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972A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972A
KR20010001972A KR1019990021528A KR19990021528A KR20010001972A KR 20010001972 A KR20010001972 A KR 20010001972A KR 1019990021528 A KR1019990021528 A KR 1019990021528A KR 19990021528 A KR19990021528 A KR 19990021528A KR 20010001972 A KR20010001972 A KR 20010001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node
sense
g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840B1 (ko
Inventor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840B1/ko
Priority to JP2000099758A priority patent/JP4442986B2/ja
Priority to US09/591,809 priority patent/US6362661B1/en
Publication of KR2001000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2Differential amplifiers of non-latching type, e.g. comparators, long-tailed pai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7Single-ended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4Dummy cell management; Sense reference voltage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감지 증폭기는 기준 전압 발생기, 감지 전압 발생기 및 인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는 상기 감지 전압 발생기의 감지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 노드의 전압 레벨이 상기 인버터의 반전 전압 레벨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감지 결과로서 로직 하이 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감지 전압 발생기는 상기 기준 전압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기준 전압을 받아들이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감지 증폭기 구조에 따르면, 비록 집적도가 증가하고 전원 전압이 낮아지더라도 상기 감지 증폭기의 안정되고 빠른 감지 동작을 보장할 수 있으며, 결국 감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A SENSE AMPLIFIER FOR USE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의 집적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각 메모리 셀의 사이즈를 감소시켜야 한다. 메모리 셀 사이즈를 감소시킴으로써 메모리 셀 전류는 필연적으로 감소한다. 낮은 전압에서 동작하는 포터블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련하여, 데이터를 감지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셀 전류는 메모리 장치가 매우 낮은 전압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더욱 감소한다.
하지만, 반도체 메모리 셀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감소할 때, 메모리 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감지 증폭기의 속도는 메모리 셀 전류의 감소에 비례하여 느려진다. 결과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속도가 느려진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감지 증폭기는 두 입력 신호의 전압차를 감지 증폭하는 차동 증폭기를 이용하여 구현되어 왔다. 이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동 증폭기는 두 개의 입력 트랜지스터들, 입력 트랜지스터들과 직렬 연결된 전류 싱커 (current sinker)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됨), 그리고 전류 미러를 포함한다. 하나의 입력 트랜지스터에는, 입력 신호로서 감지 전압 (sense voltage)이 제공되며, 감지 전압은 메모리 셀을 통해 흐르는 셀 전류에 의해서 결정되는 전압이다. 다른 입력 트랜지스터에는, 입력 신호로서 기준 전압 (reference voltage)이 제공되며, 기준 전압은 일반적으로 기준 셀에 의해서 생성되는 기준 전류에 의해서 결정되는 전압이다.
그러한 차동 증폭기가 감지 증폭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비록 기준 전압과 감지 전압 간의 차가 존재하더라도, 입력 트랜지스터는 입력 전압 (감지 또는 기준 전압)이 입력 트랜지스터의 드레홀드 전압 (threshold voltage)보다 클 때 턴온된다. 즉, 비록 기준 전압과 감지 전압 간의 차가 존재하더라도, 입력 트랜지스터의 입력 전압이 입력 트랜지스터의 드레홀드 전압보다 높아질 때까지 입력 트랜지스터는 계속해서 턴오프된다. 게다가, 입력 트랜지스터들이 전류 싱커와 직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트랜지스터 각각의 드레홀드 전압이 증가됨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에게 자명하다. 그리고, 기준 전압과 감지 전압 간의 차를 크게함으로써 일반적인 감지 증폭기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조건에 따르면, 하지만, 일반적인 감지 증폭기의 안정되고 빠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전압차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결국, 감지 증폭기의 감지 속도가 느려진다. 더욱이,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트 라인 로딩의 증가 원인이 됨) 그리고 전원 전압이 낮아짐에 따라, 그러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집적도가 증가하고 전원 전압이 낮아지더라도 안정되고 빠른 감지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증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2a는 도 1에서 사용된 제어 신호들 간의 타이밍을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2b는 도 1의 다양한 노드들의 파형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감지 전압 발생기 200 : 기준 전압 발생기
300 : 인버터
(구성)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증폭기에는, 기준 전압 발생기, 감지 전압 발생기 및 레벨 검출기가 제공된다. 상기 기준 전압 발생기는 기준 노드에 기준 전압을 발생하며, 상기 감지 전압 발생기는 메모리 셀의 상태에 응답하여 감지 노드에 감지 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레벨 검출기는 상기 감지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 전압의 레벨이 소정의 반전 전압 레벨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감지 증폭기의 감지 결과로서 로직 로우 레벨 또는 로직 하이 레벨을 출력한다. 상기 레벨 검출기는 상기 소정의 반전 전압을 가지는 인버터로 구성된다.
