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191A -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191A
KR20020011191A KR1020000044540A KR20000044540A KR20020011191A KR 20020011191 A KR20020011191 A KR 20020011191A KR 1020000044540 A KR1020000044540 A KR 1020000044540A KR 20000044540 A KR20000044540 A KR 20000044540A KR 20020011191 A KR20020011191 A KR 20020011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music
file
us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509B1 (ko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4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50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파일들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엠피3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에서의 알람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알람음악 설정요구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파일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음악파일들 중 하나의 음악파일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음악파일을 알람음악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된 알람시각이 되면 상기 음악파일에 대응된 알람음악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방법{METHOD FOR ALARMING BY USING MP3 FILE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에 저장된 MP3음악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한 음악에 대하여 알람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알람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휴대폰에는 사용자가 약속한 시간, 기상 시간 등의 원하는 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데, 이를 통상 알람 기능이라 한다. 즉,사용자가 알람 발생을 원하는 시간을 미리 지정해두면, 휴대폰은 그 시간이 되면 미리 정해진 형태로 알람을 발생하는 기능을 말한다.
그러한 알람 발생 방법에 있어,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형적인 휴대폰에서의 알람음은 전화기 제조과정에서 입력 설정된 벨소리나 멜로디 음악만이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정된 음만을 설정할 수 있었으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에서 알람기능을 수행할 시 탑재된 MP3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알람음으로 사용하기를 원하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지정한 음악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휴대폰과 연결된 외부스피커에 원하는 볼륨으로 일정시간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MP3 탑재 휴대폰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알람음 설정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알람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 흐름도.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음악파일들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에서의 알람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알람음악 설정요구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파일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음악파일들 중 하나의 음악파일을 선택하면 상기선택된 음악파일을 알람음악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된 알람시각이 되면 상기 음악파일에 대응된 알람음악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MP3 탑재 휴대폰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상기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알람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타이머(timer)(26)를 내장한다. 제어부(10)는 키매트릭스부(12)로부터의 통화명령 키 입력, MP3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수행 제어키, 다이얼 또는 각종 제어 명령키의 입력에 대한 출력을 받아 각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0)는 EEPROM(Electi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이하 EEPROM이라 한다)(14)과 특히 사용자가 휴대폰을 가지고 MP3기능을 구현할 시 MP3기능 제어를 위한 MP3 제어부(40)를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알람음악 설정 및 알람음악 출력을 제어한다.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통하여 입출력된 신호는 제1증폭부(16)와 제2증폭부(18)에서 증폭되고 휴대폰과 기지국간의 각종 송수신 데이터는 증폭부(20)에서 증폭되고 RF 송수신부(22)에서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 또는 송신된다. 한편 EEPROM(14)은 상기 휴대폰의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며, ID 데이터,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및 인식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24)는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상태나 MP3기능 수행시 사용자의 키 조작 상태를 사용자가 알수 있도록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표시한다. 타이머(26)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시간 카운터를 수행한다.
플레시메모리(42)는 MP3용 파일을 저장한다. 플레시메모리(42)에 저장된 MP3 파일은 휴대폰의 제어부(10)의 명령을 받은 MP3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복호기(Decoder)(44)에서 복호된다. 복호기(44)에서 복호된 디지털 음성데이터인 MP3파일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6)에서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6)에서 변환된 MP3파일은 오디오 증폭부(48)에서 이어폰(53)이나 외부스피커(56)에 제공될 수 있도록 증폭된다. 이어폰(53) 또는 외부스피커(56)를 위한 연결장치(80)는 MP3이어잭(50), 이어폰 플러그(52) 및 외부스피커 플러그(54)로 구성된다. MP3이어잭(50)은 이어폰(53)이 연결되었는지 외부스피커(56)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한다. 이어폰 플러그(52)는 이어폰(53)을 연결하였을 때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플러그1번과 플러그3번을 내부 단락(short)시켜 놓는다. 외부스피커 플러그(54)는 외부스피커(56)가 연결되었을 때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플러그 1번과 3번을 단선(open)된 상태로 놓는다.
