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727U - 부착형 미니화분 - Google Patents

부착형 미니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727U
KR20170001727U KR2020150007277U KR20150007277U KR20170001727U KR 20170001727 U KR20170001727 U KR 20170001727U KR 2020150007277 U KR2020150007277 U KR 2020150007277U KR 20150007277 U KR20150007277 U KR 20150007277U KR 20170001727 U KR20170001727 U KR 201700017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pot
plants
pedestal
mini
flow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관
Original Assignee
김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관 filed Critical 김진관
Priority to KR2020150007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727U/ko
Publication of KR201700017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72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01G9/108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인장이나 다육식물과 같이 살아 있는 식물을 매우 작은 크기의 미니화분에 식재하여 책상, 달력, 컴퓨터 모니터, 거울, 냉장고 등 여러 물품의 어디든지 손쉽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아있는 식물을 키운다는 정서적인 안정감과 더불어 독특한 장식성과 유희성을 갖도록 한 부착형 미니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상,하로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바디(11)와, 이 바디(11)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평판체의 브라켓트(12)로 이루어지는 화분받침대(10)와; 상기 바디(11)의 상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조립 및 분해되는 원통형의 화분케이스(20)와; 상기 화분받침대(10)의 내부에 삽입 체결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중심부가 절개되는 한 쌍이 서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선인장, 다육식물 등의 식물이 식재되는 배지(31)가 충진되면서 저면에는 다수의 배수공(34)이 형성되는 배지통(30)과; 상기 화분받침대(10)의 브라켓트(12)가 점착 및 분리되고, 금속, 목재, 합성수지, 유리로 이루어지는 각종 물품의 표면에 부착 및 탈리되어 화분받침대(10)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착패드(40);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부착형 미니화분{Attachable mini potted plant}
본 고안은 부착형 미니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인장이나 다육식물과 같이 살아 있는 식물을 매우 작은 크기의 미니화분에 식재하여 책상, 달력, 컴퓨터 모니터, 거울, 냉장고 등 여러 물품의 어디든지 손쉽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아있는 식물을 키운다는 정서적인 안정감과 더불어 독특한 장식성과 유희성을 갖도록 한 부착형 미니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화초를 식재하여 키우도록 하는 용기로서, 대부분 화분의 크기나 중량을 감안하여 실내,외의 바닥면에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근자에는 협소한 공간에서나 또는 장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내,외의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도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벽면 부착형 화분의 가장 보편적인 구성은 자석이 붙을 수 있는 재질의 가구나 또는 실내 구조물의 벽면에 부착되도록 자석을 채용한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즉, 종래에 제안된 국내 특허등록 제10-1402752호에서는 벽면에 대한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자력이 큰 자석을 구비하면서도 벽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자석이 화분 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자력을 이용한 벽면 부착형 화분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자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력이 강하다 하더라도 금속 재질의 가구나 전자제품 등의 물품에만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에 제한성이 있고, 금속재질이 아닌 벽면 등에서는 별도의 자석이나 금속을 고정설치하여야 하는 선행과정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자석으로 인한 비용증가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형태의 종래 제안된 부착형 화분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66628호를 들 수 있다.
