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207Y1 -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 - Google Patents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207Y1
KR200160207Y1 KR2019970028635U KR19970028635U KR200160207Y1 KR 200160207 Y1 KR200160207 Y1 KR 200160207Y1 KR 2019970028635 U KR2019970028635 U KR 2019970028635U KR 19970028635 U KR19970028635 U KR 19970028635U KR 200160207 Y1 KR200160207 Y1 KR 200160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nch
welded
screw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364U (ko
Inventor
이우각
Original Assignee
이우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각 filed Critical 이우각
Priority to KR2019970028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20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3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3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20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 화공물질 또는 상하수 등의 유체가 흐르는 메인관과, 상기 유체를 필요로 하는 장소까지 설치되어 있는 분기관을 연결하는 배관분기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기관의 매설깊이를 메인관의 매설깊이와 동일 또는 그 이하로 할수 있도록 하여 매설된 분기관이 지상으로 부터 진동 및 하중을 최대한 적게 받도록 하며, 동시에 유체누설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한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관분기티는 양측단에 메인관(2)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메인관(2)과 용접되는 반원형상의 메인관용접부(22)와, 상기 양측단의 메인관용접부(22)와 일체로 되어 있고 메인관용접부(2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반구형상체(21)와, 상기 반구형상체(21)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관(23)과, 상기 수직관(23)의 상부에 용접된 것으로서 플러그가 나사결합되는 작은 직경의 하부 암나사부와 덮개가 나사결합되는 큰 직경의 상부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4)로 구성되어 있는 상부분기티부재(20); 상기 상부분기티부재(20)와 대각선방향에서 용접되는 것으로서 양측단에 메인관(2)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메인관(2)과 용접되는 반원형상의 메인관용접부(32)와, 상기 양측단의 메인관용접부(32)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상부분기티부재(20)의 반구형상체(21)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중공의 반구형상체(31), 상기 반구형상체(31)와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분기관용접부(33)로 이루어져 있는 하부분기티부재(30); 상기 상부분기티부재(20)의 연결부(24)의 작은 직경의 하부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플러그(14); 상기 연결부(24)의 큰 직경의 상부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된후 그 상면이 암사나부재와 용접되는 덮개(50); 그리고 상기 플러그(14)와 덮개(50)사이에 개재되어 유체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트(60)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
본 고안은 가스, 화공물질 또는 상하수 등의 유체가 흐르는 메인관과, 상기 유체를 필요로 하는 장소까지 설치되어 있는 분기관을 연결하는 배관분기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기관의 매설깊이를 메인관의 매설깊이와 동일 또는 그 이하로 할수 있도록 하여 매설된 분기관이 지상으로 부터 진동 및 하중을 최대한 적게 받도록 하는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취사용으로 도시가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난방을 위한 연료로서도 대부분의 건물 및 주택에서 도시가스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이 거주하는 모든 도시 또는 마을의 땅속에는 도시가스공장에서 도시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관들이 거미줄처럼 배설되어 있다.
또한 모든 주거지의 땅속에는 가스관뿐만 아니라 상하수관도 묻어져 있다. 그리고 화공물질의 제조공장에는 화공물질의 이송을 위한 배관등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가스, 화공물질 또는 상하수 등의 유체가 흐르는 메인관과, 상기 유체를 필요로 하는 장소까지 설치된 분기관을 분기티를 이용하여 연결하여서 최종사용장소에서 유체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체가 가스인 경우에는, 가스공장과 연결되어 있는 메인관으로 부터 최종 사용장소인 건물 또는 주택 등에 까지 도시가스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메인관에서 건물, 주택으로 연결되는 분기관을 먼저 배설을 하고 최종작업으로서 분기티를 이용하여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하는 종래의 분기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분기티(1)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메인관(2)과 분기관(3)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2)으로 부터 분기되는 분기관(3)은 분기티(1)의 구조 때문에 메인관(2)보다 높은 곳에 매설되어 있다. 따라서 분기관(3)은 지상으로 부터의 심도가 낮기 때문에 지상으로 부터 하중 및 진동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도로보수시에 분기관(3)이 쉽게 노출되어 분기관(3)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가스관의 경우에 매설되는 심도가 규정되어 있는데 8 m 이상의 도로에서는 1.2 m 의 심도로, 8 m 이하의 도로에서는 1.0 m 의 심도로, 그리고 주택단지내에서는 0.6 m 의 심도로 매설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관의 상부는 모래, 자갈등으로 된 보조기층, 그리고 아스팔트등으로 되는 된 표층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관(2)과 분기관(3)은 동일심도로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분기티(1)는 수직형이기 때문에 분기관(3)이 메인관(2)보다 높게 매설될수 밖에 없었다.
