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742A -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742A
KR20020016742A KR1020000049952A KR20000049952A KR20020016742A KR 20020016742 A KR20020016742 A KR 20020016742A KR 1020000049952 A KR1020000049952 A KR 1020000049952A KR 20000049952 A KR20000049952 A KR 20000049952A KR 20020016742 A KR20020016742 A KR 20020016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temperature
container
preparation
mix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인호
김진섭
Original Assignee
원인호
김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인호, 김진섭 filed Critical 원인호
Priority to KR1020000049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6742A/ko
Publication of KR2002001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7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4Elemental carbon, e.g. charcoal, carbon bl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각종의 향구와 약초구를 제조함에 있어, 각종의 향물질과 각종의 약엑기스와 숯가루와 바이오세라믹분과 착화물을 적량의 비율로 혼배합 시켜주어 제봉공정을 거쳐 각종의 향구와 약초구를 제조 하여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본 발명은 구를 제조 사용함에 있어 향구와 약제구로 분류 제조하여 치료시 향기에 의하여 기분 좋은 뜸의 효과를 갖어올 수 있고 약초구의 경우 동일의 먹는 약제와 동시효과를 함께 할 수 있으며 약쑥만이 갖는 특유한 냄새를 향과 구로 중화시켜 보다 좋은 구향과 치료효과를 얻어낼 수 있게한 향구 및 약초구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는 약쑥만을 주제로 한 약쑥구와 약쑥을 가공하여 숯가루와 착화제와 기타 물질을 혼합하여 무연구를 제조 하여서된 구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개발해낸 본 발명은 구를 제조함에 있어 환자의 병증과 취향에 따라 향구와 약초구를 선정하여 구를 떠줌에 있어 환자의 정신안정 및 병증에 맞는 약제의 복용과 함께 동일 약제구를 해당혈에 떠주도록 하여 치료의 효과를 갖어올 수 있도록 발명해는 것이다.
제 1 공정 각종 향구물의 제조공정
1. 박하 향구물의 제조
박하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5%를 혼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며,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하여준 후 성형 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준다.
2. 박하쑥 향구물의 제조
박하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 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하여준 후 성형 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3. 송진 향구물의 제조
송진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송진희석액 5% 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 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하여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 용기에 옮겨준다.
4. 송진쑥 향구물의 제조
송진 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 송진희석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 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하여준 후 성형 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5. 주니퍼 향구물의 제조
주니퍼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주니퍼향 희석액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 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하여준 후 성형 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준다.
6. 주니퍼 약쑥향구물의 제조
주니퍼 약쑥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 주니퍼향 희석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 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하여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7. 레몬 향구물의 제조
레몬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 레몬향희석액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준다.
8. 레몬쑥향구물의 제조.
레몬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레몬향희석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 질 수 잇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9. 오렌지 향구물의 제조
오렌지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오렌지향 희석액 5%를 혼합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10.오렌지 약쑥향구물의 제조
오렌지 약쑥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오렌지향 희석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 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11.자스민 향구물의 제조
자스민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 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자스민향희석액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12.자스민 약쑥향구물의 제조
자스민약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숫가루 70% 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자스민향희석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13.종합향구물의 제조
종합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임의 조제되어진 종합향희석액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14.종합향 약쑥향구물의 제조
종합향 약쑥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 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임의 조제되어진 종합향희석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15.인삼향구물의 제조
인삼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 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인삼엑기스액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 질 수 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16.인삼약쑥 향구물의 제조
인삼약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인삼엑기스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17.쌍화탕 향구물의 제조
쌍화탕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쌍화탕 엑기스액 또는 과립물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18.쌍화탕 약쑥 향구물의 제조
쌍화탕 약쑥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쌍화탕엑기스액 또는 과립물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 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준다.
19.사물탕 향구물의 제조.
