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898B1 -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898B1
KR101057898B1 KR1020080079420A KR20080079420A KR101057898B1 KR 101057898 B1 KR101057898 B1 KR 101057898B1 KR 1020080079420 A KR1020080079420 A KR 1020080079420A KR 20080079420 A KR20080079420 A KR 20080079420A KR 101057898 B1 KR101057898 B1 KR 101057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parts
weight
moxibustion
pa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700A (ko
Inventor
선재광
Original Assignee
선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재광 filed Critical 선재광
Priority to KR102008007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898B1/ko
Priority to PCT/KR2009/002006 priority patent/WO2010018911A1/ko
Publication of KR2010002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61B2018/06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one of the reactants being oxygen
    • A61B2018/064Moxabur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뜸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쑥뜸재는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20~80 중량부; 황연, 생강 또는 목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한약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쑥듬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쑥듬재 제조방법은 (a) 쑥을 소금물에 담그고 숙성 및 건조한 후 탄화시켜 쑥탄을 제공하는 단계; (b) 종려피를 소금물에 담그고 숙성 및 건조한 후 탄화시켜 종려피탄을 제공하는 단계; (c) 황연, 생강 또는 목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한약재, 쑥탄, 및 종려피탄의 혼합물에 옻나무 추출물을 투입하고 반죽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형성된 페이스트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쑥뜸재는 쑥뜸 시 발생하는 연기와 메케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부 또는 등의 상부, 중부, 하부와 같은 쑥뜸 부위에 따라 관련되어 있는 인체 기관의 특징에 맞추어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 등이 조절될 수 있고, 특정 기관으로의 기 순환에 유효한 약학적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쑥뜸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쑥뜸을 시술하는 동안 쑥뜸 부위의 온도를 일정 범위 이상으로 장시간 유지시켜 쑥뜸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쑥뜸, 뜸쑥, 쑥탄, 종려피탄, 황연, 생강, 목향

Description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Mox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황연, 생강 또는 목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한약재, 쑥탄, 종려피탄을 포함하는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뜸이란 주로 경혈(經穴)을 많이 이용하는 구점(灸點)에 쑥과 같은 약제를 연소시켜 체표로부터의 온열적 자극을 생체에 미치게 하여 일정한 생체반응을 일으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는 한방 특유의 시술방법을 말한다. 상기한 뜸의 치료효과는 방대하여, 인체에 주는 효과로는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막힌 기와 혈을 소통시키며, 세포 면역과 체액 면역기능을 높이고, 백혈구 및 적혈구의 수와 혈색소의 양를 늘리며, 유주속도와 탐식기능을 강화하고, 혈당량과 피 속의 칼륨, 칼슘 및 피응고 시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위장관의 윤동운동과 소화액 분비를 항진시키며 몸 질량을 늘릴 뿐만 아니라 내분비 계통에 영향을 주어 진통진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쑥뜸요법은 쑥을 태울 때 생겨나는 열로서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요법으로서 쑥에 열을 가하여 혈처를 자극하면 일종의 가열 단백체가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단백체는 화학작용에 의하여 인체에 막힌 기와 혈을 소통시키며, 병이 있는 병처에 단백체가 작용하여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쑥뜸요법의 탁월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쑥뜸 시 발생하는 연기에는 독특한 쑥냄새가 그대로 배어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고, 쑥의 타르성분이 혈처에 묻음으로써 자극이 심하여 사용을 꺼려왔다. 또한, 쑥뜸 시 발생하는 연기가 실내로 배출되면 가구 등에 쑥의 타르성분이 묻어 주위환경을 오염시키게 되어 사용을 꺼려왔다.
