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7188A - 정발용 화장료 및 그를 이용한 정발방법 - Google Patents

정발용 화장료 및 그를 이용한 정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188A
KR20010007188A KR1020000030280A KR20000030280A KR20010007188A KR 20010007188 A KR20010007188 A KR 20010007188A KR 1020000030280 A KR1020000030280 A KR 1020000030280A KR 20000030280 A KR20000030280 A KR 20000030280A KR 20010007188 A KR20010007188 A KR 20010007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dressing
cosmetics
powder
polyme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551B1 (ko
Inventor
가와소에도모유키
Original Assignee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겜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10007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4Endothermic; Cooling; Cooling s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발용 화장료 및 그를 이용한 정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정발 화장료는 가열에 의해 겔화하는 고분자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의 겔화온도는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β-1,3-글루칸, β-1,3-크실란, 카드란 등의 다당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을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에 배합하여 모발에 적용한 후 가열 처리함으로써 우수한 정발성, 셋팅 유지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발용 화장료 및 그를 이용한 정발방법{COSMETICS FOR THE ARRANGEMENT OF HAIR AND METHOD FOR THE ARRANGEMENT OF HAIR USING THEM}
본 발명은 정발(整髮)용 화장료 및 그를 이용한 정발방법, 특히 그 셋팅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널리 사용되는 모발 화장료중, 정발, 셋팅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정발제로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모노부틸에테르,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세릴에테르 또는 이것들의 인산에스테르 또는 염류 등의 정발유분을 물, 저급알콜 또는 그것들의 혼합용매 등에 용해 또는 유화시킨 것 또는 피막형성성 및 셋팅성의 고분자화합물을 물, 저급알콜 또는 그것들의 혼합 용매 등에 용해시킨 것등이 있다.
그러나, 전자의 정발 유분을 배합한 정발용 화장료는 뻣뻣함은 없지만 빛나는 느낌이 있고, 또 끈적거림이 많으며 손의 감촉도 그다지 좋지 않은 과제가 있었다.
또, 후자의 고분자물질을 배합한 정발용 화장료는 모발끼리 고착하여 셋팅을 유지시키는 작용은 우수하지만, 모발에 도포하여 건조·마무리를 하기까지의 과정에서 끈적거림이 있어 매끄럽지 않고, 건조후에는 뻣뻣해져 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특히, 모발의 셋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셋팅제의 폴리머를 대량으로 배합한 경우에는 드라이어 등을 사용하여 블로우(blow)를 실시할 때 빗의 통과를 악화시키거나 건조한 후에 모발의 뻣뻣해짐이나 셋팅제의 박리(플레이킹)를 생기게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가알콜이나 그 유도체, 라놀린, 에스테르류 등 각종 첨가제의 배합에 의한 개량도 시도되었지만 첨가에 따라서 셋팅효과가 저하하여 정발료로서 만족스러움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셋팅제의 폴리머의 배합량을 저감해도 모발의 감촉은 향상되지만 셋팅의 효과면에서 만족스러움을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양호한 감촉과 우수한 셋팅효과를 갖는 정발용 화장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가열에 의해 겔화하는 고분자물질을 정발 유효성분으로서 정발용 화장료에 배합하고, 모발 적용시에 드라이어등으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감촉이 좋고, 또 셋팅 효과도 높은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정발용 화장료는 가열에 의해 겔화하는 고분자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 있어서,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의 겔화 온도는 6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 있어서,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은 다당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 있어서,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은 β-1,3-글루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 있어서,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은 β-1,3-크실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 있어서,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은 카드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 있어서,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은 미겔화 상태의 분말 및/또는 용해 중화 겔화 상태의 것을 화장료중에 분산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 있어서, 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발 화장료에 있어서,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의 화장료중의 배합량은 0.00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 있어서, 미립자 분말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 있어서, 미립자 분말은 미립자 이산화티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 있어서, 미립자 분말은 미립자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발용 화장료에 있어서, 미립자 분말은 실리카 표면처리 미립자 이산화티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방법은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모발에 적용하여 정발하고, 그 후에 열풍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방법에 있어서, 모발 적용시에 물이 존재하고 80℃이상의 열풍에 의해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는 가열에 의해 겔화하는 열겔화성 고분자를 함유하고,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를 모발에 도포후, 드라이어 등의 열로 헤어스타일을 고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겔화성 고분자는 60℃이상의 가열온도로 겔화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열응고성 단백질, 콜라겐, 열응고성 전분 등이 예시된다. 분자량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는 1만∼1000만이다. 이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가열겔화성 다당류, 더 바람직하게는 β-1,3-글루칸 또는 β-1,3-크실란이 양호하다.
또, β-1,3-글루칸중에서도 직쇄형 카드란이 공급 안정성, 가격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카드란 이외의 β-1,3-글루칸, 예를 들면 스크레로글루칸, 스크레로탄, 시조피란, 렌티난, 파라미론, 카로스, 라미나란 등을 마일드 스미스 분해등의 방법(Polym J. 13(12) 1135-1143(1981)에 기재)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카드란과 동일한 성질을 갖는 고분자를 얻을 수 있다.