게다가, 상기 감지 증폭기에는, 전원 전압과 상기 감지 노드 사이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가 제공되며, 상기 PMOS 트랜지스터는 상기 감지 노드로 상기 전원 전압을 공급하도록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스위치 온/오프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발생기는 상기 기준 노드와 상기 기준 비트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해서 스위치 온/오프되는 N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의 상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기준 노드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감지 전압 발생기는 상기 감지 노드와 비트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해서 스위치 온/오프되는 N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비트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상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감지 노드 및 상기 기준 노드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감지 노드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감지 증폭기에는, 상기 기준 비트 라인 및 접지 전압 사이에 형성된 전류 통로 및,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방전 트랜지스터 및; 상기 비트 라인 및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형성된 전류 통로 및, 상기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2 방전 트랜지스터가 부가적으로 제공된다.
(작용)
앞서 설명된 바에 따르면, 차동 증폭기를 이용한 감지 증폭기와 비교하여 볼 때 본 발명의 감지 증폭기의 감지 시간 (감지 속도)이 단축된다 (빨라진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참조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증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감지 증폭기는 메모리 셀의 상태에 응답해서 감지 노드 (N10)에 감지 전압을 발생하는 감지 전압 발생기 (sense voltage generator) (100), 기준 노드 (N20)에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발생기 (reference voltage generator) (200), 레벨 검출기로서 사용되고 감지 노드 (N10)에 연결된 인버터 (300), 그리고 전원 전압과 감지 노드 (N10) 사이에 연결되고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 (SAE)에 따라 턴온/오프되는 PMOS 트랜지스터 (40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전압 발생기 (100)는 감지 동작 동안 기준 전압을 받아들이도록 상기 기준 전압 발생기 (200)의 기준 노드 (N20)에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 셀은 마스크 독출 전용 메모리 셀 (mask read-only memory cell)과 플래시 메모리 셀 (flash memory cell)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메모리 셀은 다른 형태의 불휘발성 메모리 셀들과 휘발성 메모리 셀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감지 전압 발생기 (100)는 3개의 PMOS 트랜지스터들 (101), (102) 그리고 (103), 4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 (104), (106), (107) 그리고 (108), 그리고 하나의 인버터 (105)를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 (101)는 전원 전압에 연결된 소오스 및 방전 신호 (discharge signal) (PDIS)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가진다. 게이트가 방전 신호 (PDIS)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트랜지스터 (101)의 게이트에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 (102)는 전원 전압에 연결된 소오스를 가진다. PMOS 트랜지스터 (103)의 드레인과 NMOS 트랜지스터 (104)의 소오스가 감지 노드 (N10)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103)의 게이트는 기준 전압을 받아들이도록 기준 노드 (N20)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 (104)의 게이트는 바이어스 노드 (N30) 즉, 인버터 (105)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인버터 (105)는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 (SAE)의 상보 신호 (nSAE)를 반전시킨다. 게이트가 노드 (N30)에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 (106)의 전류 통로는 감지 노드 (N10)와 노드 (N50) 사이에 형성된다. NMOS 트랜지스터 (107)는 트랜지스터 (106)의 게이트 (또는 바이어스 노드 N30)와 접지 사이에 형성된 전류 통로 및 노드 (N50)에 연결된 게이트를 가진다. NMOS 트랜지스터 (108)의 전류 통로는 노드 (N50)와 접지 사이에 형성되고, 게이트는 방전 신호 (PDIS)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들 (101), (102), (103) 및 (104)는 전류원 (current source)을 구성하며, 상기 인버터 (105) 및 상기 트랜지스터 (107)는 바이어스 회로 (bias circuit)를 구성한다. 도 1에서, 기준 비트 라인 로딩 (기준 비트 라인을 나타냄)은 비트 라인 로딩 (비트 라인을 나타냄)에 대응하고, 트랜지스터들 (SW3) 그리고 (SW4)는 트랜지스터들 (SW1) 그리고 (SW2)에 각각 대응한다.
