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435A - 와이퍼 시스템 - Google Patents

와이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435A
KR20000069435A KR1019997005224A KR19997005224A KR20000069435A KR 20000069435 A KR20000069435 A KR 20000069435A KR 1019997005224 A KR1019997005224 A KR 1019997005224A KR 19997005224 A KR19997005224 A KR 19997005224A KR 20000069435 A KR20000069435 A KR 20000069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rubber
rubber head
wiper system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아킴 찜머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00069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43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24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the blade or squeegee pivo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blade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36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와이퍼 시스템, 특히 자동차 유리창을 위한 와이퍼 시스템에 관계하며, 적어도 와이퍼 고무, 즉 이동 고정대 위에 닦이는 지지면과의 접촉면에서 고정이 되고, 또한 이동 고정대가 구동될 수 있는 와이퍼 아암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고무와 이동 고정대 사이에 고정영역이 하나의 링크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하나의 링크축이 와이퍼 고무의 종방향을 지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링크(40)에 와이퍼 고무(14)의 회전운동을 흡수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완충연결부(42)가 장치되어 있어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시스템{Wiper system}
개략적인 의미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최소한 하나의 와이퍼 고무를 가지고 있고, 이 고무가 닦이는 창에 대해서 지면접착을 이루고 있으며, 또한 두 귀속지점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에 대해서 와이퍼 고무가 이동 고정대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구동되는 와이퍼 아암과 연결되어 있다. 이 이동 고정대는 적어도 하나의 날카로운, 또는 일반적으로 여러개의, 와이퍼 고무의 종방향 연장선 위로 서로 곧게 정렬되어 있는 후크에 의해 와이퍼 고무의 고무머리가 고정된다. 와이퍼 고무의 고무머리는 이에 맞게 들어간 자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곳으로 이동 고정대를 끼게 된다.
DE 975 208에서 부터, 절단면으로 나타낸 와이퍼 고무의 고무머리를 이동 고정대에 잡힐 공간 보다 작게 칫수설계가 되어야 한다. 이러므로서, 이동 고정대와 와이퍼 고무 사이에 하나의 링크가 이루어지고, 또한 링크축은 와이퍼 고무의 종연장선을 지나게 된다. 이러한 장치의 배열을 통해서, 와이퍼 고무가 유리창위를 작동할 경우, 와이퍼 고무에 작용하는 마찰력 때문에, 와이퍼 고무는 구부러지게 되고, 따라서 와이퍼 고무 사이, 특히 유리창의 표면 사이에 접촉해 있는 고무의 접촉부와 그리고 유리창 사이에 어떠한 경사각도가 성립이 된다. 이는 유리창을 균질하게 닦이게 하고, 또한 이를 통해서 유리창 위를 지나는 와이퍼 고무의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두 귀속장소 사이에서의 와이퍼 고무의 왕복운동을 따라 이에 따른 와이퍼 고무의 꺾이는 것이 항상 다른 방향, 즉 와어퍼 방향과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꺾이게 되어있다. 와이퍼 고무의 꺾이는 정도는 이동 고정대에 의해서 움켜져 있는 공간내부에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머리의 틈새에 의해 결정된다. 종래의 배치는, 꺽이는 순간, 즉 갑작스럽게 마주보는 방향으로 와이퍼의 방향이 전환되는 순간에, 와이퍼 고무의 고무머리가 받히는 것을 통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발명은 와이퍼 시스템, 특히 자동차의 유리창을 위한, 청구 1항의 상위개념에서 말하는 주안점을 가진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용 와이퍼 시스템의 한부분에 대해 도식적으로 그린 전면도.
도 2와 3은 제 1 실시예에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본발명의 형태를 그린 도면.
도 4와 5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본발명의 형태를 그린 도면.
