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430B1 -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430B1
KR100376430B1 KR10-2000-0074010A KR20000074010A KR100376430B1 KR 100376430 B1 KR100376430 B1 KR 100376430B1 KR 20000074010 A KR20000074010 A KR 20000074010A KR 100376430 B1 KR100376430 B1 KR 100376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ush rod
contact
ped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814A (ko
Inventor
박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0-007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4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 클러치 페달 등의 작동을 감지하는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부하용 및 저부하용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스위치 접점 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위치 케이스에 길게 삽입되어 페달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푸시 로드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홀더 수단과; 상기 홀더 수단과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푸시 로드가 상하 이동될 때 슬라이드 방식으로 접촉/이격되는 저부하용 스위치 단자와; 상기 저부하용 스위치 단자와 직교되는 방향에서 상기 홀더 수단과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푸시 로드가 상하 이동될 때 상하 접점 방식으로 접촉/이격되는 고부하용 스위치 단자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푸시 로드와 홀더 수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The pedal switch}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 클러치 페달 등의 작동을 감지하는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부하용 및 저부하용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스위치 접점 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구비되는 페달 스위치는 브레이크 페달이나 클러치 페달 등을 밟았을 때 이의 작동을 감지하는 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페달 스위치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등 스위치(10)는 브레이크 페달(1)의 작동 범위 내에 위치되어 브레이크 페달(1)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페달 스위치의 하나인 제동등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 단면도로서, 브레이크 페달(B) 주위에 설치된 브래킷(5)에 너트(11)로 고정되는 마운팅 볼트(12)와, 상기 마운팅 볼트(12)에 관통 삽입되어 브레이크 페달(B)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13)와, 상기 마운팅 볼트(12)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위치 하우징(14)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14)의 하부에 결합되고 제동등과 연결된 외부 회로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바디(15)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 바디(15)에 지지되어 상기 푸시 로드(1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로드 스프링(16)과, 상기 스위치 바디(15)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17)와, 상기 스위치 바디(15)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푸시 로드(13)의 이동에 따라 상기 터미널 단자(17)에 접촉 이격되면서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콘택트 단자(18)와, 상기 콘택트 단자(18)를 상기 터미널 단자(17)측으로 밀어주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단자 스프링(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페달 스위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비제동시에는 푸시 로드(13)가 브레이크 페달(B)에 눌려 있는 상태이므로 콘택트 단자(18)가 터미널 단자(17)로부터 이격되어 스위치는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하지만, 브레이크 페달(B)을 밟게 되면 푸시 로드(13)가 로드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콘택트 단자(18)도 단자 스프링(19)의 탄성력에 의해 터미널 단자(17)에 접촉되면서 스위치를 온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는 터미널 단자(17)와 콘택트 단자(18)가 모두 상하 방향의 대향 접점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부하용으로는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저부하용으로는 용이하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은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전선(20)을 통해 외부의 커넥터(21)와 연결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의 증가되어 스위치 구조가 복잡해지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딩 접점 구조를 갖는 단자와 대향 접점 구조를 갖는 단자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고부하용 또는 저부하용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스위치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인 제동등 스위치의 장착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페달 스위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페달 스위치가 도시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스위치가 도시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스위치가 도시된 평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A-A선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스위치 케이스 55 : 푸시 로드
57 : 높이 조절용 스프링 60 : 홀더 수단
61 : 패킹 부재 63 : 로드 홀더
65 : 콘택트 홀더 70 : 저부하용 스위치 단자
70c : 슬라이드 콘택트 70t : 슬라이드 터미널
75 : 고부하용 스위치 단자 75c : 대향 콘택트
75t : 대향 터미널 77 : 콘택트 스프링
80 : 리턴 스프링 90 : 터미널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는, 스위치 케이스에 길게 삽입되어 페달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푸시 로드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홀더 수단과; 상기 홀더 수단과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푸시 로드가 상하 이동될 때 슬라이드 방식으로 접촉/이격되는 저부하용 스위치 단자와; 상기 저부하용 스위치 단자와 직교되는 방향에서 상기 홀더 수단과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푸시 로드가 상하 이동될 때 상하 접점 방식으로 접촉/이격되는 고부하용 스위치 단자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푸시 로드와 홀더 수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는 스위치 케이스(51)에 길게 삽입되어 페달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55)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51)의 내측에서 상기 푸시 로드(55)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홀더 수단(60)과, 상기 홀더 수단(60)과 상기 스위치 케이스(51)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푸시 로드(55)가 상하 이동될 때 슬라이드 방식으로 접촉/이격되는 저부하용 스위치 단자(70)와, 상기 저부하용 스위치 단자(70)와 직교되는 방향에서 상기 홀더 수단(60)과 상기 스위치 케이스(51)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푸시 로드(55)가 상하 이동될 때 상하 접점 방식으로 접촉/이격되는 고부하용 스위치 단자(75)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51)에 지지되어 상기 푸시 로드(55)와 홀더 수단(6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80)으로 구성된다.
상기 푸시 로드(55)는 그 하단부에 다수의 홈부(55a)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수단(60)의 상부에는 높이 조절용 스프링(57)이 구비되어 상기 푸시 로드(55)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홀더 수단(60)은 상기 스위치 케이스(5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패킹 부재(61)와, 상기 푸시 로드(55)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동시에 상부에 상기 패킹 부재(61)가 연결된 로드 홀더(63)와, 상기 로드 홀더(63)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동시에 로드 홀더(63)와의 사이에 상기 저부하용 스위치단자(70)의 슬라이드 콘택트(70c)가 설치되고 둘레부에 고부하용 스위치단자(75)의 대향 콘택트(75c)가 끼워진 콘택트 홀더(65)로 구성된다.