카드란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분자는 미생물(Alcaligenes faecalis var. myxogenes 또는 Agrobacteriun의 대부분의 균주나 Rizobiun)이 생산하는 다당류의 한 종류이며, 구성당은 D-글루코스뿐이며, 그 글루코시드 결합의 99% 이상이 β-1,3-결합이다.
분산액의 조정법으로는 카드란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고속 호모디나이저 또는 컷터믹서 등으로 강하게 교반하거나 55℃정도의 온수에 손이나 프로펠러 교반기등을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카드란을 첨가한 후, 냉각하는 것에 의해 균일한 미겔화 분말의 분산액을 얻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물분산액을 가열하면 겔이 형성된다.
또, 가열하지 않아도 카드란을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성 수용액에 한번 용해한 후, 중화 등량의 염산 등의 산을 첨가하여 중화하는 것으로 겔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겔을 용해중화겔이라고 한다. 이 용해중화겔을 호모디나이저 등으로 강하게 교반하고, 잘게 부수는 것으로 안정된 분산액을 얻을 수 있다. 이 분산액을 가열하면 겔이 형성된다. 또, 알칼리수용액으로 용해한 후, 이를 정치(靜置)한 그대로 탄산가스 등으로 중화하거나 투석막을 이용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는 것으로도 용해중화겔과 같은 겔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알칼리수용액에 칼슘, 마그네슘 이온 등의 양이온을 첨가하여 해리한 수산기와 양이온에 의한 가교구조를 만드는 것에 의해서도 용해중화겔과 같은 겔을 형성시킬 수 있다.
가열에 의해 얻어지는 겔은 그 처리 온도에 의해 2개의 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즉, 80℃ 이상의 가열에 의해 얻어지는 열비가역성 겔과 약 6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얻어지는 열가역성 겔이며, 각각 하이셋팅겔 및 로우셋팅겔이라고 한다. 이중 하이셋팅겔을 배합한 정발용 화장료는 정발력이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로우셋팅겔도 미겔화 분말 내지 용해중화겔화물에 비하면 효과가 떨어지지만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예로는 미겔화 내지 용해 중화 겔화 카드란을 함유하는 정발용 화장료를 모발에 도포한 후, 로우셋팅 겔화 온도(6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하이셋팅 겔화 온도(80℃) 이상의 열풍으로 가열·건조시키는 것으로 우수한 정발력, 셋팅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
또 60℃ 미만에서 겔화하는 고분자에서는 과혹 조건(過酷條件)에 놓여진 경우, 용기내에서 겔화되어 사용에 부적절할 뿐만 아니라 두발에 적용한 경우에도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겔화성 고분자의 한종류 또는 두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배합량은 정발용 화장료 전체량에 대하여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중량%이다. 0.001중량% 미만에서는 정발력 및 정발 유지력이 충분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면 뻣뻣함이나 플레이킹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는 마무리가 가볍고, 또 건조후에도 뻣뻣해짐, 버석버석거림 또는 유분이 없기때문에 아무것도 묻지 않는 매우 양호한 감촉이 얻어진다. 단, 한편에서 스타일링시의 사용감이 너무 가볍고, 빗이나 브러쉬, 손가락에 모발이 잘 걸리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의 양호한 마무리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스타일링시의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미립자 분말의 배합이 유효하다. 미립자 분말을 배합하면 스타일링시에 모발이 빗등에 적절하게 걸려 한쪽으로 자는 버릇이 있는 모발을 펴거나 스트레이트 블로우(straight blow), 리폼 블로우(reform blow)등의 조작이 매우 쉬워져 사용성이 매우 향상된다.
미립자 분말은 평균 입자직경이 0.001∼0.15㎛인 것이 스타일링의 용이성, 마무리감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0.2㎛ 이상의 안료급의 입자직경의 분말은 스타일링시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마무리 후의 손의 감촉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미립자 분말로는 무기, 유기중 어떤 분말도 이용할 수 있고, 또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무기분말로는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실리카, 산화티탄,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황산칼슘, 소석고(calcined gypsum), 인산 칼슘, 불소 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파우더, 금속비누, 산화아연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유기분말로는 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분말, 셀룰로스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분말, 폴리아미드수지 분말, 폴리스틸렌 분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미립자 분말은 금속 비누, 실리콘, 양이온, 덱스트린, 지방산, 알루미나, 실리카, 불소화합물 등에 의한 공지된 표면처리가 실시되어도 좋다.
