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274A -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274A
KR20010002274A KR1019990022008A KR19990022008A KR20010002274A KR 20010002274 A KR20010002274 A KR 20010002274A KR 1019990022008 A KR1019990022008 A KR 1019990022008A KR 19990022008 A KR19990022008 A KR 19990022008A KR 20010002274 A KR20010002274 A KR 20010002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variable
peripheral
bicycle
venti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옥
Original Assignee
고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진옥 filed Critical 고진옥
Priority to KR101999002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2274A/ko
Priority to US09/555,958 priority patent/US6371554B1/en
Priority to EP99941849A priority patent/EP1109714A1/en
Priority to CN99810579A priority patent/CN1088668C/zh
Priority to JP2000568730A priority patent/JP2002524340A/ja
Priority to PCT/KR1999/000518 priority patent/WO2000013959A1/en
Priority to AU55332/99A priority patent/AU5533299A/en
Publication of KR2001000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2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2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a central cavity or de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5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multiple separate weight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7Saddles with specific anatomical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0Internal adjustment of sa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자전거 안장이 회음부 근처의 인체 민감 부위를 압박함으로서 발생되든 부작용을 없애고, 안장에서 통풍까지 가능하게 하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은 안장을 최소한 2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신체의 민감한 부분과 접촉되는 안장의 중앙부분은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주변부분 보다 압축되도록 하여, 신체의 하중이 안장의 주변부분에 의하여 대부분 지탱될 수 있게 하고 신체의 중앙부위에 가하여지는 하중과 압박감은 감소시킬 수 있게 하고, 안장의 상부와 하부로 구분 중간에 통풍로를 형성한 것이다.
본 안장은 자전거 프레임의 안장 결합부에 결합되고 중앙부위에 긴 중앙홈을 가진 주변안장부와, 주변안장부의 중앙홈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변안장부와, 가변안장부를 주변안장부에 대하여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높이조절수단과, 중앙홈의 바닥면과 가변안장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하여 통풍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A bicycle saddle}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전거 타는 사람의 회음부를 압박하는 힘을 없앨 수 있고 안장에 통풍이 잘되도록 한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전거 안장 또는 이와 유사한 안장의 구조는 두 다리를 움직여서 자전거 페달을 움직이기에 편리하도록 앞부분을 좁게 하고, 뒷부분은 엉덩이 부분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넓게 형성되어 있다.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 프레임에 스프링 등으로 결합되어 승차치 쿠션을 주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하에서는 탑승자라고 한다)의 몸무게를 지탱하여야 것으로서, 종래의 자전거 안장은 보통의 의자 보다 면적이 적고, 양쪽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상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안장의 앞쪽은 좁고 뒤쪽은 인체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넓게 되어 있다. 