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552B1 -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552B1
KR100822552B1 KR1020060123073A KR20060123073A KR100822552B1 KR 100822552 B1 KR100822552 B1 KR 100822552B1 KR 1020060123073 A KR1020060123073 A KR 1020060123073A KR 20060123073 A KR20060123073 A KR 20060123073A KR 100822552 B1 KR100822552 B1 KR 10082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position switch
vehicle
diaphragm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표
Original Assignee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bstract

이 발명은, 다이아프램 씨일의 재질로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용융점이 높은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를 사용하고, 푸셔의 재질로서 나일론 66-G30(PA66-G30)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 내열성, 내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컨택터에 곡선을 부여하고 이분할 시킴으로써 미세 이물질 침착 및 고부하시 접점 소손에 따른 접점불량으로부터 자유로워지도록 하는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디와, 상기한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 왕복운동을 하는 샤프트와, 상기한 샤프트의 전면에 연접 설치되어 있는 플런저와, 상기한 플런저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중에서 선택되는 어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이아프램 씨일과, 상기한 다이어프램 씨일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푸셔, 상기한 푸셔의 사이에 한쪽끝이 설치되고 다른 한쪽 끝은 끝단이 곡선형태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컨택트와, 상기한 푸셔가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한 컨택트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미널과, 상기한 터미널을 지지하기 위한 터미널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터미널, 포지션, 바디, 다이아프램 씨일, 컨택트, 푸셔, 스프링

Description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position switch for sub transmission of the vehicle}
도 1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의 온(on)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의 오프(off)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4a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의 컨택트의 구성도이다.
도 4b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의 컨택트의 다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샤프트 2 : 플런저
3 : 바디 4 : 다이어프램 씨일
5, 6 : 푸셔 7 : 컨택트
8 : 스프링 9 : 터미널 베이스
10 : 터미널 11 : 홈
이 발명은 4륜 구동 자동차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다이아프램 씨일의 재질로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용융점이 높은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를 사용하고, 푸셔의 재질로서 나일론 66-G30(PA66-G30)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 내열성, 내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컨택터에 곡선을 부여하고 이분할시킴으로써 미세 이물질 침착 및 고부하시 접점 소손에 따른 접점불량으로부터 자유로워지도록 하는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사륜구동 자동차는, 이륜구동 자동차와는 달리, 풀 타임, 또는 파트 타임으로 차량의 전후륜 모두를 구동륜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자동차로서, 험로 주행을 목적으로하는 지프형 차량이나 레져용 차량, 그리고 특수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어지는 특장차량에 적용되어지는 구동 메커니즘이다.
상기한 사륜구동 자동차는 주행가능한 노면 여건에서는 안정감있는 주행성을 발휘하며 지형이나 기후로 인해 노면이 취약하여 주행성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네 개의 바퀴에 동력을 고르게 분배하여 타이어의 접지성을 높여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사륜구동 자동차는, 엔진에서 출력되는 구동력이 트랜스미션을 지나 부변속기에서 후륜측과 전륜측으로 분배되어 후륜측은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와 리어 액슬을 통해 리어 차축과 리어 휠로, 전륜측은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와 프론트 액슬을 통해 프론트 차축과 프론트 휠로 동력이 각각 전달되는 구조로 구성되어지며, 평상시에는 후륜측으로만 동력을 전달하여 이륜구동으로 주행을 하다가 부변속기를 작동시키면 전륜측으로도 동력을 전달하여 사륜구동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4륜구동 자동차에는 부변속기가 설치되는데, 2H→4H→4L로 변속하는 과정에서 부변속기에 변속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포지션 스위치가 사용된다.