미립자 분말의 배합량은 정발용 화장료중,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2중량%이다. 너무 적은 경우에는 스타일링시의 사용성이 개선되지 않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마무리감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미립자 분말로서, 바람직한 것은 미립자 이산화티탄, 미립자 실리카 또는 그것들이 표면처리된 분말이며, 특히 실리카로 표면처리된 미립자 이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표면처리 미립자 이산화티탄은 실리카에 의해 표면전하가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성 영역에서 일차 입자 레벨로 안정적으로 분산할 수 있어 투명성이 매우 높다. 이와 같은 실리카 표면처리 미립자 이산화티탄은 초미립자 이산화티탄이라고도 하고, 통상 그 물분산액(티타니아졸)으로서 배합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임의의 제형을 취할 수 있고, 상기 필수성분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적인 정발용 화장료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을 첨가하여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폼 등의 거품상 정발료, 헤어젤, 헤어미스트(논가스타입), 헤어스프레이, 헤어리퀴드, 헤어왁스 등의 정발용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통상적인 모발염색제나 정발료 등의 정발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공지된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알콜류로는 n-부틸알콜, sec-부틸알콜, 시클로헥사놀, 부틸셀소르브, 벤질알콜, 2-페녹시에탄올, 페닐에탄올과 같은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 지방족 알콜외에 방향족 알콜이나 다가 알콜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는 예를 들면 구연산, 사과산, 초산, 젖산, 옥살산, 주석산, 개미산, 레불린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 염산 등의 무기산을 들 수 있다.
또, 이에 더해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콘드로이틴황산염, 피알론산염, 디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솔비톨, 멀티톨, 피롤리돈카르본산염, 락토스, 올리고당 등의 보습제, 라놀린, 스쿠알렌, 유동파라핀, 와세린, 고급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에스테르유 등의 유성 성분,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고무상태 디메틸폴리실록산, 아미노변성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류를 들 수 있다.
또, 콜라겐 가수분해물, 케라틴 가수분해물, 실크프로테인 가수분해물, 엘라스틴 가수분해물, 대두단백 가수분해물 등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이것들의 사급화염을 배합할 수도 있다.
또, 유화제로서 다른 양친매성 물질이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콜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등의 폴리옥시 에틸렌계 계면활성제, 옥틸폴리글리콕시드 등의 알킬폴리글리콕시드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알킬에테르 등의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 멀티톨히드록시알킬에테르 등의 당 알콜에테르류,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고급 지방산염류, 알킬벤젠설폰산염류, 인산에스테르류, 알킬황산염류, 알킬황산에스테르염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에스테르 염류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또, 아미노산류,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알킬디메틸아미노옥사이드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나 그외의 계면활성제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부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콜류나 2-에틸헥실알콜, 2-헥실데실알콜, 2-데실테트라데실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라우릴알콜, 오레일알콜, 미리스틸알콜, 팔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세틸알콜 등의 고급 알콜류 등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금속 이온 봉쇄제 및 방부제로서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염류, 페너세틴, EDTA 및 그 염, 파라벤류, 주석산 염류등을 들 수 있고, 고분자화합물로는 폴리(디메틸아릴암모늄할라이드)형 양이온성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피크롤히드린, 프로필렌 아민 및 우지지방산으로부터 얻어지는 타로일아민의 축합생성물형인 양이온성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피크롤히드린, 프로필렌 아민 및 야자유 지방산으로부터 얻어지는 코코일아민의 축합생성물형인 양이온성 고분자, 비닐피롤리돈, 디메틸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형 양이온성 고분자, 제 4급 질소 함유 셀룰로스에스테르형 양이온성 고분자류 등을 들 수 있다.
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크산탄검, 카라기난, 아르긴산염, 펙틴, 파세란, 아라비아검, 갓티검(ghatti gum), 카라야검, 트라건트검, 칸텐말, 벤트나이트, 가교성 폴리아크릴산염 등의 증점제도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병용할 수 있다.
또, 수지류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등의 비이온 수지, 아크릴수지 알카놀 아민액, 아크릴산에스테르·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에스테르·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 비닐메틸에테르·말레인산부틸 공중합체, 염화0-[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등의 음이온 수지,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양이온화물 등의 양이온 수지, 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산부틸아미노에틸·아크릴산옥틸아미드 공중합체,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양성 수지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중, 아크릴수지 알카놀아민액,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양이온화물,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수지류의 배합에 의해 스타일링시의 사용성을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다. 미립자 분말의 경우에는 블로우의 개시∼종료시까지 계속적으로 모발에 양호한 텐션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 수지류의 경우에는 모발이 건조했을 때 텐션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이외에 향료, 약제 등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중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유기안료, 무기안료외에 레이크류를 배합해도 좋다.
유기안료로는 아조계 안료, 인디고계 안료, 프타로시아닌계 안료를 들 수 있다. 무기안료로는 산화철,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크롬, 군청, 감청, 카본블랙등을 들 수 있다. 레이크로는 적색202호, 204호, 206호, 207호, 220호 등의 레이크 안료외에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안료 레이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를 헤어스프레이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분사제로는 프로판, 부탄 및 이소부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화석유가스(L.P.G), 디메틸에테르 및 탄산가스, 질소가스 등의 압축가스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특히 액화석유가스(L.P.G)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 원액과 분사제와의 배합비는 원액 5∼95중량부에 대해 분사제 95∼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별히 지정이 없는 한, 배합량은 중량%로 나타낸다.