한편, 쑥뜸은 주로 복부 또는 등 부위에서 행해지는 데 한의학적으로 복부 또는 등은 상부, 중부, 하부로 나누어지고 각 부위는 인체의 특정기관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쑥뜸의 시술 부위와 관련되어 있는 인체 기관의 특징에 맞추어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 특정 기관으로의 기 순환에 유효한 약학적 성분 등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또한, 쑥뜸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쑥뜸이 시술되는 동안 쑥뜸 온도가 일정범위 이상으로 장시간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쑥뜸재(대개 뜸쑥, 또는 쑥으로 제조된 봉의 형태를 가지므로 쑥봉이라 불린다.)는 주로 쑥뜸 시 발생하는 연기와 메케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을 뿐 쑥뜸 시술부위와 관련된 인체 기관의 특징을 고려한 온도 및 쑥뜸 온도의 지속성을 고려한 쑥뜸재의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쑥뜸 시 발생하는 연기와 메케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부 또는 등의 상부, 중부, 하부와 같은 쑥뜸 부위에 따라 쑥뜸 부위에 관련되어 있는 인체 기관의 특징에 맞추어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 특정 기관으로의 기 순환에 유효한 약학적 성분 등이 조절되고 쑥뜸이 시술되는 동안 쑥뜸 온도를 일정범위 이상으로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는 쑥뜸재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20~80 중량부; 황연, 생강 또는 목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한약재를 포함하는 쑥뜸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약재는 바람직하게는 쑥탄 100 중량부 당 5~25 중량부로 첨가된다.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 사용되는 쑥뜸재는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60~70 중량부, 황연 10~20 중량부를 포함하고, 복부 또는 등의 중부에 사용되는 쑥뜸재는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30~50 중량부, 생강 10~20 중량부를 포함하고, 복부 또는 등의 하부에 사용되는 쑥뜸재는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20~30 중량부, 목향 10~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쑥뜸재는 미량으로 옻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독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쑥을 소금물에 담그고 숙성 및 건조한 후 탄화시켜 쑥탄을 제공하는 단계; (b) 종려피를 소금물에 담그고 숙성 및 건조한 후 탄화시켜 종려피탄을 제공하는 단계; (c) 황연, 생강 또는 목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한약재, 쑥탄, 및 종려피탄의 혼합물에 옻나무 추출물을 투입하고 반죽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형성된 페이스트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뜸재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a) 단계 또는 (b) 단계에서 소금의 양은 쑥 100 중량부 당 10~15 중량부 또는 종려피 100 중량부 당 10~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쑥탄, 종려피탄, 및 한약재는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쑥뜸재는 쑥뜸 시 발생하는 연기와 메케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부 또는 등의 상부, 중부, 하부와 같은 쑥뜸 부위에 따라 관련되어 있는 인체 기관의 특징에 맞추어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 등이 조절될 수 있고, 특정 기관으로의 기 순환에 유효한 약학적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쑥뜸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쑥뜸을 시술하는 동안 쑥뜸 부위의 온도를 일정범위 이상으로 장시간 유지시켜 쑥뜸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복부 또는 등의 상부는 심장, 폐와 관련되어 있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쑥뜸재는 다른 부위에 비해 쑥탄의 양이 적어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가 낮으며, 황연을 포함하고 있어서, 쑥뜸의 치료효과를 상승시킨다.
복부 또는 등의 중부는 간, 담, 비, 위와 관련되어 있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쑥뜸재는 다른 부위와 비교할 때 쑥탄의 양이 중간 정도이어서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가 중간 정도이며, 생강을 포함하고 있어서, 뜸쑥의 치료효과를 상승시킨다.
