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938A -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 - Google Patents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938A
KR20210099938A KR1020200013898A KR20200013898A KR20210099938A KR 20210099938 A KR20210099938 A KR 20210099938A KR 1020200013898 A KR1020200013898 A KR 1020200013898A KR 20200013898 A KR20200013898 A KR 20200013898A KR 20210099938 A KR20210099938 A KR 20210099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endar
flowerpot
spring
pot body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예은
Original Assignee
박예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예은 filed Critical 박예은
Priority to KR102020001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9938A/ko
Publication of KR20210099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B42D5/045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combined with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식물이 키워지는 화분본체; 및 상기 화분본체에 형성되며, 달력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PLANT POT AND CALEND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로서, 식물이 키워지는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화초를 식재하여 키우도록 하는 용기로서, 대부분 화분의 크기나 중량을 감안하여 실내,외의 바닥면에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근래에는 협소한 공간에서나 또는 장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내,외의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벽면 부착형 화분도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벽면 부착형 화분의 가장 보편적인 구성은 자석이 붙을 수 있는 재질의 가구나 또는 실내 구조물의 벽면에 부착되도록 자석을 채용한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자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력이 강하다 하더라도 금속 재질의 가구나 전자제품 등의 물품에만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에 제한성이 있고, 금속재질이 아닌 벽면 등에서는 별도의 자석이나 금속을 고정설치하여야 하는 선행과정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자석으로 인한 비용증가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달력은 1년 가운데 달, 날, 요일, 이십사절기, 행사일 따위의 사항을 날짜에 따라 적어 놓은 것으로서, 벽면에 걸어놓는 형태와 탁자에 올려놓은 형태로 활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달력은 사용자가 빈번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날짜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으로만 활용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72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달력에 화분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식물이 키워지는 화분본체; 및 상기 화분본체에 형성되며, 달력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걸림부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달력의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에 안착지지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화분본체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는 하부에 상기 스프링이 인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홈의 수직단면이 상기 스프링의 상부구조와 대응되게 반원형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달력의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에 끼움지지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화분본체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프링에서 길이방향의 중심홀 구조와 대응되게 원형바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링형상을 지닌 링몸체; 및 상기 링몸체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는 걸림바;를 구비하며,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에 착탈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분본체는 납작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면이 상기 달력의 전면과 대응되게 평면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본체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분본체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물이 꽂히도록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홀이 형성되며, 본 발명은 상기 상부홀에 삽입조립되며, 상기 식물이 관통배치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상부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된 화분; 및 상기 화분의 상기 화분본체가 인입되도록, 상기 화분본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인입홈이 일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술된 달력;을 포함하는 달력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달력에 화분이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책상이나 탁자 위에서 탁상달력을 통해 기본적으로 날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탁상달력에 설치된 화분을 통해 주변환경을 미화시킴으로써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주며, 아울러 눈의 피로를 줄여주면서 공기청정도 가능함에 따라 책상에서 공부하는 학생이나 작업하는 작업자의 건강에도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고, 나아가 정서적인 안정감이나 식물재배로 인한 유희감도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력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달력구조체에 포함된 달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달력구조체에 포함된 화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력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달력구조체에 포함된 화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력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달력구조체에 포함된 화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화분에서 걸림부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력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달력구조체에 포함된 화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달력구조체에 포함된 달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달력구조체(100)는 화분(110)과, 달력(12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화분(110)은 화분본체(111)와, 걸림부(11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화분본체(111)는 식물이 키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림부(112)는 화분본체(111)에 형성되며 달력(12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달력(120), 대표적인 일례로서 탁상달력(120)에 화분(110)이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책상이나 탁자 위에서 탁상달력(120)을 통해 기본적으로 날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탁상달력(120)에 설치된 화분(110)을 통해 주변환경을 미화시킴으로써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주며, 아울러 눈의 피로를 줄여주면서 공기청정도 가능함에 따라 책상에서 공부하는 학생이나 작업하는 작업자의 건강에도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고, 나아가 정서적인 안정감이나 식물재배로 인한 유희감도 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식물은 수경재배되는 종류일 수 있고, 흙에서 키워지는 종류일 수도 있고, 또는 선인장일 수도 있으며, 나아가 조화도 활용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분본체(111) 내부에는 물, 흙 등 여러 가지 충진물이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분(110)이 달력(120)에 걸림장착 시 달력(120)의 내측에 배치되기 위해, 달력(120)에는 인입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입홈(120a)은 화분본체(111)의 달력(120)에 인입되도록, 화분본체(111)(1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본체(111)의 정면형상이 원형 형상인 경우, 달력(120)에도 원형의 인입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입홈(120a)은 달력(120)의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면서 상측으로 화분본체(111)에 심어진 식물이 연장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인입홈(120a)은 달력(120)이 원래의 기능인 날짜가 표시될 수 있도록, 달력(120)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이 화분본체(111)가 인입되는 인입홈(120a)이 달력(120)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입홈(120a)이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달력(120)에도 본 발명의 화분(110)이 걸림되어 장착될 수 있다.