고분자물질의 종류와 정발력(실시예 1∼10)
열겔화성 고분자물질로서 하기 표 1에 나타낸 고분자물질을 사용하여 정발용 화장료를 조제했다. 단, 실시예 5∼9에 사용한 고분자는 마일드 스미스 분해에 의해 측쇄를 제거한 것을 사용했다. 또, 실시예 10은 비교예로서 가열에 의해 겔을 생성하지 않는 크산탄검을 사용했다. 고분자물질에 정제수와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염산을 첨가하여 중화했다. 또 잔여 성분을 에탄올에 첨가하여 용해하여 상기와 함께 정발용 화장료를 조제했다.
고분자물질(표 1) 0.2중량%
수산화나트륨(1mol/L) 1.0
염산(1mol/L) 1.0
1-멘톨 0.2
에탄올 40.0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정발후의 모발에 대해서 평가했다. 남성 패널 20명에 의한 반두비교법(Half-Head법)으로 비교 판정했다. 즉, 시판되는 샴푸로 머리를 감고 두발을 완전히 건조한 후, 두발 절반부분에는 본 발명의 두발 화장료 10g을 도포하고, 또 나머지 절반부분에는 비교품(실시예 10)을 10g 도포하여 헤어드라이어로 80℃이상의 열풍을 보내면서 정발한다. 그 후 관능평가를 실시했다.
평가는 「정발력」「광택」「부드러움」「끈적거림」의 4항목에 대해서 실시했다. 관능평가는 본 발명의 정발용 화장료를 비교품을 기준으로 하여 일대 비교에 의해 이하의 5단계 평가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남성 패널 20명의 평균 평가점으로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평가점]
+2: 비교품에 비해 우수하다.
+1: 비교품에 비해 약간 우수하다.
0: 비교품과 동일한 정도이다.
-1: 비교품에 비해 약간 떨어진다.
-2: 비교품에 비해 떨어진다.
실시예 No. 고분자물질
실시예 1 카드란2 열응고성전분3 열응고성콜라겐4 β-1,3-크실란5 파라미론6 스크레로글루칸7 라미나란8 시조피란9 렌티난10 크산탄검
(평가항목) 정발력 광택 부드러움 끈적거림
실시예 1 1.8 1.5 1.7 1.62 1.5 1.4 1.6 1.33 1.5 1.4 1.5 1.74 1.7 1.4 1.4 1.65 1.5 1.2 1.4 1.56 1.3 1.5 1.5 1.37 1.4 1.6 1.4 1.58 1.7 1.5 1.4 1.59 1.6 1.6 1.3 1.6
상기 표 2에서 명확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1∼9의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을 사용한 것은 열겔화성이 아닌 크산탄검을 배합한 실시예 10에 비해 정발력, 광택, 부드러움, 끈적거림의 각 항목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고분자물질의 종류와 셋팅 유지력(실시예 11∼21)
열겔화성 고분자물질로서 하기 표 3에 나타낸 고분자물질을 사용하여 이하에 나타낸 처방의 유화조성물을 조제하여 셋팅 유지력, 끈적거림 및 뻣뻣함에 대해 평가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 실시예 15∼19의 고분자물질은 마일드 스미스 분해에 의해 측쇄를 제거한 것을 사용했다. 또, 실시예 20, 21은 비교예에서 가열에 의해서도 겔화하지 않은 고분자물질을 사용했다.
[유화조성물 처방]
〈A상〉
고분자물질(표 3) 0.5중량%
수산화나트륨(1mol/L) 1.0
염산(1mol/L) 1.0
이온교환수 50.0
〈B상〉
에탄올 5.0
향료 적량
〈C상〉
POE 경화 피마자유 0.5
프로필렌글리콜 2.0
메틸폴리실록산 1.0
이온교환수 잔량
[유화조성물 조제방법]
고분자물질에 이온교환수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염산을 첨가하여 중화하여 A상을 얻었다. 에탄올과 향료를 혼합하여 B상을 얻었다. C상 성분을 호모믹서로 유화했다. A상에 B상 및 C상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유화조성물을 얻었다.
[평가방법]
(1) 셋팅유지력
길이 25㎝, 중량 2g의 모발 스트랜드를 물로 적셔 시료 0.5g을 도포하고, 직경 15mm의 로드로 감아 80℃의 항온조내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건조후, 컬(curl)이 생긴 스트랜드에서 로드를 벗기고, 항온, 항습상자(28℃, 90% RH)에 1시간 매달아 컬의 길이를 측정했다. 셋팅 유지력은 로드로부터 벗긴 직후의 컬의 길이(L1 ㎝)와 1시간 방치후의 길이(L2 ㎝)로 다음 식에 의해 산출했다.