복부 또는 등의 하부는 신장, 방광, 소장, 대장과 관련되어 있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쑥뜸재는 다른 부위와 비교할 때 쑥탄의 양이 많아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가 높으며, 목향을 포함하고 있어서, 뜸쑥의 치료효과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쑥뜸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쑥뜸재는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20~80 중량부; 황연, 생강 또는 목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한약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쑥뜸재의 일 구성성분인 쑥탄은 건조된 쑥을 탄화시켜 제조되는 것이면 크게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쑥을 소금물에 담그고 숙성 및 건조한 후 탄화시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쑥탄은 그 내부에 소금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쑥뜸재를 사용시 연기의 발생량을 낮추고 메케한 냄새를 줄여준다. 쑥은 한의학적으로 성질이 따뜻하여 몸의 한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데 본 발명에서 쑥으로부터 제조되는 쑥탄은 주로 열을 발생시켜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쑥뜸재의 일 구성성분인 종려피탄은 건조된 종려피를 탄화시켜 제조되는 것이면 크게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종려피를 소금물에 담그고 숙성 및 건조한 후 탄화시켜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종려피탄은 쑥뜸재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쑥의 타르성분를 흡착하고 메케한 냄새를 탈취하는 기능 및 자체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열을 발산할 수 있기 때문에 쑥뜸을 시술하는 동안 쑥뜸 부위의 온도를 일정범위 이상으로 장시간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종려피탄은 그 내부에 소금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쑥뜸재를 사용시 연기의 발생량을 낮추고 메케한 냄새를 줄여준다. 아울러 종려피탄은 쑥탄과 더불어 쑥뜸재의 주요 외형을 형성하고 쑥탄의 양에 따라 그 첨가량이 달라지므로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종려피는 야자과의 종려(Trachycarpus fortunei Wendland:棕櫚) 또는 기타 동속 식물의 엽병(葉柄)이 오래 묵어 이루어진 줄기(假莖)의 겉껍질과 섬유질을 제거한 수피를 말하는데, 수렴성이 강해 코피, 토혈, 자궁출혈, 임신출혈, 하복통, 대소변출혈, 치질출혈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쑥뜸재에서 종려피탄은 쑥탄 100 중량부 당 20~80 중량부로 첨가되는 데, 종려피탄의 양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쑥탄의 양에 비해 종려피탄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쑥의 타르성분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없고 쑥뜸 부위의 온도를 일정범위 이상으로 장시간 유지시키기가 어려우며, 종려피탄의 양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첨가되어 다른 효능을 가진 원료의 첨가가 제한될 수 있고, 특히 상대적으로 쑥탄의 양이 적어서 쑥뜸재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적정한 수준까지 올리기가 어렵다.
본 발명에서 쑥뜸재의 일 구성성분인 황연, 생강 또는 목향은 한의학적으로 인체의 특정 기관으로의 기 순환에 유효한 약학적 성분이다.
황연(Coptidis japonica)은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초본인 황련(黃連)의 근경(根莖)으로, 11월이 채취의 최적기이며, 줄기, 잎, 수염뿌리, 진흙 등을 제거하고 햇볕에 건조하여 코르크층을 건조한다. 성분으로는 버버린(berberine) 7 내지 9%, 콥티신(coptisine), 우레닌(worenine), 팔마틴(palmatine) 등의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외에 소량으로 오바쿠논(obacunone), 오바쿠락톤 (obaculactone)이 함유되어 있고, 약리작용으로는 항미생물작용, 항병원충작용,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에 대한 작용, 항방사선작용 및 건위, 정장작용 등에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정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491-493, 1998). 한의학적으로 황연은 심장, 폐로 기를 순환시키는데 유효한 성분이다.
생강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건강(乾薑)이라고 하며, 본 발명에서 생강은 건강을 의미함)을 약재로 쓰는데, 소화불량·구토·설사에 효과가 있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항염증과 진통 효과가 있다. 한의학적으로 생강은 간, 담, 비, 위로 기를 순환시키는데 유효한 성분이다.
목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당목향의 뿌리이며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다. 주 약리작용으로서 신경과민 치료, 위.십이지장 궤양 치료에 사용되고, 보약에서 기순환에 도움을 주며, 소화촉진약재로서 사용된다. 한의학적으로 목향은 신장, 방광, 소장, 대장으로 기를 순환시키는데 유효한 성분이다.