다음에 종래 수직형 분기티의 구조 및 분기방법을 설명한다.
종래의 수직형 분기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기관연결부(11a)가 형성된 T형 관(11), 상기 T형 관(11)의 하부에 용접된 것으로서 내경곡률이 메인관(2)의 외경곡률과 동일한 보강판(12), 상기 T형 관(11)의 상부에 용접된 것으로서 중앙에 암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3), 상기 플랜지(13)의 중앙에 결합되는 플러그(14), 상기 플랜지(13)와 결합하는 덮개(15), 그리고 상기 플랜지(13)와 덮개(15)를 체결하는 볼트(16) 및 너트(17)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직형 분기티를 이용하여 메인관(2)과 분기관(3)을 연결하는 분기방법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1)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티의 보강판(12)을 메인관(2)에 수직으로 올려 놓고 용접하고 또한 T형 관(11)의 분기관연결부(11a)을 미리 매설되어 있는 분기관(3)에 용접한다.
(2) 그리고 플랜지(13)의 상부에 중간차단밸브(4)를 설치한후 중간차단밸브(4)의 상부에 천공기(8)를 설치한다.
(3)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간차단밸브(4)를 개방상태로 한 다음 천공기(8)의 톱부(9)를 메인관(2)쪽으로 하강시킨후 톱부(9)를 회전시켜 메인관(2)을 천공한다.
(4) 천공기(8)의 톱부(9) 및 메인관(2)의 절단된 부분(10)을 천공기본체안으로 끌어 올린다. 천공기(8)에는 절단된 부분(10)과 톱부(9)를 함께 끌어 올리는 장치가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본 고안과 관계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5) 중간차단밸브(4)를 폐쇄상태로 하고 천공기(8)를 중간차단밸브(4)로 부터 제거한다.
(6) 다음에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플러그아답타(8a)를 천공기(8)의 구동축에 연결하고 또한 상기 플러그아답타(8a)에 플러그(14)를 연결하여 천공기(8)를 다시 중간차단밸브(4)에 설치한다.
(7) 중간차단밸브(4)를 개방상태로 한후 천공기(8)를 작동시켜 플랜지(13)에 플러그(14)를 나사결합한다.
(8) 천공기(8)와 중간차단밸브(4)를 플랜지(13)로 부터 제거한후 볼트(16)와 너트(17)를 이용하여 덮개(15)를 플랜지(13)에 결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직형 분기티를 이용하여 배관을 분기하면, 분기관(3)이 메인관(2)보다 높은 곳에, 배관의 규정심도보다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분기관(3)이 지상으로 부터 진동 및 하중을 받아 용접부위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도로보수공사시에 분기관(3)이 쉽게 노출되어 굴착장비 등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기관을 메인관과 동일심도 또는 그 이하의 심도에 위치할수 있도록 하여 지상으로 부터 진동 및 하중이 분기관에 덜 가해지도록 하며 그에 따라 용접부위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도로보수공사시에 분기관이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분기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유체의 누설을 완벽하게 방지할수 있도록 된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는 양측단에 메인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메인관과 용접되는 반원형상의 메인관용접부와, 상기 양측단의 메인관용접부와 일체로 되어 있고 메인관용접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반구형상체와, 상기 반구형상체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 용접된 것으로서 플러그가 나사결합되는 작은 직경의 암나사부와 덮개가 나사결합되는 큰 직경의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있는 상부분기티부재; 상기 상부분기티부재와 대각선방향에서 용접되는 것으로서 양측단에 메인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메인관과 용접되는 반원형상의 메인관용접부와, 상기 양측단의 메인관용접부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상부분기티부재의 반구형상체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중공의 반구형상체, 상기 반구형상체와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분기관용접부로 이루어져 있는 하부분기티부재; 상기 상부분기티부재의 연결부의 작은 직경의 하부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플러그; 상기 연결부의 큰 직경의 상부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된후 그 상면이 암사나부재와 용접되는 덮개; 그리고 플러그와 덮개사이에 개재되어 유체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수직형 분기티를 이용하여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방법에 의해서 연결된 메인관과 분기관이 땅속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종래 수직형 분기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 분기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종래 분기티를 이용하여 메인관을 천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종래 분기티의 구성요소인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를 결합하는데 이용되는 플러그아답타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기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기티를 이용하여 메인관을 천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분기티의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분기티에서 분기관용접부가 하향에 형성되어 있는 분기티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기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분기티를 이용한 분기작업을 위하여 플랜지가 분기티에 임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기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기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분기티 2 : 메인관
