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0883A - 소형 승용작업차 - Google Patents

소형 승용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883A
KR20000070883A KR1019997007148A KR19997007148A KR20000070883A KR 20000070883 A KR20000070883 A KR 20000070883A KR 1019997007148 A KR1019997007148 A KR 1019997007148A KR 19997007148 A KR19997007148 A KR 19997007148A KR 20000070883 A KR20000070883 A KR 20000070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forming
passenger car
transmission case
small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619B1 (ko
Inventor
마쯔오카히데키
카노켄시로
우에무라마사미쯔
Original Assignee
야마오카 타다오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모토 츠이기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2675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72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767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20405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오카 타다오,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모토 츠이기,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오카 타다오
Publication of KR20000070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60R21/131Protective devices for drivers in case of overturning of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60R2021/132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 B60R2021/134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movable from a retracted to a protectio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쌍의 메인프레임에, 좌우 한쌍의 전차륜과 후차륜을 각각 설치하고, 메인프레임에는 서브프레임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서브 프레임은,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킨 전측프레임 형성체와 상기 전측프레임 형성체 의 좌우측단에서 후방을 향해 신장시킨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를 구비하도록 했다. 따라서,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승용작업차 {Small-Sized Passenger Vehicle}
종래 소형 승용차의 한 형태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 한 쌍의 메인프레임(Main Frame)에, 좌우 한 쌍의 전 차륜을 전 차륜(Front Wheel) 전동케이스(Transmission Case)를 통해 설치하고, 좌우 한 쌍의 후 차륜을 후 차륜(Rear Wheel)전동케이스를 통해 설치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운전부, 엔진, 그리고 변속케이스(Suspension Case)를 지지시킨 것이 있다. 또, 운전부에는 좌석의 좌우 측방에 각종 조작레버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소형 승용작업차는 아직까지 다음과 같은 과제를 안고 있다.
① 예를 들어 산간지에서 농경작업을 하는 경우, 좁고 상하로 경사가 심한 노면을 주행해서 경작지 간에 이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하향 경사면의 주행시에는 스텝면이 지면과 수평하기에, 운전자가 발을 디딜 힘이 없어 운전자에게 공포감을 주는 한편, 상향 경사로 면의 주행 시에는 배후에 보호부재가 없어 운전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② 과수원 등에서, 소형 승용작업차의 후방에 경작기 등을 연결하여 나무 사이를 이동하면서 경작 또는 제초작업을 할 때, 본 작업차의 외측 둘레부가 과수에 닿아 과수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많다.
③ 예를 들어 산간 지역의 거칠은 밭에서 작업하는 경우, 경사지 작업이 많아 운전자는 한 손으로 운전부의 핸들을 잡고, 다른 손으로 각종 조작레버를 작동할 때 기체가 크게 경사져 운전부에서 굴러 떨어질 수 있다. 이 때, 각종 조작레버를 쥐고 있는 손을 핸들에 바꿔 잡을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것도 있어, 운전자에게 공포감을 준다.
④ 차체의 후방부에 엔진부 또는 미션(Mission)부와 같은 중량물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차체의 무게중심부가 차체의 후방부쪽으로 벗어나, 차체의 전후 균형이 맞지 않아 차체의 조작성이나 주행 안전성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 특히, 차체의 후방부에 경작기 또는 각종 작업기기들을 연결해서 여러 가지 작업을 하면, 차체의 중심위치가 차체 후방으로 이동하고 차체 전방이 들뜨게 되어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없어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형 승용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소형 승용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의 차체 프레임의 일부 절단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의 차체 프레임의 평면도.
도 6은 리플렉터(Reflector)의 단면 측면도.
도 7은 본네트의 단면 배면도.
도 8은 제2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9는 제2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의 평면도.
도 10은 제2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제3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제4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제5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 한 쌍의 메인프레임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과 후차륜을 각각 설치하고 메인프레임에는 서브프레임(Sub Frame)을 설치하며, 상기 서브프레임은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를 구비하고,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는 전단에서 후하방을 향해 경사지는 발디딤면 형성부와, 각 발디딤면 형성부의 후하방에서 운전부 좌석의 측방 위치까지 후상방을 향해 경사지는 측방 경사부와 측방 경사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약간 수평으로 연장시킨 후방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에서도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는, 각각 전후차륜의 직상방 위치에 배치한 것.
(2)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의 측방 경사부와 후방 연장부가 접속하고 있는 굴곡부를 각각 손잡이부로 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운전부 좌석의 측방에 배치한 것.
(3)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각종 조작레버를 설치한 것.
(4) 서브프레임의 측방 경사부와 후방 연장부의 사이에, 사이드 커버체를 가설(架設)하고 상기 사이드 커버의 중도부는 하방에 볼록부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하며, 상기 중도부와 손잡이부의 사이에 손잡이부 공간을 형성한 것.
(5) 운전부에 설치한 좌석의 직후방 위치에서,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 사이에 평면도로 볼 때, 문 모양 형상의 롤바(Roll Bar)가 배치된 것.
(6) 서브프레임과 롤바는, 각각 원형파이프(Round Pipe)에 의해 형성된 것.
(7) 메인프레임의 후방부에 엔진을 탑재(搭載)하고, 상기 엔진을 본네트(Bonnet)로 덮어 상기 본네트의 상부면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본네트의 좌우측방에 결속피스부 (Engagement Piece Section)를 설치한 것.
(8) 메인프레임의 전방부에 운전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형성체를 확장하여 설치하고, 바닥부 형성체에서 운전부 좌석의 전단부 위치를 향해 약간 수직으로 전벽(前壁) 형성부를 세워 설치한 것.
(9) 전측(前側)프레임 형성체와 좌우측 발디딤면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 직하방의 하부 공간 내에, 차륜조향(Wheel Steering) 장치의 일부를 설치하고, 전방측면 프레임 형성체와 좌우측 발디딤면 형성부를 따라 배치토록 하며, 범퍼(Bumper) 겸용의 프런트 웨이트(Front Weight)를 설치하여 프런트 웨이트에 의해 상기 차륜조향 장치의 일부가 덮어져서 형성된 것.
(10) 전측프레임 형성체와 좌우측 발디딤면 형성부를 따라, 범퍼 겸용의 프런트 웨이트를 설치한 것.
(11) 프런트 웨이트에 의해 차륜조향 장치의 일부가 덮어져 형성된 것.
(12) 변속케이스와 후차륜 센터(Center) 전동케이스를 전후방향에 간격을 넓혀 배치하고, 변속케이스의 좌우측부에 좌우측 전차륜을 각각 좌우측 전차륜 전동케이스를 통해 연결결합하는 한편,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의 좌우측부에 좌우측 후차륜을 각각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를 통해 연결결합하고, 좌우측 전차륜 전동케이스와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를 각각 서브프레임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서브프레임은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변속케이스의 전방에 배치한 전측프레임 형성체와 상기 전측프레임 형성체의 좌우 측단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시켜 좌우측 전후차륜의 상방에 배치한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로 구성이 되며, 평면도로 볼 때, 그 서브프레임은 사각형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되며, 또 변속케이스에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를 제2전동장치(A Second Transmission Mechanism)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고, 변속케이스의 상방에 운전방부 좌석을 설치하며 상기 좌석의 직후방 위치에 엔진을 설치한 것.