즉, 일례로서 화분본체(111)가 달력(120)의 일측에 위치되어 걸림부(112)가 달력(120)의 일측에서 달력(120)의 스프링(121)에 걸리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화분본체(111)는 납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본본체(111)가 설치되는 달력(120)은 일반적으로 그 두께가 두껍지 않은 형상을 취하기 때문에, 이러한 달력(120)과 대응되게 납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분본체(111)는 전면이 달력(120)의 전면과 대응되게 평면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화분본체(111)는 달력(120)의 인입홈에 인입되거나, 달력(120)의 일측에 배치 시, 달력(120)의 전면과 일정 정도 이어지는 구조를 취하도록, 달력(120)의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평면구조를 지닐 수 있다.
상술된 화분본체(111)의 전체적인 구조로 인하여, 상기 화분본체(111)는 달력(120)에 걸림되어 설치 시, 달력(120)의 구조와 시각적으로 이질감이 거의 없음에 따라 심미적으로 뛰어난 효과를 내며, 나아가 달력(120)의 전면을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할 때에도 화분본체(111)가 걸리지 않음에 따라 달력(120)으로부터 탈거되어 떨어질 위험을 낮추게 된다.
한편, 상기 화분본체(111)는 식물이 키워지도록 구성되는데, 내부가 보이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화분본체(111)는 유리병이나 투명한 플라스틱병이 활용될 수 있는데, 화분본체(111)에서 수경재배로 식물이 키워질 때 투명한 재질에 의해 내부가 모두 비추어 짐에 따라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본체(111)는 다른 일례로서 도자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도자기 특유의 고운 빛깔과 색감으로 인하여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화분본체(111)는 식물을 잘 키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그 재질에 있어서 종래의 어떠한 종류의 소재도 활용될 수 있고, 아울러 그 구조에 있어서도 종래의 어떠한 구조의 용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걸림부(112)는 화분본체(111)가 달력(120)에 걸리도록 화분본체(111)에 형성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걸림부(112)는 달력(120)의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121)에 안착지지되어 걸림되도록, 화분본체(11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112)가 스프링(121)에 안착지지됨으로써, 화분본체(111)는 달력(120)에 걸림에 따라 달력(120)에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112)는 화분본체(111)가 스프링(121)에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화분본체(111)의 상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화분본체(111)가 지지되는 지점이 상부의 양측에 위치됨으로써, 식물이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무게중심을 가진 부분이 중앙에서 하측에 위치됨에 따라, 화분본체(111)가 달력(120)에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되어 달력(120)으로부터 쉽게 탈거되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112)는 하부에 스프링(121)이 인입되는 지지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112)는 스프링(121)이 인입될 수 있는 지지홈(112a)이 하부에 구성됨으로써, 스프링(121) 상면에 단순히 접하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121)의 상면에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스프링(121)의 폭방향 양측면에도 지지될 수 있음에 따라,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한 흔들림에도 쉽게 스프링(121)으로부터 탈거되지 않게 된다.
