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7311A -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 Google Patents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311A
KR20010007311A KR1020000031589A KR20000031589A KR20010007311A KR 20010007311 A KR20010007311 A KR 20010007311A KR 1020000031589 A KR1020000031589 A KR 1020000031589A KR 20000031589 A KR20000031589 A KR 20000031589A KR 20010007311 A KR20010007311 A KR 20010007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gion
liquid
permeable
surfac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8156B1 (ko
Inventor
단지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07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2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being elastomeric or stretchable
    • A61F2013/5133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being elastomeric or stretchable in only specific parts or sections of the top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적 부위에 부분적으로 오목면 또는 볼록면을 형성할 수 있는 신축 영역을 갖는 투액성 표면 시트를 제공한다.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1)로, 시트(1)가 시트면(1a, 1b)의 목적 부위에 시트면(1a, 1b)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영역(2)을 가지고 영역(2)이 영역(2)의 주연으로부터 영역(2)의 중앙부로 향하여 파도형으로 기복이 생겨 회귀선형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주름부 (2a)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FLUID-PERMEABLE TOP SHEET OF ARTICLE FOR ABSORBING BODY FLUID}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로서는 부직포나 개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에 한방향으로 나란히 서는 다수의 산부와 골짜기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름 형상을 형성하여 신축성을 부여한 시트, 부직포에 신축성 부재를 신장 상태로 고착 일체화하여 신축성을 부여한 복합 시트가 있다.
주름 형상을 형성한 시트는 한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그 주름의 부분을 누르면 압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푹 패인 홈이 형성되지만, 사방으로 신축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 면의 목적 부위에 홈과는 다른 신축 가능한 오목면 또는 볼록면을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부직포에 신축성 부재를 고착한 복합 시트는 신축성 부재가 수축하여 시트에 미세한 다수의 개더가 생기고, 개더가 피부에 접촉하여 위화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목적 부위에 부분적으로 오목면 또는 볼록면을 형성할 수 있는 신축 영역을 가지고, 신축 영역에 있어서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는 투액성 표면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투액성 표면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투액성 표면 시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시트를 사용한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와는 다른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액성 표면 시트
1a, 1b : 시트면
2 : 신축 영역
2a : 주름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전제로 하는 것은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이다.
이러한 전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시트가 시트면의 목적 부위에 상기 시트면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을 가지며, 상기 신축 영역이 상기 영역의 주연부로부터 상기 영역의 중앙부로 향하여 파형으로 기복이 생겨 회귀선형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주름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여기서, 회귀선형이란 원형, 타원형, 모서리부가 만곡하는 대략 직사각형이나 모서리부가 만곡하는 대략 사각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시트가 시트면의 목적 부위에 상기 시트면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을 가지고, 상기 신축 영역이 상기 영역의 주연부로부터 상기 영역의 중앙부로 향하여 파형으로 기복이 생겨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주름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일례로서는 상기 시트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투액성 부직포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회귀선형으로 연장되는 상기 주름부가 상기 영역의 중앙부로 향하여 동심형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를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 2는 투액성 표면 시트(1)의 사시도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에서는 시트(1)가 신축 영역(2)에 있어서 시트(1)의 상하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를 가상선으로 나타낸다. 표면 시트(1)는 직사각형의 것으로,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투액성 부직포이다. 시트(1)는 시트면(1a, 1b)의 대략 중앙부에 시트면(1a, lb)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2)을 갖는다. 영역(2)은 영역(2)의 주연부로부터 영역(2)의 중앙부로 향하여 파형으로 기복이 있는 원형의 다수의 주름부(2a)로 형성되어 있다. 