(13) 변속케이스와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는, 연결지지체를 이용하여 설치한 것.
(14) 연결지지체는,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켜 변속케이스의 후단부에 설치한 횡프레임(Lateral Frame)과, 상기 횡프레임의 좌우측부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시켜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와 연결한 좌우측 전후방향 연장프레임을 구비하는 것.
(15) 연결지지체를, 변속케이스의 좌우측벽에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기 위해 설치하고, 상기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은 변속케이스의 좌우측벽 각각 전단(前段)에 연결하고, 또한 후방을 향해 연장시킨 좌우측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와, 상기 좌우측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의 후단에서 각각 외측하방을 향해 경사진 모양으로 연장시킨 좌우측 경사프레임 형상체와, 상기 좌우측 경사프레임 형성체의 후단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시킨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와 연결한 좌우측 후방프레임 형성체를 구비한 것.
(16)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간에 연결프레임을 가설한 것.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도 3에 제시하는 부호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이고, 상기 소형 승용작업차(A)는 차체프레임(1) 상의 대략 중앙부에 변속케이스 (2)를 설치하고, 상기 변속케이스(2)의 좌우측부에 각각 전차륜 전동케이스(3,3)를 연결결합하여, 각 전차륜 전동케이스(3,3)에 전차륜(4,4)을 전차축(4a,4a)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차체프레임(1) 상의 후방부에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를 설치하고 상기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의 좌우측부에 각각 후차륜 전동케이스(6,6)를 연결결합하여, 각 후차륜 전동케이스(6,6)에 후차륜(7,7)을 후차축(7a,7a)을 이용해서 설치하며, 상기 요소들이 차체지지 구조체(8)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차체지지 구조체(8)에는, 도 4 및 도 5에도 제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부에 운전부(9)를 설치하고 상술한 변속케이스(2)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와의 사이에 엔진(10)과 머플러(11)를 설치하며, 상기 엔진(10)에 변속케이스(2)를 제1 전동장치(First Transmission Mechanism;12)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고, 변속케이스(2)에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 (5)를 제2 전동장치(13)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고 있다. 부호18은 배터리(Battery)이다.
또한,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의 후단에는 좌우 한쌍의 작업기 연결체 (14,14)를 후방을 향해 돌출시켜 형성하고, 양쪽 작업기 연결체(14,14) 사이에 전동축(15)을 가로로 놓아 상기 전동축(Transmission Shaft;15)을 엔진(10)에 제3 전동기구(16)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고, 차체 프레임(1)의 후단부에는 승강장치(Lift Mechanism;17)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해서, 차체지지 구조체(8)의 후방에 각종 작업기(도시 생략)를 작업기 연결체(14,14)와 승강장치(17)를 이용하여 승강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동시에, 각종 작업기에 제3 전동기구(16)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차체프레임(1)은, 도 4 및 도 5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쌍의 메인프레임(20,20)과 양쪽 메인프레임(20,20)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사이에는 평면도로 볼 때 사각형 테형상의 서브프레임(21)과 정면도로 볼 때 문형상의 롤바(22)가 상기 서브프레임(21) 상에 자유자재로 세워 설치되며, 평면도로 볼 때 사각형 테형상의 가드프레임(Guard Frame;23)이 가설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메인프레임 (20a,20a)는 , 도 4 및 도 5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변속케이스(2)의 좌우폭보다도 조금 넓은 폭의 간격으로 배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곧게 연장시킨 본체프레임 형성체(20a,20a)와, 각 본체프레임 형성체(20a,20a)의 전단에서 내측전방을 향해 연장시킨 내측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20b,20b)와 각 본체프레임 형성체(20a,20a)의 후단에서 후상방을 향해 경사진 모양으로 연장시킨 후측 경사프레임 형성체(20c,20c)와, 각 후측 경사프레임 형성체(20c,20c)의 후단에서 직상방으로 세워 올린 모양으로 연장시킨 후측 입상프레임 형성체(20d,20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내측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20b,20b)는, 각각 전차축(4a,4a)보다도 전방 위치에 배치하고, 좌우측 전차륜(4,4)과는 내측방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양쪽 프레임 형성체(20a,20a)의 좌우폭은, 평면도로 볼 때 전방으로 점차 가는 폭의 모양으로 형성하여, 좌우측 전차륜(4,4)의 절각(Clearance for Steering))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좌우 한쌍의 내측전방 연장 프레임 형성체(20b,20b)의 전단 사이에는, 좌우 폭방향에 연장하는 서브프레임 연결체(30)를 브래킷(Bracket;31)을 이용하여 가로로 설치한다. 부호 32는 장착볼트이다.
좌우 한쌍의 본체프레임 형성체(20a,20a)의 전방부 간에는, 전측 연결체(33)를 가로로 설치하고, 상기 전측 연결체(33)의 직후방에 위치하는 본체프레임 형성체 (20a,20a)의 상면 부분에는, 각각 전차륜 전동케이스 스테이(Front Wheel Transmission Case Stays;34,34)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양쪽 스테이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한 결합용 오목부(34a,34a)에, 각각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측 전차륜 전동케이스(3,3)의 중도부를 결합하여, 각 스테이(34,34)와 각 전동케이스 (3,3)에 설치한 연결브래킷(3a)을 연결볼트(3b,3b)에 따라 연결하며, 이러한 구성은 변속케이스(2)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 한쌍의 본체프레임 형성체(20a,20a)의 후방부간에는 후측연결 체(35)를 가로로 설치하고, 상기 후측연결체(35)의 좌우측부에서 좌우 한쌍의 엔진지주(36,36)를 세워 각각 설치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후측 경사프레임 형성체(20c,20c)의 중도부에는, 각각 후차륜 전동케이스 스테이(37,37)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양쪽 스테이(37,37)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한 결합용 오목부(34a,34a)에 각각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된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6,6)의 중도부를 결합하며, 각 스테이(37,37)와 각 전동케이스 (6,6)에 설치한 연결 브래킷(6a,6a)을 연결볼트(6b,6b)에 따라 결합하며, 이러한 구성은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있다.
또한, 각 후차륜 전동케이스 스테이(37)의 하단에는, 링크연결 브래킷(37b)을 하부로 연장시켜 설치하고, 상기 링크연결 브래킷(37b)에 승강장치(17)의 일부를 구성하는 로워링크(lower link-38)의 기단부(基端部)를 연결핀(39)으로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후측프레임 형성체(20c)의 경사각도는, 로워링크(38)의 가장 큰 상승 경사각도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로워링크(38)가 후측 경사프레임 형성체(20c)에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후측 입상프레임 형성체(20d,20d)는, 후차축(7a,7a)보다도 후방 위치에서 올려 세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프레임 형성체(20d,20d)의 상부에 리프트 암 스테이(Lift Arm Stay;40,40)를 설치하고, 양쪽 리프트 암 스테이 (40,40) 간에 암 지지축(Arm Support Shaft;41)을 가로로 설치하며, 상기 암 지지축(41)을 좌우 한쌍의 리프트 암(Lift Arm;42,42)의 기단과, 작동용 암(Working Arm;43)의 기단에 설치하고, 상기 작동용 암(43)의 선단부와 상술한 작업기 연결체(14)와의 사이에 승강실린더(44)를 이용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각 리프트 암(42,42)의 선단부와 상술한 로워링크 (38,38)의 각 선단부와의 사이에 리프트 링크(45,45)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이것들과 작업기 연결체(14)에 연결한 탑링크(17a)에 의해 승강장치(17)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후측 입상프레임 형성체(20d,20d)의 상단에는, 각각 후술하는 후측프레임 형성체(26)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래킷(46,46)을 설치하고 있다.
