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975A - 변형 요소, 변형 요소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변형 요소, 변형 요소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975A
KR20000075975A KR1019997008060A KR19997008060A KR20000075975A KR 20000075975 A KR20000075975 A KR 20000075975A KR 1019997008060 A KR1019997008060 A KR 1019997008060A KR 19997008060 A KR19997008060 A KR 19997008060A KR 20000075975 A KR20000075975 A KR 20000075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tion
deformable
indentation
condui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스프리드리히
슈튀첼페터
Original Assignee
프리드리히 클라스; 한스 스타크
마그나 이하파우 게젤샤프트 퓌어 인넨호흐드루크페어파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드리히 클라스; 한스 스타크, 마그나 이하파우 게젤샤프트 퓌어 인넨호흐드루크페어파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리드리히 클라스; 한스 스타크
Publication of KR20000075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97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3Deformation involving a bending action, e.g. strap moving through multiple rollers, folding of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비탄성적인 변형 가능한 중공 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이미 가공된 만입부(12)를 구비하고, 상기 만입부는 충돌 시에 만입부(12)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분력을 갖는 목표 좌굴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의 제어된 소멸을 위한 변형 요소에 관한 것이다. 형상 내로 (경우에 따라서 소정의) 도관의 배치 또는 도관의 부분적 배치, 내부 고압력의 설치, 변형 부품의 제거, 경우에 따라서 예를 들어 레이져 가공, 다듬질, 톱질 등 기계적인 후속 또는 추가 가공으로 변형 요소는 제조되고 변형 요소는 자동차를 위한 측면 보강 도관, 자동차의 범퍼와 세로 부재 사이의 변형 요소, 조향 샤프트 요소, 지지부에 사용된다.

Description

변형 요소, 변형 요소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DEFORMATION ELEMENT,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변형 요소는 예를 들어 독일 특허 공개 38 36 724호, 독일 특허 공개 20 42 931호, 유럽 특허 공개 046734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변형 요소는 여러 부품으로 구성되고 복잡한 부품으로 제조되어 높은 제조 비용이 요구되었다. 특히, 상승된 좌굴 강도 또는 부하 용량을 원하면이는 부품의 원하지 않는 높은 무게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변형 요소, 축방향으로 분력을 갖고 발생되는 에너지의 제어된 소멸을 위한 변형 요소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요소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따른 변형 요소의 종단면도이다.
도3은 세로 방향 리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4는 부분적으로 세로 방향 리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5는 충격에 의해 변형된 변형 요소 벽의 종단면도이다.
도6은 도4에서 도시된 변형 요소의 충격 실험에서 힘/에너지 파단 곡선이다.
도7a, 도b, 도c 및 도d는 종방향 축 또는 횡방향 축 외에서 변형을 갖는 변형 요소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8은 자동차 도어를 위한 측면 충돌 보호 부품도이다.
도9는 다른 측면 충돌 보호 부품도이다.
이런 이유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가벼운 변형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목표 좌굴 위치로써 충돌 시에 만입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분력이 적용되는 적어도 이미 완성된 만입부를 갖는, 비탄성적이고 변형 가능한 중공 부품이 구비된, 에너지의 제어된 분산을 위한 변형 요소에 의해 해결된다.
여기서 충돌 에너지는 장시간에 걸쳐 변형 에너지로 전환되고, 이에 의해 나쁜 영향을 미치는 부품의 가속이 지체되어, 예를 들어 승객이 보호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동승인석, 연료 탱크, 엔진을 제외한) 일정한 또는 소정의 영역에서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서 이런 민감한 부분이 보호될 수 있다.
적어도 만입부가 파형 형상으로 성형된 영역 내에 있고, 변형 요소가 충돌 시에 파형으로 성형된 영역의 변형 방향으로, 주름 형상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측면 충돌 보호부를 갖는 세로 부재를 위해서 적어도 세로로 연장되는 만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상기 세로 부재는 세로 방향 힘에 대해 저항력이 있는 반면 가로 방향 힘에 대해서는 제한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충돌 시에 주름 형상 부분이 비탄성적으로 서로 접히는, 주름 형상으로 접힌 영역의 경우에서 적어도 가로의 만입부가 또한 구비될 수 있다.