영역(2)에서는 영역(2)의 중앙부로 향함에 따라서 원주가 점차로 작아지는 주름부(2a)가 서로 동심원형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시트(1)는 주름부(2a)가 신축함으로써, 영역(2)에 있어서 화살표 X-X'로 나타내는 시트면(1a, 1b)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주름부(2a)가 늘어나면 시트(1)에 오목면 또는 볼록면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투액성 표면 시트(1)의 사시도이다. 표면 시트(1)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투액성 부직포로서, 시트면(1a, 1b)의 대략 중앙부에 시트면(1a, 1b)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2)을 갖는 점에 있어서, 도 1의 시트(1)와 동일하다. 도면에서는 신축 영역(2)이 영역(2)의 주연부로부터 영역(2)의 중앙부로 향하여 파형으로 기복이 생겨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주름부(2a)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3에 나타내는 시트(1)에 있어서, 영역(2)은 시트면(1a, 1b)의 중앙부뿐만 아니라 시트면(1a, 1b)의 다른 부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시트면(1a, lb)에 다수의 영역(2)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1)에는 소수성 부직포를 친수화제로 처리한 것이나 친수화제를 이겨서 넣은 섬유로 형성한 친수성 부직포가 이용된다. 이들 부직포 대신에 다수의 개공을 갖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직포로서는 단섬유로 형성된 에어스루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5는 도 1에 나타내는 시트(1)를 사용한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4에서는 표면 시트(1)가 신축 영역(2)에 있어서 기저귀의 하측으로 신장한 상태를 가상선으로 나타낸다. 기저귀는 투액성 표면 시트(1)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21)와, 표면 시트(1)와 이면 시트(21)와의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1, 21)중의 적어도 한쪽의 내면에 접합된 흡액성 코어(22)를 갖는 적층 패널(20)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20)은 길이 방향에 앞 몸통 주위 영역(30)과, 뒤 몸통 주위 영역(32)과, 이들 앞뒤 몸통 주위 영역(30, 32)의 사이에 위치하는 다리 가랑이 영역(31)을 가지며, 서로 대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다리 가랑이 영역(31)에 있어서 패널(20)의 폭 방향 내측으로 만곡하는 양측 가장자리(20a)와, 서로 대향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끝 가장자리(20b)를 갖는다.
패널(20)의 내면의 둔부 접촉 부위에는 대변을 수용 가능한 원통형의 오목부 (4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0)는 코어(22)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꼭대기부 개구(40a)와 측면(40b)과 바닥면(40c)을 갖는다. 오목부(40)의 꼭대기부 개구(40a)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1)와 오목부(40)의 바닥면(40c)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1)는 오목부(40)의 위치에 표면 시트(1)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신축 영역(2)을 갖는다. 영역(2)은 영역(2)의 주연부로부터 영역(2)의 중앙부로 향하여 파형으로 기복이 있는 원형의 다수의 주름부(2a)로 형성되어 있다. 영역(2)에서는 영역(2)의 중앙부로 향함에 따라서 원주가 점차로 작아지는 주름부(2a)가 동심 원형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가장 외측의 주름부(2a)가 오목부(40)의 꼭대기부 개구(40a)의 주연부 근방에 위치하고, 가장 내측의 주름부(2a)가 오목부(40)의 바닥면(40c)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패널(20)의 전후 몸통 주위 영역(30, 32)에는 패널(20)의 양끝 가장자리부 (20b)에 따라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름형의 몸통 주위용 탄성 부재(23, 24)가 표면 시트(1)와 이면 시트(21)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1, 21)중의 적어도 한쪽에 신장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패널(20)에는 양측 가장자리(20a)에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 주위용 탄성 부재(25)가 표면 시트(1)와 이면 시트(21)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1, 21)중의 적어도 한쪽에 신장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패널(20)의 뒤 몸통 주위 영역(32)에는 테이프 퍼스너(26)가 패널(20)의 양측 가장자리부(20a)에서 패널(20)의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테이프 패스너(26)는 그 기단부가 양측 가장자리부(20a)에 고착되어 있다.
표면 시트(1)와 이면 시트(21)는 코어(22)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부분과 코어(22)의 양끝 가장자리부로부터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부분 등이 서로 고착되어 있다.
표면 시트(1)는 영역(2)에 대변이 배설되면, 대변의 무게로 주름부(2a)가 신장하며, 영역(2)이 패널(2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코어(22)의 측면(40b)과 바닥면(40c) 등에 접촉한다. 주름부(2a)는 동심원형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영역(2)의 대략 중앙부가 오목부(40)의 바닥면(40c)에 접촉한다. 또한, 영역(2)이 오목부(40)의 형상에 따르도록 오목하게 할 수 있고, 대변을 오목부(40)에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다. 대변의 배설전에서는 표면 시트(1)의 영역(2)이 착용자의 둔부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오목부(40)의 꼭대기부 개구(40a)의 주연부에 피부가 접함에 따른 위화감을 절감할 수 있다. 표면 시트(1)로서는 영역(2)이 영역(2)의 주연부로부터 영역(2)의 중앙부로 향하여 파도상에 기복이 생겨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주름부(2a)로 형성된 도 3에 나타내는 시트(1)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변 수용용의 오목부(40)는 오목부(40)의 꼭대기부 개구(40a)에서 바닥면(40c)으로 향해서 테이퍼형에 확대시켜도 좋고, 오목부(40)의 꼭대기부 개구(40a)가 바닥면(40c)보다도 커도 좋다.
