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145A -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145A
KR20010000145A KR1020000035653A KR20000035653A KR20010000145A KR 20010000145 A KR20010000145 A KR 20010000145A KR 1020000035653 A KR1020000035653 A KR 1020000035653A KR 20000035653 A KR20000035653 A KR 20000035653A KR 20010000145 A KR20010000145 A KR 20010000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mixing
mugwort
moxibustion
ob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950B1 (ko
Inventor
박수환
Original Assignee
박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환 filed Critical 박수환
Priority to KR102000003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9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4Elemental carbon, e.g. charcoal, carbon bl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6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organic solids or fibres
    • A61F2007/0207Plants, dried plants, seeds or fr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재로 사용되는 쑥으로 제조된 뜸쑥에 솔향 또는 허브향 등의 각종 향원료를 첨가하여 뜸쑥이 타면서 나는 향에 의해 혈액순환을 도울 수 있는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소정의 활성탄 83%와, 석고가루 7.0%와, 찹쌀 6.2%와, 황토 0.6%와, 향원료 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활성탄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탄을 각각 파쇄 정립하여 활성탄 분말을 획득하는 1차분말 획득단계와, 찹쌀, 석고가루 및 향원료와 황토를 빻고 체로 걸러서 각각의 분말 가루를 획득하는 2차분말획득단계와,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향원료의 정유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2차분말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분말을 각각 섞어서 1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1차 혼합단계와, 상기 1차분말 획득단계에서 획득한 활성탄 분말을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제거된 활성탄 분말과 상기 1차 혼합단계에서 획득한 1차 혼합물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2차 혼합단계와, 상기 2차 혼합단계에서 얻어진 2차 혼합물과 상기 정유획득단계에서 획득한 향원료의 정유를 혼합하여 뜸쑥을 얻는 3차 혼합단계와, 상기 3차 혼합단계에서 획득한 뜸쑥을 건조시키는 혼합물 건조단계와, 상기 혼합물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뜸쑥을 구관기에 넣고 인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은 태울 때 주재료를 완전히 활성화시킴으로써 주재료가 가지고 있는 냄새나 진, 불순물이 제거되어 지고, 향을 추가하여 향기에 의한 향기치료요법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소에는 향이 발산되지 않고 태울 때에만 향이 발산되므로서 향이 날라가지 않고 내재되어 오랬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뜸쑥을 태웠을 때 타고난 재가 흩어지지 않고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후처리가 손쉬우므로주변환경이 청결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은 기존의 뜸쑥에 비하여 가벼우므로 다루기가 편리하고, 발열량이 고르고 오래타며 원적외선이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 및 그 제조방법{Mox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약재로 사용되는 쑥으로 제조된 뜸쑥에 솔향 또는 허브향 등의 각종 향원료를 첨가하여 뜸쑥이 타면서 나는 향에 의해 혈액순환을 도울 수 있도록 고안된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처방에 있어서 잘 알려진 쑥의 효능으로 인하여 쑥을 이용하여 병을 치료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대표적인 치료방법으로는 인체의 피부중에 경혈부위를 찾아 쑥을 놓고 착화시켜서 쑥이 연소되면서 치료를 하는 뜸쑥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도 쑥에서 나는 향과 연기는 여성들이 아이를 출산한 후, 산모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도 주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약재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상기와 같은 통상의 뜸쑥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쑥을 건조시키고 건조된 쑥을 미세하게 분쇄한다.
분쇄된 쑥을 건련종이에 놓고 골고루 편 후에 건련종이를 말아서 뜸쑥을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건련종이에 말아서 사용하는 뜸쑥은 태울때 불똥이 튀는 등 발열량이 일정하지 않고 쑥진이 흘러 나오고, 쑥진뿐만 아니라 건련종이가 탈때 독한 연기가 발생되어 환자들이 매우 꺼려하였다.