상기 기준 전압 발생기 (200)는 상기 감지 전압 발생기 (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특히, 기준 전압 발생기 (200)는 상기 PMOS 트랜지스터들 (101), (102) 그리고 (103)에 각각 대응하는 PMOS 트랜지스터들 (201), (202) 그리고 (203), 상기 NMOS 트랜지스터들 (104), (106), (107) 및 (108)에 각각 대응하는 NMOS 트랜지스터들 (204), (206), (207) 및 (208), 상기 인버터 (105)에 대응하는 인버터 (205), 그리고 상기 노드들 (N10), (N30) 및 (N50)에 각각 대응하는 노드들 (N20), (N40) 및 (N6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상기 PMOS 트랜지스터들 (103) 및 (203)은 전류 미러를 구성한다.
도 2a는 도 1에서 사용된 제어 신호들의 타이밍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도 1의 다양한 노드들의 파형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증폭기의 동작이 참조 도면들에 의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신호들 (SAE) 및 (nSAE)이 각각 하이 및 로우가 될 때, NMOS 트랜지스터들 (104), (106), (204) 그리고 (206)은 턴온된다. 그리고, 상기 방전 신호 (PDIS)가 로직 로우 레벨에서 로직 하이 레벨로 천이할 때, PMOS 트랜지스터들 (101), (102), (103), (201), (202) 그리고 (203)은 턴오프되고, 그 결과 상기 감지 및 기준 노드들 (N10) 및 (N20)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트랜지스터들 (108) 및 (208)이 턴온되기 때문에, 비트 라인 및 기준 비트 라인들은 접지 전압으로 각각 방전된다. 이는 상기 트랜지스터들 (107) 및 (207)이 턴오프되게 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라인 방전 동작 동안, 상기 감지 전압 발생기 (100)의 바이어스 노드 (N30)는 상기 인버터 (105)를 통해 전원 전압까지 충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준 전압 발생기 (200)의 바이어스 노드 (N40) 역시 상기 인버터 (205)를 통해 전원 전압까지 충전된다.
방전 신호 (PDIS)가 로직 하이 레벨에서 로직 로우 레벨로 천이함에 따라, 상기 NMOS 트랜지스터들 (108) 및 (208)은 턴오프되고, 상기 PMOS 트랜지스터들 (101), (102), (201) 및 (202)은 턴온된다. 이는 트랜지스터들 (101) 및 (104)이 노드들 (N10) 및 (N50) 그리고 비트 라인을 충전하게 하고, 트랜지스터들 (201) 및 (204)이 노드들 (N20) 및 (N60) 그리고 기준 비트 라인을 충전하게 한다. 앞서 설명된 프리챠지 동작에 따르면, 노드 (N50)의 전압이 트랜지스터 (107)의 드레홀드 전압 이상 증가될 때 상기 트랜지스터 (107)는 턴온된다. 이로써,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드 (N30)의 바이어스 전압이 전원 전압으로부터 낮아진다. 마찬가지로, 노드 (N60)의 전압이 트랜지스터 (207)의 드레홀드 전압 이상 증가됨에 따라, 노드 (N40)의 바이어스 전압은 트랜지스터 (207)가 턴온되기 때문에 낮아진다.
