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454B1 -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454B1
KR101142454B1 KR1020100004969A KR20100004969A KR101142454B1 KR 101142454 B1 KR101142454 B1 KR 101142454B1 KR 1020100004969 A KR1020100004969 A KR 1020100004969A KR 20100004969 A KR20100004969 A KR 20100004969A KR 101142454 B1 KR101142454 B1 KR 101142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upport
saddle
hol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280A (ko
Inventor
정석수
Original Assignee
정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수 filed Critical 정석수
Priority to KR1020100004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4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5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multiple separate weight bear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둔부를 거치시키기 위한 착좌부를 이원화된 독립 착좌부로 구성하여 탑승자의 회음부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고, 회음부 및 낭심과 안장 돌기부의 접촉으로 인한 불쾌감 및 통증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2개의 결합대(43)를 구비하는 지지부재(40)와, 상기 지지부재(40)의 결합대(43)에 고정되는 지지체(30)와, 상기 각각의 지지체(30) 상부에 결합되는 독립된 착좌부(20)와, 착좌부(20)에 착탈되는 돌기부(70)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둔부가 거치되는 착좌부를 이원화된 독립 착좌부로 구성함으로써 탑승자의 회음부 및 낭심에 원활한 통기가 확보되어 불쾌감을 해소하고 장시간의 자전거 주행에 따른 습진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돌기부를 배제하여 돌기부와 낭심 및 회음부의 접촉으로 인한 통증이나 불편함을 해소하여 원활한 페달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multipurpose saddle for a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고간(샅) 및 회음부에 가해지는 통증을 방지함과 아울러 회음부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다양한 목적을 갖는 다수종의 자전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각각의 자전거는 용도에 맞는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안장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고 있다.
종래의 자전거용 안장은 둔부를 거치시키기 위한 착좌부와 착좌부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된 것으로, 착좌부의 저부에 설치되는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안장을 자전거의 안장설치용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상기한 착좌부에 탑승자의 둔부를 밀착시키므로 탑승자의 둔부와 착좌부 사이에 공간이 없어 통기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자전거를 타게 되면 회음부에 땀이 차게 되서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조성하고 심할 경우에는 습진을 유발하였고 안장이 회음부를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될 뿐만 아니라 착좌부에 형성된 돌기부는 탑승자의 낭심에 충격을 주어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으며, 특히, 근자에 들어 판매가 급증하고 있는 레저(산악)용 자전거 등의 안장은 착좌부와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안장의 재질이 매우 단단하여 회음부와 낭심에 상당한 압박을 가해 통증을 유발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자전거용 안장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둔부를 거치시키기 위한 착좌부를 이원화된 독립 착좌부로 구성하여 탑승자의 회음부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고 회음부 및 낭심과 돌기부의 접촉으로 인한 불쾌감 및 통증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원화된 착좌부에 돌기부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돌기부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원화된 독립 착좌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둔부와 허리의 굴신(屈伸)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탑승자가 소망하는 탑승자세로 자전거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2개의 결합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에 고정되는 지지체와, 상기 각각의 지지체에 결합되는 독립된 착좌부와, 착좌부에 탈부착되는 돌기부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은 탑승자의 둔부가 거치되는 착좌부를 이원화된 독립 착좌부로 구성함으로써 탑승자의 회음부 및 낭심에 원활한 통기가 확보되어 불쾌감을 해소하고 장시간의 자전거 주행에 따른 습진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돌기부를 배제하여 돌기부와 낭심 및 회음부의 접촉으로 인한 통증이나 불편함을 해소하여 원활한 페달링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좌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둔부와 허리의 굴신(屈伸)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탑승자가 소망하는 탑승자세로 자전거를 주행할 수 있어 장시간 주행에도 신체에 무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잠깐씩 이루어지는 주행 정지시에는 둔부와 허리를 이용한 스트레칭이 가능하여 장시간 자전거 주행에 따른 피로를 풀어주면서 허리의 유연성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서 돌기부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돌기부가 필요한 경우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자전거를 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은 그 기대되는 실로 유익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9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관계 및 결합부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10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와 결합부재의 결합관계 및 결합부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를 발췌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 [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와 착좌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좌부와 지지체 및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정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좌부와 지지체 및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측단면도.
도 26은 [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와 착좌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좌부에 형성되는 통기공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참고 단면도.