[셋팅유지력]={(25-L2)/(25-L1)}×100
측정결과의 표시
◎ : 셋팅유지력 90∼100%
○ : 셋팅유지력 67∼89%
△ : 셋팅유지력 34∼66%
× : 셋팅유지력 0∼33%
(2) 도포후, 건조까지의 끈적거림의 제거
모발 스트랜드(4g)에 시료 2g을 도포하고 빗으로 형을 정리하여 건조하기까지의 끈적거림을 관능평가했다.
○ : 전혀 끈적거림이 없다.
△ : 약간 끈적거림이 있다.
× : 상당한 끈적거림이 있다.
(3) 마무리한 모발의 뻣뻣함의 제거
모발 스트랜드(4g)에 시료 2g을 도포하고 빗으로 형을 정리하여 건조시킨 모발 스트랜드를 다음 기준에 의해 관능 평가했다.
○ : 전혀 뻣뻣해진 감이 없다.
△ : 약간 뻣뻣해진 감이 있다.
× : 뻣뻣해진 감이 있다.
실시예No. 고분자물질
실시예 11 카드란12 열응고성전분13 열응고성콜라겐14 β-1,3-크실란15 파라밀론16 스크레로글루칸17 라미나란18 시조피란19 렌티난2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21 폴리비닐피롤리돈/초산비닐공중합체
(평가항목) 셋팅유지력 끈적거림 뻣뻣해짐
실시예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
상기 표 4의 결과로 명확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11∼19에 나타낸 열겔화성 고분자를 배합한 정발료 화장료는 셋팅 유지력이 우수하고, 양호한 감촉을 갖는 것이였다.
β-1,3-글루칸의 배합상태와 정발력, 셋팅유지력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β-1,3-글루칸을 열겔화성 고분자의 대표로서 사용하고 그 화장료중의 겔화 상태와 정발력, 셋팅 유지력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즉, 정발용 화장료중에 있어서, 카드란의 미겔화상태인 분말을 물에 분산시킨 것(실시예 22)과 전술한 알칼리에 의해 겔화한 용해중화겔의 상태(실시예 23), 60℃에서 겔화를 실시한 가역적 열겔화상태인 로우셋팅겔(실시예 24), 90℃에서 겔화를 실시한 비가역적 열겔화 상태인 하이셋팅겔(실시예 25)을 각각 상기 실시예 11∼21에서 사용한 유화조성물의 고분자물질로서 채용하여 그 정발력, 셋팅유지력을 판정했다. 또 정발력의 비교 대상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사용했다(실시예 26).
또, 실시예 23의 용해중화겔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조제했다.
1% 카드란 용해중화겔의 조제
1중량부의 카드란에 98.18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또 0.44g의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얻었다. 상기 카드란용액에 0.38g의 10% 염산수용액을 호모디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7000회전, 1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카드란 용해중화겔 분산물을 얻었다.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정발력 셋팅유지력
실시예 22 분말분산물 1.8 ◎23 용해중화겔화물 1.8 ◎24 로우셋팅겔 1.2 ○25 하이셋팅겔 0.8 ○26 대조: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 ×
상기 표 5에서 명확해진 바와 같이, 비가역적 열겔화상태인 하이셋팅겔을 사용한 경우에는 셋팅 유지력은 나빠지지 않지만 정발력은 다른 겔화상태에 있는 것과 비교하여 떨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그리고, 특히 미겔화상태의 분말분산물 내지 열겔화와는 다른 겔화상태라고 생각되는 용해중화겔화물을 배합한 정발용 화장료가 특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로부터 고분자물질의 겔화상태와 정발력, 셋팅 유지력이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고 추측된다.
도포후 가열조건과 정발력, 셋팅유지력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분말 분산물을 더 함유하는 상기 유화조성물을 모발에 상기와 같이 도포한 후, 그 건조 조건에 의한 정발력, 셋팅유지력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정발력 셋팅유지력
85℃열풍건조 ◎ ◎50℃열풍건조 ○ ○실온송풍건조 △ ○
상기 표 6에서 명확해진 바와 같이, 비겔화 상태에 있는 분말상 β-1,3-글루칸이 하이셋팅겔에 이행할 수 있는 85℃의 열풍으로 건조시킨 바, 높은 정발력, 셋팅 유지력은 얻을 수 있지만, 그 이하의 온도로 건조시킨 경우의 정발력, 셋팅 유지력은 충분하지 않은 것이 명확해졌다.
이상의 결과로 하이셋팅겔 상태 이외의 상태에 있는 β-1,3-글루칸이 모발상에서 하이셋팅겔 상태를 거쳐 건조하여 정발력, 셋팅 유지력을 높인다고 추측된다.
물의 존재와 정발력, 셋팅유지력
하기 표 7의 조성의 정발용 화장료를 조제하여 가열시 물의 유무와 정발력,셋팅유지력에 대해 각 관능평가에 의해 검토를 실시했다.
