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106U - 벽걸이용 화분 - Google Patents

벽걸이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106U
KR20010000106U KR2019990009715U KR19990009715U KR20010000106U KR 20010000106 U KR20010000106 U KR 20010000106U KR 2019990009715 U KR2019990009715 U KR 2019990009715U KR 19990009715 U KR19990009715 U KR 19990009715U KR 20010000106 U KR20010000106 U KR 200100001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pport surface
auxiliary plate
present
poll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래
Original Assignee
김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래 filed Critical 김경래
Priority to KR2019990009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106U/ko
Publication of KR20010000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106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걸이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관상용식물을 심어 재배하도록 평면형상이 원형으로된 공지의 화분에 있어서, 화분체(1)의 일측면에 평면상으로된 지지면(2)을 형성하고 지지면(2)의 상부측에 보조판(3)을 형성하며, 보조판(3)의 중앙과 좌우측에 걸림공(4a)(4b)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화분체의 지지면이 벽면에 밀착지지되므로 안정된 상태로 걸어 설치할 수 잇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벽걸이용 화분{A FLOWERPOT FOR HANG ON THE WALL}
본 고안은 관상용 식물이 심어진 화분을 벽에 걸어두고 관상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분의 일측부를 평면으로 형성하여 화분이 벽면에 밀착지지되어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벽걸이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재배되는 관상용식물은 화분에 심어지며, 이러한 화분은 실내의 빈공간에 놓아두고 관상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으며, 특히, 넝쿨형태의 식물은 줄기와 잎이 하방으로 길게 늘어지므로 화분을 벽에 걸어두므로서 식물의 성상이 촉진됨은 물론 실내장식적인 효과가 있었다.
종래, 화분을 벽에 걸어두기 위한 수단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된 화분체(A)와, 3방향으로 결합구(B)가 형성된 걸고리체(C)로 구성하여서, 화분체(A)의 3방향으로 결합구(B)를 끼워 고정하고 고리(D)를 벽체에 고정된 못등의 부착돌기에 걸어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화분은 화분체(A)의 평면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벽면에 일부분만이 접촉될 뿐 아니라, 걸고리체(C)의 중심이 이동되어 화분체가 기울어져 불균형상태가 되었다.
즉, 종래의 화분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제기되었다.
첫째, 화분을 벽면에 걸어 설치할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단위면적당 공간점유를 많이 차지하게 되어 좁은공간에 설치가 곤란하였다.
둘째, 화분을 실외의 벽체에 걸어 설치할 경우, 바람이나 충격등에 쉽게 흔들리거나 걸어둔곳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셋째, 화분이 기울어진 상태로 걸려있으므로 물을 공급할 경우,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물이 흘러내려 화분에 원활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흘러내린 물에 의하여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벽걸이용 화분의 일측면을 평면상으로 형성하여 벽체에 걸어둘 경우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하며, 공간점유를 최소로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화분체가 수평상태로 유지되어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 화분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분체 2, 2a : 지지면 3 : 보조판
4a, 4b : 걸림공
본 고안은 관상용 식물을 심어 재배하도록 원형상으로된 공지의 화분에 있어서, 화분의 일측면에 평면상으로된 지지면을 형성하고 지지면의 상부측에 보조판을 일체로 형성하며, 보조판에 각각의 걸림공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화분은 보조판에 형성된 걸림공을 이용하여 벽면에 걸어두면, 지지면이 벽면에 밀착지지되므로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체(1)의 일측면을 평면상으로된 지지면(2)으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면(2)의 상부측에 돌출된 보조판(3)을 일체로 형성하여 보조판(3)의 중앙상부와 좌우측에 각각 걸림공(4a)(4b)를 형성한다.
미설명부호 5는 좌우측 걸림공(4b)에 결속하는 끈이며, 6은 중앙측 걸림공(4a)을 걸기 위한 못등의 돌출부재이며, 7은 벽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조판(3)에 형성된 중앙측 걸림공(4a)을 벽면(7)에 고정된 돌출부재(6)에 걸어 끼우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2)이 벽면(7)에 밀착지지됨과 동시에 보조판(3)의 뒷면이 벽면(7)에 밀착지지되므로 화분체(1)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화분체(1)가 수평상태로 유지되므로 물을 공급하게되면, 물이 화분내부에 골고루 분포되어 식물의 성장이 촉진된다.
또한, 실외의 벽면에 화분을 걸어둘 경우, 바람에 의하여 요동되는 일없이 안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특히, 화분체(1)를 벽면(7)에 걸어둘 경우, 전면은 원형상태로 유지되나 뒷면은 평면상태가 되므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종래의 화분에 비하여 크지 않으므로 단위면적당 점유공간을 최소로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에서 관상할때에 원형으로된 전면부위가 노출되므로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된 것 같은 시각적 효과가 있으므로 화분의 고유외형인 외형이 시각적으로 손상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걸림공(4a)(4b)은 중앙과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분의 크기나 벽면의 조건등에 따라 중앙측 걸림공(4a)을 돌출부재(6)에 직접 걸어 끼우거나 또는 좌우측 걸림공(4b)에 끈(5)을 결속한후 돌출부재(6)에 걸어 끼울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체(1)의 일측면에 형성된 지지면(2a)을 상부일측에 형성하여도 본 고안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분의 일측면에 지지면을 형성하여 벽면에 걸어설치할 경우 수평상태의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뿐 아니라, 외관상 원형상태와 같은 시각적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화분이 넓은 면적의 지지면에 의하여 벽면에 밀착지지되므로 실외에 설치할 경우 바람등에 요동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적기 때문에 공간 점유율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원형체로된 모든 화분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벽면에 걸어 설치하는 장식용품이나 생활용품등 모든 분야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관상용식물을 심어 재배하도록 평면형상이 원형으로된 공지의 화분에 있어서, 화분체(1)의 일측면에 평면상으로된 지지면(2)을 형성하고 지지면(2)의 상부측에 보조판(3)을 형성하며, 보조판(3)의 중앙과 좌우측에 걸림공(4a)(4b)을 각각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분.
KR2019990009715U 1999-06-02 1999-06-02 벽걸이용 화분 KR200100001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715U KR20010000106U (ko) 1999-06-02 1999-06-02 벽걸이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715U KR20010000106U (ko) 1999-06-02 1999-06-02 벽걸이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106U true KR20010000106U (ko) 2001-01-05