3 : 분기관 4, 4' : 중간차단밸브
8 : 천공기 8a: 플러그아답타
9 : 톱부 10 : 절단된 부분
11 : T형 관 11a: 분기관연결부
12 : 보강판 13 : 플랜지
14 : 플러그 15 : 덮개
16 : 볼트 17 : 너트
20,20',20",20"':상부분기티부재 21 : 반구형상체
22 : 메인관용접부 23, 23" : 수직관
24, 24': 연결부 30, 30', 30",30"' : 하부분기티부재
31 : 반구형상체 32: 메인관용접부
33, 33': 분기관용접부 40 : O 링
50, 50', 50", 50"': 덮개 60 : 가스켓트
70, 70', 70" : 플랜지 71 : 수나사부
72: 볼트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기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기티를 이용하여 메인관을 천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는 중공의 반구형상체(21)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분기티부재(20)와; 상기 상부분기티부재(20)와 대각선방향에서 용접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분기티부재(20)의 반구형상체(21)와 대칭적으로 형성된 중공의 반구형상체(31)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분기티부재(30)를 포함하고 있다.
상부분기티부재(20)는 양측단에 메인관(2)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메인관(2)과 용접되는 반원형상의 메인관용접부(22)와, 상기 양측단의 메인관용접부(22)와 일체로 되어 있고 메인관용접부(2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의 반구형상체(21)와, 상기 반구형상체(21)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관(23)과, 상기 수직관(23)의 상부에 용접된 것으로서 플러그가 나사결합되는 작은 직경의 하부의 암나사부와 덮개가 나사결합되는 큰 직경의 상부의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분기티부재(20)의 반구형상체(21)와 메인관용접부(22)의 밑면은 대각선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을 하고 있으며 개구되어 있다.
상기 상부분기티부재(20)의 하단과 대각선방향에서 용접되는 하부분기티부재(30)는 양측단에 메인관(2)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메인관(2)과 용접되는 반원형상의 메인관용접부(32)와, 상기 양측단의 메인관용접부(32)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상부분기티부재(20)의 반구형상체(21)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중공의 반구형상체(31)와, 상기 반구형상체(31)와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분기관용접부(3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분기티는 상기 상부분기티부재(20)의 연결부(24)의 작은 직경의 하부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플러그(40)와, 상기 연결부(24)의 큰 직경의 상부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된후 그 상면이 암사나부재와 용접되는 덮개(50); 그리고 플러그(14)와 덮개(50)사이에 개재되어 유체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트(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14)에는 연결부(24)와의 틈새를 씨일링하기 위하여 O 링(40)이 끼워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분기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기작업이 행해진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선 본 고안의 분기티에서 플러그(14), 덮개(50) 및 가스켓트(60)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부분기티부재(20)의 양측단의 메인관용접부(22)를 분기될 메인관(2)부분에 용접하고 이어서 하부분기티부재(301)의 양측단의 메인관용접부(31)를 메인관(2)에 용접함과 동시에 상부분기티부재(20)와 하부분기티부재(30)의 접촉면을 상호 용접한다.
따라서 상부분기티부재(20)와 하부분기티부재(30)의 반구형상체(21)(31)는 하나의 구(球)를 형성하게 되며 그 구 내부에는 분기될 메인관(2)이 관통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하부분기티부재(30)의 분기관용접부(33)에 분기관(3)을 용접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분기티부재(20)의 연결부(24)의 큰 직경의 상부 암나사부에, 하부에 상기 연결부(24)의 상부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71)가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부에 다수의 볼트공(72)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70)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70)의 상부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중간차단밸브(4')를 결합하고, 상기 중간차단밸브(4')의 상부에 천공기(8)를 설치한다. 중간차단밸브(4')는 스크류를 이용한 것으로서 레바를 관통시키면 관통공을 폐쇄하던 폐쇄판이 이동하여 관통공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8와 같이 중간차단밸브(4')를 개방한 상태에서 천공기(8)를 구동시키면 톱부(9)가 메인관(2)의 상부를 천공하게 된다. 그리고 천공기(8)의 톱부(9) 및 메인관(2)의 절단된 부분(10)을 천공기본체안으로 끌어 올린다.