일반적으로 쑥뜸은 주로 복부 또는 등 부위에서 행해지는 데 한의학적으로 복부 또는 등은 상부, 중부, 하부로 나누어진다. 복부 또는 등의 각 부위는 인체의 특정기관과 관련이 있는데, 상부는 심장, 폐와 관련이 있고, 중부는 간, 담, 비, 위와 관련이 있으며, 하부는 신장, 방광, 소장, 대장과 관련이 있다. 본 발명에서 쑥뜸재는 인체의 특정 기관으로의 기 순환에 유효한 약학적 성분인 황연, 생강 또는 목향을 포함하고 있어서, 쑥뜸이 복부 또는 등의 특정 부위에 행해질 때 그 부위와 관련된 인체의 기관으로 쑥뜸 시 발생되는 열을 원활하게 순환시켜 주므로, 쑥뜸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쑥뜸재에서 기 순환에 유효한 약학적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쑥탄 100 중량부 당 5~25 중량부로 첨가되는데, 기 순환에 유효한 약학적 성분의 양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쑥뜸 시 발생되는 열을 원활하게 순환시키는 효과가 미비할 염려가 있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효능을 가진 원료의 첨가가 제한될 수 있고, 초과에 따른 열 순환의 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다.
쑥뜸은 쑥뜸재가 담겨진 쑥통을 쑥통 지지대에 거치하고, 이를 쑥뜸이 행해지는 부위에 올려 놓은 후 쑥뜸재를 연소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쑥통 지지대와 쑥뜸이 행해지는 부위 사이에 종이나 비닐 등을 끼워 넣어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이 환자의 피부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쑥뜸은 주로 복부 또는 등 부위에서 행해지는데,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복부 또는 등의 각 부위는 인체의 특정기관과 관련이 있다. 복부 또는 등의 부위와 관련된 인체의 기관에 비추어 볼 때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 행해지는 쑥뜸은 상대적으로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가 낮아야 하고, 복부 또는 등의 중부에 행해지는 쑥뜸은 상대적으로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가 중간 정도이어야 하며, 복부 또는 등의 하부에 행해지는 쑥 뜸은 상대적으로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가 높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 쑥뜸재는 바람직하게는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60~70 중량부, 황연 10~20 중량부를 포함하고,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쑥뜸재의 구성성분인 종려피탄의 양을 쑥탄 100 중량부 당 60~70 중량부로 첨가하면, 쑥뜸 부위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시켜 복부 또는 등의 상부와 관련된 인체의 기관인 심장, 폐에 효과적이다. 또한,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 사용되는 쑥뜸재는 황연을 포함하고 있어서,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심장, 폐로 원활히 순환시켜 뜸쑥의 치료효과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서, 쑥뜸재는 바람직하게는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30~50 중량부, 생강 10~20 중량부를 포함하고, 복부 또는 등의 중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쑥뜸재의 구성성분인 종려피탄의 양을 쑥탄 100 중량부 당 30~50 중량부로 첨가하면, 쑥뜸 부위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로 유지시켜 복부 또는 등의 중부와 관련된 인체의 기관인 간, 담, 비, 위에 효과적이다. 또한, 복부 또는 등의 중부에 사용되는 쑥뜸재는 생강을 포함하고 있어서,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간, 담, 비, 위로 원활히 순환시켜 뜸쑥의 치료효과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서, 쑥뜸재는 바람직하게는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20~30 중량부, 목향 10~20 중량부를 포함하고, 복부 또는 등의 하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쑥뜸재의 구성성분인 종려피탄의 양을 쑥탄 100 중량부 당 20~30 중량부로 첨가하면, 쑥뜸 부위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시켜 복부 또는 등의 하부와 관련된 인체의 기관인 신장, 방광, 소장, 대장에 효과적이다. 