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3885A - 차량 정비대 - Google Patents

차량 정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3885A
KR20010003885A KR1019990024372A KR19990024372A KR20010003885A KR 20010003885 A KR20010003885 A KR 20010003885A KR 1019990024372 A KR1019990024372 A KR 1019990024372A KR 19990024372 A KR19990024372 A KR 19990024372A KR 20010003885 A KR20010003885 A KR 20010003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intenance
support
carriers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6410B1 (ko
Inventor
조기현
백이
Original Assignee
조기현
백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현, 백이 filed Critical 조기현
Priority to KR101999002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41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60B29/001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comprising lifting or alig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1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 B60S9/2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with fluid-pressure 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with wheels for moving around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tiltab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으로부터 분리되는 정비대상물을 받쳐주기 위한 차량 정비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 정비대는 다수의 바퀴(14)에 의해 이동이 자유로운 프레임(12)의 선단에 힌지(16)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손잡이(18)가 장착되는 대차(10)와, 프레임(12)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나란하게 장착되는 레일(20)을 갖추고 있다. 또한, 레일(20)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롤러(34)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제1,2 캐리어(30, 32)가 설치되며, 제1,2 캐리어(30, 32)의 상면 중앙에 유압잭(40)이 설치되고, 유압잭(40)은 그 로드(42)의 선단에 정비대상물(M)을 받쳐줄 수 있는 서포트(44)가 고정된다. 그리고, 서포트(44)의 하면 양쪽에 가이드 핀(48)이 각각 장착되고, 가이드 핀(48)은 제1,2 캐리어(30, 32)의 상면 양쪽에 장착되는 포스트(50)의 가이드 구멍(52)에 끼워져 안내된다. 제1,2 캐리어(30, 32) 사이에는 제1,2 캐리어(30, 32)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턴버클(60)이 설치되며, 이 턴버클(60)의 왼사나(64)와 오른나사(66)에 형성되는 고리(68)를 걸림유지시킬 수 있도록 제1,2 캐리어(30, 32)의 상면에 핀(38)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이 자유로운 대차의 레일을 따라 제1,2 캐리어가 이동되어 정비대상물을 안정적으로 받쳐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대상물의 운반 작업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정비대{MAINTENANCE STAN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으로부터 분리되는 정비대상물을 받쳐주기 위한 차량 정비대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정비, 예를 들어 농업용 트랙터의 엔진, 변속기 및 차축 등을 분리할 때에는 이들 정비대상물을 안전하게 받쳐주기 위하여 팰릿(Pallet)을 사용하고 있으며,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정비대상물은 정비용 기기 및 부품이 마련되어 있는 정비 장소로 운반하여 필요한 정비를 행하고 있다.
그런데, 고중량의 정비대상물이 탑재되어 있는 팰릿을 인력에 의해 정비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팰릿은 바닥에 나란하게 배열한 다수의 롤러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견인하여 팰릿과 롤러의 구름마찰에 의해 이동시키고 있으나, 롤러는 지면이 평탄하지 못한 경우 잘 구르지 못하여 팰릿의 이동에 지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수의 롤러를 지면에 적절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수고와 작업 시간이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차량의 하부로부터 정비대상물을 용이하게 운반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레일 위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정비대가 사용되고 있다. 정비대는 차량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레일 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와, 유압 잭에 의해 승하강되는 받침판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정비대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팰릿에 비하여 차량의 하부로부터 정비대상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정비대상물을 정비대에 의해 차량으로부터 정비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레일이 반드시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레일이 고정식으로 설치될 경우에는 그 설비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지정된 장소에서만 정비대상물의 분리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제한을 받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동식 레일을 사용할 경우에는 복수개의 레일을 연속해서 배치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비대는 받침판에 의해 정비대상물의 한 부분만을 받쳐주는 것이므로, 정비대상물이 길거나 큰 경우, 예를 들어 대형 농업용 트랙터의 엔진 및 차축을 운반시키기에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즉, 정비대의 받침판에 차축의 일부분을 받쳐 운반할 때에는 차축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지면에 끌리거나 엔진이 경우 흔들려 떨어지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따라서, 정비대의 받침판에 정비대상물을 받쳐 운반시킬 때에는 정비대를 견인하는 사람이외에도 정비대상물을 잡아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여 작업자의 수가 불필요하게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 작업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정비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정비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수의 바퀴에 의해 이동이 자유로운 프레임의 선단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손잡이가 장착되는 대차와; 프레임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나란하게 장착되는 레일과; 레일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롤러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2 캐리어와; 제1,2 캐리어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고, 로드의 선단에 정비대상물을 받쳐줄 수 있는 서포트가 고정되는 유압잭을 포함하는 차량 정비대에 있다.
