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769A -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769A
KR20010010769A KR1019990029828A KR19990029828A KR20010010769A KR 20010010769 A KR20010010769 A KR 20010010769A KR 1019990029828 A KR1019990029828 A KR 1019990029828A KR 19990029828 A KR19990029828 A KR 19990029828A KR 20010010769 A KR20010010769 A KR 20010010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optical fiber
clad
dispersion
control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820B1 (ko
Inventor
이지훈
도문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9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820B1/ko
Priority to US09/619,715 priority patent/US6697562B1/en
Priority to JP2000221419A priority patent/JP3782923B2/ja
Priority to CNB001262769A priority patent/CN1135413C/zh
Publication of KR20010010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820B1/ko
Priority to US10/166,095 priority patent/US6711341B2/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0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re effective area or mode field radius
    • G02B6/02009Large effective area or mode field radius, e.g. to reduce nonlinear effects in single mode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03B37/018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by glass deposition on a glass substrate, e.g. by inside-, modified-, plasma-, or plasma modifi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ICVD, MCVD, PCVD, PMCVD], i.e. by thin layer coating on the inside or outside of a glass tube or on a glass rod
    • C03B37/01807Reactant delivery systems, e.g. reactant deposition bur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1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tailored to obtain the desired dispersion, e.g. dispersion shifted, dispersion flattened
    • G02B6/02219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dispersion properties in the silica low loss window around 1550 nm, i.e. S, C, L and U bands from 1460-1675 n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1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tailored to obtain the desired dispersion, e.g. dispersion shifted, dispersion flattened
    • G02B6/02219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dispersion properties in the silica low loss window around 1550 nm, i.e. S, C, L and U bands from 1460-1675 nm
    • G02B6/02228Dispersion flattened fibres, i.e. having a low dispersion variation over an extended wavelength range
    • G02B6/02238Low dispersion slope fibres
    • G02B6/02242Low dispersion slope fibres having a dispersion slope <0.06 ps/km/nm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22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94Multiple layers differing in properties ot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e.g. attenuation, diffusion, stress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1/00Type of glass produced
    • C03B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B2201/08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boron or fluorine or other refractive index decreasing dopant
    • C03B2201/12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boron or fluorine or other refractive index decreasing dopant doped with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1/00Type of glass produced
    • C03B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B2201/20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non-metals other than boron or fluorine
    • C03B2201/28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non-metals other than boron or fluorine doped with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1/00Type of glass produced
    • C03B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B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metals, e.g. Ga, Sn, Sb, Pb or Bi
    • C03B2201/31Doped silica-based glasses doped with metals, e.g. Ga, Sn, Sb, Pb or Bi doped with germ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3/00Fibre product details, e.g. structure, shape
    • C03B2203/36Dispersion modified fibres, e.g. wavelength or polarisation shifted, flattened or compensating fibres (DSF, DFF, DC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제어 광섬유에 있어서, SiO2, GeO2및 P2O5의 세 가지 성분계로 조성된 코아와; SiO2, GeO2, P2O5및 Freon의 네 가지 성분계로 조성된 클래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정된 화학기상증착(MCVD)에 의해 분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증착 튜브 내주면에 SiO2, GeO2, P2O5및 Freon을 증착시켜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클래드 증착 과정과; 상기 클래드 증착 과정을 통해 증착된 클래드층 내주면에 SiO2, GeO2및 P2O5를 증착시켜 코아층을 형성하는 코아 증착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 제조 방법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의 제조 방법{DISPERSION CONTROL FIBER AND A LARGE SIZE PREFORM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저손실, 대용량 전송 특성으로 인해 새로운 정보 전송 매질로서 각광받고 있는 광섬유(Optical Fiber)는 전송 모드에 따라 단일모드 광섬유(Single Mode Fiber)와 다중모드 광섬유(Multi Mode Fiber)로 나누어진다.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는 다시 분산 특성에 따라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와 분산제어 광섬유(Dispersion Control Fiber)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분산제어 광섬유로는 영분산 파장대역을 손실이 가장 작은 1.5 ㎛ 파장대역으로 이동시킨 분산천이 광섬유(Dispersion Shifted Fiber)와, 1.3 ㎛ ~ 1.6 ㎛에 해당하는 넓은 파장대역에서 거의 균일한 분산값을 갖도록 조절한 분산평탄화 광섬유(Dispersion Flattened Fiber) 및 1.5 ㎛ ~ 1.6 ㎛에서 낮은 분산값을 가지는 저분산천이 광섬유(Non-zero Dispersion Shifted Fiber)등이 있다. 상기 분산천이 광섬유는 미국특허번호 제5,721,800호 등에, 상기 분산평탄화 광섬유는 미국특허번호 제5,675,690호 등에 각각 개시되어 있다.
