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104A - 수평형 천공기 - Google Patents

수평형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104A
KR20010011104A KR1019990030327A KR19990030327A KR20010011104A KR 20010011104 A KR20010011104 A KR 20010011104A KR 1019990030327 A KR1019990030327 A KR 1019990030327A KR 19990030327 A KR19990030327 A KR 19990030327A KR 20010011104 A KR20010011104 A KR 20010011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annular tube
tube
gear box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135B1 (ko
Inventor
이우각
Original Assignee
이우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각 filed Critical 이우각
Priority to KR101999003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135B1/ko
Priority to CN00117609A priority patent/CN1128032C/zh
Publication of KR2001001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015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erforating tubes
    • B26F1/0023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erforating tubes by rotary tools, e.g.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015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erforating tubes
    • B26F1/0038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erforating tubes from the in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화공물질 또는 상하수 등의 유체가 흐르는 메인관과, 상기 유체를 필요로 하는 장소까지 설치되어 있는 분기관을 연결한 후 메인관을 천공하는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관과 분기관을 동일 평면상에서 연결한 후 메인관의 측부를 수평방향으로 천공하는 수평형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구동축(10), 상기 구동축(10)의 구동력을 직각방향으로 전달하는 기어박스(11), 상기 구동축(10)과 기어박스(11)의 입력축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부가 구동축(10)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굴곡표면기어(12), 상기 기어박스(11)의 출력축의 끝단부에 형성된 수나선부(13), 상기 수나선부(13)와 맞물리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수나선부(13)의 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하는 동력전달부(14), 상기 동력전달부(14)에 결합되어 메인관(1)을 천공하는 톱부(15), 상기 구동축(10)이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단부가 하부보다 외경이 크고 그 상단부외면에 수나선부(16a)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환형관(16), 상기 내부환형관(16)의 하부로 돌출되며 구동축(10)과 내부환형관(16)사이의 공간에서 구동축과 함께 상하 이동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하이동관(27), 상기 내부환형관(16)을 고정하는 고정부(17), 상기 내부환형관(16)의 수나선부(16a)와 맞물리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환형관(18), 상기 외부환형관(18)과 구동축(10)을 연결하기 위한 세트스크류(19), 상기 구동축(10)을 외부환형관(18) 및 내부환형관(16)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구동축(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20), 상기 상하이동관(27)의 하부와 기어박스(11)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21), 그리고 상기 구동축(1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2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평형 천공기 {HORIZONTAL TAPPING MACHINE}
본 발명은 가스, 화공물질 또는 상하수 등의 유체가 흐르는 메인관과, 상기 유체를 필요로 하는 장소까지 설치되어 있는 분기관을 연결한 후 메인관을 천공하는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관과 분기관을 동일 수평면상에서 연결한 후 메인관의 측부를 수평방향으로 천공하는 수평형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스, 화공물질 또는 상하수 등의 유체(이하 "가스"라 함)를 가스공급원에서 상기 가스를 필요로 하는 장소(이하 "사용장소"라 함)까지 공급하기 위하여 땅속에 각종 배관이 매설되어 있는데, 상기 가스를 공급원으로부터 사용장소까지 공급하기 위하여는 공급원으로부터 사용장소의 근처까지 매설되어 있는 메인관과 그 메인관과 사용장소사이에 분기관을 먼저 매설하고 메인관과 분기관을 분기티를 이용하여 연결하여서 사용장소에 가스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공급원에 연결된 메인관(1)의 상부쪽에 분기관(2)을 매설하고 그 메인관(1)과 분기관(2)사이에 상단에 플랜지(3a)가 있는 수직형 분기티(3)를 연결한 후 수직형 천공기를 이용하여 메인관(1)의 상부를 천공한 후 플랜지(3a)에 플러그(4)를 나사결합하고 이어서 플랜지(3a)의 상부에 덮개(5)를 나사로 체결하였다.