청구항 1항에서 말하고 있는 주안점을 가지고 본 발명의 와이퍼 시스템은 위에서 기술한 것과는 달리, 이러한 종류의 소음발생은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와이퍼 고무와 이동 고정대 사이에서 이루어진 링크가 적어도 와이퍼 고무의 회전운동에 대한 흡수를 위한 하나의 완충연결부가 장치되어 있으므로서, 와이퍼 고무가 충격적으로 꺾이는 것을 적어도 이동 고정대에 의해 둘러진 고무머리의 영역에서 댐핑을 하게 되고, 꺾이는 운동은 완충연결부 힘에 의해서 제동이 걸리게 된다. 특히, 전체의 와이퍼 고무가 탄성적인 재료로 되어 있으면, 닦이는 유리창과의 지지 접촉면에 놓인 접촉부의 영역은, 회전 운동이 와이퍼 고무에 직접적인 전달 없이, 즉 충격적으로 꺾일 수 있게 된다. 완충연결부를 장치하므로서 시간이 연장되고 그리고 느린 충격에너지를 가진 고무머리의 꺾임운동이 이루어지므로서, 고무머리를 둘러싸고 있는 이동 고정대를 치는 고무머리, 즉 이들과 연관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발명의 유리한 형태에 있어서, 완충연결부는 단체형으로 와이퍼 고무, 특히 와이퍼 고무의 고무머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서 단순한 방법, 즉 종래의 방법으로, 예를 들어서 볼록한 형태의 탄성적인 재료, 즉 누적된 완충연결부를 가진 와이퍼 고무가 구성되는 방법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서 완충연결부의 구성을 위한 낭비가 줄어들 수 있다.
본발명의 또다른 유리한 형태는, 적어도 완충연결부가 와이퍼고무의 고무머리로 둘러싸인 이동고정대와의 항상 접촉되는 지지면에 서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를 통해서, 와이퍼 고무의 꺾임운동의 완충이, 특히 이의 고무머리의 영역에서, 즉각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귀환장소에서 와이퍼고무가 접히는 곳에서 안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발명의 또다른 장점적인 형태는 통상적으로, 다음의 청구항에서 말하는 주안점에서 밝혀지고 있다.
본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서 각각에 속한 그림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도 1은 절단면식으로 전체적인 측면에서 자동차의 유리창(12)을 닦기 위한 유리창의 와이퍼 시스템(10)을 그린 도면이다. 이 유리창의 와이퍼 시스템(10)은 확실히 하나의 영역에서, 즉 와이퍼 고무(14)를 이동 고정대(16)에 고정하게 되는것을 뚜렷히 보여주고 있다. 이동 고정대(16)는 자체의 측면에서 와이퍼 아암에 고정되고, 따라서 와이퍼 고무(14)가 유리창 위에서 종래의 방법으로 두 귀속장소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와이퍼 고무(14)는 하나의 고무머리(18) 즉 접촉부(20)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는 고무의 허리부위로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와이퍼 고무(14)는 탄성적인 재료, 예를 들어서 생고무로 되어있다. 와이퍼 고무(14)의 종연장선에서는 적어도 길다란 판스프링(24)이, 즉 와이어 고무(14)의 안정을 위해서 배치되어 있다. 도 1에서 나타나 있는 것처럼, 판스프링(24)은 내부에 놓이는 그리고 외부에 놓이게 되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고정대(16)는 후크(22)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는 확실히 사각형 또는 사다리 모양의 프로필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이동 고정대(16)에서 운동하는 측면으로 하나의 가느다란 형태의 구멍(28)(도에서는 이지 않는다)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서 홀딩 면(30)을 이루게 되며, 이것이 또한 와이퍼 고무(14)의 들어간 부분(32)를 움켜잡게 된다.
