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1134A - 팽창식 에어백 쿠션 - Google Patents

팽창식 에어백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134A
KR20000071134A KR1019997007423A KR19997007423A KR20000071134A KR 20000071134 A KR20000071134 A KR 20000071134A KR 1019997007423 A KR1019997007423 A KR 1019997007423A KR 19997007423 A KR19997007423 A KR 19997007423A KR 20000071134 A KR20000071134 A KR 20000071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ven
joint
warp
airbag cushio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솔라스존에이
Original Assignee
밀리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리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밀리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0007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13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42Weaving
    • B60R2021/23547Weaving one piece we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팽창식 에어백 쿠션(110)은 제 1 및 제 2 직물층으로 형성된 전면부(face portion) 및 배면부를 포함한다. 쿠션(110)은 유동 배리어 요소(14)를 형성하는 다수의 직선 형태로 직조된 조인트(16)를 더 포함한다. 유동 배리어 요소(14)는 팽창 가스를 내포하고 쿠션(110)의 팽창을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Description

팽창식 에어백 쿠션{WOVEN AIRBAG WITH FLOW BARRIERS}
승용차에 사용되는 팽창식 보호 쿠션은 비교적 복잡한 시스템 부품이다. 이 시스템의 주요소는 충격 감지 시스템, 점화 시스템, 가스 생성 장치, 부착 장치, 시스템 차폐체 및 팽창식 보호 쿠션이다. 충격을 감지하면, 가스가 방출되어 가스의 폭발적인 방출에 의해 쿠션이 전개된 상태로 되도록 충전되며, 이 쿠션은 신체가 앞으로 이동함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쿠션은 차량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최초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조향 칼럼(steering column)내에 보관된다. 이러한 운전자 측면 쿠션은 넬슨 등의 미국 특허 제 5,533,755 호에 개시되어 있다(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됨). 차량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쿠션이 사용되어져 왔으며 이러한 승객 보호용 쿠션은 일반적으로 객석과 대향하는 관계로 대시 패널(dash panel)내에 보관된다. 최근, 측면 충돌시 운전자 및 승객의 보호를 위한 쿠션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측면 충돌시 차량 승객 보호에 사용되는 쿠션 구조물은 소위 측면 커튼 구조물로서, 이 구조물은 루프 라인(roof line)에 내장되고 도어 프레임을 따라 연결된다. 이 측면 커튼의 일 실시예가 하랜드(HAland) 등의 미국 특허 제 5,788,270 호에 도시되고 상술되어 있으며, 이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다.
하랜드 등의 미국 특허 제 5,788,270 호에 상술된 바와 같이, 측면 커튼 구조물의 일 목적은 비교적 긴 시간동안 팽창된 채로 유지되어 긴 시간동안의 차량 전복 사고시 차량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충격이 가해질 때 신속히 팽창되어 승객을 보호하는 종래의 운전자 및 승객용 측면 쿠션과는 달리, 이 측면 커튼은 효과가 있게 하기 위해서는 팽창된 채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측면 커튼내의 접합부 또는 다른 연결 링크를 통해 팽창 매체의 제어되지 않은 또는 과도한 방출은 바람직하지 않다.
