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182A -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182A
KR20010000182A KR1020000044690A KR20000044690A KR20010000182A KR 20010000182 A KR20010000182 A KR 20010000182A KR 1020000044690 A KR1020000044690 A KR 1020000044690A KR 20000044690 A KR20000044690 A KR 20000044690A KR 20010000182 A KR20010000182 A KR 20010000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user
output
speaker
s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이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호 filed Critical 이동호
Priority to KR102000004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182A/ko
Publication of KR2001000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18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6Volume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5Musical staff, tablature or score displays, e.g. for score reading during a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1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icrophones, i.e. control of musical parameters either directly from microphone signals or by physically associated peripherals, e.g. karaoke control switches or rhythm sensing accelerometer within the microphone ca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좀더 쉽게 원하는 노래를 익힐 수 있도록 그 운영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장치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곡에 해당되는 미디정보를 저장 수단을 통해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복수의 곡정보 리스트를 제공하고, 곡정보 리스트 중 소정 곡을 선곡할 경우, 선곡된 곡에 해당되는 미디 정보를 읽어들여 악기음으로 변환시키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합성시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모니터로 상기 선곡된 곡의 가사자막과 배경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며,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정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가수 노래 데이터를 저장 수단으로부터 읽어들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지원한다.

Description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A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KARAOKE SYSTEM AND MEDIA STORING PROGRAM SOURCE THEREOF}
본 발명은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좀더 쉽게 원하는 노래를 익힐 수 있도록 그 운영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장치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은 사용자가 고를 수 있는 수 백곡에 해당되는 미디 정보를 가지고 있는 한편, 기술의 발달로 인해 최근 들어 보급되고 있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은 엠펙 방식에 따라 생성된 코러스 데이터를 추가 데이터로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에 구비된 선곡키버튼 또는 원격조정기에 구비된 선곡키버튼을 이용하여 소정의 노래를 선곡하게 되면, 컴퓨터 노래 반주기에 구비된 제어수단은 선곡된 노래의 미디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읽어들여, 미디음원모듈을 통해 실제 악기음으로 변환시킨 후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노래 신호를 상기 실제 악기음과 합성시켜 출력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부르고 싶거나, 연습을 해야 하는 곡을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자가 얼마나 노래를 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노래 부르기를 종료한 후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에 의해 채점되는 점수에 한정된다.
상기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에 의해 채점되는 점수는 객관적인 요소가 부족하여 동일한 노래를 각기 다른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부를 경우 각기 다른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그 밖의 사람들은 노래 반주 시스템의 점수를 신뢰할 수 없게 되며, 사용자의 노래 실력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내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가수의 목소리를 사용자의 목소리와 함께 출력되도록 하는 컴퓨터 노래반주 시스템의 운영 장치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부르고 있는 노래에 해당되는 악보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를 좀더 쉽게 익힐 수 있다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장치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부르고 있는 노래에 해당되는 악보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악보를 화면상에 함께 출력시켜, 사용자가 부른 노래의 점수를 객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적용된 서브루틴의 동작 흐름도,
도 6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는 화면의 일 실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가수 노래 데이터 저장부
30 : 사용자 노래 데이터 저장부
50 : 볼륨 제어부
70 : 볼륨 조정 및 오디오 합성부
80 : 녹음/재생부
90 : 음정 및 음길이 신호 생성부
100 : 악보 출력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곡에 해당되는 미디정보를 제 1 저장수단을 통해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복수의 곡정보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곡정보 리스트 중 소정 곡을 선곡할 경우, 선곡된 곡에 해당되는 미디 정보를 읽어들여 악기음으로 변환시키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합성시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모니터로 상기 선곡된 곡의 가사자막과 배경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가수 노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2 저장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정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가수 노래 데이터가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되는 되는 가수 노래 데이터를 읽어들여 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복수의 곡에 해당되는 미디정보를 저장수단을 통해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복수의 