즉 좌골 및 대퇴부 뼈 부분을 받히는 부분과 양쪽 다리사이의 회음부를 받히는 부분이 인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반대 형상으로 만들어져서 하중을 골고루 분포시켜 주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래서 양쪽 다리 사이의 회음부, 즉 항문과 생식기 등의 인체의 민감한 기관들이 있는 부분까지 하중을 지탱하는 힘이 많이 부하 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래서 종래의 자전거 안장이 설치된 자전거를 남성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요도부분이 생식기 부분에 심한 압박을 주게 되어서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야기되기도 하고, 또 여성 사용자들이 오래도록 사용하면 생식기 부분에 계속되는 압박과 마찰로 인하여 불감증 등의 부작용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종래의 자전거 안장은 오래 앉아 있게 되면 통풍이 되지 아니하여 땀이 나서 사용하기에 불편한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자전거 안장이 가진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전거 탑승자의 하중이 주로 좌골 및 대퇴부 뼈 부분을 통하여 지탱이 되도록 하고 생식기 부위를 받혀주는 힘을 현저히 약하게 하여 탑승자에게 미치는 좋지 못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안락한 탑승을 가능케 하는 안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전거 프레임에 형성된 안장 결합부에 결합되고 중앙부위에 긴 중앙홈을 가진 주변안장부와, 주변안장부의 중앙홈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변안장부와, 가변안장부를 주변안장부에 대하여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변안장부는 각각 높이조절수단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개별가변안장부로 이루어지고, 이 높이조절수단은 스프링 및 개별가변안장부와 주변안장부를 결합시키는 나사로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가변안장부의 하중 지탱력을 현저히 작게 한 것이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안장은 통풍구들이 형성되어서 안장과 인체 사이에 통풍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주변안장부를 경사지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Ⅲ-Ⅲ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Ⅳ-Ⅳ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Ⅴ-Ⅴ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Ⅵ-Ⅵ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7은 도1의 Ⅶ-Ⅶ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8은 높이조절수단의 단면도이고, 도9는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10은 도8의 높이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11은 도9의 높이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12는 도8의 높이조절수단의 암나사부와 결합된 가변안장부의 사시도이고, 도13은 도9의 높이조절수단의 수나사 두부가 결합된 가변안장부의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15 내지 도17은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자전거 안장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변안장부를 경사지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20은 도18의 Ⅲ-Ⅲ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21은 도18의 Ⅲ-Ⅲ 선으로 절단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22 및 도23은 도21에서 보인 실시예의 높이조절수단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에 부착된 안장 결합부(거의 모든 자전거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전거 안장 설치대로서 도시하지 아니함)에 설치되어 자전거 탑승자의 하중을 지탱하게 한 자전거 안장으로서, 주변안장부(2)와 가변안장부(3) 및 높이조절수단(5)을 포함한다.
주변안장부(2)는 통상의 자전거 안장 형태로 형성되지만 회음부가 위치하는 중앙부위에 긴 중앙홈(6)이 형성된 것이다.
가변안장부(3)는 하나 이상의 개별가변안장부로 이루어지는데, 이 개별가변안장부는 주변안장부에 형성된 중앙홈에 설치되고, 높이조절수단(5)에 의하여 각각이 독립적으로 주변안장부에 대하여 표면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주변안장부는 뾰족한 앞부분(23)과 양쪽에 날개부(21, 22)를 가지고 있고, 강도가 높은 재질로 된 골격(24)과, 이 골격(24) 위에 부착된 탄성부(25)로 형성되고, 주변안장부(2)의 중앙홈(6)에는 개별가변안장부(3-1, ..., 3-4)를 수용하도록 칸막이(61, 62, 63)들이 형성되어 있다.
주변안장부의 뒷부분인 날개부(21, 22)는 도4 및 도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양편으로 하향 구부러지는 날개 형태를 취하고 있고, 앞부분(23)은 가변안장부의 개별가변안장부(3-3)가 형성되는 부분은 도6과 같고, 가변안장부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부분은 도7에서 보인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주변 안장부의 중앙홈에 고이는 물을 빼기 위하여 형성한 배수구(8)들이 형성된다.
가변안장부(3)의 각 개별가변안장부는 각 뼈대(35, 36, 37 ,38)에 탄성재(39, 40, 41, 42)를 부착하여 성형한 것들이다.
각 개별가변안장부와 주변안장부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 높이조절수단에는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가 있지만 4종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실시예는 도 3, 4, 5, 6, 7, 8, 및 10에서 보인 바와 같다.
이 예에서 높이조절수단(5)은 개별가변안장부(3-1,3-2, 3-3, 3-4)에 형성된 암나사부(51)와 나사 회전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상기 주변안장부(2)에 결합된 수나사(52)로 이루어진다.