이는 하늘에 떠 있는 반달모양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식물의 아름다운 형태와 동시에 광고, 예를들어,기업 이미지광고, 캠페인, 기타 등을 접목하여 플라스틱, 스탠드, 유리, 거울, 철 벽면 등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부착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착형 화분은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배면이 평면으로 마련되며 배면의 외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반달형 용기를 갖추어 구성되고, 용기의 후면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용기자석부착판이 형성되며, 이와 반면에 화분을 부착하고자 하는 대상물에는 별도의 자석부착판이 고정되어 이들이 가지는 자력에 의해 화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화분과, 이 화분이 부착되는 대상물에 별도의 자석부착판을 설치한 후, 이들의 자력으로 부착하는 구성임으로써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자석부착판이 부착될 수 있는 금속재질의 대상물이 아닌 경우에는 즉, 유리, 플라스틱, 목재 등의 대상물에 화분을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하거나 또는 자석부착판을 고정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연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형태의 종래 부착형 화분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256044호를 들 수 있으며, 이의 구성은 화초가 식재되는 화분식재부와, 건물의 내,외벽면에 고정되도록 지지부가 설치되어 상기 화분식재부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화분식재부가 간단하게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부착형 화분을 제공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자석을 사용하지 않은 차이는 있지만, 이 역시 벽면에 별도의 지지부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처가 한정될 뿐만 아니라, 전자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은 여전히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아주 작은 크기의 선인장, 다육식물 등과 같은 식물들을 여러 가지 악조건속에서도 원활하게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즉, 캡슐형 투명용기로 이루어지는 미니화분에 아주 작은 식물을 식재한 후, 이를 핸드폰, 가방, 핸드백 등의 여러 가지 제품에 연결줄로서 연결하여 악세사리용의 장식구로서 사용토록 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3451호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 구성은 내부가 투시되는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투명용기를 갖추어 구성되고, 이의 내부에는 식물에게 최소한의 영양분을 제공토록 하는 배지(培地:배양토)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배지에는 매우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식물(선인장, 난과식물 및 다육식물)이 식재되는 것이며, 이러한 투명용기의 상부에는 별도의 연결줄이 설치되어 핸드폰 등과 같은 각종 제품에 메달아 사용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용기의 상부에 별도의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줄을 연결 설치하여야 하는 것임으로써 이에 따른 연결수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휴대하여야 함에 따라 계속된 진동에 의해 용기가 파손되거나 식물이 원활하게 생장하기 어려운 등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선인장, 다육식물 등의 아주 작은 크기의 살아있는 식물을 미니화분에 식재하여 키울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의 미니화분을 금속, 목재, 합성수지, 유리 등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물품에도 쉽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부착형 미니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미니화분을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그 설치위치를 수시로 변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우는 과정에서 수분을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는 등 장식성 및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부착형 미니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 또다른 특징은 미니화분에 식재된 식물이 일정기간 성장하여 크기가 크지고 나면 다른 일반적인 큰 화분에 옮겨서 키울 수 있도록 하는 부착형 미니화분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새로운 개념의 부착형 미니화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각종 물품에 부착 또는 탈리시킬 수 있도록 매우 소형의 미니화분으로 형성하면서도 선인장, 다육식물 등의 살아있는 식물을 식재하여 키울 수 있도록 하고, 이의 미니화분을 별도의 화분받침대와 스티키 패드(sticky pad)를 이용하여 탈착이 용이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본 고안은 일측면에 브라켓트를 가지면서 상부에는 화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화분받침대와, 상기 화분받침대의 브라켓트에 점착되면서 각종 물품의 표면에 부찰될 수 있도록 하는 스티키 패드로 이루어는 점착패드와, 상기 화분받침대의 상부에 조립 및 분해되는 화분케이스와, 상기 화분받침대 및 화분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식물이 식재되어 영양분을 공급토록 하는 배지(배양토)가 구비되는 배지통을 갖추어 구성됨으로써 책상, 컴퓨터 모니터, 거울 등 각종 물품의 표면에 탈부착하여 살아있는 선인장, 다육식물 등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화분을 아주 작은 크기의 미니화분으로 제작하면서도 선인장, 다육식물 등과 살아있는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화분을 책상이나 컴퓨터 모니터, 거울, 각종 가전제품 등 사용자의 근접된 위치에 존재하는 각종 물품에 손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은 스티키 점착패드를 이용하여 별도의 공구나 장비가 없이도 아무 곳에라도 마음대로 부착하거나 탈리시킬 수가 있음으로써 장소나 공간에 구애됨이 없이 살아있는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스티키 점착패드를 사용함에 따라 미니화분을 특정 위치에 쉽게 고정하거나 탈리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 후에도 끈적거림이나 기타 이물질이 묻지 않는 등의 특징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미니화분의 내부에 배지(배양토)를 사용함에 따라 수분만 공급하기만 하면, 어린이는 물론이고 누구나 살아있는 식물을 손쉽게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로 성장하게 되면, 이를 일반적인 큰화분에 옮겨 심어서 계속하여 식물을 키울 수 있는 등 독특한 장식성과 유희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도4의 분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3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4 및 도5는 본 고안의 세부적인 구성을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부착형 