상기 트랜지스터들 (106) 및 (107)은 네가티브 피드백 회로 (negative feedback circuit)을 구성하며, 상기 네가티브 피드백 회로는 감지 노드 (N10) 상에 반영되도록 노드 (N50)의 미세한 전압 변화를 감지 증폭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트랜지스터들 (206) 및 (207)은 네가티브 피드백 회로를 구성하며, 상기 네가티브 피드백 회로는 감지 노드 (N20) 상에 반영되도록 노드 (N60)의 미세한 전압 변화를 감지 증폭한다.
초기 프리챠지시에, 상기 노드들 (N10) 및 (N20)은 상기 트랜지스터들 (104) 및 (204)을 통해서 각각 프리챠지된다. 하지만, 노드들 (N30) 및 (N40)의 바이어스 전압들이 감소함에 따라, 트랜지스터들 (104) 및 (204)의 게이트 전압들 역시 낮아진다. 게다가, 노드들 (N10) 및 (N20)의 전압들이 증가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들 (104) 및 (204)의 소오스 전압들 역시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트랜지스터들 (104) 및 (204)은 셧오프(shut off)된다. 이후, 상기 감지 및 기준 노드들 (N10) 및 (N20)은 로드 트랜지스터 (load transistor)로 각각 기능하는 트랜지스터들 (103) 및 (203)을 통해 프리챠지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PMOS 트랜지스터들 (103) 및 (203)은 전류 미러를 구성한다. 상기 PMOS 트랜지스터 (203)는 기준 셀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만큼 전류를 공급한다. 프리챠지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트랜지스터 (203)에 의해서 공급되는 전류양이 기준 셀을 통해 흐르는 전류양과 일치할 때 기준 노드 (N20)의 전압, 즉 기준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비록 PMOS 트랜지스터 (103)가 PMOS 트랜지스터 (203)와 동일한 양의 전류를 공급하더라도, 하지만, 감지 노드 (N10)의 전압은 메모리 셀의 상태에 따라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 셀이 온 상태일 때, 감지 노드 (N10)의 전압은 기준 노드 (N20)의 전압보다 낮게 유지되며, 이는 메모리 셀을 통해 흐르는 전류양이 PMOS 트랜지스터 (103)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양보다 많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감지 노드 (N10)의 전압이 인버터 (300)의 소정의 반전 전압 (trip voltage)보다 낮기 때문에, 감지 증폭기의 감지 결과로서 로직 하이 레벨의 신호 (Sout)가 인버터 (300)로부터 출력된다. 반면에, 메모리 셀이 오프 상태인 경우, 메모리 셀이 온 상태일 때 노드 (N10)의 전압과 비교하여 볼 때, 감지 노드 (N10)의 전압은 메모리 셀이 감지 노드 (N10)로부터의 전류를 방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노드 (N10)의 전압이 인버터 (300)의 반전 전압보다 높아짐에 따라, 인버터 (300)의 출력 (Sout)은 비록 감지 노드 (N10)의 전압이 기준 노드 (N20)의 전압보다 낮더라도 로직 하이 레벨에서 로직 로우 레벨로 천이하기 시작한다.