도 1 내지 도 2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1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안장설치용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재(40)와, 상기 지지부재(40)의 결합대(43)에 고정되는 지지체(30)와, 상기 각각의 지지체(30) 상부에 결합되는 독립된 착좌부(20)로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30)를 발췌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0)는 전방에 자전거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연결대(41)를 형성하여 연결대(41)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한 양측 고정대(42)를 형성하고, 고정대(42)의 후단부를 상부로 절곡시켜서 결합대(43)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40)에 마련되는 각각의 결합대(43)에 지지체(30)를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지지체(30) 상부에 결합되는 착좌부(20)에는 다수의 통기공(21)을 천공하여 구성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안장(10)은 지지부재(40)에 마련된 고정대(42)를 이용해 자전거의 안정설치용 프레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탑승자의 둔부가 거치되는 착좌부(20)를 이원화된 독립 착좌부(20)로 구성함으로써 탑승자의 회음부 및 낭심에 착좌부(20)가 접하지 않아 원활한 통기가 확보되는 것이며, 돌기부를 배제하여 돌기부와 낭심 및 회음부의 접촉으로 인한 통증이나 불편함을 해소하여 원활한 페달링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4 내지 도 5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부(20)에 고정부재(50)를 설치하고, 고정부재(5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60)에 설치된 연결로드(69)에 돌기부(70)를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착좌부(20)에 돌기부(70)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6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50)의 일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0)는 내부에 고정공(52)을 형성하고 전방을 개방하여서 된 하우징(51)의 저부에 고정공(52)으로 관통하는 슬라이드 홈(53)을 형성하며, 하우징(51)의 개방부 전측 상부에 반구형 단속 돌기(54)를 설치한다.(도 7 참조)
도 7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60)의 일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9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70)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60)는 상호 대응하게 형성되는 톱니형 걸림돌기(62,66)가 상호 맞물리게끔 결합되는 제1 결합체(61)와 제2 결합체로(65)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결합체(61)에 마련되는 지지 브래킷(63)의 상부에 고정부재(50)의 고정공(52)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 블록(64)을 형성하며, 결합 블록(64)의 상면에 고정 부재(50)의 단속 돌기(54)가 삽입되는 반구형 요입홈(64a)을 형성하고, 제2 결합체(65)에 마련되는 지지축(67)이 제1 결합체(61)에 마련된 축공(61a)을 관통하도록 하며, 제2 결합체(65)에 설치?고정되는 연결로드(69)에 돌기부(70)를 결합하되,
돌기부(70)는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 가능한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내측에 공간부(71)가 형성되도록 하고, 연결로드(69) 간에 공간부(71)를 가로지르는 탄발스프링(S)을 개재하여 돌기부(70)를 양측에서 눌러주면 연결로드(69)가 내측으로 밀리면서 제1,2 결합체(61,65)의 톱니형 걸림돌기(62,66)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어 제2 결합체(65)의 지지축(67)에 결합된 제2 결합체(65)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며,(도 9 [B] 및 도 10 [B] 참조) 돌기부(7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탄발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연결로드(69)가 외측으로 밀려 지면서 제2 결합체(65)의 톱니형 걸림돌기(62)를 제1 결합체(61)의 톱니형 걸림돌기(66)에 치합시켜 제2 결합체(65)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한다.(도 9 [A] 및 도 10 [A] 참조)
한편, 제1 결합체(61)와 제2 결합체(65)가 톱니형 걸림돌기(62,66)가 맞물려 제2 결합체(65)의 회전이 제한된다 하더라도 톱니형 걸림돌기(62,66)의 특성상 돌기부(70)를 잡고 약간의 힘을 가해 위로 당겨 주면 걸림돌기(62,66)가 상호 미끌리면서 제2 결합체(65)가 회전하여 돌기부(70)가 들려지게 되므로, 돌기부(70)를 하강시켜 주고자 할 시에만 돌기부(70)의 양측을 눌러 하강시켜 주게 된다.
위와 같이 안장(10)에 돌기부(70)를 임의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돌기부(7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돌기부(70)가 필요한 경우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동작으로 돌기부(70)를 올려 줄 수 있어 자전거의 주행중에도 돌기부(7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외의 용도(자전거를 이용한 묘기, 익스트림 스포츠 등)에서도 자전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2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부(20)와 지지부재(40)를 연결하여 주기 위한 지지체(30)는 상하로 분리된 암수 구조물을 결합하여 착좌부(20)의 상,하,좌,우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30)를 발췌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0)를 착좌부(20)가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31)와 지지부재(40)가 결합되는 결합 구조물(34)로 구분되게 구성하고, 결합 플레이트(31)의 저부에 마련되는 단속용 갓(32)의 저부에 구형 회전 구조물(33)을 형성하고, 결합 구조물(34)에 구형 회전 구조물(33)을 수용할 수 있는 구형 홈(35)을 형성하되, 구형 홈(35)은 회전 구조물(33)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면서 회전 구조물(33) 표면 전체 면적의 의 2/3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단속용 갓(32)의 저부면과 결합 구조물(34)의 상부면 사이에 조성된 간격에 의해 결합 플레이트(31)의 허용 회전각이 결정되도록 하며,(도 16 [A],[B] 참조) 상기 결합 구조물(34)에 구형 홈(35)으로 관통하는 조임나사공(36)을 형성하고, 조임나사공(36)에 조임나사(37)를 나사결합하여 조임나사(37)의 조임과 풀림작용에 따라 조임나사(37)의 단부가 회전 구조물(33)의 표면에 압압을 가하도록 구성한다.