상기 광섬유는 2중 도가니(Double Crucible) 제법과 같이 별도의 모재(Preform) 형성없이 원재료로부터 바로 광섬유를 인출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광섬유는 별도의 모재를 형성한 후 상기 모재를 가열로(Furnace) 내에서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시켜 광섬유를 인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한편, 상기 모재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광섬유의 길이는 모재경(Preform Diameter)에 의해 좌우된다. 즉, 모재경의 크기가 커질수록 더 많은 광섬유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광섬유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대구경 모재(Large size preform)를 제조하기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재의 대구경화는 증착 및 응축에 의해 형성된 1차 모재의 직경 및 오버 클래딩용 튜브의 직경을 늘임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광섬유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광섬유의 제조 과정은 크게 모재 제조(Preform Manufacture, 10), 인출(Drawing, 20), 피복 코팅(Sheath Coating, 30) 및 와인딩(Winding, 40)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상기 인출(20) 및 피복 코팅(30) 과정은 광섬유 인출기(Fiber Drawing Apparatus) 내에서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상기 모재 제조 과정(10)은 광섬유를 인출하기 위한 기본 모재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모재를 형성하는 방법에는 VAD(Vapor-phase Axial Deposition), OCVD(Outer Chemical Vapor-phase Deposition), PCVD(Plasma Chemical Vapor-phase Deposition) 및 MCVD(Modified Chemical Vapor-phase Deposition) 방법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도 MCVD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MCVD 방법에 의한 모재 제조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일정 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증착 튜브 내부에 SiCl4, GeCl4와 같은 원료 가스를 주입하고, 좌우로 이동가능한 버너를 이용하여 상기 증착 튜브 외주면을 가열한다. 상기 증착 튜브 내벽에는 원료가스 산화물의 미립자가 증착되면서 버너의 높은 열에 의해 소결(Sintering)되고, 이어 응축(Collapse) 및 클로즈(Close) 과정을 거쳐 코아 및 클래드층이 형성된 1차 모재를 제조하고 나면, 상기 1차 모재에 오버 클래딩(Over Cladding)함으로써 최종 모재가 완성된다.
상기 코아 및 클래드의 굴절율 차이는 증착 튜브 내부로 공급되는 원료 가스의 구성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러한 MCVD 방법에 의한 모재 제조 과정은 미국특허번호 제4,389,230호 및 제5,397,372호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인출 과정(20) 및 피복 코팅 과정(30)은 상기 모재 제조 과정(10)에 의해 제조된 모재로부터 광섬유를 뽑아 내는 과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로 및 코팅기를 구비한 광섬유 인출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모재를 가열로 내에 설치한 후 연화점 온도(Softening point temperature) 이상으로 가열하면, 상기 가열로 하단의 인출홀을 통해 소정의 직경으로 축소 연화된 광섬유가 인출된다. 이어, 상기 광섬유는 코팅기를 통과하면서 외주면에 피복층이 형성되고, 냉각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상기 와인딩 과정(40)은 인출 과정 및 피복 코팅 과정을 마친 광섬유에 캡스턴(Capstan)에 의해 일정한 인장력을 가하면서 최종적으로 스풀(Spool)에 감는 과정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분산제어 광섬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광섬유들은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석영계 광섬유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 및 종래의 분산제어 광섬유는 각각 코아(110, 210), 클래드(120, 220) 및 피복층(130, 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아(110, 210)는 SiO2를 주성분으로 하며, 굴절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첨가제(Dopant)인 GeO2가 첨가된다. 상기 클래드(120, 220)는 주성분인 SiO2외에 굴절율을 조절하거나 증착 온도를 낮추는 작용을 하는 첨가제인 GeO2, P2O5및 Freon이 첨가된다. 도 2 및 도 3에는 설명에 용이하도록 클래드(120, 220) 영역을 단일층으로 묘사하고 있으나, 오버 클래딩 등을 통해 다층으로 이루어진 클래드도 포함한다.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100)의 코아경(a1)은 8 ~ 12 ㎛, 비굴절율차(Δ)는 0.35이며, 분산제어 광섬유(200)의 코아경(a2)은 5 ~ 8 ㎛, 비굴절율차는 0.7 ~ 0.15이다. 즉, 분산제어 광섬유(200)는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100)에 비해 코아(210)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은 반면 코아(210)의 굴절율은 높다. 상기 비굴절율차(Δ)는 코아의 최대 굴절율을 n1, 클래드의 최소 굴절율을 n2라 할 때, (n12-n22)/(2n12)×100 으로 산출된다.