사물탕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사물탕 엑기스 또는 과립물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 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20.사물탕 약쑥 향구물의 제조
사물탕 약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사물탕 엑기스액 또는 과립물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21.사군자탕 향구물의 제조
사군자탕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사군자탕엑기스액 또는 과립물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22.사군자탕 약쑥 향구물의 제조
사군자탕 약쑥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사군자탕 엑기스액 또는 과립물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 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23.한약제 향구물의 제조
한약제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한약제 엑기스액 또는 과립물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24.한약제 약쑥 향구물의 제조
한약제 약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한약제 액기스액 또는 과립물 5%와 약쑥엑기스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준다.
나. 구봉제조공정
"가"의 공정에서 제조 완료 되어진 각각의 향구물을 실제 사용할 수있는 구봉화로 제조함에 있어 임의 설정되어진 봉구의 금형을 안착시켜서된 제구기를 통하여 상온에서 타봉과정을 거쳐 제봉을 하여주어 제조되어진 각각의 향구를 섭씨 100도 이하의 건조실을 통하여 완전 건조가 되어질 때까지 일정시간 경과후 캇트 되어진 봉관속에 삽입시켜 완성품인 각종의 향구와 약초구를 제조해 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되어진 각종의 향구와 약초구를 일반 병의원이나 수요자가 사용함에 있어 약쑥이 갖는 특이한 쓴맛의 향보다는 환자나 수요자의 취향에 맞는 발향기능에 의하여 일반적인 구가 갖이는 향의 거부감을 없게 하며 구가 추구하는 의료의 기능의 효과를 더욱 갖일 수있게 하였고 각종의 병증에 맞는 복용제와 동일한 기능의 효과를 동일한 구에 의하여 얻어낼 수있게 하였으며 특히 외국 환자들의 경우 거부감을 갖게 하는 쑥향을 최소화 하고 향긋한 향내음과 함께 동양의학이 추구하는 구의 효과를 거두어 낼 수있게 한 각종의 향구와 약초구를 제조 하여서 된 것이다.

Claims (26)

  1. 각종의 향구와 약초구를 제조함에 있어 각종의 향물과 각종의 약엑기스와 숯가루와 바이오 세라믹분과 착화물을 적량의 비율로 혼배합시켜 각종의 향구와 약초구를 제조하여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박하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5%를 혼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며,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하여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박하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 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하여준 후 성형 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송진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송진희석액 5% 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 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하여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 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송진 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송진희석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 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하여준 후 성형 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주니퍼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주니퍼향 희석액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하여준 후 성형 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주니퍼 약쑥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주니퍼향 희석액 5%와 약쑥엑기스액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 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하여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레몬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레몬향희석액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레몬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레몬향희석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 잇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오렌지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오렌지향 희석액 5%를 혼합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오렌지 약쑥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오렌지향 희석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 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 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자스민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 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자스민향희석액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자스민약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숫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자스민향희석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종합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임의 조제되어진 종합향희석액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 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종합향 약쑥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 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임의 조제되어진 종합향희석액 5%와 약쑥액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인삼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 