유리창의 와이퍼 시스템의 소음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먼저 와이퍼 고무(14)는 이동 고정대(16)를 이용해서 유리창(12)으로 도입하게 된다. 이로서 와이퍼 고무(14)의 순간적인 운동방향(34)이 결정된다. 동시에 운동방향(34)은 와이퍼 고무가 닦이는 운동에 대해서 마주보는 방향벡터를 가지게 된다. 이 와이퍼 고무(14)의 구성형태를 통해서 운동방향(34)에 마주보도록 와이퍼 고무(14)의 꺾임이 발생된다. 또한 이를 통해서 놓이는 면(36)과 유리창(12)의 작용각도 α가 성립이 된다. 그리고 이 각도 α는 예를 들어서 45 도를 이룬다. 이를 통해서, 와이퍼 고무(14)가 유리창(12) 위에서 밀착해서 닦을 수 있고, 따라서 한편으로는 일방적으로 닦는 형태가 나오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소음이 없는 와이퍼 고무(14)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은 확실히 와이퍼 고무(14)의 기능을 강조하기위해서이다. 다음의 도 2부터 도 5 까지에 대해서 와이퍼 고무(14)의 본발명적인 형태가 자세히 설명되고 있다. 또한 도 2 부터 도 5 까지에서 각각 유리창의 와이퍼 시스템의 도식적인 절단면이 이동 고정대(16)의 후크(26)의 영역에서 나타나 있다. 더나아가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고표식으로 지시하고 그리고 더이상을 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절단면이 도 2와 3에서 확실히 나타내 것 같이, 와이퍼 고무(14)의 고무머리(18)는 - 횡단면으로 관찰할 수 있는 - 후크(26)에 의해 잡혀있는 공간(36) 보다도 작게 칫수 설계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서 후크(26)와 고무머리(18) 사이의 자유공간이 구성된다. 또한 이 자유공간의 크기에 따라서 고무머리(18)는 종축(38)을 깃점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고무머리(18)과 후크(26) 사이에서 중심체(40)가 구성된다. 중심체의 최대 회전각 β는 여기서 고무머리(18)와 후크(26) 즉 와이퍼 고무(14)의 재료의 탄성 사이에서, 특히 고무머리(18)의 탄성사이의 자유공간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고무머리(18)는 완충 연결부(42)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고무머리(18)의 공간(44)에 의해서 둘러싸인 완충부(46)로 되어 있다. 도 2와 3에서 나타내고 있는 실시예는 각각 두개의 완충부(46)로 장비되어 있으며, 이들은 고무머리(18)와 함께 단체형을 이루고 있고 그리고 공간(44)을 붙잡고 있다. 완충장치(42)는 고무머리(18)의 모서리 영역에서, 즉 종축(38)을 깃점으로 하는 회전 때문에 보다 큰 여백 영역에서 구성되고 있다. 완충부(46)는, 고무머리(38)의 각각의 지지부에서 후크(26)와의 접촉를 하게 된다. 도 2와 3에서 와이퍼 고무(14)의 양쪽에 최대의 위치와 이에 따른 이들의 고무머리(18)가 나타나 있다. 작동방향(34)에 따라서 접히는 것이 -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 하나 또는 어떤 다른 방향, 즉 각각의 마주보는 방향(34)으로 이루어져 있다. 와이퍼 고무(14)의 귀속장소로 작동부(20)가 갑자기, 즉 충동적으로, 자신의 작동방향(34)을 변경으로써 접히게 된다. 작동부(22)를 지나는 고무머리(18)과의 연결을 통해서 이 운동이 고무머리(18)로 전달되게 되며, 따라서 고무머리(18)는 종축(38)을 깃점으로 회전하게 된다. 완충부(46)가 후크(26)에 놓이게 되므로서 스프링력을 고무머리(18)에 싣게 되며, 이 고무머리가 고무머리(18)의 각도 β의 회전운동이 마주보게 되어 있다. 이를 통해서 고무머리(18)의 회전운동이 흡수되고, 따라서 갑작스런 고무머리(18)의 회전이 방지된다. 완충부(46)가 매순간 마다 후크(26)에 밀착되어 놓이게 됨을 통해서, 이동 고정대(16)의 와이퍼 고무(14)는 간격없이 작동되며, 특히 이러한 것은 후크(26)에서, 가능하게 된다. 각각에 따라서, 와이퍼 고무의 어떤 방향으로 접히는 것에 따라서, 좌측에 또는 우측에 그려진 완충연결부(42)의 댐핑을 받아들이게 된다.
