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080Y1 - 벽걸이 화분 - Google Patents

벽걸이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080Y1
KR200258080Y1 KR2020010006916U KR20010006916U KR200258080Y1 KR 200258080 Y1 KR200258080 Y1 KR 200258080Y1 KR 2020010006916 U KR2020010006916 U KR 2020010006916U KR 20010006916 U KR20010006916 U KR 20010006916U KR 200258080 Y1 KR200258080 Y1 KR 200258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nting space
decorative member
hangi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경
Original Assignee
조성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경 filed Critical 조성경
Priority to KR2020010006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0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080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과 어울리거나 또는 독립하여 새로운 미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벽면에 접하도록 표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이상의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배면부재와, 배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위쪽이 열린 식재공간이 형성되며 통기구멍과 식재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정면으로 표면이 돌출하여 소정의 조형미를 형성하는 장식부재로 이루어지는 벽걸이 화분을 제공한다.
장식부재와 배면부재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자기와 같이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며, 장식부재에 형성하는 조형미는 조소기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특히 부조기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Description

벽걸이 화분 {Flowerpot for Wall Hangings}
본 고안은 벽걸이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각이나 소조 작품과 화분을 결합하여 특유의 조형미를 제공하면서 화분이나 화병의 기능을 행하는 벽걸이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바닥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통형상에 작은 돌과 흙을 채운 다음 관상용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화분은 대부분 항아리형상 또는 장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외관의 다양화를 위하여 그 외면에 나무나 새 등의 여러가지 그림을 그려 넣은 것도 있다.
이러한 화분을 벽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나무나 실로 제작한 화분걸이를 벽에 설치하고, 이 화분걸이에 상기한 화분을 얹어 놓거나 담아 놓아 사용한다.
그리고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벽걸이 화분도 제공되는 데, 벽걸이 화분에 있어서도 그 형상은 대부분 항아리형상 또는 대접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한쪽면만을 평면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벽걸이 화분은 꽃이나 나무 등이 심겨지는 용기로서의 기능은 확보되는 반면에, 꽃 등의 식물과 어울려 또는 독립하여 새로운 미감을 주는 벽장식으로서의 기능은 전혀 부여되지 않는다.
더욱이 실내 인테리어 등의 분위기가 중요한 각종 전시회나 고급 레스토랑 등의 실내 장식용으로서는 매우 부적합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과 어울리거나 또는 독립하여 새로운 미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전면으로 돌출하여 조소(조각과 소조)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소정의 조형미를 형성한 벽걸이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화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화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화분에 꽃을 심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를 벽걸이 화분에 꽃꽂이를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벽걸이 화분은 건축물의 벽면에 접하도록 표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이상의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배면부재와, 상기한 배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위쪽이 열린 식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한 통기구멍과 식재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정면으로 표면이 돌출하여 소정의 조형미를 형성하는 장식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장식부재와 배면부재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자기와 같이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장식부재에 형성하는 조형미는 조소(조각과 소조)의 기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특히 부조기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화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화분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면(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접하도록 표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이상의 통기구멍(12)이 형성되는 배면부재(10)와, 상기한 배면부재(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위쪽이 열린 식재공간(22)이 형성되며 상기한 통기구멍(12)과 식재공간(22)을 연결하는 통로(18)가 형성되고 정면으로 표면이 돌출하여 소정의 조형미를 형성하는 장식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식재공간(22)은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심기 위하여 작은 돌이나 흙 등을 채우는 빈 공간으로, 상기한 장식부재(20)와 배면부재(10)를 내부가 빈 소정의 통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배면부재(1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한 못이나 고리 등의 벽걸이(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걸 수 있도록 걸이구멍(14)을 더 형성한다.
상기한 걸이구멍(14)은 좌우의 무게중심을 맞출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에 형성되는 식재공간(22)에 담겨지는 작은 돌이나 흙 등의 평균(통상)적인 무게를 감안하여 위치를 설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배면부재(10)에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한 벽걸이에 걸기 위한 끈이나 와이어를 배면의 폭방향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벽걸이에 걸리는 부분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그때마다의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하는 벽걸이에 걸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액자나 기구 등을 벽에 걸때에 사용하는 모든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한 배면부재(10)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 전체가 벽면에 접하지 않고 일부가 접하여, 벽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므로, 벽면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복수의 접촉돌기(16)를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접촉돌기(16)는 점접촉이 가능하도록 반구형상이나 곡면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통로(18)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식재공간(2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한 통기구멍(12)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외부의 공기가 식재공간으로 유입되는 유로로서 기능한다.
또 상기한 통로(18)는 상기한 식재공간(22)에 수분이 과도하게 존재하는 경우 수분이 통기구멍(12)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유로로서도 기능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한 통기구멍(12)에 별도의 튜브나 파이프(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연결하여 배출되는 수분이 벽면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화분의 일실시예는 뿌리 주위에 수분이 많아야 하는 식물보다는 수분을 적게 필요로 하는 식물에 적용하는 것이 물이 통기구멍(12)으로 유출되어 벽면을 오염시키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물을 줄 때에는 벽면으로부터 떼어 내어 물을 충분히 주고 배수가 완료된 상태에서 다시 벽면에 거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튜브나 파이프를 통기구멍(12)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장식부재(20)와 배면부재(10)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또 상기한 장식부재(20)와 배면부재(10)는 도자기, 석고, 청동 등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장식부재(20)에는 조소기법을 응용하여 소정의 조형을 형성하며, 특히 부조기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람의 상반신을 형상화하고, 양팔을 손바닥을 위로 한 채, 턱을 괴고 있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장식부재(20)의 정면과 측면을 형성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식재공간(22)에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6)을 심은 경우에 사람이 양팔로 식물(6)을 받치고 있는 듯한 조형미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식재공간(22)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꽃이나 인공식물(8)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꽃꽂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식재공간(22)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꽃꽂이를 하기 위한 스폰지나 발포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블록이나 판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선반기능을 하는 지지돌기(26)를 측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화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화분에 의하면,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심을 수 있는 용기로서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화분 자체가 감상용의 조형미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실내외 인테리어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꽃꽂이나 분재의 경우에 이를 담은 용기와 꽃꽂이나 분재 작품이 어우러진 새로운 형태의 작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화분에 의하면, 제품의 고급화와 차별화가 가능하므로 관련 산업의 소득 증대와 수출 증대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다.