만입부는 또한 적어도 계단 형상일 수 있어 변형 시에 계단의 상부 영역이 하부 영역 내로 밀린다.
그러나 만입부는 충돌 시에 변형 요소가 세로 축을 따른 분력에 의해 서로 겹쳐지도록 미리 성형된 영역으로도 또한 가능하고 이를 통해 변형중에 좌굴에 대해 보호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요소는 양호하게는 변형 시에 양호한 냉간 강성을 갖는 냉간 가공 가능한 재료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ST 34, ST 52, ST 30, ST 40과 같은 강철, 디프드로잉(deep drawing)용 강철, 경금속,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탄, 이와 같은 합금, 섬유 강화 금속등이 제공된다. 그러나 다른 목적을 위해서는 숙련자에게는 익숙한 적당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변형 요소는 IHV 공정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으로 양호하게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중공 변형 요소의 단부에 성형될 수 있는 연결 프로파일이 종종 제공된다.
특히 변형 요소는 자동차를 위한 측면 보강 도관, 자동차의 범퍼와 세로 부재 사이의 변형 요소, 조향 샤프트 요소, 지지부로써 양호하게 적용된다.
이를 통해 제공된 일체형 변형 요소는 동일한 또는 양호한 하중 특성에서 다수의 개별 구성 부품으로 구성된 공지된 부품보다 가볍게 제조될 수 있고 공지된 부품에 대해 재료 절감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내부 고압력 성형 공정에 의해 부품을 냉각 변형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통해 내부 고압력 성형 공정에서 냉각 변형 시에 특히, 요소의 강성 특성을 달성시키는 유익한 냉간 강화가 발생된다. 또한 냉각 변형 공정은 에너지를 유익하게 절약한다.
내부 고압력 공정은 잘 알려져있다. 전술된 내부 고압력 공정 또는 IHV 공정은, 예를 들어 1984. 3. 9일자 공업 보고서 20호 또는 에빙하우스 출판, 1D/91 발행판, "금속 변형 기술"의 15 페이지 이하의 "경량 구조에서 정밀한 작업편은 내부 고압력 공정을 통해서 제조된다" 또는 재료와 경영 123 내지 243 A 에빙하우스로부터 "내부 고압력으로 변형된 정밀 작업편을 갖는 경제적인 구성" 또는 "재료와 경영 122(1991), 11(1989) p.933-938에 기술된 공정으로 이해된다. 이하에서는 반복의 방지를 위해 모든 범위에서 공개를 인용한다. 이런 공정은, 지금까지 다양한 성형 중공 부품의 제조를 위해 예를 들어 중공 캠축의 제조(유럽 특허 공개 73705호), 공간 전방 현가 제어 암 샤프트(유럽 특허 공개 0814998호) 자동차 격자 프레임(공간 프레임, 유럽 특허 공개 658232호), 자전거 프레임 제조같은 도관에 캠의 고정을 위한 조립된 캠축의 제조에 제공된다.
이런 내부 고압력 공정을 통해 벽의 섬유 배향이 외부 윤곽에 대해 기본적으로 평행으로 연장되는, 완전히 새로운 중공 금속 구성 요소가 제조될 수 있다. 중공 구성 요소는 냉간 강성 외부 윤곽에 대해 평행인 유익한 섬유 배향 및 지금까지 보다 더 가벼운 성형을 통한 벽의 높은 강성을 근거로하여 현저한 무게 절감 가능할 수 있다. 적층판 재료가 공통으로 변형될 수 있는 한 성형을 위해 적층판 재료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층판은 적절한 재료 선택으로 일체형 재료보다 더 가벼울 수 있고, 진동 흡수 작용을 하고, 주변 부하(산화 부식 등)에 상응되어 또는 시각적인 이유(색)에서 표면에 다른 층을 갖는 추가의 장점을 구비하고, 이로써이런 유형의 부품은 양호하게 스윙 감쇠 특성을 가진다.