상기와 같이 메인관(1)과 분기관(2)사이에 분기티(3)를 연결하는 동안에는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있고 또한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 제202503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구조는 분기관(2)이 메인관(1)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여 지상으로 부터 하중 및 진동을 받을 뿐만 아니라 도로보수시에 분기관(2)이 쉽게 노출되어 분기관(2)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가스관의 경우에 매설되는 심도가 규정되어 있는데 8 m 이상의 도로에서는 1.2 m 의 심도로, 8 m 이하의 도로에서는 1.0 m 의 심도로, 그리고 주택단지내에서는 0.6 m 의 심도로 매설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관의 상부는 모래, 자갈등으로 된 보조기층, 그리고 아스팔트등으로 되는 된 표층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관(1)과 분기관(2)은 동일심도로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분기티(3)는 수직형이고 또한 메인관(1)을 상부에서 천공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분기관(2)을 메인관(1)보다 높게 매설될수 밖에 없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 수직형 분기티의 연결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메인관과 분기관이 동일 수평면, 즉 동일 심도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수평형 분기티에 의한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구조를 개발하여 특허를 받은 바 있다(특허 제202503호 참조).
전술한 수평형 분기티를 이용하여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하는 경우에 메인관(1)을 수평방향에서 천공하는 장치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수직형 천공기(6)의 구덩축 하단에 앵귤러 헤드(angular head)(7)를 결합하고 앵귤러 헤드(7)의 수평방향 출력축에 톱부(8)를 결합한 후 앵귤러 헤드(7)를 수평형 분기티(3')의 내부로 하강시키고 동시에 앵귤러 헤드(7)의 출력축을 메인관(1)쪽으로 신장시키고 이어서 수직형 천공기(5)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앵귤러 헤드(7)의 출력축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앵귤러 헤드(7)의 수평방향 출력축이 회전하면 톱부(8)가 메인관(1)의 측부를 천공하게 된다. 도 4에서 참조부호 "9"은 가스누출없이 천공작업을 하기 위한 중간차단밸브이다.
그러나 전술한 수평방향 천공장치는 앵귤러 헤드(7)의 출력축이 메인관(1)쪽으로 뻗는 거리가 제한되고 또한 톱부(8)가 메인관(1)의 측부에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수평형 분기티(3')를 특수하게 제작하여야 하고, 또한 톱부(8)의 메인관(1)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어서 톱부(8)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메인관(1)의 측면을 필요한 만큼 크게 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관과 분기관을 수평형 분기티에 의하여 연결한 후 메인관의 측부를 천공함에 있어서 분기티의 내부로 들어간 천공을 위한 톱부가 메인관의 측부 근처에 가깝게 접근하여 메인관의 측부를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는 수평형 천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구동축, 상부가 상기 구동축의 하단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굴곡표면기어(curved surface gear), 입력축이 상기 굴곡표면기어와 맞물리고 구동축의 구동력을 직각방향으로 전달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축의 끝단부에 형성된 수나선부, 상기 수나선부와 맞물리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수나선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결합되어 메인관을 천공하는 톱부,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단부가 하부보다 외경이 크고 그 상단부외면에 수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환형관, 상기 내부환형관의 하부로 돌출되며 구동축과 내부환형관사이의 공간에서 구동축과 함께 상하 이동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하이동관, 상기 내부환형관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내부환형관의 수나선부와 맞물리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환형관, 상기 외부환형관과 구동축을 연결하기 위한 세트스크류, 상기 구동축을 외부환형관 및 내부환형관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구동축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 상기 내부환형관의 하부와 기어박스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그리고 상기 구동축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수직형 분기티를 이용하여 메인관과 분기관이 다른 수평면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수직형 분기티를 이용하여 연결된 메인관과 분기관이 땅속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는 메인관과 분기관이 동일 수평면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은 종래 수직형 천공기의 천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의 천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의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의 상하이동관 하부와 기어박스를 링크에 의하여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좌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의 구성부품인 굴곡표면기어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메인관 2 : 분기관
