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8507A -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8507A
KR20010008507A KR1019990026383A KR19990026383A KR20010008507A KR 20010008507 A KR20010008507 A KR 20010008507A KR 1019990026383 A KR1019990026383 A KR 1019990026383A KR 19990026383 A KR19990026383 A KR 19990026383A KR 20010008507 A KR20010008507 A KR 20010008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film
amorphous silicon
silicon
situ do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5075B1 (ko
Inventor
오훈정
이태혁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2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075B1/ko
Publication of KR20010008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84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being a rough surface, e.g. using hemispherical g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90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 H01L28/91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made by depositing layers, e.g. by depositing alternating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커패시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결정실리콘과 비결정실리콘의 이중구조로 실리콘을 증착한 후 SMPS(Selective Metaphase Poly-Silicon)를 형성함으로써 표면적이 증대된 구조의 전하저장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반도체 소자 제조공정에서의 커패시터를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방식보다 디펙트 발생률을 감소시키며 저장전극내의 도펀트 공핍(dopant depletion)에 의한 캐퍼시턴스 감소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0.16μm이하의 디자인룰(design rule)을 갖는 고집적 소자 구현에 적합한 안정적인 커패시터 프로세스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셀간의 브릿지 발생률을 감소시키며 커패시턴스 확보에도 유리하여 리프레쉬(refresh)특성 등 소자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FORMATION METHOD OF CAPACITOR OF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커패시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결정질/비결정질에 따라 선택비를 가지고 울퉁불퉁한 표면의 실리콘(rugged surface Si)이 형성되는 기술을 이용하여 표면적이 증대된 구조의 전하 저장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이다.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을 비롯한 반도체 소자에서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셀(cell)의 면적은 급격하게 축소되나, 소자의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설계상의 셀 면적이 작아짐에도 불구하고 셀의 동작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동작에 필요한 일정량 이상의 커패시턴스(정전용량; capacitance)를 유지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차원의 복잡한 커패시터 전극(capacitor electrode)구조에 NO 다중막(multi-layer)을 채용한 구조를 도입하여 Tox를 감소 시키거나 또는 Ta2O5, BST등과 같은 고유전율의 특성을 갖는 박막 재료를 개발하고 있으나, 이들 고유전율의 특성을 갖는 박막 재료는 DRAM과 같은 소자에 적용하기에는 아직 공정마진 문제와 리키지(leakage)문제 등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이 많다.
이에 따라 최근에 가장 가능성이 있는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로서 반구형(HSG; Hemi Spherical Grain)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제조 방법이 있는데, 이는 다결정 폴리실리콘 박막의 미세구조특성을 이용하여 전극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박막만 선택적으로 표면을 요철화시켜 박막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공정(Selective HemiSpherical Grained-Si = Selective Metaphase Poly-Si : 이하 SMPS라 함)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256M DRAM이상의 고집적 반도체 소자에서 커패시터간의 MPS 그레인(grain; 요철)에 의한 브릿지(bridge)를 방지하기 위해서 Inner MPS Cylinder(이하 IMC라 함)구조를 채용하여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있는데 MPS의 형성 이후의 커패시터 형성 공정에 의한 MPS 그레인의 커팅(Cutting)과 디펙트(defect;결함)발생등에 의한 브릿지성 불량 발생 가능성 및 이에 의한 수율 감소 등이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결정실리콘과 비정질실리콘의 이중구조로 증착하여 SMPS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방식보다 디펙트 발생율을 감소시키며 저장전극내의 도펀트 공핍(dopant deplition)에 의한 커패시턴스의 감소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반도체 기판에 절연층을 증착한 단계,
도 2는 상기 절연층에 커패시터 모양으로 패터닝한 단계,
도 3은 저장전극의 폴리실리콘과 비정질실리콘의 이중막을 증착하여 커패시터 모양을 형성한 단계,
도 4는 SMPS가 형성된 단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1 : 이전 공정을 거친 반도체 기판
