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289B1 -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289B1
KR101230289B1 KR1020120008821A KR20120008821A KR101230289B1 KR 101230289 B1 KR101230289 B1 KR 101230289B1 KR 1020120008821 A KR1020120008821 A KR 1020120008821A KR 20120008821 A KR20120008821 A KR 20120008821A KR 101230289 B1 KR101230289 B1 KR 101230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port
delete delete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삼
Original Assignee
(주)상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쿠스 filed Critical (주)상쿠스
Priority to KR102012000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25Flower-pot stabilisers, i.e. means to prevent flower-pots from tipping 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4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식물의 뿌리를 수용하기 위한 포트와, 상기 포트가 끼워지기 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본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또는, 상기 포트와 본체부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여, 건축물의 실내는 물론 차량 내부에서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 및 실내 내부의 분위기 연출 효과가 있음은 물론, 실내의 데스크 위나 또는 가구재 및 유리 등 소공간 또는 소면적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실내 공간 연출 효과 및 실내 인테리어 효과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관상재배의 효율성이 극대화 및 실내의 자투리 공간 활용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도록 하는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HYDROPONICS GROWING POT FOR INTERIER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수경재배 포트에 관한 것으로, 실내 및 차량 내부 등 실내의 인테리어 효과 효율성 증대를 위한 측면 부착이 가능한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증대시킴은 물론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해 화분을 이용하여 각종 식물 등을 재배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러한 형태 즉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술한 화분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화분은 최소 직경을 갖는 것이라 하더라도 일정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면적의 한계로 인하여 많은 수의 화분을 놓는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면상에 화분을 놓는 형태에서 걸이 형태 즉 천장에 매달아 놓는 형태의 화분이 제시되고는 있으나, 많은 수의 화분이 천정에 매달리는 경우 미관상 미려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는 달리 벽면에 구조물을 형성하여 그 구조물에 부착하는 형태의 화분이 제시되고는 있지만, 인테리어적 효과는 극히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 중의 하나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특허등록 제 10-0379852 호인 "튜브형 분화 및 튜브형 포트에서의 꽃 재배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한 선행 기술의 경우, 튜브형 분화라는 특이한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완전히 성장된 꽃줄기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의 직경을 갖고 완전히 성장된 뿌리를 전부 포함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양단이 모두 개방된 튜브형 포트와, 상기 튜브형 포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용토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공기와 수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결합편과, 상기 튜브형 포트 내에 충진되고 버어미큘라이트, 입상압면, 퍼얼라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알갱이 물질이나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용토와, 상기 용토에 뿌리가 착생되도록 튜브형 포트 내에 어린 꽃을 이식한 후 일정 기간동안 생육된 꽃과, 상기 튜브형 포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시트형 포장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분화』 및,
『완전히 성장된 꽃줄기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의 직경을 갖고 완전히 성장된 뿌리를 전부 포함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고 하단부에 용토의 유출은 방지하되 공기와 수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결합편이 설치된 튜브형 포트 내에 입상압면, 버어미큘라이트, 퍼얼라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용토를 충진하는 용토 충진 단계와, 상기 튜브형 포트 내에 어린 꽃을 심는 꽃 이식 단계와, 상기 이식된 꽃에 살수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생육준비단계와, 상기 이식된 꽃에 영양액을 주입하여 생육시키는 본생육단계와, 상기 꽃이 일정한 크기로 성장하면 상기 튜브형 포트의 외주면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분화 재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선행 기술은 튜브형 포트를 이용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구성이 일부 포함될 수 있으나, 포트의 삽입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상자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상자를 구비하게 될 경우 인테리어적 효과를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화분에 의해 필요로 하는 면적 등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기술적 해결은 선행 기술에서는 극복될 수 없는 것으로, 상자에 포트를 꽂아 놓은 상태에서 자생되도록 하거나 또는 판매를 목적으로 튜브형 포트 외주면에 포장용 포트를 삽입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기대하거나 또는 실내의 좁은 공간 활용 측면에서 그 효과를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허등록 제 10-0379852 호(2003. 04. 