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3980A - 쑥 소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쑥 소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3980A
KR20010003980A KR1019990024552A KR19990024552A KR20010003980A KR 20010003980 A KR20010003980 A KR 20010003980A KR 1019990024552 A KR1019990024552 A KR 1019990024552A KR 19990024552 A KR19990024552 A KR 19990024552A KR 20010003980 A KR20010003980 A KR 20010003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salt
food
extrac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갑
Original Assignee
이종옥
이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옥, 이종갑 filed Critical 이종옥
Priority to KR1019990024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3980A/ko
Publication of KR2001000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9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보존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정선한 쑥을 건조 분쇄하여 얻은 200메쉬의 쑥 분말 40g을 물 1ℓ에 넣고 95~97℃에서 3~4시간 끓여서 얻은 쑥 추출액 500ml을 소성 정제한 천일염 10kg과 혼합한 후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천일염에 쑥 추출액을 도포시키는 식품 보존용 쑥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쑥 추출액을 도포시킨 소금은 식품의 염도를 높여주지 않으면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장기 보관에 따르는 이취도 제거하여 줄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쑥 소금의 제조방법{A preparing method for artemisia salt}
본 발명은 쑥(학명:Artemisiae Capillaris Herba)이 가지고 있는 유효성분을 소금에 적정량 함유시켜서 된 식품보존용 쑥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조미료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신진대사(新陳代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생물에 의한 식품의 변질방지를 위해서도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 중의 하나이다.
사람들은 반드시 소금을 섭취하여야 하는데 보통 성인은 하루에 10~15g의 소금을 섭취하고 있다. 소금에 함유되어 있는 나트륨(Na)이 인체에는 60~75g 함유되어 있으며 염화물(NaCl), 인산염(NaHPO4), 탄산염(Na2CO3, NaHCO3)의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소금은 인체내에서 산·알칼리 평형유지와 삼투압을 조절해주며 근육의 수축, 신경의 흥분억제 및 자극전달 등 신경 체계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담즙(膽汁)등 알칼리성 소화액의 성분이 되며 섭취된 나트륨은 신장에서 배설을 조절해 주기 때문에 나트륨 섭취량에 관계없이 혈액중의 나트륨 양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소금을 지나치게 섭취하면 신장에 부담이되고 부족하면 피부에 윤택이 없어지고 권태,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소금은 식품 보존제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품의 저장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절임법(Pickling)은 산(酸)과 소금을 사용하여 식품을 저장하는 방법인데, 소금은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부패를 방지한다. 채소를 그대로 방치하면 채소 자체의 효소나 미생물에 의하여 상하지만 4~5%의 소금이 있으면 이러한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천일염은 해수를 증발 농축시켜 제조하는데 해수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성분은 소금이지만 소금 이외에도 칼슘(Ca+2), 마그네슘(Mg+2), 황산(SO4 -2), 카리움(K+1), 이온(SO4 -2) 등이 함유되어 있다.
천일염을 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불순물을 정제 제거한다.
정제방법으로는 재결정 방법, 화학적 처리방법, 소성방법 등이 있다.
재결정 방법은 소금을 물에 녹여 수불용성분을 분리 제거하는 방법이며, 화학적 방법은 소금 수용액에 CaCl2를 첨가 황산이온(SO4 -2)을 제거하고 [SO4 -2+CaCl2→CaSO4(침전)+Cl-] Mg 이온은 NaOH를 첨가하여 제거(Mg+1+NaOH→Mg(OH)2+Na+)하고 Ca 이온은 Na2SO4를 첨가 제거하는 방법(Ca+Na2SO4→CaSO4+Na+)과 같은 것이다.
소성방법은 천일염을 약 800℃의 고온에서 소성시켜 황산이온, 탄산이온 등의 휘발분을 제거시켜 주는 방법이다.
쑥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봄철부터 자생하는 식용가능한 다년생 본초(本草)로서 약간의 쓴맛(苦味)을 가지나 이취(異臭)가 없고 담백한 맛이 있어서 전통적으로 식품재료로 이용되어 왔다.
사철쑥(Artemisiae Capillaris Thumberg)의 지상부를 인진(茵陳)쑥이라고 하는데 봄에 6~10cm정도 자라났을 때 캔 것을 면인진(綿茵陳)이라하고 가을에 꽃봉오리가 길게 자라났을 때 채취하여 줄기를 제거하고 양건한 것을 인진호(茵陳蒿)라 한다.