102 : 절연막 (층간 산화막; IPO; Inter Poly Oxide)
103 : 절연물질 (Insulator material)
301 : 인-시튜 도프트 폴리 실리콘 막(in-situ doped poly-Si layer)
302 : 비정질 실리콘 막(amorphous Si layer)
401 : SMPS(Selective Metaphase Poly-Si)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공정을 거친 반도체 기판위에 절연층을 형성시키는 제 1 단계;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반도체 기판과 차후에 형성되는 저장전극막과 연결시키는 부분을 식각시켜 오픈시키는 제 2 단계;
커패시터 영역에 제 1 절연물질을 증착하고 패터닝하는 제 3 단계;
상기 전체 구조의 상부에 일정두께의 인-시튜 도프트 폴리실리콘(in-situ doped poly Si)을 증착하고 연속하여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는 제 4 단계;
커패시터 내부를 제 2 절연물질로 채우고 화학기계적 연마 방법(CMP) 또는 역식각(etch-back)공정을 거쳐 저장전극 부분을 각 셀로 분리시키는 제 5 단계;
실리콘에 대하여 선택비가 있는 식각방법으로 커패시터 내/외부의 제 1 및 제 2 절연물질을 식각해내는 제 6 단계; 및
비정질 실리콘 표면에 실리콘 씨드(seed)를 형성시키고 어닐링하여 실리콘 내부에만 반구형 실리콘 그레인을 형성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층간 산화막 또는 절연막은 BPSG(Boron Phosphorus Silicate Glass), BSG, PSG등의 도프트(doped) 실리콘 산화막 또는 HTO(High Temperature Oxide)와 같은 증착산화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커패시터 영역에 증착하는 절연물질은 패터닝이 용이한 절연물질로 BPSG, PSG, USG(Undoped Silicate Glass), HDP(High Density Plasma oxide), MTO(Medium Temperature Oxide), SOG(Spin On Glass)의 단층구조나 실리콘나이트라이드(Si3N4)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SiOxNy)를 추가한 이중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불순물이 함유된 폴리실리콘 및 비정질실리콘막의 형성은 화학기상증착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으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폴리실리콘은 결정화가 일어나는 온도 이상의 온도와 압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시튜(in-situ) 도프트 폴리 실리콘막의 도펀트 농도는 1E20 atoms/cc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비정질실리콘막의 형성은 폴리실리콘막의 형성이 완료되는 즉시 반도체 기판을 그대로 반응로에 두고 온도를 낮추어 비정질 실리콘막이 형성되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형성은 인-시튜 도프트 폴리 실리콘 막의 형성이 완료된 후 세정공정을 거쳐 표면의 산화막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비정질 실리콘막을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 막의 형성은 인-시튜 도프트 실리콘막의 형성이 완료된 후 1 mTorr 이하의 진공상태의 트랜스퍼(Transfer)를 이용하여 이미 온도를 낮춘 CVD장비에서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 막은 불순물을 주입하지 않거나 불순물의 농도가 1E20 atoms/cc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MPS의 형성시 실리콘 씨드의 원료 기체로 SiH4또는 Si2H6기체를 실리콘 막에만 씨드가 형성되도록 플로우 속도와 주입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과정에서의 압력은 10-4torr이하의 고진공 상태로, 온도는 500℃이상의 온도를 유지하여 씨딩(seeding) 및 어닐링 단계를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형성은 인-시튜(in-situ) 도프트(doped) 폴리실리콘막의 형성 후 표면이 다른 물질로 오염되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가 낮은 다른 반응로로 옮겨 증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절연물잘을 식각해내는 제 6 단계 이후 산화물 식각용액(oxide echant)으로 실리콘 표면의 산화막 또는 자연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비정질 실리콘 표면에 형성된 실리콘 씨드를 중심으로 표면 이동하여 표면적이 증가된 요철을 갖는 실리콘(rugged Si) 즉, MPS를 형성하여 반도체 소자에서 전하저장 특성과 셀간의 브릿지 발생을 개선시킨 IMC(Inner MPS Cylinder)모양의 전하 저장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의한 커패시터의 제조공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 단계에서는 실리콘 기판상에 저장전극(Storage Node)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층간 절연막을 증착시키며, 제 2 단계에서는 소자의 동작이 가능한 위치에 마스크 (masking)공정 및 에칭(etching)공정을 실시하여 콘택홀(contact hole)을 형성한다. 제 3 단계에서는 CVD 옥사이드 등의 유전물질을 커패시터 전극과의 접합부분위에 커패시터 높이만큼 증착하고 패터닝 공정(마스크 공정과 에칭공정)을 실시하여 커패시터 전극으로 사용할 부분만을 디파인(difine)하여 에치한다.
제 4 단계에서는 하부전극(bottom electrode)으로 사용할 폴리 실리콘의 증착시키는데 폴리실리콘과 비정질 실리콘과의 이중구조로 증착하는 과정으로 우선 폴리실리콘을 증착하고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한 채 반응로의 온도를 낮추어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한다.
제 5 단계에서는 커패시터 내부를 절연물질로 채우고 적절한 후속공정을 거친 후 커패시터 부분이 서로 절연되도록 하기 위한 CMP 또는 에치백(etch-back)공정을 실시한다.
제 6 단계에서는 상기 과정 이후 커패시터 안과 밖의 물질을 제거하여 실린더 커패시터 모양을 형성하며, 제 7 단계에서는 세정공정으로 산화물 식각용액(oxide echant)을 이용하여 실리콘막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한다.