곡정보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곡정보 리스트 중 소정 곡을 선곡할 경우, 선곡된 곡에 해당되는 미디 정보를 읽어들여 악기음으로 변환시키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합성시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모니터로 상기 선곡된 곡의 가사자막과 배경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정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가수 노래 데이터를 저장부으로부터 읽어들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지원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는, 복수의 곡에 해당되는 미디정보를 제 1 저장수단을 통해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복수의 곡정보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곡정보 리스트 중 소정 곡을 선곡할 경우, 선곡된 곡에 해당되는 미디 정보를 읽어들여 악기음으로 변환시키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합성시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모니터로 상기 선곡된 곡의 가사자막과 배경영상이 출력되도록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정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가수 노래 데이터를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지원하는 출력 지원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이하에서의 본 발명은 일명 가라오케 시스템이라고 지칭되고 있는 컴퓨터 노래반주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노래에 대해 가수 목소리를 함께 출력시켜 사용자가 좀더 쉽게 노래를 익힐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 또는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에 대해 악보를 생성, 출력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노래를 정확하게 부르고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컴퓨터 노래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및 방법,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실시 예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램)에 상주하며, 이들 명령어 세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필요로 할 때까지 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 내의 다른 컴퓨터 메모리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써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저장부(10)는 미디 데이터 저장부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제 2 저장부(20)는 가수 노래 데이터 저장부로서, 복수의 가수 노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제 3 저장부(30)는 사용자 노래 데이터 저장부로서, 사용자의 녹음 요구에 따라 마이크로 입력되는 사용자 노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정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가수 노래 데이터가 상기 제 2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되는 되는 가수 노래 데이터를 읽어들여 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데이터가 상기 제 3 저장부(30)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 3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용자의 노래 데이터가 상기 녹음/재생부(80)를 거쳐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에 해당되는 악보가 모니터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지원한다.
또 다른 구현 방법으로, 상기 화면상의 모니터의 화면에 새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후, 상기 새창에 악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40)는 모니터의 화면상에 악보와 함께 가사자막이 표시되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새창의 화면상에 악보와 함께 가사자막이 표시되도록 지원한다.
볼륨 제어부(5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와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볼륨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볼륨 조정 및 오디오 합성부(70)는 상기 비교된 레벨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래 신호의 볼륨 제어신호에 응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 및 가수 노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합성한 후 출력한다.
상기 볼륨 제어부(50)에서 출력되는 볼륨 제어신호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의 레벨이 재생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볼륨 레벨이 낮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의 레벨이 재생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볼륨 레벨이 높아지도록 지원한다.
녹음/재생부(80)는 상기 제 3 저장 수단(30)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가 부른 노래 데이터를 입력받아 재생하는 녹음/재생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악보 출력부(100)는 제어부(40) 또는 음정 및 음길이 신호 생성부(9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악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악보를 모니터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악보 출력부(10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컴퓨터 노래 반주기 시스템에는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가사자막 데이터 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가사자막 데이터를 상술한 악보와 합성시켜 모니터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악보 출력부(1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오선지에 음정 요소 및 음길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악보, 또는 음정 요소만 갖는 악보가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되도록 지원한다.
음정 및 음길이 신호 생성부(90)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목소리 신호로부터 음정 및 음길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정 및 음길이 신호를 상기 악보 출력부로 출력하여 모니터의 화면상에 사용자가 부르고 있는 노래에 해당하는 악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되는 노래 반주 시스템은 별도로 프린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악보 출력부(1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되는 악보를 상기 프린트 수단으로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노래반주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항목이 무엇인지를 체크한다(S10).