이후, 상기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 (SAE)가 로직 하이 레벨에서 로직 로우 레벨로 천이함에 따라, 상기 PMOS 트랜지스터 (400)는 인버터 (300)의 출력 (Sout)이 로직 하이 레벨로 유지되도록 턴온된다. 즉, 감지 증폭기 동작이 종료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동 증폭기를 이용한 일반적인 감지 증폭기의 감지 시간 (감지 속도)와 비교하여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증폭기의 감지 시간 (감지 속도)가 시간 (ts)만큼 단축됨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인버터 (300)를 이용한 본 발명의 감지 증폭기의 경우에 있어서, 비록 감지 노드 (N10)의 전압이 기준 노드 (N20)의 전압보다 낮더라도 (셀이 오프 상태일 때), 기준 및 감지 전압들의 차에 관계없이, 감지 노드 (N10)의 전압이 인버터 (300)의 반전 전압보다 높은지의 여부에 따라 감지 증폭기의 출력 (Sout)이 변화된다. 반면에, 차동 증폭기를 이용한 일반적인 감지 증폭기의 경우에 있어서, 감지 노드 (N10)의 전압이 기준 노드 (N20)의 전압보다 높을 때, 감지 증폭기가 동작한다. 그러므로, 감지 및 기준 전압들의 차를 감지하기 위한 시간, 즉, 감지 시간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증폭기의 감지 시간보다 더 많이 걸린다. 더욱이, 일반적인 감지 증폭기의 속도를 향상시기 위해서 기준 전압과 감지 전압의 차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감지 시간 (감지 속도)가 더욱 길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감지 증폭기 구조에 따르면, 차동 증폭기 대신에 단지 하나의 인버터 (300)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차동 증폭기 구조에 따르면, 입력 트랜지스가 전류 싱커로 사용되는 트랜지스터와 직렬 연결되기 때문에 입력 트랜지스터의 드레홀드 전압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입력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기 위해서는, 전원 전압이 높아져야 한다. 이는 일반적인 감지 증폭기의 감지 시간이 더욱 증가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차동 증폭기를 이용한 감지 증폭기는 낮은 전원 전압에 부적합한 반면에, 본 발명의 감지 증폭기는 차동 증폭기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감지 증폭기와 비교하여 볼 때 낮은 전원 전압에서 동작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지 증폭기는 비록 집적도가 증가하고 전원 전압이 낮아지더라도 안정되고 빠른 감지 동작을 보장할 수 있으며, 결국 감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기준 노드에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발생기와;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되며, 메모리 셀의 상태에 응답하여 감지 노드에 감지 전압을 발생하는 감지 전압 발생기와;
    상기 감지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 전압의 레벨이 소정의 반전 전압 레벨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감지 결과로서 로직 로우 레벨 또는 로직 하이 레벨을 출력하는 인버터 및;
    전원 전압과 상기 감지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 노드로 상기 전원 전압을 공급하도록 제 1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스위치 온/오프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준 비트 라인을 통해 상기 기준 전압 발생기에 연결된 기준 셀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발생기는
    상기 기준 노드와 상기 기준 비트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해서 스위치 온/오프되는 제 2 스위치와;
    상기 기준 비트 라인에 연결되며, 제 2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들은 서로 상보적이며;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기준 노드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을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제 2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 단자를 갖는 제 2 인버터 및;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드레인, 상기 기준 비트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 및 접지된 소오스를 갖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그리고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공통 연결된 바이어스 노드로부터 생성되는 감지 증폭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상기 전원 전압에 연결된 소오스 및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전원 전압에 연결된 소오스 및 상기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소오스, 그리고 상기 기준 노드에 공통 연결된 드레인 및 게이트를 갖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드레인,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된 소오스, 그리고 상기 바이어스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를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압 발생기는
    상기 감지 노드와 비트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해서 스위치 온/오프되는 제 2 스위치와;
    상기 비트 라인에 연결되며, 제 2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들은 서로 상보적이며;
    상기 감지 노드 및 상기 기준 노드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감지 노드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을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제 2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 단자를 갖는 제 2 인버터 및;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드레인, 상기 비트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 및 접지된 소오스를 갖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 단자와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공통 연결된 바이어스 노드로부터 생성되는 감지 증폭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은