외부스피커용 플러그(54)가 연결될 시 MP3용 제어부(40)는 복호기(44)를 제어하는데, 복호기(44) 내부의 이퀄라이져(equalizer)증폭기 이득을 이어폰(53)이 연결되었을 시보다 10dB 정도 높게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알람음 설정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휴대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음 설정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에서의 알람음을 설정하고 설정된 알람음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P3 파일을 이용한 알람음 설정에 사용될 음악 파일들이 MP3기능관련모듈(60)의 플레시메모리부(42)에 저장되어 있다. 플레시메모리부(42)에 MP3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하기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도 1에서 MP3파일을 이용한 알람음 설정을 위한 MP3제어부(40)와 MP3파일들이 저장된 플레시 메모리(42)를 구비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제어부(10)는 도 2의 1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키 매트릭스부(12)를 통해 알람모드 설정을 요구하면 상기 제어부(10)는 도 2의 102단계에서 알람모드 설정요구 입력을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0)는 102단계의 판단에서 알람모드 설정 요구가 입력되면 도 2의 104단계 내지 도 2의 122단계를 통해 알람모드 수행시 요구되는 데이터를 설정한다. 상기 알람모드 수행시 요구되는 데이터는 알람시간, 알람유지 시간, 알람 음악파일 및 알람음악의 출력시 볼륨레벨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어부(10)는 102단계의 판단에서 알람모드 설정 요구가 아니면 도 2의 126단계로 진행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한다.
도 2의 상기 104단계 내지 122단계를 통해 알람모드 수행시 요구되는 데이터의 설정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어부(10)는 도 2의 104단계에서 알람시간을 설정하는 알람시간 설정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알람시간 설정모드는 시와 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등록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숫자키를 이용하여 알람시간으로 "10시 20분"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상기 제어부(10)는 원하는 알람시간을 설정하는 설정모드의 완료가 도 2의 106단계에서 판단되면 도 2의 1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알람시간 설정 완료는 사용자가 알람시간 입력 종료를 요구하는 키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어부(10)는 108단계로 진행하여 유지시간 설정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유지시간은 상기 설정된 알람시간에 알람을 발생하여 상기 발생된 알람을 지속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유지시간의 설정은 104단계에서 설정된 알람시간에 대응하여 이루어지는 데 상기 제어부(10)는 설정된 알람시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설정된 알람시간에 대응하여 유지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지시간 설정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10)는 도 2의 110단계에서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한 유지시간 설정 완료를 알리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110단계에서 유지시간 설정 완료를 알리는 키테이터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도 2의 1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112단계로 진행하면 알람음악 설정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알람음악 설정모드의 수행과정은 도 2의 112단계 내지 118단계로 이루어진다. 알람음악 설정모드의 수행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사용자로부터 알람음악 설정요구가 있으면 제어부(10)는 114단계에서 알람음악의 설정요구를 감지하고 116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116단계에서 알람음악으로 설정될 MP3파일 리스트를 표시부(24)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의 MP3파일 리스트를 표시부(24)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어부(10)는 도 1의 MP3제어부(40)를 제어하여 도 1의 플레시 메모리(42)에 저장되어 있는 MP3파일의 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MP3파일 정보를 EEPROM(14)에 등록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EEPROM(14)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MP3파일의 정보를 표시부(24)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도 2의 116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MP3파일들의 리스트로부터 알람음악으로 설정을 원하는 MP3파일을 키 매트릭스부(12)를 이용해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10)는 도 2의 118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알람음악 설정완료가 판단되면 선택된 MP3파일의 정보를 EEPROM(14)에 저장한다. 상기 알람음악 설정 완료는 사용자가 알람음악 입력 종료를 요구하는 키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 예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MP3파일의 리스트로부터 상하 방향키 또는 숫자키를 이용하여 음악파일 명칭 또는 그 음악파일의 명칭에 대응하는 번호를 선택하여 알람음악 설정을 완료한다. 