Claims (3)

  1. 건축물의 벽면에 접하도록 표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이상의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배면부재와,
    상기한 배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위쪽이 열린 식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한 통기구멍과 식재공간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정면으로 표면이 돌출하여 소정의 조형미를 형성하는 장식부재로 이루어지는 벽걸이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면부재에는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한 벽걸이에 걸 수 있도록 걸이구멍을 더 형성하고,
    상기한 식재공간에는 측면을 따라 안쪽으로 돌출하여 지지돌기를 형성하는 벽걸이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식부재와 배면부재는 합성수지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벽걸이 화분.
KR2020010006916U 2001-03-14 2001-03-14 벽걸이 화분 KR200258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916U KR200258080Y1 (ko) 2001-03-14 2001-03-14 벽걸이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916U KR200258080Y1 (ko) 2001-03-14 2001-03-14 벽걸이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080Y1 true KR200258080Y1 (ko) 2001-12-24

Family

ID=7309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916U KR200258080Y1 (ko) 2001-03-14 2001-03-14 벽걸이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0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8080Y1 (ko) 벽걸이 화분
KR200438549Y1 (ko)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200186474Y1 (ko) 벽면부착용 수경재배화분집
WO2001083690A2 (en) Container gardening systems and processes for cultivating plants
KR200437492Y1 (ko)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200465458Y1 (ko)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액자용 화분
KR200251271Y1 (ko) 액자형 조형 장식대
CN216567282U (zh) 一种壁挂式防摔陶瓷花盆
JPH0521643U (ja) 壁掛けプランタ
KR200182370Y1 (ko) 다방향 식재가 가능한 장식용 화분
JP3069514U (ja) 花植ポットの飾り台
CN2474360Y (zh) 一种石头形仿真陶瓷花盆
CN2349917Y (zh) 全木套盆
KR100460395B1 (ko) 거리와 주변장식용 화분 및 그 제조방법
JP2021114915A (ja) 鉢植え
KR200242315Y1 (ko) 송이석을 이용한 액자형 분재
KR200392928Y1 (ko) 꽃꽂이 수반이 착탈 가능한 케익 모양의 식재용 화분
KR200394798Y1 (ko) 원목 실내 벽장식 액자
KR200339556Y1 (ko) 난초 재배용 기능성 도자기 화분
KR200201433Y1 (ko) 벽장식용꽃병
KR101230289B1 (ko)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
CN2922436Y (zh) 用于室内装饰的可种植壁挂装置
KR200210383Y1 (ko) 벽등화분받침대
JPH0449882Y2 (ko)
KR200318350Y1 (ko) 걸이용 액자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