위와 같이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해 줄 수 있는 지지체(30)에 이원화된 독립 착좌부(20)를 결합함으로써 착좌부(20)에 둔부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탑승자가 둔부와 허리를 이용해 원하는 각도(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둔부와 허리의 굴신(屈伸)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탑승자가 소망하는 탑승자세로 자전거를 주행할 수 있어 장시간 주행에도 신체에 무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잠깐씩 이루어지는 주행 정지시에는 둔부와 허리를 이용한 스트레칭이 가능하여 장시간 자전거 주행에 따른 피로를 풀어주면서 허리의 유연성 운동을 병행할 수 있으며, 또한, 착좌부(20)의 각도조절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임나사(37)를 조여 회전 구조물(33)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착좌부(20)를 고정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도 15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3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0)를 착좌부(20)가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31)와 지지부재(40)가 결합되는 결합 구조물(34)로 구분되게 구성하고, 결합 플레이트(31)의 저부에 마련되는 단속용 갓(32)의 저부에 구형 회전 구조물(33)을 형성하고, 결합 구조물(34)에 구형 회전 구조물(33)을 수용할 수 있는 구형 홈(35)을 형성하되, 구형 홈(35)은 회전 구조물(33)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면서 회전 구조물(33) 표면 전체 면적의 2/3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결합 구조물(34)의 상부면 일측에 "∧"형 간섭 돌기(39)를 형성하고, 단속용 갓(32)의 하부면에 결합 구조물(34)의 간섭 돌기(39)와 대응하는 "∧"형 간섭홈(38)을 형성하여 간섭 돌기(39)의 상부가 간섭 홈(38)에 삽입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하며, 이때, 간섭 돌기(39)와 간섭 홈(38) 간의 간격은 단속용 갓(32)의 저부면과 결합 구조물(34)의 상부면 사이에 조성된 간격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결합 플레이트(31)의 좌,우회전이 간섭 홈(38)에 의해 제한되므로 착좌부(20)의 지나친 좌,우회전으로 인한 주행의 방해를 방지하고, 스트레칭 운동시 과도한 좌,우회전으로 인해 허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도 17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부(20)와 지지부재(40)를 연결하여 주기 위한 지지체(30)는 상하로 분리된 암수 구조물을 결합하여 착좌부(20)의 상,하,좌,우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착좌부(20)에 고정부재(50)를 설치하고, 고정부재(5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60)에 설치된 연결로드(69)에 돌기부(70)를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착좌부(20)에 돌기부(70)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착좌부(2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면서 돌기부(70)를 선택적으로 탈착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8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부(20)와 지지체(30)의 일측에 체결고리(C)를 설치하고, 착좌부(20)와 지지체(30)에 설치된 체결고리(C) 간에 신축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되는 밴드(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제작되는 원복수단(B)을 설치하여 원복수단(B)의 장력에 의해 착좌부(30)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가 착좌부(20)에 적의의 힘을 가해야만 착좌부(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착좌부(20)의 각도가 임의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어 스트레칭 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험로에서도 자전거의 안정적인 주행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원화된 착좌부(20)를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 연결부재(20a)로 연결하여 착좌부(20)의 독립성이 보장되면서 양측의 착좌부(20)가 일체화를 이루도록 하고, 양측 착좌부(20)의 저부에 상하로 분리된 암수 구조물을 결합하여서 된 지지체(30)를 결합하며, 지지체(30)에 지지부재(40)를 결합하여 하나의 지지체(30)를 이용해 착좌부(2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30)는 착좌부(20)의 연결부재(20a)가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31)와 지지부재(40)가 결합되는 결합 구조물(34)로 구분되게 구성하여서 된 전술한 지지체(30)의 구성(도 13 내지 14 참조)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안장(10)을 구성할 경우 착좌부(2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면서 하나의 지지체(30)를 사용하므로 자전거의 중량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3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안장(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0)에 마련되는 각각의 결합대(43)에 지지체(30)를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지지체(30) 