측면 커튼의 팽창을 제어하기 위한 필요를 제외하고는, 커튼은 이의 작동중 상당히 큰 영역에 걸쳐서 실질적인 보호를 제공하는 구조물일 필요도 있다. 실시예로서만, 충돌과 동시에 운전자 및 뒤쪽에 앉은 승객 모두를 보호하기 위해 승객 구획의 전체 길이에 미치게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면 커튼이 작동할 수 있도록, 이의 구조물은 유효하게 팽창된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게끔 되어야 하는 반면, 그와 동시에 팽창되는 쿠션의 모든 영역으로 팽창 매체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채널링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랜드 등의 특허에 개시된 것과 같은 측면 쿠션은 팽창시 약 30㎜ 내지 40㎜의 비교적 얇은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성되어 왔다. 이러한 얇은 프로파일은 자카드식으로 제어되는 직조기(jacquard controlled loom)상에서 커튼을 제조하는 동안 선택된 위치에서 커튼의 전면부 및 배면부를 형성하는 직물을 상호직조(interweaving)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하랜드에 의해 사용된 상호직조 기법은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WO/90/09295 호(그래함 등의 미국 특허 제 5,685,347 호에 대응함)에 자세히 상술되어 있으며, 이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그래함 등의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형태의 상호직조 및 간접적인 제어는 자카드식 시스템과 같은 프로그래밍 수단을 구비한 직조기를 사용하므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카드식 시스템의 사용은 제조 공정에 상당한 복잡성을 가한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카드식 시스템은 복잡한 컴퓨터 제어 공정 또는 일련의 천공 카드를 사용하며, 각각의 카드 천공은 단일 피크(pick)의 통로를 위한 단일 날실 스래드(single warp thread)의 작동을 제어한다. 분리 카드는 주어진 형태의 각각의 피크를 위해 사용된다. 기본적인 복잡성을 제외하고는, 자카드식 직조는 고유의 결함 및 비교적 고가의 장치에 의존하는 제한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관점에 있어서, 비자카드식 직조기(non-jacquard loom)에서 제조될 수 있는 측면 커튼 구조물 및 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된 범위 이상의 유용한 이점을 나타낸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비자카드식의 실질적으로 비박음질(non-sewn) 팽창식 커튼, 바람직하게는 차량내에서 측면 커튼처럼 사용하기 적합한 도비 직조 구조물(dobby woven construction)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내에서 측면 커튼으로 사용하기 적합하며 전개되는동안 쿠션의 팽창을 제어하고 팽창 매체를 채널링하기 위한 직조된 직선 조인트를 포함하는 비박음질 도비 직조 구조물의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내에서 측면 커튼 충돌 보호 쿠션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비박음질 도비 직조 구조물의 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백은 팽창 후 장시간동안 가스압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이 제공된다. 이 쿠션은 비박음질 도비 직조 구조물의 백의 형상이다. 백은 전면부 및 배면부를 가지며, 이 전면부 및 배면부는 제 1 및 제 2 직물층으로 형성된다. 직물층은 날실 하니스(harnesses)의 조종에 의해 제어된 직조된 패턴에 따라 동일한 직조기에서 동시에 직조된다. 각각의 직물층은 날실 방향으로 진행하는 다수의 날실 방사와 그 사이에 개재된 씨실 방향으로 진행하는 다수의 씨실 방사(weft yarns)에 의해 형성되며, 씨실 방향은 날실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이다. 일단 백이 팽창되면 비교적 편평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그리고 구조물에 걸쳐서 팽창 가스가 채널링하도록, 백은 다수의 직조된 조인트를 포함한다. 백의 전면부와 배면부 사이에 유동 배리어와 연결점을 형성하도록 직조된 조인트가 배치되어, 가스 유동이 백내로 유동할 때, 직조된 조인트에 의해 팽창이 제한되며, 그에 따라 팽창되어야 할 위치로 가스가 채널링하는 반면 그와 동시에 직조된 조인트가 존재하는 위치에서 백의 팽창을 제한한다. 직조된 조인트의 적어도 일부는 날실 방향 및 충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비 제어식 직조기상에서 직조하므로써 측면 커튼 보호 쿠션용 백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직선 형태의 직조 패턴은 직조기의 폭을 가로질러 반복되어 동시에 2개의 직물층을 형성하며, 직조된 조인트는 직물의 길이부 및 폭부를 가로질러 선택된 위치에 배치되며, 그에 따라 직물층 사이에 상호연결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상술되어 있고, 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을 실행하므로써 알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팽창식 쿠션, 특히 자동차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전복 사고시 차량 승객과 차체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식 측면 커튼과 같은 적용에 특히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었으며 이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면 및 첨부된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전면(face)"부라는 용어는 보호될 사람과 접촉하게 되는 보호 쿠션의 표면을 의미한다. "배면(rear)"부라는 용어는 충돌 사고동안 차량과 접촉하는 쿠션의 표면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팽창식 구속 쿠션의 일 실시예의 전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팽창식 구속 쿠션의 일 실시예의 전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팽창식 구속 쿠션을 직조기에서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배치한 도면.