변형 중에 도관 세로축을 따른 재료의 추종을 통해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성형 요소를 통해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성형 부품 내의 벽 두께가 또한 연결 요소의 성형 시에 달성될 수 있으므로 벽 두께의 취약점은 높이의 상승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될 수 있고 이것은 취약점없이 달성된다.
변형 요소에서 만입부의 깊이가 변형 요소의 직경의 절반과 대략 같은 것은 유익하다. 전체 변형 요소에 걸쳐 벽 두께가 일정한 것은 중요하다.
중공 변형 요소가 강화를 위한 리브를 갖는 것은 유익하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재료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가 변형 영역에서만 형성된다면 충돌 경우에 만입부의 밀림이 더 감소되며 변형 영역의 양호한 강화는 보강 리브의 세로 방향으로 발생된다.
변형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ST 34, ST 52와 같은 강철, 경금속, 알루미늄, 티탄, 이와 같은 합금 또는 섬유 강화 재료로 양호하게 제조된다.
일정하게 변형되는 변형 요소의 세로축에 대해 이전되는 충돌을 가져오도록만입부는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에너지의 분력에 수행되는 부품의 영역이 기본적으로 육면이거나 또는 다면이거나 또는 둥근면이면 이를 통해 한 방향 절단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이 주어진다. 만입부가 충격 시에 자체적으로 변형되어 에너지는 충분히 분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만입부가 비 대칭적으로 구성되면 충격 시에 변형 요소의 양호한 단축이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충격 시에 어느 공간에서 변형을 발생시킬 수도 있는 변형 요소의 직선적인 단축이 요구되지 않는 것은 특히 중요하다. 이런 경우에 만입부의 비 대칭적인 구성 즉, 예를 들어 변형 요소의 어느 부분에서 양호한 단축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더 짧은 만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중공 변형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의 세로 부재에 변형 요소의 고정을 단순화하기 위한 연결 프로파일이 형성되는 것은 중요하다. 변형 요소에 또는 내부에 예를 들어 철판 같은 보강 부품이 구비될 수 있고, 이는보강을 통해 변형 작용에 영향을 미치기 위하여 예외로 변형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요소는 물론 상응되는 알맞은 크기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예를 들어 자동차를 위한, 예를 들어 측면 보강 도관, 모든 종류의 자동차를 위한 범퍼와 세로 부재 사이의 변형 요소, 조향 요소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변형 요소 재료가 다층인 것이 가능하고 층은 금속 또는 비 금속 또는 플라스틱이나 세라믹일 수 있고 동일한 또는 다양한 재료일 수 있다. 재료의 선택을 통해 상응하는 제공 목적에 적용은 가능하고 예를 들어 금속 부품이 부식에 대해 보호되어 제조될 수 있다.
외부 형상 부품이 다수의 서로에 대해 평행으로 연장되는, 섬유 배향이 서로에 대해 평행이며 동일한 또는 다양한 재료로 적층되는 층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무게 절감을 위해 총 구성 부품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또는 다양한 경금속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양호한 부식 강성과 관련된 경금속 알루미늄 또는 같은 종류의 합금일 수 있다.
중공 형성 부품 제조를 위한 유익한 공정은 인발, 성형, 사출, 내부 고압력 성형을 통한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된 후에 알려진 IHV 공정을 통해 완성 작업된다.
재료의 필요성에 따라 다층의 금속 도관이 최종 부품으로써 또한 선택될 수 있다. 다층 구성은 중공 부품 표면의 다양한 활용성의 장점을 갖고 또한 중공 부품의 진동 작동을 현저하게 개선시키는 모든 종류의 스윙을 낮게 안내하는 장점을 가진다.
변형 요소는 대부분 형상 내로 도관의 배치 또는 도관의 부분적 배치, 내부 고압력의 설치, 변형 부품의 제거를 통해 제조된다.
