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872B1 - 벼 재배용 화분장치 - Google Patents

벼 재배용 화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872B1
KR102381872B1 KR1020200135244A KR20200135244A KR102381872B1 KR 102381872 B1 KR102381872 B1 KR 102381872B1 KR 1020200135244 A KR1020200135244 A KR 1020200135244A KR 20200135244 A KR20200135244 A KR 20200135244A KR 102381872 B1 KR102381872 B1 KR 102381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upport plate
culture layer
pot
flowerpo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규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앤그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앤그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앤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200135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벼를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서 관상용 또는 교육용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벼 재배용 화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의 내벽 상측에 마련되는 걸림대; 상기 걸림대에 안착 설치되는 것으로서, 뿌리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멍을 가지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위에 깔리는 것으로서 볍씨가 싹을 틔울 수 있게하는 배양층; 및 상기 화분본체에 담긴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벼 재배용 화분장치{Pot Apparatus For Cultivating Rice}
본 발명은 화분장치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벼를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벼 재배용 화분장치에 관한 것이다.
벼는 우리 민족의 주식인 쌀을 생산하는 식물종으로서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우리는 매일 쌀을 접하고는 있지만, 벼의 성장과정을 실제로 보기가 어려울 수 있다. 쌀의 중요성, 벼를 수확하는 농부들의 노고, 1차산업의 중요성 등을 자라는 어린이에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벼에 대한 지식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벼는 그 자체로도 관상의 가치가 충분하다. 그러나 벼를 관상용으로 실내에서 재배하기에는 쉽지 않다. 우선 벼는 수경재배를 하는 식물이며, 유기적인 자연환경에서 독립하여 재배되도록 육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71376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0064878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벼를 실내에서 관상용도로 재배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벼 재배용 화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경재배를 하는 벼의 생육조건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실내환경을 조성하여 줄 수 있는 벼 재배용 화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관상용도로 사용함은 물론, 어린이에게 쌀과 벼의 관계 내지 그 중요성을 교육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의 내벽 상측에 마련되는 걸림대; 상기 걸림대에 안착 설치되는 것으로서, 뿌리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멍을 가지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위에 깔리는 것으로서 볍씨가 싹을 틔울 수 있게하는 배양층; 상기 화분본체에 담긴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재배용 화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화분본체의 상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통기공이 타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양층 위에는 상기 배양층을 누를 수 있도록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는 누름층이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화분본체에는 내부를 볼 수 있는 투시창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산소공급부는 공기펌프와, 일단은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화분본체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기포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벼를 실내에서 관상용도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벼 재배용 화분장치가 제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경재배를 하는 벼의 생육조건, 예를 들어, 산소공급량, 빛조사량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벼 재배용 화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벼 재배용 화분장치에 의하면, 자라나는 어린이에게 쌀과 벼의 관계 내지 그 중요성을 교육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벼 재배용 화분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벼 재배용 화분장치의 화분본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벼 재배용 화분장치는 화분본체(10), 걸림대(13), 지지판(20), 배양층(30), 및 산소공급부(60)를 포함한다.
화분본체(10)는 바닥에 구멍이 없는 상부 개방형 통체로 되어 있다. 화분본체(10)는 기본적으로 불투명하게 되어 있다. 화분본체(10)는 원통체(11)과 바닥판(12)으로 구성된다. 원통체(11)는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화분본체(10)의 내벽 상부에는 걸림대(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걸림대(13)는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마련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걸림대(13)는 돌기 형태로 되어 있으며 화분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대(13)에서 화분본체(10)의 상단까지의 높이(H)는 20 ~ 200mm가 될 수 있다. 걸림대(13)에서 화분본체(10)의 상단까지의 부분은 화분본체의 연장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새싹 내지 볍씨에 빛이 적당히 조사되도록 하는 한편, 벼 포기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판(20)이 걸림대(13) 위에 안착 설치된다. 지지판(20)에는 뿌리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멍(21)이 그릴과 유사한 형태로 전체 면적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지지판(20)은 위에서 가해지는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다.
화분본체(10)의 면적이 넓을 경우에는 다리체(미도시됨)가 지지판(20)을 지지하도록 화분본체(10)의 중간 지점에 다리체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리체는 상단은 지지판(20)에 지지되고 하단은 화분본체의 바닥판(12)에 지지될 수 있다.