상기 피복층(130, 230)은 코아(110, 210)와 클래드(120, 220)의 기계적, 화학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내부 보호층이다. 상기 피복층(130, 230)은 주로 자외선경화형 혹은 열경화형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래의 〈표 1〉은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 및 종래 분산제어 광섬유의 광특성 변화를 나타낸 도표로서, 모재경의 증가 및 인출 온도의 증가에 따른 광특성 변화와 증착 튜브의 변형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S는 SiO2, G는 GeO2, P는 P2O5,F는 Freon을 각각 표시하고 있다.
구분 모재경(nm) 분류 코아조성 클래드조성 광특성변화 증착 튜브수축변형
영분산파장(nm) 모드필드경(㎛) 분산기울기(ps/nm2ㆍkm)
종래예1 50 단일모드 S+G S+G+P+F 0 ~ 2 0 ~ 0.2 0 ~ 0.001 변형 없음
종래예2 66 단일모드 S+G S+G+P+F 0 ~ 2 0 ~ 0.2 0 ~ 0.001 변형 없음
종래예3 50 분산제어 S+G S+G+P+F 1 ~ 3 0 ~ 0.2 0 ~ 0.001 변형 없음
종래예4 66 분산제어 S+G S+G+P+F 20 ~ 40 0.2 ~ 0.5 0.004 ~ 0.009 변형 없음
모재경 증가에 따른 인출온도 변화:20℃, 코아경:8~12㎛, 비굴절율차(%):0.35
〈표 1〉의 종래예 1과 종래예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의 경우에는 모재를 50mm에서 66mm로 대구경화함에 따라 인출 온도를 증가시켜 광섬유를 인출하더라도, 대구경화하기 전의 광섬유와 비교하여 영분산파장(Zero dispersion Wavelength), 모드필드경(Mode Field Diameter) 및 분산 기울기(Dispersion Slope) 등의 광특성 변화가 거의 없다.
반면, 종래예 3과 종래예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제어 광섬유의 경우에는 모재를 50mm에서 66mm로 대구경화한 후 광섬유를 인출하면, 대구경화하기 전의 광섬유와 비교하여 영분산파장, 모드필드경 및 분산 기울기 등 광특성이 현격히 변화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분산제어 광섬유의 코아와 클래드의 조성 성분 차이 및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코아경에서 기인한다.
즉, 분산제어 광섬유는 SiO2, GeO2, P2O5및 Freon으로 구성된 클래드와는 달리 코아의 구성이 SiO2와 GeO2만으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에 비해 코아경도 작다. 따라서, 모재경을 대구경화한 후 인출 온도를 높이게 되면, 클래드와 코아간의 온도 분포 불균형에 의한 응력(Stress) 발생 및 클래드와 코아간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아 영역의 굴절율 분포가 변하게 된다.