또한, 복부 또는 등의 하부에 사용되는 쑥뜸재는 목향을 포함하고 있어서, 쑥뜸재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신장, 방광, 소장, 대장으로 원활히 순환시켜 뜸쑥의 치료효과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서, 쑥뜸재는 미량으로 옻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쑥뜸재는 황연, 생강 또는 목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한약재, 쑥탄, 종려피탄을 혼합하고 이를 성형기에 충진한 후 압축프레스로 3~5분간 가압하여 특정 형태(원추형, 원통형, 각형, 구형 등)로 제조가 가능한 데 쑥뜸재의 구성성분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각 구성성분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결합제를 사용한다. 결합제는 황연, 생강 또는 목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한약재, 쑥탄, 종려피탄의 혼합물을 결합시켜 점성이 큰 페이스트 상태로 만들 수 있는 것이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물을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옻나무 추출물을 사용한다. 옻나무 추출물을 결합제로 사용하는 경우 독을 제거하여 씀뚝 시 독성분이 인체의 부위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쑥뜸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쑥뜸재 제조방법은 (a) 쑥을 소금물에 담그고 숙성 및 건조한 후 탄화시켜 쑥탄을 제공하는 단계; (b) 종려피를 소금물에 담그고 숙성 및 건조한 후 탄화시켜 종려피탄을 제공하는 단계; (c) 황연, 생강 또는 목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한약재, 쑥탄, 및 종려피탄의 혼합물에 옻나무 추출물을 투입하고 반죽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형성된 페이스트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쑥탄은 쑥을 건조시키고 탄화시켜 제조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쑥을 소금물에 담그고 숙성 및 건조한 후 탄화시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쑥을 소금물에 1~4일간 담그고 건져낸 후 암실에서 5~20일 정도 숙성시킨다. 숙성과정에서 소금성분은 쑥 내부로 침투된다. 숙성된 쑥을 자연건조하거나, 건조실에서 건조시킨 후 일정 용기에 담고 열을 가하여 탄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종려피탄도 상기의 쑥탄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의 쑥탄, 또는 종려피탄 제조과정에서 소금의 양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소금의 양이 너무 많으면 쑥의 약효성분이 유출될 수 있고, 소금의 양이 너무 적으면 소금성분에 의한 연기발생의 억제, 메케한 냄새의 제거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므로 쑥 100 중량부 당 10~15 중량부, 또는 종려피 100 중량부 당 10~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a) 단계 또는 (b) 단계에서 쑥 또는 종려피에 소금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소금물을 직접 사용할 수도 있지만, 쑥을 일정 용기에 넣고 여기에 쑥이 잠길 정도로 적당량의 물을 부은 후 미리 계산된 양의 소금을 첨가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황연, 생강 또는 목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한약재, 쑥탄 및 종려피탄이 준비되면, 상기의 3가지 구성성분을 일정 용기에 넣고 혼합한 후 결합제를 투입하고 반죽하여 높은 점성을 가진 페이스트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쑥탄, 종려피탄, 및 한약재는 분말 형태, 과립 형태 등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3가지 구성성분이 분말 형태인 경우 혼합, 반죽, 결합제에 의한 결합 등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페이스트는 이후 특정 모양의 금형을 갖는 성형기에 추진되고 압축프레스로 3~5분간 가압하여 특정 형태를 가진 쑥뜸재로 성형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쑥뜸재의 제조
<실시예 1>
강화쑥 100g을 일정 용기에 넣고 여기에 쑥이 잠길 정도로 적당량의 물을 부었다. 여기에 천일염 소금 10g을 넣고 녹인 후 3일 동안 방치하였다. 쑥을 건져내어 암실에서 7일간 숙성시킨 후 자연건조시켰다. 건조된 쑥을 일정 용기에 넣고 열을 가하면서 탄화시켜 쑥탄을 제조하였고, 분쇄기로 갈아 분말 형태로 만들었다.