물론 이런 부품은 다듬질, 디프 드로잉, 줄질, 레이저 강화 등에 의한 기계적인 후속 또는 추가 가공이 계획될 수 있고, IHV 변형 시에 결합부의 냉간 강화를 약화 시키지 않기 위한 냉간 변형 공정을 통해 양호하게 가공된다. 이는 또한 레이져 가공, 다듬질, 톱질 등을 통해 추가 가공될 수 있다.
도관 부분의 변형은 또한 내부 고압력 변형 전에, 예를 들어 절곡을 통한 또는, 그러나 적어도 다른 IHV 단계에서 추가 가공될 수 있는 예비 성형이 제공되는, 이격된 내부 고압력 예비 변형 단계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보강 요소가 변형 요소 내로 배치되는 것과 또는 압착 결합에 의해서만 고정될 수 있는 철판, 도관 절단부 등에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는 또한 접합, 용접, 웰딩, 나사 결합등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보강 요소는 또한 완성 포움체로써 수행되거나 또는 변형 요소 내에서 포움 최종 재료의 포움에 의한 변형 요소 내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포움의 적어도 부분적인 포움 충전 달성을 통해 발생되는, 변형 요소 내에서 고정되는 알루미늄 포움과 같은 금속 포움 또는 플라스틱 포움과 같은 포움 부품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 고압력 변형 공정은 실시되고 성형 과정에서 이미 상승부, 만입부, 나사산, 개구부가 외부 중공 부분에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후속 가공 단계가 감소되는 것이 가능하다.
중공 부품으로써 다양한 중공 프로파일 즉, 직각 프로파일, 각 프로파일, 도관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부하에서 지금까지의 부품에 대해 더 가벼운 무게 또는 가벼운 무게에서 더 높은 부하를 갖는 부품이 달성되고 또한 더욱이 감소된 불량 평균과 높은 생산 정확도로 제조될 수 있다.
도1 및 도2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종단면 및 횡단면)가 도시된 바와 같이, 명백하게,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요소는 강철 도관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강철 도관은 IHV 공정에 의해 삼차원으로 변형된다. 도관은 여기서 각각의 길게 연장된, 원형 횡단면이어야만 하지 않는 중공체로 이해된다.
변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 부품(변형 요소)의 허용된 위치에, 요소(10)를 약하게 하여 그곳에 목표 변형 위치가 제공되도록 하는, 목표되고 변형된 홈/만입부(12)가 도관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구성 요소의 중공 프로파일은 세로 연장부에 걸친 상이한 직경 및 상이한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도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요소의 다른 응용예를 도시한다. 주연 상에 세로 방향 리브(16)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한 것이다. 리브형 요소(16)가 세로 방향으로 경화되어 작용할 때 이를 통해 또한 무게는 충돌 시에 동일한 기계적인 반응에서 세로 방향으로 축적될 수 있다.
변형 요소는 무엇보다도 충돌 방향을 위해 설치되고(최대 에너지 수용 방향), 충돌 방향은 도면에서 통상적으로 y0 또는 이동 방향으로 표시된다.
승용차에서 충격 흡수부를 위해 배치될 수 있는 양호한 변형 요소는 ST 34 또는 ST 52 또는 유사한 성질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고, 1,2-3mm의 벽 두께 및 8-12cm의 직경을 갖고, 만입부의 길이는 5-15cm 사이에 달한다.
도4에서는 충돌 시에 변형되는 영역 내에서만 부분적인 세로 방향 리브(18, 20)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요소가 도시된다. 이를 통해 좌굴 작용은 계속 제어될 수 있고 변형은 변형 만입부(12)에서만 형성된다.
도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요소의 변형된, 변형 요소(10)의 세로 축을 따른 충돌을 통해 생성된 벽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만입부(12) 영역에서 요구된 겹침부가 도시되고 변형 요소의 다른 영역(6, 8)은 실제적으로 불변되어 유지된다.
