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167B1 - 후진등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후진등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167B1
KR100317167B1 KR1019990030645A KR19990030645A KR100317167B1 KR 100317167 B1 KR100317167 B1 KR 100317167B1 KR 1019990030645 A KR1019990030645 A KR 1019990030645A KR 19990030645 A KR19990030645 A KR 19990030645A KR 100317167 B1 KR100317167 B1 KR 100317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ush rod
fixed
switch hou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336A (ko
Inventor
박강현
Original Assignee
이철환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환,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이철환
Priority to KR101999003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16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변속기의 후미에 구비되는 후진등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치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스위치 접점 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후진등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후미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내측에서 변속기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진 변속여부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스위치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푸시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푸시 로드에 고정되어 푸시 로드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접촉 단자와; 상기 스위치 바디에 고정되어 외부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접촉 단자의 이동에 따라 회로가 온/오프되는 고정 단자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내측에서 푸시 로드 둘레에 설치되어 변속기 내측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진등 스위치 장치{The back-up lamp switch}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변속기의 후미에 구비되는 후진등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치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스위치 접점 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후진등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구비되는 후진등은 차가 후진할 때 뒤쪽의 장애물을 확인하고 또 후방에 대해 차가 후진하는 것을 알리는 신호 표지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후진등은 차체의 뒤범퍼 부근에 부착하거나 콤비네이션 램프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를 후진 위치에 넣으면 점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후진등을 온/오프시키는 후진등 스위치의 장착 위치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통상 변속기(1)의 뒷부분에 후진등 스위치(10)가 부착되어 운전자가 후진 변속을 하게 되면 후진등을 점등시키도록 작동된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후진등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의 후진등 스위치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변속기 케이스측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되는 스위치 하우징(11)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11)의 후미에 결합되는 스위치 커버(12)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10)의 앞쪽에 삽입되어 후진 변속 여부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13)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11)의 내측에서 상기 푸시 로드(13)의 끝단에 고정되어 푸시 로드(13)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링형 접촉단자(14)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11)의 내측에 고정되어 외부 회로(16)와 리벳 단자(15)로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바디(17)와, 상기 스위치 바디(17)의 리벳 단자(15)에 고정되어 상기 접촉 단자(14)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접촉 단자(14)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 고정단자(18)와, 상기 스위치 바디(17)에 지지되어 상기 푸시 로드(1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후진등 스위치 장치는 운전자가 후진 변속을 하게 되면 푸시 로드(13)가 직선 이동되면서 링형 접촉 단자(14)와 탄성 고정단자(18)가 접촉되거나 이격되면서 스위치가 온/오프 작동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바디(17)의 상부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19)이 안착되는 스프링 시트(20)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바디(17)와 스위치 하우징(11) 사이에는 링(21)이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 커버(12)는 측면에 전선 가이드(2)가 연결되며, 내부에는 밀봉과 회로 고정을 위해 에폭시 수지(23)가 압입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후진등 스위치 장치는 탄성 고정단자(18)가 스위치 바디(17)의 리벳 단자(15)로 고정되어 상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고정단자(18)를 리벳팅할 때 오차가 발생할 경우 링형 접촉단자(14)와의 접점 구조가 불안정하게 되어 스위치 작동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의 후진등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하우징(11)이 변속기 케이스의 내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관계로 변속기 내부의 오일이 푸시 로드(13)를 따라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오일과 이물질 등이 접촉 단자(14)와 고정 단자(18) 사이에 끼여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촉 단자와 고정 단자의 위치를 안정되게 고정시켜 스위치 접점 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후진등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의 부품수를 줄임과 아울러 변속기 내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접점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한 후진등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후진등 스위치 장치는,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후미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내측에서 변속기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진 변속여부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스위치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푸시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푸시 로드에 고정되어 푸시 로드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접촉 단자와; 상기 스위치 바디에 고정되어 외부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접촉 단자의 이동에 따라 회로가 온/오프되는 고정 단자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내측에서 푸시 로드 둘레에 설치되어 변속기 내측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후진등 스위치 장치의 장착 위치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의 후진등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진등 스위치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 방향의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스위치 하우징 55 : 스위치 바디
57 : 가이드 58 : 에폭시 수지
60 : 푸시 로드 61 : 로드 결합부
65 : 리턴 스프링 70 : 접촉 단자
75 : 고정 단자 80 : 패킹 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후진등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후진등 스위치 장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로서 도 3의 A-A방향 단면도, 도 5는 B-B방향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 방향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진등 스위치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측에 나사 조립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 나사부(51a)가 형성된 스위치 하우징(51)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51)의 후미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스위치 바디(55)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51)의 내측에서 변속기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진 변속여부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60)와, 상기 스위치 바디(55)에 지지되어 상기 푸시 로드(6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6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바디(55)는 그 내측에 상기 리턴 스프링(65)을 지지토록 스프링 시트(56)가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하우징(51)의 끝단부(52)가 절곡됨으로써 스위치 하우징(51)의 내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하우징(51)의 내측에는 상기 푸시 로드(60)에 고정되어 푸시 로드(60)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접촉 단자(70)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바디(55)에는 상기 접촉 단자(70)의 이동에 따라 회로가 온/오프되도록 외부 회로(76)와 연결되는 고정 단자(7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 단자(70)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71)는 상기 푸시 로드(60)의 끝단에 끼워지고, 양측부(72)는 상기 고정 단자(75) 방향으로 벌림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단자(75)와 슬라이딩 접촉이 용이토록 엠보싱 형상의 접촉부(7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단자(7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바디(55) 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접촉 단자(70)의 접촉부(72a)가 푸시 로드의 작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고정 단자(75)는 외부 회로(76)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바디의 하측으로 노출되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한 스위치 하우징(51)의 내측에는 상기 푸시 로드(60) 둘레에 변속기 내측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고무재로 형성된 패킹 부재(8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패킹 부재(8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부(81)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 로드(60)에 끼워져 고정되고, 둘레부(82)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51)의 내면과 스위치 바디(55)의 상단부 사이에 밀착 결합되며, 상기 중앙부(81)와 둘레부(82) 사이에는 상기 푸시 로드(60)의 이동에 따라 자유롭게 절곡되도록 절곡부(8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푸시 로드(60)는 상기 패킹 부재(8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끝단부가 로드 결합부(61)로 분리되어 핀(60a)과 홈(61a)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다.