상기 S10 과정의 체크 결과, 선곡된 노래를 연주시키기 위한 연주 버튼을 누른 경우,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에 해당되는 미디정보는 제 1 저장부(10)로부터 읽어들여 오디오 신호 처리부(60)를 통해 실제 악기음으로 변환시킨 후, 볼륨 조정 및 오디오 합성부(70)를 통해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와 합성시켜 스피커로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에 대응하는 가수 노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40)는 상기 가수 노래데이터 저장부(20)로부터 해당 가수 노래 데이터를 읽어들여 볼륨 조정 및 오디오 합성부(70)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시키는데, 이때 사용자의 노래 신호 및 가수 노래 신호의 출력 레벨을 볼륨 제어부(50)를 이용하여 조정한 후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 레벨 제어루틴을 수행한다(S100).
즉, 상술한 출력 레벨 제어루틴(S100)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에 해당되는 가수 노래 데이터의 출력 레벨을 검출(S110)하는 한편,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목소리의 출력레벨을 검출한다(S120).
제어부(40)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검출한 가수 노래 데이터의 출력 레벨과 사용자 목소리의 출력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가수 노래 데이터의 출력 레벨이 사용자의 목소리 출력레벨보다 낮은지를 판단한다(S130).
상술한 S130 과정의 판단 결과, 가수 노래데이터의 출력레벨이 사용자 목소리의 출력레벨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40)는 가수 노래 데이터의 출력 레벨을 미리 설정된 최소레벨로 낮아지도록 제어하여 스피커로 사용자의 목소리가 더 크게 출력되도록 한다(S140)(S160).
한편, 상술한 S130 과정의 판단 결과, 가수 노래데이터의 출력레벨이 사용자 목소리의 출력레벨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40)는 가수 노래 데이터의 출력 레벨을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스피커로 사용자의 목소리보다 가수 노래 신호가 더 크게 출력되도록 한다(S150)(S160).
상술한 과정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이 종료되거나(S170), 또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 정지 등에 해당되는 버튼이 눌려질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S180).
한편,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고 있는 도중, 또는 선곡된 곡을 연주하기 하기 이전에 먼저 악보 출력 버튼을 누른 경우, 제어부(40)는 현재 재생하거나, 재생할 노래에 대응하는 음정 및 음길이를 추출하여 악보를 생성한 후 모니터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악보출력 루틴을 수행한다(S200).
즉, 상기 악보출력 루틴(S200)은 첨부 도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에 해당되는 악보가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1).
상기 S211 과정의 판단 결과, 악보가 요청된 경우,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음정요소만 포함하는 악보가 요청되었는지를 재차 판단한다(S212).
상기 S212 과정의 판단 결과, 음정요소만 포함되는 악보가 요청된 경우, 제어부(40)는 선곡된 노래의 음정신호만 검출하여 그래픽 요소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정요소를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한다(S213).
상술한 과정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이 종료되거나(S214), 또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 정지 등에 해당되는 버튼이 눌려질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S215).
상기 S212 과정의 판단 결과, 음정요소, 음길이 요소가 함께 출력되도록 선택한 경우, 제어부(40)는 선곡된 노래의 음정신호와 음길이 신호를 검출하여 그래픽요소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정, 음길이 요소를 오선지 요소와 결합시켜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한다(S216).
상술한 S216 과정은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보에 가사가 함께 출력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가사 데이터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저장부외의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공급된다.
상술한 과정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이 종료되거나(S217), 또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 정지 등에 해당되는 버튼이 눌려질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S218).
한편, S211 과정의 판단 결과, 선곡된 노래에 해당되는 악보 요청이 아닌 경우,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에 해당하는 악보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한다(S219).
상기 S219 과정의 판단 결과, 악보가 요청된 경우,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음정요소만 포함하는 악보가 요청되었는지를 재차 판단한다(S220).
상기 S220 과정의 판단 결과, 음정요소만 포함되는 악보가 요청된 경우, 제어부(4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의 음정신호만 검출하여 그래픽 요소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정요소를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한다(S221).
상술한 S221 과정은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첨부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보에 가사가 함께 출력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가사 데이터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저장부외의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공급된다.
상술한 과정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이 종료되거나(S222), 또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 정지 등에 해당되는 버튼이 눌려질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S223).