상기한 포지션 스위치는 다이아프램 씨일에 의해 스위치부가 둘러싸여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포지션 스위치는 다이아프램 씨일의 재질로서 110~120℃의 내열성을 가지는 아크릴 고무(Acrylic Elastomers, ACM) 또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NBR)이 사용되고 푸셔의 재질로서는 110℃의 내열성을 가지는 폴리옥시메틸렌(Poly Oxy Methylene, POM)이 사용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내구성, 내열성, 내화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이아프램 씨일의 재질로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용융점이 높은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를 사용하고, 푸셔의 재질로서 나일론 66-G30(PA66-G30)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 내열성, 내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택터에 곡선을 부여하고 이분할시킴으로써 미세 이물질 침착 및 고부하시 접점 소손에 따른 접점불량으로부터 자유로워지도록 하는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바디(body)와, 상기한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 왕복운동을 하는 샤프트(shaft)와, 상기한 샤프트의 전면에 연접 설치되어 있는 플런저(plunger)와, 상기한 플런저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중에서 선택되는 어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이아프램 씨일(diaphragm seal)과, 상기한 다이어프램 씨일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푸셔(pusher)와, 상기한 푸셔의 사이에 한쪽끝이 설치되고 다른 한쪽 끝은 끝단이 곡선형태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컨택트(contact)와, 상기한 푸셔가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spring)과, 상기한 컨택트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미널(terminal)과, 상기한 터미널을 지지하기 위한 터미널 베이스(terminal bas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푸셔의 재질로서 나일론 66-G30(PA66-G30)을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컨택트는 터미널과 접촉되는 부위가 이분할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터미널의 중간부위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의 온(on)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의 오프(off)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의 구성은, 바디(3)와, 상기한 바디(3)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 왕복운동을 하는 샤프트(1)와, 상기한 샤프트(1)의 전면에 연접 설치되어 있는 플런저(2)와, 상기한 플런저(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중에서 선택되는 어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이아프램 씨일(4)과, 상기한 다이어프램 씨일(4)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푸셔(5, 6)와, 상기한 푸 셔(5, 6)의 사이에 한쪽끝이 설치되고 다른 한쪽 끝은 끝단이 곡선형태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컨택트(7)와, 상기한 푸셔(5, 6)가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과, 상기한 컨택트(7)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미널(10)과, 상기한 터미널(10)을 지지하기 위한 터미널 베이스(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작용력에 의해 샤프트(1)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측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샤프트(1)가 플런저(2)를 밀게 되고, 플런저(2)는 다이어프램 씨일(4)과 함께 푸셔(5, 6)를 밀어 냄으로써 푸셔(5, 6)의 사이에 한쪽끝이 설치되어 있는 컨택트(7)를 우측으로 밀어낸다.
이와 같이 컨택트(7)가 우측으로 밀리면, 도 2의 b 부분과 같이 터미널(10)과 접촉되어 있는 컨택트(7)의 다른 한쪽끝이 터미널(10)의 중간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홈(11)으로 진입하게 되어 터미널(10)과 접촉되지 않게 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오프상태가 된다. 도 3은 터미널(10)의 중간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홈(11)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작용력이 없어지면, 스프링(8)의 복원력에 의해서 푸셔(5, 6)와 함께 컨택트(7) 및 플런저(2)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컨택트(7)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1의 a 부분과 같이 터미널(10)의 홈(11)에 진입되어 있던 컨택트(7)의 다른 한쪽끝이 터미널(10)과 다시 접촉하게 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온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 상기한 다이어프램 씨일(4)은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푸셔(5, 6)는 나일론 66-G30(PA66-G30)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내구성, 내열성, 내화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한 컨택트(7)의 다른 한쪽 끝은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비와 같이 끝단(7a)이 곡선형태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터미널(10)과의 접촉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컨택트(7)의 다른 한쪽 끝은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끝단(7b, 7c)이 두갈래로 이분할되어 있음으로써 고부하시 하나의 접점이 손상이 되더라도 나머지 다른 접점을 통하여 통전이 되어 접점 불량을 방지하기 때문에 접점효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한 이분할 컨택터의 내구시험은 직류(DC) 13.5V를 인가하여 오프(off)-DR-온(on)-오프(off)를 1사이클로 해서, 1분에 8사이클을 하는 속도로, 5000회 실시한 경우에, 내구시험 후 작동력, 풀 스트로크, 전압강하, 점등 및 작동상태 등의 세부 테스트 사항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가 있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다이아프램 씨일의 재질로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용융점이 높은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를 사용하고, 푸셔의 재질로서 나일론 66-G30(PA66-G30)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 내열성, 내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컨택터에 곡선을 부여하고 이분할시킴으로써 미세 이물질 침착 및 고부하시 접점 소손에 따른 접점불량으로부터 자유로워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삭제