도 4와 5에서 하나의 또다른 실시예가 나타나 있는데, 즉 같은 부분은 같은 참고부호로 나타내며 그리고 더이상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여기서 완충연결부(42)는 각각의 4개의 완충부(46)로 구성되어 있고, 동시에 이는 하나의 완충부로서 각각 모서리 부근에서, 고무머리(18)의 절단면에서 보이는 모서리 부근에서 배열되어 있다. 고무머리(18)과 완충부(46) 사이의 공간부는 여기서 하나의 가장자리에 열려진 들어간 부분(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완충부(46)는 재차 팽팽히 긴장되고, 그러므로서 매순간에 후크(26)와 함께 지면접촉에 놓이게 되고, 따라서 와이퍼 고무(14)는 간격을 두지 않고 작동이 된다. 와이퍼 고무(14)의 각각의 접힘은 대칭적으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는 완충부(46)가 압력을 받게 되며, 따라서 고무머리(18)의 회전운동이 완충부(46), 즉 여기서는 대칭적으로 마주보고 있는 완충부(46)에서 시작되는 탄성력이 대응을 이루게끔 되어야만 한다. 이를 통해서 각도 β로의 회전운동의 댐핑이 이루어진다.
그려진 실시예를 따라서 또다른 것 없이, 단순한 처방으로, 즉 와이퍼 고무(14)로 유리하게 만들어진 완충부(46)를 이용해서 한편으로는 후크(26)에서 간격없는 작동이 보장되고 그리고 다른측면에서는 접힘에 의해서 이루어진 갑작스런 와이퍼 고무의 고무머리(18)의 회전운동의 댐핑이 이루어진다. 또한 완충부(46)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서 흡수의 크기가 조절된다.
본발명은 그려진 실시예를 정확하게 규정지을 수 없다. 따라서 또다른 댐핑장치의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댐핑장치는 후크(26)에 배치할수 있고, 또한 이 후크가 고무머리(18)와 함께 상호작용을 하게끔 할수 있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고무를 가지고, 또한 이 와이퍼 고무가 이동고정대를 지나서 닦이는 지지면과의 접촉면에서 고정되고. 또한 이동고정대가 구동될 수 있는 와이퍼 아암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와이퍼 고무와 이동고정대 사이의 고정영역이 하나의 링크로서 이루어져 있고, 그리고 링크축이 와이퍼 고무의 종방향을 지나게 되는 자동차 유리창용 와이퍼 시스템에 있어서
    링크(40)에 와이퍼 고무(14)의 회전운동의 댐핑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완충연결부(42)가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완충연결부(42)는 와이퍼 고무(14)의 고무머리와 함께 하나의 단체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완충연결부(42)가 고무머리(18)과 연결되어 있고,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완충부(4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완충연결부(42)가, 고무머리(18)의 공간(44)을 둘러싸고 있고 두개의 완충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고무머리(18)가 두개의 완충연결부(42)를 가지고 있고, 또한 이들이 완충부(20)가 이동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완충연결부(42)가 고무머리(18)의 모서리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완충연결부(42)가, 즉 고무머리(18)의 가장자리가 열려져서 오목부(48)를 채우는 동작을 하는 완충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고무머리(18)가 4개의 완충연결부(42)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들이 각각 고무머리(18)의 모서리 영역에서 구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충연결부(42)가 고무머리(18)의 각각의 위치에서 이동 고정대에 배치되어 있는 후크(26)와의 접촉에 놓여 있으며, 또한 이 후크가 와이퍼 고무(14)의 고정부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시스템.
KR1019997005224A 1997-10-11 1998-10-08 와이퍼 시스템 KR200000694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5006A DE19745006A1 (de) 1997-10-11 1997-10-11 Wischanlage
DE19745006.7 1997-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435A true KR20000069435A (ko) 2000-11-25

Family

ID=784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224A KR20000069435A (ko) 1997-10-11 1998-10-08 와이퍼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15876A (ko)
EP (1) EP0942857B1 (ko)
JP (1) JP2001505843A (ko)
KR (1) KR20000069435A (ko)
BR (1) BR9806700A (ko)
DE (2) DE19745006A1 (ko)
WO (1) WO199901917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4113A1 (de) * 1999-11-11 2001-05-1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Wischblatt für einen Scheibenwischer eines Fahrzeugs
CA2548939C (en) * 2005-08-26 2010-10-05 Se-Heon Park Vehicular wiper frame
EP1964732A1 (en) * 2007-02-27 2008-09-03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DE102007011732A1 (de) * 2007-03-10 2008-09-11 Volkswagen Ag Wischerblatt für einen Scheibenwischer
EP2008890B1 (en) * 2007-06-26 2012-10-03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ES2361362T3 (es) * 2007-06-27 2011-06-16 Federal-Mogul S.A. Dispositivo de limpiaparabrisas.