상기 S220 과정의 판단 결과, 음정요소, 음길이 요소가 함께 출력되도록 선택한 경우, 제어부(4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의 음정신호와 음길이 신호를 검출하여 그래픽요소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정, 음길이 요소를 오선지 요소와 결합시켜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한다(S224).
상술한 과정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이 종료되거나(S225), 또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 정지 등에 해당되는 버튼이 눌려질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S226).
한편, S219 과정의 판단 결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에 해당되는 악보 요청이 아닌 경우,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에 해당하는 악보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한다(S227).
상기 S227 과정의 판단 결과, 악보가 요청된 경우,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음정요소만 포함하는 악보가 요청되었는지를 재차 판단한다(S228).
상기 S228 과정의 판단 결과, 음정요소만 포함되는 악보가 요청된 경우, 제어부(40)는 선곡된 노래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에서 각각 음정신호만 검출하여 그래픽 요소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정요소를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한다(S229).
상술한 과정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이 종료되거나(S230), 또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 정지 등에 해당되는 버튼이 눌려질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S231).
상기 S228 과정의 판단 결과, 음정요소, 음길이 요소가 함께 출력되도록 선택한 경우, 제어부(4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노래의 음정신호와 음길이 신호를 검출하여 그래픽요소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정, 음길이 요소를 오선지 요소와 결합시켜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한다(S232).
상술한 과정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이 종료되거나(S233), 또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 정지 등에 해당되는 버튼이 눌려질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S234).
한편 S235 과정의 사용자에 의해 현재 진행 중인 악보 출력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취소버튼을 눌려졌는지를 판단하고, 취소 버튼이 눌려진 경우 화면상에 출력되는 악보를 지운 후 S10 과정으로 복귀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상기와 같이 화면상에 악보를 출력하는 방식은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화면상에 구비되는 조그마한 새창에 별도로 표시할 수 있으며, 악보와 함께 가사자막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녹음/재생 버튼을 눌려 녹음/재생 메뉴 항목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를 소정 기록매체 상에 녹음하고, 녹음된 신호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바로 재생, 출력시키는 녹음/재생 루틴(S300)을 수행한다.
즉, 녹음/재생 루틴(S300)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사용자에 의해 녹음 버튼이 눌려졌는지를 판단하고(S310), 판단 결과 녹음 버튼이 눌려진 경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를 소정 기록매체 상에 녹음한다(S320).
상술한 녹음 과정(S320)은 현재 진행상태인 곡이 종료하거나(S330), 사용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곡이 종료될 때까지 상술한 S320 과정은 반복 수행된다(S340).
한편, S310 과정의 판단 결과, 녹음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경우, 제어부(40)는 재생 버튼이 눌려졌는지를 판단한다(S350).
S350 과정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재생 버튼이 눌려진 경우, 제어부(40)는 소정 기록매체 상에 녹음된 사용자의 노래를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S360).
상술한 재생 과정(S360)은 현재 진행상태인 곡이 종료하거나(S370), 사용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곡이 종료될 때까지 상술한 S360 과정은 반복 수행된다(S380).