도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요소 실시예의 힘/에너지 파단 곡선이 도시된다(도5의 실험). 자동차에 실행된 힘은 변형 요소의 변형을 통해 소정의 구간 S에 특별한 힘의 피크 없이 측정되고 이런 유형의 변형 요소가 장착된 자동차의 승객은, 충돌 시에 이로 인해 충돌에서 부정적인 가속에 의한 힘에서 제외되나 이는 비교적 상당히 느리게 생성되고 염려된 중상을 발생시키는, 단시간에 매우 높은 힘을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도7a, 도b, 도c 및 도d는 축방향 또는 가로축 방향 외에서 변형을 갖는 변형 요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변형 요소 영역이 대략 직각으로 만곡된 지지 부분에서 각의 다리 상으로 수용된다. 나머지 지지부가 변형된 축 프로파일을 통해 y0 방향으로 변형에 대해 보강되는 반면 충돌 시에 각의 다리는 y0 방향(각의 다리 방향을 따라)으로 겹쳐진다. 나머지 영역이 상응되는 구성을 통해 변형에 대해 보강되는 반면 이런 구성으로 만곡된 변형 요소의 변형은 부품의 영역 내에서만 발생된다. 상기 부분은 예를 들어 지지축에 장착될 수 있는 범퍼를 위한 지지부 부품으로써 적당하다.
도8에서는 자동차를 위한 지지부 부품이 도시된다. 부품은 선택된 영역에서 세로의 만입부를 갖고, 부품은 충돌 시에 세로 방향 만입부에서 자체의 부피를 제어하고 직각 성분을 감소시킨다. 다른 영역에서 상기 부품은 가로 방향으로 변형된 상승을 통해 가로 방향 변형에 대해 보강된다. 단일형의 부품에서 양호한 영역의 성형을 통해 힘의 영향에 대한 부품의 다양한 작용은 달성될 수 있다.
도9에서는 도어 측면 충돌 보호 부분이 도시된다. 상기 부분은 마찬가지로 측면 충돌 시에 강제적으로 만입부 영역으로 변형을 고려하는 세로 방향 만입부를 갖는다. 충돌축 y0에 대한 세로의 변형에 대해 축 프로파일 및 단부 영역에서 원하지 않는 변형에 대한 부품의 추가적인 보강을 위해 수행되는, 장착된 보강판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또한, 상당히 더 가볍고 더 단순한 변형 요소를 통한 에너지의 원하는 파단 작용이 지금까지 가능한 것과 같이, 변형 요소의 기하학적인 구성을 통해 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중공형 부품은 단일 재료로 또는 예를 들어, 강철 또는 경금속 합금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나 적용 공정에 따라서, 적층 재료 또는 플라스틱으로 적층된 또는 도포된 도관으로 변형하는 것도 사용 목적에 따라 가능하다.
상응되는 적층의 구비를 통해 다른 요구되는 작업 보호 없이 부식에 강하고 또는 착색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보강 부품 또한 변형 요소에 그리고 변형 요소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 리벳, 용접, 압축 결합으로 끼워넣기, 밀폐 결합 등을 통해 변형에 대한 다른 보강(더욱이 양호한 영역에)이 가능하다.
당업자에게는 청구항의 지원 범위의 개념과 다른 구성 및 개선이 가능할 것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기술 범위가 본원에서 예로써 제시된 이미 해설에 수행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6)

  1. 에너지의 제어된 소멸을 위한 변형 요소에 있어서,
    하나의 비탄성적인 변형 가능한 중공 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이미 가공된 만입부(12)를 구비하고,
    상기 만입부는 충돌 시에 만입부(12)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분력을 갖는 목표 좌굴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만입부(12)가 파형 또는 주름 형상으로 성형된 영역 내에 있고 변형 요소가 충돌 시에 파형 또는 주름 형상으로 성형된 영역(12)에서 변형 방향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요소.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로로 연장되는 만입부(3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요소.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가로의 만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요소.
  5.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입부(12)가 또한 적어도 계단 형상이어서 변형 시에 계단의 상부 영역이 하부 영역 내로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요소.
  6.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요소가 변형 요소의 보강된 영역을 통해 비탄성적 변형을 저지하는 적어도 부분적인 보강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요소.