이어서 중간차단밸브(4')를 폐쇄상태로 하고 천공기(8)를 중간차단밸브(4')로 부터 제거한후, 종래와 같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플러그아답타(8a)를 천공기(8)의 구동축에 연결하고 또한 상기 플러그아답타(8a)에 플러그(14)를 연결하여 천공기(8)를 다시 중간차단밸브(4')에 설치한다.
중간차단밸브(4')를 개방상태로 한후 천공기(8)를 작동시켜 플랜지(70)의 하부 암나사부에 플러그(14)를 나사결합한다.
천공기(8)와 중간차단밸브(4')를 플랜지(70)로 부터 제거한후 가스켓트(60)를 상기 플러그(14)의 상부에 올려 놓고 덮개(50)를 연결부(24)의 상부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연결부(24)와 덮개(50)의 상면을 서로 용접하여 유체의 누설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한다.
이와 같이 완전히 분기작업이 완료되어 있는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유체는 메인관(2)으로 부터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반구형상체(21)(31)의 내부로 흐르고 이어서 분기관용접부(33)를 통하여 분기관(3)으로 흐르게 된다.
도 10은 하부분기티부재(30')의 분기관용접부(33')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분기티를 이용한 분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분기티는 분기관(3)이 하향을 향하거나 분기관(3)이 메인관(2)보다 낮은 곳에 위치할 때에 사용되어 진다.
도 11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기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분기티가 도 7에 도시된 분기티와 다른 점은 상부분기티부재(20')의 상부에, 플러그(14)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는 플랜지(70') 또는 덮개(50')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4')가 용접되어 있고, 분기작업후 유체누설을 방지하는 덮개(50')가 상기 연결부(24')의 수나사부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분기작업시 임시로 상기 연결부(24')에 결합되는 플랜지(70')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상기 연결부(24')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에 다수의 볼트공(72)이 형성되어 있다.
도 7과 도 11의 플랜지(70)(70')는 분기작업시에만 사용되고 분기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제거되는 일종의 분기작업시에만 사용되는 공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기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분기티는 배관의 직경이 비교적 작고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비교적 낮으며 또한 메인관(2)과 분기관(3)이 플라스틱재질로 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한 것으로서, 플라스틱재질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분기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분기티부재(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관(23")의 상단의 내,외부에 각각 암나사부와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관(23")의 암나사부에 플러그(14)가 나사결합되고 수나사부에 덮개(50")가 직접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다는 점이 도 7의 분기티와 다른 점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메인관과 분기관의 직경이 작고 유체의 압력이 낮기 때문에 다소의 유체가 누설되더라도 그 양이 그리 많지 않으므로 분기작업시에 중간차단밸브(4')를 사용하지 않는다. 즉, 분기작업시에 천공기(8)로 직접 천공을 한후 즉시 플러그(14)를 상부분기티부재(20")의 수직관(23")에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가스켓트(60)을 끼운후 덮개(50")를 수직관(23")의 외부에 나사결합하여 유체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도 14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기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분기티는 상부분기티(20"')의 수직관(23"')의 상단에 도 7의 연결부(24)가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대신에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70")가 직접 수직관(23"')에 용접되어 있으며, 플러그(14)가 플랜지(70")의 중앙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고, 덮개(50"')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플랜지(70")에 결합되어 있는 점이 도 7의 실시예와 다르다.
이 실시예의 경우는 플랜지(70")가 분기작업후에 분기티에 남아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분기티의 상부분기티부재와 하부분기티부재는 주조에 의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형성된후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메인관용접부를 형성하고 마감처리를 행하는 방식으로 제조할수 있다.