서브프레임(21)은 도 4 및 도 5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킨 전측프레임 형성체(24)와 상기 전측프레임 형성체(24)의 좌우측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시킨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25,25)와, 양쪽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 (25,25)의 후단부 간에 가로로 설치한 후측프레임 형성체(26)로 구성되어 있고, 메인프레임(20,20)의 전단 사이로 가로로 설치한 서브프레임 연결체(30)의 좌우 측단에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25,25)의 전방부를 고정하며, 메인프레임(20,20)의 후측 입상프레임 형성체(20d,20d)의 상단에 후측프레임 형성체(26)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25,25)는 각각 전후차륜(4,4 7,7)의 직상방 위치에 각각 배치해 있고, 전단에서 후하방을 향해 경사지는 발디딤면 형성부(25a,25a)와, 각 발디딤면 형성부(25a,25a)의 후단으로부터 후술하는 운전부(9) 좌석(74)의 측방 위치까지 후상방을 향해 경사지는 측방 경사부 (25b,25b)와, 각 측방 경사부 (25b,25b)의 후단에서 메인프레임(20,20)의 후측 입상프레임 형성체(20d,20d)의 상방 위치까지 약간 수평하게 연장시킨 후방 연장부(25c,25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방 경사부(25b,25b)와 후방 연장부(25c,25c)가 접속하고 있는 굴곡부를 각각 손잡이부(27,27)로 하고, 양쪽 손잡이부(27,27)는 운전부(9) 좌석(74)의 좌우 측방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 후방 연장부(25c,25c)는 도 1~도 6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부 간에 연결 횡프레임(49)을 가로로 설치하고, 후단에 각각 리플렉터(50,50)를 설치체 (51,51)를 이용하여 자유자재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해 있으며, 설치체(51)는 후방 연장부(25c)의 후단 개구부에 끼워 넣는 원통형상 결합부(51a)와, 상기 원통 형상 결합부(51a)의 머리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원판형상의 지지부(51b)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51b)의 후면에 리플렉터(50)를 지지시키고 있다.
후측프레임 형성체(26)는 도 4 및 도 5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킨 좌우 한쌍의 후방 연장부(25c,25c)의 후단부 간에 설치해 있고, 메인프레임 (220)의 후측 입상프레임 형성체(20d,20d) 간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중도부 (26a)를, 좌우측단부(26b,26b)보다도 전방에 위치시키기 위해, 좌우측단부(26b,26b)와 중도부(26a)의 좌우측단부와의 사이에 좌우측 경사부(26c,26c)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 경사부(26c)의 하부면과 중도부(26a)의 우측단부 하부면에 각각 고정브래킷(47,47)을 설치하고, 각 고정브래킷(47,47)을 상술한 후측 입상프레임 형성체(20d,20d)의 상단에 설치한 고정브래킷(46,46) 상에 중첩시켜, 고정볼트(48,48)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후측프레임 형성체(26)는 중도부(26a)의 배후에 전방으로 볼록부 형상의 후부공간(S1)을 형성하고, 상기 후부공간(S1)에 의해 리프트 암(42,42)의 상승 회전각도를 확보한 채 리프트 암(42,42)의 회전지점을 가급적 차체의 중앙부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승강장치(17)를 차체의 중앙부쪽에 배치할 수 있고, 상기 승강장치 (17)에 연결하는 각종 작업기를 차체에 근접시킬 수 있어, 차체의 전후 중량의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롤바(22)는 후술하는 운전부(9) 좌석(74)의 직후방 위치에서, 상기 서브프레임(21)의 후방 연장부(25c,25c) 사이에 설치하고, 좌우 한쌍의 지주부(22a,22a)와 양쪽 지주부 (22a,22a)의 상단 간에 가로로 설치한 횡프레임부(22b)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지주부(22a,22a)는, 각각 후방 연장부(25c,25c)에 하단부를 지지 브래킷(28,28)을 이용하여 가로 방향의 주축(29,29)을 따라 자유자재로 세웠다 내릴수 있게 설치하고, 각 횡축(29,29)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각 지주부(22a,22a)의 하부에 핀삽입 구멍(22c,22c)을 형성하는 한편, 지주브래킷(28,28)에는 횡축(29,29)의 직상방 위치에 기립위치 고정용 핀구멍(28a,28a)을 형성하며, 횡축(29,29)의 후방 위치에 후방 경사위치 고정용 핀구멍(28b,28b)을 형성하고, 상기 핀삽입 구멍(22c,22c)과 어느 한쪽의 핀구멍(28a,28a 28b,28b)을 일치시켜, 고정핀(63)을 삽입하여 통하게 함으로써, 롤바(22)를 기립위치와 후방 경사위치로 자세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부호 28c는 후방 경사위치 스토퍼(Stopper)이다.