도 3b는 날실 방향을 따라 에지를 밀봉한 상호직조된 조인트를 갖는 관형 구조물을 직조기에서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배치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의 제조시 사용되는 4개의 기본적인 간단한 직조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식 구속 쿠션의 날실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조된 조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식 구속 쿠션의 씨실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직조된 조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표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예시적인 직조된 조인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백의 내부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직조된 조인트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수직선 결합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도비 직조 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백의 전면과 배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짧게 직조된 조인트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실질적인 점 결합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속 쿠션의 내부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수평 및 수직 상호직조 연결부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비박음질 쿠션이 참조부호(10)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박음질 쿠션(10)은 팽창 가스가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개구(12)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유동 배리어 요소(14)는 내부를 가로지르고 쿠션(10)의 주변부를 따라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유동 배리어 요소(14)는 양 직물 방향으로 배치된 직조된 조인트(16)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즉, 직조된 조인트의 일부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직조된 조인트의 제 2 부분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할 목적으로, 쿠션 구조체(110)용 유동 배리어 요소의 제 2 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배리어 요소(14)는 쿠션의 상단부에 인접해 위치된 연장된 박스 구조물(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장된 박스 구조물은 측면 커튼에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연장된 길이부의 쿠션을 통해 팽창 매체를 채널링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박스 구조물은 2개 이상의 코너를 갖도록 단차진 코너 프로파일을 포함하여, 팽창 응력을 이들 위치에서 보다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지 소수의 유동 배리어 요소가 도시되었지만, 이들 요소는 쿠션의 길이부를 가로질러 복수로 반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동 배리어 요소가 쿠션(10, 110)의 하단부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요소는 백 구조체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접촉하지 않는 섬 또는 일련의 섬의 형태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쿠션의 전면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쿠션의 배면도 동일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동 배리어 요소(14)를 형성하는 직조된 조인트는 실질적으로 직선 구성을 갖는다. 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교적 복잡한 기하학이 실질적으로 보다 복잡하고 고가의 자카드식 직조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소수의 직조 하니스를 제어하므로써 직조하는 직물의 점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36개 또는 이보다 작은 수의 하니스를 갖는 도비 제어식 직조기가 매우 복잡한 구조체를 제조하기에 충분함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조체는 20개 또는 그 이하의 하니스를 갖는 직조기상에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직조 웨브의 2개 층(도 3a)은 직조기상에서 동시에 형성되며, 이 직조기는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게 공지된 상호직조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씨실 방사의 이동 경로에 대해 날실 방사의 평면을 간헐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동안 공기 제트, 워터 제트 또는 투사물과 같은 공지된 삽입 수단에 의해 다수의 날실 방사 사이로 씨실 방사를 공급한다. 이러한 직조는 예를 들면 바우어(Bower) 등의 미국 특허 제 5,421,378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개시내용은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다. 다른 설명을 위해, 2개의 상이한 직물층은 2세트의 날실 방사를 갖는 직조기의 하니스를 스래드(threading)하고 각각의 피크(즉, 씨실 방사)가 삽입되었을 때 2개의 날실 방사 사이에 개구 개섬(shed opening)을 교차시키므로써 동시에 동일 직조기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직물층 사이의 조인트가 방사를 한 층에서 다른 층으로 교차시키므로써 날실 방향 및 충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에 자세히 상술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직물의 상층으로부터 바닥층으로 씨실 방사를 이동시키므로써 날실 방향으로 진행하는 조인트가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조인트는 날실 방사를 교차시키므로써 씨실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준 도비 제어식 직조기에 다수의 하니스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직물의 전체 폭 및 길이부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상이한 조인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다. 이러한 조인트를 조합하므로써 복잡한 직조 패턴을 개발할 수 있다. 도 3a에는 도 2에 도시된 배리어 요소 구성을 갖는 백을 직조기상에서 형성하기 위한 레이아웃이 도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동 배리어 요소(14)를 만드는 각각의 조인트는 직물층 사이에서의 방사 이동에 의해 형성된다. 더우기, 이러한 조인트의 형성은 직조 작동동안 하니스의 간단한 제어로 마음대로 시작 및 중단할 수 있다.