인진쑥에는 케필렌(Capillene), 케필린(Capilline), 케필론(Cappillone), 엽산(Fol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디메틸아스큐레틴(Dimethyl aesculetin), 폴리페놀(Polyphenol)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한방(韓方)에 따르면 쑥은 해열(解熱), 이담(利膽:담즙분비를 촉진시키는 작용), 항균(抗菌), 항바이러스, 항진균(抗眞菌), 지질강화(脂質降下 : 혈청의 코레스테롤과 β-리포프로테인(β-lipoprotein)을 강하시켜 혈관벽으로의 지질침착(沈着)을 방지하는 기능), 회충구제(蛔忠驅除)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쑥중에 함유되어 있는 디메틸아스큐레틴과 카페산은 이담 작용을 하며 케필린과 폴리페놀은 항균, 항바이러스, 항진균의 효능이 있고, 쑥은 상기한 효능 이외에도 산화방지와 탈취(脫臭)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소금은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식품 보존제로서는 유용하나 소금만을 사용하여 식품을 장기 보관하게 되면 식품의 염도가 높아져서 식품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미감(味感)을 상실하게 되며 또한 식품을 장기 보관하거나 생선류나 육류를 굽거나 튀길 때 나는 이취(異臭)를 줄여주지는 못하였다.
또한 쑥만으로는 세균 번식을 억제시키는 기능이 약하여 쑥만 가지고는 식품을 장기 보존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소금이 가지고 있는 식품보존재로서의 기능에 쑥이 가지고 있는 약리작용을 가미시켜 주므로서 생선류나 채소류의 신선도 유지와 저장성을 개선시켜 줄 수 있는 식품보존용 쑥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는 식품의 염도를 높여주지 않으면서도 장기간 보관가능하고 장기 보관에 따르는 이취도 제거할 수 있는 식품보존제를 찾아 보던 중 소금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쑥이 가지고 있는 효능을 결합시켜 주면 원하는 식품 보존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여 이들을 결합시킨 식품보존제 개발에 착수하였으나, 소금은 무기물질이고 쑥은 생물체이므로 이들을 분말상으로 혼합시켜도 비중이 서로 달라서 균질화 시켜줄 수가 없고 사용과정에서 서로 분리되는 성질이 있어 소금과 쑥이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사용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자는 식염에 일정한 비율의 쑥성분이 함유되도록 하므로서 사용할 때 편리성과 효능을 유지하는 방안을 여러 가지로 시험하던 중 쑥이 가지고 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소금에 도포되도록 하므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종래의 소성정제 방법에 따라 천일염을 약 800℃로 가열하여 불순물과 유해성분이 제거되도록 정제한다.
쑥을 채취하여 물에 세척하고 탈수하여 불순물을 제거 정선한다. 약 3일~4일간 건조하여 건조된 쑥을 분쇄하여 약 200메쉬의 분말로 만들고, 건조된 쑥가루를 40g 취하고, 이것을 물 1ℓ의 비율로 진탕시킨다.
이를 95℃~97℃로 약 3~4시간을 끓여 쑥중의 유효성분을 추출시킨 후 냉각시킨다.
이 용액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추출액만 분리후 50마이크로의 휠타로 여과하여 쑥의 500ml을 얻는다.
상기의 쑥추출액 500ml을 소금 10kg과 혼합하고 다시 150~200℃로 소금을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수분이 완전히 증발되도록 하여 쑥추출액을 소금에 도포시킨 후 냉각후 개근 포장한다. 이 결과 8%의 쑥추출액이 소금양에 대하여 5% 도포된 쑥 소금을 얻을 수 있었다.
생선류의 보관을 위해 냉장고에 넣을 때 본 발명의 쑥소금을 뿌려서 보관하면 이취가 거의 나지 않으며 신성도가 유지되고, 장기 보관시 염도의 증가도 매우 낮게 된다.
생선류 및 육류를 굽거나 튀길 때 쑥소금을 1%~2% 뿌려 요리하면 탈취작용과 산화방지 작용으로 비린내음과 기름의 느끼한 맛이 줄어든다.
나물류에 쑥소금을 약 2% 첨가하여 나물을 무치면 산화방지 작용으로 나물 본연의 색상이 그대로 있으며 싱싱함이 지속되어 오랫동안 상미할 수 있다. (상미 기간이 무첨가는 2일, 쑥소금 2%첨가는 6일 이상임)
각종 요리에 쑥소금을 첨가하여 요리하면 식품가공 과정에서 손실된 영양소를 쑥이 지니고 있는 영양소가 보완하여 맛은 맛깔지고, 신선함을 오랫동안 상미할 수 있다.

Claims (1)

  1. 식품 보존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정선한 쑥을 건조 분쇄하여 얻은 200메쉬의 쑥 분말 40g을 물 1ℓ에 넣고 95~97℃에서 3~4시간 끓여서 얻은 쑥 추출액 500ml을 소성 정제한 천일염 10kg과 혼합한 후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천일염에 쑥 추출액을 도포시키는 식품 보존용 쑥 소금의 제조방법.