    상기 전원 전압에 연결된 소오스 및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틀 갖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전원 전압에 연결된 소오스 및 상기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소오스, 상기 감지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그리고 상기 기준 전압을 받아들이도록 기준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드레인, 상기 감지 노드에 연결된 소오스, 그리고 상기 바이어스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9.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비트 라인 및 접지 전압 사이에 형성된 전류 통로 및, 상기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방전 트랜지스터 및; 상기 비트 라인 및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형성된 전류 통로 및, 상기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2 방전 트랜지스터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10. 메모리 셀에 연결된 제 1 비트 라인과;
    기준 셀에 연결된 제 2 비트 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에 연결된 감지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 증폭기는
    상기 제 2 비트 라인에 연결되며, 기준 노드에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 1 비트 라인 및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 셀의 상태에 응답해서 감지 노드에 감지 전압을 발생하는 감지 전압 발생 회로 및;
    상기 감지 노드에 연결된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감지 전압이 상기 인버터의 반전 전압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감지 증폭기의 감지 결과로서 로직 하이 신호 또는 로직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전원 전압과 상기 감지 노드 사이에 형성된 전류 통로 및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PMOS 트랜지스터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기준 노드 및 상기 기준 비트 라인 사이에 형성된 전류 통로 및, 바이어스 전압을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기준 비트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의 상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기준 노드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상보 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 단자를 갖는 제 2 인버터 및;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드레인, 상기 기준 비트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 및, 접지된 소오스를 갖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전류원은 상기 전원 전압에 연결된 소오스 및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전원 전압에 연결된 소오스 및 상기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소오스, 및 상기 기준 노드에 공통 연결된 드레인 및 게이트를 갖는 제 4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드레인,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된 소오스, 그리고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노드 및 상기 제 1 비트 라인 사이에 형성된 전류 통로 및, 바이어스 전압을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비트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의 상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는 바이어스 회로 및;
    상기 감지 노드 및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 노드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상보 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 단자를 갖는 제 2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드레인, 접지된 소오스, 그리고 상기 제 1 비트 라인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전류원은 상기 전원 전압에 연결된 소오스 및 상기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전원 전압에 연결된 소오스 및 상기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소오스, 상기 감지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그리고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4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된 드레인, 상기 감지 노드에 연결된 소오스, 그리고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증폭기는
    상기 제 1 비트 라인 및 접지 전압 사이에 형성된 전류 통로 및,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1 방전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비트 라인 및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형성된 전류 통로 및, 상기 방전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제 2 방전 트랜지스터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은 마스크 독출 전용 메모리 셀과 플래시 메모리 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8. 메모리 셀에 연결된 제 1 비트 라인과;
    기준 셀에 연결된 제 2 비트 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 라인들에 연결된 감지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 증폭기는
    상기 제 2 비트 라인에 연결되며, 기준 노드에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 1 비트 라인 및 상기 기준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 셀의 상태에 응답해서 감지 노드에 감지 전압을 발생하는 감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감지 노드에 연결된 인버터 및;
    전원 전압과 상기 감지 노드 사이에 형성된 전류 통로 및 감지 증폭기 인에이블 신호를 받아들이는 게이트를 갖는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감지 전압이 상기 인버터의 반전 전압보다 높은지
    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감지 증폭기의 감지 결과로서 로직 하이 신호 또는 로직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9990021528A 1999-06-10 1999-06-10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 KR100336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528A KR100336840B1 (ko) 1999-06-10 1999-06-10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
JP2000099758A JP4442986B2 (ja) 1999-06-10 2000-03-31 半導体メモリ装置の感知増幅器および半導体メモリ装置