더욱이, 후방 경사위치로 자세 변경한 롤바(22)의 상단은, 후술하는 운전부(9)의 핸들(68)과 지상 높이를 거의 동일하도록 설정해서, 차고 등에서 주차시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지지브래킷에(28,28)는 도 1~ 도 5 및 도 7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방향설치기(Winker;61,61)를 장치브래킷(62,62)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본 승용작업차를 노상주행시키는 경우 안전주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가드프레임(23)은 도 1~도 5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켜, 전방측면프레임 형성체(24)보다도 조금 짧은 폭으로 형성한 전측하부 프레임 형성체(23a)와, 전방측면하부 프레임 형성체(23a)의 좌우측단에서 롤바(22)의 횡프레임부(22b)와 거의 동일한 높이까지 상방으로 세워 올려 형성한 좌우측 입상프레임 형성체(23b,23b)와, 양쪽 입상프레임 형성체(23b,23b)의 상단부에서 후방 롤바(22)의 근방위치까지 연장시켜 형성한 좌우측 전후 연장프레임 형성체 (23c,23c)와, 양쪽 전후 연장프레임 형성체(23c,23c)의 후단으로부터 각각 내측 방향에 마주보는 형상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좌우 후측상부 프레임 형성체 (23d,23d)와, 양쪽 후측상부 프레임 형성체(23d,23d) 간에 가로로 설치한 결합 연결체(23e)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측면하부 프레임 형성체(23a)의 좌우측부에는, 각각 L자 역형상의 연결브래킷(55,55)을 설치하고, 양쪽 연결브래킷(55,55)을 전측프레임 형성체(24)의 좌우측부에서 하부로 연장하여 설치한 결속피스(56,56)는 연결볼트(57,57)에 의해 각각 연결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과 같이 연결브래킷(55)은 결속피스(56)에, 후술하는 발디딤면부(80a)의 하방 위치에서 연결볼트(57)에 의해 연결하고, 전방과 좌우측방을, 후술하는 프런트 웨이트(96)로 덮음으로써, 외부로부터 연결구조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결합연결체(23e)는, 롤바(22)의 횡프레임부(22b)에 결합되기 위해 단면상 반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폭방향으로 연장해서 배치되어 있다. 중앙부 에는 연결볼트 구멍(58)을 형성하며, 롤바(22)의 횡프레임부(22b) 중앙부에도 연결 볼트 삽입구멍(59)을 상하 관통상태로 형성해서, 연결볼트 구멍(58)과 연결볼트 삽입구멍(59)을 일치시켜 연결볼트(60)를 삽입하고, 롤바(22)의 횡프레임부(22b)에 결합연결체(23e)를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가드프레임(23)은, 전측프레임 형성체(24)와 횡프레임부(22b)의 사이에 자유자재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운전부에 앉는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차고 등에 주차하는 경우, 가드프레 임(23)이 장애가 되는 경우에는 설치를 해체할 수도 있고, 이 때 롤바(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후방경사 위치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차체프레임(1)의 각 구성부재인 메인프레임(20,20), 서브프레 임(21), 롤바(22) 및 가드프레임(23)은, 각각 원형파이프를 사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9)는 도 1~도 5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21)의 전측 프레임 형성체(24) 중앙부와, 서브프레임 연결체(30) 중앙부와의 사이에 핸들 포스트(Handle Post) 지지체(65)를 좌우측 발디딤면 형성부(25a,25a)와 대략 동일한 각도로 해서 전방경사 상태에 가로로 설치하고, 상기 핸들포스트 지지체(65) 상에 핸들포스트 (66)를 전방경사 상태의 핸들포스트 지지체(65)와 거의 직접 교차하는 후방경사 상태에서 세워 설치하며, 상기 핸들포스트(66) 내부에 핸들지축(67)을 삽입해서 상기 핸들지축(67)의 상단에 핸들(68)을 설치하는 한편, 핸들포스트 지지체(65)의 하방까지 연장시킨 핸들지축(67)의 하단과 변속케이스(2)의 하부와의 사이에 차륜조향 장치(69)를 장착하며, 핸들포스트(66)를 핸들칼럼(Handle Column;70)에 따라 덮어 씌어 상기 핸들칼럼(70)의 좌측벽에 전후진 변속레버(71)를 설치하고, 상기 핸들칼럼(70)의 우측벽에 액셀레버(72)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변속케이스(2) 상에는, 좌석지지 프레임(73)를 이용하여 좌석(74)을 설치하고, 상기 좌석(74)의 좌측방에 주(主) 변속조작 레버(75)와 부(副) 변속조작 레버(76)를 설치하는 한편, 우측방에 승강조작 레버(77)와 작업기 전동클러치 조작레버(78)와 경운 깊이를 조절하는 조작레버(79)를 설치하고 있다.
더욱이 이들 각종 조작레버(75,76,77,78,79)는, 상술한 서브프레임(21)의 손잡이부(27,27)의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해서, 운전자는 운전부(9)에 타고 내릴 때 손잡이부(27)를 잡음으로써 편안하게 승강할 수 있고, 경사지 작업에 있어서 각종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도중에 위험성을 느낀 경우에는, 신속히 손잡이부(27)를 잡음으로써 신체를 확실히 지탱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운전부(9)에는 도 1 및 도 2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1)의 전방부 상에 바닥부 형성체(80)를 확장하여 설치하고, 상기 바닥부 형성체 (80)의 후단 가장자리에 연속시켜, 좌석지지 프레임 커버체(81)를 설치하고 있다.
바닥부 형성체(80)는 전측 프레임 형성체(24)와 좌우측 발디딤면 형성부(25a,25a)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 위치에 확장하여 설치한 발디딤면부 (80a)와, 상기 발디딤면부(80a)에서 후방 변속케이스(2)의 근방 위치까지 약간 수평하게 연장시켜 형성한 수평면부(80b)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88은 브레이크 페달, 99는 백미러이다.
이와 같이 해서 운전자는 발디딤면부(80a) 및 수평면(80b)에 발을 얹은 편안한 자세로 핸들을 조작할 수 있게 되고, 하강 경사로면을 주행할 때, 운전자는 발디딤면부(80a) 위에서 발을 디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좌석지지 프레임 커버체(81)는, 상기 수평면부(80b)의 중앙부 후단 가장자리에서 운전부(9) 좌석(74)의 전단부 위치를 향해 약간 수직으로 올려 세워 형성한 전벽 형성부(81a)와, 수평면(80b)의 좌우측 가장자리부에서 상방으로 세워 올려 형성한 좌우측벽 형성부(81b,81b)와, 이들 벽 형성부(81a,81b,81b)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시켜 좌석지지 프레임(73)의 상부 둘레부를 둘러싸는 천정벽 형성부(81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벽 형성부(81a)와 좌우측벽 형성부(81b,81b)는, 도 2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도로 볼 때 대략 コ자 모양으로 형성해서 배치하고, 운전자의 발뒤꿈치부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개구(前方開口) 형상의 발뒤축 수용 오목부(82)가 형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해서, 좌석(74)에 앉은 운전자는 바닥부 형성체(80) 위에 올려 놓는 발의 자유도를, 좌석(74) 전단부의 직하방 위치까지 크게 확보할 수 있고, 편안한 자세로 운전할 수 있으므로 운전 중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천정벽 형성부(81c)에는 각각 각종 조작레버를 안내하기 위한 레버 가이드(83,84,85,86,87)를 형성하고 있다.
서브프레임(21)의 측방 경사부(25b)와 후방 연장부(25c)의 사이에는, 사이드 커버체(90)를 가설하고, 상기 사이드 커버체(90)는, 차체의 측방, 전차륜(4)의 상방 및 후차륜(7)의 전측상방을 덮고 있다.
더욱이 사이드 커버(90)의 중도부(90a)는 하부로 볼록모양으로 구부려 형성하고, 상기 중도부(90a)와 손잡이부(27)와의 사이에 손잡이부 공간(91)을 형성하여, 운전자가 손잡이부 공간(91)을 이용하여 손잡이부(27)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엔진(10)의 상방은 도 1 및 도 2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자유자재로 개폐할 수 있는 본네트(92)로 덮여 있고, 상기 본네트(92)의 상면은 평단면으로 형성하여 하물적재대(93)를 이루고 있다.
또 하물적재대(93)에는 도 7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시킨 돌출가지부(93a)와 오목가지부(93b)를 좌우 폭방향으로 번갈아 형성해서 단면요철 형상을 이루어, 하물적재대(93)를 단단하게 하고 있다. 부호 98은 개폐용 지지브래 킷이다.