한편 S320 또는 S360 과정 중에 사용자에 의해 녹음 또는 재생 과정을 임의로 취소시키기 위해 취소버튼이 눌려졌는지를 판단하고(S390), 취소 버튼이 눌려진 경우 화면상에 출력되는 악보를 지운 후 S10 과정으로 복귀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현재 부르고 있는 노래의 재생 과정이 종료되기 이전에 연주 정지 버튼을 눌러 고의로 재생 과정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40)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 종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곡된 노래에 대응하는 가수 노래 데이터가 구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를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하여 쉽게 배울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자신 있게 부르는 대목에서는 가수 노래 신호의 출력 레벨이 급격히 낮아져 스피커로 사용자의 노래 신호만이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있게 노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재생되는 노래에 대응하는 악보를 모니터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여 노래를 부르는데 있어 좀 더 정확하게 부를 수 있으며, 재생되는 노래에 대응하는 악보와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에 대응하는 악보를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현재 어느 부분에 있어 잘 안되는지를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노래의 평가 또한 정확하게 하여 사용자 평가 점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4)

  1. 복수의 곡에 해당되는 미디정보를 제 1 저장수단을 통해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복수의 곡정보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곡정보 리스트 중 소정 곡을 선곡할 경우, 선곡된 곡에 해당되는 미디 정보를 읽어들여 악기음으로 변환시키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합성시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모니터로 상기 선곡된 곡의 가사자막과 배경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가수 노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2 저장수단;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정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가수 노래 데이터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되는 되는 가수 노래 데이터를 읽어들여 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와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볼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볼륨 제어 수단; 및
    상기 레벨 비교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볼륨 제어신호에 응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 및 가수 노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합성한 후 출력하는 볼륨 조정 및 오디오 합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볼륨 제어신호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의 레벨이 재생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볼륨 레벨이 낮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의 레벨이 재생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볼륨 레벨이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 3 저장수단; 및
    상기 제 3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가 부른 노래 데이터를 입력받아 재생하는 녹음/재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데이터가 상기 제 3 저장수단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 3 저장수단에 저장된 사용자의 노래 데이터가 상기 녹음/재생 수단을 거쳐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악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악보를 모니터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악보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노래에 해당되는 악보가 모니터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모니터의 화면에 새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후, 상기 새창에 악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악보 출력수단을 통해 상기 모니터의 화면상에 악보와 함께 가사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새창의 화면상에 악보와 함께 가사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목소리 신호로부터 음정 및 음길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정 및 음길이 신호를 상기 악보 출력부로 출력하여 모니터의 화면상에 사용자가 부르고 있는 노래에 해당하는 악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정 및 음길이 신호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출력 수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오선지에 음정 요소 및 음길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악보, 또는 음정 요소만 갖는 악보가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되도록 지원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프린트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악보 출력 수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되는 악보를 상기 프린트 수단으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13. 복수의 곡에 해당되는 미디정보를 제 1 저장수단을 통해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복수의 곡정보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곡정보 리스트 중 소정 곡을 선곡할 경우, 선곡된 곡에 해당되는 미디 정보를 읽어들여 악기음으로 변환시키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합성시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모니터로 상기 선곡된 곡의 가사자막과 배경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정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가수 노래 데이터를 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들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지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을 지원하는 과정은,
    (1)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와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 및 가수 노래 신호의 볼륨을 제어하는 과정; 및
    (2) 상기 과정(1)의 볼륨 제어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 및 가수 노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합성한 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1)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의 레벨이 재생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볼륨 레벨이 낮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의 레벨이 재생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볼륨 레벨이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응하여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를 소정의 기록매체 상에 녹음하고, 녹음된 사용자의 노래 신호를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래 신호에 대응하는 악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악보를 모니터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은,
    상기 화면상의 소정 위치에 새창을 형성시키고, 형성된 새창에 상기 악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은,
    상기 모니터의 화면상에 악보와 함께 가사자막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은,
    상기 새창의 화면상에 악보와 함께 가사자막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목소리 신호로부터 음정 및 음길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정 및 음길이 신호를 이용하여 악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악보를 모니터의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부르고 있는 노래에 해당하는 악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반주 시스템의 운영방법.
  22. 제 17 항 또는 제 18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를 출력시키기 위한 과정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오선지에 음정 요소 및 음길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악보, 또는 음정 요소만 갖는 악보를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방법.
  23. 제 1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되는 악보를 소정의 프린트 수단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반주 시스템의 운영방법.