이러한 코아 영역의 굴절율 분포 변화는 〈표 1〉의 종래예 3과 종래예 4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제어 광섬유의 광특성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영분산 파장의 경우 대구경화하기 전의 분산제어 광섬유에 비해 20 ~ 40㎚, 모드 필드경은 0.2 ~ 0.5㎛, 분산 기울기는 0.004 ~ 0.009 ㎰/nm2ㆍ㎞의 값으로 광특성 변화량이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 종래 분산제어 광섬유의 모재를 동일한 조성 성분을 유지한 채 그대로 대구경화할 경우, 그로부터 생산된 분산제어 광섬유의 영분산 파장, 모드 필드경 및 분산 기울기와 같은 광특성이 인출온도에 따라 변화하며, 그 변화량 또한 점차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인출 온도를 증가시키더라도 광특성 변화가 적고, 증착 튜브의 수축 변형이 없는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산제어 광섬유에 있어서, SiO2, GeO2및 P2O5의 세 가지 성분계로 조성된 코아와; SiO2, GeO2, P2O5및 Freon의 네 가지 성분계로 조성된 클래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정된 화학기상증착(MCVD)에 의해 분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증착 튜브 내주면에 SiO2, GeO2, P2O5및 Freon을 증착시켜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클래드 증착 과정과; 상기 클래드 증착 과정을 통해 증착된 클래드층 내주면에 SiO2, GeO2및 P2O5를 증착시켜 코아층을 형성하는 코아 증착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 제조 방법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광섬유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단일 모드 광섬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분산제어 광섬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종래 및 본 발명의 본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 제조 방법에 따른 광섬유 인출 온도와 영분산 파장 변화량을 비교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분산제어 광섬유를 이루고 있는 코아와 클래드의 조성 차이를 줄임으로써, 대구경화된 모재로부터 분산제어 광섬유를 인출하기 위해 인출 온도를 증가시키더라도 광특성의 변화가 적은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각각의 코아와 클래드에는 구성 성분이 표시되어 있다. S는 SiO2, G는 GeO2, P는 P2O5, F는 Freon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300)는 SiO2, GeO2및 P2O5로 구성된 코아(310)와, SiO2, GeO2, P2O5, 및 Freon으로 구성된 클래드(32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클래드(320)의 외주면에는 코팅된 피복층(330)이 형성된다.
상기 SiO2는 코아(310) 및 클래드(320)의 주성분이며, 상기 GeO2는 코아(310) 및 클래드(320)의 굴절율 분포 조절을 위해 첨가된다. 상기 P2O5는 코아 (310)및 클래드(320)의 증착 온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코아(310)와 클래드(320)간의 점도 차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Freon은 클래드(320)의 굴절율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코아(310)에 첨가되는 P2O5는 코아 조성 성분 총중량의 10%를 넘지 않도록 첨가한다. 상기 코아(310)에 첨가되는 P2O5는 코아(310)와 클래드(320)간의 조성 성분 차이에서 비롯되는 점도의 차이를 줄여줌으로써, 코아(310)와 클래드(320)간의 점도 차이로 인해 광섬유 인출시 발생하는 온도 분포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상기 코아(310)에 첨가되는 P2O5의 양이 코아 조성 성분 총중량의 10%를 넘게 되면, 코아(310) 부분의 흡수 손실 증가 및 점도 감소로 인한 기하구조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코아(310) 및 클래드(320)의 비굴절율차는 일반적인 단일모드 광섬유의 비굴절율차인 0.35보다 크도록 상기 GeO2, P2O5, 및 Freon의 첨가량을 조절한다. 상기 코아(310) 내에서 P2O5가 차지하는 조성비는 코아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할 수 있으며, 코아 중심으로부터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400)는 SiO2, GeO2, P2O5및 Freon으로 구성된 코아(410)와, 상기 코아(410)와 마찬가지로 SiO2, GeO2, P2O5및 Freon으로 구성된 클래드(42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클래드(420)의 외주면에는 코팅된 피복층(430)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400)는 코아에 P2O5만을 추가로 첨가했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는 달리 Freon을 더 첨가한다.
상기 코아(410)에 첨가되는 P2O5는 코아 구성 성분 총중량의 10%를 넘지 않도록 첨가한다. 상기 코아(410)에 첨가되는 P2O5는 코아(410)와 클래드(420)간의 구성 성분 차이에서 비롯되는 점도의 차이를 줄여줌으로써, 코아(410)와 클래드(420)간의 점도 차이로 인해 광섬유 인출시 발생하는 온도 분포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상기 코아(410)에 첨가되는 P2O5의 양이 코아 구성 성분 총중량의 10%를 넘게 되면, 코아 부분의 흡수 손실 증가 및 점도 감소로 인한 기하구조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SiO2는 코아(410) 및 클래드(420)의 주성분이며, 상기 GeO2는 코아(410) 및 클래드(420)의 굴절율 분포 조절을 위해 첨가된다. 상기 P2O5는 코아 (410)및 클래드(420)의 증착 온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코아(410)와 클래드(420)간의 점도 차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Freon은 클래드(420)의 굴절율을 낮출 뿐만 아니라 상기 P2O5와 마찬가지로 코아(410)와 클래드(420)간의 점도 차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500)는 SiO2, GeO2및 P2O5로 구성된 코아(510)와, SiO2, GeO2, P2O5및 Freon으로 구성된 1차 클래드(530)와, SiO2만으로 이루어진 2차 클래드(52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2차 클래드(520)의 외주면에는 코팅된 피복층(540)이 형성된다.