소망의 위치에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직조 공정의 필요한 제어는 직물 폭을 다수의 폭 영역으로 나누므로서 이루어지며, 다수의 폭 영역은 제조되는 요소의 궁극적인 소망의 기하학에 달려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각각의 영역에 대해 날실 방사는 인접한 영역의 날실 방사보다는 상이한 제어 하니스 세트에 부착된다. 2개의 직물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최소의 4개 하니스가 각 영역에서 날실 방사의 이동을 제어한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물 제조 점으로부터 하니스의 거리가 날실 방사의 인장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형태의 직조 장치의 특징이다. 직물의 폭을 가로질러 각각의 영역내에서 인장 불균형을 피하기 위해, 각각의 직조 영역용 날실 방사는 모든 하니스의 깊이부를 가로질러 퍼질 수 있도록 된다.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예로서, 12개의 하니스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3개의 직조 영역이 있는 경우, 제 1 직조 영역을 위한 날실 방사의 1/4는 하니스 번호 1에 의해 이송될 수 있으며, 제 1 직조 영역을 위한 날실 방사의 1/4는 하니스 번호 4에 의해 이송될 수 있으며, 제 1 직조 영역을 위한 날실 방사의 1/4는 하니스 번호 7에 의해 이송될 수 있으며, 제 1 직조 영역을 위한 날실 방사의 1/4는 하니스 번호 1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제 2 및 제 3 직조 영역을 위한 날실 방사는 이용가능한 하니스 사이에서 유사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직조된 직물층(24)은 4개의 반복 패턴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과 같은 중합체 방사로 동시에 제조되며, 이 각각의 반복 패턴은 4개의 날실 방사와 4개의 씨실 방사를 일체로 한다. 각각의 직조 방향으로 4개의 방사를 사용하는 반복 패턴은 단일 직조 장치를 사용하여 바람직한 간단한 직조 구조인 2개의 층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더우기, 직물의 길이부 및 폭부를 가로질러 주어진 직조 패턴의 반복은 서로 균일하고 독립적인 2개의 층에 발생한다. 형성 이후에, 직물의 부분은 침투성 차단재(예를 들면, 실리콘,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피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피복재는 직물의 제곱 야드당 1온스보다 크지 않는 정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물의 제곱 야드당 약 0.6온스보다 크지 않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직물의 제곱 야드당 약 0.4온스보다 크지 않아, 이 피복재는 실질적으로 방사 자체를 덮는 일 없이 방사 사이의 틈새형 보이드(interstitial voids)에 존재한다.
직물의 폭부 및/또는 길이부를 가로질러 하나의 기본 직조 패턴으로부터 다른 직조 패턴으로 옮기므로써 날실 방향과 씨실 방향으로 직물층(2) 사이에서 연장하는 직조된 조인트의 제어된 형성이 얻어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는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바람직한 4개의 방사 반복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직조 패턴에서 날실 방사(1, 3)는 동일한 직물층(24)에 위치될 수 있는 반면, 날실 방사(2, 4)는 다른 층에 위치된다. 유사하게, 씨실 방사(A, C)는 일 층에 위치하지만, 씨실 방사(B, D)는 다른 층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 4a에 따른 패턴을 직조할 경우, 씨실 방사(A)가 삽입될 때 씨실 방사(A)는 날실 방사(1, 2, 3) 위 및 날실 방사(4) 아래로 통과하여 제 1 직물층 부분을 형성한다. 씨실 방사(B)가 삽입될 때 씨실 방사(B)는 날실 방사(1) 위 및 날실 방사(2, 3, 4) 아래로 통과하여 제 2 직물층 부분을 형성한다. 씨실 방사(C)가 삽입될 때 씨실 방사(C)는 날실 방사(1, 3, 4) 위 및 날실 방사(2) 아래로 통과한다. 마지막으로, 씨실 방사(D)가 삽입될 때 씨실 방사(D)는 날실 방사(1, 2, 4) 아래 및 날실 방사(3) 위로 통과하여 제 2 직물층에서 직조의 상호작용을 종결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직물의 제 1 또는 상층은 날실 방사(2, 4)와 씨실 방사(A, C)로 형성되며, 직물의 제 2 또는 바닥층은 날실 방사(1, 3)와 씨실 방사(B, D)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사한 방법으로, 도 4b의 다이어그램에 따른 직조시, 제 1 또는 상층은 날실 방사(1, 3) 및 씨실 방사(A, C)를 갖는 반면 제 2 또는 바닥층은 날실 방사(2, 4) 및 씨실 방사(B, D)를 갖는다. 도 4c에 따른 직조시, 제 1 또는 상층은 날실 방사(2, 4) 및 씨실 방사(B, D)를 가지며 제 2 또는 바닥층은 날실 방사(1, 3) 및 씨실 방사(A, C)를 갖는다. 도 4d의 패턴에 따른 직조시, 제 1 또는 상층은 날실 방사(1, 3) 및 씨실 방사(B, D)를 가지며 제 2 또는 바닥층은 날실 방사(2, 4) 및 씨실 방사(A, C)를 갖는다.