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인삼엑기스액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 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인삼약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인삼엑기스액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쌍화탕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쌍화탕 엑기스액 또는 과립물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쌍화탕 약쑥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쌍화탕엑기스액 또는 과립물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 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사물탕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사물탕 엑기스 또는 과립물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 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사물탕 약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사물탕 엑기스액 또는 과립물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22. 제 1 항에 있어서, 사군자탕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사군자탕엑기스액 또는 과립물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사군자탕 약쑥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 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사군자탕 엑기스액 또는 과립물 5%와 약쑥엑기스액 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 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24. 제 1 항에 있어서, 한약제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한약제 엑기스액 또는 과립물 5%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25. 제 1 항에 있어서, 한약제 약쑥 향구물을 제조함에 있어 전체 중량대비 숯가루 70%와 바이오세라믹분 18%와 착화제 3%와 박하용액 2%와 한약제 액기스액 또는 과립물 5%와 약쑥엑기스1%를 혼합용 용기에 넣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완전 혼합을 시켜준 후 성형기를 통하여 제성되어질 수있는 적정습도가 되어질 수있도록 물풀을 적정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혼합 각반을 시켜준 후 성형용기에 보내줄 수있는 저장용기에 옮겨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26. 제 1 항에 있어서, "가"의 공정에서 제조 완료 되어진 각각의 향구물을 실제 사용할 수있는 구봉화로 제조함에 있어 임의 설정되어진 봉구의 금형을 안착시켜서된 제구기를 통하여 상온에서 타봉과정을 거쳐 제봉을 하여주어 제조되어진 각각의 향구를 섭씨 100도 이하의 건조실을 통하여 완전 건조가 되어질 때까지 일정시간 경과후 캇트 되어진 봉관속에 삽입시켜 완성품인 각종의 향구와 약초구를 제조해 내게 되는 주어서된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KR1020000049952A 2000-08-26 2000-08-26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KR20020016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952A KR20020016742A (ko) 2000-08-26 2000-08-26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952A KR20020016742A (ko) 2000-08-26 2000-08-26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742A true KR20020016742A (ko) 2002-03-06

Family

ID=1968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952A KR20020016742A (ko) 2000-08-26 2000-08-26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674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905A (ko) * 1995-02-02 1996-09-17 원인호 사상(四象)과 오행(五行)약초의 엑기스를 함유시킨 뜸용 약쑥과 이의 제조방법
KR970078820A (ko) * 1997-08-18 1997-12-12 조영훈 쑥뜸재
KR0153428B1 (ko) * 1993-12-08 1998-11-02 유태우 뜸쑥 제조 방법
KR20010000145A (ko) * 2000-06-27 2001-01-05 박수환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428B1 (ko) * 1993-12-08 1998-11-02 유태우 뜸쑥 제조 방법
KR960030905A (ko) * 1995-02-02 1996-09-17 원인호 사상(四象)과 오행(五行)약초의 엑기스를 함유시킨 뜸용 약쑥과 이의 제조방법
KR970078820A (ko) * 1997-08-18 1997-12-12 조영훈 쑥뜸재
KR20010000145A (ko) * 2000-06-27 2001-01-05 박수환 향기가 발산되는 뜸쑥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6241C (zh) 一种戒烟保健吸品及其制作方法
CN101112201B (zh) 天然驱虫灭菌香包
CN111110898A (zh) 一种具有香精的本草原露雾化液
AU2005244177A1 (en) Compositions for inhalation therapy and methods of use
JP2001506533A (ja) 芳香放出のための組成物
CN105105314B (zh) 一种含烟草组分的粉末喷剂及其制备方法
CN106665685A (zh) 一种杀菌消炎的纯中草药竹签熏香及其制作方法
CN106259533A (zh) 驱蚊组合物及由驱蚊组合物制成的驱蚊包及其驱蚊包的使用方法
CN1799633A (zh) 纯中药香囊系列产品及其配制方法
CN103749917B (zh) 一种低糖型薄荷压片糖果及其制备方法
CN112273957A (zh) 一种有助睡眠的中药枕头及其制备方法
KR100358384B1 (ko)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11437368A (zh) 一种本草原露雾化液
KR20020016742A (ko) 향구와 약초구의 제조 및 이의 사용방법
CN105661624A (zh) 一种戒烟用中药香烟及其制备方法
KR20190101247A (ko) 녹차를 이용한 입욕제 및 방향제 제조방법
TWI241916B (en) Method for producing nanometer of natural materials
CN105941716A (zh) 一种解腻消食袋泡茶及其制备方法
CN112190666A (zh) 中药冷香丸及其制作工艺与所得香囊
KR20050080501A (ko) 고혈압, 비만, 당뇨병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JP3355471B2 (ja) 痛経健康茶及びその製造法
Dye Aromatherapy for Women & Children: Pregnancy and Childbirth
US20230270650A1 (en) Cannabis-based products and methods
CN106333011A (zh) 一种玫瑰薰衣草理气袋泡茶及其制备方法
WO2017185593A1 (zh) 具有活血化痰功能的添味块填充物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