3 : 수직형 분기티 3' : 수평형 분기티
3a : 플랜지 4 : 플러그
5 : 덮개 6 : 수직형 천공기
7 : 앵귤러 헤드 8 : 톱부
9 : 중간차단밸브 10 : 구동축
11 : 기어박스 11a : 외향돌부
11b : 받침대 12 : 굴곡표면기어
13 : 수나선부 14 : 동력전달부
15 : 톱부 15a : 드릴
15b : 자석 16 : 내부환형관
16a : 수나선부 17 : 고정부
18 : 외부환형관 19 : 세트스크류
20 : 베어링 21 : 링크
21a : 내향돌부 22 : 구동수단
23 : 캡 24 : 스냅링
25 : 부싱 26 : 안내케이싱
26a : 롤러 27 : 상하이동관
30 : 중간차단밸브 31 : 아답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의 천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의 내부환형관 하부와 기어박스를 링크에 의하여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좌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의 구성부품인 굴곡표면기어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구동축(10), 상기 구동축(10)의 구동력을 직각방향으로 전달하는 기어박스(11), 상기 구동축(10)과 기어박스(11)의 입력축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부가 구동축(10)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굴곡표면기어(12), 상기 기어박스(11)의 출력축의 끝단부에 형성된 수나선부(13), 상기 수나선부(13)와 맞물리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수나선부(13)의 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하는 동력전달부(14), 상기 동력전달부(14)에 결합되어 메인관(1)을 천공하는 톱부(15), 상기 구동축(10)이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단부가 하부보다 외경이 크고 그 상단부외면에 수나선부(16a)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환형관(16), 상기 내부환형관(16)의 하부로 돌출되며 구동축(10)과 내부환형관(16)사이의 공간에서 구동축(10)과 함께 상하 이동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하이동관(27), 상기 내부환형관(16)을 고정하는 고정부(17), 상기 내부환형관(16)의 수나선부(16a)와 맞물리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환형관(18), 상기 외부환형관(18)과 구동축(10)을 연결하기 위한 세트스크류(19), 상기 구동축(10)을 외부환형관(18) 및 내부환형관(16)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구동축(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20), 상기 상하이동관(27)의 하부와 기어박스(11)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21), 그리고 상기 구동축(1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22)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동축(10)의 상단부는 구동수단(22)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사각 또는 육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수단(22)은 도 5에 핸들형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모타 등을 이용한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외부환형관(18)의 상부에는 캡(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환형관(18)에 대해서 구동축(10)의 상대적인 상하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축(10)에 스냅링(24)이 결합되어 있고 그 스냅링(24)은 상기 캡(23)과 베어링(20)사이에 설치된다.
베어링(20)은 쓰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20)의 상부에는 스냅링(24)에 의하여 구동축(10)의 하중이 가해지므로 구동축(10)의 회전이 용이하게 된다.
내부환형관(16)의 하단부는 고정부(17)에 억지끼워맞춤방식으로 고정된다.
외부환형관(18)의 하부는 내부환형관(16)과의 사이에 부싱(25)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부싱(25)은 세트스크류에 의하여 고정된다. 부싱(25)은 외부환형관(18)이 구동축(10)과 함께 상하운동을 할 때 횡방향의 요동을 방지하고 또한 가스가 구동축(10)과 내부환형관(16) 사이의 틈새 및 내부환형관(16)과 외부환형관(18)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어박스(11) 내부의 기어는 구동력을 직각방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기 위한 기어가 구성되어 있는데, 그 기어는 베벨기어, 워엄기어 또는 하이포이드기어가 사용된다.
기어박스(11)의 입력축의 상면은 굴곡표면기어(12)가 맞물리는 표면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10)은 그 하단이 기어박스(11)의 입력축과 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고 기어박스(11)의 입력축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어박스(11)의 출력축 끝단부에 형성된 수나선부(13)의 수나선과 동력전달부(14)의 암나선은 동력전달부(14)가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을 할수 있도록 톱니형상의 나선, 스파이얼 스플라인, 또는 스파이얼 세레이션등이 사용된다.