실시예 27 실시예 28
카드란 미겔화분말 0.5 0.5아크릴수지 알카놀아민액 3.5 3.5세틸알콜 0.1 0.1실리콘유 0.3 0.3정제수 50.0 -에틸알콜 잔여 잔여
상기 실시예 27 및 28의 조성물을 머리를 감은 후에 충분히 건조시킨 모발 및 머리를 감은 후에 가볍게 물기를 닦은 정도의 습윤상태의 모발에 각각 도포하고, 그 후 85℃의 열풍으로 건조시켰다. 이 경우의 정발력, 셋팅유지력을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정발력 셋팅유지력
실시예 27 건조 ◎ ◎습윤 ◎ ◎실시예 28 건조 △ △습윤 ◎ ◎
상기 표 8에서 정제수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28에 대해서는 이를 건조 상태의 모발에 도포하여 열풍을 보내더라도 원하는 정발력, 셋팅유지력을 얻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27을 적용한 경우, 또는 실시예 28을 습윤 상태의 모발에 적용한 경우에는 그 후에 85℃의 열풍에 의해 가열·건조를 실시하는 것으로 우수한 정발력, 셋팅유지력이 얻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미립자 분말의 배합
실시예 27에 하기 표 9의 분말을 0.3중량% 배합하여 정발용 화장료를 조제했다(분말에 의한 증가는 에탄올로 조정). 이를 여성 패널 20명의 건조 상태의 모발에 도포후, 브러쉬로 바로 펴면서 85℃의 열풍을 보내 블로우를 실시하여 이 경우의 브러쉬로의 걸림에 대한 용이성(블로우의 용이성), 마무리후의 가벼움, 손의 감촉, 정발력에 대해서 앙케이트를 실시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양호라고 평가한 패널이 16명 이상
○ : 양호라고 평가한 패널이 10∼15명
△ : 양호라고 평가한 패널이 5∼9명
× : 양호라고 평가한 패널이 4명 이하
분말 평균입자 블로우의 용이성 가벼움 손의 감촉 정발력직경(㎛)
무배합(실시예 27) - △ ◎ ◎ ◎미립자 이산화티탄 0.01 ◎ ◎ ◎ ◎티타니아졸*1 0.01 ◎ ◎ ◎ ◎미립자실리카*2 0.05 ◎ ◎ ◎ ◎이산화티탄 0.3 ◎ ○ △ ◎실리카 0.5 ◎ ○ △ ◎탈크 1.0 ◎ ○ △ ◎나일론파우더 1.0 ◎ ○ △ ◎
*1 : 실리카 표면처리 미립자 이산화티탄 30% 함유 물분산액 (石原産業제)
*2 : 아에로딜(일본아에로딜사제)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말을 배합하지 않은 경우(실시예 27)에는 블로우시에 모발이 너무 가벼워 브러쉬에 걸리기 어렵고 블로우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분말을 배합한 경우에는 블로우시에 적절한 텐션이 있고, 브러쉬로의 걸림이 좋아 블로우하기 쉬워졌다. 단, 안료급 크기의 분말 경우에는 마무리후의 가벼움이나 손의 감촉이 나빠지기 때문에 분말로서는 미립자 분말이 바람직한 것이 명확해졌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배합예를 나타낸다.
배합예 1 헤어스프레이
카드란 0.10중량%
t-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00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91
에탄올 23.99
디메틸에테르 60.00
식물추출액 적량
물 잔량
배합예 2 셋팅 로션
카드란 0.25중량%
프로필렌글리콜 0.50
향유 적량
메틸파라벤 0.10
프로필파라벤 0.10
식물추출물 적량
물 잔량
배합예 3 거품상 셋팅제
카드란 0.2중량%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3
향유 적량
1,2-디브롬-2,4-디시아노부탄 0.2
물 잔량
이 혼합물은 작용물질 혼합물의 부탄에 대한 비율을 92:8로 하여 알루미늄제의 에어졸용기에 충전된다.
배합예 4 정발작용을 갖는 겔
카드란 0.2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향유 적량
에탄올 20.0
식물추출물 적량
물 잔량
배합예 5 컬러정발제
카드란 0.1000중량%
비닐피롤리돈/초산비닐공중합물 2.1000
향료 적량
1-아미노-4-(2', 3'-디히드록시프로필)
아미노-5-크롤-2-니트로벤젠 0.0700
베이직 브라운(Basic Brown) 17 (C.I. 12 251) 0.0500
베이직 블루(Basic Blue) 7 (C.I. 42 595) 0.0100
베이직 바이올렛(Basic Violet) (C.I. 42 510) 0.0023
에탄올 50.0000
물 잔량
배합예 6 액상 셋팅제
카드란 0.6중량%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5
향료 적량
에탄올 16.0
물 잔량
배합예 7 셋팅로션
카드란 0.30중량%
초산비닐/크로톤산/네오데칸산비닐 공중합체 1.50
베타인일수화물 0.50
1,2-디브롬-2,4-디시아노부탄 0.20
향료 적량
물 잔량
배합예 8 거품상 셋팅제
카드란 0.2중량%
t-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t-부틸산
/t-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
데실폴리글루코스 0.2
폴리프로필렌글리콜-(1)-폴리에틸렌
-글리콜(9)-라우릴글리콜에테르 0.2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2
향료 적량
물 잔량
이 작용 물질 용액은 9:1의 비율로 프로판/부탄으로 이루어진 추진가스와 함께 용기에 충전된다.