KR1019990024552A 1999-06-26 1999-06-26 쑥 소금의 제조방법 KR20010003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552A KR20010003980A (ko) 1999-06-26 1999-06-26 쑥 소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552A KR20010003980A (ko) 1999-06-26 1999-06-26 쑥 소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980A true KR20010003980A (ko) 2001-01-15

Family

ID=1959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552A KR20010003980A (ko) 1999-06-26 1999-06-26 쑥 소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398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054A (ko) * 2000-05-20 2001-11-29 조준호 식품용 소금의 멸치(까나리)액상 엑기스 혼합 코팅 방법
KR100481641B1 (ko) * 2002-04-08 2005-04-08 홍경애 기능성 천일염의 제조방법
KR101405492B1 (ko) * 2014-01-03 2014-06-11 김선영 삼채분말이 코팅된 소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668490A (zh) * 2017-10-13 2018-02-09 舟山出入境检验检疫局综合技术服务中心 一种低组胺鲭科鱼片的制备方法
CN107692095A (zh) * 2017-10-13 2018-02-16 舟山出入境检验检疫局综合技术服务中心 一种低组胺秋刀鱼罐头的制备方法
CN115267025A (zh) * 2022-08-10 2022-11-01 温州大学 测定载四甲基七叶葶菌蜕的载药量和载药情况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6277A (ko) * 1990-03-03 1991-11-05 이권익 생약제를 활용한 볶은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KR950002623A (ko) * 1993-07-23 1995-02-16 변상진 죽염(竹鹽)
KR950002621A (ko) * 1993-07-15 1995-02-16 윤일영 쑥 소금 제조 방법
JPH10295319A (ja) * 1997-02-25 1998-11-10 Tokyo Kogyo Kk 植物粉末・ビタミンc入り食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6277A (ko) * 1990-03-03 1991-11-05 이권익 생약제를 활용한 볶은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KR950002621A (ko) * 1993-07-15 1995-02-16 윤일영 쑥 소금 제조 방법
KR950002623A (ko) * 1993-07-23 1995-02-16 변상진 죽염(竹鹽)
JPH10295319A (ja) * 1997-02-25 1998-11-10 Tokyo Kogyo Kk 植物粉末・ビタミンc入り食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054A (ko) * 2000-05-20 2001-11-29 조준호 식품용 소금의 멸치(까나리)액상 엑기스 혼합 코팅 방법
KR100481641B1 (ko) * 2002-04-08 2005-04-08 홍경애 기능성 천일염의 제조방법
KR101405492B1 (ko) * 2014-01-03 2014-06-11 김선영 삼채분말이 코팅된 소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668490A (zh) * 2017-10-13 2018-02-09 舟山出入境检验检疫局综合技术服务中心 一种低组胺鲭科鱼片的制备方法
CN107692095A (zh) * 2017-10-13 2018-02-16 舟山出入境检验检疫局综合技术服务中心 一种低组胺秋刀鱼罐头的制备方法
CN115267025A (zh) * 2022-08-10 2022-11-01 温州大学 测定载四甲基七叶葶菌蜕的载药量和载药情况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533B1 (ko) 흑마늘 숙성 소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2941B1 (ko) 기능성 흑생강 소금의 제조방법
KR20010003980A (ko) 쑥 소금의 제조방법
KR101047569B1 (ko) 자염을 이용한 자반 생선의 제조방법
KR101955770B1 (ko)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KR101701595B1 (ko) 해수지장수를 이용한 생선 염장방법.
CN104783294B (zh) 一种南五味子提取物和野菊花提取物复配的食品防腐剂的制备方法
KR101462366B1 (ko) 저염 멸치의 제조방법
KR102293285B1 (ko) 연어 그라브락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어 그라브락스
KR20120005258A (ko) 함초 추출액을 이용한 반건조 오징어 및 그 제조방법
KR101877357B1 (ko) 황칠추출액과 양파추출액이 혼합된 혼합액 및 황칠과 양파가 함침된 구운 소금을 이용한 절임생선 제조방법
KR101693156B1 (ko)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잘 굳지 않는 막창 제조방법
KR101702632B1 (ko) 홍삼 사포닌이 함유된 건해삼의 제조방법
KR20090129765A (ko) 미네랄 강화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0541286B1 (ko) 기능성 그린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1086A (ko) 기능성 간고등어 제조방법 및 동방법에 의해 생산된간고등어
KR20210142545A (ko)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
KR101040198B1 (ko) 엽록소 추출방법
KR101042810B1 (ko) 심층수가 함유된 건조오징어 제조방법
KR20210048971A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KR100460132B1 (ko) 맥반석 녹차 농축염수를 사용한 수산물 염장방법
KR100739236B1 (ko) 대잎 굴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823392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북어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2475348B1 (ko) 저온숙성을 통한 연어 그라브락스 저장성 향상 방법
KR102662891B1 (ko)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