상층(30) 및 바닥층(32)(도 5 및 도 6)을 갖는 2층의 직물(24)은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직조 패턴을 조합하므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층(30) 및 바닥층(32) 각각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씨실 방사 또는 충전 방사로 상호직조된 다수의 날실 방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조 패턴의 조정을 통해 실제로 가스 불침투성 특성의 상호연결 조인트(16)가 직조된 직물 구조물(24)의 상측(30) 및 바닥층(3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의 강도 및 가스 불침투성 특성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조인트가 조인트 형성 점에서 소위 방사 "플로트(floats)"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피할 수 있다라는 사실에 의해 상당히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방사 플로트는 날실 방사 또는 씨실 방사가 2개 또는 그 이상의 연속적인 횡방향 방사의 위 또는 아래로 지나가 횡방향 방사 사이를 통과하지 못할 때 정의된다. 즉,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록 날실 방사 또는 씨실 방사가 상층(30)에서 바닥층(32)으로 이동할 지라도 날실 방사와 씨실 방사 사이에서의 상-하 상호직조 관계는 조인트(16)를 가로질러 유지된다. 이러한 이동은 단일 방사의 공간내에서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은 방사가 건너뛰도록 하고 및/또는 상당히 중요한 상호직조 영역의 사용을 필요로하는 종래의 상호직조 연결부보다 실질적이고 중요한 이점을 나타내며, 상기 상당히 중요한 상호직조 영역에서 상호연결부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몇몇의 방사를 대신하여 상층 및 바닥층이 단일 두께의 두꺼운 층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배리어 요소(14)의 적어도 일부는 비교적 가깝게 이격된 조인트(16)로 제조되어 침투성을 증가시키는 과도한 저하를 방지하고 파손을 보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직물층에서 단지 12개의 방사(전체 24개 방사)가 가깝게 이격된 조인트 사이의 영역에 위치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직물층에 단지 8개의 방사가 가깝게 이격된 조인트 사이에 위치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직물층에 단지 약 2개 내지 4개의 방사가 가깝게 이격된 조인트 사이의 영역에 위치된다(도 5 및 도 6).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선 구조를 제외하고, 만일 자카드식 직조 시스템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독립된 직물층에 의해 분리된 상보적인 가깝게 이격된 조인트는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매우 가깝게 이격된 조인트의 사용은 쿠션의 주변부를 형성하는 유동 배리어 요소(14)를 형성함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가깝게 이격된 조인트(16)의 사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된 팽창식 튜브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특히 유리할 수 있으며, 조인트(16)는 튜브의 길이부를 따라 실질적으로 날실 방향으로 진행하여 튜브 잔류 구멍과 같은 하나 또는 양 단부를 갖는 연결 배리어 에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구조물을 사용하므로써,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실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호연결 배리어 조인트(16)를 갖는 튜브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기저로 직조기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층(30)과 바닥층(32)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보적인 직조 패턴 사이에서의 변이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중요한 실시예에 있어서, 종결된 직조 아이템의 복잡한 디자인도 날실 방사를 위 아래로 이동시켜 씨실 방사의 삽입을 위한 개구를 개섬하는 하니스의 이동을 제어하므로써 다양한 비교적 적은 수의 기본 직조 패턴을 반복하므로써 얻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는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의 패턴과 같은 제 1 패턴(40)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패턴(42)을 이용하는 다른 직조 영역에 인접한 직조 영역에 있어서 상층(30)으로부터 바닥층(32)으로 씨실 방사의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 그런 후, 유사한 조인트는 제 1 패턴(40)으로의 전환에 의해 가까운 인접부에 형성된다. 도 6에는 직조된 직물의 상층(30)과 바닥층(32) 사이에서 씨실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조인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 조인트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이 사용되는 영역 사이의 영역에서 직조하므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조인트(16)는 일 층에서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방사의 기본 직조 패턴을 방해하는 일 없이 형성되는 기본 조인트(16)를 방해하는 일 없이 형성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련의 반복되는 직조 패턴을 사용하여 직물의 폭부를 가로질러서 뿐만 아니라 직물의 길이부 아래로 연장하는 조인트를 적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7에는 직물의 길이부 및 폭부를 따라 몇몇개의 가능한 연결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은 날실 방사를 이송하는 하니스에 의해 제어되는 폭부를 가로질러 다수의 날실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망하는 바와 같이 날실 방사는 길이부를 따라 상이한 직조 섹션이 형성될 때 맞물린다.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7 전역의 영역 표시는 이들 섹션에 사용된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기본 직조 패턴에 해당한다.