동력전달부(14)의 내측단과 동력전달부(14)를 감싸는 안내케이싱(26)의 외측단에는 각각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동력전달부(14)가 안내케이싱(26)으로 부터 완전히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17)와 분기티(3')의 플랜지사이에 중간차단밸브(30)와 아답타(31)가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7)에 고정된 내부환형관(16)의 하부와 기어박스(11)를 연결하는 링크(21)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의 돌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기어박스(11)의 대응부분에도 돌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박스(11) 및 톱부(15)를 분기티(3')의 내부로 삽입할 때 기어박스(11) 및 톱부(15)가 구동축(10)에 대해서 메인관(1) 반대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관(1)쪽으로 경사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11)의 하부에는 받침대(11b)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안내케이싱(26)의 하부에 롤러(26a)가 설치되어 있다.
톱부(15)는 끝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드릴(15a)이 중앙에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천공시 발생하는 철가루를 제거하기 위한 자석(15b)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우선 메인관(1)과 분기관(2)사이에 수평형 분기티(3')가 용접된다. 분기티(3')에는 보강판이 용접되어 있어서 메인관(1)과 견고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분기티(3')의 플랜지(3a)상에 중간차단밸브(30)와 아답타(31)가 설치된다.
다음에 메인관(1)의 측부를 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가 설치되는데, 수평형 천공기의 고정부(17)를 아답타(31)에 설치한다. 그리고 중간차단밸브(30)를 개방한다.
세트스크류(19)를 체결하여 구동축(10)과 외부환형관(18)을 연결한 상태에서 구동수단(22)에 의해 구동축(10)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구동축(10)과 외부환형관(18)이 함께 회전하는데, 이 때 외부환형관(18)은 회전하고 내부환형관(16)의 상부의 수나선부(16a)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10)과 외부환형관(18)이 함께 하강하고 또한 구동축(10)의 하강과 함께 굴곡표면기어(12)의 테두리에 지지되어 있는 상하이동관(27)이 하강한다. 이 상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구동축(10) 및 상하이동관(27)이 계속해서 하강하다가 상하이동관(27) 상단의 외향단턱이 내부환형관(16) 하단의 내향 단턱에 걸리게 되기 때문에 상하이동관(27)이 먼저 하향이동을 멈춘다.
구동축(10)을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구동축(10)이 계속해서 하강하여 톱부(15)의 선단이 분기티(3')의 내부저면에 접촉하면서 기어박스(11) 및 톱부(15)가 회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므로 톱부(15)는 메인관(1)의 측부에 근접하게 된다.
동시에 구동축(10) 하단에 구성된 굴곡표면기어(12)가 기어박스(11)의 입력축상면에 형성된 표면기어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상태에서 세트스크류(19)를 풀어 구동축(10)과 외부환형관(18)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구동축(10)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구동축(10)은 회전운동만을 하고 하향이동은 정지되고 구동축(10)의 구동력은 기어박스(11)에 의하여 직각방향으로 변경되어 출력축을 회전시킨다. 동력전달부(14)는 관성 및 마찰에 의하여 회전을 방해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기어박스(11)의 출력축의 수나선부(13)가 회전하면 동력전달부(14) 및 톱부(15)는 우선 메인관(1)쪽으로 이동한다.
톱부(15)의 드릴(15a)이 메인관(1)에 접촉하면 동력전달부(14)는 메인관(1)쪽으로의 직선운동이 정지되고 기어박스(11)의 출력축과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톱부(15)가 메인관(1)의 측부를 천공하게 되는데, 톱부(15)의 드릴(15a)이 메인관을 먼저 천공하여 톱부(15)의 중심을 고정하고 이어서 톱부(15)의 환형톱날이 메인관을 천공하게 된다. 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철가루는 톱부(15)내부의 자석(15a)에 따라 붙어 나중에 외부로 배출된다.