미니화분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는 화분받침대(10)와, 화분받침대(10)의 상부에 체결되는 화분케이스(20)와, 상기 화분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토록 하는 배지(배양토)가 설치되는 배지통(30)과, 상기 본체를 각종 물품의 표면에 직각방향으로 탈부착토록 하는 점착패드(40)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화분받침대(10)는 본체(100)의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토록 하는 프레임으로서, 상,하 개구되는 원통형의 바디(11)를 갖추어 상부에는 별도의 화분케이스(20)가 체결되고, 이 바디(11)의 일측에는 본체(100)를 점착패드(40)로서 각종 물품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원판형의 브라켓트(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화분받침대(10)는 상,하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부에는 화분케이스(20)가 체결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배지(31)가 수납되는 배지통(30) 등의 관련부품이 삽입체결되고, 직각방향의 일측에는 평판체의 브라켓트(12)가 일체로 형성되어 별도의 점착패드(40)로서 본체(100)를 다른 물품의 표면에 직각방향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점착패드(40)는 본체(100)를 여러 가지 다양한 물품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일명 스티키 패드(sticky pad)로서, 부드러운 폴리 우레탄 재질의 강력한 젤로 구성되는 것이며,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물품들도 점착이 가능하며 제품의 점착한 후 분리하더라도 제품에 잔여물이 전혀 남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금속, 목재, 합성수지, 유리 등의 재질에 구애됨이 없이 미니화분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0)를 어떠한 물품에도 손쉽게 부착하거나 탈리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분케이스(20)는 상,하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화분받침대(10)의 상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조립식으로 체결됨으로써 전체적인 미니화분의 외형을 유지하면서도 이의 내부에는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배지(31)가 수납된 배지통(30)이 삽입체결된다.
즉, 상기 화분케이스(20)의 내부에는 별도의 배지통(30)이 삽입체결되고, 이의 내부에 수납된 배지(31)에 식물이 식재되어 화분케이스(20)의 상부로 노출됨으로써 화분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배지통(30)은 상부가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화분받침대(10) 및 화분케이스(20)의 내부에 삽입체결되면서도 중심부가 절개되어 양측으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토록 구비되고, 내부에는 식물이 식재되면서도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배양토의 배지(31)가 수납된다.
이러한 배지통(30)은 양측으로 절개되어 두 개의 단위부재로 형성되면서도 이들은 양측면에 각각 체결홈(32) 및 체결돌기(33)가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토록 구비되고, 또한 이들의 저면에는 배수를 위한 다수의 배수공(34)이 상,하 연통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지통(30)의 내부에 충진되는 배지(31)는 공지된 바 있는 자연친화적인 토양으로서 충분히 살균된 상태로 제조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으면서도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과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식물은 상기 배지통(30)의 상부 구멍을 통하여 내부에 충진된 배지(31)에 식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배지통(30)은 화분받침대(10) 및 화분케이스(20)의 내부에 체결되어 지지됨으로써 식물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화분을 아주 작은 크기의 미니화분, 예컨데 지름 3Cm, 높이 3Cm로 이하로 구성되면서도 접착패드는 상,하 길이가 5Cm 이하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미니화분의 본체(100)를 책상을 포함하는 책상 위에 올려지는 컴퓨터, 모니터, 칸막이, 거울 등의 각종 물품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미니화분에 선인장, 다육식물 등의 살아있는 식물을 직접 식재하여 키울 수 있음으로써 장식적인 효과는 물론이고, 살아있는 식물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정서적으로도 안정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미니화분은 첨부된 도면에서도 보듯이 두 개로 분할되는 배지통(30)의 내부에 배지(31)를 충진시킨 상태에서 선인장, 다육식물을 식재한 후, 배지통(30)의 체결홈(32) 및 체결돌기(33)을 이용하여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배지(31)는 통상에서와 같이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배지통(30)은 그 전체를 물 속에 담가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배지통(30)은 화분받침대(10)의 상부에서 그 내부로 삽입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화분받침대(10)에 체결 후에는 그 상부에서 화분케이스(20)를 화분받침대(10)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식물을 안정된 상태로 식재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미니화분을 다양한 물품에 부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로 이루어지는 점착패드(40)를 부착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먼저 부착하고, 이어서 상기 점착패드(40)에 화분받침대(10)의 브라켓트(12)를 밀착하여 부착함으로써 손쉽고도 간편하게 미니화분을 부착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점착패드(40)는 공지된 바와 같이 일명 스티키 패드(sticky pad)로서, 부드러운 폴리 우레탄 재질의 강력한 젤로 구성됨으로써 재질에 관계없이 어떠한 제품도 점착이 가능하며, 한번 사용후 탈리시키더라도 제품에 잔여물이 전혀 남지 않으면서 재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점착패드(40)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미니화분(100)을 도면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각종 대상물에 손쉽고도 편리하게 부착 및 탈리 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의 역순으로 화분케이스(20)를 화분받침대(10)로 부터 분리하고, 배지통(30)을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한 후, 배지통(30)을 물 속에 담가두게 되면, 배지통(30)의 상부와 하부의 배수공(34)을 통하여 수분이 배지(31)로 흡수됨으로써 수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가 있으며, 수분의 공급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식물을 키우다가 식물이 지나치게 성장한다거나 또는 다른 식물을 키우기 위하여 키우던 식물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배지통(30)을 분리한 후, 식물을 별도의 일반적인 큰 화분으로 옮겨서 키울 수가 있는 것이다.