제 8 단계에서는 전극으로 사용할 실리콘 표면의 산화막이 없는 상태에서 적절한 온도 및 고진공상태에서 SiH4및 Si2H6기체를 주입하여 실리콘 씨드(seed)를 형성한 후 어닐링 과정을 실시하며 이 때 비정질실리콘 표면의 원자가 고진공상태에서 어닐링에 의하여 형성된 씨드를 중심으로 표면 이동하여 표면적이 증가된 요철을 갖는 실리콘(rugged Si) 즉, SMPS를 형성한다.
상기 과정에서 SMPS는 폴리실리콘이 증착된 면, 즉 실린더의 외벽에는 형성되지 않고 비정질 실리콘이 증착된 면인 실린더 내벽에만 형성된다.
상기 과정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에서 전하저장 특성과 셀과셀간의 브릿지 발생을 개선시킨 IMC 모양의 전하 저장 전극이 제조된다.
상기 과정이 끝나면 바로 커패시터 유전물질의 증착 및 산화공정과 상부전극(plate eletrode)의 증착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기존 방식의 IMC 형성 공정보다 결함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된다.
또한 폴리실리콘막의 증착시 P의 농도의 제한이 없으므로 저장전극내의 도펀트 공핍(dopant depletion)에 의한 캐퍼시턴스 감소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1) 접합부분의 형성 및 저장 전극 모양의 패터닝 단계 (도 1, 2 참조)
하기 도 1과 같이 소정의 공정을 거친 반도체 기판(101) 위에 층간 절연막(102)을 증착한 후 마스크(masking)공정 및 에칭(eching)공정을 실시하여 콘택홀(contact hole)을 형성한다. 커패시터와 기판(substrate)을 연결시켜 주는 커넥터(connector)를 형성하거나 커패시터와 접합할 부분을 오픈시킨 후 적절한 절연물질(103)을 커패시터 높이만큼 증착하고 하기 도 2와 같이 마스크 공정과 에칭공정을 거쳐 커패시터 모양을 패터닝한다.
(2) 저장 전극 폴리 실리콘의 증착 및 커패시터 모양의 형성 단계 (도 3 참조)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으로 불순물이 주입된 폴리실리콘 막(doped poly-Si layer)(301)을 증착한 후 웨이퍼를 언로딩(unloading)시키지 않고 온도를 낮춰서 일정 두께만큼 불순물이 주입되거나 혹은 주입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 막(doped or undoped amorphous Si layer)(302)을 증착한다.
상기 과정이 끝난 후 P/R(photoresist;감광제) 또는 절연물질을 이용하여 커패시터 내부를 채우고 에치백(etch-back)이나 CMP 공정으로 커패시터 사이를 절연시킨 후 건식 또는 습식 식각방법으로 커패시터 내/외부 물질을 제거한다.
(3) SMPS(Selective Metaphase Poly-Si)의 형성단계 (도 4참조)
상기 과정의 마지막 세정 공정에서 옥사이드 에천트(echant)를 사용하여 실리콘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한 후 고진공 상태에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실리콘 씨드(seed)를 형성하고 어닐링(annealing)을 실시하여 SMPS(401)를 형성한다. 이 때 비정질 실리콘의 결정화가 표면의 실리콘 원자들의 이동에 의해 일어나게 되므로 폴리실리콘 막(103)에는 MPS가 형성되지 않고 비정질실리콘 막(203)에만 MPS가 형성된다.