  7.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간 변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된 변형 요소가 변형 시에 냉간 강화를 양호하게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요소.
  8.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ST 34, ST 52, ST 30, ST 40과 같은 강철, 디프드로잉(deep drawing)용 강철, 경금속,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탄, 이와 같은 합금, 섬유 강화 금속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요소.
  9.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요소가 IHV(내부 고압력 변형)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요소.
  10.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단부 또는 자체의 중공 영역 내에서 보강 부분(3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요소.
  11.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 요소(적어도 부품)가 변형 요소 내에서 금속 또는 플라스틱 포움의 포움 충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요소.
  12.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요소가 자동차를 위한 측면 보강 도관, 자동차의 범퍼와 세로 부재 사이의 변형 요소, 조향 샤프트 요소,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13.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상 내로 (경우에 따라서 소정의) 도관의 배치 또는 도관을 부분적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내부 고압력을 설치하는 단계와,
    변형 부품을 제거하는 단계와,
    경우에 따라서 예를 들어 레이져 가공, 다듬질, 톱질 등 기계적인 후속 또는 추가 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요소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내부 고압력 변형 이전에 도관 부분을 미리 예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요소에/내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 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보강 요소의 제공이 변형 요소 내에서 금속 또는 플라스틱 포움의 적어도 부분적인 포움 충전을 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08060A 1997-03-04 1998-03-03 변형 요소, 변형 요소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KR200000759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703843.5 1997-03-04
DE29703843U DE29703843U1 (de) 1997-03-04 1997-03-04 Deformations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975A true KR20000075975A (ko) 2000-12-26

Family

ID=803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060A KR20000075975A (ko) 1997-03-04 1998-03-03 변형 요소, 변형 요소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65005B1 (ko)
JP (1) JP2001525039A (ko)
KR (1) KR20000075975A (ko)
AU (1) AU7029498A (ko)
BR (1) BR9808151A (ko)
CA (1) CA2285581A1 (ko)
DE (3) DE29703843U1 (ko)
WO (1) WO19980391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94195C (en) * 1996-12-31 2005-09-20 Changize Sadr Energy absorbing bolster for vehicle door
DE19711647C2 (de) * 1997-03-20 2002-05-02 Daimler Chrysler Ag Energieverzehrendes Element, insbesondere zum Stoßenergieabbau in Kraftfahrzeugen
DE19757857A1 (de) * 1997-12-24 1999-07-01 Alstom Lhb Gmbh Stoßverzehrvorrichtung mit Verformungsrohr
US6282769B1 (en) * 1998-07-15 2001-09-04 Cosma International Inc. Motor vehicle end module assembly
DE19847877A1 (de) * 1998-10-16 2000-04-20 Volkswagen Ag Karosserieträg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9853128C2 (de) * 1998-11-18 2003-04-03 Daimler Chrysler Ag Stoßfängeranordnung eines Kraftfahrzeuges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FR2792384B1 (fr) * 1999-04-15 2001-06-01 Lorraine Laminage Organe absorbeur de choc et procede de fabrication
US6543266B1 (en) * 1999-08-24 2003-04-08 Magna International Inc. Hydroformed collapsible driveshaft and steering shaf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01182769A (ja) * 1999-12-27 2001-07-06 Showa Alum Corp 衝撃吸収部材
DE10055608A1 (de) 2000-11-09 2002-05-23 Daimler Chrysler Ag Lenkspindelanordnung und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02155980A (ja) * 2000-11-21 2002-05-31 Aisin Seiki Co Ltd 衝撃吸収部材及びバンパ
CA2483845C (en) 2002-04-19 2012-09-04 Magna International Inc. Collision energy-absorbing device
JP4133302B2 (ja) * 2002-12-25 2008-08-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車体用エネルギー吸収部材