US09/591,809 US6362661B1 (en) 1999-06-10 2000-06-12 Sense amplifier for use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528A KR100336840B1 (ko) 1999-06-10 1999-06-10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972A true KR20010001972A (ko) 2001-01-05
KR100336840B1 KR100336840B1 (ko) 2002-05-16

Family

ID=1959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528A KR100336840B1 (ko) 1999-06-10 1999-06-10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62661B1 (ko)
JP (1) JP4442986B2 (ko)
KR (1) KR1003368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52B1 (ko) * 2002-07-19 2008-09-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신호의 구간 감지회로
KR20190113488A (ko) * 2018-03-28 2019-10-08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비트 라인 논리 회로 및 방법
KR20200081515A (ko) * 2018-01-05 2020-07-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트라인-구동 감지 증폭기 클러킹 방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7534B2 (ja) * 2001-03-01 2006-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の基準電圧発生回路及びメモリ読出回路
TW523978B (en) * 2001-09-24 2003-03-11 Macronix Int Co Ltd Current mirror sense amplifier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TW564426B (en) * 2002-07-09 2003-12-01 Macronix Int Co Ltd Circuit and method of sensing amplifier with adjustable reference terminal bit line load
US7324394B1 (en) 2002-08-01 2008-01-29 T-Ram Semiconductor, Inc. Single data line sensing scheme for TCCT-based memory cells
US6903987B2 (en) * 2002-08-01 2005-06-07 T-Ram, Inc. Single data line sensing scheme for TCCT-based memory cells
KR100543448B1 (ko) * 2003-04-03 2006-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버스트 읽기 동작 모드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KR100732633B1 (ko) * 2006-02-01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연속적인 비트라인 디코딩을 수행하는 플래시 메모리장치
US8378716B2 (en) * 2011-07-08 2013-02-19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Bulk-driven current-sense amplifi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910061B2 (en) 2018-03-14 2021-02-02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analog neural memory in a deep 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7527B2 (ja) * 1990-02-21 1997-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センス増幅回路
US5162680A (en) * 1991-12-17 1992-11-10 Altera Corporation Sense amplifier for programmable logic device
KR100205530B1 (ko) * 1996-04-24 1999-07-01 윤종용 감지 증폭기
KR100265574B1 (ko) * 1996-06-29 2000-09-15 김영환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감지증폭기
KR100267012B1 (ko) * 1997-12-30 2000-10-02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52B1 (ko) * 2002-07-19 2008-09-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신호의 구간 감지회로
KR20200081515A (ko) * 2018-01-05 2020-07-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트라인-구동 감지 증폭기 클러킹 방식
KR20190113488A (ko) * 2018-03-28 2019-10-08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비트 라인 논리 회로 및 방법
US11562779B2 (en) 2018-03-28 2023-01-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Bit line secondary drive circuit and method
US11996163B2 (en) 2018-03-28 2024-05-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Bit line logic circuit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42986B2 (ja) 2010-03-31
KR100336840B1 (ko) 2002-05-16
US6362661B1 (en) 2002-03-26
JP2000353393A (ja) 2000-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6748A (en) Sensing amplifier with current mirror
US6181591B1 (en) High speed CAM cell
KR100340863B1 (ko) 딜레이 록 루프 회로
US6191978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386085B1 (ko) 고전압 발생회로
JPH07235869A (ja) 入力バッファ
KR20010001972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
JPS6069898A (ja) 半導体記憶装置
US6323693B1 (en) Current sense amplifier circuit using dummy bit line
KR100347067B1 (ko) 안정된 읽기 동작을 수행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26701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
GB2300282A (en) Substrate bias voltage control circuit
KR10030819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감지 증폭기 회로
KR20010039343A (ko) 외부공급전원의 변화에 대하여 안정적인 고전압생성장치를 위한 고전압신호 레벨감지장치
US6650152B2 (en) Intermediate voltage control circuit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KR100301820B1 (ko) 센스 앰프
KR950006422B1 (ko) 비트라인 센스앰프 인에이블 신호발생기
KR100312478B1 (ko) 고전압 발생기
KR100941630B1 (ko) 내부전압 제어회로 및 방법
KR100449263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
KR950014754B1 (ko) 반도체 소자의 전류 감지회로
US6433590B1 (en) Current mirror type sense amplifier circuits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100301807B1 (ko) 전류센스앰프
KR200251696Y1 (ko) 반도체장치의감지증폭회로
KR20030072506A (ko)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