상부에 착좌부(20)를 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지지체(30)는 통공(302)과 고정공(303)을 구비하는 하우징(301)으로 구성하고, 결합대(43)의 후방에 상부로 절곡되는 체결부(43a)를 형성하여 체결부(43a)에 고정공(44)과 축공(45)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43a)를 하우징(31)에 삽입한 상태에서 통공(302)과 축공(45)으로 축핀(47)을 관통시켜 지지부재(40)가 축핀(4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도 24 참조) 하우징(301)의 고정공(303)에 결합되는 고정핀(46)을 고정공(44)에 삽입하여 지지부재(4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며,(도 25 참조) 하우징(301)과 착좌부(20)의 저부에 설치되는 체결고리에 밴드 또는 스프링으로 제작되는 원복수단(B1)을 설치하여 원복수단(B1)의 장력에 의해 착좌부(20)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착좌부(20)에 형성되는 통기공(21)은 그 저부에 유도관(22)을 형성하고, 유도관(22)의 하측 전방(자전거의 진행방향)에 개구(23)를 형성하여 자전거의 주행시에 개구(23)를 통해 바람이 유입되어 통기공(21)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착좌부(20)와 탑승자의 둔부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통기공(21)에 형성되는 유도관(22)은 후방(자전거 진행의 반대방향)의 통기공(21)으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도록 하여 앞에 위치한 유도관(22)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바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10: 안장 20: 착좌부
21: 통공 30: 지지체
31: 결합 플레이트 32: 단속용 갓
33: 회전 구조물 34: 결합 구조물
35: 구형 홈 40: 지지부재
50: 고정부재 60: 결합부재
70: 돌기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지지부재(40)에 지지체(30)를 결합하고, 지지체(30)의 상부에 착좌부(20)를 설치하며, 지지부재(40)의 전방에 연결대(41)를 형성하여 연결대(41)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절곡되는 양측 고정대(42)를 형성하고, 고정대(42)의 후단부를 상부로 절곡시켜서 결합대(43)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40)에 마련되는 각각의 결합대(43)에 지지체(30)를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지지체(30) 상부에 결합되는 착좌부(20)에는 다수의 통기공(21)을 형성하여서 구성한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10)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20)와 지지부재(40)를 연결하여 주기 위한 지지체(30)는 착좌부(20)가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31)와 지지부재(40)가 결합되는 결합 구조물(34)로 구분되게 구성하고, 결합 플레이트(31)의 저부에 마련되는 단속용 갓(32)의 저부에 구형 회전 구조물(33)을 형성하며, 결합 구조물(34)에 구형 회전 구조물(33)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면서 회전 구조물(33)의 2/3를 수용할 수 있는 구형 홈(35)을 형성하여 구형 홈(35)에 결합 플레이트(31)의 회전 구조물(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착좌부(20)에 고정부재(50)를 설치하고, 고정부재(5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60)에 설치된 연결로드(69)에 돌기부(70)를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고정부재(50)는 내부에 고정공(52)을 형성하고 전방을 개방하여서 된 하우징(51)의 저부에 고정공(52)으로 관통하는 슬라이드 홈(53)을 형성하며, 하우징(51)의 개방부 전측 상부에 반구형 단속 돌기(54)를 설치하여 구성하며;
    상기 결합부재(60)는 상호 대응하게 형성되는 톱니형 걸림돌기(62,66)가 상호 맞물리게끔 결합되는 제1 결합체(61)와 제2 결합체로(65)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결합체(61)에 마련되는 지지 브래킷(63)의 상부에 고정부재(50)의 고정공(52)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 블록(64)을 형성하며, 결합 블록(64)의 상면에 고정 부재(50)의 단속 돌기(54)가 삽입되는 반구형 요입홈(64a)을 형성하고, 제2 결합체(65)에 마련되는 지지축(67)이 제1 결합체(61)에 마련된 축공(61a)을 관통하도록 하며, 제2 결합체(65)에 설치?고정되는 연결로드(69)에 돌기부(70)를 결합하되, 돌기부(70)는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 가능한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내측에 공간부(71)가 형성되도록 하며, 연결로드(69) 간에 공간부(71)를 가로지르는 탄발스프링(S)을 개재하여 돌기부(70)의 양측을 눌러주면 연결로드(69)가 밀리면서 제1,2 결합체(61,65)의 톱니형 걸림돌기(62,66)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고 돌기부(7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탄발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연결로드(69)가 외측으로 밀려 지면서 제2 결합체(65)의 톱니형 걸림돌기(62)가 제1 결합체(61)의 톱니형 걸림돌기(66)에 치합되도록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물(34)에 구형 홈(35)으로 관통하는 조임나사공(36)을 형성하고, 조임나사공(36)에 조임나사(37)를 나사결합하여 조임나사(37)의 조임과 풀림작용에 따라 조임나사(37)의 단부가 회전 구조물(33)의 표면에 압압을 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6. 삭제