10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실내용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하기 위한 수경재배 포트를 제공하되, 차량 내부에서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분위기 연출 효과가 있음은 물론, 실내의 데스크 위나 또는 가구재 및 유리 등 소공간 또는 소면적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벽면체나 가구재 등의 표면에 본 발명의 수경재배포트가 측면 부착 및 탈거가 자유롭도록 구성 하므로서, 실내 공간 연출 효과 및 실내 인테리어 효과의 효율성이 증대되도록 함은 물론, 관상재배의 효율성이 극대화 및 실내의 자투리 공간 활용도가 배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내부에 식물의 뿌리를 수용하는 수경재배포트가 끼워지는 본체부를 이루는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전면으로 인조보석으로 되는 장식구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구는 투명재질의 아크릴을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지는 중공부를 이루며 저면은 개방되는 개구부를 이루고, 상면은 막혀지는 원통형체를 이루는 아크릴성형체의 하단 저면 표면에 글자, 무늬, 문양을 이루며 표시하는 음각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크릴성형체 내부에는 인조보석이 삽입되어 인조보석 하단측을 에폭시 몰딩처리하는 몰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음각부가 형성된 아크릴성형체 하단 표면측에 양면테이프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수경재배포트의 다수 배열 지지를 위한 것으로, 측면지지대와 상기 측면지지대 상측에 다단으로 결합되는 베이스지지대와, 상기 측면지지대의 저면 및 배면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대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지지대에 안착홈을 다수개 등간격 이격 구성하여 본체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판이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며 양면테이프에 의해 접착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실내는 물론 차량 내부에서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 및 실내 내부의 분위기 연출 효과가 있음은 물론, 실내의 데스크 위나 또는 가구재 및 유리 등 소공간 또는 소면적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실내 공간 연출 효과 및 실내 인테리어 효과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관상재배의 효율성이 극대화 및 실내의 자투리 공간 활용도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도
도 2는 도 1에서 포트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본체부 및 지지부를 분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본체부 전면측에 장식구를 구비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의 장식구를 인조보석으로 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공정도
도 6은 도 5에 의한 장식구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장식구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장식구 내부에 인조보석을 분리한 상태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장식구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본체부와 지지부간을 분리 도시한 사시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의 지지부에서 제1지지판과 지지부간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서의 포트에 수경재배를 위한 식물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서의 지지부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고정부를 구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서의 지지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3에 의한 지지부를 이용하여 측면 고정이 가능한 예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의 포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다수의 포트를 배열 배치되도록 하는 지지대를 구성한 일예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의한 지지대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6에 의한 지지대를 이용하여 포트를 고정 배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듯이 관상식물이나 기타 식물류 등을 비교적 쉽게 재배할 수 있음은 물론, 관상용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경재배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식물의 뿌리를 수용하기 위한 포트(100)와, 상기 포트(100)가 끼워지기 위한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와 결합되며 본체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00)로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삭제
삭제
먼저 포트(100)는 앞서 선행 기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튜브형 포트(100)를 의미하게 되는데, 선행 기술에서의 포트와는 달리 양단이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상단만 개방되도록 하는 관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포트(100)에는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포트(100)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물과 접촉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포트(100)의 재질은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금속재, 스텐레스 재질,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그 형태는 원통형상으로만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사각형태나 기하학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포트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포트(100)는 본체부(200)와 분리된 상태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체부(200)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트(100)와 일체로 이루거나 또는 포트(100)가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포트(100)가 지지되도록 함은 물론 후술하는 지지부(300)에 의해 전체적으로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200)는 도면에서는 사각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사각 형태에 국한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예컨데 본체부(200)를 이루는데 있어서, 원통형이나 다각형태는 물론 기하학적 모양과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캐릭터를 형상화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동물 모양의 형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 및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당업자에 의하거나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형태를 이룰 수 있는 본체부(200)는 그 저부면에 후술하게 되는 지지부(300)와 결합되어 회동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구(220)를 구성한다.
이러한 결합구(220)는 도 3에서 보듯이 후술하는 지지부(300)의 볼(311)과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회동이 가능하며 본체부(200)의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그 결합구(220)의 하단부가 절개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구(220)에 의해 본체부(200)는 지지부(300)와 강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200)와 포트(100)간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타입에 의할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상단이 개구되는 포트삽입홈(210)을 구비한다.
