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457A -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457A
KR20010010457A KR1019990029345A KR19990029345A KR20010010457A KR 20010010457 A KR20010010457 A KR 20010010457A KR 1019990029345 A KR1019990029345 A KR 1019990029345A KR 19990029345 A KR19990029345 A KR 19990029345A KR 20010010457 A KR20010010457 A KR 20010010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put
dialing
memory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9377B1 (ko
Inventor
조성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9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3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성 다이얼링시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대응시켜 등록시킨 음성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음성 다이얼링 등록 안내 버튼을 누름에 따라 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송출한 후 입력된 음성 또는 목록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등록시킨 음성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직접 확인한 후 다시 음성 다이얼링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METHOD FOR VOICE DIALING IN WIRELESS TELEPHONE SE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음성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록된 음성을 확인하여 다이얼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음성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를 통해 음성 다이얼링하기 위해 음성 다이얼 버튼을 누르게 된다. 그런후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다이얼링하고자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기등록한 음성을 입력한다. 그러면, 제110단계에서 무선 단말기는 음성 다이얼 버튼이 눌려지는지의 판단하여 상기 음성 다이얼 버튼이 눌려지면, 제12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다이얼링하고자하는 음성을 입력받는다. 그런후 제130단계에서 무선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음성이 기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으로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입력된 음성이 기등록된 음성으로 인식되면, 제140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음성에 대응하여 기등록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자동으로 연결한다.
이와 달리, 상기 입력된 음성이 기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으로 인식되지 않으면, 제150단계에서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재입력받는다. 그런후 제160단계에서 무선 단말기는 상기 재입력된 음성이 기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으로 인식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재입력된 음성이 기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으로 인식되지 않으면, 제170단계에서 무선 단말기는 음성 다이얼링을 실패로 간주한다. 이와 달리, 상기 재입력된 음성이 기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으로 인식되면, 제180단계에서 무선 단말기는 상기 재입력된 음성에 대응되어 기등록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자동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종래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은 사용자가 다이얼링하고자하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기등록된 음성을 기억하고 있어야만 다이얼링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가 기등록시킨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동일한 전화번호에 대해 다시 등록시켜 메모리를 불필요하게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기에서 기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단말기에서 기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을 확인하여 음성 다이얼링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과 전화번호를 일대일 대응시킨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적어도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 버튼이 눌려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음성 다이얼 버튼이 눌려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 시간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일정 시간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재생하는 제3과정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음성 다이얼링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제어부(200)와 메모리(210)와 음성 메모리(220)와 음성 처리부(230)와 RF부(240)와 키입력부(250)와 표시부(26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인식부(201)는 음성처리부(230)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변환하여 음성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과정을 통해 변환된 데이터를 제어부(200)로 전달하며, 음성메모리(120)에서 독출되어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처리부(230)로 전달한다. 음성인식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임으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210)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음성 메모리(220)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등록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음성 메모리(22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 신호의 크기 등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이다. 음성 처리부(23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24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RF부(240)는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으며,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신한다. 키입력부(250)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20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부(250)는 음성 다이얼 기능과 기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재생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기능키를 구비하거나 키의 조합으로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표시부(26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무선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경보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을 위한 등록된 목록 번호와 전화번호와 등록 음성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 방법을 설명한다. 제31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키입력부(250)를 통해 음성 다이얼 기능의 수행을 요구하는 음성 다이얼 버튼이 눌려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음성 다이얼 버튼이 눌려지면, 제어부(200)는 음성 다이얼링 모드로 진입한 후 제320단계에서 일정 시간내 음성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일정 시간내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음성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33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메모리(210,220)를 검색하여 상기 음성 다이얼링 목록에서 상기 입력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입력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34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자동으로 연결한다. 이와 달리, 상기 입력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제320단계부터의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한편, 일정 시간내에 음성이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35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음성 메모리(220)로부터 기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재생하여 음성 처리부(230)를 통해 스피커로 송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스피커로 송출되는 재생되는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확인하여 통화하고자하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등록 음성을 입력하거나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목록 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목록 번호의 입력은 음성뿐만 아니라 키입력부(250)를 통해 직접 상기 목록 번호에 대응되는 숫자키를 입력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제36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음성 처리부(230)를 통해 마이크로부터 등록된 음성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등록된 음성이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상기 등록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자동으로 연결한다. 이와 달리, 상기 등록된 음성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37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상기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목록 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목록 번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된 목록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자동으로 연결한다. 이와 달리, 상기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목록 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38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음성 다이얼링을 실패한 것으로 간주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을 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다이얼링 방법을 설명한다. 제51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키입력부(250)를 통해 음성 다이얼 기능의 수행을 요구하는 음성 다이얼 버튼이 눌려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음성 다이얼 버튼이 눌려지면, 제어부(200)는 음성 다이얼링 모드로 진입한 후 제520단계에서 키입력부(250)를 통해 기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의 재생이 요구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기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의 재생이 요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53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기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의 재생이 요구되면, 제54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음성 메모리(220)로부터 기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재생하여 음성 처리부(230)를 통해 스피커로 송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스피커로 송출되는 재생되는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확인하여 통화하고자하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등록 음성을 입력하거나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목록 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목록 번호의 입력은 음성뿐만 아니라 키입력부(250)를 통해 직접 상기 목록 번호에 대응되는 숫자키를 입력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제55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음성 처리부(230)를 통해 마이크로부터 등록된 음성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등록된 음성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56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상기 등록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자동으로 연결한다.