또한, 후방 연장부(25c,25c)의 하부 하면에는 각각 결속피스로서의 결속용 후크(94,94)를 하방을 향해 돌출시켜 형성하고, 좌우에 마주보는 결속용 후크(94,94) 간에 하물고정용 벨트(95)를 달아매어 하물적재대(93) 상에 얹어 놓은 하물 N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측하부 프레임 형성체(23a)에는 도 1~도 4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프런트 웨이트(96)는 연결피스(56,56)을 이용하여 장치볼트(97)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 프런트 웨이트(96)는, 전방측면하부 프레임 형성체(23a)를 따라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전면 형성부(96a)와, 상기 전면 형성부(96a)의 좌우 측단에서 좌우측 발디딤면 형성부(25a,25a)를 따라 후방을 향해 연장시켜 형성한 좌우측면 형성부(96b,96b)로써 구성되며, 평면도로 볼 때 대략 コ자 모양으로 형성하여, 범퍼로서의 기능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프런트 웨이트(96)는, 발디딤면부(80a)의 직하방에 형성되며, 측면도로 볼 때 직각삼각형 모양의 하부공간(S2)을 전방과 우측 방향으로부터 덮고 있다.
여기서 발디딤면부(80a) 직하방의 하부공간(S2) 내에는, 차륜조향 장치(69)의 일부, 즉 핸들지지축(67)의 하단에 설치한 피니언 기어(Pinion Gear;69a)와, 상기 피니언 기어(69a)와 결속되는 섹터 기어(69b)와, 상기 섹터 기어(69b)에 설치되어, 핸들포스트 지지체(65)를 중심으로 지탱시킨 조향 암(Steering Arm;69c)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69d는 드러그 로드(Drug Rod)이다.
이와 같이 하부공간(S2) 내에 차륜조향 장치(69)의 일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차륜조향 장치(69)의 일부를 설치한 지상 높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돌파편이나 지상 돌기물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차륜조향 장치의 일부는, 프런트 웨이트(96)에 따라 전방과 좌우측방이 덮여져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피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게다가 프런트 웨이트(96)에 따라 차체의 전후 균형을 이룰 수 있으므로, 안정된 주행성 및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8 및 도 9는 제2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A)를 제시하고 있고, 상기 소형 승용작업차(A)는 변속케이스(2)와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를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넓혀 배치하고, 양쪽 케이스(2,5)를 제2 전동기구(13)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며, 변속케이스(2)의 좌우측부에 좌우측 전차륜(4,4)을 각각 좌우측 전차륜 전동케이스(3,3)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는 한편,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의 좌우측부에 좌우측 후차륜(7,7)을 각각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6,6)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고, 변속케이스(2)와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와의 사이에는, 연결지지체(110)를 개설하여 차체지지 구조체(8)를 구성하고 있다.
좌측 전차륜 전동케이스(3)는 도 10에서도 제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상자 형상 변속케이스(2)의 좌측벽 전방부(2a)에서 좌측방을 향해 원통형상의 전차륜 전동케이스 기단부(3c)를 연장시키고, 상기 전차륜 전동케이스 기단부(3c)의 끝에 상하방향을 향해 연장하는 원통형상의 전차륜 전동케이스 본체부(3d)를 연결해서 설치하며, 상기 전차륜 전동케이스 본체부(3d)의 하단에 좌측 전차륜(4)을 연결결합 하고 있다. 우측 전차륜 전동케이스(3)도 같은 모양의 구성으로써, 변속케이스(2)의 우측벽(2b)에 연결결합하고 있다.
제2 전동기구(13)는, 변속케이스(2) 좌측벽(2a)의 중도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시킨 전측 기어케이스(100)의 후단에 전측 연결축(101)을 후방을 향해 돌출시켜 형성하는 한편, 사각상자 형상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의 좌측벽(5a) 전방부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시킨 후측 기어케이스(102)의 선단에 후측 연결축 (103)을 전방을 향해 돌출시켜 형성하고, 양쪽 연결축(101,103)을 전동축(104)에 따라 연결결합하고 있다. 도 9 중, 부호 105,106은 조인트(Joint)이다.
좌측 후차륜 전동케이스(6)는,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 좌측벽(5a)의 중도부에서 좌측방을 향해 원통 형상의 후차륜 전동케이스 기단부(6c)를 연장시키고, 상기 후차륜 전동케이스 기단부(6c)의 끝에 후차륜 전동케이스 본체부(6d)를 후측하방을 향해 연결해서 설치하며, 상기 후차륜 전동케이스 본체부(6d)의 하부에 좌측 후차륜(7)을 연결결합하고 있다. 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6)도 상기와 같은 모양의 구성으로써,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의 우측벽(5b)에 상호연결되어 있다.
좌우측 후차륜(7,7)은 좌우측 전차륜(4,4)보다 지름이 큰 것으로 해서, 고속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연결지지체(110)는, 평판형상의 연결지지판(111) 전후단 중앙부에 각각 평면도로 볼 때 대략 コ자 모양의 브래킷(112,113)을 연결해서 설치하고, 양쪽 브래킷(112,113)을 이용하여 변속케이스(2)의 후단과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의 전단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연결지지체(110)는, 연결지지판(111)의 좌우 양끝을 각각 상방향으로 구부려 절곡부(114,114)를 형성함으로써 강도를 증가시키고, 연결지지판(111)의 위에 연료탱크(115)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이, 연결지지체(110)를 평판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변속케이스(2)의 후방에 수용공간(116)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6)에 연료탱크(115)나 머플러, 배터리 등을 설치할 수 있어 소형 승용작업차(A)의 높이를 낮게 하며 차체를 작게 할 수도 있고, 머플러나 연료탱크(115), 배터리 등을 자유롭게 배치하여, 소형 승용작업차(A)의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지지 구조체(8)는, 도 9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도로 볼 때 차체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지지체(110)가 위치하고, 상기 연결 지지체(110)의 주변에 동력전달계를 구성하는 변속케이스(2), 좌우측 전차륜 전동케이스(3,3), 전동축(104),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 좌우측 후차륜 전동 케이스(6,6)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차체의 외측 방향에서 이들 동력전달계를 쉽게 정비할 수 있다.
또한 차체지지 구조체(8)는, 주로 변속케이스(2)나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 등의 동력전달계를 구성하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지지 구조체(8)의 중량을 대폭 경감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소형 승용작업차(A)의 중량을 경감할 수 있다.
차체지지 구조체(8)는 전측상부에 운전부(9)를 설치하고, 상기 운전부(9)의 직후방에 엔진(10)을 설치하고 있다.
운전부(9)는 변속케이스(2)의 상방에 좌석(74)을 설치하고, 상기 좌석(74)의 전방에 핸들칼럼(70)을 설치하고 있다.
엔진(10)은 좌석(74)의 직후방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엔진(10)은 변속케이스(2)에 제1 전동기구(12)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함과 동시에, 차체후방부에 연결한 경운기(120) 등의 각종 작업기에 제3 전동기구(121)를 이용하여 연결결합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변속케이스(2)의 상방에 운전부(9)의 좌석(74)을 설치하고, 상기 좌석(74)의 직후방 위치에 엔진(10)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체중 및 엔진(10)의 중량이 차체지지 구조체(8)의 중앙부 쪽에 실려, 차체의 중심위치가 차체의 중앙부 쪽이 되고, 차체의 전후 균형을 이루어 차체의 조작성, 주행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10)의 후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한 피스톤 헤드(10a)의 직하방 위치에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켜 머플러(도시 생략)를 설치할 수도 있다.