도 6, 7은 도 4와는 다른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6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에서는 표면 시트(1)가 시트(1)의 하측으로 신장한 상태를 가상선으로 나타낸다. 기저귀는 투액성 표면 시트(1)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21)와, 표면 시트(l)와 이면 시트(21)와의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1, 21)중의 적어도 한쪽의 내면에 접합된 흡액성 코어(22)를 갖는 적층 패널(20)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20)은 길이 방향에 앞 몸통 주위 영역(30)과, 뒤 몸통 주위 영역(32)과, 이들 전후 몸통 주위 영역(30, 32)의 사이에 위치하는 다리 가랑이 영역(31)을 가지고, 서로 대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다리 가랑이 영역(31)에 있어서 패널(20)의 폭 방향 내측으로 만곡하는 양측 가장자리부(20a)와, 서로 대향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끝 가장자리부(20b)를 갖는다. 코어(22)는 상층 코어(22a)와 하층 코어(22b) 등으로 형성되어, 상층 코어(22a)의 상면을 표면 시트(1)가 피복하고, 하층 코어(22b)의 하면을 이면 시트(21)가 피복하고 있다.
패널(20)의 내면의 둔부 접촉 부위에는 대변을 수용 가능한 전후 방향으로 긴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0)는 상층 코어(22a)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하층 코어(22b)가 아래로부터 막는 것에 따라 형성되어, 꼭대기부 개구(40a)와 측면(40b)과 바닥면(40c)을 갖는다. 오목부(40)의 꼭대기부 개구(40a)를 피복하는 표면 시트(1)와 오목부(40)의 바닥면(40c)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1)는 오목부(40)의 위치에 표면 시트(1)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2)을 갖는다. 영역(2)은 영역(2)의 주연부로부터 영역(2)의 중앙부로 향하여 파형으로 기복이 생기고, 모서리부가 만곡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다수의 주름부(2a)로 형성되어 있다. 영역(2)에서는 영역(2)의 중앙부로 향함에 따라서 둘레 길이가 점차로 작아지는 주름부(2a)가 동심형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가장 외측의 주름부(2a)가 오목부(40)의 꼭대기부 개구(40a)의 주연부 근방에 위치하며, 가장 내측의 주름부(2a)가 오목부(40)의 바닥면(40c)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패널(20)의 전후 몸통 주위 영역(30, 32)에는 패널(20)의 양끝 가장자리부 (20b)에 따라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름형의 몸통 주위용 탄성 부재(23, 24)가 표면 시트(1)와 이면 시트(21)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1, 21)중의 적어도 한쪽에 신장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패널(20)에는 양측 가장자리부(20a)에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 주위용 탄성 부재(25)가 표면 시트(1)와 이면 시트(21)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1, 21)중의 적어도 한쪽에 신장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패널(20)의 후 몸통 주위 영역(32)에는 테이퍼 패스너(26)가 패널(20)의 양측 가장자리부(20a)에서 패널(20)의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테이프 패스너(26)는 그 기단부가 양측 가장자리부(20a)에 고착되어 있다.
표면 시트(1)와 이면 시트(21)는 상하층 코어(22a, 22b)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부분과 상하층 코어(22a, 22b)의 양끝 가장자리로부터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이 서로 고착되어 있다.
표면 시트(1)는 신축 영역(2)에 대변이 배설되면, 대변의 무게로 주름부(2a)가 신장하여, 영역(2)이 패널(2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코어(22)의 측면과 바닥면 등에 접촉한다. 주름부(2a)는 동심형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영역(2)의 대략 중앙부가 오목부(40)의 바닥면(40c)에 접촉한다. 또한, 영역(2)이 오목부(40)의 형상에 따르도록 오목해질 수 있어, 대변을 오목부(40)에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다. 대변의 배설전에서는 표면 시트(1)의 영역(2)이 착용자의 둔부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오목부(40)의 꼭대기부 개구(40a)의 주연부에 피부가 접함에 의한 위화감을 절감할 수 있다. 표면 시트(1)로서는 영역(2)이 영역(2)의 주연부로부터 영역(2)의 중앙부로 향해서 파형으로 기복이 생겨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주름부(2a)로 형성된 도 3에 나타내는 시트(1)를 사용할 수 있다.