본원에 도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직조 패턴이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성되는 직물의 길이부 또는 폭부를 따라 서로 인접해 배열되는 공기 불침투성 직조 패턴의 강도 및 유지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는 날실 방사 및 씨실 방사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이부 전역에 얽히도록 서로 상보적으로 되어야 하는 것이 알려졌다. 즉, 방사가 조우할 때 각각의 방사가 방사와의 얽힘 관계를 스킵(skipping)하는 일 없이 교호적인 방법으로 연속적인 방사의 위 아래로 통과할 수 있게 이러한 관계가 유지된다. 이러한 스킵된 방사 또는 "플로트"를 피하는 중요한 이유는 스킵되는 방사가 직물 구조를 헐겁게 하여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에어백에 팽창 가스용의 잠재적인 출구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도 1,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박음질 백의 전역에서 비교적 복잡한 유동 배리어 요소를 만드는 것 외에,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전술된 방법으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직선 기하학인 조인트를 사용하는 보다 간단한 구조의 구속 쿠션을 형성한다. 예시적이지만 비 한정적인 실시예로서, 도 8에는 쿠션의 폭부를 가로질러 수직하게 배치된 다수의 실질적으로 직선 배리어 요소(314)를 포함하는 팽창식 쿠션(20)이 도시되어 있다.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배리어 요소는 주어진 적용에서 강도가 요구되므로 길이부 일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수의 조인트 구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원에 이미 도시되고 상술된 배리어 요소에 사용되는 가깝게 이격된 이중 조인트 라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직조된 직물 구조물(24)의 층 사이에 형성된 연장된 라인 연결부외에, 본 발명의 적용은 일부 구조물에 대해 바람직할 수 있는 것처럼 실제로 점 형상의 연결부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점 형상의 연결부의 일 실시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유동 배리어 요소(414)는 이들 점에서 하중을 분포시키는 데 유용할 수 있도록 구조물 전체에 이중 박스를 갖는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팽창 매체가 모든 소망의 위치로 채널링 할 수 있도록 수평 및 수직 연결부를 조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중 하나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상술되었지만,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나타나 있다.

Claims (7)

  1. 비자카드식 구조물의 백을 포함하는 팽창식 에어백 쿠션에 있어서,
    상기 백은 제 1 직물층 및 제 2 직물층으로 형성된 전면부 및 배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직물층 각각은 날실 방향으로 진행하는 다수의 중합체 날실 방사와 그 사이에 개재된 상기 날실 방향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씨실 방향으로 진행하는 다수의 중합체 씨실 방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백은 다수의 직조된 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직조된 조인트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 사이에 유동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가스가 상기 백내로 유입될 때, 상기 백내의 가스 유동은 상기 직조된 조인트에 의해 제한되어, 팽창되고자 하는 위치에 가스가 들어가도록 하고 상기 직조된 조인트가 위치하는 곳에서 상기 백의 팽창을 억제하며, 상기 직조된 조인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 사이에서 적어도 날실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모든 직조된 조인트는 기본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선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팽창식 에어백 쿠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배리어는 상기 백의 내부에 걸쳐 배치된 박스 구조물을 포함하는
    팽창식 에어백 쿠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구조물은 다수의 코너가 형성된 구조체인
    팽창식 에어백 쿠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 방사 및 상기 씨실 방사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로 형성되는
    팽창식 에어백 쿠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된 조인트는 이들 폭부에 걸쳐 얽힘을 유지하여 방사 플로트가 실질적으로 없는
    팽창식 에어백 쿠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배리어의 적어도 일부는 2개의 분리된 직조 직물층을 포함하는 연결부에 의해 서로 분리된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조된 조인트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의 폭부는 각각의 상기 2개의 층이 8개 또는 그 이하의 방사를 스패닝(spanning)하는 폭을 갖는 것인
    팽창식 에어백 쿠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은 다공 차단 피복재를 더 포함하는
    팽창식 에어백 쿠션.