메인관을 천공한 후에는 구동축(10)을 반대방향으로 돌려 동력전달부(14) 및 톱부(15)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 후 세트스크류(19)를 다시 체결하여 구동축(10)과 외부환형관(18)을 고정시킨다.
계속하여 구동축(10)을 회전시키면 외부횐형관(18)은 회전하고 내부환형관(16)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구동축(10)이 외부환형관(18)과 함께 상승하여 구동축(10) 하단의 굴곡표면기어(12)가 기어박스(11)의 입력축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어서 구동축(10) 하단의 굴곡표면기어(12) 테두리에 상하이동관(27)의 하단이 걸리어 구동축(10)과 함께 상하이동관(27)이 상승하여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구동축(10)을 회전시키면 구동축(10) 및 상하이동관(27)이 상승하고 또한 링크(21)에 의하여 상하이동관(27)과 연결된 기어박스(11) 및 톱부(15)등이 함께 중간차단밸브(30)의 상부로 상승한다.
이 상태는 메인관(1)이 천공되어 분기관(2)에 가스가 흐르는 상태이므로 중간차단밸브(30)를 차단하여 가스의 누출을 막은 후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를 아답타(31)로부터 제거한다.
이어서 종래의 방법대로 수평형 분기티(3')의 플랜지(3a)에 플러그(4)를 체결하여 중간차단밸브(30) 및 아답타(31)를 제거한 후 분기티(3')의 플랜지(3a)에 덮개(5)를 체결하면 메인관(1)과 분기관(2)의 연결작업이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형 천공기는 톱부를 메인관의 측부에 가깝게 용이하게 근접시킬 수 있게 되고 메인관을 효율적으로 천공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시 메인관을 천공하는 천공기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뻗은 구동축(10),
    상기 구동축(10)의 구동력을 직각방향으로 전달하는 기어박스(11),
    상기 구동축(10)과 기어박스(11)의 입력축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부가 구동축(10)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굴곡표면기어(12),
    상기 기어박스(11)의 출력축의 끝단부에 형성된 수나선부(13),
    상기 수나선부(13)와 맞물리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수나선부(13)의 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하는 동력전달부(14),
    상기 동력전달부(14)에 결합되어 메인관(1)을 천공하는 톱부(15),
    상기 구동축(10)이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단부가 하부보다 외경이 크고 그 상단부외면에 수나선부(16a)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환형관(16),
    상기 내부환형관(16)의 하부로 돌출되며 구동축(10)과 내부환형관(16)사이의 공간에서 구동축(10)과 함께 상하 이동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하이동관(27),
    상기 내부환형관(16)을 고정하는 고정부(17),
    상기 내부환형관(16)의 수나선부(16a)와 맞물리는 암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환형관(18),
    상기 외부환형관(18)과 구동축(10)을 연결하기 위한 세트스크류(19),
    상기 구동축(10)을 외부환형관(18) 및 내부환형관(16)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구동축(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20),
    상기 상하이동관(27)의 하부와 기어박스(11)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21), 그리고
    상기 구동축(1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천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환형관(18)의 상부에는 캡(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환형관(18)에 대해서 구동축(10)의 상대적인 상하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축(10)에 스냅링(24)이 결합되어 있고 그 스냅링(24)은 베어링(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환형관(18)의 하부는 내부환형관(16)과의 사이에 부싱(25)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부싱(25)은 세트스크류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천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부(15)는 선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드릴(15a)이 중앙에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천공시 발생하는 철가루를 제거하기 위한 자석(15b)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천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환형관(16)의 하부와 기어박스(11a)를 연결하는 링크(21)는 기어박스(11) 및 톱부(15)의 방향을 메인관(1)쪽으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그 내측면에 길이방향의 내향돌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기어박스(11)의 대응부분에 외향돌부(1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천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11)의 하부에는 받침대(11b)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안내케이싱(26)의 하부에 롤러(26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천공기.