FR2923788B1 (fr) * 2007-11-19 2009-12-18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FR2923787B1 (fr) * 2007-11-19 2019-04-12 Valeo Systemes D'essuyage Lame d'essuyage pour balai d'essuie-glace.
FR2927293B1 (fr) 2008-02-07 2010-02-26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8041361A1 (de) 2008-08-20 2010-02-25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PL2236364T3 (pl) * 2009-03-30 2014-05-30 Fed Mogul Sa Urządzenie wycieraczki przedniej szyby
KR101592627B1 (ko) 2009-04-27 2016-02-05 페더랄-모굴 에스.아. 유리창용 와이퍼 장치
CA2710851A1 (en) * 2009-08-07 2011-02-07 James B. Defrank Wiper blade
DE102021214108A1 (de) * 2021-12-10 2023-06-1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ischblatt,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21214106A1 (de) * 2021-12-10 2023-06-1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ischblatt,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2907A (en) * 1948-09-21 1953-03-31 Productive Inventions Inc Connector for wiper blades and arms
GB707559A (en) * 1951-04-06 1954-04-21 Trico Folberth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windscreen wipers
GB710360A (en) * 1951-07-27 1954-06-09 William Edward O Shei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indscreen wiper blades
US2792585A (en) * 1952-04-02 1957-05-21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DE975208C (de) 1954-09-26 1961-11-02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Beschneiden beider Kanten der Wischlippe von Wischblaettern
US3048872A (en) * 1959-04-07 1962-08-14 Chrysler Corp Windshield wiper
FR2168675A5 (ko) * 1972-01-20 1973-08-31 Sev Marchal
DE2853487A1 (de) * 1978-12-12 1980-07-03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9104461U1 (ko) * 1991-04-12 1992-08-0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DE4319139A1 (de) * 1993-06-09 1994-12-1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us einem elastischen Material bestehenden, langgestreckten Wischleiste für Scheibenwischer von Kraftfahrzeu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45006A1 (de) 1999-04-22
BR9806700A (pt) 2000-02-29
DE59810463D1 (de) 2004-01-29
WO1999019178A3 (de) 1999-05-27
EP0942857A1 (de) 1999-09-22
WO1999019178A2 (de) 1999-04-22
US6115876A (en) 2000-09-12
EP0942857B1 (de) 2003-12-17
JP2001505843A (ja) 2001-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9435A (ko) 와이퍼 시스템
US4673043A (en) Hammer having a protective cover
EP0583323B1 (en) End stop for upper as well as lower end position of a vehicle cabin
KR940011231A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EP2250047B1 (en) Mirror damper
JPH0815860B2 (ja) 衝突時乗客保護のための車両用懸架装置
JPS60166549A (ja) 自動車用のワイパ−ア−ム構造
KR100387547B1 (ko) 파쇄장치
KR100348570B1 (ko) 차량용 후드 힌지장치
KR200273243Y1 (ko) 대형차량의 사이드 미러 진동저감장치
KR20000069789A (ko) 차량 유리창 와이퍼장치
KR200153472Y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와 쇽 어브소버 장착구조
KR200156242Y1 (ko)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100381447B1 (ko) 스트라이커부 구조
KR20000054953A (ko) 자동차용 시트의 서스펜션 구조
CN108019336B (zh) 减振装置及具有其的车载空调
KR200176239Y1 (ko) 충격에너지 흡수용 범퍼구조
KR101143814B1 (ko) 자동차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충격흡수장치
KR100405614B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KR100204395B1 (ko) 트럭용 후륜 현가 장치
KR100376467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JPH0336452Y2 (ko)
KR20020051760A (ko)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920008656Y1 (ko) 블도우저의 블레이드 충격흡수장치
KR20020044214A (ko) 차량의 측방향 안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