KR1019997007423A 1997-12-19 1998-12-17 팽창식 에어백 쿠션 KR200000711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11197P 1997-12-19 1997-12-19
US60/068,111 1997-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134A true KR20000071134A (ko) 2000-11-25

Family

ID=2208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423A KR20000071134A (ko) 1997-12-19 1998-12-17 팽창식 에어백 쿠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830261B2 (ko)
EP (1) EP0961717B1 (ko)
JP (1) JP4197746B2 (ko)
KR (1) KR20000071134A (ko)
AU (1) AU1926299A (ko)
DE (1) DE69835581T2 (ko)
ES (1) ES2267206T3 (ko)
PT (1) PT961717E (ko)
WO (1) WO1999032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3275B2 (en) * 1999-06-07 2004-06-22 Bradford Industries, Inc. Laminated multi-layered woven textile fabrics for use in air holding vehicle restraint systems
US6740607B2 (en) 1999-06-07 2004-05-25 Bradford Industries, Inc. Substrate with stretch and heat sealing properties to make a multidirectional restraint module design
US6239046B1 (en) 1999-06-07 2001-05-29 Bradford Industries, Inc. Polysiloxane coated fabrics for use in air bags
US6734125B2 (en) 1999-06-07 2004-05-11 Bradford Industries, Inc. Laminated multi-denier mixed fabrics for use in inflatable vehicle restraint systems
US6770578B2 (en) 1999-06-07 2004-08-03 Bradford Industries, Inc. Laminated textile fabrics for use in air holding vehicle restraint systems
US6734123B2 (en) 1999-06-07 2004-05-11 Bradford Industries, Inc. Polyurethane coated fabrics for use in air-holding vehicle restraint systems
MXPA01001742A (es) * 1999-06-17 2004-12-06 Milliken & Co Sistema de recubrimiento de dos capas para telas de bolsa de aire.
US6220309B1 (en) 1999-09-24 2001-04-24 Milliken & Company Inflatable fabrics comprising basket-woven attachment points between fabric panels
GB2357264B (en) * 1999-12-16 2004-01-1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JP3766806B2 (ja) 2002-03-15 2006-04-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袋織エアバッグ
AU2003277703B2 (en) 2002-11-06 2007-08-02 Kolon Ind. Inc. Inflatable two-layer fabrics
GB2410725A (en) 2004-02-06 2005-08-10 Autoliv Dev Airbag mounting tab
US7350807B2 (en) 2005-05-25 2008-04-01 Autoliv Asp, Inc. Divided airbag system
DE102005052516B4 (de) * 2005-11-03 2007-09-13 Autoliv Development Ab Mehrkammer-Gassack
US20080026657A1 (en) * 2006-07-26 2008-01-31 Sollars John A Fabric for manufacture of automotive airbags, airbags and method for making airbags
JP2009073219A (ja) * 2007-09-18 2009-04-09 Toyota Boshoku Corp エアバッグ
US7695012B2 (en) * 2008-04-03 2010-04-13 Autoliv Asp, Inc. Airbag systems with a split pocket
US7651118B1 (en) 2008-08-30 2010-01-26 Bradford Industries, Inc. Polyvinyl chloride coated fabrics for use in air bags
US20100129575A1 (en) * 2008-08-30 2010-05-27 Veiga Manuel J Polyvinyl chloride coated fabrics for use in air bags
US9079558B2 (en) * 2009-01-16 2015-07-14 Global Safety Textiles, Llc Coated airbag
US7938445B2 (en) * 2009-03-03 2011-05-10 Autoliv Asp, Inc. Dual chamber airbag cushions with a safety vent in the front chamber
US7946613B2 (en) 2009-03-03 2011-05-24 Autoliv Asp, Inc. Dual chamber airbag cushion
US8371612B2 (en) 2009-09-17 2013-02-12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with lateral and longitudinal tethers
EP2374923B1 (en) * 2010-04-09 2013-12-25 Autoliv Development AB Method of making an inflatable air-bag
EP2500454B1 (en) 2011-03-16 2015-05-13 Autoliv Development AB A fabric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n inflatable air-bag
JP6113048B2 (ja) * 2013-10-23 2017-04-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180119320A1 (en) * 2015-03-26 2018-05-03 Natalie A. CANDRIAN-BELL Inflatable Jacquard-Woven Textiles for Structural Applications