암나사부(51)는 가변안장부의 뼈대에 형성되고 이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52)는 주변안장부의 골격(24)에 결합된다. 이 수나사는 상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축 하단에는 드라이버 홈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주변안장부의 골격(24)하부에 홈을 만들고 여기에 나사(54)로 부착된 하부받침(53)에 의하여 하중을 지탱하도록 되어 있다. 이 수나사를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키면 암나사부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도9 및 도11은 높이조절수단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이 예에서 높이조절부는 나사머리가 삽입될 레일(91)이 가변안장부의 뼈대(37)에 일체로 형성되고, 암나사부(93)가 주변안장부의 골격(24)에 일체로 형성되며, 수나사(92)의 머리가 레일(91)에 삽입되고 수나사의 하단은 너트(94)에 의하여 높이가 고정되면 수나사 하단에 형성된 구멍(95)에 봉(96)을 끼워서 수나사를 회전시켜 가변안장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조절된 높이는 너트(94)를 조여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수나사(볼트)의 머리는 레일(91)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을 만큼 레일의 홈보다는 훨씬 작은 것이다.
도12는 제1 실시예에서의 개별가변안장부 사시도이고, 도13은 제2 실시예에서의 개별가변안장부의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5에서 보인 스프링(111) 및 볼트(112)의 중심을 지나도록 절단한 단면의 도면이다.
제3실시예의 높이조절수단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안장부에 형성된 중앙홈에 형성된 스프링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가변안장부(3-1, 3-2, 3-3, 3-4)의 뼈대들(35', 36',37', 38')에 형성된 스프링홈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들(68, 69, 70, 71)과, 주변안장부(24')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하여 가변안장부의 뼈대에 박힌 나사들(64, 65, 66, 67)로 구성된다. 이 중앙홈에는 개별가변안장부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칸막이들이 형성되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가변안장부의 개별가변안장부들(3-1, 3-2, 3-3, 3-4)은 뼈대(35', 36', 37', 38')에 탄성재(39', 40', 41', 42')를 부착하여 만든 것이다.
여기서 스프링은 개별가변안장부를 밀어 올리고 있지만, 개별가변안장의 뼈대에 결합된 나사들(64-67)이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는 올라가지 못하도록 붙잡고 있게 된다. 그리고 탑승자가 안장에 앉게 되면 개별가변안장부에는 위로부터 하중이 가하여지게 되고 스프링 힘을 대항하여 스프링을 수축시켜서 가변안장부가 내려오게 하는데, 이때는 나사들(64-67)에 주변안장부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하여 나사머리가 밑으로 내려오게 된다. 그래서 이 스프링의 힘을 약하게 하거나 강하게 하면 개별가변안장부의 탑승자별 높이가 자동적으로 적절히 조절된다.
도15 내지 도 17은 높이조절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것이고, 도16은 도15도의 ⅩⅥ - ⅩⅥ 선의 단면도이고 ,도17은 도15의 ⅩⅦ - ⅩⅦ 선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높이조절수단(5)은 개별가변안장부의 뼈대를 제1뼈대(138)와 제2뼈대(138)로 분할되고, 제1뼈대(137)에 암나사부(151)기 형성되고, 주변안장부의 골격(24)에는 수나사(볼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볼트는 상부(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말한다)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드라이버 홈이나 육각 머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플랜지가 주변안장부의 골격(24)하부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되고 나사(54)에 의하여 골격(24)에 부착된 하부받침(53)에 의하여 하중을 지탱하도록 되어 있다. 이 수나사를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키면 암나사부(112)가 형성된 제1뼈대(137)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제2뼈대(137)는 제1뼈대에 형성된 볼트 구멍을 통하여 제2뼈대와 볼트(112)로 결합되는데, 제2뼈대는 4개의 볼트(112)와 나사결합되어 일체로 된다. 그래서 제2뼈대가 움직이면 볼트(112)는 일체로 움직이고 볼트들은 제1뼈대와는 구멍을 통하여 미끄러지면서 한 방향(수직방향)으로만 이동되므로 결국 제1뼈대와 제2뼈대의 사이 간격이 좁혀 지거나 넓혀지거나 한다.