일본 실용 공개 평6-21624호 공보에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를 가지고, 착용자의 둔부가 위치하는 코어에 대변 수용용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오목부의 꼭대기부 주연부로부터 오목부의 측면에 따라서 하강하는 표면 시트가 오목부의 측면과 바닥면 등에 고착된 일회용 기저귀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191857호 공보에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를 가지고, 착용자의 둔부 접촉 부위에 대변을 수용 가능하고, 관통 구멍을 갖는 상층 코어와 관통 구멍을 밑으로부터 막는 하층 코어 등으로 구획된 오목부를 구비하며, 오목부의 꼭대기부 주연으로부터 오목부의 측면에 따라서 하강하는 표면 시트가 오목부의 측면과 바닥면 등에 고착된 일회용 기저귀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실용 공개 평6-21624호 공보와 일본 특허 공개 평8-191857호 공보 등의 개시의 기저귀는 기저귀를 제조할 때에 코어의 오목부의 측면과 바닥면 등에 표면 시트를 접합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도 4, 6에 나타내는 기저귀는 코어의 상면을 표면 시트로 피복할 때에, 코어의 오목부의 측면과 바닥면 등에 표면 시트를 접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저귀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이면 시트(21)에는 합성 수지 필름 또는 합성 수지 필름과 소수성 부직포와 의 라미네이트 등이 이용된다. 코어(22)는 플랫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또는 이들에 흡수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섬유를 가한 혼합물이며, 목적하는 두께로 압축되고, 전체가 티슈 페이퍼 등의 투액성 시트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부재의 고착, 접합에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나 점착제, 또는, 히트 시일 또는 소닉 시일 등의 열 융착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 3에 나타내는 시트(1)는 대변 수용용의 오목부를 갖춘 기저귀라면, 도 4, 6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4, 6 기저귀 그 외에 대변 수용용의 오목부를 갖춘 기저귀로서는 일본 실용 공개 평5-86320호 공보, 일본 실용 공개 평6-1561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1965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투액성 표면 시트에 의하면 목적 부위에 부분적으로 시트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신축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신축 영역이 신장했을 때에 시트에 오목면 또는 볼록면을 형성할 수 있다. 신축 영역에서는 세세한 다수의 주름이 생기는 일이 없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Claims (4)

  1.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시트면의 목적 부위에 상기 시트면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을 가지고, 상기 신축 영역이 상기 영역의 주연부로부터 상기 영역의 중앙부로 향하여 파도형으로 기복이 생겨 회귀선형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주름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2.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시트면의 목적 부위에 상기 시트면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 영역을 가지고, 상기 신축 영역이 상기 영역의 주연부로부터 상기 영역의 중앙부로 향하여 파형으로 기복이 생겨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투액성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회귀선형으로 연장되는 상기 주름부가 상기 영역의 중앙부로 향하여 동심형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KR1020000031589A 1999-06-09 2000-06-09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KR100648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63025 1999-06-09
JP16302599A JP3467429B2 (ja) 1999-06-09 1999-06-09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311A true KR20010007311A (ko) 2001-01-26
KR100648156B1 KR100648156B1 (ko) 2006-11-24

Family

ID=1576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589A KR100648156B1 (ko) 1999-06-09 2000-06-09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09715B1 (ko)
EP (1) EP1059073B1 (ko)
JP (1) JP3467429B2 (ko)
KR (1) KR100648156B1 (ko)
CN (1) CN1156266C (ko)
CA (1) CA2310906C (ko)
DE (1) DE60019848T2 (ko)
ID (1) ID26300A (ko)
MY (1) MY123638A (ko)
TW (1) TW4613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75Y1 (ko) * 2014-10-24 2015-03-12 김상열 스마트 생육샘플 보관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65680C2 (de) * 2000-12-29 2003-04-03 Hakle Kimberly De Gmbh Interlabialer Hygieneartikel
WO2002017843A2 (en) * 2000-08-30 2002-03-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ear-resistant pattern-bonded layers for absorbent article
JP4632597B2 (ja) * 2001-05-22 2011-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包装体及び陰唇間パッドの製造方法
US20040193134A1 (en) * 2001-07-26 2004-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with cuffs
JP3973469B2 (ja) * 2002-03-27 2007-09-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3978390B2 (ja) * 2002-11-20 2007-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822869B2 (ja) 2003-08-14 2006-09-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7160280B2 (en) * 2004-02-13 2007-01-09 Brenda Lee Bailey Diaper with segregated reservoir