JP6376704B2 (ja) * 2016-02-19 2018-08-22 住商エアバッ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袋体
US10680473B2 (en) * 2016-07-22 2020-06-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ic motor rotor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363A (en) * 1894-06-12 Alfred
DE2105428A1 (de) * 1971-02-05 1972-08-24 Uniroy al AG, 5100 Aachen Sicherheitsvorrichtung in Fahrzeugen zur Verminderung des Aufpralles
US3731949A (en) * 1971-05-12 1973-05-08 Allied Chem Flat bag made of tubular sections
JPS569024B2 (ko) 1974-05-15 1981-02-26
US3991249A (en) * 1975-01-17 1976-11-09 Toray Industries, Inc. Fabric material for producing woven air bags utilized for protecting riders in vehicles
JPH0692218B2 (ja) * 1987-12-11 1994-11-16 旭化成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用バッグおよびその製造法
JPH02204151A (ja) 1989-02-03 1990-08-14 Asahi Chem Ind Co Ltd エアーバッグ用袋織地
US5685347A (en) * 1989-02-16 1997-11-11 Airbags International Limited Circular air bag made of two simultaneously woven fabrics
DE69032826T2 (de) 1989-02-16 1999-08-12 Airbags Int Ltd Luftsack
JPH0316850A (ja) 1989-06-14 1991-01-24 Asahi Chem Ind Co Ltd 二重袋織エアーバッグとその織地
JPH0316852A (ja) 1989-06-14 1991-01-24 Asahi Chem Ind Co Ltd 袋織のエアーバッグ
JP2524534B2 (ja) * 1989-12-27 1996-08-14 池田物産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H0443143A (ja) 1990-06-08 1992-02-13 Asahi Chem Ind Co Ltd 異形袋織エアーバッグ
US5011183A (en) * 1990-06-08 1991-04-30 Stern & Stern Industries, Inc. Bag, airba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098125A (en) * 1990-06-08 1992-03-24 Stern & Stern Industries, Inc. Tube, airba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4228338A (ja) * 1990-12-27 1992-08-18 Nissan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バッグ本体製造方法
DE4134995C1 (en) 1991-10-23 1993-03-18 Guenter 8152 Feldkirchen-Westerham De Herrmann Sideways impact protection device - has inflatable cushion which is mounted at side of vehicle with sensor that detects impacts to initiates inflation
US5482317A (en) 1993-06-28 1996-01-09 Sandia Corporation Structurally efficient inflatable protective device
US5421378A (en) 1994-03-30 1995-06-06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Airbag weaving on a water-jet loom using yarns
GB2333076B (en) * 1995-02-20 1999-08-2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device
US5833265A (en) * 1997-02-21 1998-11-10 Takata, Inc. Airbag with excursion restrictors
DE29709389U1 (de) 1997-05-28 1997-09-25 Trw Repa Gmbh Gassack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JP3197254B2 (ja) 1999-04-08 2001-08-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Atm仮想パス容量設定方法
JP2001097170A (ja) * 1999-09-30 2001-04-10 Nippon Plast Co Ltd 側部用エア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1717A1 (en) 1999-12-08
US20010042980A1 (en) 2001-11-22
JP2001513154A (ja) 2001-08-28
EP0961717B1 (en) 2006-08-16
EP0961717A4 (en) 2004-05-12
AU1926299A (en) 1999-07-12
US8118324B2 (en) 2012-02-21
DE69835581T2 (de) 2007-08-09
WO1999032332A1 (en) 1999-07-01
ES2267206T3 (es) 2007-03-01
DE69835581D1 (de) 2006-09-28
US20050077708A1 (en) 2005-04-14
JP4197746B2 (ja) 2008-12-17
PT961717E (pt) 2006-12-29
US6830261B2 (en) 200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1134A (ko) 팽창식 에어백 쿠션
JP5265960B2 (ja) 膨張可能な織物
EP0612644B1 (en) Double twill woven air bag
JP4248541B2 (ja) 膨張可能な車両乗員保護装置
US7179762B1 (en) Motor vehicle air bag and fabric for use in same
EP1941088A2 (en) One-piece woven air bag with tethers
CN113511165B (zh) Opw气囊
KR20210122159A (ko) Opw 에어백
US6978808B2 (en) Bias-woven side curtain airbag
US10315611B2 (en) One-piece wov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2349085B1 (ko)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MXPA99007153A (en) Woven airbag with flow barr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