상기 코아(510)에 첨가되는 P2O5는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코아 구성 성분 총중량의 10%를 넘지 않도록 첨가한다. 상기 코아(510)에 첨가되는 P2O5는 코아(510)와 클래드(530)간의 구성 성분 차이에서 비롯되는 점도의 차이를 줄여줌으로써, 코아(510)와 클래드(530)간의 점도 차이로 인한 인출시 온도 분포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SiO2는 코아(510), 1차 클래드(530) 및 2차 클래드(520)의 주성분이며, 상기 GeO2는 코아(510) 및 1차 클래드(530)의 굴절율 분포 조절을 위해 첨가된다. 상기 P2O5는 코아(510) 및 1차 클래드(530)의 증착 온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코아(510)와 1차 클래드(530)간의 점도 차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Freon은 1차 클래드(530)의 굴절율을 낮출 뿐만 아니라 상기 P2O5와 마찬가지로 코아(510)와 1차 클래드(530)간의 점도 차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MCVD 방법에 의한 광섬유 모재 제조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 제조 과정은 크게 클래드 증착 과정(50), 코아 증착 과정(60), 응축 및 클로즈 과정(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래드 증착 과정(50)은 회전하도록 설치된 증착 튜브 내부에 SiO2, GeO2및 P2O5를 공급하면서 버너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상기 증착 튜브 내주면에 SiO2, GeO2및 P2O5의 세 가지 성분계로 이루어진 클래드층을 증착시키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래드 증착 과정은 상기 증착 튜브 내주면에 SiO2, GeO2, P2O5및 Freon의 네 가지 성분계로 이루어진 클래드층을 증착시킨다.
상기 코아 증착 과정(60)은 증착 튜브에 증착된 클래드층 내주면에 SiO2, GeO2, P2O5및 Freon의 네 가지 성분계로 이루어진 코아층을 증착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P2O5는 클래드층을 이루는 네 가지 성분계 전체 중량의 10% 미만이 되도록 공급량을 조절한다. 상기 P2O5의 중량비가 전체 중량의 10%를 넘을 경우, 코아층의 기하구조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응축 및 클로즈 과정(70)은 증착 튜브의 축 방향을 따라 버너를 이동시키면서 가열하여, 코아층 중심에 잔존하고 있는 중공 부분을 메움과 동시에 유리화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CVD 방법에 의한 분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 제조 과정을 제공하고 있지만, 전술한 MCVD 방법 이외에도 VAD, OCVD 및 PCVD 방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 혹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를 제조할 수 있음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당연하다 할 것이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대구경 모재로부터 인출된 분산제어 광섬유의 광특성 변화를 나타낸 도표로서, 모재경의 증가 및 인출 온도의 변화에 따른 광특성 변화와 증착 튜브의 변형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 두 가지의 광특성 변화도 같이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비교예 두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달리 코아 및 클래드에 P2O5를 첨가하지 않은 예이다.