그리고, 상기 재래방법으로 제조된 뜸쑥은 고형화되어 있는 뜸쑥에 비하여 발열량이 고르게 발휘되지 않아서 치료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소나무와 쑥을 탄화 활성화시켜서 활성탄을 만들고, 그 활성탄에 각종 첨가물과 소정의 향원료를 첨가하여 뜸쑥을 태울때 향기를 발산시키도록 만들어진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뜸쑥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뜸쑥 12 : 점착지
본 발명은 소정의 활성탄 83%와, 석고가루 7.0%와, 찹쌀 6.2%와, 황토 0.6%와, 향원료 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향원료는 솔잎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향원료는 허브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정의 활성탄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탄을 각각 파쇄 정립하여 활성탄 분말을 획득하는 1차분말 획득단계와, 찹쌀, 석고가루 및 향원료와 황토를 빻고 체로 걸러서 각각의 분말 가루를 획득하는 2차분말획득단계와,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향원료의 정유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2차분말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분말을 각각 섞어서 1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1차 혼합단계와, 상기 1차분말 획득단계에서 획득한 활성탄 분말을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제거된 활성탄 분말과 상기 1차 혼합단계에서 획득한 1차 혼합물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2차 혼합단계와, 상기 2차 혼합단계에서 얻어진 2차 혼합물과 상기 정유획득단계에서 획득한 향원료의 정유를 혼합하여 뜸쑥을 얻는 3차 혼합단계와, 상기 3차 혼합단계에서 획득한 뜸쑥을 건조시키는 혼합물 건조단계와, 상기 혼합물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뜸쑥을 구관기에 넣고 인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뜸쑥 및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뜸쑥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뜸쑥은 단면이 클로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뜸쑥(10)이다.
이때, 상기 뜸쑥(10)은 소나무와 쑥을 태워서 활성화시키고, 석고가루와 찹쌀가루 그리고 황토 및 향원료를 각각 분쇄하여 혼합하고, 건조시켜서 제조한다.
상기 향원료로는 솔잎향을 사용하고, 또한 허브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각종의 향을 원료로 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뜸쑥(10)은 소나무와 쑥을 태워서 만든 활성탄 83%와, 뜸쑥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석고가루 7.0%와, 재가 날리지 않도록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찹쌀 6.2%와, 원적외선이 발생되는 황토 0.6%와, 환자의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는 향원료 3.2%로 이루어지고, 상기 뜸쑥(10)의 하단부에는 점착지(12)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접착지(12)에는 클로바 형상의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뜸쑥(10)이 안착되어 진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뜸쑥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소나무와 쑥을 준비한다.
그리고, 준비된 소나무와 쑥을 소정의 밀폐용기에 각각 넣는다. 이때 밀폐용기에 각각 담겨진 소나무와 쑥을 축요제탄법으로 탄화시킨다.(활성탄 제조단계)
상기 소나무와 쑥을 축요제탄법으로 탄화시키는 조건은 하기와 같다.
우선, 건조기에서 40시간동안 건조시키고, 건조된 소나무와 쑥을 별도의 탄화기에서 90시간동안 탄화시키고, 다시 정련기에서 10시간동안 정련시킨다.
상기와 같이 건조와 탄화와 정련을 끝낸 소나무와 뜸쑥을 냉각기에 넣고, 60시간정도 냉각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은 일련의 제조과정은 축요제탄법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고, 이때 총소요되는 제탄시간을 살펴보면 200시간 정도가 된다.
그리고, 상기 소나무와 뜸쑥의 활성탄을 제조할 때, 60℃/hr이상으로 급격한 가열은 피하고 서서히 가열하여 제조한다. 왜냐하면 급격하게 가열하는 경우 심한 발열과 유출액 및 목가스가 단시간내에 다량으로 생성되어 소나무 목탄과 쑥탄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섭씨 600 - 900℃의 온도에서 일차적으로 탄화시켜서 숯으로 만든다.
그리고, 숯으로 만들어진 소나무와 쑥을 다시 섭씨 600 - 900℃의 온도에서 상기와 같은 동일한 공정을 한 번 더 실행하여서 활성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섭씨 800도 이상의 온도에서 구워진 탄은 pH가 높은 알칼리가 되고, 흡착효과가 좋아지므로 단위량당 흡착 유효 표면적과 함께 모세관 응축에 의한 흡착량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발생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소나무 및 쑥 활성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 즉, 몇 단계의 파쇄와 체거르기를 실행하여 파쇄정립하여 미세한 분말가루로 만든다.(1차분말 획득단계)
또한, 찹쌀을 곱게 빻아서 가루로 만들어 채로 걸러내고, 석고가루를 빻아서 미세한 분말입자로 만들어 채로 걸러낸다. 계속해서, 향원료가 되는 솔잎을 응달에서 완전히 건조한 다음, 소정의 용기에 넣고 빻아서 미세한 분밀가루로 만든 후, 채로 걸러내고, 일정량의 황토를 채로 걸러서 미세한 가루를 획득한다.(2차분말 획득단계)
그리고, 솔잎에서 정유를 추출한다.(정유획득단계)
상기 솔잎에서 정유를 추출하는 과정은 하기에 설명한다.