또한, 서포트의 하면 양쪽에 가이드 핀이 각각 장착되고, 가이드 핀은 제1,2 캐리어의 상면 양쪽에 장착되는 포스트의 가이드 구멍에 끼워져 안내되는 것에 있다. 그리고, 제1,2 캐리어 사이에는 제1,2 캐리어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턴버클이 설치되고, 이 턴버클의 왼사나와 오른나사에 형성되는 고리를 걸림유지시킬 수 있도록 제1,2 캐리어의 상면에 핀이 장착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대에서 캐리지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대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대차 12: 프레임
14: 바퀴 18: 손잡이
20: 레일 30, 32: 제1,2 캐리어
34: 롤러 40: 유압잭
44: 서포트 48: 가이드 핀
50: 포스트 58: 서포트 윙
60: 턴버클 M: 정비대상물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대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차량 정비대는 대차(10)를 갖추고 있다. 대차(10)는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프레임(12)의 하면에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바퀴(14)가 장착된다. 바퀴(14)는 프레임(12)의 하면 선단에 장착되는 한쌍의 조향륜(14a)과, 중앙과 후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중간륜(14b)과 후륜(14c)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조향륜(14a)은 회전형 캐스터를 사용하고, 중간륜(14b)과 후륜(14b)은 고정형 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2)의 선단에 대차(10)를 견인할 수 있도록 힌지(16)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손잡이(18)가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2)의 상면에는 한쌍의 레일(20)이 길이 방향을 나란하게 장착된다. 이 대차(10)의 레일(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2 캐리어(30, 32)가 설치되는 것으로, 제1,2 캐리어(30, 32)의 하면 양쪽에는 대차(10)의 레일(20)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롤러(34)가 축(36)에 의해 장착된다. 여기에서, 롤러(34)는 볼 또는 롤러 베어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2 캐리어(30, 32)의 상면 중앙에 유압잭(40)이 각각 설치되고, 유압잭(40)은 그 로드(42)의 선단에 정비대상물(M)을 받쳐줄 수 있는 서포트(44)가 고정되며, 서포트(44)는 하면에 홈(46)을 갖는 ??자형으로 형성된다. 서포트(44)의 하면 양쪽에는 가이드 핀(48)이 각각 장착되고, 가이드 핀(48)은 제1,2 캐리어(30, 32)의 상면 양쪽에 장착되는 포스트(50)의 가이드 구멍(52)에 끼워져 안내된다. 그리고, 포스트(50)의 가이드 구멍(52)에는 가이드 핀(48)의 안내를 보조하는 부시(54)가 개재되며, 포스트(50)의 상단 양쪽에 정비대상물(M)의 기울어짐을 받쳐줄 수 있도록 힌지(56)를 중심으로 접철이 가능한 서포트 윙(58)이 각각 장착된다.