제어부(10)는 원하는 알람음악을 설정하는 설정모드의 완료를 도 2의 118단계에서 판단하고 도 2의 120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114단계에서 알람음악을 설정하지 않고 휴대폰에 제공하는 기본 착신 링을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제어부(10)는 118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그리고 도 2의 118단계의 판단에서 116단계의 MP3파일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알람 음악이 없을 시 에는 112단계로 돌아간다. 제어부(10)는 112단계에서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기본 착신 링을 사용하거나 새로운 MP3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원하는 알람음악을 재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알람음악이 설정 완료되면 제어부(10)는 도 2의 120단계로 진행하여 알람음악의 볼륨레벨 설정모드를 수행한다. 120단계의 볼륨레벨 설정모드에서 사용자는 키 매트릭스부(12)를 통해 알람시각에 출력될 알람음악의 볼륨레벨을 설정한다. 그후 제어부(10)는 볼륨레벨 설정 완료를 요구하는 키데이터가 인가되면 도 2의 122단계에서 감지하고 도 2의 124단계로 진행한다. 도 2의 124단계에서 제어부(10)는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와 같이 알람시각, 유지시간, 알람음악 및 출력레벨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설정된 알람시각을 카운트하여 알람시각이 되었다고 판단하면 감지된 알람시간에 대응하여 설정된 레벨의 음악을 설정된 유지시간 동안 출력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설정된 알람음악이 송출되는 구현과정을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설정된 알람음악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도 3의 200단계에서 도1의 타이머(26)를 구동하여 시간 카운트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도 3의 202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알람시각이 되었는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알람시각이 되었다고 판단시 상기 제어부(10)는 204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알람시간이 아니라고 판단시 상기 제어부(10)는 계속해서 시간 카운트를 수행한다.
도 3의 202단계의 판단에서 상기 알람시간이 되면 제어부(10)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알람음악으로 MP3파일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204단계의 판단에서 상기 MP3파일이 알람음악으로 설정되었으면 도 3의 206단계로 진행하여 MP3기능이 동작되게 제어한다. 즉, MP3제어부(40)를 제어하여 MP3기능이 동작되게 한다. 하지만 상기 204단계의 판단에서 MP3파일이 알람음악으로 설정되어있지 않으면 214단계로 진행하여 기본 착신 링을 송출한다. 제어부(10)는 206단계에서 MP3 기능 동작을 명령한 후 208단계로 진행하여 알람음악을 이어폰(53)과 외부스피커(56) 중의 어느 하나로 출력하기 위하여 MP3이어잭(50)이 휴대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연결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제어부(10)는 208단계의 판단에 의하여 알람음악을 이어폰(53) 또는 외부스피커(56)에 출력한다. 21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도 2의 설정한 바에 따라 알람음악을 설정된 볼륨레벨로 설정된 유지시간 동안 출력한다. 한편, 208단계에서 MP3이어잭(50)이 휴대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제어부(10)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외부스피커(56)에 상기 설정한 바에 따라 알람음악을 출력한다. 제어부(10)는 212단계에서 상기 210단계에 설정된 볼륨레벨보다 10dB 정도 높게 출력하도록 MP3제어부(40)에 명령한다. 상기 MP3제어부(40)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212단계에서 복호기(44)를 제어하여 복호기(44)내부의 이퀄라이져(equalizer)증폭기 이득(Gain)을 10dB 높여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는 208단계의 판단과 동시에 상기 타이머(26)에게 알람의 송출 유지시간을 카운트하도록 하여 216단계에서 알람 송출 유지시간의 종료를 판단한다. 제어부(10)는 216단계에서 알람 송출 유지시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면 22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220단계에서 MP3제어부(40)로 하여금 MP3기능 동작을 종료하고 알람음악 송출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만일 216단계의 판단에서 알람송출 유지시간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알람정지에 대응된 키데이터가 감지되면 제어부(10)는 218단계의 판단으로부터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상기 218단계에서 알람 정지에 대응된 키데이터의 입력이 있을 시에는 2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218단계의 판단에서 알람 정지에 대응된 키데이터의 입력이 없을 시에는 216단계로 진행하여 알람 송출 유지시간의 종료를 판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MP3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에서 알람기능을 수행할 시 자기자신이 원하는 음악이 휴대폰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Claims (3)

  1. 음악파일들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엠피3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에서의 알람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알람음악 설정요구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파일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음악파일들 중 하나의 음악파일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음악파일을 알람음악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된 알람시각이 되면 상기 음악파일에 대응된 알람음악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방법.