100:본체 10:화분받침대
11;바디 12:브라켓트
20:화분케이스 30:배지통
31:배지 32:체결홈
33:체결돌기 34:배수공
40:점착패드

Claims (1)

  1. 상,하로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바디(11)와, 이 바디(11)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는 평판체의 브라켓트(12)로 이루어지는 화분받침대(10)와;
    상기 바디(11)의 상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조립 및 분해되는 원통형의 화분케이스(20)와;
    상기 화분받침대(10)의 내부에 삽입 체결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중심부가 절개되는 한 쌍이 서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선인장, 다육식물 등의 식물이 식재되는 배지(31)가 충진되면서 저면에는 다수의 배수공(34)이 형성되는 배지통(30)과;
    상기 화분받침대(10)의 브라켓트(12)가 점착 및 분리되고, 금속, 목재, 합성수지, 유리로 이루어지는 각종 물품의 표면에 부착 및 탈리되어 화분받침대(10)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착패드(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미니화분.





KR2020150007277U 2015-11-10 2015-11-10 부착형 미니화분 KR201700017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77U KR20170001727U (ko) 2015-11-10 2015-11-10 부착형 미니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77U KR20170001727U (ko) 2015-11-10 2015-11-10 부착형 미니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27U true KR20170001727U (ko) 2017-05-18

Family

ID=5902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277U KR20170001727U (ko) 2015-11-10 2015-11-10 부착형 미니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72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938A (ko) 2020-02-05 2021-08-13 박예은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938A (ko) 2020-02-05 2021-08-13 박예은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7921A (zh) 一种无土栽培装置
KR20170001727U (ko) 부착형 미니화분
CN210298727U (zh) 一种林业用育苗培养装置
CN201405663Y (zh) 一种壁挂式花盘及生态挂画
KR100653790B1 (ko) 벽면 부착식 컬러블록화분 및 이를 이용한컬러블록화분세트
CN210008374U (zh) 一种多格室可组合高杆水培植物定植套盆
CN207040346U (zh) 一种横向排水壁式培养架
CN205113896U (zh) 一种可分拆多功能箱体
CN201674827U (zh) 方便栽培和鉴赏的花盆
JP2007319567A (ja) テーブル
CN214508238U (zh) 一种观赏花盆
CN2922460Y (zh) 花瓶鱼缸
CN210610724U (zh) 悬挂式景观装置
KR101230289B1 (ko) 수경재배포트를 이용한 인테리어 결합구조
JP3069514U (ja) 花植ポットの飾り台
CN212993319U (zh) 一种拼接式多功能花器固定摆件
CN201774853U (zh) 水土两用花盆
KR200466628Y1 (ko) 부착형 화분
CN202635205U (zh) 一种吊盆
CN219628441U (zh) 植物移植的花盆
CN211657471U (zh) 仿真花盆栽
CN210226335U (zh) 一种新型植物栽培容器
CN202153889U (zh) 一种植物壁画装置
CN202127653U (zh) 一种植物壁画栽培装置
KR200379439Y1 (ko) 이중 벽 구조의 미니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