Family

ID=5476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715U KR20010000106U (ko) 1999-06-02 1999-06-02 벽걸이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10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533A (ko) * 2001-04-13 2001-07-25 김천기 포트무궁화 재배에 의한 공중부착형 화분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533A (ko) * 2001-04-13 2001-07-25 김천기 포트무궁화 재배에 의한 공중부착형 화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200390580Y1 (ko) 액자형 화분
US8407936B1 (en) Plant belt system
KR200186477Y1 (ko) 벽면부착용 수경재배화분집
KR20010000106U (ko) 벽걸이용 화분
KR101256044B1 (ko)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KR200338832Y1 (ko) 화분용 넝쿨식물 지지대
JP3069514U (ja) 花植ポットの飾り台
KR200326058Y1 (ko) 벽걸이용 다단화분체
JP3110723U (ja) 懸垂式植木鉢
JPH0521643U (ja) 壁掛けプランタ
JP3056103U (ja) バックパネル付ウォールポット
KR200258080Y1 (ko) 벽걸이 화분
KR100638742B1 (ko) 조경용 화분
KR200214223Y1 (ko) 화분 고정구(固定具)
JP2015147020A (ja) 組立式ポールハンガー
JP3112785U (ja) 懸架式植木鉢
JPH11187768A (ja) 植木鉢
JP3066289U (ja) 掛け型花差し器
KR200303979Y1 (ko) 화분의 고정고리 거치대
KR200220849Y1 (ko) 화분벽걸이
KR200199272Y1 (ko) 화분걸이장치
KR101230289B1 (ko)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
JP3065995U (ja) 寄せ植え用容器
JP3033642U (ja) フラワー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