종려피 65g을 일정 용기에 넣고 여기에 종려피가 잠길 정도로 적당량의 물을 부었다. 여기에 천일염 소금 6.5g을 넣고 녹인 후 3일 동안 방치하였다. 종려피를 건져내어 암실에서 7일간 숙성시킨 후 자연건조시켰다. 건조된 쑥을 일정 용기에 넣고 열을 가하면서 탄화시켜 종려피탄을 제조하였고, 분쇄기로 갈아 분말 형태로 만들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쑥탄 분말, 종려피탄 분말과 한약재로 황연 분말 16g을 용기에 담고 혼합시키면서 여기에 독이 제거된 옻나무 추출물을 적당량 첨가하고 반죽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페이스트 일부를 성형기에 충진하고 가압하여 끝이 둥근 삼각뿔 형태의 쑥뜸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쑥뜸재의 중량은 10g이었다.
<실시예 2 내지 3>
쑥탄 제조시의 강화쑥 및 소금의 양, 종려피탄 제조시의 종려피 및 소금의 양, 한약재의 종류 및 양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비교예 1>
건조된 강화쑥 100g을 일정 용기에 넣고 열을 가하면서 탄화시켜 쑥탄을 제조하였고, 분쇄기로 갈아 분말 형태로 만들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쑥탄 분말을 용기에 담고 물을 적당량 첨가하고 반죽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페이스트 일부를 성형기에 충진하고 가압하여 끝이 둥근 삼각뿔 형태의 쑥뜸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쑥뜸재의 중량은 10g이었다.
<비교예 2>
건조된 강화쑥 100g을 일정 용기에 넣고 열을 가하면서 탄화시켜 쑥탄을 제조하였고, 분쇄기로 갈아 분말 형태로 만들었다. 또한, 건조된 종려피 10g을 일정 용기에 넣고 열을 가하면서 탄화시켜 종려피탄을 제조하였고, 분쇄기로 갈아 분말 형태로 만들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쑥탄 분말과 종려피탄 분말을 용기에 담고 혼합시키면서 여기에 물을 적당량 첨가하고 반죽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페이스트 일부를 성형기에 충진하고 가압하여 끝이 둥근 삼각뿔 형태의 쑥뜸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쑥뜸재의 중량은 10g이었다.
<비교예 3>
종려피탄 제조시 종려피 9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조건과 비교예 1 내지 3의 조건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쑥탄 또는 종려피탄 제조시 사용되는 소금의 양은 쑥 100 중량부 당 10 중량부 및 종려피 100 중량부 당 10 중량부로 일정하였으므로, 표 1에 나타내지 않았다.
구분 쑥 중량(g) 종려피
중량(g)
한약재
종류
한약재
중량(g)
쑥뜸재
형태
쑥뜸재
중량(g)
실시예 1 100 65 황연 16 끝이 둥근 삼각뿔 10
실시예 2 100 45 생강 14 끝이 둥근 삼각뿔 10
실시예 3 100 25 목향 12 끝이 둥근 삼각뿔 10
비교예 1 100 - - - 끝이 둥근 삼각뿔 10
비교예 2 100 10 - - 끝이 둥근 삼각뿔 10
비교예 3 100 90 - - 끝이 둥근 삼각뿔 10
2. 쑥뜸재를 이용한 쑥뜸 시 특성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쑥뜸재를 이용하여 등 부위에 쑥뜸을 시술하였다. 쑥듬 시술시 발생하는 연기발생 여부, 메케한 냄새의 발생 여부, 쑥뜸 부위 및 쑥뜸 부위의 최고 온도, 환자의 기호도를 관찰하였고 표 2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실험은 각각 3번을 반복하였고 실험값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쑥뜸 부위의 온도는 쑥뜸재를 연소시키는 시점부터 5분의 간격으로 60분까지 측정하였다. 또한, 쑥뜸 환자의 기호도는 3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각 점수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 1점 : 나쁨, 2점 : 보통, 3점 : 좋음
구분 연기 발생여부 메케한 냄새
발생 여부
쑥뜸 부위 쑥뜸 부위
최고 온도
(℃)
환자의 기호도
실시예 1 발생되지 않음 발생되지 않음 등의 상부 64.1 3
실시예 2 발생되지 않음 발생되지 않음 등의 중부 67.2 3
실시예 3 발생되지 않음 발생되지 않음 등의 하부 70 3
비교예 1 많이 발생 많이 발생 등의 하부 75.4 1
비교예 2 많이 발생 많이 발생 등의 하부 73.9 1
비교예 3 거의 발생되지 않음 거의 발생되지 않음 등의 상부 55.3 1