상기 저부하용 스위치 단자(70)는 도 7에서와 같이 로드 홀더(63)와 콘택트 홀더(65) 사이에 벌림 탄성력을 갖는 슬라이드 콘택트(70c)의 상단부가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콘택트(70c)가 상하 이동되면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접촉되도록 스위치 케이스(51)의 내측면에 두 개의 슬라이드 터미널(70t)이 고정된다.
상기 고부하용 스위치 단자(75)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콘택트 홀더(65)의 둘레에 대향 콘택트(75c)가 구비되고, 상기 대향 콘택트(75c)가 상하 이동되면서 상하 접점 방식으로 접촉/이격되도록 스위치 케이스(51)에 대향 터미널(75t)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대향 콘택트(75c)는 콘택트 스프링(77)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콘택트 홀더(65)가 하강할 때 턱(65a)에 걸려 동시에 하강한 다음, 상기 콘택트 홀더(65)가 상승하면 콘택트 스프링(77)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대향 터미널(75t)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케이스(51)의 하부에는 외부 회로와 연결되도록 4개의 터미널(90)이 슬라이드 터미널(70t)과 대향 터미널(75t)에서 연결되어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는 페달에 의해 푸시 로드(55)가 하강하게 되면 로드 홀더(63)가 하강하면서 슬라이드 콘택트(70c)가 슬라이드 터미널(70t)에 접촉되어 저부하용 스위치는 온 작동된다.
이때, 대향 콘택트(75c)는 콘택트 홀더(65)의 턱(65a)에 걸려 하강함에 따라 대향 터미널(75t)로부터 이격되어 고부하용 스위치는 오프된다.
반대로, 푸시 로드(55)가 상승하게 되면 리턴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 홀더(63) 및 콘택트 홀더(65)가 상승하게 되고, 이때 슬라이드 콘택트(70c)가 슬라이드 터미널(70t)로부터 이격되는 반면 대향 콘택트(75c)는 대향 터미널(75t)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는 슬라이딩 접점 구조를 갖는 단자와 대향 접점 구조를 갖는 단자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고부하용 또는 저부하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스위치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스위치 케이스에 길게 삽입되어 페달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푸시 로드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홀더 수단과; 상기 홀더 수단과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푸시 로드가 상하 이동될 때 슬라이드 방식으로 접촉/이격되는 저부하용 스위치 단자와; 상기 저부하용 스위치 단자와 직교되는 방향에서 상기 홀더 수단과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푸시 로드가 상하 이동될 때 상하 접점 방식으로 접촉/이격되는 고부하용 스위치 단자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푸시 로드와 홀더 수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수단은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패킹 부재와, 상기 푸시 로드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동시에 상부에 상기 패킹 부재가 연결된 로드 홀더와, 상기 로드 홀더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동시에 로드 홀더와의 사이에 상기 저부하용 스위치단자의 슬라이드 콘택트가 설치되고 둘레부에 고부하용 스위치단자의 대향 콘택트가 구비된 콘택트 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KR10-2000-0074010A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KR100376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010A KR100376430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010A KR100376430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814A KR20020044814A (ko) 2002-06-19
KR100376430B1 true KR100376430B1 (ko) 2003-03-17

Family

ID=2768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010A KR100376430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19B1 (ko) * 2007-06-22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기접점식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CN110053547A (zh) * 2019-04-09 2019-07-26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用电磁感应式制动灯开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751U (ko) * 1989-03-30 1990-10-05 주식회사 신창전기 다접점 푸시 스위치 장치
JPH09265859A (ja) * 1996-03-28 1997-10-07 Niles Parts Co Ltd スイッチ装置
JPH10294040A (ja) * 1997-04-17 1998-11-04 F Tech:Kk スイッチ
JPH10302569A (ja) * 1997-04-25 1998-11-13 Niles Parts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751U (ko) * 1989-03-30 1990-10-05 주식회사 신창전기 다접점 푸시 스위치 장치
JPH09265859A (ja) * 1996-03-28 1997-10-07 Niles Parts Co Ltd スイッチ装置
JPH10294040A (ja) * 1997-04-17 1998-11-04 F Tech:Kk スイッチ
JPH10302569A (ja) * 1997-04-25 1998-11-13 Niles Parts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814A (ko)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5825B2 (en) Push-type vehicle switch
KR890004818Y1 (ko) 개폐기의 가동 접촉자 유지구조
JP2001084867A (ja) スイッチ
US5016140A (en) Switch arranged for being mounted on a circuit board
KR100376430B1 (ko)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US6919520B2 (en) Stoplight switch and mounting method
US4535210A (en) Keyswitch stabilizing device
US8093976B2 (en) Vehicle switch
US5651452A (en) Electric switch having a pivotal contact link-actuating arm
JP4929850B2 (ja) 車両用スイッチ
KR100317168B1 (ko) 제동등 스위치 장치
JPH0548165U (ja) スイッチ装置
KR100317167B1 (ko) 후진등 스위치 장치
EP0016519A1 (en) Pressure actuated switch
KR100534872B1 (ko) 차량의 스톱램프 스위치 구조
KR100829776B1 (ko) 자동차용 상향등 스위치
JP2603402Y2 (ja) 圧力スイッチ
JP2002260505A (ja) 圧力スイッチ
US11292345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nergy feedback, braking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JPH0212717A (ja) ストップランプスイッチ
US4278857A (en) Vibration resistant electrical switch
JP2009193690A (ja) 車両用スイッチ
KR100842716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JPH0785741A (ja) プランジャスイッチ
KR100280087B1 (ko) 정속 주행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