구분 모재경(nm) 분류 코아조성 클래드조성 광특성 변화 증착 튜브수축변형
영분산파장(nm) 모드필드경(㎛) 분산기울기(ps/nm2ㆍkm)
종래예4 66 분산제어 S+G S+G+P+F 20 ~ 40 0.2 ~ 0.5 0.004 ~ 0.009 수축변형없음
실시예1 66 분산제어 S+G+P S+G+P+F 0 ~ 2 0 ~ 0.2 0 ~ 0.001 수축변형없음
실시예2 66 분산제어 S+G+P+F S+G+P+F 1 ~ 3 0 ~ 0.2 0 ~ 0.001 수축변형없음
비교예1 66 분산제어 S+G S+G 3 ~ 5 0 ~ 0.2 0 ~ 0.002 수축변형심함
비교예2 66 분산제어 S+G S+G+F 3 ~ 7 0 ~ 0.2 0 ~ 0.001 수축변형심함
모재경 증가에 따른 인출온도 변화:20℃, 코아경:5 ~ 8㎛, 비굴절율차(%):0.15 ~ 0.7
실시예 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의 코아 조성을 SiO2, GeO2, P2O5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클래드 조성을 SiO2, GeO2, P2O5및 Freon으로 이루어지도록 분산제어 광섬유용 대구경 모재를 제조한 후, 상기 대구경 모재로부터 광섬유를 인출하여 영분산 파장, 모드필드경 및 분산 기울기와 같은 광특성의 변화와 증착튜브의 수축 변형 정도를 관찰한 예이다.
상기 실시예 1을 코아 조성이 SiO2, GeO2만으로 이루어진 대구경 모재로부터 분산제어 광섬유를 인출한 종래예 4와 비교해 보면 광특성 변화가 현격히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영분산 파장 변화량은 20 ~ 40nm에서 0 ~ 2nm로, 모드필드경의 변화량은 0.2 ~ 0.5㎛에서 0 ~ 0.2㎛로, 분산 기울기 변화량은 0.004 ~ 0.009 ㎰/nm2ㆍ㎞에서 0 ~ 0.001 ㎰/nm2ㆍ㎞로 각각 감소하므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종래와 비교하여 모재의 대구경화에 따른 광특성 변화량이 줄어들었다.
실시예 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의 코아 조성을 SiO2, GeO2, P2O5및 Freon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클래드 조성을 SiO2, GeO2, P2O5및 Freon으로 이루어지도록 분산제어 광섬유용 대구경 모재를 제조한 후, 상기 대구경 모재로부터 광섬유를 인출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영분산 파장, 모드필드경 및 분산 기울기와 같은 광특성의 변화와 증착튜브의 수축 변형 정도를 관찰한 예이다.
상기 실시예 2를 코아 조성이 SiO2, GeO2만으로 이루어진 대구경 모재로부터 분산제어 광섬유를 인출한 종래예 4와 비교해 보면, 역시 광특성 변화가 현격히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영분산 파장 변화량은 20 ~ 40nm에서 1 ~ 3nm로, 모드필드경 변화량은 0.2 ~ 0.5㎛에서 0 ~ 0.2㎛로, 분산 기울기 변화량은 0.004 ~ 0.009 ㎰/nm2ㆍ㎞에서 0 ~ 0.001 ㎰/nm2ㆍ㎞로 각각 감소하므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종래와 비교하여 모재의 대구경화에 따른 광특성 변화량이 줄어들었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종래 및 본 발명의 본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 제조 방법에 따른 광섬유 인출 온도와 영분산 파장 변화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분산제어 광섬유 모재는 50mm에서 66mm로 대구경화할 경우, 인출온도에 따른 영분산 파장의 변화가 큰 반면, 도 8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 모재는 50mm에서 66mm로 대구경화하더라도 인출온도에 따른 영분산 파장의 변화가 적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 제조 방법은 대구경 모재로부터 분산제어 광섬유를 인출하기 위해 인출 온도를 증가시키더라도 광특성 변화량을 최소화함으로서 균일한 광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 제조 방법은 코아 증착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증착 튜브의 수축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소결 온도를 낮춤은 물론 응축에 소요되는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분산제어 광섬유에 있어서,
    SiO2, GeO2및 P2O5의 세 가지 성분계로 조성된 코아와;
    SiO2, GeO2, P2O5및 Freon의 네 가지 성분계로 조성된 클래드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의 P2O5는 코아 조성 전체 중량의 10퍼센트(%)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 및 클래드의 비굴절율차는 0.35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 내에서 P2O5가 차지하는 조성비는 코아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증가하거나 감소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 내에서 P2O5가 차지하는 조성비는 코아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가더라도 항상 일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
  6. 분산제어 광섬유에 있어서,
    SiO2, GeO2, P2O5및 Freon의 네 가지 성분계로 조성된 코아와;
    SiO2, GeO2, P2O5및 Freon의 네 가지 성분계로 조성된 클래드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의 P2O5는 코아 조성 전체 중량의 10퍼센트(%)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 및 클래드의 비굴절율차는 0.35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 내에서 P2O5가 차지하는 조성비는 코아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증가하거나 감소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
  10. 분산제어 광섬유에 있어서,
    SiO2, GeO2, P2O5및 Freon의 네 가지 성분계로 조성된 코아와;
    상기 코아의 외주면에는 SiO2, GeO2, P2O5및 Freon의 네 가지 성분계로 조성된 1차 클래드와;
    상기 1차 클래드의 외주면에는 SiO2만으로 이루어진 2차 클래드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의 P2O5는 코아 조성 전체 중량의 10퍼센트(%)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
  12. 수정된 화학기상증착(MCVD)에 의해 분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증착 튜브 내주면에 SiO2, GeO2, P2O5및 Freon을 증착시켜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클래드 증착 과정과;
    상기 클래드 증착 과정을 통해 증착된 클래드층 내주면에 SiO2, GeO2및 P2O5을 증착시켜 코아층을 형성하는 코아 증착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 광섬유의 대구경 모재 제조 방법.