나아가, 이때 걸림부(112)는 지지홈(112a)의 수직단면이 스프링(121)의 상부구조와 대응되게 반원형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홈은 지지홈(112a)의 전체적인 내면, 즉 지지홈(112a)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내측 양측면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부분이 스프링(121) 상부의 상면으로부터 폭방향 양측면에 이르는 전체적인 부분에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더욱더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아울러 지지홈(112a)의 내측면이 굴곡진 구조를 취함에 따라 스프링(121)에 안착지지 시 원활하게 슬라이딩 회전됨으로써, 화분본체(111)가 중력방향과 일치되는 안정적인 수직배치된 구조로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력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달력구조체에 포함된 화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부(112)는 다른 실시예로서 달력(120)의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121)에 끼움지지되어 걸림되도록, 화분본체(11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112)가 스프링(121)에 끼움지지됨으로써, 화분본체(111)는 달력(120)에 대한 고정력을 높임에 따라 달력(120)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112)는 화분본체(111)가 스프링(121)에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화분본체(111)의 상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12)는 화분본체(111)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스프링(121)의 길이방향 중심홀(도 2 및 도 4의 121a)에 삽입되어 걸리는 구조를 취하는데,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걸림을 위해 설치하는 사람이 걸림부(112)의 일측 연장부분을 일측 스프링(121)의 중심홀(121a)에 먼저 삽입한 다음, 타측 스프링(121)을 압박하여 약간 휘어지도록 한 상태로 걸림부(112)의 타측 연장부분을 타측 스프링(121)의 중심홀(121a)에 삽입한 후 타측 스프링(121)에 대한 압박을 해제함으로써, 걸림부(112)의 양측 연장부분 모두가 스프링(121)의 중심홀(121a)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걸림부(112)는 스프링(121)에서 길이방향의 중심홀(121a) 구조와 대응되게 원형바 형상인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112)는 외측면이 굴곡진 구조를 취함으로써, 스프링(121)의 중심홀(121a) 내부에 있는 달력(120)의 상단에 안착 시 원활하게 슬라이딩 회전됨에 따라, 화분본체(111)가 중력방향과 일치되는 안정적인 수직배치된 구조로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력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달력구조체에 포함된 화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화분에서 걸림부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부(112)는 달력(120)의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121)에 끼움지지되어 걸림되도록, 화분본체(11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하는데, 구체적으로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화분본체(111)에 착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112)는 링몸체(112b)와, 걸림바(112c)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링몸체(112b)는 화분본체(111)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링형상을 지닌다.