배양층(30)이 매트와 유사한 방식으로 지지판(13) 위에 설치된다. 볍씨(S)가 배양층(30)에 뿌려진다. 뿌려진 볍씨(S)는 싹을 틔우고 뿌리를 내리게 된다. 뿌리(R)는 지지판(20)을 통과하여 하방향으로 성장하고 싹은 잎(P)이 되어 위로 자라게 된다. 물(W)은 배양층(30)이 잠길 정도로 화분본체(10)에 공급된다. 사용자는 증발에 의해 줄어드는 물을 주기적으로 보충하여야 한다.
물(W)은 배양액이 되며, 용수에 소정의 영양제가 배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적절한 영양제가 물에 부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지침이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액통(50) 및 양액분제(51)가 함께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양액통(50)은 예를 들어 10리터 용량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10리터의 물을 양액통(50)에 넣고 양액분제(51) 한봉을 개봉하여 넣음으로써 정확한 용량으로 배양액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배양층(30)은 부직포 또는 카시미론과 같은 솜이 적당하며 두께는 15 ~30mm 가 적당하다.
배양층(30) 위에는 배양층(30)을 위에서 덮어 고정시켜줄 목적으로 누름층(40)이 적층 설치될 수 있다. 누름층(40)은 싹이 자라는 것을 허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누름층(40)은 모래, 마삭토, 인조석 또는 자갈 등의 알갱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갈이나 인조석의 경우 그 직경이 2 ~ 8mm가 적당하다. 누름층(40)은 10 ~ 20mm의 두께로 설치된다. 합성수지 또는 유리로 된 알갱이가 누름층(40)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산소공급부(60)가 더 포함된다. 산소공급부(60)는 화분본체(10)에 담긴 물(W, 또는 배양액)에 산소를 공급하는 수단이다. 자연환경에서는 다양한 산소공급수단이 있어서 뿌리의 생장에 도움을 주지만, 화분본체에 담긴 물은 고인 물이어서 이러한 인위적인 산소공급이 필요하게 된다.
산소공급부(60)는 어항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과 유사한 구성과 작용을 한다. 산소공급부(60)는 공기펌프(61)와, 일단은 공기펌프(61)에 연결되고 타단은 화분본체(10)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호스(62)와, 호스(62)의 타단에 연결되는 기포발생기(63)를 포함한다. 기포발생기(63)는 공급되는 공기를 분쇄하여 작은 크기의 공기방울로 확산 공급되도록 한다. 공기펌프(61)는 상시 작동할 수도 있지만 간헐적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화분본체(10)의 상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통기공(14)이 타공되어 있다. 이 통기공(14)은 싹이 튼 벼이삭에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화분본체(10)에는 그의 내부를 볼 수 있는 투시창(15)이 마련될 수 있다. 이 투시창(15)은 뿌리를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분본체(10)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10 ~ 20% 의 범위만 마련된다. 투시창(15)은 빛이 비치지 않는 방향을 향하고 있어야 좋다. 화분본체(10)의 기본소재를 투명한 소재로 하고 그의 외부 면적의 80 ~ 90%를 불투명 잉크 또는 필름으로 인쇄 또는 코팅함으로써 투시창(15)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의하면 화분본체(10)의 상단에 조명기구(70)를 설치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조명기구(70)는 엘이디램프를 사용하며, 빛이 모자라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명기구(70)는 화분본체(10)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클램프 형태로 되어 있는 고정구(71)와, 상기 고정구(71)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기다란 막대 형태의 포스트(72)와, 포스트(72) 끝에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73)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72)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끔 되어 있어 벼의 생장에 맞추어 조명의 설치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끔 한다. 조명기구(70)는 조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공기펌프와 동일한 전력원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화분본체 11 : 원통체
12 : 바닥판 13 : 걸림대
14 : 통기공 15 : 투시창
20 : 지지판 30 : 배양층
40 : 누름층 50 : 양액통
51 : 양액분제 60 : 산소공급부
61 : 공기펌프 62 : 호스
63 : 기포발생기 70 : 조명기구
71 : 고정구 72 : 포스트
73 : 엘이디 램프
S : 볍씨 P : 잎
R : 뿌리 W : 물(배양액)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의 내벽 상측에 마련되는 걸림대;
    상기 걸림대에 안착 설치되는 것으로서, 뿌리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멍을 가지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위에 깔리는 것으로서 볍씨가 싹을 틔울 수 있게하는 배양층; 및
    상기 화분본체에 담긴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양층의 두께는 15 ~ 30mm이고, 부직포 또는 카시미론을 포함하며,