표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쑥만으로 제조한 쑥뜸재(비교예 1) 또는 쑥 및 쑥 100 중량부에 대해 종려피 10 중량부로 제조한 쑥뜸재(비교예 2)를 사용한 경우 연기 및 메케한 냄새가 많이 발생하였고, 환자가 느끼는 기호도도 좋지 않았다. 또한, 쑥 및 쑥 100 중량부에 대해 종려피 90 중량부로 제조한 쑥뜸재(비교예 3)를 사용한 경우 연기 및 메케한 냄새는 거의 발생되지 않았으나, 쑥뜸 부위의 최고온도가 낮아 환자가 느끼는 기호도는 좋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3의 결과로부터 쑥탄이나 종려피탄 제조시 소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연기나 메케한 냄새의 발생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쑥, 종려피, 한약재의 적절한 조성비로 제조된 쑥뜸재(실시예 1 내지 3)을 사용한 경우 연기나 메케한 냄새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한약재의 상승 효과에 의해 환자가 느끼는 기호도 또한 좋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쑥뜸 시간에 따른 쑥뜸 부위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쑥만으로 제조한 쑥뜸재(비교예 1) 또는 쑥 및 쑥 100 중량부에 대해 종려피 10 중량부로 제조한 쑥뜸재(비교예 2)를 사용하여 쑥뜸을 시술하는 경우 30분 경과 후 약 74~76℃의 최고 온도에 도달하였다가 가파르게 온도가 떨어져 60분 경과 후 약 37~40℃의 값을 보였다. 또한, 쑥 및 쑥 100 중량부에 대해 종려피 90 중량부로 제조한 쑥뜸재(비교예 3)를 사용하여 쑥뜸을 시술하는 경우 온도가 완만하게 상승하여 45분 경과 후 약 55℃의 최고 온도를 보였고, 이후에도 온도의 변화가 거의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다만, 온도의 상승속도가 너무 느리고 최고 온도가 너무 낮아 쑥뜸 시술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쑥 및 쑥 100 중량부에 대해 종려피 25 중량부 및 쑥 100 중량부에 대해 목향 12 중량부의 조성비로 제조한 쑥뜸재(실시예 3)을 사용하여 쑥뜸을 시술하는 경우 40분 경과 후 약 70℃의 최고 온도에 도달하였고, 이후 온도는 매우 완만하게 떨어져 60분 경과 후에도 6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쑥뜸재는 쑥뜸을 시술하는 동안 쑥뜸 부위의 온도를 특정 값이상으로 장시간 유지시켜 쑥뜸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도 1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쑥뜸 시간에 따른 쑥뜸 부위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3)

  1.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20~80 중량부; 황연, 생강 또는 목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한약재 5~25 중량부; 및 미량의 옻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쑥뜸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쑥뜸재는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60~70 중량부, 황연 10~20 중량부 및 미량의 옻나무 추출물을 포함하고, 복부 또는 등의 상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쑥뜸재는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30~50 중량부, 생강 10~20 중량부 및 미량의 옻나무 추출물을 포함하고, 복부 또는 등의 중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쑥뜸재는 쑥탄 100 중량부, 종려피탄 20~30 중량부, 목향 10~20 중량부 및 미량의 옻나무 추출물을 포함하고, 복부 또는 등의 하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재.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옻나무 추출물은 독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쑥탄은 소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려피탄은 소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재.