  2. 음악파일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엠피3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에서의 알람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알람모드 설정요구에 따라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알람음악 설정요구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악파일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음악파일들 중 하나의 음악파일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음악파일을 알람음악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상기 알람음악의 출력 볼륨레벨을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알람 시각이 되면 상기 선택된 음악파일이 알람음악으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알람음악으로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알람음악의 송출로에 연결된 출력장치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된 출력장치에 대응된 출력 볼륨레벨로 상기 설정된 알람음악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에서 저장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방법.
KR1020000044540A 2000-08-01 2000-08-01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장치 및 방법 KR100689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540A KR100689509B1 (ko) 2000-08-01 2000-08-01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540A KR100689509B1 (ko) 2000-08-01 2000-08-01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191A true KR20020011191A (ko) 2002-02-08
KR100689509B1 KR100689509B1 (ko) 2007-03-08

Family

ID=1968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540A KR100689509B1 (ko) 2000-08-01 2000-08-01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5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267B1 (ko) * 2004-07-13 2007-01-02 김종한 지하 매설용 파이프 받침대
KR100800689B1 (ko) * 2005-10-05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알람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787A (ja) * 1994-06-01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539859B1 (ko) * 1998-07-29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에서 알람기능 수행방법
JP2000115302A (ja) * 1998-09-30 2000-04-21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この装置を使用したスケジュール報知方法
KR20000026423A (ko) * 1998-10-20 2000-05-15 최승욱 엠피3 파일을 이용한 휴대폰 착신음의 다양화 장치
KR19990024210A (ko) * 1998-12-22 1999-03-25 김재한 휴대형 무선전화기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장치와 그 방법
KR100344871B1 (ko) * 1999-09-11 2002-07-19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휴대폰의 착신음 선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267B1 (ko) * 2004-07-13 2007-01-02 김종한 지하 매설용 파이프 받침대
KR100800689B1 (ko) * 2005-10-05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알람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509B1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9819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reproducing music file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89509B1 (ko)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장치 및 방법
US6205331B1 (en) Memory sharing method for integrated digital cordless telephone and radio paging receiver
KR10044266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sms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KR1006058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오디오 및 라디오 신호 자동 조절장치 및방법
KR100532314B1 (ko) 휴대폰의 개선된 알람음 발생방법
KR20030041567A (ko) 휴대폰의 스누즈 알람방법
JP200108621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10037456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8192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단축키를 이용한 모드 전환 방법
KR100424624B1 (ko) 벨소리 제어 방법
KR2006012415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녹음 예약 설정 방법 및 그 방법을채택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334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폰 번호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KR100341989B1 (ko) 표시장치에서 알람아이콘의 알람시간 표시방법
KR100566199B1 (ko) 송화음량에 따른 수화음량 자동 조절 전화기 및 그 방법
JPH09200303A (ja) 電話機
KR1004948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KR200500705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방법
KR100688176B1 (ko) 외부 입출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309377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 방법
JP2001345920A (ja) 電話機
JP2002101158A (ja) 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60073335A (ko) 개별 기능 모드를 통합하여 일괄 설정하는 통합 기능모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9990014385A (ko) 통신장치의 착신음 발생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