배합예 9 거품상 셋팅제
카드란 0.50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 0.75
비닐피롤리돈/초산비닐 공중합체 0.75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30
향료 적량
물 잔량
이 작용 물질용액(90%)은 프로판/부탄(8%) 및 디메틸에테르(2%)라는 추진 가스와 함께 용기에 충전된다.
배합예 10 펌프스프레이(55% VOC)
카드란 0.05중량%
폴리아크릴산 1.68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18
향료 적량
에탄올 55.00
물 잔량
배합예 11 헤어스프레이
카드란 0.1중량%
초산비닐/프로피오산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 7.5
향료 적량
이소프로판올 45.0
물 잔량
배합예 12 헤어젤
카드란 1.0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7
폴리비닐피롤리돈 1.0
글리세린 2.0
수산화나트륨 적량
에탄올 20.0
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에테르 0.8
향료 적량
킬레이트제 적량
정제수 잔량
배합예 13 워터그리스
카드란 2.0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글리세린 50.0
수산화나트륨 적량
에탄올 10.0
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에테르 0.5
향료 0.1
킬레이트제 0.1
정제수 잔량
배합예 14 헤어크림
카드란 0.4중량%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5.0
와세린 15.0
표백 밀랍 2.0
메틸파라벤 0.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크산탄검 0.1
글리세린 5.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1
킬레이트제 0.1
색소 적량
수산화나트륨 적량
정제수 잔량
배합예 15 트리트먼트로션
카드란 0.7중량%
1,3-부틸렌글리콜 2.0
글리세린 1.0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0.5
고중합 메틸실록산 1.0
콜라겐 가수분해물 1.0
향료 적량
자외선흡수제 적량
메틸파라벤 적량
에탄올 50.0
정제수 잔량
배합예 16 기포상 셋팅제
카드란 0.9중량%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N,N-디메틸암모늄-
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
에스테르 공중합체 3.0
산화티탄 0.2
글리세린 6.0
트리옥타노인 1.0
향유 적량
1,2-디브로모-2,4-디시아노부탄 0.2
물 88.0
이 혼합물은 작용물질 혼합물의 부탄에 대한 비율을 92:8로 하여 알루미늄제의 에어졸용기에 충전된다.
배합예 17 정발작용을 갖는 겔
카드란 0.5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초산비닐/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5.0
향유 0.15
에탄올 20.0
물 73.4
식물추출물 적량
배합예 18 액상 셋팅제
카드란 0.8중량%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양이온화물 5.0
아연화 0.3
향료 적량
물 93.0
배합예 19 헤어젤
카드란 0.2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8
아크릴수지 알카놀아민 0.3
글리세린 5.0
수산화칼륨 적량
에탄올 20.0
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에테르 0.8
향료 0.1
킬레이트제 0.3
물 74.5
배합예 20 헤어스프레이
카드란 0.2중량%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N,N-디메틸암모늄-
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
에스테르 공중합체 3.0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9
트리옥타노인 2.0
물 13.0
에탄올 25.0
디메틸에테르 55.0
식물추출액 적량
배합예 21 셋팅로션
카드란 0.7중량%
부틸렌글리콜 2.5
디메티콘 1.0
카라기난 0.3
산화티탄 0.2
메틸파라벤 0.2
물 94.0
식물추출액 적량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양호한 감촉과 우수한 셋팅 효과를 갖는 정발용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가열에 의해 겔화하는 고분자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의 겔화 온도는 6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은 다당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은 β-1,3-글루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은 β-1,3-크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은 카드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은 미겔화 상태의 분말 및/또는 용해중화겔 상태의 것을 화장료중에 분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발용 화장료는 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발용 화장료중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의 배합량은 0.0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발용 화장료는 미립자 분말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말은 미립자 이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말은 미립자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분말은 실리카 표면처리 미립자 이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용 화장료.
  14. 열겔화성 고분자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모발에 적용하여 정발하고, 그 후 열풍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모발 적용시에 물이 존재하고, 80℃ 이상의 열풍에 의해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발방법.