    상단이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화분본체의 바닥판에 지지되는 다리체; 및
    상기 화분본체의 상단에 고정되는 클램프 형태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연결되는 기다란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끝에 설치되는 엘이디램프를 구비한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본체의 상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통기공이 타공되며,
    상기 배양층 위에는 상기 배양층을 누를 수 있도록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는 누름층이 적층되고,
    상기 화분본체에는 내부에 자라는 뿌리를 볼 수 있는 투시창이 마련되고,
    상기 산소공급부는 공기펌프와, 일단은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화분본체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기포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재배용 화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35244A 2020-10-19 2020-10-19 벼 재배용 화분장치 KR102381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44A KR102381872B1 (ko) 2020-10-19 2020-10-19 벼 재배용 화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44A KR102381872B1 (ko) 2020-10-19 2020-10-19 벼 재배용 화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872B1 true KR102381872B1 (ko) 2022-04-12

Family

ID=8118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244A KR102381872B1 (ko) 2020-10-19 2020-10-19 벼 재배용 화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87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168A (ja) * 1994-10-03 1996-04-23 Masao Matsuura 植物栽培用プランターとその使用方法
KR20000064878A (ko) 1997-02-10 2000-11-06 미즈노 마사루 Pck형 c4 회로
KR200267161Y1 (ko) * 2001-11-20 2002-03-09 박정연 이중 화분
KR200439280Y1 (ko) * 2006-11-30 2008-04-01 엄기항 화분용 조명대
KR20090071376A (ko) 2007-12-27 2009-07-0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제조 방법
JP2013165700A (ja) * 2012-02-16 2013-08-29 Pd Factory:Kk 植物の生育装置
KR101540258B1 (ko) * 2013-09-13 2015-07-29 이희준 이중 용기로 된 구근식물용 컨테이너
JP2017006073A (ja) * 2015-06-24 2017-01-12 渡辺 武 植物の養液栽培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168A (ja) * 1994-10-03 1996-04-23 Masao Matsuura 植物栽培用プランターとその使用方法
KR20000064878A (ko) 1997-02-10 2000-11-06 미즈노 마사루 Pck형 c4 회로
KR200267161Y1 (ko) * 2001-11-20 2002-03-09 박정연 이중 화분
KR200439280Y1 (ko) * 2006-11-30 2008-04-01 엄기항 화분용 조명대
KR20090071376A (ko) 2007-12-27 2009-07-0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제조 방법
JP2013165700A (ja) * 2012-02-16 2013-08-29 Pd Factory:Kk 植物の生育装置
KR101540258B1 (ko) * 2013-09-13 2015-07-29 이희준 이중 용기로 된 구근식물용 컨테이너
JP2017006073A (ja) * 2015-06-24 2017-01-12 渡辺 武 植物の養液栽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9435B2 (ja) 植物栽培装置
US20150313104A1 (en) Vertical Planter
KR102080750B1 (ko) 인삼재배용 수경재배 화분
BG64138B1 (bg) Саксия за растения
US3898766A (en) Combination planting device
KR101892977B1 (ko) 수증기를 이용한 화분
JP2009296928A (ja) 室内観賞用苔庭の栽培装置
JP2013223448A (ja) 水耕栽培器
KR20120094613A (ko) 식물뿌리 관찰용 투명 인테리어 화분
KR200495038Y1 (ko) 탁상용 수경재배장치
KR102381872B1 (ko) 벼 재배용 화분장치
KR101659908B1 (ko) 수경식물 재배용 화분 키트를 사용한 식물 재배 장치
JP2018191560A (ja) 一般家庭向け簡易水耕栽培装置
KR20100019289A (ko) 이끼재배용 자동급수 화분
JP2007195528A (ja) 新芽野菜及びもやし栽培器具とその栽培方法
KR20120111872A (ko) 식물 재배장치
KR20220146395A (ko) 텃밭과 수경의 복합재배 및 가습기능을 병행하는 고온소성볼 상토를 이용한 복합재배 키트
KR20090126914A (ko) 가정용 비닐하우스
WO2017104703A1 (ja) 露地水耕栽培キット、露地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植物体の製造方法
JP2799663B2 (ja) 水耕栽培用装置
KR20090123372A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JPH1029A (ja) 植物成育鉢
KR200404327Y1 (ko) 인공 흙을 이용한 식물 재배용 투명 화분
KR200365120Y1 (ko) 수조가 구비된 화분
JPH06178625A (ja) 陸生植物の水上園芸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