KR1019990029828A 1999-07-22 1999-07-22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의 제조 방법 KR100334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828A KR100334820B1 (ko) 1999-07-22 1999-07-22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의 제조 방법
US09/619,715 US6697562B1 (en) 1999-07-22 2000-07-19 Dispersion control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arge size preform thereof
JP2000221419A JP3782923B2 (ja) 1999-07-22 2000-07-21 分散制御光ファイバ
CNB001262769A CN1135413C (zh) 1999-07-22 2000-07-21 色散控制光纤及其大尺寸预制坯的制造方法
US10/166,095 US6711341B2 (en) 1999-07-22 2002-06-11 Dispersion control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arge size prefor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828A KR100334820B1 (ko) 1999-07-22 1999-07-22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769A true KR20010010769A (ko) 2001-02-15
KR100334820B1 KR100334820B1 (ko) 2002-05-02

Family

ID=1960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828A KR100334820B1 (ko) 1999-07-22 1999-07-22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697562B1 (ko)
JP (1) JP3782923B2 (ko)
KR (1) KR100334820B1 (ko)
CN (1) CN1135413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6258B2 (en) 2002-07-09 2008-03-18 Fujikura Ltd. Optical fiber and optical fiber coupler, erbium-doped optical fiber amplifier, and optical waveguide using the same
US7752869B2 (en) 2002-08-07 2010-07-13 Shin-Etsu Chemical Co., Ltd. Optical fiber prefor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optical fiber obtained by drawing thereof
KR20230093575A (ko) * 2021-12-20 2023-06-27 한국광기술원 고출력 빔 전송용 광섬유 모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4642B1 (fr) * 2001-05-11 2003-10-03 Cit Alcatel Fibre optique a saut d'indice a gaine et coeur dopes, preforme et procede de fabrication pour une telle fibre
US6853798B1 (en) * 2001-10-15 2005-02-08 Sandia Corporation Downhole geothermal well sensors comprising a hydrogen-resistant optical fiber
JP2003270470A (ja) * 2002-03-08 2003-09-25 Fitel Usa Corp 接続損失を減少させた分散補償ファイバ、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JP3993198B2 (ja) * 2002-07-09 2007-10-1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カプラ、エルビウム添加光ファイバ増幅器、光導波路
KR100492964B1 (ko) * 2002-07-29 200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섬유 인출장치 및 광섬유 모재 급송속도 제어방법
CN102153276B (zh) * 2010-12-30 2012-12-05 上海亨通光电科技有限公司 掺稀土光纤预制棒的制备方法
CN104496173A (zh) * 2014-12-15 2015-04-08 山东海富光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高功率光纤激光器的硅酸盐全玻璃光纤的外包层玻璃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5146A (en) * 1979-12-17 1984-01-10 Nippon Telegraph & Telephone Public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glass waveguide for optical circuit
IT1130481B (it) 1980-06-16 1986-06-11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Procedimento per la riduzione del contenuto di gruppi ossidrili in preforme per fibre ottiche realizzate secondo il metodo mcvd
JPS6022658B2 (ja) 1980-06-24 1985-06-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通信用フアイバ
US4412853A (en) 1981-06-29 1983-11-01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Method of making optical waveguide fiber preform starter tubes
DE3205345A1 (de) 1982-02-15 1983-09-01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uordotierten lichtleitfasern"
JPS6050503A (ja) 1983-08-31 1985-03-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アイバ
JPS63217310A (ja) 1987-03-06 1988-09-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石英系光フアイバ