우선, 소정의 크기를 갖는 용기 내부 가운데에 별도의 내부용기를 넣고, 그 주위에 건조하지 않은 솔잎을 잘게 잘라서 넣는다. 그리고, 솔잎이 잠길 정도의 물을 공급하여 채운다.
상기 용기의 상부에 브이(V)형상의 판을 올려놓고, 브이(V)형상의 판위에는 다수의 얼음을 올려 놓는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외부 용기를 30 - 40분간 가열시킨다. 이때 솔잎이 가열되면서 정유와 수증기가 기화하여 상부에 놓여진 브이(V)형상의 판에 맺히게 되고, 브이(V)형상의 판의 모서리를 따라 흘러내리면서 정유가 내부용기 속으로 떨어져 고이게 된다.
상술한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을 제조하기 위한 일련의 준비공정들이며 본 발명의 뜸쑥을 제조하는 공정은 하기에서 계속적으로 살펴본다.
상기와 같이 미세한 분말입자로 형성된 석고가루(7.0%)와, 소나무 향의 원료(3.2%)를 믹서기에 넣고 골고루 섞으면서 갈아낸다. 이어서, 찹쌀(6.2%)을 섞은 후, 다시 믹서기를 동작시켜서 잘 섞는다.
상기와 같이 석고가루와 향원료와 찹쌀 등이 잘 섞어진 믹서기에 다시 황토 0.6%를 넣고 혼합하면서 갈아내어 완성시킨 1차 혼합물을 준비한다.(1차 혼합단계)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소나무 활성탄 43%와 쑥활성탄 40%를 믹서기에 넣고 잘 갈아서 골고루 섞은 다음, 약한불로 10 - 30분 정도 가열하여 각각의 활성탄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한다.(수분제거단계) 상기 활성탄에는 약 20%정도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수분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향원료의 정유와 혼합할 때 흡착율을 높이게 된다. 이때, 가열시간은 활성탄 속에 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이면 적당하며, 상기 가열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반대로 가열시간은 짧아진다. 즉,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은 서로 반비례되도록 조절되며, 상술한 재료들이 타지 않을 정도로 가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수분이 제거된 소나무 활성탄 및 쑥 활성탄과 상기 향원료가 혼합된 1차 혼합물을 믹서기에 넣고 골고루 섞이도록 교반하여 2차 혼합물을 생성시킨다.(2차 혼합단계)
계속해서, 상기 솔잎에서 추출된 정유를 소정의 압축용기에 넣은 후, 100℃로 가열하고, 상기 2차 혼합단계에서 획득한 2차 혼합물을 섞어서 잘 개어 3차 혼합물을 얻는다. 이때 3차 혼합물은 뜸쑥이 된다.(3차 혼합단계) 그리고 상기 솔잎 정유의 부피는 상기 석고가루와 향원료를 섞은 부피와 1:1로 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솔잎 정유와 2차 혼합물을 잘 개어서 만들어진 뜸숙을 응달에서 건조시킨다.(혼합물 건조단계)
상기와 같이 응달에서 건조된 뜸쑥은 일정한 점성이 발휘되는데 이때, 상기 뜸쑥을 구관기(뜸쑥을 뽑아내는 장치)에 투입하여 단면이 클로바 형태를 갖는 뜸쑥을 뽑아 낸다.(구관기 인발단계)
그리고, 일정형태의 뜸쑥으로 뽑아진 구관을 다시 응달에서 4일 이상 건조시켜서 제품을 완성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솔향의 원료를 사용하여 솔향이 발산되도록 제조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상기 솔향의 원료 대신에 허브향의 원료를 사용하여 뜸쑥을 제조함으로써 솔향 뿐만 아니라 허브향이 발산되는 뜸쑥을 제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뜸쑥에 솔향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상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균등의 범위안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은 태울때 주재료들을 완전히 활성화시킴으로써 주재료가 가지고 있는 냄새, 진 또는 불순물이 제거되고, 뜸쑥에 향을 첨가함으로써 향기에 의한 치료요법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몸에 이로운 효과가 있다.