KR1019990030327A 1999-07-26 1999-07-26 수평형 천공기 KR10033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327A KR100337135B1 (ko) 1999-07-26 1999-07-26 수평형 천공기
CN00117609A CN1128032C (zh) 1999-07-26 2000-05-24 一种水平切削式钻孔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327A KR100337135B1 (ko) 1999-07-26 1999-07-26 수평형 천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104A true KR20010011104A (ko) 2001-02-15
KR100337135B1 KR100337135B1 (ko) 2002-05-18

Family

ID=1960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327A KR100337135B1 (ko) 1999-07-26 1999-07-26 수평형 천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37135B1 (ko)
CN (1) CN112803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60B1 (ko) * 2008-08-12 2009-01-30 오강원 절편(切片) 및 절삭칩 회수용 천공기
KR20220105973A (ko) * 2021-01-21 2022-07-28 여인현 자동 타발기용 회전탄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1543A1 (en) * 2007-07-16 2009-01-22 Gye Myeong Co., Ltd. Apparatus for blocking fluid flow in a pipe line and system for forming bypass using the same
WO2009011485A2 (en) * 2007-07-16 2009-01-22 Gye Myeong Co., Ltd. Pipeline fluid flow blocking device
CN103527883B (zh) * 2013-10-28 2015-07-15 青岛港(集团)有限公司 在有水钢管上快速开孔接支管的方法
CN105033313B (zh) * 2015-07-08 2018-04-10 福建省迅达石化工程有限公司 一种在在线使用的管线的管壁上钻孔的设备
KR101599007B1 (ko) * 2015-11-23 2016-03-02 신철균 저항을 이용한 구동 에너지 전달 유닛
CN106523192A (zh) * 2016-11-28 2017-03-22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反向作动式气体/双燃料发动机天然气喷射装置
CN107695692B (zh) * 2017-10-31 2019-04-16 重庆达小丰机械有限公司 一种衬套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795Y1 (ko) * 1997-11-12 1999-10-15 이정수 중압 천공기용 t형 분기관
KR19990062337A (ko) * 1997-12-22 1999-07-26 신영찬 배관파이프 천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60B1 (ko) * 2008-08-12 2009-01-30 오강원 절편(切片) 및 절삭칩 회수용 천공기
KR20220105973A (ko) * 2021-01-21 2022-07-28 여인현 자동 타발기용 회전탄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7135B1 (ko) 2002-05-18
CN1128032C (zh) 2003-11-19
CN1281765A (zh) 200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135B1 (ko) 수평형 천공기
KR100550097B1 (ko) 관정의 방오,방수장치
KR100722825B1 (ko) 굴삭기 부착형 다각도천공기 및 이의 지중 천공방법
EP3209597B1 (en) Winch and method of use
JP3062504B1 (ja) 水平型穿孔機
US6276878B1 (en) Horizontal cutting-type tapping machine
JP2007063913A (ja) 土壌処理装置
US10443311B2 (en) Top surface drilling device and methods for drilling a core in a top surface
JP2006132715A (ja) 既設管の弁設置設備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弁体
KR101363625B1 (ko) 지하천공기
JPS63232905A (ja) 穿孔装置
KR200330200Y1 (ko) 칩제거 겸용 플러깅머신
KR100237064B1 (ko) 배관의 분기방법
KR20090095825A (ko) 천공기
KR100361009B1 (ko) 합성수지 가스관의 수동식 천공기
KR100202503B1 (ko) 배관의 분기티 및 분기방법
JP3332440B2 (ja) 掘削装置
JP4086831B2 (ja) 既設管の弁設置工法
JP5372638B2 (ja) 制水体設置装置
KR200160207Y1 (ko)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
JP2018179408A (ja) 熱交換パイプの埋設装置、熱交換パイプの埋設方法および熱交換パイプの埋設用治具
JP2018150962A (ja) 連結管の接続方法
JP4079492B2 (ja) 仕切弁装置の設置方法
JP2625358B2 (ja) 分水栓の取付方法及び装置
JP2004204940A (ja) サドル分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