한편, 제1,2 캐리어(30, 32) 사이에는 제1,2 캐리어(30, 32)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턴버클(60)이 설치되고, 턴버클(60)은 버클(62)의 양쪽에 왼나사(64)와 오른나사(66)가 각각 체결되어 구성된다. 턴버클(60)은 왼나사(64)와 오른나사(66)의 선단에 형성되는 고리(68)가 제1,2 캐리어(30, 32)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는 핀(38)에 걸림유지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대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 농업용 트랙터의 엔진, 변속기 등과 같은 정비대상물(M)을 분리하여 정비하고자 할 때에는, 정비대상물(M)의 하방에 대차(10)를 위치시키고, 정비대상물(M)의 길이나 폭에 적합하도록 대차(10)의 레일(20)을 따라 제1,2 캐리어(30, 32)를 이동시켜 제1,2 캐리어(30, 32)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 준다. 이때, 턴버클(60)의 고리(68)를 제1,2 캐리어(30, 32)의 핀(38)에 각각 걸림유지시키게 되면, 턴버클(60)에 의해 제1,2 캐리어(30, 32) 사이의 거리가 소형 농업용 트랙터의 정비에 적합하도록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턴버클(60)의 버클(62)을 회전시키게 되면, 버클(6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왼나사(64)와 오른나사(66)가 풀리거나 조여지면서 턴버클(60)의 길이가 가변되어 제1,2 캐리어(30, 32)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이러한 제1,2 캐리어(30, 32) 사이의 거리 조절로 인하여 정비대상물(M)을 서포트(44)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제1,2 캐리어(30, 32) 사이의 거리 조절이 완료된 후, 유압잭(40)의 로드(42)를 전진시켜 정비대상물(M)이 받쳐지도록 서포트(44)를 승강시킨다. 정비대상물(M)이 서포터(44)에 받쳐진 상태에서 정비대상물(M)을 차량으로부터 분리한 후에는, 유압잭(40)의 로드(42)를 후퇴시켜 서포트(44)를 하강시킨다. 이때, 서포트(44)는 포스트(50)의 가이드 구멍(52)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핀(48)에 의해 안정적으로 하강하게 되며, 서포트(44)의 홈(46)이 포스트(50)의 상단에 끼워지면서 서포트(44)가 포스트(50)에 지지되므로, 정비대상물(M)을 차량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포스트(50)의 상단 양쪽으로 펼쳐진 서포트 윙(58)은 차량으로부터 분리되어 하강되는 정비대상물(M)의 기울어짐을 보조적으로 받쳐주게 된다. 서포트 윙(58)은 대차(10)의 이동에 의해 정비대상물(M)을 운반시킬 때에도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정비대상물(M)을 보조적으로 받쳐주게 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의 서포트 윙(58)은 힌지(56)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접어둔다.
이와 같이 정비대상물(M)을 차량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 후 필요한 정비를 행한다. 한편,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정비대상물(M)을 정비용 기기 및 부품이 마련되어 있는 정비 장소로 운반하여 필요한 정비를 행하고자 할 때에는, 대차(10)의 손잡이(18)를 견인하여 차량의 하부로부터 정비 장소로 대차(10)를 이동시키게 되면, 대차(10)는 바퀴(14)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정비대상물(M)의 분리 및 운반 작업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 농업용 트랙터의 엔진, 변속기 등이나 길이가 긴 차축과 같은 정비대상물(M)을 분리하여 정비하고자 할 때에는, 제1,2 캐리어(30, 32)의 핀(38)에 걸림유지되어 있는 턴버클(60)의 고리(68)중 하나를 분리시킨 후, 정비대상물(M)의 길이나 폭에 적합하도록 대차(10)의 레일(20)을 따라 제1,2 캐리어(30, 32)를 이동시켜 제1,2 캐리어(30, 32)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유압잭(40)의 로드(42)를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전진시켜 서포트(44)에 의해 정비대상물(M)을 받쳐준 상태에서, 정비대상물(M)의 분리 작업을 행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대에 의하면, 이동이 자유로운 대차의 레일을 따라 제1,2 캐리어가 이동되어 정비대상물을 안정적으로 받쳐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대상물의 운반 작업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4)

  1. 다수의 바퀴(14)에 의해 이동이 자유로운 프레임(12)의 선단에 힌지(16)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손잡이(18)가 장착되는 대차(10)와;
    상기 프레임(12)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나란하게 장착되는 레일(20)과;
    상기 레일(20)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롤러(34)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2 캐리어(30, 32)와;
    상기 제1,2 캐리어(30, 32)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고, 로드(42)의 선단에 정비대상물(M)을 받쳐줄 수 있는 서포트(44)가 고정되는 유압잭(40)을 포함하는 차량 정비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44)의 하면 양쪽에 가이드 핀(48)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핀(48)은 상기 제1,2 캐리어(30, 32)의 상면 양쪽에 장착되는 포스트(50)의 가이드 구멍(52)에 끼워져 안내되는 차량 정비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50)의 상단 양쪽에 정비대상물(M)의 기울어짐을 받쳐줄 수 있도록 힌지(56)를 중심으로 접철이 가능한 서포트 윙(58)이 장착되는 차량 정비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캐리어(30, 32) 사이에는 상기 제1,2 캐리어(30, 32)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턴버클(60)이 설치되고, 이 턴버클(60)의 왼사나(64)와 오른나사(66)에 형성되는 고리(68)를 걸림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2 캐리어(30, 32)의 상면에 핀(38)이 장착되는 차량 정비대.