또한 도 13의 플라스틱재질로 된 분기티의 경우에는 플라스틱사출성형방식으로 제조된다. 물론 그이외의 방식으로 제조할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분기티는 분기관용접부가 메인관의 심도와 동일 또는 그 이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분기관의 심도를 메인관의 심도와 동일 또는 그 이하로 할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지상으로 부터 진동 및 하중이 분기관에 덜 가해지며 용접부위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고안은 분기관을 규정에 맞도록 깊은 곳에 배설할수 있으므로 도로보수공사시에 분기관이 쉽게 노출되지 않고 동시에 덮개, 가스켓트, 씨일링,용접 등에 의해서 2중, 3중으로 유체누설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분기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유체의 누설이 완벽하게 방지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하는 배관분기티에 있어서,
    양측단에 메인관(2)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메인관(2)과 용접되는 반원형상의 메인관용접부(22)와, 상기 양측단의 메인관용접부(22)와 일체로 되어 있고 메인관용접부(2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반구형상체(21)와, 상기 반구형상체(21)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관(23)과, 상기 수직관(23)의 상부에 용접된 것으로서 플러그가 나사결합되는 작은 직경의 하부 암나사부와 덮개가 나사결합되는 큰 직경의 상부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4)로 구성되어 있는 상부분기티부재(20);
    상기 상부분기티부재(20)와 대각선방향에서 용접되는 것으로서 양측단에 메인관(2)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메인관(2)과 용접되는 반원형상의 메인관용접부(32)와, 상기 양측단의 메인관용접부(32)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상부분기티부재(20)의 반구형상체(21)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중공의 반구형상체(31), 상기 반구형상체(31)와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분기관용접부(33)로 이루어져 있는 하부분기티부재(30);
    상기 상부분기티부재(20)의 연결부(24)의 작은 직경의 하부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플러그(14);
    상기 연결부(24)의 큰 직경의 상부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된후 그 상면이 암사나부재와 용접되는 덮개(50); 그리고
    상기 플러그(14)와 덮개(50)사이에 개재되어 유체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트(6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분기티부재(20)의 연결부(24)대신에, 플러그(14)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는 플랜지(70') 또는 덮개(50')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24')가 용접되어 있고, 분기작업후 유체누설을 방지하는 덮개(50')가 상기 연결부(24')의 수나사부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의 심도를 유지하기 위한 배관분기티.
  3.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분기티부재(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관(23)대신에, 상단의 내,외부에 각각 암나사부와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관(23")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관(23")의 암나사부에 플러그(14)가 나사결합되고 수나사부에 덮개(50")가 직접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플라스틱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
  4.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분기티부재(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관(23"')의 상단에 연결부(24)가 용접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70")가 직접 수직관(23"')에 용접되어 있으며, 플러그(14)가 플랜지(70")의 중앙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고, 덮개(50"')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플랜지(7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
KR2019970028635U 1997-10-15 1997-10-15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 KR200160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635U KR200160207Y1 (ko) 1997-10-15 1997-10-15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635U KR200160207Y1 (ko) 1997-10-15 1997-10-15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364U KR19990015364U (ko) 1999-05-15
KR200160207Y1 true KR200160207Y1 (ko) 1999-11-01

Family

ID=1951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635U KR200160207Y1 (ko) 1997-10-15 1997-10-15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2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364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091Y1 (ko) 배관 차단용 핏팅
KR100550097B1 (ko) 관정의 방오,방수장치
CN105780792B (zh) 一种基坑高水头减压降水井封井方法及封井结构
US6068019A (en) Branch apparatus for pipe and a branch method using the same
KR200160207Y1 (ko) 분기관의 심도유지를 위한 배관분기티
KR100337135B1 (ko) 수평형 천공기
KR100202503B1 (ko) 배관의 분기티 및 분기방법
KR100237064B1 (ko) 배관의 분기방법
CN213597036U (zh) 一种组装式阀门井
KR101396514B1 (ko)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KR200163954Y1 (ko) 상부용접형 배관의 분기티
KR200157683Y1 (ko) 배관의 스톱플 피팅
KR20070113329A (ko) 합성구조 맨홀(상수도밸브실, 하수도맨홀)및 이를 이용한맨홀 시공공법
KR100654634B1 (ko) 상수도 제수밸브 관리용 조립식 맨홀
CN216339683U (zh) 一种新型管道骑马井
KR200210495Y1 (ko) 배관의 분기장치
CN216041263U (zh) 降水井钢盖板封堵装置
CN220450841U (zh) 一种消减旋挖桩侧负摩阻力的装置
KR200375104Y1 (ko) 관로연결구
KR200265418Y1 (ko) 도로의 복합형 암거 구조
CN113897991A (zh) 降水井钢盖板封堵装置及其施工方法
KR200281586Y1 (ko) 농수로관
JP3375596B2 (ja) コンクリート製ボックスの施工方法
JP2006257731A (ja) マンホール継手、並びに、管接続構造
KR200443417Y1 (ko) 방수밀폐형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