저(30)와, 이 플런저(30)를 접동자재로 지지하는 베어링(36), (37)과, 봉재를 소정길이에 절단하여 플런저(30)의 중간부에 상기 고정접점(8), (9)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착한 가동접점(35)과, 플런저(30)의 주위에 감은 복귀수단(38)과를 구비하고, 자유상태에 있어서 가동접점(35)이 플런저(30)와 같이 복귀하여 한쌍의 고정접점(8). (9)을 닫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이 케이싱(1)의 외주면에는 이 외주면에 연하여 상대하는 축에 한쌍의 오목부(4)가 형성되고, 한편 상기 한쌍의 각 고정접점은 도전성 박판으로 구성되는 각 리이드단자(10), (15)의 일단에 접속되어, 이 각 리이드단자(10), (15)의 타단은 외부코우드(20)의 각 심선(21)에 접속되어, 더우기 상기 각 리이드단자(10), (15)가 케이싱(1)의 상기 각 오목부(4)내에 끼어진것.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4)의 주위방향 폭치수(W2)보다도 상기 각 리이드단자(10), (15)의 폭치수(W1)를 약간 크게하고 각 리이드단자(10), (15)를 오목부(4)에 끼었을때에 원통형 케이싱(1)의 주위방향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으로 리이드단자(10), (15)의 단부가 오목부(4)의 측벽부(4a)에 계합하는것.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접점(8), (9)은 프린트기판(40)을 거쳐서 외부코우드(20)에 접속되게 되어있고, 또 프린트기판(40)은 단자판(50)을 거쳐서 외부코우드(20)에 접속되고 상기 단자판(50)은 복수의 단자(51), (51)를 연결부(52)로 일체로 연결해서 되고 또 연결부(52)를 접는 것이 가능한 홈부(53)를 가지고 상기 단자판(50)을 프린트기판(40)에 접속한 후에 단자판(50)의 연결부(52)를 접게 한것.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고정접점(8), (9), 플런저(30) 및 가동접점(35)등을 수납하는 내부케이스(1)와, 부착공(47)을 가지고 또 상기 내부케이스(1)를 피복하는 외부케이스(45)와를 구비하고 동작위치의 변화량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 (L1.A + L3B-L2.C-d.D)
    Figure kpo00008
    t ≒ 0
    인 식으로 표시되는 것.
    단,
    L1: 부착공으로부터 내부케이스의 선단까지의 거리.
    L2: 내부케이스의 선단으로부터 고정접점까지의 거리.
    L3: 플런저의 선단으로부터 접촉점까지의 거리.
    d : 고정접점의 경.
    A : 외부케이스의 온도계수.
    B : 플런저의 온도계수.
    C : 내부케이스의 온도계수.
    D : 고정접점의 온도계수.
    Figure kpo00009
    t : 온도변화.
  6. 제5항에 있어서, 외부케이스(45)가 스텐레스로부터 되고, 내부케이스(1)가 폴리부틸렌렐레프타레이트 수지로부터 되고, 플런저(30)가 알루미니의 세라믹으로부터 되고, 고정접점(8). (9)이 베릴륨 동합금으로 부터 된것.
KR1019840004922A 1983-08-16 1984-08-16 스위치 KR890001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127136 1983-08-16
JP58-127136 1983-08-16
JP1983127136U JPS6035431U (ja) 1983-08-16 1983-08-16 スイツ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630A KR850001630A (ko) 1985-03-30
KR890001469B1 true KR890001469B1 (ko) 1989-05-04

Family

ID=14952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922A KR890001469B1 (ko) 1983-08-16 1984-08-16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35431U (ko)
KR (1) KR890001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9176B2 (en) 2005-07-26 2013-11-12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tapling and cutt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device
US7479608B2 (en) * 2006-05-19 2009-01-20 Ethicon Endo-Surgery, Inc. Force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35431U (ja) 1985-03-11
KR850001630A (ko) 198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4730A (en) Electrical switch
US6716043B2 (en) Spring connector with slotted conductive pin
KR940003125A (ko) 전기 콘넥터
DE59105038D1 (de) Kontaktstift-Kontaktfederbuchsen-Baueinheit.
US7306494B2 (en) Connector
KR940012714A (ko) 인쇄 회로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WO2007041128A1 (en) Connector for ccfl, circuit board including the connector and method for mounting ccfl on the board
KR930003466A (ko) 소켓
EP0519239A2 (en) Photoelectric switch sealed against infiltration of contaminants
KR890001469B1 (ko) 스위치
KR910019080A (ko) 발광 푸시버튼
US6008458A (en) Sealed slide switch
KR910005523A (ko) 전기 콘택트
US5441426A (en) Indexable coding device and a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0336797A1 (en) Electrical contact switch
US4600819A (en) Switch assembly
PL187290B1 (pl) Podzespół wsuwany dla czujnika prędkości obrotowej
US4523064A (en) Snap action switch
JP3139054B2 (ja) プリント基板用操作スイッチ
US5550340A (en) Switch device
JPH04126315A (ja) プリント基板用操作機器およびその組立方法
SU1121712A1 (ru) Герметичный микропереключатель
KR920000017Y1 (ko) 회중전등의 회로부재
KR800001363Y1 (ko) 램프가 부설된 버튼 스위치
JPS6028013Y2 (ja) 照光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