  2. 바디와,
    상기한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 왕복운동을 하는 샤프트와,
    상기한 샤프트의 전면에 연접 설치되어 있는 플런저와,
    상기한 플런저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실리콘 고무나 불소 고무중에서 선택되는 어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이아프램 씨일과,
    상기한 다이어프램 씨일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푸셔와,
    상기한 푸셔의 사이에 한쪽끝이 설치되고 다른 한쪽 끝은 끝단이 곡선형태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컨택트와,
    상기한 푸셔가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한 컨택트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미널과,
    상기한 터미널을 지지하기 위한 터미널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푸셔는 나일론 66-G30(PA66-G30)으로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컨택트는 터미널과 접촉되는 부위가 이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터미널의 중간부위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온/오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
KR1020060123073A 2006-12-06 2006-12-06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 KR10082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073A KR100822552B1 (ko) 2006-12-06 2006-12-06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073A KR100822552B1 (ko) 2006-12-06 2006-12-06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552B1 true KR100822552B1 (ko) 2008-04-16

Family

ID=3957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073A KR100822552B1 (ko) 2006-12-06 2006-12-06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5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3358A1 (zh) * 2008-07-07 2010-01-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混合动力汽车用空档开关
KR20190072797A (ko)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신라공업 자동차의 차동장치용 포지션 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303A (ko) * 1996-02-16 1997-09-12 스즈키 다케토시 차량용 도아스위치
KR19980032405A (ko) * 1996-10-22 1998-07-25 츠네스케 다카노 스위치 접속 구조
KR20010011336A (ko) * 1999-07-27 2001-02-15 이철환 후진등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303A (ko) * 1996-02-16 1997-09-12 스즈키 다케토시 차량용 도아스위치
KR19980032405A (ko) * 1996-10-22 1998-07-25 츠네스케 다카노 스위치 접속 구조
KR20010011336A (ko) * 1999-07-27 2001-02-15 이철환 후진등 스위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3358A1 (zh) * 2008-07-07 2010-01-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混合动力汽车用空档开关
CN101328974B (zh) * 2008-07-07 2013-03-2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汽车用空档开关
KR20190072797A (ko)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신라공업 자동차의 차동장치용 포지션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552B1 (ko)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
US2868906A (en) Key operated switch
EP0888942A3 (en) Wiper apparatus
KR20100045658A (ko) 자동차 부변속기용 포지션 스위치 장치
CN2906223Y (zh) 轴间差速锁操纵机构总成
KR20100052798A (ko) 자동차 부변속기의 포지션 스위치 장치
CN203162130U (zh) 一种自动变速器的驻车锁止机构
KR100261779B1 (ko) 시동전동기용 마그네트스위치의 콘택터와 터미널단자 조립구조
CN2350857Y (zh) 汽车用组合开关
CN109826767B (zh) 一种汽车轮胎对地压力能量回收装置
CN112659816A (zh) 全地形车及其行驶状态检测机构
KR20100091619A (ko) 자동차 부변속기의 포지션 스위치
JP4845679B2 (ja) スイッチ装置
CN102394186A (zh) 用于汽车制动灯的开关
CN212046879U (zh) 全地形车及其二四驱切换保护装置
CN218152295U (zh) 集成于组合开关中的汽车电子换挡结构
CN215342329U (zh) 一种电动车灯具控制装置
CN104648348A (zh) 利用霍尔开关的制动踏板传感器及其信号产生方法
KR200342844Y1 (ko) 마그네트스위치의터미널구조
KR100534875B1 (ko) 자동차 변속기의 일체형 스위치장치
CN1789029A (zh) 电动汽车专用驱动车桥
CN211308240U (zh) 全地形车及桥用电机驱动信号检测装置
CN211628959U (zh) 一种二四驱转换开关
KR100345118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CN215763225U (zh) 自动切换分动箱档位的执行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