KR1019990024372A 1999-06-25 1999-06-25 차량 정비대 KR100296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372A KR100296410B1 (ko) 1999-06-25 1999-06-25 차량 정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372A KR100296410B1 (ko) 1999-06-25 1999-06-25 차량 정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885A true KR20010003885A (ko) 2001-01-15
KR100296410B1 KR100296410B1 (ko) 2001-07-12

Family

ID=1959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372A KR100296410B1 (ko) 1999-06-25 1999-06-25 차량 정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4442A (zh) * 2018-07-10 2018-09-18 东莞阿李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运输小车的维修站
KR20200072732A (ko) * 2018-12-13 2020-06-23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중량물 로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91B1 (ko) 2012-09-21 2013-10-29 부산교통공사 전동차량의 하부장치 교환용 리프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4442A (zh) * 2018-07-10 2018-09-18 东莞阿李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运输小车的维修站
KR20200072732A (ko) * 2018-12-13 2020-06-23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중량물 로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6410B1 (ko)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5578A (en) Transportable hoist for lifting large vehicle wheels
US6000903A (en) Shipping frame for fan section of aircraft engine
DE3033308A1 (de) Entlade- und verladebruecke mit schwenksicherung
US4260318A (en) Installation apparatus for escalators
CN111114201B (zh) 折叠式自行走工具车
DE112016001320B4 (de) Auslegeranbringungs-/Trennungsvorrichtung eines Kranes und Auslegeranbringungs-/Trennungsverfahren für einen Kran
US2763330A (en) Laterally adjustable treads for crawler cranes
KR100296410B1 (ko) 차량 정비대
DE1962680A1 (de) Ein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Lasten
DE4332675A1 (de)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plattenförmigen Gegenständen wie Grabsteine oder dergleichen
US2521695A (en) Aircraft landing gear strut dolly
JP3238799B2 (ja) 転轍器交換作業システム
LU82889A1 (de) Vorrichtung zum wahlweisen absetzen von transportablen behaeltern,maschinen oder geraeten auf der ladepritsche eines lastfahrzeuges oder auf dem boden
EP0092152A2 (de) Kran- und Transportvorrichtung, insbesondere zum Transport von Grabsteinen und Grabsteinplatten
DE19721121A1 (de) Fahrzeug und Vorrichtung für Containertransport
DE3615295A1 (de) Gelenksteiger
JP2922500B1 (ja) シールド機構成物搬送台車
DE2831717C2 (ko)
CN216512728U (zh) 履带式高空作业运输车
DE3145272C2 (de) Als Ausbau- und Bohrhilfe dienende Vorrichtung für den Streckenvortrieb im Berg- und Tunnelbau.
DE2951535C2 (de) Schnellmontage-Kran
CN219340963U (zh) 刮板链堆链装置
DE1531179A1 (de) Zusammenklappbarer Kran und Verfahren zum Aufrichten desselben
DE102021102919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 Demontage eines Mobilkranauslegers
CN87205453U (zh) 滚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