제1뼈대와 제2뼈대에는 4개의 스프링홈이 형성되고 네 개의 스프링(111)이 사이에 설치되어 제1뼈대와 제2뼈대를 서로 벌어지도록 밀어 주고 있다. 제2뼈대에는 탄성재(141)가 부착되어서 가변안장부가 된다.
그래서 탑승자가 앉으면 그 하중이 가변안장부(141)를 내려 누르게 되고 이 하중은 스프링 힘을 대항해서 제2뼈대가 제1뼈대 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때 스프링(111)은 수축되고 볼트(112)는 제1뼈대(137)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미끄러져 내려간다.
즉 탑승자의 하중에 따라 적당한 위치에 가변안장부(141)가 위치하게 된다. 가변안장부가 지탱하는 힘의 크기는 높이 조절볼트(53)를 조절하여 제1뼈대의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다음은 또 다른 실시예를 도18 내지 도23을 참조로 하면서 설명한다.
이 예는 먼저 설명한 예들의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안장의 앞 부분 하부에 통풍로((200)을 형성하고, 이 통풍로의 입구에 통풍구(201)를 형성하고, 이 통풍구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폐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풍구마개(202)를 부착한다.
통풍로(200)는 통풍구(201)를 입구로 하고 가변안장부(3)의 뼈대들(220)과 주변안장부(2)의 골격 사이에 형성되며 중앙홈의 측면에 형성된 소통기공들을 배출구로 하여 형성된다. 통풍구(201)를 통하여 진입하는 공기가 가변안장부(3)의 뼈대들(220)과 주변안장부(2)의 골격(2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흘러서, 가변안장부(3)가 설치되는 중앙홈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소통기공들(210)과 가변안장부의 측면에 형성된 소기공들(210')로 흐른다. 이러한 소통기공들은 가변안장부나 주변안장부의 벽면이나 그 일부에 관통공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주변안장부(2)의 중앙홈에 형성된 칸막이(61, 62, 63)들에도 공기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중간부분이 절단되어 통로(212)가 형성되어 있다.
통풍구마개가 열린 상태에서 자전거가 전진하게 되면 통풍구(201)를 통하여 공기가 통풍로로 인입하여 소통기공들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인체와 접촉부위에 통기가 잘 이루어져서 쉬원하게 하여 준다.
도20에서 보인 높이조절수단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에서 가변안장부(3)의 뼈대들(220)과 주변안장부(2)의 골격(240)들에 스프링 수용홈들(230)을 형성하고 스프링들(232)을 설치하여 높이조절 동작시 개별 가변안장부(3)들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도 22 및 도23은 높이조절수단에서 개별 가변안장부의 뼈대 형태를 보인 평면도 이고 도23은 높이조절수단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도21, 22, 및 23에서 보인 높이조절수단은 도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에서 가변안장부(3)의 뼈대들(220)과 주변안장부(2)의 골격(240)들에 스프링 수용홈들(231)을 형성하고 스프링들(232)을 설치하여 높이조절 동작시 개별 가변안장부(3)들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을 사용하면, 종래의 자전거 안장 때문에 발생되던 여러 가지 부정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즉 종래의 자전거 안장이 회음부를 압박하여 발생되던 부작용을 없앨 수 있고, 또 적당한 높이로 할 경우에는 마사지 기능을 가하게 할 수도 있고, 통풍구마개를 빼면 안장에서 쉬원한 바람까지 새어 나오게 되어서 자전거를 안락하게 탑승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자전거 프레임에 부착된 안장 결합부에 결합되고 중앙부위에 긴 중앙홈을 가진 주변안장부와, 상기 주변안장부의 중앙홈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변안장부와, 상기 가변안장부를 상기 주변안장부에 대하여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전거 안장에 있어서,
    상기 주변안장부의 중앙홈의 바닥면과 상기 가변안장부의 뼈대의 하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공기가 진입할 수 있도록 안장의 앞부분에 통풍구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자전거 안장.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에는 통풍구 마개를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자전거 안장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변안장부의 중앙홈의 측면에 소통기공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이 특징인 자전거 안장.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안장부의 측면에 소통기공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이 특징인 자전거 안장.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주변안장부의 골격에 스프링을 가이드하기 위한 스프링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개별가변안장부들의 뼈대에 스프링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수용홈들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으로 가변안장부의 높이를 조절할 때 가변안장부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 자전거 안장.