운전부(9)와 엔진(10)의 주위에는, 차체지지 구조체(8)의 좌우측 전차륜 전동케이스(3,3)와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6,6)와의 사이에 중공(中空) 원통형상의 서브프레임(21)을 가설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A)와 같은 모양으로 차체의 외골격을 형성하고, 가드프레임 또는 분할프레임(Partition Frame) 기능을 갖는 서브프레임(21)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서브프레임(21)은, 측방 경사부 (25b,25b)의 중도부에서 각각 후하방을 향해 연장한 좌우 한쌍의 전측지지 프레임 (25d,25d)의 하단을, 전차륜 전동케이스 본체부(3d,3d)의 상부에 설치하는 한편, 후측프레임 형성체(26)의 좌우측부에서 각각 전측하방을 향해 연장함과 동시에, 하단부를 전방을 향해 구부린 후측지지 프레임(26d,26d)의 하단을, 후차륜 전동케이스 기단부(6c,6c)의 후측부에 설치하고 있다. 도면 중, 122는 브래킷이다.
서브프레임(21)의 후측프레임 형성체(26)의 우단하부에, 후방을 향해 연장된 중공 원통형상의 흡기관(123)을 결합하여, 후측프레임 형성체(26)의 우단상부에 위치하여 흡기관(123)보다 내측방 위치에 공기 정화기(124)를 연결결합하였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기(124)가 엔진(10)에 상호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기관(123)을 후측프레임 형성체(26)에 연결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흡기관(123)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후측프레임 형성체(26)에 팽창해서 소음(消音)되어, 후측프레임 형성체(26)가 소음실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흡기관(123)을 후방으로 연장시켜, 차체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흡기관(123)에 발생하는 흡기소음을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흡기관(123)을 좌석(74)에서 가급적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좌석(74)에 앉는 운전자의 귓전으로부터 흡기관(123)이 떨어진 위치에 있고, 운전자의 귀에 거슬리는 흡기소음이 운전자에게 들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후측프레임 형성체(26)의 하방에는 승강장치(17)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승강장치(17)에 의해 차체의 후방부에 연결한 경운기(120) 등의 각종 작업기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3 실시예]
도 11은 제3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A)를 제시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지지체(110)를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켜 변속케이스(2)의 후단부에 설치한 횡프레임과(130), 상기 횡프레임(130)의 좌우측부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시켜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6,6)와 연결한 좌우측 전후방향 연장프레임 (131,131)으로 형성되어 있다.
횡프레임(130)은 중공 사각의 단면을 가진 각형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고, 상기 횡프레임(130)의 중앙부에 평면도로 볼 때 대략 コ자 형상의 브래킷(132)을 설치하며, 상기 브래킷(132)을 이용하여 변속케이스(2)의 후단부에 설치하고 있다.
좌우 전후방향 연장프레임(131)은 중공 원통형상의 파이프를 중도부에서 구부려 형성하고, 횡프레임(130)의 좌측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시킨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133)와, 상기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133)의 후단에서 상방을 향해 세워 올린 입상프레임 형성체(134)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133)의 후측상부를 후차륜 전동케이스 기단부(6c)의 하부에 브래킷(135)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입상프레임 형성체(134)의 상단을 서브프레임(21)의 후측프레임 형성체(26)의 좌측 하부에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결지지체(110)를 횡프레임(130)과 좌우측 전후방향 연장프레임 (131,131)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연결지지체(110)의 중량을 강도를 유지하면서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횡프레임(130)의 좌우측부에 좌우측 전후 연장프레임(131,131)을 간격을 넓혀 설치하고 있으므로, 변속케이스(2)의 후방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6)을 차체 하방을 향해 확장할 수 있고, 상기 수용공간(116)에 대형화된 연료탱크(115)나 머플러, 배터리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2는 제4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A)를 제시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지지체(110)가, 변속케이스(2) 좌우측벽(2a,2b)의 후벽에 설치된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140,140)에 따라 형성하고 있다.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140,140)은 중공 원통형상 파이프를 구부려 형성하고, 변속케이스(2) 좌우측벽(2a,2b)의 후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시킨 좌우측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141,141)와, 상기 좌우측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141,141)의 후단에서 각각 외측하방을 향해 경사진 모양으로 연장시킨 좌우측 경사프레임 형성체(142,142)와, 상기 좌우측 경사프레임 형성체(142,142)의 후단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시켜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6,6)와 연결한 좌우측 후방프레임 형성체(143,143)와, 상기 좌우측 후방프레임 형성체(143,143)의 후단에서 각각 상방을 향해 세워 올린 좌우측 입상프레임 형성체(144,14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측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141,141)의 전단을 각각 변속케이스 (2) 좌우측벽(2a,2b)의 후단에 브래킷(145,145)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좌우측 후방프레임 형성체(143,143)의 후측상부를 각각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 기단부 (6c,6c)의 하부에 브래킷(146,146)을 이용하여 설치하며, 좌우측 입상프레임 형성체(144,144)의 상단을 각각 서브프레임(21)의 후측프레임 형성체(26)의 좌우측 하부에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결지지체(110)를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140,140)에 따라 형성하고 있으므로, 연결지지체(110)의 중량을 강도를 유지하면서 경감할 수 있고, 연결지지체(110)의 구성을 간단히 해서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변속케이스(2)의 좌우측벽(2a,2b)에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140,140)을 간격을 넓혀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제3 실시예와 같은 모양으로, 변속케이스 (2)의 후방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6)이 차체 하방을 향해 확장되고, 상기 수용공간 (116)에 연료탱크(115), 머플러, 배터리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13은 제5 실시예로서의 소형 승용작업차(A)를 제시하고 있고, 본 실시 예에서는 연결지지체(110)를 변속케이스(2)의 후방부 좌우측벽(2a,2b)에 설치한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140,140)에 따라 형성하고, 상기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 (140,140)의 전방부 사이에 연결프레임(14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140,140)은, 상술한 제4 실시예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고, 좌우측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141,141)의 후단부 간에 중공 원통형상 연결프레임(147)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140,140)의 전방부 간에 연결프레임 (14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지지체(110)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발명에서는, 메인프레임에 설치한 서브프레임이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킨 전방측면프레임 형성체와, 상기 전방측면프레임 형성체의 좌우 측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시킨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서브프레임이 본 작업차의 외골격을 형성하여 가이드프레임으로서, 또는 분할프레임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발디딤면 형성부에 발디딤면부를 형성함으로써, 하향 경사로면을 주행할 때에는, 운전자가 발디딤면부에 발을 얹어 버틸 수가 있고, 운전자의 공포감을 없앨 수 있다.
(2) 본 발명에서는,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는 각각 전후차륜의 직상방 위치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심어 놓은 과수에 대해서는 본 작업차의 외부 둘레부로서 좌우측 프레임형성 파이프가 접촉하는 것이 있다고 해도, 과수를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과수를 보호할 수 있으며,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가 가이드프레임의 기능을 가져 운전자도 보호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서는,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의 측방 경사부와 후방 연장부가 접속하고 있는 굴곡부를 각각 손잡이부로 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운전부 좌석의 측방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운전자가 운전부에 승강할 때 손잡이부를 잡음으로써 편안히 타고 내릴 수 있다.