US5056888A (en) 1989-07-17 1991-10-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ingle-mode, single-polarization optical fiber
US5237576A (en) 1992-05-05 1993-08-17 At&T Bell Laboratories Article comprising an optical fiber laser
US5397372A (en) 1993-11-30 1995-03-14 At&T Corp. MCVD method of making a low OH fiber preform with a hydrogen-free heat source
FR2736440B1 (fr) 1995-07-07 1997-08-01 Alcatel Submarcom Guide optique monomode a dispersion decalee et grande surface effective de mode
KR100342189B1 (ko) 1995-07-12 2002-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휘발성복합체를사용한희토류원소첨가광섬유제조방법
KR0153835B1 (ko) 1995-11-07 1998-11-16 김광호 매끄러운 환상고리 굴절율 프로파일을 갖는 분산이동광섬유의 제조방법
TW342460B (en) 1996-01-16 1998-10-1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A dispersion shift fib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6258B2 (en) 2002-07-09 2008-03-18 Fujikura Ltd. Optical fiber and optical fiber coupler, erbium-doped optical fiber amplifier, and optical waveguide using the same
US7406236B2 (en) 2002-07-09 2008-07-29 Fujikura Ltd. Optical fiber and optical fiber coupler, erbium-doped optical fiber amplifier, and optical waveguide using the same
US7711238B2 (en) 2002-07-09 2010-05-04 Fujikura Ltd. Optical fiber and optical fiber coupler, erbium-doped optical fiber amplifier, and optical waveguide using the same
US7752869B2 (en) 2002-08-07 2010-07-13 Shin-Etsu Chemical Co., Ltd. Optical fiber prefor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optical fiber obtained by drawing thereof
KR20230093575A (ko) * 2021-12-20 2023-06-27 한국광기술원 고출력 빔 전송용 광섬유 모재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86955A1 (en) 2002-12-12
KR100334820B1 (ko) 2002-05-02
JP3782923B2 (ja) 2006-06-07
US6711341B2 (en) 2004-03-23
JP2001066439A (ja) 2001-03-16
CN1135413C (zh) 2004-01-21
CN1282879A (zh) 2001-02-07
US6697562B1 (en) 200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9174A (en) High bandwidth optical waveguide
US6535679B2 (en) Optical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157906A (en) Method of drawing glass optical waveguides
US8073301B2 (en) Low loss optical fiber designs for confining optical power to low-doped regions
US20020136515A1 (en) Substrate tube and process for producing a preform for an optical fiber
US20080260339A1 (en) Manufacture of depressed index optical fibers
JPH08208259A (ja) 径方向で熱伝導率変化を有する光ファイバ母材及びその製法
US4283213A (en) Method of fabrication of single mode optical fibers or waveguides
CN105911639B (zh) 一种低衰减单模光纤
JP2017534551A (ja) 一工程フッ素トレンチ及びオーバークラッドを有する光ファイバプリフォームの作製方法
AU719695B2 (en) Optical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34820B1 (ko) 분산제어 광섬유 및 그 대구경 모재의 제조 방법
US5761366A (en) Optical fiber with smooth core refractive index profil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8565566B2 (en) Multi-mode optical fiber
WO2000044683A1 (en) Optical fiber preform having oh barrie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WO2020181788A1 (zh) 一种基于套管法的光纤预制棒制造方法
US20050284184A1 (en) Methods for optical fiber manufacture
US941604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reforms for optical fibres having low water peak
CN110937796B (zh) 宽带多模光纤预制棒的制造方法
JPH07230015A (ja) 分散シフト型シングルモード光ファイバと分散シフト型シングルモード光ファイバ用母材と分散シフト型シングルモード光ファ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
CN110981183B (zh) 一种宽带多模光纤预制棒的制造方法
US20040144134A1 (en) Manufacture of high purity glass tubes
WO2001072648A1 (en) Substrate tube and process for producing a preform for an optical fiber
US6928841B2 (en) Optical fiber preform manufacture using improved VAD
KR20010042885A (ko) 광섬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