소자의 특성에 따라 SMPS 후속 도핑을 실시하여 하기 도 4와 같은 IMC 를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저장전극의 폴리실리콘 증착단계에서 배치 타입(batch type)의 화학기상증착방법외에 매엽식, 챔버 타입(chamber type)의 화학기상증착방법을 사용하여 도프트 폴리실리콘막의 증착 후 산화 또는 오염되지 않는 조건에서 이미 낮은 온도로 안정화된 챔버에서 비정질 실리콘막을 증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정질 실리콘 표면에 형성된 실리콘 씨드를 중심으로 표면 이동하여 MPS를 형성하므로 반도체 소자에서 전하저장 특성과 셀간의 브릿지 발생을 개선시킨 전하 저장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방식의 IMC 형성 공정보다 결함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되며 폴리실리콘막의 증착시 P의 농도의 제한이 없으므로 저장전극내의 도펀트 공핍(dopant depletion)에 의한 캐퍼시턴스 감소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방법으로 커패시터를 제조함으로써 0.16μm이하의 디자인룰(design rule)을 갖는 고집적 소자 구현에 적합한 안정적인 커패시터 프로세스에 의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셀간의 브릿지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커패시턴스 확보에도 유리하며 리프레쉬(refresh)특성 등 소자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3)

  1. 소정의 공정을 거친 반도체 기판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시키는 제 1 단계;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반도체 기판과 차후에 형성되는 저장전극막과 연결시키는 부분을 식각시켜 오픈시키는 제 2 단계;
    커패시터 영역에 제 1 절연물질을 증착하고 패터닝하는 제 3 단계;
    상기 전체구조 상부에 일정두께의 인-시튜 도프트 폴리실리콘(in-situ doped poly Si)을 증착하고 연속하여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는 제 4 단계;
    커패시터 내부를 제 2 절연물질로 채우고 화학기계적연마(CMP) 또는 역식각(etch-back)공정을 거쳐 저장전극 부분을 각 셀로 분리시키는 제 5 단계;
    실리콘에 대하여 선택비가 있는 식각방법으로 커패시터 내/외부의 제 1 및 제 2 절연물질을 식각해내는 제 6 단계; 및
    비정질 실리콘 표면에 실리콘 씨드(seed)를 형성시키고 어닐링하여 실린더 내부에만 반구형 실리콘 그레인을 형성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층간절연막은 도프트 실리콘 산화막인 BPSG, BSG, PSG 또는 HTO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커패시터 영역에 증착되는 절연물질은 BPSG, PSG, USG, HDP, MTO, SOG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단층구조로 사용하거나 상기 구조에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막을 추가한 이중구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시튜 도프트 폴리실리콘 및 비정질실리콘막의 형성은 화학기상증착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인-시튜 도프트 폴리실리콘막의 증착은 상기 폴리실리콘의 결정화가 일어나는 온도 이상의 온도와 압력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에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인-시튜 도프트 폴리실리콘막의 도펀트 농도는 1E20 atoms/cc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형성은 인-시튜 도프트 폴리실리콘막의 형성이 완료되는 즉시 반도체 기판을 그대로 반응로에 두고 비정질 실리콘 막의 증착온도로 온도를 낮추어 비정질 실리콘막을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형성은 인-시튜 도프트 폴리 실리콘 막의 형성이 완료된 후 세정공정을 거쳐 표면의 산화막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비정질 실리콘막을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 막의 형성은 인-시튜 도프트 실리콘막의 형성이 완료된 후 1 mTorr 이하의 진공상태의 트랜스퍼(Transfer)를 이용하여 이미 온도를 낮춘 화학기상증착장비에서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에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 막은 불순물을 주입하지 않거나 불순물의 농도가 1E20 atoms/cc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씨드의 원료 기체로 SiH4또는 Si2H6기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씨드의 형성은 10-4torr이하의 압력과, 500℃이상의 온도하에서 씨딩(seeding) 및 어닐링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절연물질을 식각해 내는 제 6 단계 이후, 산화물 식각용액(oxide echant)으로 실리콘 표면의 산화막 또는 자연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19990026383A 1999-07-01 1999-07-01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0305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383A KR100305075B1 (ko) 1999-07-01 1999-07-01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383A KR100305075B1 (ko) 1999-07-01 1999-07-01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507A true KR20010008507A (ko) 2001-02-05
KR100305075B1 KR100305075B1 (ko) 2001-11-01

Family

ID=1959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383A KR100305075B1 (ko) 1999-07-01 1999-07-01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0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940B1 (ko) * 2001-12-29 2003-09-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445063B1 (ko) * 2001-06-30 2004-08-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KR100915074B1 (ko) * 2002-12-27 2009-09-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063B1 (ko) * 2001-06-30 2004-08-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KR100399940B1 (ko) * 2001-12-29 2003-09-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915074B1 (ko) * 2002-12-27 2009-09-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5075B1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1427B2 (ja) 半導体素子のキャパシタ製造方法
KR100418573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US5953608A (en) Method of forming a DRAM stacked capacitor using an etch blocking film of silicon oxide
JP2000216356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98280A (en) Process for doping hemispherical grain silicon
KR100548553B1 (ko) 캐패시터 형성 방법
US610356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cylindrical stacked electrode
KR100547541B1 (ko) 캐패시터와메모리구조및방법
KR100305075B1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20010008510A (ko) 반도체소자의 고정전용량 커패시터 형성방법
KR100379331B1 (ko) 커패시터 하부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59517A (ko) 고집적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실린더형 하부전극 제조방법
KR100338822B1 (ko) 반도체장치의 스토리지노드 전극 제조방법
KR100351455B1 (ko) 반도체장치의 스토리지노드 전극 형성방법
KR20010008604A (ko) 고집적 반도체장치의 하부전극 형성방법
KR100632588B1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JP2001007301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79006B1 (ko) 반구체입자상실리콘층을이용하여정전용량이개선된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JP2000150826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100363698B1 (ko) 커패시터의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KR100431739B1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445063B1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KR100818074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20040059970A (ko) 반도체장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00018325A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