한편, 상기 등록된 음성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56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상기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목록 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목록 번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된 목록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자동으로 연결한다. 이와 달리, 상기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목록 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58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음성 다이얼링을 실패한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안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해 다이얼링을 할 때 사용자가 쉽게 기억나지 않는 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 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다이얼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음성 다이얼링을 등록할 때 기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전화번호를 이중으로 등록하는 것을 방지하여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음성과 전화번호를 일대일 대응시킨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적어도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음성 다이얼 버튼이 눌려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음성 다이얼 버튼이 눌려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 시간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일정 시간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재생하는 제3과정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 다이얼링 목록 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목록 번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7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방법.
  3. 음성과 전화번호를 일대일 대응시킨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적어도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음성 다이얼 버튼이 눌려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음성 다이얼 버튼이 눌려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의 재생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목록의 재생 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을 재생하는 제3과정과,
    상기 음성 다이얼링 목록에 등록된 음성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음성이 상기 음성 다이얼링 목록에 등록된 음성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기등록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의 재생이 요구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7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과정에서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과정부터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과정에서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4과정부터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링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 다이얼링 목록 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6과정에서 상기 음성 다이얼링 목록 번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음성 다이얼링 목록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9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번호는,
    음성으로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번호는,
    숫자키에 의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이얼링 방법.
KR1019990029345A 1999-07-20 1999-07-20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 KR100309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345A KR100309377B1 (ko) 1999-07-20 1999-07-20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345A KR100309377B1 (ko) 1999-07-20 1999-07-20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457A true KR20010010457A (ko) 2001-02-15
KR100309377B1 KR100309377B1 (ko) 2001-11-01

Family

ID=1960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345A KR100309377B1 (ko) 1999-07-20 1999-07-20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6017A (zh) * 2018-10-30 2019-02-19 南昌大学 一种具有自恢复限位降低预应力损失组合结构的混凝土连续箱梁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6017A (zh) * 2018-10-30 2019-02-19 南昌大学 一种具有自恢复限位降低预应力损失组合结构的混凝土连续箱梁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9377B1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9638A (en) Universal calling/originating number identification
JPH08172472A (ja) 通信端末装置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40015353A1 (en) Voice recognition key input wireless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0309377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
KR100403745B1 (ko)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잠금 상태시 사용자 정보 확인및 자동 호출 방법
KR100605868B1 (ko)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번호 저장방법_
KR0185641B1 (ko) 무선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확인을 통한 메모리 다이얼링 장치
JPH0628279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KR1006751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중 전화번호 저장 방법
JPH11313140A (ja) 移動体通信装置
JP2001345920A (ja) 電話機
JP3570997B2 (ja) 通信システム、電話交換機及び通信装置
KR20010054089A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를 통해 음성 다이얼을수행하기위한 방법
JP2000059491A (ja) 電話装置
KR1004073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검색 방법
JPH08223282A (ja) コードレス電話機及びコードレス電話機の子機増設方法
JP2000341393A (ja) 電話帳機能付き電話機
KR20010010548A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원격제어코드 설정방법
JP2001308986A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dtmf音発生方法
KR19990015187A (ko) 통신기기에서 간편하게 원터치키를 등록하는 방법
JPH11308323A (ja) 電話機
KR20020011191A (ko)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방법
JPH11331355A (ja) ダイヤルオートメモ方法
JP2001168957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