JP4621883B2 (ja) * 2003-06-10 2011-01-26 株式会社 ニッセイ 車両の衝撃吸収部材
JP4637715B2 (ja) * 2005-10-17 2011-02-23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支持構造体の製造方法
JP4998097B2 (ja) * 2007-06-07 2012-08-15 マツダ株式会社 エネルギ吸収部材
JP5465849B2 (ja) * 2008-07-30 2014-04-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衝撃吸収具及び車両用バンパ装置
JP2010047209A (ja) * 2008-08-25 2010-03-04 Sanko Gosei Ltd 車両用衝撃吸収部材及び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2010163121A (ja) * 2009-01-19 2010-07-29 Nsk Ltd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09029814C5 (de) * 2009-06-18 2017-01-26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Vorrichtung zur Energieabsorption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als Minen-Schutzvorrichtung oder Aufpralldämpfe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2103036A1 (de) 2012-04-10 2013-10-10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Gehäuse, insbesondere gegen Detonationswirkung geschütztes Fahrzeuggehäuse
WO2021174146A1 (en) * 2020-02-27 2021-09-02 Tesseract Structural Innovations, Inc. Multilayer uniform deceleration unit
JP7460910B2 (ja) 2020-11-27 2024-04-0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衝撃吸収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42931A1 (de) 1970-08-29 1972-03-02 Schickedanz, Gerhard, 6070 Langen Ventilteller fur Sprühdosen
US4531619A (en) * 1982-09-24 1985-07-30 Eckels Robert E Collapsible steering column
US4684151A (en) * 1986-03-21 1987-08-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trolled collapsible frame rail
DE3836724A1 (de) 1988-10-28 1990-05-03 Daimler Benz Ag Pralldaempfer
JP2595724B2 (ja) * 1989-08-30 1997-04-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強度部材の製造方法
DE4028164A1 (de) * 1990-07-17 1992-01-23 Schneider Gesenkschmiede Pralldaempfer
DE4240237C2 (de) * 1992-11-30 1995-02-16 Gkn Automotive Ag Stauchrohr
EP0793035B1 (de) * 1996-03-02 2001-09-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nergieabsorptionskörper
FR2749557B1 (fr) * 1996-06-06 1998-08-28 Peugeot Poutre d'absorption d'energie, notamment pour longeron ou traverse d'un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9703843U1 (de) 1997-05-22
EP0965005B1 (de) 2002-10-02
JP2001525039A (ja) 2001-12-04
BR9808151A (pt) 2000-05-16
DE59805798D1 (de) 2002-11-07
AU7029498A (en) 1998-09-22
WO1998039106A2 (de) 1998-09-11
EP0965005A2 (de) 1999-12-22
WO1998039106A3 (de) 1998-12-10
DE19880237D2 (de) 2000-01-13
CA2285581A1 (en) 199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5975A (ko) 변형 요소, 변형 요소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US10538271B2 (en) Twenty-eight-cornered strengthening member for vehicles
KR0150591B1 (ko) 자동차 문의 보호빔
US5794398A (en) Framework with hollow member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its use
EP1923273B1 (en) Impact absorption member for vehicle
US861657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trol arm, and a control arm
US9944323B2 (en) Twenty-four-cornered strengthening member for vehicles
CN111051187B (zh) 中空的部件
US7874611B2 (en) Scalable two-piece reinforc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07075659A2 (en) Mechanical energy absorption system
US8210583B2 (en) Energy absorbe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20050104392A1 (en) Bumper system
JPH04310477A (ja) 車両のサイドメンバ
JP3912585B2 (ja) 車体パネル
US6471226B1 (en) Swing arm
US10695817B2 (en) Thirty-six-cornered strengthening member
JP4133302B2 (ja) 車体用エネルギー吸収部材
US6814374B2 (en) Steering column with foamed in-place structure
EP1762438A1 (e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10065682B1 (en) Thirty-two-cornered strengthening member
EP0625104B1 (en) High performance vehicle bumper
TW202134086A (zh) 用於機動車輛防撞箱之膨脹管及彼之製造方法
JP5136145B2 (ja) 自動車のフレーム構造
KR20190041676A (ko) 복합재료를 이용한 차량의 강성부재
KR20040042161A (ko) 경량 고강성 도어 임팩트 바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