(4)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부의 내부에 각종 조작레버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 에, 경사지 작업에 있어서 각종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도중 위험성을 느낀 때에는, 신속히 손잡이부를 잡아 신체를 확실히 지탱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서는,서브프레임의 측방 경사부와 후방 연장부의 사이에, 사이 드 커버체를 가설하고 상기 사이드 커버의 중도부는 하방에 볼록부 형상으로 구부 려 형성하며, 상기 중도부와 손잡이부의 사이에 손잡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운전자는 손잡이부 공간을 이용하여 손잡이부를 쉽게 잡을 수 있다.
(6) 본 발명에서는, 운전부에 설치한 좌석의 직후방 위치에서,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간에 정면도로 볼 때 문모양으로 형성한 롤바를 두고 있으므로, 상향 경사로면을 주행할 때 운전자가 안심하고 운전할 수 있다.
(7) 본 발명에서는, 서브프레임과 롤바는, 각각 원형파이프에 따라 형성되고 있으므로, 삼차원 공간에서 자유로운 방향으로 굴곡시켜 형성할 수 있고, 용접부품 수를 줄여 디자인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8)본 발명에서는, 메인프레임의 후방부에 엔진을 탑재하고, 상기 엔진을 본네트로 덮어 상기 본네트의 상면을 평단면으로 형성하고, 본네트의 좌우 측방에 결속피스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평단면 상에 하물을 적재할 때 상기 하물을, 좌우 측방의 결속피스 간에 달아맨 하물고정용 벨트로 고정시켜, 편안히 운반작업을 할 수 있다.
(9) 본 발명에서는, 메인프레임의 전방부에 운전부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부 형성체를 확장하여 설치하고, 바닥부 형성체에서 운전부 좌석의 전단부 위치를 향해 약간 수직으로 전벽(前壁) 형성부를 세워 설치하고 있으므로, 좌석에 앉은 운전자는 바닥부 형성체 위에 올려 놓는 발의 자유도를 좌석 전단부의 직하방 위치까지 크게 확보할 수 있고, 편안한 자세로 운전할 수 있어 운전중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다.
(10) 본 발명에서는, 전측프레임 형성체와 좌우측 발디딤면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 직하방의 하부 공간 내에, 차륜을 조향하는 장치의 일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차륜조향 장치의 일부를 설치하는 지상높이를 크게 할 수 있어 돌파편이나 지상 돌기물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11) 본 발명에서는, 전측프레임 형성체와 좌우측 발디딤면 형성부를 따르도록 하여, 범퍼 겸용의 프런트 웨이트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프런트 웨이트에 따른 차체의 전후 균형을 이루게 할 수 있어 안정된 주행성 및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12) 본 발명에서는, 프런트 웨이트에 의해 차륜조향 장치의 일부를 덮고 있으므로, 상기 프런트 웨이트에 따른 차륜조향 장치의 일부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13) 본 발명에서는, 변속케이스와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를 전후방향에 간격을 넓혀 배치하고, 변속케이스의 좌우측부에 좌우측 전차륜을 각각 좌우측 전차륜 전동케이스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는 한편,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의 좌우측부에 좌우측 후차륜을 각각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고, 좌우측 전차륜 전동케이스와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를 각각 서브프레임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서브프레임은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켜 변속케이스의 전방에 배치한 전방측면프레임 형성체와, 상기 전방측면프레임 형성체의 좌우 측단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시켜 좌우측 전후차륜의 상방에 배치한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를 구비하고, 평면도로 볼 때 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하며, 또 변속케이스에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를 제2 전동기구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고, 변속케이스의 상방에 운전부 좌석을 설치하며 상기 좌석의 직후방 위치에 엔진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전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차체지지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어, 차체지지 구조체의 중량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더욱이 변속케이스의 상방에 운전부의 좌석을 설치하고, 상기 좌석의 직후방 위치에 엔진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차체의 중심위치가 차체의 중앙부 쪽이 되어 차체의 전후 균형을 이룰 수 있고, 차체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체 의 전후에 경운기 등의 각종 작업기를 연결해도 차체의 전방이 들뜨지 않아 각종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우측 전차륜 전동케이스와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와의 사이에 서브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은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켜 변속케이스의 전방에 배치한 전측프레임 형성체와, 상기 전측프레임 형성체의 좌우 측단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시켜 좌우측 후차륜의 상방에 배치한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를 구비하며, 평면도로 볼 때 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서브프레임이 차체의 외골격을 형성하고, 가드프레임 또는 분할프레임 기능을 가지며, 운전부에 착석해서 방향조작을 하는 운전자의 주의를 보호할 수 있어, 운전자가 안심할 수 있게 된다.
(14) 본 발명에서는, 변속케이스와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를 연결지지체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차체지지 구조체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15) 본 발명에서는, 연결지지체가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켜 변속케이스의 후단부에 설치한 횡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의 좌우측부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시켜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와 연결한 전후방향 연장프레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차체지지체의 중량을 강도를 유지하면서 경감할 수 있다.
(16) 본 발명에서는, 연결지지체는 변속케이스의 좌우측벽에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은, 변속케이스의 좌우측벽에 각각 전단을 설치하고, 후방을 향해 연장시킨 좌우측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와 상기 좌우측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의 후단에서 각각 외측 하방을 향해 경사진 모양으로 연장시킨 좌우측 경사 프레임 형상체와, 상기 좌우측 경사 프레임 형성체의 후단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시킨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와 연결한 좌우측 후방 프레임 형성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연결지지체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그 중량도 경감할 수 있다.
(17) 본 발명에서는,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간에 연결프레임을 가설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연결지지체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쌍의 메인프레임(20,20)에, 좌우 한쌍의 전차륜(4,4)과 후차륜(7,7)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전차륜(4,4)과 후차륜(7,7)의 사이에 운전부(9) 좌석(74)을 배치하여, 메인프레임(20,20)에는 서브프레임(21)을 설치하고, 상기 서브프레임(21)은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킨 전측 프레임 형성체(24)와, 상기 전측 프레임 형성체(24)의 좌우 측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시킨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25,25)를 구비하며,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25,25)는 전단에서 후하방을 향해 경사지는 발디딤면 형성부(25a,25a)와, 각 발디딤면 형성부(25a,25a)의 후단에서 상기 좌석(74)의 측방 위치까지 후상방을 향해 경사지는 측방 경사부(25b,25b)와 측방 경사부(25b,25b)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약간 수평하게 연장하는 후방 연장부 (25c,25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25,25)는, 각각 전후차륜(4,4 7,7)의 직상방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의 프레임 구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25,25)의 측방경사부 (25b,25b)와 후방 연장부(25c,25c)가 접속하고 있는 굴곡부의 근방을 각각 손잡이부(27,27)로 하고, 상기 손잡이부(27,27)는 운전부(9) 좌석(74)의 측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손잡이부(27,27)의 내부에는 각종 조작레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5. 청구항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서브프레임(21)의 측방 경사부(25b)와 후방 연장부(25c)의 사이에, 사이드 커버체(90)를 가설하고 상기 사이드 커버(90)의 중도부(90a)는 하방에 볼록부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하며, 상기 중도부(90a)와 손잡이부(27)의 사이에 손잡이부 공간(9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6. 청구항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운전부(9)에 설치한 좌석(74)의 직후방 위치에서,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25,25) 사이에 정면도로 볼 때 문모양으로 형성한 롤바(22)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7. 청구항 6에 있어서, 서브프레임(21)과 롤바(22)는, 각각 원형파이프로 형성한 것.