  24. 복수의 곡에 해당되는 미디정보를 제 1 저장수단을 통해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복수의 곡정보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곡정보 리스트 중 소정 곡을 선곡할 경우, 선곡된 곡에 해당되는 미디 정보를 읽어들여 악기음으로 변환시키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합성시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모니터로 상기 선곡된 곡의 가사자막과 배경영상이 출력되도록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정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가수 노래 데이터를 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들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지원하는 출력 지원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운영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지원 프로세스는,
    (1)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와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 및 가수 노래 신호의 볼륨을 제어하는 프로세스; 및
    (2) 상기 과정(1)의 볼륨 제어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 및 가수 노래 신호의 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합성한 후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운영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1)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의 레벨이 재생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볼륨 레벨이 낮아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의 레벨이 재생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수 노래 신호의 볼륨 레벨이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운영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7. 제 2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응하여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 신호를 소정의 기록매체 상에 녹음하고, 녹음된 사용자의 노래 신호를 재생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운영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8. 제 2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래 신호에 대응하는 악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악보를 모니터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프로세스(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운영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3)는,
    상기 화면상의 소정 위치에 새창을 형성시키고, 형성된 새창에 상기 악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프로세스(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운영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3)는,
    상기 모니터의 화면상에 악보와 함께 가사자막을 표시하는 프로세스(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운영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4)는,
    상기 새창의 화면상에 악보와 함께 가사자막을 표시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운영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3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목소리 신호로부터 음정 및 음길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정 및 음길이 신호를 이용하여 악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악보를 모니터의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부르고 있는 노래에 해당하는 악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반주 운영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33. 제 28 항 또는 제 29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하는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오선지에 음정 요소 및 음길이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악보, 또는 음정 요소만 갖는 악보를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 반주 운영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34. 제 2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출력되는 악보를 소정의 프린트 수단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노래반주 운영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00044690A 2000-08-01 2000-08-01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10000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690A KR20010000182A (ko) 2000-08-01 2000-08-01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690A KR20010000182A (ko) 2000-08-01 2000-08-01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182A true KR20010000182A (ko) 2001-01-05

Family

ID=1968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690A KR20010000182A (ko) 2000-08-01 2000-08-01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1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896A (ko) * 2002-03-05 2002-06-29 황명옥 이조악보 표시용 반주 시스템 및 방법
KR100659488B1 (ko) * 2004-10-28 2006-12-20 주식회사 엔터기술 음정인식에 의한 점수 계산방법
KR100814781B1 (ko) * 2006-06-09 2008-03-26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게임을 통한 음정 교육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896A (ko) * 2002-03-05 2002-06-29 황명옥 이조악보 표시용 반주 시스템 및 방법
KR100659488B1 (ko) * 2004-10-28 2006-12-20 주식회사 엔터기술 음정인식에 의한 점수 계산방법
KR100814781B1 (ko) * 2006-06-09 2008-03-26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게임을 통한 음정 교육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1311A (en) Music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which mixes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and music data
EP1189231B1 (en) Recording Medium for Karaoke
JP3900580B2 (ja) カラオケ装置
JP3102335B2 (ja) フォルマント変換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
CA1276488C (en) Entertainment and creative expression device for easily playing along to background music
US20050257667A1 (e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JPH04199096A (ja) カラオケ演奏装置
KR0129964B1 (ko) 악기선택 가능한 영상노래반주장치
JP3133569B2 (ja) 伴奏装置
JP2797648B2 (ja) カラオケ装置
KR20010000182A (ko) 컴퓨터 노래 반주 시스템의 운영장치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JP2000010574A (ja) カラオケ装置
KR200255782Y1 (ko) 악기 연주연습이 가능한 영상가요 반주장치
JP2000137490A (ja) カラオケ装置
JP4236533B2 (ja) 楽音発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6201177B1 (en) Music apparatus with automatic pitch arrangement for performance mode
JP2000047677A (ja) カラオケ装置
JP3673385B2 (ja) 音楽演奏装置
JP3180470B2 (ja) カラオケ装置
JPH0627979A (ja) カラオケ装置
JPH06202676A (ja) カラオケ制御装置
JPH09230879A (ja) カラオケ装置
JP2007233078A (ja) 評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0143177A (ja) カラオケ装置
JP2979897B2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