물론 포트(100)와 본체부(200)간 분리 타입이 아닌 일체형 타입의 경우에는 이러한 포트삽입홈(210)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체부(200)의 인테리어적 기능을 더욱 부각시키도록 하기 위해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부에 장식구(230)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식구(230)는 인조보석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장식구(230)를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데 본 발명에서의 장식구(230)는 아크릴성형체 성형단계(S10)를 거친 후 인조보석을 삽입 고정하는 인조보석 삽입 고정단계(S20)를 거친 다음, 아크릴성형체 성형단계에 의해 표시되는 음각부위가 제외되는 부분만을 선택된 색상으로 인쇄하는 인쇄단계(S30)를 거치고, 음각부(235)를 제외하며 인쇄되는 부분과 식별 대비 되도록 타 색상에 의해 증착처리하게 되는 증착단계(S40)를 거쳐 완성된 장식구(230)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아크릴성형체 성형단계(S10)는 투명재질의 아크릴을 이용하여 저면은 개방되고 상면은 막혀 지는 원통형체를 이루는 아크릴성형체(231)를 얻되 상기 아크릴성형체(231)의 하단 저면 표면에 글자, 무늬, 문양을 이루도록 표시하는 음각부(235)가 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인조보석 삽입 고정단계(S20)는 상기 아크릴성형체 성형단계에 의해 얻게 되는 아크릴성형체의 내부에 인조보석을 삽입한 후 그 저면측을 몰딩 처리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인쇄단계(S30)는 상기 아크릴성형체 성형단계(S10)에 의해 표시되는 음각부(235)가 제외되는 부분을 이루는 인쇄제판을 형성하고, 그 인쇄제판을 이용하여 상기 음각부(235)가 제외되는 부분만을 선택된 색상으로 인쇄하게 되는 과정을 의미하고, 상기 증착단계(S40)는 상기 음각부(235)를 제외하며 인쇄되는 부분과 식별 대비 되도록 타 색상에 의해 증착처리하게 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얻게 되는 장식구(230)는, 아크릴성형체(231)와 인조보석(232)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장식구(230)를 이루는 상기 아크릴성형체(231)는 상면은 막혀 지는 원통형체를 이루되,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233)를 이루어 하방이 개구되는 개구부(234)를 이루고, 상기 아크릴성형체(231) 하단 개구부의 주연부 저면 표면에는 글자, 무늬, 문양을 이루도록 표시하며 증착처리되는 음각부(235)가 형성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아크릴성형체(231)의 내부에는 인조보석(232)이 삽입되어 인조보석(232) 하단측을 에폭시로 몰딩처리하게 되는 몰딩부(23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음각부(235)가 형성되는 아크릴성형체(231) 하단 표면측에 양면테이프(237)를 형성하여서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200)와 결합되어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00)는 데스크 타입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과 측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데 도 12 는 데스크 타입으로 지지되는 지지부(3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300)는 본체부(200)의 결합구(220)에 끼워지기 위한 볼(311)을 구비하여서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311)이 구비되는 제1지지판(310)을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판(310)의 저면부에 양면테이프(312)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300) 중앙에 홈(320)을 형성하여 상기 홈(320)에 상기 제1지지판(310)이 삽입되어 양면테이프(312)에 의해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300)가 데스크 타입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도 3에서 보듯이 지지부(300)의 저면부측에 양면테이프(30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데스크 타입의 지지부(300)와는 달리 측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부(300)를 구성할 수 있는데, 도 13 내지 도 1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0)의 일측면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고정부(330)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고정부(330)에 양면테이프(3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측면고정부(330)를 갖는 지지부(300)를 이용할 경우, 측면 부착이 가능하게 되는데 예컨데, 가구재의 측면이나 벽면 패널 또는 컴퓨터 본체 측면 등에 측면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부착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해, 실내의 유리, 거울, 가구재 등이나 전자제품 측면 등으로의 부착이 가능하고, 아울러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측면 부착이 가능한 수경재배 포트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에 부착 가능할 수 있어, 차량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순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수경재배 포트를 다수개로 꽂아 배열할 수 있는 지지대(400)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데 도 16 내지 도 18은 이와 같은 수경재배 포트를 이용하여 지지대(400)를 구성한 후 실내의 인테리어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지지대(400)는 측면지지대(410)와 상기 측면지지대(410) 상측에 다단으로 결합 되는 베이스지지대(420)와, 상기 측면지지대(410)의 저면 및 배면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대(430)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지지대(420)에 안착홈(421)을 다수개 등간격 이격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지대(4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경재배 포트(100)를 배열할 때에는, 상기 포트(100)의 지지부(300) 구성은 제1지지판(310)으로만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안착홈(421)에 제1지지판(310)이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제1지지판(31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는 양면테이프(312)를 이용하여 상기 안착홈(421)과 제1지지판(310)간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베이스지지대(420)와 연결지지대(430)는 상기 측면지지대(410)간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을 위해, 상기 측면지지대(410)에 다수개의 