또한, 상기 걸림바(112c)는 링몸체(112b)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스프링(121)에 삽입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걸림부(112)는 화분본체(111)의 상부에 착탈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12)는 화분본체(111)에 착탈가능함에 따라, 화분본체(111)를 달력(120)에 걸어놓기 위해 화분본체(111)에 장착되어 사용된 후, 화분본체(111)가 손상되어 새로운 화분본체로 교체하거나 아니면 분위기 전환을 위해 다른 종류의 화분본체로 교체 시, 기존의 화분본체로부터 탈거된 후 교체될 다른 화분본체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걸림부(112)는 걸림바(112c)가 스프링(121)의 중심홀(도 2 및 도 6의 121a)에 삽입 시 스프링(121)이 일정 정도 휘어짐과 동시에 걸림바(112c) 자체도 탄성적으로 휘어짐에 따라, 양측 걸림바(112c)를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중심홀(121a)에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분(11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마개(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분본체(111)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식물이 꽂히도록 내부공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홀(111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마개(113)는 화분본체(111)의 상부홀(111a)에 삽입조립되며, 식물이 관통배치되도록 관통홀(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마개(113)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화분본체(111)의 상부홀(111a)에 삽입조립 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삽입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상부홀(111a)의 내면을 압박함에 따라 조립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이로 인하여 식물을 키우기 위해 화분본체(111)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물 또는 흙 등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식물이 화분본체(111)의 상부홀(111a)에 꽂혀서 홀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달력(120)에 화분(110)이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책상이나 탁자 위에서 탁상달력(120)을 통해 기본적으로 날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탁상달력(120)에 설치된 화분(110)을 통해 주변환경을 미화시킴으로써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주며, 아울러 눈의 피로를 줄여주면서 공기청정도 가능함에 따라 책상에서 공부하는 학생이나 작업하는 작업자의 건강에도 유익한 효과를 줄 수 있고, 나아가 정서적인 안정감이나 식물재배로 인한 유희감도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달력구조체 110 : 화분
111 : 화분본체 111a : 상부호
112 : 걸림부 112a : 지지홈
112b : 링몸체 112c : 걸림바
113 : 상부마개 113a : 관통홀
120 : 달력 120a : 인입홈
121 : 스프링 121a : 중심홀

Claims (11)

  1. 식물이 키워지는 화분본체; 및
    상기 화분본체에 형성되며, 달력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는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달력의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에 안착지지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화분본체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하부에 상기 스프링이 인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홈의 수직단면이 상기 스프링의 상부구조와 대응되게 반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달력의 상부에 장착된 스프링에 끼움지지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화분본체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프링에서 길이방향의 중심홀 구조와 대응되게 원형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링형상을 지닌 링몸체; 및
    상기 링몸체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는 걸림바;를 구비하며,
    상기 화분본체의 상부에 착탈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는 납작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면이 상기 달력의 전면과 대응되게 평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물이 꽂히도록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상부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홀에 삽입조립되며, 상기 식물이 관통배치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상부마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화분; 및
    상기 화분의 상기 화분본체가 인입되도록, 상기 화분본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인입홈이 일측 상부에 형성된 달력;
    을 포함하는 달력구조체.
KR1020200013898A 2020-02-05 2020-02-05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 KR20210099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898A KR20210099938A (ko) 2020-02-05 2020-02-05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898A KR20210099938A (ko) 2020-02-05 2020-02-05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938A true KR20210099938A (ko) 2021-08-13

Family

ID=7731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898A KR20210099938A (ko) 2020-02-05 2020-02-05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99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727U (ko) 2015-11-10 2017-05-18 김진관 부착형 미니화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727U (ko) 2015-11-10 2017-05-18 김진관 부착형 미니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28002A1 (en) Furniture
KR20120094613A (ko) 식물뿌리 관찰용 투명 인테리어 화분
US20180317408A1 (en) Plant growing stand and plant product
US20210227756A1 (en) Vertical planter box
US6684565B2 (en) Self-standing display device
KR20210099938A (ko)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
KR200390580Y1 (ko) 액자형 화분
KR100653790B1 (ko) 벽면 부착식 컬러블록화분 및 이를 이용한컬러블록화분세트
WO2013082191A1 (en) Wall-mountable plant present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0389810Y1 (ko) 반원통형 투명 화분
KR102360500B1 (ko)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KR20120118131A (ko)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KR101293075B1 (ko)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KR20120074429A (ko) 식물재배용기
KR102519670B1 (ko)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JP2005027611A (ja) 花卉植栽構造
JP2000014260A (ja) フラワーポット外装容器
KR102210110B1 (ko)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KR20230100467A (ko) 방향제가 내장된 식물캘린더조립체
RU47169U1 (ru) Вертикальное цветочное панно
KR200497496Y1 (ko)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KR102381872B1 (ko) 벼 재배용 화분장치
CN216164160U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水培陶瓷花盆
KR0122376Y1 (ko) 화분심지 재배를 이용한 다용도 화분수납함
JP3069514U (ja) 花植ポットの飾り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