한편, 상기한 스위치 바디(55)의 측면에는 외부 회로가 통과하는 가이드(57)가 구비되고, 뒷부분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내부의 밀봉과 회로의 고정을 위해 에폭시 수지(58)가 압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후진등 스위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후진기어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는 푸시 로드(60)가 변속기 내부의 구성 요소에 의해 스위치 하우징(51)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푸시 로드(60)는 리턴 스프링(65)을 압축하면서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이므로 접촉 단자(70)는 고정 단자(75)에서 이탈되어 절연재로 된 스위치 바디(55)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후진등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므로 후진등은 점등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후진 변속을 하게 되면 푸시 로드(60)가 리턴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변속기 내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므로 접촉 단자(70)가 스위치 바디(55)의 내면에서 미끄러지면서 고정 단자(75)에 접촉된다. 따라서, 후진등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어 후진등은 점등된다.
이와 같이 푸시 로드(60)의 직선 이동에 따라 탄성력을 갖는 접촉단자(70)가 스위치 바디(55)의 내측면과 고정단자(75)에 슬라이딩되면서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스위치 접점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푸시 로드(60)와 로드 결합부(61)사이에는 자유롭게 절곡되는 패킹 부재(8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푸시 로드(60)의 직선 운동을 구속하지 않으면서 변속기용 오일이 스위치 하우징(5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위치 내부로 변속기용 오일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접촉단자(70)와 고정 단자(75)의 접점 구조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스위치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후진등 스위치 장치는 접촉 단자와 고정 단자를 조립할 때 조립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작동시 접점 구조가 안정되어 스위치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바디가 스위치 하우징내에 고정되는 등 스위치의 전체 부품수가 줄어 조립 공정이 단축되고, 특히 패킹 부재에 의해 변속기 내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접점 구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변속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후미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내측에서 변속기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어 후진 변속여부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푸시 로드와; 상기 스위치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푸시 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푸시 로드에 고정되어 푸시 로드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접촉 단자와; 상기 스위치 바디에 고정되어 외부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접촉 단자의 이동에 따라 회로가 온/오프되는 고정 단자와;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내측에서 푸시 로드 둘레에 설치되어 변속기 내측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등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는 양측 방향으로 벌림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스위치 바디에 압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등 스위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수단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부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푸시 로드에 끼워져 고정되고, 둘레부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내면과 스위치 바디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부와 둘레부 사이에는 상기 푸시 로드의 이동에 따라 자유롭게 절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등 스위치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패킹 수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끝단부가 분리되어 핀과 홈방식으로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등 스위치 장치.
KR1019990030645A 1999-07-27 1999-07-27 후진등 스위치 장치 KR100317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645A KR100317167B1 (ko) 1999-07-27 1999-07-27 후진등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645A KR100317167B1 (ko) 1999-07-27 1999-07-27 후진등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336A KR20010011336A (ko) 2001-02-15
KR100317167B1 true KR100317167B1 (ko) 2001-12-22

Family

ID=1960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645A KR100317167B1 (ko) 1999-07-27 1999-07-27 후진등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17B1 (ko) * 2006-10-30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후진등 점등 스위치 장치
KR100822552B1 (ko) * 2006-12-06 2008-04-16 위아 주식회사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
CN106803466A (zh) * 2017-03-29 2017-06-06 重庆金鑫滤清器制造有限公司 一种倒车灯开关
CN108320922A (zh) * 2018-01-05 2018-07-24 浙江中马传动股份有限公司 汽车变速器倒挡开关
CN115083803B (zh) * 2022-06-27 2024-03-29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倒车灯开关及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336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48520A (ja) 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ギア選択感応型センサ装置
KR100317167B1 (ko) 후진등 스위치 장치
US5162625A (en) Switch assembly
US7316414B2 (en) Housing for an airbag module
US6670564B2 (en) Lever apparatus for vehicle
KR100366212B1 (ko) 후진등 스위치의 밀봉 구조
EP1149730B1 (en) Swichting unit for steering wheel in motor vehicle
KR100317168B1 (ko) 제동등 스위치 장치
US6218634B1 (en) Switch with integrated flasher relay
KR100319214B1 (ko) 스위치
KR100634228B1 (ko) 자동차용 인히비터 스위치
US6765166B2 (en) Switch contact structure
KR100376430B1 (ko)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
US20020175505A1 (en) Airbag module and vehicle steering wheel comprising an airbag module
KR200294177Y1 (ko) 자동차용 푸쉬 스위치의 샤프트 서브 앗세이
WO2023175633A1 (en) A contact assembly for a blinker module with center push contact for a vehicle
US10622173B2 (en) Rocker switch device
KR200463201Y1 (ko) 스위치 유니트
JPS6118584Y2 (ko)
KR20180066799A (ko) 주차 브레이크용 램프 스위치
KR016579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의 요크 결합구조
JP2005116446A (ja) ペダルスイッチにおける夾雑物の付着防止構造
KR20050010284A (ko) 차량용 혼플레이트 어셈블리
JPH06243756A (ja) ディマ・パッシングスイッチ
CN111911617A (zh) 用于车辆的换挡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