  8. 청구항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20,20)의 후방부에 엔진(10)을 탑재하고, 상기 엔진(10)을 본네트(92)로 덮어 상기 본네트(92)의 상면을 평단면으로 형성하고, 본네트의(92) 좌우 측방에 결속피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9. 청구항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20,20)의 전방부에 운전부 (9)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부 형성체(80)를 확장하여 설치하고, 바닥부 형성체 (80)에서 운전부(9) 좌석(74)의 전단부 위치를 향해 약간 수직으로 전벽(前壁) 형성부(81a)를 세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10. 청구항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측프레임 형성체(24)와 좌우측 발디딤 면 형성부(25a,25a)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 직하방의 하부 공간(S2) 내에, 차륜조향 장치(69)의 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전방측면프레임 형성체(24)와 좌우측 발디딤면 형성부(25a,25a)를 따라, 범퍼 겸용의 프런트 웨이트(9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프런트 웨이트(96)에 의해 차륜조향 장치(69)의 일부를 덮어 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의 구조.
  13. 변속케이스(2)와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를 전후방향에 간격을 넓혀 배치하고, 변속케이스(2)의 좌우측부에 좌우측 전차륜(4,4)을 각각 좌우측 전차륜 전동케이스(3,3)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는 한편,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의 좌우측부에 좌우측 후차륜(7,7)을 각각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6,6)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고, 좌우측 전차륜 전동케이스(3,3)와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6,6)를 각각 서브프레임(21)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서브프레임(21)은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켜 변속케이스(2)의 전방에 배치한 전측프레임 형성체(24)와, 상기 전측프레임 형성체(24)의 좌우 측단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시켜 좌우측 전후차륜(4,4 7,7)의 상방에 배치한 좌우측 프레임 형성체(25,25)를 구비하고, 평면도로 볼 때 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하며, 또 변속케이스(2)에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를 제2 전동기구(13)를 이용하여 연결결합하고, 변속케이스(2)의 상방에 운전부(9) 좌석 (74)을 설치하며 상기 좌석(74)의 직후방 위치에 엔진(1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변속케이스(2)와 후차륜 센터 전동케이스(5)는, 연결지 지체(110)를 이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15. 연결지지체(110)는, 좌우 폭방향으로 연장시켜 변속케이스(2)의 후단부에 설 치한 횡프레임(130)과, 상기 횡프레임(130)의 좌우측부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 시켜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6,6)와 연결한 좌우측 전후방향 연장프레임 (131,1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연결지지체(110)는 변속케이스(2)의 좌우측벽(2a,2b)에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140,140)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 (140,140)은 변속케이스(2) 좌우측벽(2a,2b)의 각각 전단에 설치하고, 후방을 향해 연장시킨 좌우측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141,141)와, 상기 좌우측 후방 연장프레임 형성체(141,141)의 후단에서 각각 외측 하방을 향해 경사진 모양으로 연장시킨 좌우 측 경사 프레임 형상체(142,142)와, 상기 좌우측 경사 프레임 형성체 (142,142)의 후단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연장시킨 좌우측 후차륜 전동케이스(6,6)와, 연결한 좌우측 후방 프레임 형성체(143,14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좌우측 연결지지 프레임(140,140) 간에 연결 프레임 (147)을 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용작업차.
KR1019997007148A 1997-02-10 1998-01-22 소형 승용작업차 KR100323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675297A JP3917230B2 (ja) 1997-02-10 1997-02-10 小型乗用作業車のフレーム構造
JP?9/26752 1997-02-10
JP12767297A JP3920405B2 (ja) 1997-05-16 1997-05-16 小型乗用作業車
JP?9/127672 1997-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883A true KR20000070883A (ko) 2000-11-25
KR100323619B1 KR100323619B1 (ko) 2002-02-19

Family

ID=2636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148A KR100323619B1 (ko) 1997-02-10 1998-01-22 소형 승용작업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58993B9 (ko)
KR (1) KR100323619B1 (ko)
CN (1) CN1097538C (ko)
WO (1) WO19980348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07Y1 (ko) * 2011-08-29 2013-01-10 서영춘 경운기의 경광등과 백미러 및 지붕 결합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7859B2 (ja) * 2009-01-14 2013-02-06 ヤンマー株式会社 キャビン付き作業車輌
JP6189241B2 (ja) 2014-03-26 2017-08-3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N117549851B (zh) * 2024-01-02 2024-03-12 四川护邑科技有限公司 一种减少安全气囊对人体冲击的防护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9289A (ja) * 1989-01-17 1990-07-25 Yamaha Motor Co Ltd 小型車両
JP3059458B2 (ja) * 1990-04-24 2000-07-04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農用トラクタ
FR2661882B1 (fr) * 1990-05-11 1992-08-28 Bobard Noel Chassis perfectionne pour tracteur enjambeur.
JPH04166476A (ja) * 1990-10-30 1992-06-12 Iseki & Co Ltd 移動車輌の走行装置
JP3532616B2 (ja) * 1994-07-21 2004-05-3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走行車体の車体カバー構造
KR19990066956A (ko) * 1995-10-23 1999-08-16 후지모토 츠이기 승용트랙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607Y1 (ko) * 2011-08-29 2013-01-10 서영춘 경운기의 경광등과 백미러 및 지붕 결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3619B1 (ko) 2002-02-19
EP0958993A4 (en) 2005-01-05
EP0958993B1 (en) 2006-11-22
CN1250416A (zh) 2000-04-12
CN1097538C (zh) 2003-01-01
EP0958993A1 (en) 1999-11-24
WO1998034828A1 (fr) 1998-08-13
EP0958993B9 (en)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0883A (ko) 소형 승용작업차
JP3917230B2 (ja) 小型乗用作業車のフレーム構造
JP3853874B2 (ja) 小型乗用作業車
JP3869047B2 (ja) 小型乗用作業車のフレーム構造
JP4125397B2 (ja) 小型乗用作業車のフレーム構造
JP3393605B2 (ja) 乗用型田植機
JPH05103514A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機体フレーム構造
WO2016024320A1 (ja) トラクタ
JP3045475B2 (ja) 小型乗用作業車のフレーム構造
JP3920405B2 (ja) 小型乗用作業車
JPH086423Y2 (ja) 移動農機における支持装置
JPH0219350Y2 (ko)
JP3118715B2 (ja) 乗用型田植機
JP3151524B2 (ja) 乗用型田植機
JPH10297529A (ja) 小型乗用作業車
JPH0218788Y2 (ko)
JPH02249409A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機体フレーム構造
JP3118714B2 (ja) 乗用型田植機
JPH10244975A (ja) 小型乗用作業車
JP2558022Y2 (ja) 車両のステップ装置
JPH10244957A (ja) 小型乗用作業車のフレーム構造
JP2003023820A (ja) 水田作業機
JPS59291Y2 (ja) 運搬作業機
JP3590168B2 (ja) 乗用田植機
JP3354798B2 (ja) 乗用型田植機の機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