JP4395045B2 (ja) * 2004-10-21 2010-01-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06071143A1 (en) * 2004-12-29 2006-07-06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properties of handling low-viscosity fecal materials
JP4913381B2 (ja) * 2005-09-26 2012-04-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627502B2 (ja) * 2006-01-31 2011-02-09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070225670A1 (en) * 2006-03-14 2007-09-27 Connell Thomas J Diapers for improving male genital health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5055140B2 (ja) * 2008-01-10 2012-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シートの賦形方法
US20100168705A1 (en) * 2008-12-30 2010-07-01 Stabelfeldt Sara J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Employing Elastomeric Film Laminates With Deactivated Regions
JP5291212B2 (ja) * 2012-02-07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使い捨ておむつ
JP6151969B2 (ja) * 2013-05-23 2017-06-21 ピジョン株式会社 おむつ用補助シート
JP6198076B2 (ja) * 2015-09-25 2017-09-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586917B2 (ja) * 2016-04-13 2019-10-0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888471B2 (en) 2016-12-15 2021-0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nonwoven
USD938019S1 (en) * 2019-03-27 2021-12-07 Timothy Camerl Surgical infant diaper
JP2021526058A (ja) * 2018-06-12 2021-09-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成形され、柔軟性があり、かつテクスチャ加工された不織布を有する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3543A (en) * 1964-06-10 1967-09-26 Jacob A Glassman Sanitary napkin
US3610244A (en) * 1969-10-20 1971-10-05 Jones Sr John L Integral diaper waistband fasteners
US5824004A (en) * 1990-06-18 1998-10-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s
JPH0586320A (ja) 1991-09-25 1993-04-06 Asahi Glass Co Ltd 塗料用樹脂組成物
JP2523711Y2 (ja) * 1992-04-30 1997-0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H065614A (ja) 1992-06-17 1994-01-14 Murata Mfg Co Ltd 熱処理装置
JPH0621624A (ja) 1992-07-03 1994-01-28 Seiko Epson Corp 実装回路基板
JP3516096B2 (ja) * 1994-06-10 2004-04-05 株式会社メディカルサプライ 紙おむつ
JP3012472B2 (ja) 1995-01-13 2000-0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130438B2 (ja) 1995-01-27 2001-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183587B1 (en) * 1997-11-26 2001-0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sanitary napkin comprising three dimensionally shaped tube of absorbent material
US6284942B1 (en) * 1998-05-04 2001-09-04 Long Island Jewish Medical Center Confidence building incontinence p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75Y1 (ko) * 2014-10-24 2015-03-12 김상열 스마트 생육샘플 보관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42625A (ja) 2000-12-12
KR100648156B1 (ko) 2006-11-24
DE60019848T2 (de) 2006-01-26
EP1059073B1 (en) 2005-05-04
JP3467429B2 (ja) 2003-11-17
ID26300A (id) 2000-12-14
CN1156266C (zh) 2004-07-07
EP1059073A3 (en) 2002-06-19
CA2310906A1 (en) 2000-12-09
US6409715B1 (en) 2002-06-25
TW461312U (en) 2001-10-21
EP1059073A2 (en) 2000-12-13
DE60019848D1 (de) 2005-06-09
MY123638A (en) 2006-05-31
CA2310906C (en) 2004-05-18
CN1277011A (zh) 200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1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US6569140B1 (en) Absorbent article
JP4352027B2 (ja) 吸収性物品
CA2173312C (en) Multiple folded side barrier for improved leakage protection
KR100633749B1 (ko) 표면 구조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
KR100673913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100678429B1 (ko) 흡수성 물품
RU2204974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устойчивой формы
JPH11342154A (ja) 体液吸収性物品
WO2008062873A1 (fr) Article absorbant et procédé de production associé
JP2001245928A (ja) 吸収性物品
JP4917366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0699284B1 (ko) 적층 패널
JP2010187919A (ja) 吸収性物品
KR100710653B1 (ko) 흡수성 물품
JP3740790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546104B2 (ja) 吸収性物品及びインナー吸収性物品
JPH11253483A (ja) 使い捨ておむつ
JP5232586B2 (ja)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KR19980081545A (ko)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
JP3663764B2 (ja) 使い捨ておむつ
TWI823849B (zh) 吸收性物品
JPH0559602A (ja) 使い捨てトレニングパンツ
JP2002515796A (ja) 液体と固体排泄物の封じ込め用プリーツを有するおしめ
JPH10113362A (ja) 使いす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