KR1019990022008A 1998-09-04 1999-06-14 자전거 안장 KR20010002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008A KR20010002274A (ko) 1999-06-14 1999-06-14 자전거 안장
US09/555,958 US6371554B1 (en) 1998-09-04 1999-09-03 Bicycle saddle
EP99941849A EP1109714A1 (en) 1998-09-04 1999-09-03 Bicycle saddle
CN99810579A CN1088668C (zh) 1998-09-04 1999-09-03 自行车座
JP2000568730A JP2002524340A (ja) 1998-09-04 1999-09-03 自転車サドル
PCT/KR1999/000518 WO2000013959A1 (en) 1998-09-04 1999-09-03 Bicycle saddle
AU55332/99A AU5533299A (en) 1998-09-04 1999-09-03 Bicycle sad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008A KR20010002274A (ko) 1999-06-14 1999-06-14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274A true KR20010002274A (ko) 2001-01-15

Family

ID=1959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008A KR20010002274A (ko) 1998-09-04 1999-06-14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2274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2592U (ko) * 1980-11-29 1982-06-07
JPS5856690U (ja) * 1981-10-14 1983-04-16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サドル
JPH0471389U (ko) * 1990-11-02 1992-06-24
US5330249A (en) * 1989-10-13 1994-07-19 Spenco Medical Corporation Cushion for absorbing shock, damping vibration and distributing pressure
JPH07228277A (ja) * 1994-02-21 1995-08-29 Teruo Takano 自転車及びそのサドル
KR960014345U (ko) * 1994-10-26 1996-05-17 김대중 공기주입식 자전거 안장카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2592U (ko) * 1980-11-29 1982-06-07
JPS5856690U (ja) * 1981-10-14 1983-04-16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サドル
US5330249A (en) * 1989-10-13 1994-07-19 Spenco Medical Corporation Cushion for absorbing shock, damping vibration and distributing pressure
JPH0471389U (ko) * 1990-11-02 1992-06-24
JPH07228277A (ja) * 1994-02-21 1995-08-29 Teruo Takano 自転車及びそのサドル
KR960014345U (ko) * 1994-10-26 1996-05-17 김대중 공기주입식 자전거 안장카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647B1 (en) Bicycle seat
US6783176B2 (en) Bicycle seat
US10118658B2 (en) Adjustable saddle
KR100385099B1 (ko) 자전거용 안장
US7934770B2 (en) Bicycle seat
US7628451B2 (en) Bicycle saddle
EP1937539B1 (en) Customizable saddle structure, particularly for bicycles, having a removable seat element
US7044542B2 (en) Bicycle seat
US10750872B2 (en) Adjustable saddle
US20080265635A1 (en) Bicycle Saddle
JP2002524340A (ja) 自転車サドル
JP2006271623A (ja) 椅子
KR100614305B1 (ko) 자전거 안장
JP2008540215A (ja) シェルとフォークの間にカスタマイズ可能な衝撃吸収要素を有する、特に自転車用の座席構造物
KR100861230B1 (ko) 자전거 안장
KR20010002274A (ko) 자전거 안장
KR100286107B1 (ko) 자전거 안장
KR100284899B1 (ko) 자전거 안장
KR100284898B1 (ko) 자전거 안장
JPH05112269A (ja) ペダル操作装置用のシート
US12005982B2 (en) Adjustable saddle
KR102491901B1 (ko)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KR101142454B1 (ko)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KR100300018B1 (ko) 버스용 시트 마운팅 구조
WO2022192756A1 (en) Adjustable sad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