  10. (a) 쑥을 소금물에 담그고 숙성 및 건조한 후 탄화시켜 쑥탄을 제공하는 단계;
    (b) 종려피를 소금물에 담그고 숙성 및 건조한 후 탄화시켜 종려피탄을 제공하는 단계;
    (c) 황연, 생강 또는 목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한약재, 쑥탄, 및 종려피탄의 혼합물에 옻나무 추출물을 투입하고 반죽하여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형성된 페이스트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뜸재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소금의 양은 쑥 100 중량부 당 10~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재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소금의 양은 종려피 100 중량부 당 10~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재 제조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쑥탄, 종려피탄, 및 한약재는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재 제조방법.
KR1020080079420A 2008-08-13 2008-08-13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7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20A KR101057898B1 (ko) 2008-08-13 2008-08-13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09/002006 WO2010018911A1 (ko) 2008-08-13 2009-04-17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20A KR101057898B1 (ko) 2008-08-13 2008-08-13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700A KR20100020700A (ko) 2010-02-23
KR101057898B1 true KR101057898B1 (ko) 2011-08-19

Family

ID=4166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420A KR101057898B1 (ko) 2008-08-13 2008-08-13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7898B1 (ko)
WO (1) WO20100189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122A (ko) 2019-10-01 2021-04-09 정우진 머드를 함유한 쑥뜸봉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4081B2 (en) 2015-12-18 2018-02-06 Youngsu KIM Odor and smell free composition for moxibus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421793B1 (ko) 2022-01-14 2022-07-14 배준상 온열 기능을 보유한 장뜸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75B1 (ko) 2005-08-25 2007-03-09 김명식 죽염 또는 송염을 이용한 뜸용 쑥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428B1 (ko) * 1993-12-08 1998-11-02 유태우 뜸쑥 제조 방법
KR20060128253A (ko) * 2005-06-10 2006-12-14 김근식 쑥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75B1 (ko) 2005-08-25 2007-03-09 김명식 죽염 또는 송염을 이용한 뜸용 쑥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122A (ko) 2019-10-01 2021-04-09 정우진 머드를 함유한 쑥뜸봉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8911A1 (ko) 2010-02-18
KR20100020700A (ko) 201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1939B2 (ja) 艾條、お灸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4685506B2 (ja) 漢方温灸剤
KR101176590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594137B1 (ko)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010069936A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1628036A (zh) 一种无烟艾灸香及其制备方法
CN103933509B (zh) 用于治疗淡水鱼水霉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1057898B1 (ko)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31408B (zh) 一种改善痛风的组合物
KR10168189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65441B1 (ko) 홍련,백련을 이용한 연뜸과 연향(蓮香) 제조 및 제조방법.
KR101497226B1 (ko) 생리 통증 완화용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412670A (zh) 防治罗非鱼鳃霉病的免疫增强剂及其制备方法
CN101485754B (zh) 一种治疗胃病的药物及制备方法
CN105396110A (zh) 防治罗非鱼鳃霉病的散剂及其制备方法
CN105797112A (zh) 一种具有缓释效果的治疗母猪子宫炎的饲料添加剂
KR100829048B1 (ko) 높은 항산화성 쑥엑기스의 특성 및 제조법
KR20060022214A (ko)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KR100771643B1 (ko) 쑥차 제조방법
KR20040001513A (ko) 악취제거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악취제거 및 치료제
KR101253951B1 (ko) 구창용 고약의 제조 방법
KR19980072722A (ko) 한약 조성물
KR100690075B1 (ko) 죽염 또는 송염을 이용한 뜸용 쑥의 제조방법
CN107087950A (zh) 一种中药填充物保健药枕
KR20100009367A (ko) 한방 떡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