또한, 평소에는 향이 발산되지 않고 태울 때에만 향이 발산되므로서 향이 날라가지 않고 내재되어 오랬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뜸쑥을 태웠을 때 타고난 재가 흩어지지 않고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후처리가 손쉬우므로 주변환경이 청결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은 기존의 뜸쑥에 비하여 가벼우므로 다루기가 편리하고, 발열량이 고르고 오래타며 원적외선이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정의 활성탄 83%와, 석고가루 7.0%와, 찹쌀 6.2%와, 황토 0.6%와, 향원료 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원료는 솔잎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원료는 허브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
  4. 소정의 활성탄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탄을 각각 파쇄 정립하여 활성탄 분말을 획득하는 1차분말 획득단계와;
    찹쌀, 석고가루 및 향원료와 황토를 빻고 체로 걸러서 각각의 분말 가루를 획득하는 2차분말 획득단계와;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향원료의 정유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2차분말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분말을 각각 섞어서 1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1차 혼합단계와;
    상기 1차분말 획득단계에서 획득한 활성탄 분말을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제거된 활성탄 분말과 상기 1차 혼합단계에서 획득한 1차 혼합물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획득하는 2차 혼합단계와;
    상기 2차 혼합단계에서 얻어진 2차 혼합물과 상기 정유획득단계에서 획득한 향원료의 정유를 혼합하여 뜸쑥을 얻는 3차 혼합단계와;
    상기 3차 혼합단계에서 획득한 뜸쑥을 건조시키는 혼합물 건조단계와;
    상기 혼합물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뜸쑥을 구관기에 넣고 인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제조방법.
KR1020000035653A 2000-06-27 2000-06-27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의 제조방법 KR10036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653A KR100365950B1 (ko) 2000-06-27 2000-06-27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653A KR100365950B1 (ko) 2000-06-27 2000-06-27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145A true KR20010000145A (ko) 2001-01-05
KR100365950B1 KR100365950B1 (ko) 2002-12-27

Family

ID=1967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653A KR100365950B1 (ko) 2000-06-27 2000-06-27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9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742A (ko) * 2000-08-26 2002-03-06 원인호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KR100483583B1 (ko) * 2002-06-26 2005-04-15 장세호 쑥 성분이 함침된 숯가루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4126A (ko) * 1988-03-31 1989-10-21 김흥지 숙 뜸 탄
JPH0271767A (ja) * 1988-09-07 1990-03-12 Kamaya Shoten:Kk 遠赤外線放射固形温灸体
JP2559542B2 (ja) * 1990-08-22 1996-12-04 スプ キム ジン 無煙ヨモギ管
KR0153428B1 (ko) * 1993-12-08 1998-11-02 유태우 뜸쑥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742A (ko) * 2000-08-26 2002-03-06 원인호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KR100483583B1 (ko) * 2002-06-26 2005-04-15 장세호 쑥 성분이 함침된 숯가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5950B1 (ko) 200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3064B2 (ja) 天然ハーブ植物を素材としたタバコフィルタ及びこれを採用したタバコ
JP4685506B2 (ja) 漢方温灸剤
CN105660623A (zh) 一种中草药燃薰排毒驱蚊香及其制备方法
CN1899139A (zh) 香体健身强化蜂宏微量元素无尼古丁香烟及生产方法
KR0153428B1 (ko) 뜸쑥 제조 방법
KR100724121B1 (ko) 생(生)차잎과 한약재를 이용한 전차 및 그 제조방법
JPH0469344A (ja) 無煙無臭灸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CN109837787A (zh) 一种中医药艾姜纸及其制备工艺
KR100365950B1 (ko)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의 제조방법
KR100865441B1 (ko) 홍련,백련을 이용한 연뜸과 연향(蓮香) 제조 및 제조방법.
JP4775787B2 (ja) ヨモギ艾の改良方法、及びヨモギ艾
KR101781410B1 (ko) 연잎분말과 왕겨,왕겨탄,미강의 분말이 혼합 성형된 연뜸봉 및 그제조방법.
KR100714371B1 (ko) 증기를 이용한 쑥봉 제조방법.
KR101057898B1 (ko)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39010A (zh) 一种保健艾草挂件及其制备方法
CN112316030A (zh) 一种助眠熏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60022214A (ko)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CN109620943A (zh) 一种艾灸用的葛艾姜膜制品及其制备工艺
KR102136027B1 (ko) 쑥뜸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3114B1 (ko) 쌀막걸리에 숙성된 백미와 미강을 이용한 쌀뜸봉 제조방법.
CN112190666A (zh) 中药冷香丸及其制作工艺与所得香囊
KR20040066075A (ko) 쑥뜸용 쑥봉
KR20040001513A (ko) 악취제거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악취제거 및 치료제
KR100564783B1 (ko) 함초를 이용한 뜸과 미용재 제조법
KR20020067096A (ko) 뜸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