결합홈(411)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지지대(420)와 연결지지대(430) 양단부측이 상기 결합홈(411)에 강제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400)를 이용할 경우 본 발명에서의 수경재배 포트(100)를 여러개 배열 배치하여 재배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지지대(400)를 투명 재질로 구성할 경우 인테리어적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수경재배 포트(100) 저부면에 LED램프를 구성하여 야간에 은은한 조명 효과를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LED램프가 포트(100) 내부 저부면에 구성될 경우에는 수밀성을 갖추어야 하며 이 경우에는 포트(100)와 본체부(200)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에 적합하고, 포트(100)와 본체부(200)가 분리되는 구성의 경우에서는 본체부(200)의 포트삽입홈(210) 저면에 LED램프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포트(100)와 본체부(200)간 분리되는 구성에서, LED램프를 포트(100) 외주면에 배열하고 상기 포트(100)의 저면과 본체부(200)의 포트삽입홈(210) 저면간을 상호 단자로 연결할 경우, 포트(100)가 포트삽입홈(210)에 끼워지며 단자 접촉될 때 포트(100) 외주면에 배열되어 있는 LED램프가 점등되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제어부 등을 통하여 점등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LED램프의 구성 및 점등 구성은 공지의 기술적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100; 포트
200; 본체부 210; 포트삽입홈
220; 결합구
230; 장식구 231; 아크릴성형체
232; 인조보석 233; 중공부
234; 개구부 235; 음각부
236; 몰딩부 237; 양면테이프
300; 지지부 310; 제1지지판
311; 볼 312; 양면테이프
320; 홈 330; 측면고정부
331; 양면테이프
400; 지지대 410; 측면지지대
411; 결합홈 420; 베이스지지대
421; 안착홈 430; 연결지지대

Claims (11)

  1. 내부에 식물의 뿌리를 수용하는 수경재배포트가 끼워지는 본체부를 이루는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전면으로 인조보석으로 되는 장식구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구는 투명재질의 아크릴을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지는 중공부를 이루며 저면은 개방되는 개구부를 이루고, 상면은 막혀지는 원통형체를 이루는 아크릴성형체의 하단 저면 표면에 글자, 무늬, 문양을 이루며 표시하는 음각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크릴성형체 내부에는 인조보석이 삽입되어 인조보석 하단측을 에폭시 몰딩처리하는 몰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음각부가 형성된 아크릴성형체 하단 표면측에 양면테이프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수경재배포트의 다수 배열 지지를 위한 것으로, 측면지지대와 상기 측면지지대 상측에 다단으로 결합되는 베이스지지대와, 상기 측면지지대의 저면 및 배면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대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지지대에 안착홈을 다수개 등간격 이격 구성하여 본체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판이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며 양면테이프에 의해 접착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08821A 2012-01-30 2012-01-30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 KR101230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821A KR101230289B1 (ko) 2012-01-30 2012-01-30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821A KR101230289B1 (ko) 2012-01-30 2012-01-30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289B1 true KR101230289B1 (ko) 2013-02-06

Family

ID=4789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821A KR101230289B1 (ko) 2012-01-30 2012-01-30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2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451A (ko) * 1999-07-13 1999-10-05 황의성 태양빛에의하여회전되는화분받침대
KR20010016386A (ko) * 2000-12-07 2001-03-05 신동학 화초재배 기능을 갖는 숯 장식용품
KR100379852B1 (ko) * 2000-02-03 2003-04-10 김정복 튜브형 분화 및 튜브형 포트에서의 꽃 재배 방법
KR20080054947A (ko) * 2006-12-14 2008-06-19 주식회사 아이.티.피 수경재배를 위한 미니화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451A (ko) * 1999-07-13 1999-10-05 황의성 태양빛에의하여회전되는화분받침대
KR100379852B1 (ko) * 2000-02-03 2003-04-10 김정복 튜브형 분화 및 튜브형 포트에서의 꽃 재배 방법
KR20010016386A (ko) * 2000-12-07 2001-03-05 신동학 화초재배 기능을 갖는 숯 장식용품
KR20080054947A (ko) * 2006-12-14 2008-06-19 주식회사 아이.티.피 수경재배를 위한 미니화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5783A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KR200390580Y1 (ko) 액자형 화분
KR101011377B1 (ko) 관상식물용 천정 부착형 지지체
KR100653790B1 (ko) 벽면 부착식 컬러블록화분 및 이를 이용한컬러블록화분세트
KR101230289B1 (ko)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
KR200186476Y1 (ko) 벽면부착용 수경재배화분집
JP3827680B2 (ja) 花卉植栽構造
CN203896850U (zh) 卧式竹质绿色植物架
CN203633282U (zh) 水培植物定植篮
KR20120074429A (ko) 식물재배용기
KR200437492Y1 (ko)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101011378B1 (ko) 관상식물용 수직형 지지체
KR20120069857A (ko) 블럭화분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구성된 화분장식장
CN203457583U (zh) 一种具有保水吸水功能的植物种植盆
CN202085564U (zh) 水培花盆
KR20180075873A (ko) 포트 꽃이대
CN203692112U (zh) 气生植物垂直绿化悬挂花器
JP3069514U (ja) 花植ポットの飾り台
CN216673961U (zh) 一种用于景观设计的艺术美观装置
KR200251271Y1 (ko) 액자형 조형 장식대
KR20170001727U (ko) 부착형 미니화분
KR200483887Y1 (ko) 화분
RU47169U1 (ru) Вертикальное цветочное панно
KR200182370Y1 (ko) 다방향 식재가 가능한 장식용 화분
JP2000270678A (ja) 植物育成,観賞用電気スタンド兼装飾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