  7. 지지부재(40)에 마련되는 각각의 결합대(43)에 지지체(30)를 결합하고, 상기 각각의 지지체(30) 상부에 착좌부(20)를 결합하며, 착좌부(20)에 다수의 통기공(21)을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지지체(30)는 통공(302)과 고정공(303)을 구비하는 하우징(301)으로 구성하고, 결합대(43)의 후방에 상부로 절곡되는 체결부(43a)를 형성하여 체결부(43a)에 고정공(44)과 축공(45)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43a)를 하우징(301)에 삽입한 상태에서 통공(302)과 축공(45)으로 축핀(47)을 관통시켜 지지부재(40)가 축핀(4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하우징(301)의 고정공(303)에 결합되는 고정핀(46)을 고정공(44)에 삽입하여 지지부재(4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며, 하우징(301)과 착좌부(20)의 저부에 설치되는 체결고리에 밴드 또는 스프링으로 제작되는 원복수단(B1)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8.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20)에 형성되는 통기공(21)은 그 저부에 유도관(22)을 형성하고, 유도관(22)의 하측 전방(자전거의 진행방향)에 개구(23)를 형성하여 자전거의 주행시에 개구(23)를 통해 바람이 유입되어 통기공(21)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착좌부(20)와 탑승자의 둔부 사이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되, 각각의 통기공(21)에 형성되는 유도관(22)은 후방(자전거 진행의 반대방향)의 통기공(21)으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KR1020100004969A 2010-01-20 2010-01-20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KR101142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969A KR101142454B1 (ko) 2010-01-20 2010-01-20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969A KR101142454B1 (ko) 2010-01-20 2010-01-20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280A KR20110085280A (ko) 2011-07-27
KR101142454B1 true KR101142454B1 (ko) 2012-05-10

Family

ID=4492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969A KR101142454B1 (ko) 2010-01-20 2010-01-20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04492A1 (it) * 2020-03-03 2021-09-03 Franco Massi Bicicl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492Y1 (ko) * 2006-03-07 2006-06-01 김진만 자전거 안장
KR100648299B1 (ko) * 2005-09-12 2006-11-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KR20090021633A (ko) * 2007-08-27 2009-03-04 오황환 자전거용 안장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자전거
KR20090025825A (ko) * 2007-09-07 2009-03-11 김정인 안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299B1 (ko) * 2005-09-12 2006-11-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KR200417492Y1 (ko) * 2006-03-07 2006-06-01 김진만 자전거 안장
KR20090021633A (ko) * 2007-08-27 2009-03-04 오황환 자전거용 안장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자전거
KR20090025825A (ko) * 2007-09-07 2009-03-11 김정인 안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280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8122B (zh) 一种用于自行车以及摩托车的通气车座结构
US10836448B2 (en) Bicycle seat with vents
EP2147849A2 (en) Saddle
US8668259B2 (en) Pivoting nose-less bicycle seat
US9663166B2 (en) Bicycle seat with adjustable nose
ES2565463T3 (es) Estándar de montaje de una suela de zapato para cala de bicicleta
US7255360B2 (en) Rider support assembly for multi-wheeled vehicle
EP0482067A4 (en) Orthotic cycle saddle
EP2325073A1 (en)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JP2000508571A (ja) 自転車用シューズ
CA2612125A1 (en) Highback with textile-like material for support
WO1992011175A1 (en) Orthotic cycle saddle having forwardly projecting raised cantle surfaces
KR101142454B1 (ko) 자전거용 다기능 안장
KR100861230B1 (ko) 자전거 안장
KR20190142274A (ko) 지지력과 완충력을 구비한 자전거 안장.
CA3013645A1 (en) Bicycle saddle
KR200408628Y1 (ko) 자전거 안장
CN201325513Y (zh) 一种自行车座杆的减震结构
CN101254802A (zh) 自行车座垫缓压结构
KR200426610Y1 (ko) 자전거 안장
KR102545138B1 (ko) 자전거 안장구조
KR200402947Y1 (ko) 안장구조
KR102491901B1 (ko)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CN103889830A (zh) 对自行车或骑乘车辆座椅和鞍座的改进
US304334A (en) Bicycle-sad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