KR10-2000-0030280A 1999-06-03 2000-06-02 정발용 화장료 및 그를 이용한 정발방법 KR100418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679299 1999-06-03
JP11-156792 2000-03-30
JP2000095024 2000-03-30
JP2000-95024 200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188A true KR20010007188A (ko) 2001-01-26
KR100418551B1 KR100418551B1 (ko) 2004-02-11

Family

ID=26484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280A KR100418551B1 (ko) 1999-06-03 2000-06-02 정발용 화장료 및 그를 이용한 정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49154B1 (ko)
EP (1) EP1060733B1 (ko)
KR (1) KR100418551B1 (ko)
DE (1) DE60037986T2 (ko)
ES (1) ES2302672T3 (ko)
TW (1) TWI2228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176A (ko) * 2002-08-29 2004-03-09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커들란을 이용한 기능성 미용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5688B2 (ja) * 2002-01-22 2006-02-15 メルク株式会社 化粧用体質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34801A1 (de) * 2002-07-31 2004-02-19 Wella Ag Haarwachsprodukt mit flüssiger oder cremeförmiger Konsistenz
DE60325601D1 (de) * 2003-11-04 2009-02-12 Kpss Kao Gmbh Haarstylingzusammensetzung
JP4628671B2 (ja) * 2003-12-24 2011-02-09 乙雄 榊原 毛髪化粧料
WO2008006898A2 (en) * 2006-07-13 2008-01-17 L'oreal Mascara comprising a thermogelling polymer
FR2903599B1 (fr) * 2006-07-13 2012-08-3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 phase continue aqueuse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thermogelifiant, au moins un solvant organique volatil miscible dans l'eau et au moins un agent absorbant les radiations uv.
FR2939031B1 (fr) * 2008-11-28 2011-01-2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polysaccharide de type carraghenane lambda et des particules minerales.
FR3083110B1 (fr) * 2018-06-29 2020-06-12 L'oreal Procede de mise en forme des cheveux comprenant une etape d’application d’une composition comprenant un sucre ou derive de sucre, une etape de mise en forme et un long temps de paus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9488A3 (en) 1989-07-17 1991-08-07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for producing a heat-gelable beta-1,3-glucan
EP0469232A1 (en) 1990-08-03 1992-02-05 Kabushiki Kaisha Japan Happy Materials for hair cosmetics and hair cosmetics
US5158772A (en) * 1991-09-23 1992-10-27 Davis Walter B Unique bacterial polysaccharide polymer gel in cosmetics, pharmaceuticals and foods
GB9403153D0 (en) * 1994-02-18 1994-04-06 Ciba Geigy Ag Cosmetic compositions
JP3765858B2 (ja) 1994-12-22 2006-04-12 サンスター株式会社 頭髪処理剤組成物
JP3765857B2 (ja) 1994-12-22 2006-04-12 サンスター株式会社 酸性毛髪用組成物
JPH0930936A (ja) 1995-07-19 1997-02-04 Kao Corp 毛髪化粧料
JPH09278634A (ja) 1996-04-12 1997-10-28 Sunstar Inc 毛髪処理剤組成物
JPH11152207A (ja) * 1997-11-20 1999-06-08 Shiseido Co Ltd 化粧料
DE69838405T2 (de) * 1997-05-02 2008-06-12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Mikrostrukturierte, kosmetisch verträgliche Zusamensetzungen
WO2000023038A1 (en) * 1998-10-21 2000-04-27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polysaccharide/protein complexes
DE19911058B4 (de) * 1999-03-12 2004-09-30 Biotec Asa Verwendung von nanoskaligen wasserlöslichen β-(1,3)-Glucan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176A (ko) * 2002-08-29 2004-03-09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커들란을 이용한 기능성 미용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60733A2 (en) 2000-12-20
TWI222874B (en) 2004-11-01
EP1060733B1 (en) 2008-02-13
DE60037986D1 (ko) 2008-03-27
DE60037986T2 (de) 2008-09-18
US6649154B1 (en) 2003-11-18
ES2302672T3 (es) 2008-08-01
KR100418551B1 (ko) 2004-02-11
EP1060733A3 (en) 200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4667B2 (ja) カチオン変性アラビアガム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4711069B2 (ja) カチオン変性アルギン酸誘導体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4975996B2 (ja) カチオン変性ペクチン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4783064B2 (ja) カチオン変性寒天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4783060B2 (ja) カチオン変性トラガントガム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4236064B2 (ja) 低結晶性のセルロース微粒子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5064664B2 (ja) カチオン変性カラヤガム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H0478607B2 (ko)
CN102197058A (zh) 个人护理应用中的硅酮-有机复合乳液
US20110097278A1 (en) Hair styl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JP2007009092A (ja) カチオン変性ジェランガム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2007063446A (ja) カチオン変性キサンタンガム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CN101278891B (zh) 含有至少一种特定非离子表面活性剂和至少一种乙烯酰胺/乙烯胺共聚物的化妆品组合物
JP2006097010A (ja) カチオン変性大豆多糖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2001122737A (ja)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KR100418551B1 (ko) 정발용 화장료 및 그를 이용한 정발방법
JP3016773B2 (ja) 固体化粧品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JP2000007532A (ja) 分枝スルホン酸ポリエステルとコンディショニング剤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2002255756A (ja) 毛髪セット剤組成物
JP4234884B2 (ja) 整髪用化粧料及びそれを用いた整髪方法
JPH06157237A (ja) 保湿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皮膚外用剤
JP2002187823A (ja) 整髪用化粧料及びそれを用いた整髪方法
JP2002187824A (ja) 整髪用化粧料及びそれを用いた整髪方法
JP4040957B2 (ja) シリカ配合化粧料
JP2003286124A (ja) 外用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